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273B1 - 체인 블록 - Google Patents

체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273B1
KR101864273B1 KR1020160121917A KR20160121917A KR101864273B1 KR 101864273 B1 KR101864273 B1 KR 101864273B1 KR 1020160121917 A KR1020160121917 A KR 1020160121917A KR 20160121917 A KR20160121917 A KR 20160121917A KR 101864273 B1 KR101864273 B1 KR 101864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pulley
transmission gear
gear
chai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808A (ko
Inventor
송영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2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4Driving gear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0Chain, belt, or friction drives, e.g. incorporating sheaves of fixed or vari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for varying speed or reversing direction of rotation of drums or barrels, i.e. variable ratio or reversing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때 다른 와이어나 슬링밸트 등 추가 장비가 불필요하고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체인 블록이 제공된다. 체인 블록은, 하우징, 하우징에 축결합 되며 구동체인이 맞물리는 핸드체인풀리, 핸드체인풀리에 결합되어 구동체인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전달기어, 제1 체인이 맞물리는 제1 풀리부와, 제1 풀리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제1 기어부를 포함하는 제1 체인풀리, 제2 체인이 맞물리는 제2 풀리부와, 제2 풀리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하는 제2 체인풀리를 포함하되, 제2 체인풀리는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 제2 기어부가 전달기어로부터 이탈 가능하다.

Description

체인 블록{chain block}
본 발명은 체인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때 다른 와이어나 슬링밸트 등 추가 장비가 불필요하고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체인 블록에 관한 것이다.
체인블록은 체인 풀리에 체인을 걸고, 인력으로 물체를 들어올리는 장치로, 대형 리프팅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작업여건에서 적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체인블록은 하나의 체인으로 형성되어 물체를 들어올릴 때 불안정하였으며,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때 슬링밸트, 와이어 등 추가장비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추가 장비를 준비해야 하므로 부속품이 많아져 작업 시수와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고, 눕혀있는 무거운 물체를 세우거나 물체의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하나의 체인으로 형성된 체인블록으로는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미국 등록특허 제05007617호, (1991.04.1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때 다른 와이어나 슬링밸트 등 추가 장비가 불필요하고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체인 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체인블록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결합되며 구동체인이 맞물리는 핸드체인풀리; 상기 핸드체인풀리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체인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전달기어; 제1 체인이 맞물리는 제1 풀리부와, 상기 제1 풀리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제1 기어부를 포함하는 제1 체인풀리; 제2 체인이 맞물리는 제2 풀리부와, 상기 제2 풀리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하는 제2 체인풀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체인풀리는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 상기 제2기어부가 상기 전달기어로부터 이탈 가능하다.
상기 전달기어는 상기 핸드체인풀리와 동일 축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는, 상기 핸드체인풀리의 회전축인 제1축 상에 함께 결합된 제1 전달기어와, 상기 제1축과 평행한 제2축 상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달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 전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축은 복수 개가 상기 제1축을 중심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2 전달기어는 복수 개가 상기 제1 전달기어를 중심에 두고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제2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달기어는, 상기 제1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제1 전달기어치와,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 전달기어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달기어치와 상기 제2 전달기어치는 기어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인풀리와 상기 제2 체인풀리는 중앙에 상기 핸드체인풀리의 회전축인 제1축이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인풀리는 상기 제1 풀리부와 상기 제1 기어부를 연결하는 중공형의 제1 원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체인풀리는 상기 제2 풀리부와 상기 제2 기어부를 연결하는 중공형의 제2 원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체인풀리는 상기 제1 원통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기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체인풀리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체인풀리의 측부에 접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제2 체인풀리를 슬라이딩 이동 시키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체인 블록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때 대형 리프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적은 힘으로 들어올릴 수 있으며, 작업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좁은 작업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아울러, 물체에 결합되어있는 고리에 체인을 걸 때 와이어나 다른 추가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량이 줄어드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인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체인블록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체인블록의 제2 체인풀리의 이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2의 체인블록의 제2 체인풀리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체인블록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체인블록(1)은 대형 리프팅장치나 별도의 추가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좁은 작업여건에서도 무거운 물체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장치이며, 물체와 체인을 연결해주는 복수 개의 리프팅후크(12)를 각각 제어 가능하여 물체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회전축 또는 기어 등을 고정 또는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사면체 또는 원통형 등 면을 포함하는 다면체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체인블록(1)을 설치하는 후크(11)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내측의 체인풀리에 걸려있는 구동체인(21), 제1 체인(31) 및 제2 체인(41)이 하우징(10)을 관통하여 바닥면을 향하여 늘어질 수 있다. 하우징(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홈은 이동부재(61)와 고정부재(6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인(31)과 제2 체인(41)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리프팅후크(12)에 물체가 고정될 수 있으며 구동체인(21)을 조작하여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체인블록을 구동하는 내부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체인블록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인블록(1)은 하우징(10), 핸드체인풀리(20), 전달기어(50), 제1 체인풀리(30), 제2 체인풀리(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의 내측에 중심 회전축인 제1축(51)이 고정되며, 제1축(51)의 일단부는 하우징(10)의 내측에 고정되며, 타단부에는 구동체인(21)이 맞물리는 핸드체인풀리(20)가 형성된다.
핸드체인풀리(20)는 하우징(10)에 축결합되며, 구동체인(21)과 맞물려 회전한다. 핸드체인풀리(20)는 전달기어(50)를 통해 제1 체인풀리(30) 및 제2 체인풀리(40)에 동력을 전달한다. 핸드체인풀리(20)와 전달기어(50)는 동일한 축에 연결되거나 서로 다른 축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상에는 전달기어(50)가 하나의 제1 전달기어(511)와 두 개의 제2 전달기어(512)로 형성되어, 핸드체인풀리(20)와 제1 전달기어(511)가 동일한 축에 형성되며, 두 개의 제2 전달기어(512)는 제1 전달기어(511)와 평행한 축에 맞물려 형성되는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전달기어(50)가 하나의 축 또는 복수 개의 축에 하나의 기어 또는 복수 개의 기어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축에 복수 개의 기어가 맞물리는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핸드체인풀리(20)는 제1축(51)에 연결되어있는 전달기어(50)와 제1 체인풀리(30) 및 제2 체인풀리(40)에 동력을 전달하며, 핸드체인풀리(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동체인(21)을 감거나 풀어 핸드체인풀리(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구동체인(21)은 물건을 들어올릴 때 수동으로 조작하는 체인으로 구동체인(21)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면서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이때, 구동체인(21)을 수동으로 조작하면서 핸드체인풀리(20)의 구동력이 전달기어(50)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기어(50)는 핸드체인풀리(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로 핸드체인풀리(20)에 결합되어 구동체인(21)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된다. 전달기어(50)는 핸드체인풀리(20)와 동일한 축에 연결되며, 기어비가 다른 복수 개의 기어가 맞물려서 형성될 수 있다. 기어비가 다른 기어의 수가 많아지면 토크를 적절히 조절하여 적은 힘으로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기어가 맞물려 저항이 증가하므로 안정적일 수 있다. 반면, 기어의 수가 줄어들게 되면 구조적으로 간편하며 하우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기어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상의 전달기어(50)는 제1 전달기어(511)와 제2 전달기어(512)로 형성되어, 제1 전달기어(511)는 핸드체인풀리(20)와 동일한 제1축(51)에 형성되며, 제2 전달기어(512)는 제1전달기어(511)의 양 측에 맞물려 형성되는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전달기어(50)는 핸드체인풀리(20)와 동일한 축에 형성되어, 핸드체인풀리(2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다른 기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전달기어(50)는 핸드체인풀리(20)의 회전축인 제1축(51)상에 함께 결합된 제1 전달기어(511)와 제1축(51)과 평행한 제2축(52)상에 연결되며 제1 전달기어(511)와 치합되는 제2 전달기어(512)를 포함한다.
제1 전달기어(511)와 제2 전달기어(512)는 각각 서로 평행한 두 축에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전달기어(511)는 핸드체인풀리(20)의 회전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전달기어(512)는 제1 전달기어(511)와 맞물려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전달기어(5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기어(511)에 맞물려 제1 전달기어(511)와 평행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축(51)을 중심에 두고 복수 개의 제2 전달기어(512)가 각각 서로 다른 제2축(52)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전달기어(512)는 하나의 기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직경이 서로 다른 제1 전달기어치(512a)와 제2 전달기어치(51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전달기어(511)에 평행하게 맞물린 한 쌍의 제2 전달기어(512)는 제1 전달기어치(512a)와 제2 전달기어치(512b)가 결합하여 형성된다. 제2 전달기어치(512b)의 직경은 제1 전달기어치(512a)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합하며,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2 전달기어치(512b)의 사이에는 제1 체인풀리(30) 및 제2 체인풀리(40)와 맞물릴 수 있다.
제1 체인풀리(30)는 전달기어(5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물체를 들어올리는 부재로, 제1 체인(31)이 맞물리는 제1 풀리부(32)와 제1 풀리부(32)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전달기어(50)와 치합되는 제1 기어부(3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체인풀리(30)는 제1 풀리부(32)와 제1 기어부(33)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제1 풀리부(32)에는 하우징(10)을 관통하는 제1 체인(31)이 형성되며, 제1 기어부(33)는 제2 전달기어치(512b)와 맞물리게 형성된다. 제1 기어부(33)는 제2 전달기어치(512b)의 사이에 맞물리게 형성되어 제2 전달기어치(512b)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2 전달기어치(512b)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체인풀리(30)는 제1 풀리부(32)와 제1 기어부(33)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풀리부(32)와 제1 기어부(33)를 연결하는 중공형의 제1 원통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리부(32)와 제1 기어부(33) 사이에 중공형의 제1 원통부(34)가 형성되어 제1 체인풀리(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원통부(34)의 외주면에 제2 체인풀리(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인풀리(40)는 제2 체인(41)이 맞물리는 제2 풀리부(42)와 제2 풀리부(42)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전달기어(50)와 치합되는 제2 기어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체인풀리(40)는 제2 풀리부(42)와 제2 기어부(43)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제2 풀리부(42)에는 하우징(10)을 관통하는 제2 체인(41)이 형성되며, 제2 기어부(43)는 제2 전달기어치(512b)와 맞물리게 형성된다. 이때 제2 기어부(43)와 제1 기어부(33)는 동일축에 나란히 배치되어 제2 전달기어치(512b)와 맞물릴 수 있다. 제2 기어부(43)는 제2 전달기어치(512b)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2 전달 기어치와 반대방향, 제1 기어부(33)와는 같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체인풀리(40) 또한 제2 풀리부(42)와 제2 기어부(43)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풀리부(42)와 제2 기어부(43)를 연결하는 중공형의 형상을 가진 제2 원통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풀리부(42)와 제2 기어부(43) 사이에 중공형의 제2 원통부(44)가 형성되어 제2 체인풀리(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 체인풀리(40)는 제1 원통부(34)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인풀리(40)는 제2 체인풀리(40), 제2 원통부(44) 및 제2 풀리부(42)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체인풀리(40)는 제1축(51)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 제2 기어부(43)가 제2 전달기어치(512b)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 체인풀리(40)가 이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 체인풀리(30)와 제2 체인풀리(40)의 길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제2 체인풀리(40)에 접하는 이동부재(61)가 제2 체인풀리(40)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고, 고정부재(60)가 제2 체인풀리(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체인블록 기어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핸드체인풀리(20)에 의해 회전하는 제1축(51)에 제2 전달기어(512)가 형성되어 제1축(51)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하며, 제1 전달기어(511)의 양 옆에 제1 전달기어(511)와 맞물려 형성되는 제2 전달기어(512)는 제1 전달기어(51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전달기어(512)는 제1 전달기어치(512a)와 제2 전달기어치(512b)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제1 전달기어치(512a)는 제1 전달기어(511)와 맞물려 형성되며, 제2 전달기어치(512b)는 제1 전달기어치(512a)의 측부에 결합하여 제1 전달기어치(512a)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전달기어치(512b)에는 제1 기어부(33)와 제2 기어부(43)가 맞물려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전달기어치(512b)의 회전에 따라 제1 기어부(33)와 제2 기어부(43)는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부(33)는 위치가 고정되어 작동하지만 제2 기어부(43)는 제2 전달기어치(512b)로부터 이탈하여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61)가 제2 기어부(43)의 측부에 형성되어 제2 기어부(43)를 슬라이딩 이동 시킴으로써 제2 전달기어치(512b)로부터 치합 및 이탈이 가능하다.
이동부재(61)는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가 제2 체인풀리(40)의 측부에 접하여 축방항으로 제2 체인풀리(4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동부재(61)는 포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제2 전달기어치(512b)와 맞물려 있는 제2 기어부(43)의 양 측부에 접하고 타단부가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되어 제2 체인풀리(40)를 제2 전달기어치(512b)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제2 전달기어치(512b)로부터 이탈된 제2 체인풀리(40)는 제2 체인(41)에 고정되어있는 물체로부터의 무게영향을 받아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60)로부터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60)는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가 제2 기어부(43)에 삽입되어 제2 체인풀리(4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에 힌지 결합되어있는 고정부재(60)는 하우징(10)을 관통하고 내측으로 형성되어어 제2 체인풀리(4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2 기어부(4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 체인풀리의 이동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체인블록의 제2 체인풀리의 이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2의 체인블록의 제2 체인풀리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체인풀리(30)와 제2 체인풀리(40)는 중앙에 핸드체인풀리(20)의 회전축인 제1축(51)이 관통하고 있으며, 제1 기어부(33)와 제2 기어부(43)가 제2 전달기어치(512b)에 맞물려 있고, 제1 체인풀리(30)와 제2 체인풀리(40)는 전달기어(5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인풀리(40)가 제2 전달기어치(512b)에 접하고 있는 상태에는, 핸드체인풀리(20)의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은 기어들이 회전하면서 제1 체인풀리(30)와 제2 체인풀리(4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체를 고정하고 있는 제1 체인(31)과 제2 체인(41)은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기어부(43)는 측부에 이동부재(61)가 접하고 있어 이동부재(61)를 작동하여 제2 체인풀리(40)를 제1 원통부(34)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게 가능하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61)가 제2 체인풀리(40)를 이동시킴에 따라 제2 기어부(43)는 맞물려있는 기어가 없으며, 핸드체인풀리(20)와 전달기어(50)가 회전하더라도 제2 체인풀리(40)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2 체인풀리(40)가 제2 전달기어치(512b)로부터 이탈 되어있는 상태에서는 핸드체인풀리(20)를 작동하였을 떼 제1 체인풀리(30)의 제1 체인(31)만 상하 이동을 할 뿐 제2 체인(41)은 작동하지 않는다.
즉, 제1 체인풀리(30)와 제2 체인풀리(40)의 중앙이 제1축(51)을 관통하고 있더라도 제1축(5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지 않으며,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제2 체인풀리(40)가 제2 전달기어치(512b)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고정부재(60)가 제2 기어부(43)를 고정시킴으로써, 제1 체인(31)과 제2 체인(41)에 물체가 고정되어있는 상태에서 제1 체인풀리(30)가 회전할 경우 제2 체인풀리(40)의 회전을 제한하여 물체를 이동하는데 있어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체인블록을 이용하여 물체의 방향을 전환하여 들어올리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체인블록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물체를 90°회전하여 상승시키고 있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물체(M)를 가로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기어비가 동일한 제1 체인풀리(30)와 제2 체인풀리(40)에 고정되어 평행하게 상승하는 물체(M)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의 (a)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눕혀있는 무거운 물체(M)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제1 체인풀리(30)와 제2 체인풀리(40)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여야 한다. 제1 체인풀리(30)와 제2 체인풀리(40)는 같은 축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부(43)가 제2 전달기어치(512b)에 맞물려 있는 상태이므로 제1 체인풀리(30)와 제2 체인풀리(40)는 동시에 평행하게 상승할 수 있다. 즉, 제1 체인(31)과 제2 체인(41)의 후크(11)를 물체(M)의 견인고리에 고정한 뒤에, 구동체인(21)을 잡아당겨 핸드체인풀리(20)를 회전시킨다. 이때 제1 체인(31)과 제2 체인(41)이 모두 회전하여 체인이 위로 이동하려면 제2 체인풀리(40)는 제2 전달기어치(512b)에 맞물려 있는 상태여야 한다. 구동체인(21)을 당기면 도 6의 (b)와 같이 구동체인(21)이 연결되어있는 핸드체인풀리(20)가 회전하면서 구동력이 전달기어(50)로 전달되어 전달기어(50)와 맞물려있는 제1 기어부(33)와 제2 기어부(43)가 회전한다. 제1 기어부(33)와 제2 기어부(43)의 회전에 따라 제1 체인풀리(30)와 제2 체인풀리(40)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체(M)가 지면으로부터 올라간다.
도 7은 제1 체인(31)만 당겨서 상승하고 있는 물체(M)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물체(M)가 올라간 후 방향을 전환하기 전에 제2 체인(41)의 결합을 풀어도 지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 제1 체인(31)을 상승시킨다. 한쪽 체인만 상승시키려면 제2 체인풀리(40)가 제2 전달기어치(512b)로부터 이탈되어있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61)를 이용하여 제2 기어부(43)를 제2 전달기어치(512b)에서 이탈시킨 후에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제2 기어부(43)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체인(21)을 잡아당기면 도 7의 (a)와 같이 핸드체인풀리(20)와 제1 체인풀리(30)만 회전하면서 제1 체인(31)이 고정된 부분만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2 체인(41)을 물체(M)로부터 이탈시키더라도 물체(M)가 지면에 닿지 않을 정도로 물체(M)의 한쪽만 상승시킨다.
도 8은 도7에서 물체(M)가 상승하지 않는 제2 체인(41)을 제거하여 물체(M)가 회전하며 방향전환을 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물체(M)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제2 기어부(43)가 고정된 상태에서 핸드체인풀리(20)를 작동하지 않고 제2 체인(41)의 리프팅후크(12)를 결합되어있는 견인고리로부터 탈착시킨다. 제2 체인(41)이 견인고리로부터 탈착되면 도 8의 (a)와 같이 물체(M)가 대략 90° 회전하면서 물체(M)가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와 가까워지며, 제1 체인(31)에만 걸려있는 상태가 된다. 물체(M)의 방향이 가로방향에서 세로방향으로 바꾸어 다시 들어올리기 위해 탈착시킨 체인을 다시 물체(M)에 연결해야 한다. 물체(M)에 체인을 연결하기 전에 수평을 맞추기 위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M)를 지면에 내려놓는다.
도 9는 물체(M)가 지면에 내려와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물체(M)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도 9의 (b)와 같이 고정부재(60)를 제2 기어부(43)로부터 탈착시킨 후 제1 체인(31)과 제2 체인(41)이 수평을 맞추도록 제2 체인(41)을 물체(M)에 고정시킨 후 제2 체인(41)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도 9의 (a)와 같이 제1 체인(31)과 제2 체인(41)의 수평을 맞추도록 한다.
도 10은 물체(M)를 들어올리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시 물체(M)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61)로 제2 체인풀리(40)를 이동시켜 제2 전달기어치(512b)와 제2 기어부(43)가 맞물리도록 한 뒤에, 구동체인(21)으로 핸드체인풀리(20)를 조절하여 제1 체인(31)과 제2 체인(41)을 위로 끌어올려 물체(M)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작동한다.
본 발명의 구조로 인해 별도의 추가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물체(M)를 들어올려 작업성이 향상되었으며, 무거운 물체(M)를 회전시키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무거운 물체(M)의 방향을 전환하여 들어올려야 하는 경우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체인풀리를 이용하여 손쉽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체인블록 10: 하우징
11: 후크 12: 리프팅후크
20: 핸드체인풀리 21: 구동체인
30: 제1 체인풀리 31: 제1 체인
32: 제1 풀리부 33: 제1 기어부
34: 제1 원통부 40: 제2 체인풀리
41: 제2 체인 42: 제2 풀리부
43: 제2 기어부 44: 제2 원통부
50: 전달기어 51: 제1축
52: 제2축 60: 고정부재
61: 이동부재 511: 제1 전달기어
512: 제2 전달기어 512a: 제1 전달기어치
512b: 제2 전달기어치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결합되며 구동체인이 맞물리는 핸드체인풀리;
    상기 핸드체인풀리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체인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전달기어;
    제1 체인이 맞물리는 제1 풀리부와, 상기 제1 풀리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제1 기어부를 포함하는 제1 체인풀리;
    제2 체인이 맞물리는 제2 풀리부와, 상기 제2 풀리부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하는 제2 체인풀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체인풀리는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 상기 제2기어부가 상기 전달기어로부터 이탈 가능하며,
    상기 제1 체인풀리와 상기 제2 체인풀리는 중앙에 상기 핸드체인풀리의 회전축인 제1축이 관통하는 체인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어는 상기 핸드체인풀리와 동일 축에 연결되는 체인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어는, 상기 핸드체인풀리의 회전축인 제1축 상에 함께 결합된 제1 전달기어와,
    상기 제1축과 평행한 제2축 상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달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체인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은 복수 개가 상기 제1축을 중심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2 전달기어는 복수 개가 상기 제1 전달기어를 중심에 두고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제2축에 결합되는 체인블록.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기어는, 상기 제1 전달기어와 치합되는 제1 전달기어치와,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 전달기어치를 포함하는 체인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기어치와 상기 제2 전달기어치는 기어비가 서로 상이한 체인블록.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인풀리는 상기 제1 풀리부와 상기 제1 기어부를 연결하는 중공형의 제1 원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체인풀리는 상기 제2 풀리부와 상기 제2 기어부를 연결하는 중공형의 제2 원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체인풀리는 상기 제1 원통부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인블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기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체인풀리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체인블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체인풀리의 측부에 접하여 상기 축방향으로 상기 제2 체인풀리를 슬라이딩 이동 시키는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체인블록.
KR1020160121917A 2016-09-23 2016-09-23 체인 블록 KR10186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17A KR101864273B1 (ko) 2016-09-23 2016-09-23 체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17A KR101864273B1 (ko) 2016-09-23 2016-09-23 체인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08A KR20180032808A (ko) 2018-04-02
KR101864273B1 true KR101864273B1 (ko) 2018-06-04

Family

ID=6197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917A KR101864273B1 (ko) 2016-09-23 2016-09-23 체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133B1 (ko) * 2018-08-27 2019-07-23 조광호 승하강 구동 장치
CN113526386B (zh) * 2021-07-19 2023-05-16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用脚手架钢管吊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0099A (ja) * 1988-10-18 1990-04-23 Tokyu Constr Co Ltd チェーン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808A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4765A (en) Apparatus for rotating heavy objects
KR101864273B1 (ko) 체인 블록
EP3760829A1 (en) A gripper device for gripping a pipe
CN104088965B (zh) 一种直线伸缩装置
TW201437477A (zh) 用於裝卸用於一風力渦輪機之塔節段強化籠架的抓取裝置
CN113581995B (zh) 一种工程设备安装用吊装装置
KR101926167B1 (ko) 체인 블록
KR200435379Y1 (ko) 무대설비의 승하강장치
CN114314294A (zh) 一种吊具和起吊方法
KR102073341B1 (ko) 체인 블록
KR20100088577A (ko)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
KR101291769B1 (ko)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KR101863799B1 (ko) 체인 블록
CN109895069A (zh) 机械手、转移装置、核酸提取分离装置及样品板的转移方法
JP2006096500A (ja) 巻上装置
CN216971708U (zh) 软硬结合的吊装机构
KR102205962B1 (ko) 변속 가능한 양승기
CN220998938U (zh) 圆锥轴承套圈加工用的起吊装置
CN218200910U (zh) 一种水利施工用涵管卸料装置
CN104790878B (zh) 折叠式长行程钻机
KR0118359Y1 (ko) 이동 승강기구
CN118220977B (zh) 回转支承吊运设备
CN219595246U (zh) 一种电磁炒药机
KR100337379B1 (ko)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CN217297094U (zh) 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