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555A -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 Google Patents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555A
KR20140055555A KR1020120122596A KR20120122596A KR20140055555A KR 20140055555 A KR20140055555 A KR 20140055555A KR 1020120122596 A KR1020120122596 A KR 1020120122596A KR 20120122596 A KR20120122596 A KR 20120122596A KR 20140055555 A KR20140055555 A KR 20140055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electrode
insect
dust collec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석
이한나
Original Assignee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이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이한나 filed Critical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555A/ko
Publication of KR2014005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의 먼지를 전리시키는 전리부; 및 상기 전리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방충창에 관한 것으로, 모기와 같은 작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황사 먼지나 꽃가루, 도시의 미세 먼지 등을 집진하여 실내에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An anti-insect Window equipped a dust collectorfunction}
본 발명은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창문에는 모기, 벌레 등의 해충이 실내 공간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의 외부에 방충창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충창은 방충망을 프레임에 고정시켜 제작되며, 고정형 또는 슬라이드 개폐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충창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방충창(1)은 방충망(2) 및 상기 방충망을 고정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상·하부 가로 프레임(11, 12)과 세로 프레임(13)이 맞물려서 통상 사각 형상을 이룬다.
상기 방충망은 통상, 모기와 같은 작은 해충이 들어가지 못할 정도 크기의 개공 크기를 가진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공의 크기로는 모기와 같은 작은 해충의 침입은 막을 수 있으나, 황사 먼지나 꽃가루, 도시의 미세 먼지 등을 차단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황사 먼지나 꽃가루, 도시의 미세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기 중의 먼지를 전리시키는 전리부; 및 상기 전리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방충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리부는 접지전극을 이루는 방전대응극 및 상기 방전대응극을 사이에 두고, 전압을 인가받아 +극을 갖는 방전극을 포함하는 방충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진부는 한쌍의 접지전극 및 상기 접지전극을 사이에 두고, 전압을 인가받아 +극을 갖는 집진 메쉬를 포함하는 방충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진 메쉬는 일정 크기의 개공을 가진 금속 재질의 방충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은 모기와 같은 작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황사 먼지나 꽃가루, 도시의 미세 먼지 등을 집진하여 실내에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승압기에 의해, 상기 방충창에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집진 메쉬를 통과할 수 있는 매우 작은 크기의 해충이라 하더라도, 상기 고전압에 의해 해충을 박멸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충창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의 집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10)은 공기 중의 먼지를 전리시키는 전리부(200) 및 상기 전리부(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1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전리부(200)는 상기 집진부의 집진부 케이스와 고정될 수 있는 전리부 케이스(201)를 포함하며, 상기 전리부 케이스(201)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접지전극을 이루는 방전대응극(220) 및 상기 전리부 케이스(201)에 방전대응극(220)을 사이에 두고 지지대(210)에 의해 지지되어 전압을 인가받아 +극을 갖는 방전극(2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전대응극 및 상기 방전극은 텅스텐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방전대응극과 방전극의 재질 및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집진부(100)는 상기 전리부 케이스와 고정될 수 있는 집진부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부 케이스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한쌍의 접지전극(104) 및 상기 집진부 케이스(101, 102, 103)에 의해 고정되고, 전압을 인가받아 +극을 갖는 집진 메쉬(110)를 포함한다.
이때, 고전압을 상기 전리부의 방전극(211)에 인가하면, 방전극(211)과 방전대응극(220) 사이에 형성된 높은 전위차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흐르는 공기 중의 먼지를 전리시킨다. 이로 인해, 전리된 먼지 입자는 집진 메쉬(110)의 표면에 달라붙어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충창은 방충망 및 상기 방충망을 고정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상/하부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맞물려서 통상 사각 형상을 이룬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집진부(100)는 통상, 모기와 같은 작은 해충이 들어가지 못할 정도 크기의 개공 크기를 가진 금속 재질의 방충망(110)을 포함하며, 상기 방충망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하부 가로 프레임(102, 104)과 세로 프레임(101)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방충창을 집진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102) 및 하부프레임(104)에 각각 접지전극(104)을 배치하고, 상기 금속 재질의 방충망(110)을 전리된 먼지 입자가 집진될 수 있는 집진 메쉬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의 집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은 공기 중의 먼지를 전리시키는 전리부(200) 및 상기 전리부(2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전리부(200)는 접지전극을 이루는 방전대응극(220) 및 상기 방전대응극(220)을 사이에 두고, 전압을 인가받아 +극을 갖는 방전극(2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집진부(100)는 한쌍의 접지전극(104) 및 상기 접지전극(104)을 사이에 두고, 전압을 인가받아 +극을 갖는 집진 메쉬(110)를 포함한다.
먼저, 오염된 공기가 가스 흐름의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전리부(2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전리부에 전원(230)이 인가되면, 방전극(211)에서 발생한 코로나는 유입된 공기 중의 중성 기체에 전자를 붙여 이온을 만들고, 상기 이온은 먼지에 붙어 전기적으로 음전하를 가진 대전체로 바뀌게 된다.
또한, 상기 전리부(200)를 통과한 오염된 공기는 계속해서 집진부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집진부(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적으로 음전하를 가진 대전체로 바뀐 먼지는 상기 +극을 갖는 집진 메쉬(110)로 이동되어 포집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집진부를 통과한 공기는 먼지 등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 상태가 되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은 모기와 같은 작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황사 먼지나 꽃가루, 도시의 미세 먼지 등을 집진하여 실내에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충창, 즉, 전리부 및 집진부에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메인전원 공급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전원 공급부(330)는 예를 들어, 태양전지(320)에서 생산되는 전원을 충전한다.
이러한 메인전원 공급부(330)는 충전이 자유로우면서 대용량의 전원을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원승압기(340)는, 메인전원 공급부(330)로부터 공급되는 저압 전원을 수천V의 고압 전원으로 승압하여, 전리부 및 집진부(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압을 승압할 수 있는 증폭기는 트랜스, 콘덴서, 직류를 교류로 바꾸기 위한 발진회로 및 각종 다양한 전자부품들로 이루어지며, 이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서브전원 공급부(360)는, 메인전원 공급부(330)에 충분한 양의 전원이 충전되지 않을 경우 전원승압기(34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서브전원 공급부(360)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1회용 배터리나, 충전가능한 충전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마가 있는 계절이나 수일동안 날씨가 흐려서 태양전지가 충분한 전원을 생산하지 못할 경우 메인전원 공급부(330)에는 충분한 전원이 충전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리부 및 집진부(310)는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서브전원 공급부(360)는 모자라는 전원을 메인전원 공급부(330)로 공급함으로써, 전리부 및 집진부(31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센서부(370)는 수광되는 빛의 양에 따라 주위가 밤이 되었음을 검지하고, 이경우 대응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380)로 전송한다.
상기 센서부(70)는 별도의 조작없이도 밤이 되었을 때, 또는 낮이 되었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이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기능을 포함하는 방충창은 모기와 같은 작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황사 먼지나 꽃가루, 도시의 미세 먼지 등을 집진하여 실내에 깨끗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승압기에 의해, 상기 방충창에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집진 메쉬를 통과할 수 있는 매우 작은 크기의 해충이라 하더라도, 상기 고전압에 의해 해충을 박멸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방충창 100 : 집진부
101, 102, 103 : 집진부 케이스 104 : 접지전극
110 : 집진 메쉬 200 : 전리부
201 : 전리부 케이스 220 : 방전대응극
211 : 방전극 210 : 지지대

Claims (4)

  1. 공기 중의 먼지를 전리시키는 전리부; 및
    상기 전리부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리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방충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는 접지전극을 이루는 방전대응극 및 상기 방전대응극을 사이에 두고, 전압을 인가받아 +극을 갖는 방전극을 포함하는 방충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한쌍의 접지전극 및 상기 접지전극을 사이에 두고, 전압을 인가받아 +극을 갖는 집진 메쉬를 포함하는 방충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메쉬는 일정 크기의 개공을 가진 금속 재질의 방충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창.
KR1020120122596A 2012-10-31 2012-10-31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KR20140055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596A KR20140055555A (ko) 2012-10-31 2012-10-31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596A KR20140055555A (ko) 2012-10-31 2012-10-31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555A true KR20140055555A (ko) 2014-05-09

Family

ID=5088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596A KR20140055555A (ko) 2012-10-31 2012-10-31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555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929A (ko) * 2014-09-24 2016-04-01 윤지훈 창문설치용 필터
KR20160063197A (ko) * 2014-11-26 2016-06-03 황순운 항미세먼지창
KR20190024227A (ko) 2017-08-31 2019-03-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기를 이용한 습식 미세먼지 제거 장치
CN109464108A (zh) * 2019-01-02 2019-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护机构及设有其的洗碗机
KR20190140580A (ko)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유비테크 방충망과 일체화된 집진망을 갖는 집진 방충망
KR102069452B1 (ko) * 2018-11-23 2020-02-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이중외피의 베네시안 블라인드형 전기집진 시스템
CN111236822A (zh) * 2018-11-19 2020-06-05 涂玉华 一种防堵塞纱窗及其使用方法
KR20210079158A (ko) * 2019-12-19 2021-06-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기장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필터
KR102517956B1 (ko) * 2022-07-11 2023-04-06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527054B1 (ko) * 2023-01-05 2023-05-03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5929A (ko) * 2014-09-24 2016-04-01 윤지훈 창문설치용 필터
KR20160063197A (ko) * 2014-11-26 2016-06-03 황순운 항미세먼지창
KR20190024227A (ko) 2017-08-31 2019-03-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기를 이용한 습식 미세먼지 제거 장치
KR20190140580A (ko)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유비테크 방충망과 일체화된 집진망을 갖는 집진 방충망
CN111236822A (zh) * 2018-11-19 2020-06-05 涂玉华 一种防堵塞纱窗及其使用方法
KR102069452B1 (ko) * 2018-11-23 2020-02-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이중외피의 베네시안 블라인드형 전기집진 시스템
CN109464108A (zh) * 2019-01-02 2019-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护机构及设有其的洗碗机
KR20210079158A (ko) * 2019-12-19 2021-06-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기장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필터
KR102517956B1 (ko) * 2022-07-11 2023-04-06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KR102527054B1 (ko) * 2023-01-05 2023-05-03 주식회사 매일컴퍼니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5555A (ko)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US7258729B1 (en) Electronic bi-polar electrostatic air cleaner
US6955708B1 (en) Air-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s
KR102053347B1 (ko) 정전기를 이용한 습식 미세먼지 제거 장치
CN104110729B (zh) 空气净化装置及具有该装置的空调器
US20100263530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modular electrically stimulated air filter apparatus
KR101506324B1 (ko) 레인지 후드형 플라즈마 전기 집진 필터 장치
CN102164677A (zh) 用于提高空气净化效率的设备、系统和方法
US20060278074A1 (en) Electrostatic air purifier with a laterally removable collection grid module
US7658785B2 (en) System with canopy and electrode for air cleaning
KR101868472B1 (ko) 집진효율이 향상된 전기집진기
KR20170017167A (ko) 공기정화용 블라인드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70051893A (ko) 전기식 집진필터
JPH1038361A (ja) 天井吊り下げ照明装置付き空気清浄機
KR101861846B1 (ko) 미세먼지 및 중금속 차단 특성을 갖는 필터 장치
KR101648265B1 (ko) 창문설치용 필터
KR102208166B1 (ko) 미세 먼지 제거 수단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칸막이
JP2003211023A (ja) 集塵エレメント
KR20170031674A (ko)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차단 방충망
KR101602112B1 (ko) 공기 청정기
CN211678243U (zh) 电集尘过滤器
KR102245545B1 (ko) 공기 정화 장치
KR20170006115A (ko) 창문틀용 방충망 구조
KR20220001288U (ko) 전기 방충망
US20070180995A1 (en) Air Cleaning Device 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