KR102517956B1 -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 Google Patents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956B1
KR102517956B1 KR1020220086435A KR20220086435A KR102517956B1 KR 102517956 B1 KR102517956 B1 KR 102517956B1 KR 1020220086435 A KR1020220086435 A KR 1020220086435A KR 20220086435 A KR20220086435 A KR 20220086435A KR 102517956 B1 KR102517956 B1 KR 102517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osed
gap
bottom fram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정
양재원
황인진
황인성
조영상
조영주
한기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Priority to KR1020230042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2262A/ko
Priority to KR1020230042151A priority patent/KR20230052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7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ion with other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3C3/0175Amassing particles by electric fields, e.g. agglom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2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레일(2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도어(101);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시킨 열을 통해 아우터프레임(200), 또는 슬라이드도어(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해소시키는 열전모듈(5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101)의 개방 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장치(700);를 포함하는 시스템창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내외의 상하 온도를 감지하고, 상하 온도차가 벌어질 경우, 아우터프레임에 배치된 열전모듈을 작동시켜 실내의 상하 온도차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System window that can minimize dew formation}
본 발명은 시스템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능동적으로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및 업무용 건물이 고급화되면서 이에 따라 창호 시스템도 다양한 방식으로 기밀, 단열 및 방음 효과가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창호는 창과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바람을 막으면서 채광이 실내로 들게 하거나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프레임을 이루는 창틀(또는 문틀)과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창짝(또는 문짝)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창호는 여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별된다. 또한, 하나의 창틀(또는 문틀)에 설치되는 창짝(또는 문짝)의 숫자에 따라 단창, 이중창, 삼중창으로 구별되기도 하고, 또한 단창에 끼워지는 유리는 개수에 따라 단판 유리, 2개의 단판 유리를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복층유리, 3개의 단판 유리를 각각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3중(또는 3복층) 유리로 구분되기도 한다.
창틀(문틀)과 창짝(문짝)을 구성하는 재질은 종래에는 목재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알루미늄과 합성수지재인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이하 '합성수지'라함) 재질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은 목재와 같은 부패, 변형이나 철과 같은 산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 베란다 등에 시공된다. 다만, 알루미늄은 높은 열전도성 때문에 단열효과가 떨어지고, 열 변형에 의해 장기간 사용시 조립부위에 유격이 발생되어 방음 및 단열효과가 떨어진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창호 중에서 시스템창호는 일반 창호보다 하드웨어를 추가해 단열성과 방음성, 밀폐성, 내풍압성, 기밀성 등의 기능성을 높인 창호이다.
시스템창호는 앞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여는 여닫이 창과는 다르게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된 시스템창호의 경우, 겨울에는 외부와 큰 기온차를 형성하고, 큰 온도차로 인해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슬이 맺히는 결로는 창호의 제작불량 또는 시공불량으로 발생될 수 있고, 구조적 불량이 없더라도 외부와의 기온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거주자에게 큰 불편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86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93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14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5233호
본 발명은 결로를 능동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2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레일(2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도어(101);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시킨 열을 통해 아우터프레임(200), 또는 슬라이드도어(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해소시키는 열전모듈(5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101)의 개방 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장치(700);를 포함하는 시스템창호를 제공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은, 지면측에 배치되는 바텀프레임(210); 상기 바텀프레임(210)과 대향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탑프레임(220);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230); 및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2 사이드프레임(240);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모듈(500)이 상기 바텀프레임(210) 또는 탑프레임(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텀프레임(21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바텀프레임(1210);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프레임(1220);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텀갭프레임(300);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에 조립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 및 제 1 바텀프레임(12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바텀커버(1230);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를 커버하는 제 2 바텀커버(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은, 내부에 제 1 바텀공간(1211a)이 형성된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패널레일(1212)과,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에서 제 2 바텀프레임(122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1 갭결합부(1213)와,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와 결합되는 제 1 커버결합부(12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1220)은, 내부에 제 2 바텀공간(1221a)이 형성된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와,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의 상측면에서 상기 제 2 바텀공간(1221a)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레일홈(1225)과, 상기 레일홈(1225)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101)를 지지하는 도어레일(1222)과,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에서 제 1 바텀프레임(121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 갭결합부(1223)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바텀갭바디(350)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갭바디(360)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갭결합부(1213)와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끼움부(310)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갭결합부(1223)와 끼움결합되는 제 2 바텀끼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상기 제 1 바텀공간(1211a)에 배치된 제 1 배터리(410)와, 상기 제 2 바텀공간(1221a)에 배치된 제 2 배터리(420)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 사이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열전소자(550); 상기 열전소자(550)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에 밀착되는 제 1 방열판(510); 상기 열전소자(550)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바텀갭바디(360)에 밀착되는 제 2 방열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창호의 제어방법은, 제 1 실내온도센서(601)를 통해 제 1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제 1 실외온도센서(602)를 통해 제 1 실외온도를 감지하며, 제 2 실내온도센서(603)를 통해 제 2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제 2 실외온도센서(604)를 통해 제 2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제 1 실외온도 또는 제 2 실외온도가 제 1 계절온도값(본 실시예에서 섭씨 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제 1 실내온도 - 제 1 실외온도 > 제 1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2 실내온도 - 제 2 실외온도 > 제 2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5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텀열전모듈만을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실내온도 - 제 2 실외온도 < 제 2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70)와, 상기 S7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정지시키는 단계(S80)와, 상기 S7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2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0 단계를 통해 겨울철을 판단한다.
상기 제 1 기준값은 제 1 실내온도에 따른 이슬점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값은 제 2 실내온도에 따른 이슬점온도일 수 있다.
제 2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높이가 제 1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겨울철 대류에 의해 제 2 실내온도가 더 높게 측정될 수 있다.
상기 S30 및 S40 단계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킨다.
즉, 실내온도가 높고 실외온도가 낮기 때문에, 실외측에 배치된 제 1 방열판(510)에서 열을 방출하고, 실내측에 배치된 제 2 방열판(520)에서 냉각시킨다.
상기 제 1 방열판(510)의 발열을 통해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가 가열되고, 제 2 바텀갭바디(360)가 냉각될 수 있다.
제 2 바텀갭바디(360)가 배치된 바닥보다 외기의 온도가 더 낮기 때문에,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가 가열되고, 상기 제 2 바텀갭바디(360)가 냉각될 경우, 실내외 온도차를 줄여 이슬맺힘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열판(510)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 및 제 2 열저장매체(570)로 전도되어 저장될 수 있고, 아우터프레임(200)의 전체적인 온도를 상승시켜 실내외온도차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방열판(52)에서 냉각된 열은 실외측 및 실내측에 배치된 제 1 배터리(410) 및 제 2 배터리(420)로 전도되고, 상기 제 1 배터리(410) 및 제 2 배터리(4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실질적으로 냉각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창호의 제어방법은,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실외온도 또는 제 2 실외온도가 제 2 계절온도값(본 실시예에서 섭씨 28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제 1 실외온도 - 제 1 실내온도 > 제 3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130)와,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2 실외온도 - 제 2 실내온도 > 제 4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140)와, 상기 S1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150)와, 상기 S14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텀열전모듈만을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 S120 단계는 여름철 실내의 과냉방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여름철은 실외온도가 높고 실내온도가 높기 때문에, S130 단계 또는 S140 단계를 통해 실내의 상하 높이에 따른 온도차를 각각 판단한다.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실내의 바닥 및 천장이 모두 과냉방된 것으로 판단하고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킨다. (S150)
실내온도가 낮고 실외온도가 높기 때문에, 실외측에 배치된 제 1 방열판(510)에서 흡열하고, 실내측에 배치된 제 2 방열판(520)에서 발열시킨다.
상기 제 1 방열판(510)의 흡열을 통해 제 1 열저장매체(560)가 냉각되고, 제 1 바텀프레임(1210)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방열판(520)의 발열을 통해 제 2 열저장매체(570)를 가열시키고, 제 2 바텀프레임(122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실외온도 - 제 2 실내온도 < 제 4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170)와, 상기 S17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정지시키는 단계(S180)와, 상기 S17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12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장치(700)는 바텀프레임(210)의 패널레일(1212)에 거치되고, 상기 패널레일(12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전프레임(750)과, 상기 방전프레임(75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레일(1212)에 지지되는 패널롤러(770)와, 상기 방전프레임(750) 내부에 배치되고,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710)과, 상기 방전프레임(75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전전극(71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방전대응극(720)과, 상기 방전전극(71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파워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전극(710)은 금속재질이고, 와이어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방전전극(710)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전극(710)들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방전전극(710)들 사이에 각각의 방전대응극(720)이 배치된다. 방전 방전대응극(720)은 얇은 금속판일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전대응극(720)의 전후 방향 폭 내에 상기 방전전극(710)이 배치된다.
복수개의 방전대응극(720)들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방전대응극(720)들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파워모듈을 통해 상기 방전전극(710)에 5~7kv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방전전극(710)이 (+)극성을 형성하고, 상기 방전대응극(720)에 (-)극성이 형성된다. 상기 파워모듈은 상기 배터리(410)(420) 또는 외부전원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 사이에 공기를 이온화시키는 이온화선이 형성된다. 즉,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 사이에는 이온화선에 의한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 전기장을 통과하는 미세한 먼지는 전기장에 의해 (+)극으로 대전된다.
상기 방전프레임(750)은, 상기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이 결합되는 이너림(752)과, 상기 이너림(752)의 외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아우터림(754)과, 상기 이너림(752) 및 아우터림(754)을 연결하는 연결부(756)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림(752) 및 아우터림(754)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림(754)이 이너림(752) 보다 소정비율 크게 형성된다. 이너림(752) 및 아우터림(754) 사이에 이격간격(755)이 형성된다.
상기 방전전극(710)은 상기 이너림(752)의 두께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프레임(750)이 패널레일(121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이 상기 방전프레임(750)의 내측을 커버하게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도어(101)가 고정도어(102)와 겹쳐져 개방될 경우, 상기 방전프레임(750)을 통과하는 공기 중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가 상기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에 집진될 수 있다.
상기 방전프레임공간(751)은 복수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전프레임공간(751)은, 제 1 방전프레임공간(751a), 제 2 방전프레임공간(751b), 제 3 방전프레임공간(751c), 제 4 방전프레임공간(751d)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방전프레임공간(751a), 제 2 방전프레임공간(751b), 제 3 방전프레임공간(751c) 및 제 4 방전프레임공간(751d)에 각각의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전프레임공간(751a), 제 2 방전프레임공간(751b), 제 3 방전프레임공간(751c) 또는 제 4 방전프레임공간(751d)에 배치된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 방전프레임공간(751a), 제 2 방전프레임공간(751b), 제 3 방전프레임공간(751c) 또는 제 4 방전프레임공간(751d)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대전되어 집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실내외의 상하 온도를 감지하고, 상하 온도차가 벌어질 경우, 아우터프레임에 배치된 열전모듈을 작동시켜 실내의 상하 온도차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실외 및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에 따른 결로 생성조건을 판단하며, 프레임에 배치된 열전모듈을 통해 결로를 능동적으로 제거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결로의 생성 전에 실내측 프레임과 실외측 프레임의 온도차를 능동적으로 축소시킴으로써, 결로를 지연 또는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낮에 태양광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를 통해 열전모듈을 가동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없이 자체적으로 결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방전프레임에 방전전극 및 방전대응극이 배치되고, 상기 방전전극에 인가된 고전압을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를 여과 또는 집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창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텀프레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창호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창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텀프레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진장치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창호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200)과,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레일(2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도어(101)와,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고정되게 배치되는 고정도어(102)와,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시킨 열을 통해 아우터프레임(200), 고정도어(102) 또는 슬라이드도어(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해소시키는 열전모듈(500)과,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101)의 개방 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장치(700)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인가된 전원을 통해 일측이 발열되고, 타측이 냉각됨으로써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아우터프레임(200), 고정도어(102) 또는 슬라이드도어(101)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슬라이드도어(101) 또는 고정도어(102)에 이슬맺힘이 발생될 경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모듈(500)을 통해 이슬맺힘을 제거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시스템창호의 특성 상, 상기 슬라이드도어(101) 및 고정도어(102)는 겹쳐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도어(101)가 레일(250)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도어(10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겹쳐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고정도어(102) 대신 별도의 슬라이드도어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은, 지면측에 배치되는 바텀프레임(210)과, 상기 바텀프레임(210)과 대향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탑프레임(220)과,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230)과,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2 사이드프레임(240)을 포함한다.
상기 바텀프레임(210), 탑프레임(220), 제 1 사이드프레임(230) 및 제 2 사이드프레임(240)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도어(101) 및 고정도어(102)가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도어(101)는 상기 고정도어(10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바텀프레임(210)에 지지되며, 상기 바텀프레임(210) 또는 탑프레임(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창호는,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태양광패널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프레임(21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바텀프레임(1210)과,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프레임(1220)과,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텀갭프레임(300)과,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에 조립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 및 제 1 바텀프레임(12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바텀커버(1230)와,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를 커버하는 제 2 바텀커버(1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제 2 바텀프레임(1220), 제 1 바텀커버(1230) 및 제 2 바텀커버(124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바텀프레임(1210), 제 2 바텀프레임(1220), 제 1 바텀커버(1230) 및 제 2 바텀커버(1240)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이 실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1220)이 실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은, 내부에 제 1 바텀공간(1211a)이 형성된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패널레일(1212)과,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에서 제 2 바텀프레임(122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1 갭결합부(1213)와,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와 결합되는 제 1 커버결합부(1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텀공간(1211a)에 배터리(41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410)는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와 적어도 3면이 밀착되어 열이 직접 전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레일(1212) 및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패널레일(1212)은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제 1 패널레일부(1212a)와, 상기 제 1 패널레일부(1212a)의 외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제 2 패널레일부(1212b)와, 상기 제 2 패널레일부(1212b) 및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널레일부(1212a)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제 3 패널레일부(1212c)를 포함한다.
제 2 패널레일부(1212b) 및 제 3 패널레일부(1212c)가 상측으로 평행하게 돌출되고, 상측에 상기 태양광패널장치(400) 또는 집진장치(70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갭결합부(1213)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패널레일(1212)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패널레일(1212)은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의 실외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다.
상기 제 1 갭결합부(1213)는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 2 바텀프레임(122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갭결합부(1213)에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이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 1 커버결합부(1214)는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버결합부(1214)가 상기 배터리(4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결합부(1214)는 상측을 향해 개구된 형태이다. 상기 제 1 커버결합부(1214)의 상측에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가 거치되고,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가 상기 제 1 커버결합부(1214)를 은폐시켜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커버결합부(1214)가 상기 패널레일(1212) 보다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커버결합부(1214)는 상기 패널레일(1212) 및 제 1 갭결합부(1213)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는,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바텀커버부(1231)와, 상기 제 1 바텀커버부(123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커버결합부(1214)에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커버결합부(1232) 및 제 2 바텀커버결합부(1233)와, 상기 제 1 바텀커버부(123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에 지지되는 바텀커버지지부(12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텀커버부(1231)가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의 상측면, 바텀갭프레임(300)의 상측 일부 및 제 2 바텀커버(1240)의 상측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제 1 바텀커버부(1231)의 하측에 제 1 열저장매체(56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가 상기 제 1 바텀커버부(1231) 및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의 상측면에 밀착되어 열을 전도받을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의 외측단이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와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열이 전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커버결합부(1232) 및 제 2 바텀커버결합부(1233)가 내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버결합부(1214)에 조립된다.
상기 제 1 바텀커버결합부(1232) 및 제 2 바텀커버결합부(123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끼움결합 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바텀지지부(1234)의 길이가 상기 제 1 바텀커버결합부(1232) 및 제 2 바텀커버결합부(1233) 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바텀지지부(1234)의 하단이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에 지지된다.
상기 바텀지지부(1234)에 상기 슬라이드도어(101)와의 간격을 밀폐시키는 간격부재(126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프레임(1220)은, 내부에 제 2 바텀공간(1221a)이 형성된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와,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의 상측면에서 상기 제 2 바텀공간(1221a)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레일홈(1225)과, 상기 레일홈(1225)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101)를 지지하는 도어레일(1222)과,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에서 제 1 바텀프레임(121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 갭결합부(1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바텀공간(1221a)에 제 2 배터리(42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배터리(420)의 적어도 2면이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에 밀착되어 열을 전도할 수 있다.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바텀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과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를 밀폐시키며,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의 열전도를 차단한다.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바텀갭바디(350)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갭바디(360)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갭결합부(1213)와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끼움부(310)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갭결합부(1223)와 끼움결합되는 제 2 바텀끼움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 사이에 후술하는 열전소자(55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제 2 바텀갭바디(360), 제 1 바텀끼움부(310) 및 제 2 바텀끼움부(32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바텀갭바디(350), 제 2 바텀갭바디(360), 제 1 바텀끼움부(310) 및 제 2 바텀끼움부(320)가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가 다수개의 격벽으로 형성된 다공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끼움부(310)는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에 배치되는 제 1-1 바텀끼움부(311)와, 상기 제 2 바텀갭바디(360)에 배치되는 제 1-2 바텀끼움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바텀끼움부(311) 및 제 1-2 바텀끼움부(312)가 상기 제 1 갭결합부(1213)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고, 직접 접촉되어 열을 전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끼움부(320)는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에 배치되는 제 2-1 바텀끼움부(321)와, 상기 제 2 바텀갭바디(360)에 배치되는 제 2-2 바텀끼움부(3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바텀끼움부(321) 및 제 2-2 바텀끼움부(322)가 상기 제 2 갭결합부(1223)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고, 직접 접촉되어 열을 전도할 수 있다.
상기 갭바디열저장매체(370)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의 높이 중간에 배치되고,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가 제 2 바텀갭바디(360)보다 상측에 적층된다.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는 하측으로 오목한 제 1-1 갭바디결합부(351) 및 제 1-2 갭바디결합부(352)를 더 포함하고, 제 1-1 갭바디결합부(351) 및 제 1-2 갭바디결합부(352)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 바텀갭바디(360)는 하측으로 오목한 제 2-1 갭바디결합부(361) 및 제 2-2 갭바디결합부(362)를 더 포함하고, 제 2-1 갭바디결합부(361) 및 제 2-2 갭바디결합부(362)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측에 배치된 제 1-1 갭바디결합부(351) 및 제 1-2 갭바디결합부(3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내측에 배치된 제 1-2 갭바디결합부(352)에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 1-1 갭바디결합부(351)가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는,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상측에 거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의 실내측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가 상기 바텀커버지지부(1234)를 통해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를 지지한다.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의 실내측이 상기 제 2 바텀프레임(1220)에 밀착되고, 실외측이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 및 제 1 바텀프레임(1210)의 결합력이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를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에 밀착시킬 수 있고, 외부공기 및 이물질이 상기 바텀갭프레임(3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는,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에 밀착되는 커버수평부(1241)와, 상기 커버수평부(1241)의 실내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1220)에 밀착되는 커버수직부(1242)와, 상기 커버수평부(124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2 갭바디결합부(352)와 끼움결합되는 제 2 커버결합부(1244)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수평부(1241)는,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의 상측에 거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커버수직부(1242)가 상기 커버수평부(1241)의 실내측 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커버수직부(1242)가 상기 제 2 갭결합부(1223) 및 제 2 바텀끼움부(320) 상측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갭결합부(1223) 및 제 2 바텀끼움부(320)를 커버하여 이물질 또는 외기의 침임을 억제한다.
상기 커버수평부(1241) 및 커버수직부(1242) 내부는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통해 휨변형에 대응할 수 있고,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커버수직부(1242)는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수직부돌기(1242a)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직부돌기(1242a)는 상기 제 2 갭결합부(1223)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갭결합부돌기(122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돌기(1242a) 및 갭결합부돌기(1223a)가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의 수평방향 이동을 억제한다.
상기 제 2 커버결합부(1244)는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의 수평방향 이동 및 수직방향 이동을 억제한다.
상기 제 2 커버결합부(1244)가 상기 제 1-2 갭바디결합부(352)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후크결합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바텀커버(1240)의 수평방향 이동 및 수직방향 이동을 억제한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한 쪽면에서 발열되고 반대쪽 면에서 흡열을 형성하는 반도체이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열전소자(550)와, 상기 열전소자(55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 1 방열판(510)과, 상기 열전소자(55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 2 방열판(520)을 포함한다.
상기 바텀프레임(210)에 배치된 열전모듈(500)을 바텀열전모듈이라 하고, 상기 탑프레임(220)에 배치된 열전모듈(500)을 탑열전모듈이라 한다. 바텀열전모듈 및 탑열전모듈의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열전소자는 크게 전기저항의 온도 변화를 이용한 소자인 서미스터, 온도 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인 제베크효과를 이용한 소자, 전류에 의해 열의 흡수(또는 발생)가 생기는 현상인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소자인 펠티에소자 등이 있다.
서미스터는 온도에 의해 전기저항이 크게 변화하는 일종의 반도체소자로서, 전기저항이 온도의 상승에 의해 감소되는 NTC 서미스터(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온도 상승에 의해 저항이 증가하는 정온도계수 서미스터(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등을 사용한다.
서미스터는 몰리브데넘·니켈·코발트·철 등 산화물을 복수 성분으로 배합하여 이것을 소결해서 만들며, 회로의 안정화와 열·전력·빛 검출 등에 사용한다.
펠티에 효과는 2종류의 금속 끝을 접속시켜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2종류의 금속 대신 전기전도 방식이 다른 비스무트·텔루륨 등 반도체를 사용하면, 효율성 높은 흡열·발열 작용을 하는 펠티에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전류 방향에 따라 흡열·발열의 전환이 가능하고, 전류량에 따라 흡열·발열량이 조절되므로, 용량이 적은 냉동기 또는 상온 부근의 정밀한 항온조(恒溫槽) 제작에 응용한다.
상기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열전소자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방열판(510)이 상기 열전소자(550)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열판(520)이 상기 열전소자(550)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방열판(510)이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의 저면에 밀착되어 열을 전도시키고, 상기 제 2 방열판(520)이 상기 제 2 바텀갭바디(360)의 저면에 밀착되어 열을 전도시킨다.
상기 열전소자(550)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차단할 수 있고,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할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방열판(510)이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를 통해 제 1 바텀커버(1230) 및 제 2 바텀커버(1240) 측으로 열을 전도하여 외기와 접촉되는 제 1 바텀커버(1230) 및 제 2 바텀커버(1240)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최소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 내부에 제 1 열저장매체(560)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1220) 내부에 제 2 열저장매체(57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 및 제 2 열저장매체(570)는 비열이 높은 재질이고 본 실시예에서 소금이 용해된 젤 또는 겔 형태의 팩일 수 있다.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와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로 전도된 열이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가 상기 제 1 배터리(410)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배터리(410)에서 발생된 발열이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로 전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열저장매체(570)가 상기 제 2 바텀공간(1221a) 내부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제 2 열저장매체(570)가 상기 제 2 배터리(420)의 상측에 적층되고, 상기 제 2 배터리(42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제 2 열저장매체(570)로 전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터리(420) 및 제 2 열저장매체(570)가 하나의 제 2 바텀공간(1221a)에 적층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배터리(420)의 충전 및 작동 시 발생되는 발열이 상기 제 2 열저장매체(570)에 효과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공간(1221a)에 저장된 열이 제 2 바텀프레임(1220)을 가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기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효과적으로 결로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패널장치(400)에서 생산된 전기가 상기 제 1 배터리(410) 및 제 2 배터리(420)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배터리(410) 및 제 2 배터리(420)의 전원을 통해 상기 열전모듈(500)이 작동될 수 있다.
태양열이 공급되는 낮에는 시스템창호 밖와 안의 온도차가 적기 때문에 결로의 발생양 및 빈도가 낮다. 태양열이 제공되지 않는 밤에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가 크게 형성되고, 온도가 높은 실내측에서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제 1 실외온도센서(602) 및 제 1 실내온도센서(601)의 온도차가 기준값 이상일 때, 온도편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내온도센서(601)가 제 2 바텀프레임(122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실외온도센서(602)가 제 1 바텀커버(1230)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실외온도센서(602)가 외기와 접하는 제 1 바텀커버(1230)에 배치되어 외부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바텀커버부(1231) 및 제 1 바텀커버결합부(1232)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500)은 결로가 주로 발생되는 겨울철은 물론 여름철에도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터리(410) 및 제 2 배터리(420)에 낮에 생산된 전기가 저장되고, 저장된 전기를 통해 온도차가 크게 형성되는 밤에 상기 열전모듈(500)을 작동시켜 실내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창호는 열전모듈(500)을 작동시킬 때, 별도의 외부전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료의 추가부담이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열전모듈(500)의 작동 시 제 1 배터리(410) 및 제 2 배터리(420)에서도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발생된 열을 통해 바텀프레임(1210)를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장치(400)는 상기 패널레일(12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패널장치(400)는, 상기 슬라이드도어(101) 또는 고정도어(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태양광패널(4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도어(102)의 실외측 면에 상기 태양광패널(4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패널(460)은 반투명한 필름형 태양광패널일 수 있다.
상기 탑프레임(22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탑프레임(2210)과,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탑프레임(2220)과, 상기 제 1 탑프레임(2210) 및 제 2 탑프레임(2220)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탑프레임(2210) 및 제 2 탑프레임(2220)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탑갭프레임(2300)과, 상기 제 1 탑프레임(2210)에 조립되고, 상기 탑갭프레임(2300) 및 제 1 탑프레임(22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탑커버(2230)와, 상기 탑갭프레임(2300)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탑커버(2230) 및 제 2 탑프레임(2220) 사이를 커버하는 제 2 탑커버(2240)를 포함한다.
상기 탑프레임(220)은 상기 바텀프레임(210)과 상하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탑프레임(220)의 각 구성을 설명할 필요가 있을 경우, "바텀" 대신 "탑"의 접두어를 붙여 구분한다.
상기 제 1 탑프레임(2210)에 제 2 실외온도센서(604)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탑프레임(2220)에 제 2 실내온도센서(603)가 배치된다.
상기 집진장치(700)는 바텀프레임(210)의 패널레일(1212)에 거치되고, 상기 패널레일(12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전프레임(750)과, 상기 방전프레임(75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레일(1212)에 지지되는 패널롤러(770)와, 상기 방전프레임(750) 내부에 배치되고,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710)과, 상기 방전프레임(75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전전극(71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방전대응극(720)과, 상기 방전전극(71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파워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방전전극(710)은 금속재질이고, 와이어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방전전극(710)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전극(710)들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방전전극(710)들 사이에 각각의 방전대응극(720)이 배치된다. 방전 방전대응극(720)은 얇은 금속판일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전대응극(720)의 전후 방향 폭 내에 상기 방전전극(710)이 배치된다.
복수개의 방전대응극(720)들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방전대응극(720)들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대응극(720)은 접지된다.
상기 파워모듈을 통해 상기 방전전극(710)에 5~7kv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방전전극(710)이 (+)극성을 형성하고, 상기 방전대응극(720)에 (-)극성이 형성된다. 상기 파워모듈은 상기 배터리(410)(420) 또는 외부전원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 사이에 공기를 이온화시키는 이온화선이 형성된다. 즉,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 사이에는 이온화선(미도시)에 의한 전기장이 형성되고, 이 전기장을 통과하는 미세한 먼지는 전기장에 의해 (+)극으로 대전된다.
상기 방전프레임(750)은, 상기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이 결합되는 이너림(752)과, 상기 이너림(752)의 외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아우터림(754)과, 상기 이너림(752) 및 아우터림(754)을 연결하는 연결부(756)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림(752) 및 아우터림(754)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림(754)이 이너림(752) 보다 소정비율 크게 형성된다. 이너림(752) 및 아우터림(754) 사이에 이격간격(755)이 형성된다.
상기 방전전극(710)은 상기 이너림(752)의 두께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프레임(750)이 패널레일(121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이 상기 방전프레임(750)의 내측을 커버하게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도어(101)가 고정도어(102)와 겹쳐져 개방될 경우, 상기 방전프레임(750)을 통과하는 공기 중 이물질 또는 미세먼지가 상기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에 집진될 수 있다.
상기 방전프레임(750)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면을 방전프레임공간(751)이라 정의한다. 상기 방전프레임공간(751)은 복수개로 구획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전프레임공간(751)은, 제 1 방전프레임공간(751a), 제 2 방전프레임공간(751b), 제 3 방전프레임공간(751c), 제 4 방전프레임공간(751d)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방전프레임공간(751a), 제 2 방전프레임공간(751b), 제 3 방전프레임공간(751c) 및 제 4 방전프레임공간(751d)에 각각의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전프레임공간(751a), 제 2 방전프레임공간(751b), 제 3 방전프레임공간(751c) 또는 제 4 방전프레임공간(751d)에 배치된 방전전극(710) 및 방전대응극(720)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 방전프레임공간(751a), 제 2 방전프레임공간(751b), 제 3 방전프레임공간(751c) 또는 제 4 방전프레임공간(751d)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가 대전되어 집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창호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창호의 제어방법은, 제 1 실내온도센서(601)를 통해 제 1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제 1 실외온도센서(602)를 통해 제 1 실외온도를 감지하며, 제 2 실내온도센서(603)를 통해 제 2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제 2 실외온도센서(604)를 통해 제 2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제 1 실외온도 또는 제 2 실외온도가 제 1 계절온도값(본 실시예에서 섭씨 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제 1 실내온도 - 제 1 실외온도 > 제 1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2 실내온도 - 제 2 실외온도 > 제 2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5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텀열전모듈만을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실내온도 - 제 2 실외온도 < 제 2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70)와, 상기 S7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정지시키는 단계(S80)와, 상기 S7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2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0 단계를 통해 겨울철을 판단한다.
상기 제 1 기준값은 제 1 실내온도에 따른 이슬점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값은 제 2 실내온도에 따른 이슬점온도일 수 있다.
제 2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높이가 제 1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겨울철 대류에 의해 제 2 실내온도가 더 높게 측정될 수 있다.
상기 S30 및 S40 단계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킨다.
즉, 실내온도가 높고 실외온도가 낮기 때문에, 실외측에 배치된 제 1 방열판(510)에서 열을 방출하고, 실내측에 배치된 제 2 방열판(520)에서 냉각시킨다.
상기 제 1 방열판(510)의 발열을 통해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가 가열되고, 제 2 바텀갭바디(360)가 냉각될 수 있다.
제 2 바텀갭바디(360)가 배치된 바닥보다 외기의 온도가 더 낮기 때문에,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가 가열되고, 상기 제 2 바텀갭바디(360)가 냉각될 경우, 실내외 온도차를 줄여 이슬맺힘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열판(510)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 및 제 2 열저장매체(570)로 전도되어 저장될 수 있고, 아우터프레임(200)의 전체적인 온도를 상승시켜 실내외온도차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방열판(52)에서 냉각된 열은 실외측 및 실내측에 배치된 제 1 배터리(410) 및 제 2 배터리(420)로 전도되고, 상기 제 1 배터리(410) 및 제 2 배터리(4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실질적으로 냉각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창호의 제어방법은,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실외온도 또는 제 2 실외온도가 제 2 계절온도값(본 실시예에서 섭씨 28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제 1 실외온도 - 제 1 실내온도 > 제 3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130)와,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2 실외온도 - 제 2 실내온도 > 제 4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140)와, 상기 S1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150)와, 상기 S14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텀열전모듈만을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 S120 단계는 여름철 실내의 과냉방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여름철은 실외온도가 높고 실내온도가 높기 때문에, S130 단계 또는 S140 단계를 통해 실내의 상하 높이에 따른 온도차를 각각 판단한다.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실내의 바닥 및 천장이 모두 과냉방된 것으로 판단하고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킨다. (S150)
실내온도가 낮고 실외온도가 높기 때문에, 실외측에 배치된 제 1 방열판(510)에서 흡열하고, 실내측에 배치된 제 2 방열판(520)에서 발열시킨다.
상기 제 1 방열판(510)의 흡열을 통해 제 1 열저장매체(560)가 냉각되고, 제 1 바텀프레임(1210)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방열판(520)의 발열을 통해 제 2 열저장매체(570)를 가열시키고, 제 2 바텀프레임(122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실외온도 - 제 2 실내온도 < 제 4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170)와, 상기 S17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정지시키는 단계(S180)와, 상기 S17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12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 슬라이딩도어 102 : 고정도어
200 : 아우터프레임 210 : 바텀프레임
220 : 탑프레임 230 : 제 1 사이드프레임
240 : 제 2 사이드프레임 300 : 바텀갭프레임
400 : 태양광패널장치 500 : 열전모듈
550 : 열전소자 510 : 제 1 방열판
520 : 제 2 방열판 700 : 집진장치

Claims (10)

  1. 구조물에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2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레일(2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도어(101);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시킨 열을 통해 아우터프레임(200), 또는 슬라이드도어(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해소시키는 열전모듈(5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101)의 개방 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장치(700);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은,
    지면측에 배치되는 바텀프레임(210);
    상기 바텀프레임(210)과 대향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탑프레임(220);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230); 및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2 사이드프레임(240);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모듈(500)이 상기 바텀프레임(210) 또는 탑프레임(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바텀프레임(21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바텀프레임(1210);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프레임(1220);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텀갭프레임(300);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에 조립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 및 제 1 바텀프레임(12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바텀커버(1230);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를 커버하는 제 2 바텀커버(1240);를 포함하는 시스템창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700)는
    상기 바텀프레임(210)에 거치되고, 상기 바텀프레임(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전프레임(750);
    상기 방전프레임(75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프레임(210)에 지지되는 패널롤러(770);
    상기 방전프레임(750) 내부에 배치되고,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710);
    상기 방전프레임(75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전전극(71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방전대응극(720);
    상기 방전전극(71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파워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창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전전극(710)은 금속재질이고, 와이어형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방전전극(710)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복수개의 방전전극(710)들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인, 시스템창호.
  4. 구조물에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2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레일(2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도어(101);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시킨 열을 통해 아우터프레임(200), 또는 슬라이드도어(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해소시키는 열전모듈(5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101)의 개방 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장치(700);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은,
    지면측에 배치되는 바텀프레임(210);
    상기 바텀프레임(210)과 대향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탑프레임(220);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230); 및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2 사이드프레임(240);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모듈(500)이 상기 바텀프레임(210) 또는 탑프레임(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바텀프레임(21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바텀프레임(1210);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프레임(1220);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텀갭프레임(300);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에 조립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 및 제 1 바텀프레임(12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바텀커버(1230);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를 커버하는 제 2 바텀커버(124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은,
    내부에 제 1 바텀공간(1211a)이 형성된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패널레일(1212)과,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에서 제 2 바텀프레임(122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1 갭결합부(1213)와,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와 결합되는 제 1 커버결합부(12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1220)은,
    내부에 제 2 바텀공간(1221a)이 형성된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와,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의 상측면에서 상기 제 2 바텀공간(1221a)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레일홈(1225)과, 상기 레일홈(1225)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101)를 지지하는 도어레일(1222)과,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에서 제 1 바텀프레임(121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 갭결합부(1223)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바텀갭바디(350)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갭바디(360)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갭결합부(1213)와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끼움부(310)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갭결합부(1223)와 끼움결합되는 제 2 바텀끼움부(320)를 포함하는 시스템창호.
  5. 구조물에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2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레일(2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도어(101);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시킨 열을 통해 아우터프레임(200), 또는 슬라이드도어(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해소시키는 열전모듈(5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101)의 개방 시 외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장치(700);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은,
    지면측에 배치되는 바텀프레임(210);
    상기 바텀프레임(210)과 대향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탑프레임(220);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230); 및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2 사이드프레임(240);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모듈(500)이 상기 바텀프레임(210) 또는 탑프레임(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바텀프레임(21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바텀프레임(1210);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프레임(1220);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텀갭프레임(300);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에 조립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 및 제 1 바텀프레임(12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 1 바텀커버(1230);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를 커버하는 제 2 바텀커버(124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은,
    내부에 제 1 바텀공간(1211a)이 형성된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패널레일(1212)과,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1211)에서 제 2 바텀프레임(122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1 갭결합부(1213)와, 상기 제 1 바텀커버(1230)와 결합되는 제 1 커버결합부(12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1220)은,
    내부에 제 2 바텀공간(1221a)이 형성된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와,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의 상측면에서 상기 제 2 바텀공간(1221a)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레일홈(1225)과, 상기 레일홈(1225)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드도어(101)를 지지하는 도어레일(1222)과, 상기 제 2 바텀프레임바디(1221)에서 제 1 바텀프레임(121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 갭결합부(1223)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바텀갭바디(350)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1210) 및 제 2 바텀프레임(1220) 사이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갭바디(360)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갭결합부(1213)와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끼움부(310)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갭결합부(1223)와 끼움결합되는 제 2 바텀끼움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모듈(500)은,
    상기 제 1 바텀공간(1211a)에 배치된 제 1 배터리(410)와,
    상기 제 2 바텀공간(1221a)에 배치된 제 2 배터리(420)와,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 및 제 2 바텀갭바디(360) 사이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열전소자(550);
    상기 열전소자(550)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바텀갭바디(350)에 밀착되는 제 1 방열판(510);
    상기 열전소자(550)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바텀갭바디(360)에 밀착되는 제 2 방열판(520)을 포함하는 시스템창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700)는
    상기 바텀프레임(210)에 거치되고, 상기 바텀프레임(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전프레임(750);
    상기 방전프레임(75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프레임(210)에 지지되는 패널롤러(770);
    상기 방전프레임(750) 내부에 배치되고,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710);
    상기 방전프레임(75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전전극(71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방전대응극(720);
    상기 방전전극(71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파워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창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전전극(710)은 금속재질이고, 와이어형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방전전극(710)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복수개의 방전전극(710)들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인, 시스템창호.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700)는
    상기 바텀프레임(210)에 거치되고, 상기 바텀프레임(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전프레임(750);
    상기 방전프레임(75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프레임(210)에 지지되는 패널롤러(770);
    상기 방전프레임(750) 내부에 배치되고,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전극(710);
    상기 방전프레임(75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방전전극(710)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방전대응극(720);
    상기 방전전극(71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파워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창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전전극(710)은 금속재질이고, 와이어형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방전전극(710)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복수개의 방전전극(710)들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인, 시스템창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파워모듈을 통해 상기 방전전극(710)에 5~7kv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방전전극(710)이 (+)극성을 형성하고, 상기 방전대응극(720)에 (-)극성이 형성되며,
    상기 파워모듈은 상기 제 1 배터리(410) 및 제 2 배터리(420)를 통해 전원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시스템창호.
KR1020220086435A 2022-07-11 2022-07-13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517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164A KR20230052262A (ko) 2022-07-11 2023-03-30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0230042151A KR20230052261A (ko) 2022-07-11 2023-03-30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180 2022-07-11
KR20220085180 2022-07-11
KR1020220085756 2022-07-12
KR20220085756 2022-07-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151A Division KR20230052261A (ko) 2022-07-11 2023-03-30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0230042164A Division KR20230052262A (ko) 2022-07-11 2023-03-30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956B1 true KR102517956B1 (ko) 2023-04-06

Family

ID=859183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435A KR102517956B1 (ko) 2022-07-11 2022-07-13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0230042164A KR20230052262A (ko) 2022-07-11 2023-03-30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0230042151A KR20230052261A (ko) 2022-07-11 2023-03-30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164A KR20230052262A (ko) 2022-07-11 2023-03-30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0230042151A KR20230052261A (ko) 2022-07-11 2023-03-30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179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555A (ko) * 2012-10-31 2014-05-09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KR101468686B1 (ko) 2014-04-14 2014-12-04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559318B1 (ko)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621462B1 (ko) 2015-08-28 2016-05-16 박정수 크리센트를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KR101865233B1 (ko) 2010-04-28 2018-06-07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KR102259327B1 (ko) * 2020-07-16 2021-06-01 김정호 창호결로방지용 슬림형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33B1 (ko) 2010-04-28 2018-06-07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KR20140055555A (ko) * 2012-10-31 2014-05-09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KR101468686B1 (ko) 2014-04-14 2014-12-04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559318B1 (ko)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621462B1 (ko) 2015-08-28 2016-05-16 박정수 크리센트를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KR102259327B1 (ko) * 2020-07-16 2021-06-01 김정호 창호결로방지용 슬림형 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261A (ko) 2023-04-19
KR20230052262A (ko)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21457C1 (ru) Стеновой элемент для окон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RU2424637C2 (ru)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имеющая средство тепловыделения
US20140020851A1 (en) Insulated glass blind assembly
JP2005194864A (ja) 熱線が具備された複層ガラス窓戸
JP7146602B2 (ja) 太陽電池ブラインド
JP2009541622A (ja) 光電池及び圧力同等化システムを有する断熱窓
KR102517956B1 (ko)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527054B1 (ko)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1269668B1 (ko) 창틀 방풍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창틀
JP6603515B2 (ja) オーバーヘッドドア
KR101861485B1 (ko) 단창 및 이중창 자재 겸용 고단열 미서기창
KR102628305B1 (ko)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제어방법
JP2007092405A (ja) 二重窓の防露構造
KR101549416B1 (ko) 태양광 냉난방 장치
KR100538761B1 (ko) 2중 열교차단재를 이용한 단열창호
KR102538021B1 (ko)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JP2008014113A (ja) 室内用二重窓
US10156374B2 (en) Paned windows and doors in which there is a plurality of peltier cells
CN211038433U (zh) 一种提升推拉门扇勾梃上封堵密封装置
US5551196A (en) Window assembly having dead air spaces formed by non conductive members
JP2010086975A (ja) ソーラーパネル
CN214886623U (zh) 一种具有隔热性的平开窗结构
CN214957899U (zh) 一种微机型电力系统保护装置
KR102642695B1 (ko) 열저장매체가 배치된 커튼월
CN111963016A (zh) 具有隔热效果的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