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5929A - 창문설치용 필터 - Google Patents

창문설치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5929A
KR20160035929A KR1020140127913A KR20140127913A KR20160035929A KR 20160035929 A KR20160035929 A KR 20160035929A KR 1020140127913 A KR1020140127913 A KR 1020140127913A KR 20140127913 A KR20140127913 A KR 20140127913A KR 20160035929 A KR20160035929 A KR 20160035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indow
filter
housing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265B1 (ko
Inventor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윤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훈 filed Critical 윤지훈
Priority to KR102014012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2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2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igid or slid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에 끼워지는 하우징에 하전된 패널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동시에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창문설치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틀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극성을 띠도록 하전된 패널로 구성하는 창문설치용 필터로서, 상기 패널이 상기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적층 설치되도록 하여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는 창틀에 끼워지는 하우징에 하전된 패널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정전기를 발생시켜 황사 및 미세분진을 필터링할 수 있으며, 조밀하게 적층되는 패널을 통해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널이 사선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을 개별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창틀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창문설치용 필터{FILTER FOR INSTALLATION IN THE WINDOW}
본 발명은 창문설치용 필터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끼워지는 하우징에 하전된 패널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동시에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창문설치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석연료의 과도한 사용에 의해 자동차 또는 산업설비 등에서 배출가스가 다량 발생하고, 도시기반시설의 확충에 의한 분진 등의 발생으로 대기오염은 점점 대표적인 사회문제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상기 배출가스, 분진 등을 포집하기 위하여 기계적 포집방법 및 정전 포집방법 등이 전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기계적 포집방법은 직포, 부직포 등의 섬유상 필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분집포집효율이 약 70% 정도로 비교적 낮고, 또한 분진이 필터의 공극사이에 퇴적되므로 필터의 망목이 폐쇄되고, 그에 따라 압력손실이 증대되는 동시에, 포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정전 포집방법은 고주파 방전을 사용하는 것으로 포집효율은 양호하지만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이 소비되고, 보수관리 및 안전측면에서 위험할 뿐아니라 다량의 오존이 발생될 경우에는 호흡곤란, 두통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가정과 공공시설 등에 주로 설치하는 공기정화기 또한 정전 포집방법의 한 일례로서, 영구정전기가 형성된 시트를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말려진 시트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며 유도 정전기원리에 의해 포집되도록 한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공기정화기는 황사 또는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지만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따라서 판매가격 또한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관련하여 먼지 또는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통풍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방충망(2)을 창틀(1)에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충망(2)은 큰 입자의 분진이나 이물질 또는 해충이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는 효과적이나 미세한 먼지까지 필터링하기가 어렵고 방충망(2)의 틈을 통해 사생활이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5712호 "에어필터겸용 방충망"(2003.02.14.)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에 끼워지는 하우징에 하전된 패널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동시에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창문설치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극성을 띠도록 하전된 패널로 구성하는 창문설치용 필터로서, 상기 패널이 상기 하우징에 일정 간격으로 적층 설치되도록 하여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널은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시간이 연장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 및 상기 돌기의 표면을 절개하여 형성한 절개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창문설치용 필터는 상기 패널을 지지하여 상기 패널의 중앙부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창문설치용 필터는 상기 지지대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창문설치용 필터는 창틀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 하우징이 개별적으로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창틀 또는 이웃하는 하우징과 밀착력이 증가하도록 접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창문설치용 필터는 상기 패널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우천시 상기 패널로 인해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선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는 창틀에 끼워지는 하우징에 하전된 패널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정전기를 발생시켜 황사 및 미세분진을 필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는 조밀하게 적층되는 패널을 통해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는 패널이 사선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는 하우징을 개별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창틀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구성 및 패널이 적층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도 4 에 따른 지지대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구성 및 패널이 적층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는 하우징(100), 패널(110) 및 제1 고정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창틀(1)에 결합되도록 프레임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패널(110)이 설치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을 사각형태로 성형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상기 하우징(100)은 창틀(1)의 내면 양측단에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창문 또는 방충망의 프레임을 설치하는 기존의 공법에 의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패널(110)은 극성을 띄도록 하전된 것으로서, 돌기(111) 및 절개홈(111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110)은 도 2를 참조하여 볼 수 있듯이,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에 적층하여 설치되도록 다수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110)의 두께는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약 300μ(미크론) 내지 350μ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110)은 경도가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고분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 씌워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패널(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극성을 띄도록 전압 발생장치 등으로 하전함으로써, 정전기를 보유하도록 하고, 하전된 정전기가 방전되지 않도록 표면에 부도체 피막층(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패널(110)은 일면이 (+)극성을 갖게 되고, 다른 일면이 (-)극성을 갖게되어 상기 패널(110)이 적층 설치되면서 강한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패널(110) 사이를 유동하는 미세분진이 정전기에 의해 상기 패널(110)에 흡착하여 집진되도록 한다.
상기 돌기(111)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패널(110)에 머물러 유동시간이 연장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패널(110)의 상부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111)는 엠보싱 가공(직물 표면에 열과 압력에 의하여 오목볼록한 모양을 나타내는 가공)을 통해 돌출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돌기(111)는 상기 적층된 패널(110) 사이에 상기 돌기(111) 높이 만큼의 틈을 생성하게 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패널(110) 사이로 유입된 공기가 와류를 형성함에 따라 공기의 유동시간을 연장시키며, 상기 패널(110)과 공기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효율적으로 공기 중의 미세분진이 흡착되도록 한다.
상기 절개홈(111a)은 상기 돌기(111)의 표면에 크랭크 또는 십자가 형태로 절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상기 창문설치용 필터의 접촉면적을 더욱 크게 하고, 상기 패널(110)의 절개홈(111a)을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더 효율적인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상기 패널(110)과 상기 패널(110)에 포함된 돌기(111) 및 절개홈(111a)에 관한 기술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특허출원하여 공개된 특허 제10-2010-0078671호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게재된 공지의 기술로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고정수단(200)은 상기 패널(110)이 적층으로 설치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패널(110)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에 고정홈 또는 별도의 고정구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수단(200)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과 벗어나지 않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해당 관련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의 제1 고정수단(200)을 변형한 것으로, 상기 제1 고정수단(200)의 방향을 사선으로 설치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제1 고정수단(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에 수평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패널(110) 또한 수평으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우천시 빗물이 창틀(1) 방향으로 향할 경우에, 상기 패널(110) 사이로 빗물이 실내에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는 도 3과 같이 변형된 제1 고정수단(200)을 통해 패널(110)이 외측으로 하향하도록 경사를 이루게 되어, 빗물이 흘러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패널(110)의 경사진 면을 통해 빗물이 튀는 것을 그대로 반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는 다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2)과 함께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지지대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은 가로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 또한 창틀(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창틀(1)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이 가로로 길게 형성되면서, 그 내부에 설치되는 패널(110') 역시 가로로 길게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패널(110')의 강성은 제한적이고, 상기 패널(110')의 중심부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3 실시예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는 지지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패널(110') 중심부의 상하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결합부(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00)의 결합부(301)에 각각의 패널(110')이 끼워지고, 이에 따라 상기 패널(110')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패널(110')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300)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범위 내에서 변경설계가 가능하다.
나아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창문설치용 필터는 상기 지지대(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고정수단(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수단(310)은 상기 지지대(300)의 상부를 고정하는 수단(310a) 및 하부를 고정하는 수단(310b)으로 상기 지지대(300)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2 고정수단(310)은 고정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300)는 제2 고정수단(310)의 고정홈을 통해 강제압입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의 조립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창틀(1)은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창문(미도시), 방충망(2) 및 상기 하우징(100) 역시 창틀(1)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규격이 다양해질 수 있다.
상기 창틀(1)의 다양한 규격에 더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 4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하우징(100a, 100b, 100c, 100d)이 상기 창틀(1)에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각각의 하우징(100)은 창틀(1)의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접착부(400)를 통해 개별적으로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상기 하우징(100) 내에 적층 설치하는 패널 또한 조립이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원하고자하는 필터의 성능 및 환경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창틀(1) 너머의 외부환경을 관망하고 싶다거나, 바람을 쐬고 싶을 경우엔 도면과 같이 일부 하우징(100d)을 분리할 수 있으며, 다시 필터링하거나 사생활을 보호받고자 할 경우엔 상기 하우징(100d)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창틀(1) 또는 이웃하는 하우징(100a, 100b, 100c)의 외면과 밀착력이 증가하도록 접착부(4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400)는 상기 하우징(100) 간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클립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창문설치용 필터는 창틀에 끼워지는 하우징에 하전된 패널이 일정 간격으로 적층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정전기를 발생시켜 황사 및 미세분진을 필터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밀하게 적층되는 패널을 통해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으며, 패널이 사선으로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하우징을 개별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창틀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할 수 있으며, 조립의 용이성을 통해 필터의 성능 및 환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 : 창틀 2 : 방충망
100 : 하우징 110 : 패널
111 : 돌기 111a : 절개홈
200 : 제1 고정수단 300 : 지지대
301 : 결합부 310 : 제2 고정수단
400 : 접착부

Claims (8)

  1. 창틀(1)에 설치되는 하우징(100); 및
    극성을 띠도록 하전된 패널(110)로 구성하는 창문설치용 필터로서,
    상기 패널(110)이 상기 하우징(100)에 일정 간격으로 적층 설치되도록 하여 창문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110)은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시간이 연장되도록 하는 다수의 돌기(111); 및
    상기 돌기(111)의 표면을 절개하여 형성한 절개홈(111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설치용 필터는 상기 패널(110')을 지지하여 상기 패널(110')의 중앙부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지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설치용 필터는 상기 지지대(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고정수단(3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설치용 필터는 창틀(1)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 하우징(100a, 100b, 100c, 100d)이 상기 창틀(1)에 개별적으로 조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창틀(1) 또는 이웃하는 하우징(100a, 100b, 100c)과 밀착력이 증가하도록 접착부(40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필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설치용 필터는 상기 패널(110)이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고정수단(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200)은 우천시 상기 패널(110)로 인해 외부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선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설치용 필터.
KR1020140127913A 2014-09-24 2014-09-24 창문설치용 필터 KR101648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13A KR101648265B1 (ko) 2014-09-24 2014-09-24 창문설치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13A KR101648265B1 (ko) 2014-09-24 2014-09-24 창문설치용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29A true KR20160035929A (ko) 2016-04-01
KR101648265B1 KR101648265B1 (ko) 2016-08-12

Family

ID=5579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913A KR101648265B1 (ko) 2014-09-24 2014-09-24 창문설치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2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6075A1 (ko) * 2016-11-16 2018-12-13 (주)플러스미 빗물유입 방지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갖는 자연환기창
KR20210050759A (ko) 2019-10-29 2021-05-10 손충현 먼지 필터 창문
KR20220012015A (ko) *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에어텍 공기청정기용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233B1 (ko) * 2018-01-08 2019-07-17 정숙희 미세먼지 유입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712Y1 (ko) 2002-11-22 2003-02-26 김영훈 에어필터겸용 방충망
KR20110008369A (ko) * 2009-07-20 2011-01-27 김의웅 공기청정 필터
KR20110088742A (ko) * 2010-01-29 2011-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140055555A (ko) * 2012-10-31 2014-05-09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712Y1 (ko) 2002-11-22 2003-02-26 김영훈 에어필터겸용 방충망
KR20110008369A (ko) * 2009-07-20 2011-01-27 김의웅 공기청정 필터
KR20110088742A (ko) * 2010-01-29 2011-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140055555A (ko) * 2012-10-31 2014-05-09 마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집진 기능을 갖는 방충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6075A1 (ko) * 2016-11-16 2018-12-13 (주)플러스미 빗물유입 방지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갖는 자연환기창
CN110662880A (zh) * 2016-11-16 2020-01-07 普鲁斯米股份有限公司 具有防雨水流入及防微尘功能的自然换气窗
KR20210050759A (ko) 2019-10-29 2021-05-10 손충현 먼지 필터 창문
KR20220012015A (ko) *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에어텍 공기청정기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265B1 (ko)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265B1 (ko) 창문설치용 필터
US7156898B2 (en) Low pressure drop deep electrically enhanced filter
JP2017533079A (ja) 均一に拡張可能なエアフィルタ
CN210568936U (zh) 一种节能型空气净化设备
KR101831520B1 (ko) 필터가 구비된 선풍기
CN206508732U (zh) 金属膜过滤网及空气净化装置
CN104492219B (zh) 一种除雾霾装置和方法
US11484888B2 (en) Conductive filter unit,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conductive filter unit, and fine dust removing system having conductive filter module
CN106731412A (zh) 金属膜过滤网及空气净化装置
KR20200000231U (ko) 공기청정기용 원형필터
CN100475347C (zh) 自清洁型高效空气电子净化器
CN206463685U (zh) 一种波浪形初效滤芯
CN104696292A (zh) 换气扇
GB25831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irborne contaminants
KR100457253B1 (ko)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용 카트리지식 필터 조립체
KR200316927Y1 (ko) 자체 전원 공급원과 공기 청정 기능이 구비된 창호
CN204815967U (zh) 空气净化器用复合滤材
CN207920778U (zh) 过滤窗和风力发电机组的塔筒门
KR200492135Y1 (ko) 공기필터장치
US20220258087A1 (en) Conductive filter unit,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conductive filter unit, and fine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conductive filter module
CN105126448A (zh) 空气净化器用复合滤材及其成型工艺
KR102105175B1 (ko) 실내공기정화용 필터가 장착된 천장패널
KR102304437B1 (ko) 먼지 필터 창문
CN112755679A (zh) 空气净化器
CN212214919U (zh) 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