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319B1 - 감시 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319B1
KR101864319B1 KR1020120016720A KR20120016720A KR101864319B1 KR 101864319 B1 KR101864319 B1 KR 101864319B1 KR 1020120016720 A KR1020120016720 A KR 1020120016720A KR 20120016720 A KR20120016720 A KR 20120016720A KR 101864319 B1 KR101864319 B1 KR 10186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guide portion
lens mounting
front cover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366A (ko
Inventor
신현수
전병문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319B1/ko
Priority to US13/766,853 priority patent/US10440330B2/en
Priority to CN201310053575.5A priority patent/CN103259967B/zh
Publication of KR2013009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는, 본체 케이싱, 본체 케이싱과 결합하여 카메라 하우징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서 프론트 커버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 제1 돌출부와 이격되어 제1 돌출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 및 프론트 커버와 결합하는 렌즈 마운팅 부를 포함하고, 렌즈 마운팅 부는, 프론트 커버를 향해 돌출되며 제1 돌출부와 접하는 경가이드부와, 제2 돌출부와 접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렌즈 마운팅 부의 틸트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Security camera}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가 화소급 감시 카메라에서 틸트(Tilt)에 의해 발생하는 화면의 부분적인 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는 도난 및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어 촬영하는 장치로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몸체와, 렌즈부가 설치되는 렌즈 마운팅부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감시카메라의 해상도가 메가 픽셀 단위로 증가하는 추세로, 렌즈부가 설치되는 렌즈 마운팅 부위와 이미지 촬상면의 수평도가 매우 정밀하게 유지될 것을 요구한다.
한편, 특허공개공보 제2007-0090148호 "카메라용 촬상소자 구동 초점조절 장치"는 초점조절 구동부를 제안한다. 다만, 메가화소급 카메라는 기존 VGA급에 비해서 매우 높은 해상도를 갖기 때문에, 이미지 촬상면의 수평도가 조금만 Tilt되어도 화면이 흐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메가 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 렌즈 마운팅면과 이미지 촬상면의 수평도가 유지되지 않을 시에는 후초점거리(Back Focal Length, BFL)를 정확히 맞춘다고 하더라도 화면의 일부분만 포커스가 맞는 현상이 나타날 수 밖에 없다.
특허공개공보 제2007-009014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메가 화소급 감시 카메라에서 틸트(Tilt)에 의해 발생하는 화면의 부분적인 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양한 후초점거리를 가지는 렌즈부들을 장착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는, 본체 케이싱, 본체 케이싱과 결합하여 카메라 하우징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서 프론트 커버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 제1 돌출부와 이격되어 제1 돌출부의 외곽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 및 프론트 커버와 결합하는 렌즈 마운팅 부를 포함하고, 렌즈 마운팅 부는, 프론트 커버를 향해 돌출되며 제1 돌출부와 접하는 경가이드부와, 제2 돌출부와 접하는 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경가이드부의 외측면은 제1 돌출부의 내측면과 접하고, 안내부의 외측면은 제2 돌출부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결합한다.
또한, 안내부의 외측면 및 제2 돌출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들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돌출부와 안내부 사이에 탄성체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들의 상부면과, 제2 돌출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들의 하부면이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 제2 돌출부, 경가이드부 및 안내부는 동심원을 형성한다.
또한, 렌즈 마운팅 부는, 외곽에서 프론트 커버를 향해 돌출된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조절부와 안내부는 동심원을 형성하며, 조절부는 안내부와 이격 되어 안내부의 외곽에 형성된다.
여기서, 안내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나사공에는 고정레버가 결합하며, 고정레버는 제2 돌출부의 외측면과 접함으로써, 렌즈 마운팅 부를 고정한다.
또한, 조절부의 단부에는 제2 돌출부를 향해 연장된 제1 걸림턱과 제2 돌출부의 단부에는 조절부를 향해 연장된 제2 걸림턱이 형성된다.
또한, 경가이드부의 내측면에는 렌즈부가 결합한다.
또한, 카메라 하우징에는 이미지 촬상부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촬상부의 촬상면과, 렌즈부간의 수평도가 매우 정밀하게 유지되어 렌즈 마운팅 부의 틸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구간이 길게 형성되므로, 다양한 초점거리를 가지는 렌즈부들이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를 도시한 도,
도 2는 도 1의 감시 카메라의 I-I'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P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그리고
도 4는 도 2의 P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감시 카메라의 I-I'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P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100)는, 서로 결합하여 카메라 하우징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싱(111)과 프론트 커버(110), 프론트 커버(110)와 결합하는 렌즈 마운팅 부(120) 및 렌즈 마운팅 부(120)와 체결하는 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케이싱(111)과 프론트 커버(110)의 내부에는 배선기판(150)과 이미지 촬상부(160) 등이 설치되며, 본체 케이싱(111)과 프론트 커버(110)는 외부 광을 차단하여 이미지 촬상부(160)가 외부 광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 된다.
배선기판(15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패터닝된 배선을 가지는 기판으로, 예를 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배선기판(150) 상에는 이미지 촬상부(160)가 위치하며, 이미지 촬상부(160)는 배선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미지 촬상부(160)는 렌즈부(130)를 통해 입사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 즉, 이미지 촬상부(160)는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는 센서 디바이스로, 예를 들어, 이미지 촬상부(160)는 고체 촬상 소자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촬상부(160)는 메가 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미지 촬상부(160) 상에는 투광성 덮개(미도시)가 형성된다. 투광성 덮개(미도시)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이미지 촬상부(160)의 상면과 접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의 습기, 먼지 등으로부터 이미지 촬상부(160)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4)는 프론트 커버(110)의 전면에서 프론트 커버(11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4)는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프론트 커버(1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4)는 동심원을 형성하고, 제2 돌출부(114)는 제1 돌출부(112)와 이격 되어 제1 돌출부(112)의 외곽에 형성된다. 즉, 제1 돌출부(112)와 제2 돌출부(114)는 같은 중심을 가지나 반지름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원형을 형성하되, 제2 돌출부(114)의 반지름이 제1 돌출부(112)의 반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제1 돌출부(112)의 내측에 대응하는 프론트 커버(110)에는 제1 돌출부(112)가 형성하는 원형에 따른 개구가 형성된다.
렌즈 마운팅 부(120)는, 렌즈부(130)를 지지함과 동시에 프론트 커버(110)와 결합한다. 렌즈 마운팅 부(120)에는 렌즈부(130)가 결합되므로, 렌즈 마운팅 부(120)가 프론트 커버(110)와 결합할 때, 렌즈 마운팅 부(120)와 프론트 커버(110)의 부품간의 공차를 최소화하여 렌즈 마운팅 부(120)의 수평면이 광축과 수직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만일, 렌즈 마운팅 부(120)의 수평면이 광축과의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면, 이미지 촬상부(160)의 촬상면과 렌즈 마운팅 부(120)에 결합된 렌즈부(130) 간의 수평도가 정밀하게 유지되기 어렵고, 이러한 경우는 특히 이미지 촬상부(160)가 메가 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질 때, 렌즈부(130)의 후초점거리(Back focus length, BFL)를 정확하게 맞추더라도, 화면의 일부가 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마운팅 부(120)는 프론트 커버(110)를 향해 돌출된 경가이드부(122)와 안내부(126)를 따로 구비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가이드부(122)는 프론트 커버(110)에서 돌출된 제1 돌출부(112)와 접함으로써 렌즈 마운팅 부(120)의 틸트를 최소화 하며, 안내부(126)는 제2 돌출부(114)와 접하는 외면에 나사산들이 형성되어 렌즈 마운팅 부(120)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렌즈 마운팅 부(120)에서 돌출된 경가이드부(122)와 안내부(126)는 동심원을 형성하고, 안내부(126)는 경가이드부(122)와 이격 되어 경가이드부(122)의 외곽에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가이드부(122)의 내측면에는 렌즈부(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 등의 구조가 형성된다.
한편, 렌즈 마운팅 부(120)가 프론트 커버(110)와 결합할 때, 경가이드부(122)는 제1 돌출부(112)와 접하고, 이와 동시에 안내부(126)는 제2 돌출부(114)와 접촉하여 결합함으로써, 경가이드부(122), 안내부(126), 제1 돌출부(112) 및 제2 돌출부(114)는 동심원을 형성한다.
일 예로,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가이드부(122)의 외측면과 제1 돌출부(112)의 내측면은 평평한 면을 가지고 서로 접할 수 있으며, 경가이드부(122)와 이격되어 형성된 안내부(126)의 외측면은 제2 돌출부(114)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즉, 안내부(126)가 경가이드부(122)와 분리되어 형성됨에 따라, 경가이드부(122)에서 제1 돌출부(112)와 접하는 부분(L1)이 최대화 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프론트 커버(110)와 렌즈 마운팅 부(120)가 결합할 때, 렌즈 마운팅 부(120)의 수평면이 광축에서 벗어남에 의해 발생하는 틸트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L1은 5~6㎜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미지 촬상부(160)의 촬상면과, 렌즈 마운팅 부(120)에 장착되는 렌즈부(130)간의 수평도가 매우 정밀하게 유지될 수 있어, 이미지 촬상부(160)가 메가 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더라도, 틸트에 의해 발생하는 화면의 부분적인 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접하는 안내부(126)의 외측면과 제2 돌출부(114)의 내측면에는 서로 접촉하여 결합하는 나사산들이 형성된다. 안내부(126)는 나사산들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렌즈 마운팅 부(120)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렌즈부(130)의 백초점거리(Back focus length, BFL)를 맞출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부(126)는 경가이드부(122)와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안내부(126)에 형성되는 나사산 역시 최대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부(130)의 백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구간이 길게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는 다양한 초점거리를 가지는 렌즈부(130) 들을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서로 접하는 경가이드부(122)의 외측면과 제1 돌출부(112)의 내측면 간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윤활제는 예를 들어, 반 고체상의 그리스 일 수 있다.
윤활제는 50㎛ 내외의 두께를 가지고 도포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경가이드부(122)의 외측면과 제1 돌출부(112)의 내측면 사이에 윤활제를 도포하면, 경가이드부(122)의 외측면과 제1 돌출부(112)의 내측면 간의 마찰이 저하되고, 경가이드부(122)와 제1 돌출부(112) 간의 간극이 윤활제에 의해 채워짐에 따라, 렌즈 마운팅 부(120)의 틸트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12)와 안내부(126) 사이의 공간에는 탄성체(170)가 더 위치할 수 있다.
탄성체(170)는 렌즈 마운팅 부(120)를 감시 카메라(100)의 전방으로 밀 수 있는 힘을 제공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 수지, 엘라스토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170)에 의해 렌즈 마운팅 부(120)에 힘이 가해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126)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들의 상부면이 제2 돌출부(114)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들의 하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나사산들의 상부면이란, 도 3과 같이 감시 카메라(100)의 전방이 상부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놓여졌을 때, 하나의 나사산에서 위에 형성된 나사산면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안내부(126)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들의 상부면과, 제2 돌출부(114)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들의 하부면이 접촉하면, 안내부(126)의 외측면와 제2 돌출부(114)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들 간의 간극이 제거되고, 이에 의해, 렌즈 마운팅 부(120)는 더욱 견고히 고정되어 렌즈 마운팅 부(120)의 틸트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 마운팅 부(120)는 외곽에서 프론트 커버(110)를 향해 돌출된 조절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128)는 안내부(126)와 동심원을 형성하며, 안내부(126)와 이격되어 안내부(126)의 외곽에 형성된다.
조절부(128)에 의해 렌즈 마운팅 부(120)는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안내부(126)가 나사산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렌즈 마운팅 부(120)는 전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절부(128)는 사출 등의 방식에 의해 경가이드부(122) 및 안내부(12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절부(128)에는 나사공(121)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공(121)에는 고정레버(140)가 결합할 수 있다. 고정레버(140)는 나사공(121)과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고정레버(140)의 단부가 제2 돌출부(114)의 외측면과 접함으로써, 고정레버(140)는 렌즈 마운팅 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절부(128)의 단부에는 제2 돌출부(114)를 향해 연장된 제1 걸림턱(129)과, 제2 돌출부(114)의 단부에는 조절부(128)를 향해 연장된 제2 걸림턱(1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129)과 제2 걸림턱(115)은 상호 수평적인 방향으로 형성되어, 렌즈 마운팅 부(120)가 프론트 커버(1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은 도 2의 P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도 2의 P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나, 렌즈 마운팅 부(120)가 전방을 향해 이동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프론트 케이스(110)와 결합된 렌즈 마운팅 부(120)가 이동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조절부(128)를 이용하여 렌즈 마운팅 부(120)를 회전시킨다.
렌즈 마운팅 부(120)가 회전하면, 안내부(126)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제2 돌출부(114)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렌즈 마운팅 부(120)는 회전을 함과 동시에 광축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마운팅 부(120)가 광축을 따라 이동할 때, 경가이드부(122)의 외측면은 제1 돌출부(112)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며 렌즈 마운팅 부(120)의 틸트를 방지한다.
이와 같이, 렌즈 마운팅 부(120)의 이동에 의해 렌즈부(도 1의 130)의 후초점거리가 맞춰지면, 고정레버(140)를 이용하여 렌즈 마운팅 부(120)를 고정시킨다. 고정레버(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부(128)에 나사공(121)과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고정레버(140)의 단부가 제2 돌출부(114)의 외측면과 접함으로써, 렌즈 마운팅 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돌출부(114)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걸림턱(115)은 고정레버(140)가 제2 돌출부(11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한다. 즉, 제2 걸림턱(115)에 의해 렌즈 마운팅 부(12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장착될 수 있는 렌즈부(도 1의 130)의 다양한 후초점거리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마운팅 부(12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범위는 1.2~ 1.6㎜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이와 같이 렌즈 마운팅 부(120)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경가이드부(122)에서 제1 돌출부(112)와 접하는 수직길이가 도 3의 L1에서 L2로 감소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L1 즉, 경가이드부(122)와 제1 돌출부(112)가 접하는 최대 길이는 대략 5~6㎜로 형성될 수 있고, 도 4의 L2 즉, 렌즈 마운팅 부(120)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할 때, 경가이드부(122)와 제1 돌출부(112)가 접하는 길이는 도 3의 L1에서 렌즈 마운팅 부(12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범위인 1.2~ 1.6㎜를 뺀 값이므로, L2는 L1의 70% 이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 마운팅 부(120)의 틸트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마운팅 부(120)가 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제1 돌출부(112)와 안내부(126)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체(170)는 렌즈 마운팅 부(120)에 힘을 가하므로, 안내부(126)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들의 상부면과 제2 돌출부(114)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들의 하부면이 접하게 된다. 따라서, 안내부(126)의 외측면와 제2 돌출부(114)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들 간의 간극이 제거되어 렌즈 마운팅 부(120)의 틸트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가이드부(122)의 외측면과 제1 돌출부(112)의 내측면 사이의 윤활제는 경가이드부(122)와 제1 돌출부(112)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므로, 렌즈 마운팅 부(120)의 틸트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마운팅 부(120)와 프론트 커버(110) 사이의 부품간의 공차가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렌즈 마운팅 부(120)의 틸트를 방지하고, 이에 따라, 이미지 촬상부(도 2의 160)가 메가 픽셀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더라도, 틸트에 의해 발생하는 화면의 부분적인 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감시 카메라 110: 렌즈 마운팅 부
111: 본체 케이싱 112: 제1 돌출부
114: 제2 돌출부 115: 제2 걸림턱
120: 렌즈 마운팅 부 121: 나사공
122: 경가이드부 126: 안내부
128: 조절부 129: 제1 걸림턱
130: 렌즈부 140: 고정레버
150: 배선기판 160: 이미지 촬상부
170: 탄성체

Claims (11)

  1.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과 결합하여 카메라 하우징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 및
    상기 프론트 커버와 결합하는 렌즈 마운팅 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면에서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전방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동심원을 형성하되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 돌출부의 외곽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 마운팅 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를 향해 돌출된 경가이드부와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가이드부와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동심원을 형성하고, 상기 경가이드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접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제2 돌출부와 접하는 감시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가이드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측면과 접하고, 상기 안내부의 외측면은 상기 제2 돌출부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결합하는 감시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들이 형성된 감시 카메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16720A 2012-02-20 2012-02-20 감시 카메라 KR10186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720A KR101864319B1 (ko) 2012-02-20 2012-02-20 감시 카메라
US13/766,853 US10440330B2 (en) 2012-02-20 2013-02-14 Surveillance camera
CN201310053575.5A CN103259967B (zh) 2012-02-20 2013-02-19 监控摄像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720A KR101864319B1 (ko) 2012-02-20 2012-02-20 감시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366A KR20130095366A (ko) 2013-08-28
KR101864319B1 true KR101864319B1 (ko) 2018-06-05

Family

ID=4896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720A KR101864319B1 (ko) 2012-02-20 2012-02-20 감시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40330B2 (ko)
KR (1) KR101864319B1 (ko)
CN (1) CN1032599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1767B (zh) * 2013-03-15 2021-11-05 株式会社尼康 拍摄装置
CN107197126B (zh) * 2017-06-05 2023-05-12 狼天科技(深圳)有限公司 摄像头组件及带摄像头的无人机
US10560614B2 (en) * 2017-11-15 2020-02-11 Umbo Cv Inc. Polygon monitoring camera with multi-functional mounting structure
USD995601S1 (en) * 2018-06-05 2023-08-15 Huddly As Smart camer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251Y1 (ko) * 1995-03-28 2000-01-15 유무성 슬라이드 가이드레일 구조를 이용한 시시디 카메라용 위치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577U (ko) * 1993-06-28 1995-01-03 하수경 눌린 칩 펠레트(Pellet)제거장치
JP2002064733A (ja) * 2000-08-17 2002-02-28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タ内蔵型電子スチルカメラ
KR20030002284A (ko) 2001-06-28 2003-01-08 김영희 카메라용 촬상소자 구동 초점조절 장치
KR100422105B1 (ko) 2002-04-24 2004-03-11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카메라장치
KR20050102222A (ko) * 2004-04-21 2005-10-26 차용원 초소형 카메라
JP2006047986A (ja) * 2004-06-30 2006-02-16 Tamron Co Ltd 光学装置
WO2006035435A2 (en) 2004-09-29 2006-04-06 Nanomotion Ltd. Camera modules with lens drive device
JP4129801B2 (ja) * 2005-01-19 2008-08-0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外筐構造
JP4321605B2 (ja) * 2007-02-26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アダプタ及び撮像装置
JP2008257128A (ja) * 2007-04-09 2008-10-23 Fujifilm Corp カメラ及びレンズユニット並びにカメラシステム
TWM332873U (en) * 2007-10-30 2008-05-21 Lumos Technology Co Ltd Additional lens fixing structure of camera
JP4597225B2 (ja) * 2008-06-26 2010-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監視用ビデオカメラ
KR100951187B1 (ko) * 2008-06-26 2010-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JP2010197719A (ja) 2009-02-25 2010-09-09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0263518A (ja) 2009-05-11 2010-11-18 Funai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US20100321809A1 (en) * 2009-06-23 2010-12-23 Timothy Paul Fung Device for protection and space saving camera lens ho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251Y1 (ko) * 1995-03-28 2000-01-15 유무성 슬라이드 가이드레일 구조를 이용한 시시디 카메라용 위치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40330B2 (en) 2019-10-08
KR20130095366A (ko) 2013-08-28
US20130215265A1 (en) 2013-08-22
CN103259967A (zh) 2013-08-21
CN103259967B (zh)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580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7604421B2 (en) Imaging device module
KR101041473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1751132B1 (ko) 카메라 모듈
KR101864319B1 (ko) 감시 카메라
JP4493046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のレンズ鏡筒を備えた撮像装置
US20190373146A1 (en) Integrated Sensor and Lens Assembly with Post-tuning Optical Alignment
JP2009251517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モジュール
EP2574037A1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imaging sensor package
KR20090026023A (ko) 카메라 렌즈 모듈
US7312936B2 (en) Digital image-capturing device
KR20180002077A (ko) 카메라 모듈
KR20160009866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5431204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み立て方法
US11785326B2 (en) Imaging apparatus
JP5595786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204104B1 (ko) 카메라 모듈
KR20100082242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KR101751133B1 (ko) 카메라 모듈
US20150301305A1 (en) Lens drive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101032656B1 (ko) 가변 초점 액정 렌즈 조합 촬상 장치
KR101594301B1 (ko) 렌즈 이동 장치
JP2019004248A (ja) 撮像装置
KR101624653B1 (ko) 렌즈 구동 장치
KR101499961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