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769B1 -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 Google Patents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769B1
KR101291769B1 KR1020120011108A KR20120011108A KR101291769B1 KR 101291769 B1 KR101291769 B1 KR 101291769B1 KR 1020120011108 A KR1020120011108 A KR 1020120011108A KR 20120011108 A KR20120011108 A KR 20120011108A KR 101291769 B1 KR101291769 B1 KR 101291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driven
cylinder housing
variable transmission
continuousl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응수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16H9/125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trolling the geometrical interrelationship of pulleys and the endless flexible member, e.g. belt alignment or position of the resulting axial pulley force in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pulley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 F16H9/1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two pulleys, both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 F16H9/18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using two pulleys, both built-up out of adjustable conical parts only one flange of each pulley bein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2055/366Pulleys with means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기존의 무단변속기의 문제점인 동력전달 과정에서 미끄럼에 의한 구동 손실을 방지하면서도 변속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수동변속장치를 장착한 무단변속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변속기의 수동변속장치는 구동풀리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조물과 고정되는 실린더 하우징과, 실린더 하우징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일단에 장착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사방에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어 구동풀리에 접촉하는 푸시풀로드와, 실린더 하우징 및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과, 외부에서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피스톤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푸시풀로드의 하단에는 롤이 장착되어 푸시풀로드와 구동풀리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Mechanically-driven manual shift device for the continuous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가변 풀리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스프링과 풀리를 이용하여 장력조절을 통하여 변속비를 조절하여 주는 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무단변속기(CVT :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는 크게 트랙션 구동식과 벨트구동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유성기어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변속기로서 기관에 연결된 구동풀리 및 구동륜에 연결된 피동풀리와, 구동풀리 및 피동풀리를 연결하는 강제 벨트로 구성되어 풀리의 지름비(풀리비)를 변화시켜 변속을 행하는 것으로서 엔진 토오크가 그다지 크지 않은 대중 자동차용으로 개발된 것이다.
무단변속기에서는 피동차의 회전수가 어느 범위 안에 있으면 속도를 연속적으로 바꿀 수 있고 또 운전중에도 자유로이 바꿀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축(10)에 설치되는 구동풀리(A)와, 피동축(20)에 설치되는 피동풀리(B)와, 구동풀리(A)와 피동풀리(B)의 사이에 감아걸리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30)와, 구동풀리(A)와 피동풀리(B)의 폭을 조절하는 유압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구동풀리(A)는 형상이 동일한 한쌍의 원추차로 이루어진다. 즉 구동축(10)에는 고정원추차(12)가 형성되며, 동일한 형상의 이동원추차(14)가 고정원추차(12)와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이동원추차(14)는 구동축(10)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피동풀리(B)도 구동풀리(A)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원추차(22)와 이동원추차(24)로 이루어진다.
한편, 구동풀리(A)와 피동풀리(B)의 사이에는 벨트(30)가 감겨지며, 구동풀리(A)의 이동원추차(14) 및 피동풀리(B)의 이동원추차(24)에는 이동원추차(14, 24)의 축방향이동을 제어하는 유압조절장치가 연결된다.
구동축(10)과 피동축(20)의 회전속도비는 구동풀리(A)와 피동풀리(B)의 반지름의 비에 반비례하므로 구동풀리(A) 및 피동풀리(B)의 반지름(R1, R2)을 변화시킴으로서 속도비를 변화시킨다. 여기서 구동풀리(A) 및 피동풀리(B)의 반지름은 구동풀리(A) 및 피동풀리(B)와 벨트(30)의 접촉반지름(R1, R2)을 의미하고, 이 접촉반지름(R1, R2)은 풀리(A, B)의 폭에 따라 변하므로 구동풀리(A) 및 피동풀리(B)의 폭을 유압제어장치에 의하여 조절시킴으로써 변속을 실시한다.
따라서 고속으로 변속하기위해서 구동풀리(A)의 반지름(R1)을 크게하고 피동풀리(B)의 반지름(R2)을 작게 해야 하므로, 유압제어장치는 구동풀리(A)의 원추쌍이 가까워져 구동풀리(A)의 반지름(R1)이 커지도록 이동원추차(12)를 고정원추차(12)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벨트(30)는 항상 일정한 장력을 가지고 감겨져있어야 하므로 유압제어장치는 피동풀리(B)의 원추쌍은 벌어지도록 피동풀리(B)의 이동원추차(24)는 고정원추차(22)에서 멀어지도록 제어한다. 즉 두 쌍의 풀리(A, B)는 그 한쪽쌍이 서로 가까워지면 다른쪽의 한쌍은 반대로 멀어지도록 제어된다.
결국 구동풀리(A)의 폭은 좁아져서 벨트(30)는 구동축(10)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피동풀리(B)의 폭은 넓어져서 벨트(30)는 피동축(20) 중심으로 접근하여, 구동풀리(A)의 접촉반지름(R1)은 커지고 피동풀리(B)의 접촉반지름(R2)은 작아져서 피동축(20)의 회전속도가 증가한다. 즉 벨트(30)가 감겨져 있는 구동풀리(A) 및 피동풀리(B)의 반지름(R1,R2)의 비가 변하여 구동축(10)과 피동축(20)의 회전속도비가 바꾸어지므로 감속비를 무단계로 바꿀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단변속기는 변속비를 연속적 압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동력 전달과정에서 미끄럼 등에 의한 구동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대부분의 무단변속기는 밸트의 마찰력 손실을 보정하지 못하고 또한 원심력에 의하여 작동하므로 변속 타이밍과 변속비를 원하는 바에 따라 조절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문제점인 동력전달 과정에서 미끄럼에 의한 구동 손실을 방지하면서도 변속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수동변속장치를 장착한 무단변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축상에 결합되어 서로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는 원추 형태의 구동풀리와, 피동축상에 결합되어 서로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는 원추 형태의 피동풀리와, 구동풀리 및 피동풀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밸트와, 구동풀리의 일측에 접촉하여 구동풀리를 수동으로 오므리거나 벌어지게 하는 수동변속장치를 포함하는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수동변속장치는,
구동풀리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조물과 고정되는 실린더 하우징과, 실린더 하우징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의 일단에 장착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사방에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어 구동풀리에 접촉하는 푸시풀로드와, 실린더 하우징 및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과, 외부에서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피스톤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를 제공한다.
이때, 푸시풀로드의 하단에는 롤이 장착되어 푸시풀로드와 구동풀리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는 결합대가 형성되고, 이 결합대에 케이블의 튜브가 고정되며, 플레이트의 중앙에 케이블의 와이어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무단변속기가 갖고 있는 문제점인 동력전달과정에서 미끄럼에 의한 구동손실을 방지하면서도 원하는 타이밍에 적절한 변속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단변속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변속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수동변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변속기의 작동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를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단변속기는 동력 입력부, 입력된 동력이 변속되어 출력되는 출력부, 입력부와 출력부를 연결하는 밸트(30), 입력된 동력을 변속시키는 수동변속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는 배경기술에서도 설명하였듯이 구동축(10)과, 이 구동축(10)상에서 서로 오므라 들거나 벌어지는 원추형상의 구동풀리(A)로 구성된다. 출력부는 피동축(20)과, 이 피동축(20)상에서 서로 오므라 들거나 벌어지는 원추형상의 피동풀리(B)로 구성된다. 그리고 밸트(30)가 구동풀리(A)와 피동풀리(B)에 감겨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의 가장 큰 특징인 수동변속장치(100)는 구동풀리(A)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장치(100)는 구동풀리(A)와 이격되게 배치된 실린더 하우징(110)과, 이 실린더 하우징(110)에 삽입되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20)과, 피스톤(120)의 일단에 고정된 플레이트(130)와, 플레이트(130)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구동풀리(A)측으로 연장되는 푸시풀로드(140)와, 플레이트(130)에 고정되어 피스톤(120)을 왕복운동시키는 케이블(160)과, 실린더 하우징(110)과 플레이트(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반력을 주는 압축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린더 하우징(110)은 양단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그 일단이 구동풀리(A)와 이격되어 있으면서 그 외부에 연결대(112)가 형성되어 이 연결대(112)가 고정구조물에 결합된다. 그리고 실린더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결합대(1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대(114)에 케이블(160)의 튜브(161)가 고정된다.
피스톤(120)과 플레이트(130)와 푸시풀로드(140)는 서로 일체화 된 것으로, 피스톤(120)이 실린더 하우징(110)내에 삽입되어 실린더 하우징(110)의 안내를 받으면서 흔들림 없이 왕복운동하도록 해주며, 플레이트(130)는 피스톤(120)과 푸시풀로드(140)를 연결해주는 중간 역할을 한다. 이때, 피스톤(120)은 그 내부가 중공되어 있고, 이 피스톤(120)의 내부를 통해 케이블(160)의 와이어(162)가 관통하여 플레이트(130)의 중앙에 와이어(162)의 단부가 고정된다.
푸시풀로드(14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등간격 원형배열로 평행하게 형성된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3개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푸시풀로드(140)의 하단에는 구동풀리(A)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롤(141)이 자유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구동풀리(A)는 계속 회전을 하여야 하고, 푸시풀로드(140)의 하단은 구동풀리(A)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마찰에 의한 동력의 손실을 방지하고자 롤(141)을 이용하여 미끄럼운동이 되도록 하였다.
실린더 하우징(110)과 플레이트(130)의 사이에 배치된 압축스프링(150)은 리턴용으로, 피스톤(120)이 외력에 의해 하강한후에 외력이 없어지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반력이 작용된다. 이러한 압축스프링(150)이 실린더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반력을 갖게 하기 위해 실린더 하우징(110)의 외부에는 돌출된 링 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는 사용자가 케이블(160)의 와이어(162)를 외부에서 당기게 되면 푸시풀로드(140)가 하강하면서 구동풀리(A)를 압축하여 구동풀리(A)의 간격을 좁혀주어 밸트(30)의 접촉 반지름이 커지면서 증속이 된다. 반대로 당겼던 와이어(162)를 놓게 되면 압축스프링(150)의 반력에 의해 푸시풀로드(140)가 승강하면서 구동풀리(A)의 압축이 해제되어 구동풀리(A)의 간격을 넓혀주어 밸트(30)의 접촉 반지름이 작아지면서 감속이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구동축 A : 구동풀리
20 : 피동축 B : 피동풀리
100 : 수동변속장치 110 : 실린더 하우징
112 : 연결대 114 : 결합대
120 : 피스톤 130 : 플레이트
140 : 푸시풀로드 141 : 롤
150 : 압축스프링 160 : 케이블
161 : 튜브 162 : 와이어

Claims (3)

  1. 구동축(10)상에 결합되어 서로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는 원추 형태의 구동풀리(A)와, 피동축(20)상에 결합되어 서로 오므라들거나 벌어지는 원추 형태의 피동풀리(B)와, 상기 구동풀리(A) 및 피동풀리(B)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밸트(30)와, 상기 구동풀리(A)의 일측에 접촉하여 구동풀리(A)를 수동으로 오므리거나 벌어지게 하는 수동변속장치(100)를 포함하는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수동변속장치(100)는,
    상기 구동풀리(A)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조물과 고정되는 실린더 하우징(110)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피스톤(120)과, 상기 피스톤(120)의 일단에 장착되는 플레이트(130)와, 상기 플레이트(130)의 사방에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풀리(A)에 접촉하는 푸시풀로드(140)와,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 및 플레이트(130)의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150)과, 외부에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푸시풀로드(140)를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는 케이블(1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로드(140)의 하단에는 롤(141)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결합대(114)가 형성되고, 이 결합대(114)에 상기 케이블(160)의 튜브(161)가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130)의 중앙에 상기 케이블(160)의 와이어(162)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KR1020120011108A 2012-02-03 2012-02-03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KR101291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08A KR101291769B1 (ko) 2012-02-03 2012-02-03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08A KR101291769B1 (ko) 2012-02-03 2012-02-03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769B1 true KR101291769B1 (ko) 2013-07-31

Family

ID=4899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108A KR101291769B1 (ko) 2012-02-03 2012-02-03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9613A (zh) * 2018-10-08 2018-12-21 端源医疗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突变挤出变径牵引机及其加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334Y1 (ko) * 1984-10-10 1986-11-24 주식회사금성사 브이벨트를 이용한 변속장치
JPS6213853A (ja) * 1985-07-10 1987-01-22 Aisin Warner Ltd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H06101756A (ja) * 1992-09-18 1994-04-12 Bando Chem Ind Ltd プーリ式変速装置
JPH06123354A (ja) * 1992-10-09 1994-05-06 Bando Chem Ind Ltd プーリ式変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334Y1 (ko) * 1984-10-10 1986-11-24 주식회사금성사 브이벨트를 이용한 변속장치
JPS6213853A (ja) * 1985-07-10 1987-01-22 Aisin Warner Ltd V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H06101756A (ja) * 1992-09-18 1994-04-12 Bando Chem Ind Ltd プーリ式変速装置
JPH06123354A (ja) * 1992-10-09 1994-05-06 Bando Chem Ind Ltd プーリ式変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9613A (zh) * 2018-10-08 2018-12-21 端源医疗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突变挤出变径牵引机及其加工工艺
CN109049613B (zh) * 2018-10-08 2023-09-19 端源医疗科技无锡有限公司 一种突变挤出变径牵引机及其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1130U (ja) 伝動装置
CN1633568A (zh) 无级变速器
WO2021115024A1 (zh) 变径链条环轮以及变径链条环轮变速器
KR101291769B1 (ko) 수동변속장치를 갖는 무단변속기
EP1553333A3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TE291185T1 (de) Verbindungsvorrichtung für stufenlose riemengetriebe mit antriebsringen
CN207195584U (zh) 一种无级变速传动装置
JP3381914B1 (ja) 無段変速機
CN102878268B (zh) 一种变径曲轴式齿轮无级变速方法及变速器
CN203395123U (zh) 连续变速器
CN211852729U (zh) 变径链条环轮以及变径链条环轮变速器
CN108533700B (zh) 一种无级变速器
CN103363046A (zh) 连续变速器
JP6437241B2 (ja) 無段変速機
RU2289740C1 (ru) Вариатор с гибкой связью
KR101116651B1 (ko) 무단 변속장치
CN213628732U (zh) 一种传动装置
RU2668847C1 (ru) Передача ременная
WO2022240276A1 (en) Stepless belt transmission
AU6153901A (en) Geared drive ring coupler
RU2029177C1 (ru) Вариатор с гибкой связью
KR101360431B1 (ko) 무단변속기
CN108506447B (zh) 一种无级变速器
WO2003042575A2 (en) Infinitely variable transmission machine
CN112145642A (zh) 一种传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