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799B1 - 체인 블록 - Google Patents

체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799B1
KR101863799B1 KR1020160105176A KR20160105176A KR101863799B1 KR 101863799 B1 KR101863799 B1 KR 101863799B1 KR 1020160105176 A KR1020160105176 A KR 1020160105176A KR 20160105176 A KR20160105176 A KR 20160105176A KR 101863799 B1 KR101863799 B1 KR 101863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gear
axis
chain
hollow shaft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590A (ko
Inventor
송영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7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6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operated by an endless chain passing over a pulley or a spr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1Hau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체인 블록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블록은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것으로서, 핸드 체인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軸線)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과 나란한 축선(軸線)을 가지며,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 종동 기어; 상기 제 1 종동 기어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종동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 2 종동 기어;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 관통하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종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중량물의 일측과 연결된 제 1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제 1 중공축; 및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중공축이 삽입 관통하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종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중량물의 타측과 연결된 제 2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제 2 중공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인 블록{CHAIN BLOCK}
본 발명은 체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조선 또는 건설 분야에서 중량물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체인 블록이 사용된다.
통상적인 체인 블록은 작업자가 핸드 체인을 견인하면 중량물과 연결된 로드 체인이 중량물을 견인하여 들어올리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체인 블록이 들어올리는 대상이 되는 중량물은 그 형상 또는 무게 중심의 위치에 따라 리프팅 포인트가 2개 이상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와 같은 통상적인 체인 블록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슬링 벨트(sling belt), 마스터 링(master ring) 등 추가적인 장비 및 공수가 요구되었다.
공개특허공보 KR 제10-2015-0018628호(2015.02.23)
본 발명의 실시예는, 2 개 이상의 리프팅 포인트가 필요한 중량물을 별도의 추가 장비없이 쉽게 들어올리도록 구성된 체인 블록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체인 블록에 있어서, 핸드 체인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軸線)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과 나란한 축선(軸線)을 가지며,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 종동 기어; 상기 제 1 종동 기어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종동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 2 종동 기어;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 관통하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종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중량물의 일측과 연결된 제 1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제 1 중공축; 및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중공축이 삽입 관통하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종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중량물의 타측과 연결된 제 2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제 2 중공축을 포함하는, 체인 블록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중공축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 3 종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중공축의 타측에는 상기 제 1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제 1 견인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중공축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 4 종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중공축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제 1 견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종동 기어 및 상기 제 2 종동 기어를 포함하는 구조체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구조체는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핸드 체인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1 견인부는 상기 제 1 로드 체인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2 견인부는 상기 제 2 로드 체인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1 견인부와 상기 제 2 견인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견인부와 상기 제 2 견인부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핸드 체인을 일 방향으로 견인하면 중량물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리프팅 포인트들과 연결된 제 1 로드 체인과 제 2 로드 체인이 동시에 중량물을 위로 견인함으로써, 2 개의 리프팅 포인트가 필요한 중량물을 별도의 추가 장비없이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나아가 추가 로드 체인을 추가하면 3 개 이상의 리프팅 포인트가 필요한 중량물을 별도의 추가 장비없이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블록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블록의 내부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회전 부재와, 구동축과, 구동 기어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제 1 종동축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서 제 2 종동축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BB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CC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2의 DD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2의 EE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2의 FF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블록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 블록은 2개의 리프팅 포인트가 필요한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사용될 수 있다.
체인 블록(10)은 작업 공간의 바닥(G)에서 소정의 높이에 위치한 지지 부재(미도시)에 지지될 수 있다. 작업자가 핸드 체인(103)을 일 방향으로 견인하면 중량물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리프팅 포인트들과 연결된 제 1 로드 체인(105)과 제 2 로드 체인(107)이 동시에 중량물을 위로 견인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리프팅 포인트가 필요한 중량물을 별도의 추가 장비없이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 블록의 내부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회전 부재와, 구동축과, 구동 기어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제 1 종동축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서 제 2 종동축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의 BB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CC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2의 DD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2의 EE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2의 FF선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체인 블록(10)은 회전 부재(110)와, 구동축(120)과, 구동 기어(130)와, 제 1 종동 기어(210)와, 제 2 종동 기어(220)와, 제 1 중공축(300)과, 제 2 중공축(400)을 포함한다.
회전 부재(110)는 핸드 체인(103)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 부재(110)는 프레임(10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 부재(110)는 핸드 체인(103)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작업자가 핸드 체인(103)을 일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회전 부재(110)는 축선(R1)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핸드 체인(103)을 다른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회전 부재(110)는 축선(R1)을 중심으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120)은 회전 부재(110)의 축선(R1)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축(120)은 회전 부재(1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120)은 회전 부재(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구동축(120)은 별도로 제작되어 회전 부재(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동 기어(130)는 회전 부재(110)의 축선(R1)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기어(130)는 구동축(1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 기어(130)는 구동축(1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구동축(120)과 별도로 제작되어 구동축(1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동 기어(130)는 프레임(10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1 종동 기어(210)는 회전 부재(110)의 축선(R1)과 나란한 축선(R2)을 가질 수 있다. 제 1 종동 기어(210)는 구동 기어(130)와 맞물려 축선(R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 종동 기어(210)는 프레임(101)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2 종동 기어(220)는 제 1 종동 기어(210)의 축선(R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종동 기어(220)는 제 1 종동 기어(2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 2 종동 기어(220)는 제 1 종동 기어(2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제 1 종동 기어(2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1 종동 기어(210) 및 제 2 종동 기어(220)를 포함하는 구조체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구조체는 회전 부재(110)의 축선(R1)을 중심으로 또는 구동 기어(130)를 중심으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기어(130)가 회전하면 복수의 구조체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 1 중공축(300)은 회전 부재(110)의 축선(R1)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중공축(300)은 상기 구동축(120)이 삽입 관통하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중공축(300)의 일측에는 제 2 종동 기어(220)와 맞물리는 제 3 종동 기어(3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종동 기어(220)의 회전으로 제 3 종동 기어(310)가 회전하면, 제 1 중공축(300)은 한다. 제 3 종동 기어(310)는 제 1 중공축(3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제 1 중공축(3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1 중공축(300)의 타측에는 제 1 로드 체인(105)을 견인하는 제 1 견인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1 중공축이 회전하면, 제 1 견인부(330)도 회전한다. 제 1 견인부(330)가 회전하면, 중량물의 일측과 연결된 제 1 로드 체인(105)은 중량물을 위로 견인한다.
제 1 견인부(330)는 제 1 로드 체인(105)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견인부(330)는 제 1 중공축(3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제 1 중공축(30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2 중공축(400)은 회전 부재(110)의 축선(R1)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중공축(400)은 상기 제 1 중공축(300)이 삽입 관통하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중공축(400)의 일측에는 제 2 종동 기어(220)와 맞물리는 제 4 종동 기어(4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종동 기어(220)의 회전으로 제 4 종동 기어(410)가 회전하면, 제 2 중공축(400)은 회전한다. 제 4 종동 기어(410)는 제 2 중공축(4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제 2 중공축(4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2 중공축(400)의 타측에는 제 2 로드 체인(107)을 견인하는 제 2 견인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종동 기어(220)의 회전으로 제 2 중공축(400)이 회전하면, 제 2 견인부(430)도 회전한다. 제 2 견인부(430)가 회전하면, 중량물의 타측과 연결된 제 2 로드 체인(107)은 중량물을 위로 견인한다.
제 2 견인부(430)는 제 2 로드 체인(107)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 견인부(430)는 제 2 중공축(4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제 2 중공축(40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 블록(10)은, 작업자가 핸드 체인(103)을 일 방향으로 견인하여 회전 부재(110)를 회전시키면, 회전 부재(110)의 회전력이 구동축(120), 구동 기어(130), 제 1 종동 기어(210), 제 2 종동 기어(220), 제 3 종동 기어(310), 제 4 종동 기어(410)를 경유하여 제 1 견인부(330)와 제 2 견인부(430)에 전달됨으로써 중량물의 2 개의 리프팅 포인트와 각각 연결된 제 1 로드 체인(105) 및 제 2 로드 체인(107)이 별도의 추가 장비없이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부재(1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견인부(330)와 제 2 견인부(43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견인부(330)와 제 2 견인부(430)는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부재(11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때 제 1 견인부(330)와 제 2 견인부(430)가 각각 제 1 로드 체인(105)과 제 2 로드 체인(107)을 견인하는 견인량이 동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인 블록은 제 1 중공축(도 2의 300 참조)과 제 2 중공축(도 2의 400 참조) 외에 제 1 중공축과 제 2 중공축과 동일한 구조로 회전 부재(도 2의 110 참조)의 축선(도 2의 R1 참조)에 배치되고 제 2 종동 기어(도 2의 220 참조)와 맞물려 회전하고 추가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추가 중공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가 중공축의 개수는 중량물의 리프팅 포인트의 개수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체인 블록은 중량물의 리프팅 포인트의 개수에 대응하여 추가 장비 없이 중량물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체인 블록
101 : 프레임
103 : 핸드 체인
105 : 제 1 로드 체인
107 : 제 2 로드 체인
110 : 회전 부재
120 : 구동축
130 : 구동 기어
210 : 제 1 종동 기어
220 : 제 2 종동 기어
300 : 제 1 중공축
310 : 제 3 종동 기어
330 : 제 1 견인부
400 : 제 2 종동축
410 : 제 4 종동 기어
430 : 제 2 견인부

Claims (6)

  1. 삭제
  2.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체인 블록에 있어서,
    핸드 체인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軸線)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과 나란한 축선(軸線)을 가지며,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 종동 기어;
    상기 제 1 종동 기어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종동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제 2 종동 기어;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 관통하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종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중량물의 일측과 연결된 제 1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제 1 중공축; 및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중공축이 삽입 관통하는 중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종동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중량물의 타측과 연결된 제 2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제 2 중공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중공축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 3 종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중공축의 타측에는 상기 제 1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제 1 견인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중공축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 4 종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중공축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로드 체인을 견인하는 제 2 견인부가 형성되는, 체인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동 기어 및 상기 제 2 종동 기어를 포함하는 구조체는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구조체는 상기 회전 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체인 블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핸드 체인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1 견인부는 상기 제 1 로드 체인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 2 견인부는 상기 제 2 로드 체인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구조를 가지는, 체인 블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1 견인부와 상기 제 2 견인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체인 블록.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견인부와 상기 제 2 견인부의 직경은 동일한, 체인 블록.
KR1020160105176A 2016-08-19 2016-08-19 체인 블록 KR101863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176A KR101863799B1 (ko) 2016-08-19 2016-08-19 체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176A KR101863799B1 (ko) 2016-08-19 2016-08-19 체인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590A KR20180020590A (ko) 2018-02-28
KR101863799B1 true KR101863799B1 (ko) 2018-06-29

Family

ID=6140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176A KR101863799B1 (ko) 2016-08-19 2016-08-19 체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7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0099A (ja) * 1988-10-18 1990-04-23 Tokyu Constr Co Ltd チェーンブロック
JP6068857B2 (ja) 2012-07-30 2017-01-25 株式会社キトー チェーン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590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13763A5 (ja) 起重機、建築システムおよび多重建築構造組み上げ方法
US20140182977A1 (en) Vertical support structure and lif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5947920B2 (ja) 昇降デバイス用円柱部材
CN107635905A (zh) 法兰提升工具
CN104594944A (zh) 高效安全型矿用液压支架安装运输车
KR101863799B1 (ko) 체인 블록
JP6365122B2 (ja) 移載装置
CN204752093U (zh) 一种港口建筑中带有堆高装置的升降台
KR101864273B1 (ko) 체인 블록
JP6489047B2 (ja) 物品搬送装置
CN103938632A (zh) 打桩定向机构
CN204040538U (zh) 一种升降舞台
JP6258171B2 (ja) 吊ビーム装置
US946253A (en) Hoist.
CN105197826A (zh) 起重机及提升系统
KR101841556B1 (ko) 원통형 부재 이송용 대차
CN203768908U (zh) 打桩定向机构
KR101631488B1 (ko) 진자운동방지 운반장치
JP2006096500A (ja) 巻上装置
CN204096934U (zh) 齿轮行走的导轮组及使用该导轮组的电动葫芦
US645812A (en) Dumb-waiter.
KR20140002023U (ko) 리프팅 장치
JP6201393B2 (ja) 走行台車
JP6289911B2 (ja) 杭打機
CN108147314A (zh) 一种手摇升降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