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021B1 -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 Google Patents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021B1
KR102538021B1 KR1020220076424A KR20220076424A KR102538021B1 KR 102538021 B1 KR102538021 B1 KR 102538021B1 KR 1020220076424 A KR1020220076424 A KR 1020220076424A KR 20220076424 A KR20220076424 A KR 20220076424A KR 102538021 B1 KR102538021 B1 KR 10253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osed
gap
heat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22007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021B1/ko
Priority to KR1020230067046A priority patent/KR102654300B1/ko
Priority to KR1020230067045A priority patent/KR102654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 G05D23/2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thermocou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2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제 1 레일(2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드도어(101);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제 2 레일(26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는 히트펌프장치(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내외의 상하 온도를 감지하고, 상하 온도차가 벌어질 경우, 아우터프레임에 배치된 히트펌프장치를 작동시켜 실내의 상하 온도차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Sliding window that can minimize dew formation}
본 발명은 미서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능동적으로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및 업무용 건물이 고급화되면서 이에 따라 창호 시스템도 다양한 방식으로 기밀, 단열 및 방음 효과가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창호는 창과 문을 말하는 것으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켜 바람을 막으면서 채광이 실내로 들게 하거나 실내의 환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프레임을 이루는 창틀(또는 문틀)과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는 창짝(또는 문짝)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창호는 여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별된다. 또한 하나의 창틀(또는 문틀)에 설치되는 창짝(또는 문짝)의 숫자에 따라 단창, 이중창, 삼중창으로 구별되기도 하고, 또한 단창에 끼워지는 유리는 개수에 따라 단판 유리, 2개의 단판 유리를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복층유리, 3개의 단판 유리를 각각 이격시키고 그 사이 공간부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공간층을 형성하여 단열 및 방음 성능을 높인 3중(또는 3복층) 유리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분류가 존재한다.
또한 창틀(문틀)과 창짝(문짝)을 구성하는 재질은 종래에는 목재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알루미늄과 합성수지재인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이하 '합성수지'라함) 재질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은 목재와 같은 부패, 변형이나 철과 같은 산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통 베란다 등에 시공된다. 다만, 알루미늄은 높은 열전도성 때문에 단열효과가 떨어지고, 열 변형에 의해 장기간 사용시 조립부위에 유격이 발생되어 방음 및 단열효과가 떨어진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합성수지는 단열효과가 알루미늄에 비해 뛰어나서 대부분의 경우 거실과 베란다의 경계 부위에 시공되고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과 합성수지 재질의 창호 시공 부위는 상기 설명처럼 꼭 알루미늄은 베란다에 합성수지는 베란다와 거실의 경계에 항시 시공된다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창호 중에서 미서기창은 옆으로 밀어서 열고 닫는 창이고, 한 짝의 창을 열면 다른 창 짝에 겹쳐져서 반만 열리는 창호를 의미하며, 우리 주위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창문이다.
미서기창은 앞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여는 여닫이 창과는 다르게 주위에세 쉽게 볼 수 있다.
좁은 공강에서도 시공이 가능하여 공간활용능력이 매우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미서기 창호는 두짝의 문의 시공하고, 창의 사이즈가 크거나 길어서 3짝으로 시공을 한다면 1/3만 열릴 수도 있다.
겨울에는 외부와 큰 기온차를 형성하고, 큰 온도차로 인해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슬이 맺히는 결로는 창호의 제작불량 또는 시공불량으로 발생될 수 있고, 구조적 불량이 없더라도 외부와의 기온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거주자에게 큰 불편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86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93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14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5233호
본 발명은 결로를 능동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2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제 1 레일(2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드도어(101);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제 2 레일(26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는 히트펌프장치(600)를 포함하는 미서기창을 제공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은, 지면측에 배치되는 바텀프레임(210); 상기 바텀프레임(210)과 대향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탑프레임(220);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230); 및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2 사이드프레임(240);을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장치(600)가 상기 바텀프레임(210) 또는 탑프레임(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텀프레임(21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바텀프레임(211);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프레임(212);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텀갭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은,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패널레일(211b);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에서 제 2 바텀프레임(212)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결합부(211c);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212)은,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 상기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와 연결되고,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2 바텀프레임바디(212b); 상기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에서 제 1 바텀프레임(211)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 바텀결합부(212c); 상기 제 2-2 바텀프레임바디(212b)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모헤어레일(212d);을 포함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갭바디(350); 상기 바텀갭바디(350)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바텀결합부(211c)와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끼움부(310); 상기 바텀갭바디(350)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바텀결합부(212c)와 끼움결합되는 제 2 바텀끼움부(320); 상기 바텀갭바디(350)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및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월(33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에 배치되어 열을 저장하는 제 1 열저장매체(560); 상기 제 2 바텀프레임(212)에 배치되어 열을 저장하는 제 2 열저장매체(5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장치(600)는, 압축기(61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 1 열교환튜브(62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 2 열교환튜브(630);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 또는 제 2 열교환튜브(630) 중 어느 하나로 냉매를 선택하여 유동시키는 사방밸브(640);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1 전자팽창밸브(650);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2 전자팽창밸브(660); 상기 압축기(610)의 입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610)로 유동되는 냉매에서 액체냉매를 걸러주는 어큐뮬레이터튜브(670);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실내외의 상하 온도를 감지하고, 상하 온도차가 벌어질 경우, 아우터프레임에 배치된 히트펌프장치를 작동시켜 실내의 상하 온도차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실외 및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에 따른 결로 생성조건을 판단하며, 프레임에 배치된 열전모듈을 통해 결로를 능동적으로 제거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결로의 생성 전에 실내측 프레임과 실외측 프레임의 온도차를 능동적으로 축소시킴으로써, 결로를 지연 또는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열전모듈에서 생성된 발열 및 냉열을 각각의 열저장매체에 저장하여 전도를 통해 프레임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낮에 태양광을 통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를 통해 열전모듈을 가동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없이 자체적으로 결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열전모듈의 작동에 의해서 실내외의 온도차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히트펌프장치를 통해 온도차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열교환튜브가 갭프레임 내부에 은닉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냉매의 유로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미서기창의 두께 및 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바텀프레임이 도시된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탑프레임이 도시된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바텀갭프레임에 설치된 열전모듈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열저장매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탑갭프레임에 설치된 탑열전모듈이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열저장매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탑갭프레임에 설치된 탑열전모듈이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트펌프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은, 구조물에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200)과,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제 1 레일(2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드도어(101)와,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제 2 레일(26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 슬라이드도어(102)와,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또는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을 제공받아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시킨 열을 통해 아우터프레임(200),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또는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해소시키는 열전모듈(500)과,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로 응축냉매 및 증발냉매를 순환시키는 히트펌프장치(600)를 포함한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인가된 전원을 통해 일측이 발열되고, 타측이 냉각됨으로써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아우터프레임(200),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또는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적극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장치(600)는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서 냉매를 히트펌프사이클로 순환시켜 응축 및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의 실내 측 및 실외 측의 온도차를 적극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손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또는 제 2 슬라이드도어(102)에 이슬맺힘이 발생될 경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전모듈(500)을 통해 이슬맺힘을 제거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미서기창의 특성 상,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및 제 2 슬라이드도어(102)는 겹쳐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및 제 2 슬라이드도어(102)는 각각의 레일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은, 지면측에 배치되는 바텀프레임(210)과, 상기 바텀프레임(210)과 대향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탑프레임(220)과,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230)과,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2 사이드프레임(240)을 포함한다.
상기 바텀프레임(210), 탑프레임(220), 제 1 사이드프레임(230) 및 제 2 사이드프레임(240) 사이에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및 제 2 슬라이드도어(10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및 제 2 슬라이드도어(102)는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또는 제 2 슬라이드도어(10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바텀프레임(210)에 지지되며, 상기 바텀프레임(210) 또는 탑프레임(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은,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태양광패널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프레임(21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바텀프레임(211)과,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프레임(212)과,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텀갭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이 실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212)이 실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은,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태양광패널장치(400)가 거치되는 패널레일(211b)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에서 제 2 바텀프레임(212)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결합부(211c)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텀결합부(211c)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패널레일(211b)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패널레일(211b)은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의 실외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다.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에 상기 제 1 레일(250)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레일(250)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제 1-1 레일바디(251)와, 상기 제 1-1 레일바디(25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의 롤러(150)를 지지하는 제 1-2 레일바디(252)와, 상기 제 1-2 레일바디(252)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 1-3 레일바디(25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레일(250)은 패널레일(211b) 및 제 1 바텀결합부(211c)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레일(250)의 제 1-2 레일바디(252)가 패널레일(211b)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제 1-2 레일바디(252)는 상기 제 1-1 레일바디(251)의 상단에서 실외측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 1-3 레일바디(253)는 상기 제 1-1 레일바디(251) 보다 실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1 레일바디(251) 및 제 1-3 레일바디(253)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3 레일바디(253)의 하단이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의 상측면과 이격된다. 상기 제 1 레일(250)은 외팔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 또는 하중에 대해 어느 정도 휨변형되면서 충격 또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3 레일바디(253)가 상기 제 1-1 레일바디(251) 보다 실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휨변형 시 제 1 슬라이드도어(101)가 제 2 슬라이드도어(102)와 접촉 또는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레일(250)은 태양광패널장치(400) 측으로 휨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프레임(212)은,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와, 상기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와 연결되고,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2 바텀프레임바디(212b)와, 상기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에서 제 1 바텀프레임(211)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 바텀결합부(212c)와, 상기 제 2-2 바텀프레임바디(212b)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모헤어레일(212d)을 포함한다.
상기 바텀프레임(210)은 상기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 및 제 2-2 바텀프레임바디(212b) 사이에 끼워지는 바텀열차단부재(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열차단부재(214)는 상기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 및 제 2-2 바텀프레임바디(212b)의 높이 내에 배치된다. 상기 바텀열차단부재(214)는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에서 제 2-2 바텀프레임바디(212b) 측으로 열이 이동되는 것을 억제 또는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프레임(212)에 상기 제 2 레일(260)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레일(260)은 상기 바텀열차단부재(214) 보다 실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열차단부재(214)가 외기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2 레일(260)은, 상기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제 2-1 레일바디(261)와, 상기 제 2-1 레일바디(261)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드도어(102)의 롤러(160)를 지지하는 제 2-2 레일바디(262)와, 상기 제 2-2 레일바디(262)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 2-3 레일바디(26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2 레일(262) 및 모헤어레일(212d)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바텀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 사이를 밀폐시킨다.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갭바디(350)와, 상기 바텀갭바디(350)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바텀결합부(211c)와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끼움부(310)와, 상기 바텀갭바디(350)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바텀결합부(212c)와 끼움결합되는 제 2 바텀끼움부(320)와, 상기 바텀갭바디(350)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및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월(330)을 포함한다.
상기 바텀갭바디(35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2개의 격벽에 의해 3개의 빈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바텀갭바디(350)에서 실외측으로 상기 제 1 바텀끼움부(3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실내측으로 상기 제 2 바텀끼움부(3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바텀끼움부(310) 및 제 2 바텀끼움부(320)의 중간에 상기 바텀월(330)이 배치된다.
상기 바텀월(330)은, 상기 바텀갭바디(350)의 상측면에서 수직방향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바텀월바디(332)와, 상기 바텀월바디(332) 내부에 형성된 월공간(331)과, 상기 바텀월바디(332)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더 돌출된 모헤어설치벽(333)과, 상기 모헤어설치벽(333)의 일측면에서 타측면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모헤어설치홈(334)과, 상기 모헤어설치벽(333)의 타측면에서 일측면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모헤어설치홈(335)을 포함한다.
제 1 모헤어설치홈(334) 및 제 2 모헤어설치홈(335)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모헤어설치홈(334)은 제 1 슬라이딩도어(101)와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 2 모헤어설치홈(335)은 제 2 슬라이딩도어(102)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바텀갭바디(35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갭바디격벽(351) 및 제 2 갭바디격벽(352)과, 상기 제 1 갭바디격벽(351) 및 제 2 갭바디격벽(352)에 의해 형성된 제 1 갭공간(353), 제 2 갭공간(354) 및 제 3 갭공간(355)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갭공간(353), 제 2 갭공간(354) 및 제 3 갭공간(355)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갭공간(353)이 제 1 바텀끼움부(310)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갭공간(354)이 제 2 바텀끼움부(320)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갭공간(353) 및 제 2 갭공간(354) 사이에 상기 제 3 갭공간(355)이 배치된다.
상기 제 3 갭공간(355)의 폭 내에 상기 바텀월(330)이 배치된다.
상기 바텀월바디(332)를 구성하는 좌측 측벽을 제 1 측벽(332a) 및 제 2 측벽(332b)이라 하고, 제 1 측벽(332a) 및 제 2 측벽(332b)이 상기 제 1 갭바디격벽(351) 및 제 2 갭바디격벽(35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갭공간(351)의 하측에 상기 제 3 갭공간(355)이 배치된다.
상기 바텀월(330)에 가해지는 하중은 상기 제 3 갭공간(355), 제 1 갭바디격벽(351) 및 제 2 갭바디격벽(352)에 의해 흡수 또는 완충될 수 있다.
상기 월공간(331)에 상기 열전모듈(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한 쪽면에서 발열되고 반대쪽 면에서 흡열을 형성하는 반도체이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열전소자(550)와, 상기 열전소자(55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 1 방열핀(510)과, 상기 열전소자(55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제 2 방열핀(520)을 포함한다.
상기 열전소자는 크게 전기저항의 온도 변화를 이용한 소자인 서미스터, 온도 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인 제베크효과를 이용한 소자, 전류에 의해 열의 흡수(또는 발생)가 생기는 현상인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소자인 펠티에소자 등이 있다.
서미스터는 온도에 의해 전기저항이 크게 변화하는 일종의 반도체소자로서, 전기저항이 온도의 상승에 의해 감소되는 NTC 서미스터(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온도 상승에 의해 저항이 증가하는 정온도계수 서미스터(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등을 사용한다.
서미스터는 몰리브데넘·니켈·코발트·철 등 산화물을 복수 성분으로 배합하여 이것을 소결해서 만들며, 회로의 안정화와 열·전력·빛 검출 등에 사용한다.
펠티에 효과는 2종류의 금속 끝을 접속시켜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2종류의 금속 대신 전기전도 방식이 다른 비스무트·텔루륨 등 반도체를 사용하면, 효율성 높은 흡열·발열 작용을 하는 펠티에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전류 방향에 따라 흡열·발열의 전환이 가능하고, 전류량에 따라 흡열·발열량이 조절되므로, 용량이 적은 냉동기 또는 상온 부근의 정밀한 항온조(恒溫槽) 제작에 응용한다.
상기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열전소자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열전소자(550)가 상기 바텀월(330)의 내부의 월공간(331)에 배치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차단할 수 있고,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할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방열핀(510)이 상기 제 1 측벽(332a)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레일(250)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방열핀(520)이 상기 제 2 측벽(332b)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레일(260)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방열핀(510)이 상기 제 1 측벽(332a)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 2 방열핀(520)이 상기 제 2 측벽(332b)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슬라이딩도어의 작동에 의한 충격에 대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열핀(510)에서 흡열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 2 방열핀(520)에 발열이 발생되고, 상기 제 1 방열핀(510)에서 발열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 2 방열핀(520)에 흡열이 발생된다.
상기 제 1 레일(250) 및 제 1 측벽(332a)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저장하는 제 1 열저장매체(560)와, 상기 제 2 레일(260) 및 제 2 측벽(332b) 사이에 배치되어 열을 저장하는 제 2 열저장매체(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는 상기 제 1 방열핀(510)과 결합되어 열전도를 통해 열을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제 2 열저장매체(570)는 상기 제 2 방열핀(520)과 결합되어 열전도를 통해 열을 전달받아 저장한다.
제 1 열저장매체(560) 및 제 2 열저장매체(570)는 바텀프레임(210) 보다 비열이 큰 재질이다.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가 제 1-1 레일바디(251) 및 제 1 측벽(332a)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70)가 제 2-1 레일바디(261) 및 제 2 측벽(332b)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에 상기 제 1 방열핀(51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1 핀홈(56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저장매체(570)에 상기 제 2 방열핀(520)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2 핀홈(57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핀홈(561)은 실내측 및 하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상기 제 2 핀홈(571)은 실외측 및 하측이 개방된 형태이다.
상기 제 1 핀홈에 제 1 방열핀(510)이 조립되면,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가 상기 바텀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핀홈에 상기 제 2 방열핀(520)이 조립될 경우, 상기 제 2 열저장매체(570)가 상기 바텀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 내부에 배치된 제 1 배터리(410)와, 상기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 내부에 배치된 제 2 배터리(420)와, 상기 제 2-2 바텀프레임바디(212b) 내부에 배치된 제 3 배터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광패널장치(400)에서 생산된 전기가 상기 제 1 배터리(410), 제 2 배터리(420) 및 제 3 배터리(430)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배터리(410), 제 2 배터리(420) 및 제 3 배터리(430)의 전원을 통해 상기 열전모듈(500)이 작동될 수 있다.
태양열이 공급되는 낮에는 미서기창 밖와 안의 온도차가 적기 때문에 결로의 발생양 및 빈도가 낮다. 태양열이 제공되지 않는 밤에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가 크게 형성되고, 온도가 높은 실내측에서 결로가 발생될 수 있다.
실내 측 및 실외 측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모헤어레일(212d)의 내측에 제 1 실내온도센서(601)가 배치되고, 패널레일(211b)의 내측에 제 1 실외온도센서(602)가 배치된다.
상기 열전모듈(500)은 상기 제 1 실외온도센서(602) 및 제 1 실내온도센서(601)의 온도차가 기준값 이상일 때, 온도편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500)은 결로가 주로 발생되는 겨울철은 물론 여름철에도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터리(410), 제 2 배터리(420) 및 제 3 배터리(430)에 낮에 생산된 전기가 저장되고, 저장된 전기를 통해 온도차가 크게 형성되는 밤에 상기 열전모듈(500)을 작동시켜 실내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은 열전모듈(500)을 작동시킬 때, 별도의 외부전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료의 추가부담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배터리(410), 제 2 배터리(420) 및 제 3 배터리(430)가 바텀프레이(210) 내부에 은닉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열전모듈(500)의 작동 시 제 1 배터리(410), 제 2 배터리(420) 및 제 3 배터리(430)에서도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발생된 열을 통해 바텀프레임(210)를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패널장치(400)는 상기 패널레일(211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패널장치(400)는, 바텀프레임(210)의 패널레일(211b)에 거치되는 패널로어프레임(440)과, 탑프레임(220)의 패널레일(221b)에 거치되는 패널어퍼프레임(450)과, 상기 패널로어프레임(440) 및 패널어퍼프레임(450)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460)과, 상기 패널로어프레임(440)에 배치되는 패널롤러(470)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패널장치(400)는 상기 패널롤러(470)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창을 개방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슬라이딩도어(101) 및 제 2 슬라이딩도어(102) 겹쳐지게 배치할 수 있다.
패널로어프레임(440)이 하측으로 개구되고, 상기 패널롤러(470)가 상기 패널로어프레임(440)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패널레일(211b)이 상기 패널로어프레임(4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패널롤러(47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탑프레임(220)은 상기 바텀프레임(210)의 구조와 유사하다.
상기 탑프레임(22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탑프레임(221)과,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탑프레임(222)과, 상기 제 1 탑프레임(221) 및 제 2 탑프레임(222)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탑프레임(221) 및 제 2 탑프레임(222)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탑갭프레임(130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탑프레임(221)은, 제 1 탑프레임바디(221a)와, 상기 제 1 탑프레임바디(221a)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태양광패널장치의 패널어퍼프레임(450)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패널레일(221b)와, 상기 제 1 탑프레임바디(221a)에서 제 2 탑프레임(222)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1 탑결합부(221c)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탑프레임(222)은, 상기 탑갭프레임(1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1 탑프레임바디(222a)와, 상기 제 2-1 탑프레임바디(222a)와 연결되고,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2 탑프레임바디(222b)와, 상기 제 2-1 탑프레임바디(212a)에서 제 1 탑프레임(221)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탑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 탑결합부(222c)와, 상기 제 2-2 탑프레임바디(222b)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모헤어레일(222d)을 포함한다.
상기 탑프레임(220)은 상기 제 2-1 탑프레임바디(222a) 및 제 2-2 탑프레임바디(222b) 사이에 끼워지는 탑열차단부재(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탑프레임(221)에 제 1 탑레일(25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탑프레임(222)에 제 2 탑레일(2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탑레일(250')이 상기 제 1 레일(250)과 상하 대칭이고, 제 2 탑레일(260')이 상기 제 2 레일(260)과 상하 대칭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탑갭프레임(1300)은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상하 대칭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탑갭프레임(1300)은, 상기 제 1 탑프레임(221) 및 제 2 탑프레임(222) 사이에 배치되는 탑갭바디(1350)와, 상기 탑갭바디(1350)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탑결합부(221c)와 끼움결합되는 제 1 탑끼움부(1310)와, 상기 탑갭바디(1350)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탑결합부(222c)와 끼움결합되는 제 2 탑끼움부(1320)와, 상기 탑갭바디(1350)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및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사이에 배치되는 탑월(1330)을 포함한다.
상기 탑갭바디(135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2개의 격벽에 의해 3개의 빈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탑갭바디(1350)에서 실외측으로 상기 제 1 탑끼움부(131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실내측으로 상기 제 2 탑끼움부(13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탑끼움부(1310) 및 제 2 탑끼움부(1320)의 중간에 상기 탑월(1330)이 배치된다.
상기 탑월(1330)의 구조는 상기 바텀월(330)의 구조와 상하 대칭이다.
상기 탑갭바디(1350)의 하측면에서 수직방향 하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탑월바디(1332)와, 상기 탑월바디(1332) 내부에 형성된 탑월공간(1331)과, 상기 탑월바디(1332)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더 돌출된 탑모헤어설치벽(1333)과, 상기 탑모헤어설치벽(1333)의 일측면에서 타측면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탑모헤어설치홈(1334)과, 상기 탑모헤어설치벽(1333)의 타측면에서 일측면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탑모헤어설치홈(1335)을 포함한다.
제 1 탑모헤어설치홈(1334) 및 제 2 탑모헤어설치홈(1335)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되고,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탑갭바디(135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탑갭바디격벽(1351) 및 제 2 탑갭바디격벽(1352)과, 상기 제 1 탑갭바디격벽(1351) 및 제 2 탑갭바디격벽(1352)에 의해 형성된 제 1 탑갭공간(1353), 제 2 탑갭공간(1354) 및 제 3 탑갭공간(1355)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탑갭공간(1353), 제 2 탑갭공간(1354) 및 제 3 탑갭공간(1355)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탑갭공간(1353)이 제 1 탑끼움부(1310)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탑갭공간(1354)이 제 2 탑끼움부(1320)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탑갭공간(1353) 및 제 2 탑갭공간(1354) 사이에 상기 제 3 탑갭공간(1355)이 배치된다.
상기 제 3 탑갭공간(1355)의 폭 내에 상기 탑월(1330)이 배치된다.
상기 탑월공간(1331)에 상기 탑열전모듈(50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탑갭프레임(1300) 내부에 탑열전모듈(501)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탑프레임(221) 및 제 2 탑프레임(222)에도 각각 배터리가 배치되며, 상기 태양광패널장치(400)에서 생성된 전력이 상기 탑프레임(220) 내부의 배터리에도 저장될 수 있다.
열전모듈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탑프레임(220)에 배치된 열전모듈을 탑열전모듈(501)이라 하고, 바텀프레임(210)에 배치된 열전모듈은 바텀열전모듈(500)이라 한다.
상기 모헤어레일(222d)에 제 2 실내온도센서(603)가 배치되고, 상기 패널레일(221b)에 제 2 실외온도센서(604)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실내온도센서(603) 및 제 2 실외온도센서(604)의 온도차를 판단하여 상기 탑전열모듈(501)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탑열전모듈(501)은 상기 탑프레임(220)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의 전원을 통해 작동된다.
미서기창의 상측 및 하측이 온도가 다를 수 있고, 상기 탑열전모듈(501) 및 바텀열전모듈(500)이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트펌프장치(600)는, 압축기(610)와,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 1 열교환튜브(620)와,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 2 열교환튜브(630)와,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 또는 제 2 열교환튜브(630) 중 어느 하나로 냉매를 선택하여 유동시키는 사방밸브(640)와,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1 전자팽창밸브(650)와,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2 전자팽창밸브(660)와, 상기 압축기(610)의 입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610)로 유동되는 냉매에서 액체냉매를 걸러주는 어큐뮬레이터튜브(67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배터리(410)(420)(430)의 전원 또는 외부전원을 통해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610)는 미서기창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는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 1 열교환튜브(620)는 상기 바텀갭바디(35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는 상기 바텀갭바디(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알루미늄과 같이 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는 3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갭공간(353), 제 2 갭공간(354) 및 제 3 갭공간(355)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갭공간(353), 제 2 갭공간(354) 및 제 3 갭공간(355)에 각각의 제 1 열교환튜브(620)가 배치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갭공간(353), 제 2 갭공간(354) 및 제 3 갭공간(355) 자체가 제 1 열교환튜브(620)로서 작동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 내부에서 냉매가 응축 또는 증발될 경우, 냉매의 응축열 또는 증발열에 의해 금속재질로 형성된 바텀갭바디(350)가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 및 제 2 열저장매체(570)를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결로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는 상기 탑갭프레임(1300)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20)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 2 열교환튜브(630)는 상기 탑갭바디(135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는 상기 탑갭바디(1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길게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탑갭프레임(1300)은 알루미늄과 같이 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는 3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탑갭공간(1353), 제 2 탑갭공간(1354) 및 제 3 탑갭공간(1355)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탑갭공간(1353), 제 2 탑갭공간(1354) 및 제 3 탑갭공간(1355)에 각각의 제 2 열교환튜브(630)가 배치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탑갭공간(1353), 제 2 탑갭공간(1354) 및 제 3 탑갭공간(1355) 자체가 제 2 열교환튜브(630)로서 작동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 내부에서 냉매가 증발 또는 응축될 경우, 냉매의 증발열 또는 응축열에 의해 금속재질로 형성된 탑갭바디(1350)가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 1 탑열저장매체(1560) 및 제 2 탑열저장매체(1570)를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결로를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튜브(670)는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2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튜브(670)도 튜브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230)의 하단 근처에 배치된다.
상기 사방밸브(640)는 상기 압축기(610)와 가까운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2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 또는 제 2 열교환튜브(630)로 냉매의 유동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팽창밸브(650)는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가 배치된 바텀갭프레임(30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전자팽창밸브(660)는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가 배치된 탑갭프레임(13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장치(600)는 상기 열전모듈(500)가 작동됨에도 불구하고, 실내외의 온도차가 축소되지 않을 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를 가열하고,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를 냉각시킬 경우,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사방밸브(640)를 통해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로 유동되고,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 내부에서 냉매가 응축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을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 2 전자팽창밸브(660)에서 팽창된 후,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 내부에서 증발되어 상기 탑프레임(22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후 증발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튜브(670)를 거쳐 압축기(610)로 회수되고, 상술한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를 냉각하고,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를 가열시킬 경우,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사방밸브(640)를 통해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로 유동되고,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 내부에서 냉매가 응축되어 상기 탑프레임(220)을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제 1 전자팽창밸브(650)에서 팽창된 후,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 내부에서 증발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후 증발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튜브(670)를 거쳐 압축기(610)로 회수되고, 상술한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장치(600)는 실내의 상하 온도차가 크게 벌어질 경우, 작동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의 제어방법은, 제 1 실내온도센서(601)를 통해 제 1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제 1 실외온도센서(602)를 통해 제 1 실외온도를 감지하며, 제 2 실내온도센서(603)를 통해 제 2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제 2 실외온도센서(604)를 통해 제 2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제 1 실외온도 또는 제 2 실외온도가 제 1 계절온도값(본 실시예에서 섭씨 0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제 1 실내온도 - 제 1 실외온도 > 제 1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2 실내온도 - 제 2 실외온도 > 제 2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50)와, 상기 S4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텀열전모듈만을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S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실내온도 - 제 2 실외온도 < 제 2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70)와, 상기 S7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정지시키는 단계(S80)와, 상기 S7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2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0 단계를 통해 겨울철을 판단한다.
상기 제 1 기준값은 제 1 실내온도에 따른 이슬점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값은 제 2 실내온도에 따른 이슬점온도일 수 있다.
제 2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높이가 제 1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겨울철 대류에 의해 제 2 실내온도가 더 높게 측정될 수 있다.
상기 S30 및 S40 단계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킨다.
즉, 실내온도가 높고 실외온도가 낮기 때문에, 실외측에 배치된 제 1 방열핀(510)에서 열을 방출하고, 실내측에 배치된 제 2 방열핀(520)에서 냉각시킨다.
상기 제 1 방열핀(510)의 발열을 통해 제 1 열저장매체(560)가 가열되고, 제 1 바텀프레임(211)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방열핀(520)의 냉각을 통해 제 2 열저장매체(570)를 냉각시키고, 제 2 바텀프레임(212)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제 1 열저장매체(560) 및 제 2 열저장매체(570)가 프레임과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열전도를 통해 온도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텀갭바디(350)가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을 이격시켜 지지하기 때문에,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 간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서기창의 제어방법은, 상기 S2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실외온도 또는 제 2 실외온도가 제 2 계절온도값(본 실시예에서 섭씨 28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와, 상기 "제 1 실외온도 - 제 1 실내온도 > 제 3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130)와,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 2 실외온도 - 제 2 실내온도 > 제 4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140)와, 상기 S1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150)와, 상기 S14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바텀열전모듈만을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키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 S120 단계는 여름철 실내의 과냉방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여름철은 실외온도가 높고 실내온도가 높기 때문에, S130 단계 또는 S140 단계를 통해 실내의 상하 높이에 따른 온도차를 각각 판단한다.
S130 단계 및 S140 단계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실내의 바닥 및 천장이 모두 과냉방된 것으로 판단하고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작동시켜 실내 및 실외의 온도차를 축소시킨다. (S150)
실내온도가 낮고 실외온도가 높기 때문에, 실외측에 배치된 제 1 방열핀(510)에서 흡열하고, 실내측에 배치된 제 2 방열핀(520)에서 발열시킨다.
상기 제 1 방열핀(510)의 흡열을 통해 제 1 열저장매체(560)가 냉각되고, 제 1 바텀프레임(211)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방열핀(520)의 발열을 통해 제 2 열저장매체(570)를 가열시키고, 제 2 바텀프레임(212)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2 실외온도 - 제 2 실내온도 < 제 4 기준값"를 만족하는 판단하는 단계(S170)와, 상기 S17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탑열전모듈 및 바텀열전모듈을 모두 정지시키는 단계(S180)와, 상기 S17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120 단계로 리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 제 1 슬라이딩도어 102 : 제 2 슬라이딩도어
200 : 아우터프레임 210 : 바텀프레임
220 : 탑프레임 230 : 제 1 사이드프레임
240 : 제 2 사이드프레임 250 : 제 1 레일
260 : 제 2 레일 300 : 바텀갭프레임
400 : 태양광패널장치 500 : 열전모듈
550 : 열전소자 510 : 제 1 방열핀
520 : 제 2 방열핀

Claims (5)

  1. 구조물에 고정되는 아우터프레임(20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제 1 레일(25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드도어(101);
    상기 아우터프레임(2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된 제 2 레일(26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배치되는 히트펌프장치(600); 및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또는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되는 결로를 해소시키는 열전모듈(500);을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은,
    지면측에 배치되는 바텀프레임(210); 상기 바텀프레임(210)과 대향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탑프레임(220);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1 사이드프레임(230); 및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텀프레임(210) 및 탑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제 2 사이드프레임(240);을 포함하고,
    상기 바텀프레임(21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바텀프레임(211);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바텀프레임(212);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텀갭프레임(300);을 포함하고,
    상기 탑프레임(220)은, 실외측에 배치되는 제 1 탑프레임(221)과,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 탑프레임(222)과, 상기 제 1 탑프레임(221) 및 제 2 탑프레임(222)을 이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탑프레임(221) 및 제 2 탑프레임(222)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탑갭프레임(1300)을 포함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 및 탑갭프레임(130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은,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패널레일(211b); 상기 제 1 바텀프레임바디(211a)에서 제 2 바텀프레임(212)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결합부(211c);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텀프레임(212)은,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 상기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와 연결되고, 실내측에 배치되는 제 2-2 바텀프레임바디(212b); 상기 제 2-1 바텀프레임바디(212a)에서 제 1 바텀프레임(211)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2 바텀결합부(212c); 상기 제 2-2 바텀프레임바디(212b)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모헤어레일(212d);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탑프레임(221)은,
    제 1 탑프레임바디(221a)와, 상기 제 1 탑프레임바디(221a)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패널레일(221b)와, 상기 제 1 탑프레임바디(221a)에서 제 2 탑프레임(222)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과 끼움결합되는 제 1 탑결합부(221c)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은,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 및 제 2 바텀프레임(212)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갭바디(350); 상기 바텀갭바디(350)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바텀결합부(211c)와 끼움결합되는 제 1 바텀끼움부(310); 상기 바텀갭바디(350)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바텀결합부(212c)와 끼움결합되는 제 2 바텀끼움부(320); 상기 바텀갭바디(350)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및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사이에 배치되는 바텀월(330);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11)에 배치되어 열을 저장하는 제 1 열저장매체(560); 상기 제 2 바텀프레임(212)에 배치되어 열을 저장하는 제 2 열저장매체(570);를 포함하고,
    상기 탑갭프레임(1300)은, 상기 제 1 탑프레임(221) 및 제 2 탑프레임(222) 사이에 배치되는 탑갭바디(1350)와, 상기 탑갭바디(1350)에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탑결합부(221c)와 끼움결합되는 제 1 탑끼움부(1310)와, 상기 탑갭바디(1350)에서 실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탑프레임(222)과 끼움결합되는 제 2 탑끼움부(1320)와, 상기 탑갭바디(1350)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도어(101) 및 제 2 슬라이드도어(102) 사이에 배치되는 탑월(1330)을 포함하고,
    상기 히트펌프장치(600)는,
    압축기(61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 1 열교환튜브(620); 상기 아우터프레임(20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 2 열교환튜브(630); 상기 압축기(6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 또는 제 2 열교환튜브(630) 중 어느 하나로 냉매를 선택하여 유동시키는 사방밸브(640);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1 전자팽창밸브(650);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제 2 전자팽창밸브(660); 상기 압축기(610)의 입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610)로 유동되는 냉매에서 액체냉매를 걸러주는 어큐뮬레이터튜브(67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가 상기 바텀갭바디(35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갭바디(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가 상기 탑갭바디(135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갭바디(1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자팽창밸브(650)가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가 배치된 상기 바텀갭프레임(30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전자팽창밸브(660)는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가 배치된 상기 탑갭프레임(1300)에 배치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튜브(670)가 상기 제 1 사이드프레임(2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열교환튜브(620) 내부에서 냉매가 응축 또는 증발될 경우, 냉매의 응축열 또는 증발열에 의해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바텀갭바디(350)가 가열 또는 냉각되어 상기 제 1 열저장매체(560) 및 제 2 열저장매체(570)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고,
    상기 제 2 열교환튜브(630) 내부에서 냉매가 증발 또는 응축될 경우, 냉매의 증발열 또는 응축열에 의해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탑갭바디(1350)가 냉각 또는 가열되어 상기 탑프레임(220)에 배치된 제 1 탑열저장매체(1560) 및 제 2 탑열저장매체(1570)를 가열 또는 냉각되는 미서기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6424A 2022-06-22 2022-06-22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KR10253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424A KR102538021B1 (ko) 2022-06-22 2022-06-22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KR1020230067046A KR102654300B1 (ko) 2022-06-22 2023-05-24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제어방법
KR1020230067045A KR102654298B1 (ko) 2022-06-22 2023-05-24 배터리가 배치된 미서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424A KR102538021B1 (ko) 2022-06-22 2022-06-22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046A Division KR102654300B1 (ko) 2022-06-22 2023-05-24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제어방법
KR1020230067045A Division KR102654298B1 (ko) 2022-06-22 2023-05-24 배터리가 배치된 미서기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021B1 true KR102538021B1 (ko) 2023-05-31

Family

ID=8654270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424A KR102538021B1 (ko) 2022-06-22 2022-06-22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KR1020230067045A KR102654298B1 (ko) 2022-06-22 2023-05-24 배터리가 배치된 미서기창
KR1020230067046A KR102654300B1 (ko) 2022-06-22 2023-05-24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045A KR102654298B1 (ko) 2022-06-22 2023-05-24 배터리가 배치된 미서기창
KR1020230067046A KR102654300B1 (ko) 2022-06-22 2023-05-24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3802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86B1 (ko) 2014-04-14 2014-12-04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학교용 미서기 창
KR101559318B1 (ko)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20150134676A (ko) * 2014-05-22 201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
KR101621462B1 (ko) 2015-08-28 2016-05-16 박정수 크리센트를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KR101865233B1 (ko) 2010-04-28 2018-06-07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KR102088042B1 (ko) * 2019-07-19 2020-05-29 주식회사 이에스창호 창호에 구비된 가동틀과 고정틀의 단열구조
KR102291170B1 (ko) * 2021-04-01 2021-08-20 (주)성원엠엔디 금속창호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233B1 (ko) 2010-04-28 2018-06-07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단열 구조 부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도어 및 윈도우
KR101468686B1 (ko) 2014-04-14 2014-12-04 주식회사 피엔에스더존샤시 단열과 기밀 성능을 높인 슬림형 학교용 미서기 창
KR20150134676A (ko) * 2014-05-22 201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
KR101559318B1 (ko) 2015-08-07 2015-10-13 전진우 풍지 구조를 갖는 레일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창
KR101621462B1 (ko) 2015-08-28 2016-05-16 박정수 크리센트를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KR102088042B1 (ko) * 2019-07-19 2020-05-29 주식회사 이에스창호 창호에 구비된 가동틀과 고정틀의 단열구조
KR102291170B1 (ko) * 2021-04-01 2021-08-20 (주)성원엠엔디 금속창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70A (ko) 2024-01-02
KR102654298B1 (ko) 2024-04-04
KR102654300B1 (ko) 2024-04-04
KR20240000371A (ko)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3404B2 (en) Suppressing heat flux in insulating glass structures
KR101776481B1 (ko)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창호시스템
US11920723B2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Jafari et al. Passive solar cooling of single-storey buildings by an adsorption chiller system combined with a solar chimney
KR102447245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20153561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628305B1 (ko)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제어방법
US20160076827A1 (en) Variable thermal insulation
KR102538021B1 (ko)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서기창
JP4939694B2 (ja) 断熱と伝熱を行なう壁構造体
JP2014137166A (ja) 輻射式空気調和機
JPH0791796A (ja) 電子冷凍式冷蔵庫
KR102517956B1 (ko)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200450905Y1 (ko) 냉동 창고용 도어 장치
KR102527054B1 (ko)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522563B1 (ko)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커튼월
KR20150004162U (ko) 단열 창호프레임
US11953260B2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EP2879552B1 (en) Refrigerated sales cabinet
US20220136737A1 (en) Insulating roof with radiant heating and cooling
KR20170099825A (ko) 폴딩도어의 단열구조
JP4894232B2 (ja) 移動建材
JP2005180797A (ja) 乾燥庫
CN208122683U (zh) 一种铝合金推拉窗
JP2023031892A (ja) 開口部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