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723B1 -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723B1
KR101863723B1 KR1020150052004A KR20150052004A KR101863723B1 KR 101863723 B1 KR101863723 B1 KR 101863723B1 KR 1020150052004 A KR1020150052004 A KR 1020150052004A KR 20150052004 A KR20150052004 A KR 20150052004A KR 101863723 B1 KR101863723 B1 KR 101863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hopper
module
backwar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008A (ko
Inventor
이호재
Original Assignee
(주)시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시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5005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72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2Pile receivers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용카드, 전화카드, 회원카드, 명함카드와 같은 각종 카드의 표면에 문자와 그래픽 등을 프린팅하는 카드 프린터에서 카드들을 보관하고 있다가 인출하여 프린터모듈로 투입하는 프린터의 카드 피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류를 달리하는 카드들이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호퍼를 구비하고, 프린팅할 카드를 수납하고 있어 선택된 호퍼는 회전하여 이송모듈 앞에 자동으로 배치되도록 하여서, 다른 종류의 카드를 프린팅하는 경우에 매번 호퍼 내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은 카드를 공급하는 호퍼모듈;
상기 호퍼모듈의 카드를 인출하여 프린터모듈로 투입하는 이송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호퍼모듈은 카드들을 수납하는 호퍼와, 복수개의 상기 호퍼가 방사상으로 장착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선택된 호퍼가 상기 이송모듈 앞에 배치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System feeding multi kinds of card}
본 발명은 신용카드, 전화카드, 회원카드, 명함카드와 같은 각종 카드의 표면에 문자와 그래픽 등을 프린팅하는 카드 프린터에서 카드들을 보관하고 있다가 인출하여 프린터모듈로 투입하는 프린터의 카드 피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류를 달리하는 카드들이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호퍼를 구비하고, 프린팅할 카드를 수납하고 있어 선택된 호퍼는 회전하여 이송모듈 앞에 자동으로 배치되도록 하여서, 다른 종류의 카드를 프린팅하는 경우에 매번 호퍼 내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소형, 경량, 내구성, 기능성, 편의성 등의 이유로 신용카드, 회원카드과 같은 여러 종류의 카드를 사용한다. 종이를 사용하던 명함도 최근에는 카드를 사용하는 명함카드도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정보를 담고, 제 기능(예; 결제기능, 출입허가기능 등)을 수행하고, 위변조를 방지하고, 꾸미기를 하기 위해서 일면이나 양면을 프린터를 이용해 프린팅(인쇄)을 한다.
카드 프린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489호 "신용카드 인쇄기의 이송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197603호 "초박형 신용카드 홀로그램 인쇄기의 카드 자동분리 및 이송장치", 등록특허 제10-0266143호 "감열식 카드 프린터의 카드 공급장치" 등이 개시되었다.
도1은 상기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489호 "신용카드 인쇄기의 이송장치"가 제안하는 카드 프리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카드 프린터는 카드(C)를 적재하여 수납하는 호퍼모듈(3), 카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린팅을 하는 프린터모듈(1, F)과, 호퍼모듈(3)의 카드(C)를 인출하여 프린터모듈(1, F)로 투입하는 이송모듈(10, 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프린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즉, 카드 프린팅 작업 중에 카드 부족으로 작업이 중단되지 않도록 많은 양의 카드를 수납하기 위해 호퍼모듈(3)은 카드(C)를 상하방향으로 적재하여 수납한다.
도1의 호퍼모듈(3)은 같은 종류의 카드에 프린팅을 하는 경우에는 유리하다. 그렇지만 근래에는 개개인의 개성을 존중하게 되면서 카드에도 개인의 취향이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는 추세에 있어서, 프린팅 작업 중에 다른 종류의 카드에 프린팅 작업을 해게 되는 경우가 많다. 즉, 프린팅 작업 중에 카드를 교체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도1 처럼 하나의 호퍼모듈(3)에 카드들을 적재하여 수납하는 경우에는 다른 종류의 카드에 프린팅을 하고자 할 때면 매번 호퍼모듈(3)에 적재되어 있는 카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이 발생하고, 작업 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1의 종래기술 처럼 카드를 호퍼모듈(3)에 상하방향으로 적재하고, 회전하는 고무롤러가 최하단의 카드를 마찰력으로 밀어 인출시키는 경우에, 최하단의 카드는 그 위에 적재되는 카드의 수량에 따라 받는 하중이 달라지게 되어서 고무롤러가 최하단의 카드를 마찰력으로 인출시키는 때에 적대되어 있는 카드의 수량에 따라 부하가 달라지게 된다. 부하가 달라짐은 카드의 인출이 계획된 것보다 더디거나 빠르게 인출되고, 고무롤러의 마모가 급속히 진행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카드를 인출시키는 고무롤러는 인출명령이 입력되면 전진 및 회전하여 카드를 접촉 마찰력으로 호퍼모듈(3)에서 인출시키고, 카드의 인출 후에는 후진하여 카드에서 분리되어 다음번의 인출명령에 준비를 한다.
즉, 고무롤러는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고, 전진시에는 카드의 인출을 위해 회전을 하게 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무롤러의 전후진을 위해 실린더(또는 모터와 기어뭉치)를 사용하고, 고무롤러의 회전을 위해서는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고무롤러의 전후진과 회전을 위해 두 개의 동력기구(즉, 실린더와 모터)를 사용함은 이들의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 두 동력기구의 구동이 동기화되어야 하는 문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위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카드 프린터에서 카드 피딩 시스템(호퍼모듈과 이송모듈)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작업 중에 프린팅할 카드를 바꿔야 하는 경우에 기존 카드를 모두 호퍼에서 꺼내고 새로운 카드를 그 호퍼에 넣어야 하는, 즉, 카드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고, 그에 따라 카드의 종류가 바뀌더라도 프린팅 작업을 연속하여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카드를 상하방향이 아닌 전후방향으로 적재하여 적재된 카드의 수량에 따른 부하의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방지하고, 카드를 인출시키는 인출롤러의 전후진과 회전이 하나의 모터를 통해 수행되도록 하여 이송모듈의 컴팩트화, 에너지 절감, 오작동 방지를 기대할 수 있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은
카드를 공급하는 호퍼모듈;
상기 호퍼모듈의 카드를 인출하여 프린터모듈로 투입하는 이송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호퍼모듈은
카드들을 수납하는 호퍼와,
복수개의 상기 호퍼가 방사상으로 장착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선택된 호퍼가 상기 이송모듈 앞에 배치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는
카드들이 전후방향으로 적재되어 수납되고, 전방 하부에 인출구가 구비되는 수납틀과,
상기 수납틀에 전후진 가능하게 내장되어 수납된 카드들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미는 전후진판과,
외측은 상기 수납틀과 전후진판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내측은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결합되는 제1,2 푸시판과,
상기 제1푸시판과 제2푸시판 사이에 개재되어 펼침되려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송모듈은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진플레이트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에 장착되고, 회전하면서 접촉 마찰력으로 카드를 상기 호퍼에서 인출시키는 인출롤러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인출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후진플레이트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인출롤러가 카드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전후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후진수단은
상기 모터와 인출롤러 사이에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와,
상기 모터, 인출롤러 및 샤프트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인출롤러로 전달하는 모터기어, 롤러기어 및 중계기어,
상기 샤프트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편심원체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편심원체가 관통배치되고, 편심원체의 외경에 상응하는 전후폭과, 편심원체의 편심운동 범위에 상응하는 상하폭을 갖는 전후진가이드홀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전후진플레이트를 연결하여서, 전후진플레이트가 전진하려는 힘을 받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호퍼에서 인출되는 카드를 받아 아래로 전달하는 전달롤러와,
상기 전달롤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전달된 카드를 수평방향으로 눕힌 후에 상기 프린터모듈로 전달하여 투입시키는 회전이송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은 카드가 수납되는 호퍼를 방사상으로 복수개 장착하고 선택된 호퍼는 턴테이블을 통해 회전하여 이송모듈 앞에 자동으로 배치되도록 하여서, 각각의 호퍼에 다른 종류의 카드를 적재하여 둠으로써 작업 중에 프린팅할 카드가 바뀌더라도 기존 카드를 모두 호퍼에서 꺼내고 새로운 카드를 그 호퍼에 넣어야 하는, 즉, 카드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바로바로 다른 종류의 카드를 프린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프린팅 작업 속도가 빠르고,
카드들을 상하방향으로 적재하는 것이 아니고 전후방향으로 적재하여 적재된 카드를 순차적으로 인출할 때 인출롤러에 가해지는 부하의 편차가 적어 안정적인 인출이 가능하고 부하에 따른 구성품의 손상과 인출롤러의 마모 등을 최소화할 수 있고,
호퍼에서의 카드 인출을 위한 인출롤러의 회전과 인출롤러의 전후진을 위한 동력원으로 하나의 모터만을 사용하고, 전후진수단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인출롤러를 전진시켜 카드에 접촉되도록 하고, 접촉된 후에는 인출롤러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카드를 인출시키고, 인출 후에는 인출롤러를 후진시켜 다른 카드가 인출되지 않도록 하며 다음번의 프린팅 작업을 준비하도록 하여서 에너지 절감 및 오작동 방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수직으로 인출된 카드를 수평으로 프린터 모듈로 이송시키기 위해, 카드를 회전시키고 이송하는데 하나의 모터와 하나의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서 공간의 절약 및 정확한 제어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드 프린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의 평면도.
도 4 는 도2에서 카드의 이송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의 사시도.
도 6 은 도5에서 호퍼를 요부로 하는 사시도.
도 7 은 도5에서 이송모듈을 요부로 하는 사시도.
도 8 은 회전이송체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은 프린터모듈(30), 호퍼모듈(10), 이송모듈(20)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모듈(30)은 투입된 카드의 일면 또는 양면에 문자, 그래픽, 도안, 바코드 등을 프린팅한다. 프린팅 방법은 잉크를 카드 표면에 분사하는 방식, 감열성 리본(필름)을 써멀헤드를 이용해 카드 표면에 융착시키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호퍼모듈(10)은 카드들을 적재하여 수납하고 있다가 프린팅 작업이 시작되면 공급한다.
상기 이송모듈(20)은 프린팅 작업이 시작되면 호퍼모듈(10)에서 카드를 인출시키고, 인출된 카드를 이송하여 상기 프린터모듈(30)로 투입시킨다.
도2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프린터모듈(30)과 이송모듈(20)은 받치대(1) 위에 장착되고, 상기 호퍼모듈(10)은 상기 프린터모듈(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호퍼모듈(10)의 상부 중심을 잡아주어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받침대에는 'ㄷ'자 모양의 브라켓(3)이 장착된다.
도3과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호퍼모듈(10)에는 카드가 적재되어 수납되는 8개의 호퍼(11)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호퍼모듈(10)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모두 회전 가능하여 선택된 호퍼(11)가 신속하게 이송모듈(20)의 앞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각각의 호퍼(11)에는 약 100장의 카드를 수납할 수 있다. 각 호퍼(11)에는 크기, 두께, 재질 등의 차이가 있는 카드를 종류별로 수납하고, 작업자가 프린팅할 종류의 카드가 수납된 호퍼(11)를 컨트롤러를 통해 선택하면 컨트롤러는 선택된 호퍼(11)가 신속하게 이송모듈(20) 앞에 배치되도록 호퍼모듈(1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8개의 호퍼(11)가 구비하여, 최대 8 종류의 카드가 호퍼모듈(10)의 호퍼들에 적재될 수 있다. 그리하여 프린팅할 카드의 종류가 바뀌더라도 카드의 교체 없이 해당하는 종류의 카드가 수납된 호퍼(11)를 선택하는 것으로 그 카드에 대한 프린팅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각각의 호퍼(11)에 수납되는 카드의 수량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지만, 같은 종류의 카드만을 가지고 프린팅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카드의 교체 없이 약 800장의 카드를 연속하여 프린팅 작업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호퍼(11)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수납된 카드는 이송모듈(20)에 의해 호퍼(11)에서 인출되어 하부로 이송하고, 이송모듈(20)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후에 프린터모듈(30)로 투입되고, 프린터모듈(30)에서 일면 또는 양면에 그래픽 등이 프린팅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호퍼모듈(10)과 이송모듈(2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호퍼모듈(10)은 도5 및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퍼(11), 턴테이블(13), 회전부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11)는 복수개가 상기 턴테이블(13) 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장착되고, 상기 턴테이블(13)은 상기 회전부재(15)(도2 참조)에 의해 회전하여 선택된 호퍼(11)가 이송모듈(20) 앞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호퍼(11)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틀(111), 전후진판(112), 제1,2푸시판(113, 114), 탄성체(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틀(111)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구조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카드들을 수납한다. 이때 카드들은 수납틀(111)에 전후방향으로 적재되도록 수납되어 카드는 자신의 하중을 다른 카드에 가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납틀(111)의 전방에는 수납된 카드들 중에서 최전방에 위치한 카드가 이송모듈(20)에 의해 외부로 인출될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인출구(116)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구(116)의 폭은 카드의 두께 보다 조금 더 길어서 최전방의 카드는 방해 없이 인출이 되고 그 뒤의 카드는 함께 인출되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납틀(111)의 양 측벽에는 전후방향으로 안내홀(117)이 상부측과 하부측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전후진판(112)의 전후진을 안내한다.
상기 수납틀(111)의 전방벽 하부에는 진퇴홀(118)이 형성되어서, 인출롤러(23)가 진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인출롤러(23)가 진퇴홀(118)을 통해 전지하여 카드에 접촉되고, 후퇴하여 카드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수납틀(111)의 후방벽에는 상기 제1,2푸시판(113, 114)이 지나가는 통로(119)가 형성된다.
상기 전후진판(112)은 상기 수납틀(111) 내부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내장되어서 수납틀(111)에 수납된 카드들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밀어준다. 즉, 카드들을 전방으로 밀어서 최전방에 위치한 카드가 수납틀(111)의 인출구(116)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전후진판(112)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12a)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112a)에는 상기 수납틀(111)의 안내홀(117)에 배치되어서 전후진판(112)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안내구(112b)가 결합되고, 하부측에는 'H'자 모양을 절개된 후에 절개된 양측이 후방으로 절곡되어서 상기 제2푸시판(114)이 힌지결합되는 결합부(112c)가 구비된다.
상기 제1,2푸시판(113, 114)은 펼침과 접힘 동작으로 수납틀(111)에 카드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고, 수납된 카드들이 전망으로 밀착되어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1푸시판(113)과 제2푸시판(114)은 내측(도면에서 상부)에서 서로 관절처럼 힌지결합되어서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고, 제1푸시판(113)은 외측(도면에서 하부)이 상기 수납틀(11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푸시판(114)은 외측(도면에서 하부)이 상기 전후진판(11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2푸시판(113, 114)이 수납틀(111)의 내부 공간을 줄이지 않도록, 즉, 제1,2푸시판(113, 114)으로 인해 수납틀(111)에 수납될 수 있는 카드의 수량이 적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1푸시판(113)은 상기 수납틀(111)의 후방벽의 외부측에서 힌지결합되고, 후방벽에는 제1,2푸시판이 지나가는 통로)119)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체(115)는 상기 제1푸시판(113)과 제2푸시판(114) 사이에 개재되어 제1푸시판(113)과 제2푸시판(114)이 펼쳐지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체(115)는 상기 제1푸시판(113)과 제2푸시판(114)을 서로 힌지결합시키는 관절핀(113a)에 감겨 탄성을 제공하는 코일부(115a)와, 상기 코일부의 양단에서 길게 연장되어 각각 제1푸시판(113)과 제2푸시판(114)의 내면을 지지하는 연장부(115b)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체(115)에 의해서 상기 제1푸시판(113)과 제2푸시판(114)은 항시 펼쳐지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래서 제2푸시판(114)에 연결된 전후진판(112)은 수납틀(111)에 수납된 카드들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는 상태까지 수납된 카드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상기 이송모듈(20)은 도5와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21), 전후진플레이트(22), 인출롤러(23), 모터(24), 전후진수단(25), 회전이송체(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1)는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 사이에서 상부에는 전후진플레이트(22)가 결합되고, 그 아래의 중간부에는 호퍼(11)에서 인출되는 카드를 받아 아래로 전달하는 전달롤러(26)가 결합되고, 그 아래의 하부에는 전달롤러(26)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전달된 카드를 수평방향으로 눕힌 후에 프린터모듈(30)로 전달하여 투입시키는 회전이송체(27)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1)는 하부 후방이 받침프레임(5)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하여서, 카드가 걸려 이송되지 않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 고정플레이트(21)를 젖혀 공간을 확보한 후에 편리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후진플레이트(22)는 상기 고정플레이트(21)의 상부에 전후지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출롤러(23)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22)의 전방측에 장착되고, 카드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카드를 접촉 마찰력으로 호퍼(11)에서 인출시키고,
상기 모터(24)는 상기 전후진플레이트(22)의 후방측에 장착되고, 상기 인출롤러(23)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전후진수단(25)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22)를 전후진을 시키는데, 그 동력으로 상기 모터(24)를 이용한다.
상기 전후진플레이트(22)는 바닥판(221)과, 상기 바닥판(221)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판(2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측의 수직판(222)에는 상기 인출롤러(23)의 회전축(231)이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의 수직판(222)에는 상기 모터(24)가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인출롤러(23)와 상기 모터(24) 사이에는 샤프트(251)가 양측 수직판(222)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결합되고, 양측 수직판(222)의 하부측에는 전후진을 가이하는 가이드핀(28)이 관통되어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핀(28)의 양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 형성된 가이드용 장공(218)에 배치되어서 전후진플레이트(22)의 전후진을 가이드한다.
상기 모터(24)의 회전력을 상기 인출롤러(23)에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모터(24)의 축과 상기 인출롤러(23)의 회전축(231)과 상기 샤프트(251)에는 각각 모터기어(254), 롤러기어(253), 중계기어(252)가 결합되어서, 모터(24)의 축이 회전하면 모터기어(254), 중계기어(252) 및 롤러기어(253)를 통해 인출롤러(23)가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전후진수단(25)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22)를 전후진시키는데, 그 동력원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인출롤러(23)를 회전시키는 상기 모터(24)의 동력을 이용한다.
상기 전후진수단(25)은
상기 모터(24)와 인출롤러(23) 사이에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2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251)와,
상기 모터(24), 인출롤러(23) 및 샤프트(251)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모터(24)의 회전력을 상기 인출롤러(23)로 전달하는 모터기어(254), 롤러기어(253) 및 중계기어(252),
상기 샤프트(251)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편심원체(255)와,
상기 고정플레이트(21)에 형성되어 상기 편심원체(255)가 관통배치되고, 편심원체(255)의 외경에 상응하는 전후폭과, 편심원체(255)의 편심운동 범위에 상응하는 상하폭을 갖는 전후진가이드홀(256)과,
상기 고정플레이트(21)와 전후진플레이트(22)를 연결하여서, 전후진플레이트(22)가 전진하려는 힘을 받도록 하는 스프링(257)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24)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고, 정회전 시에는 상기 샤프트(251)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인출롤러(23)만을 회전시켜 카드가 호퍼(11)에서 인출되도록 하고, 역회전 시에는 상기 인출롤러(23)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샤프트(251)만을 회전시켜 상기 편심원체(255)에 의해 전후진플레이트(22)가 후진을 하도록 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샤프트(251)와 중계기어(252)는 중계기어(252) 내부에 삽입된 한방향 베어링에 의하여 역방향으로는 치합되어 함께 회전하지만 정방향으로는 치합되지 아니하여 중계기어(252)가 회전하더라도 샤프트(251)는 회전하지 아니하고, 상기 인출롤러(23)의 회전축(231)과 롤러기어(253)는 롤러기어(253) 내부에 삽입된 한방향 베어링에 의하여 정방향으로는 치합되어 함께 회전하지만 역방향으로는 치합되지 아니하여 롤러기어(253)가 회전하더라도 인출롤러(23)는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참고로, 정방향과 역방향은 시계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모터(24)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서, 모터(24)가 어느 한 방향(예;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그에 연동되어서 회전하는 샤프트(251)와 기어 등의 회전방향은 같은 방향(정방향)으로 표현한다.
그래서 모터(24)가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경우에, 도7b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기어(254)가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모터기어(254)에 치합된 중계기어(252)도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그러나 중계기어(252)에 정방향으로 치합되지 않은 샤프트(251)는 회전을 하지 않고,
중계기어(252)에 치합된 롤러기어(253)도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롤러기어(253)와 함께 인출롤러(23)가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는 상기 샤프트(251)가 회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후진플레이트(22)는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 있게 된다.
모터(24)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경우에, 도7b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기어(254)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모터기어(254)에 치합된 중계기어(252)도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이때 중계기어(252)와 함께 샤프트(251)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중계기어(252)에 치합된 롤러기어(253)는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나 롤러기어(253)에 역방향으로 치합되지 않은 인출롤러(23)의 회전축(231)은 회전을 하지 않고,
샤프트(251)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편심원체(255)도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1)의 전후진가이드홀(256)의 내벽을 밀어 전후진플레이트(22)가 후진하도록 한다.
상기 전후진가이드홀(256)의 전후폭은 상기 편심원체(255)의 외경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져서 폄심원체의 편심길이(즉, 편심원체(255)의 중심에서 샤프트(251)의 연결부위까지의 직선거리)의 두배에 해당하는 길이 만큼 전후진플레이트(22)가 전후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전후진가이드홀(256)의 상하폭은 편심원체(255)의 편심운동범위(편심원체(255)의 직경과 편심길이의 두배에 해당하는 길이의 합)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져서 전후진플레이트(22)가 상하방향으로는 이동 없이 전후진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모터(24)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면 편심원체(255)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전후진플레트를 후퇴시키고, 편심원체(255)가 역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면 전후진플레이트(22)는 최대로 후퇴를 한 상태가 되고, 편심원체(255)가 여기서 더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전후진플레이트(22)는 전진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전후진플레이트(22)가 후퇴를 하다가 전진을 하게 되는 시점(즉, 역방향으로 180도 회전을 넘어서는 시점)이 되면, 고정플레이트(21)와 전후진플레이트(22)를 연결하는 스프링(257)의 탄성 복원력으로 전후진플레이트(22)는 순간적으로 최대 지점까지 전진을 하게 된다. 도7b의 [C], [D] 참조
다시 설명하면, 상기 모터(24)는 부하에 따라 회전속도가 달라지는 DC 모터로서, 전후진플레이트(22)가 최대로 후퇴할 때까지는 스프링(257)이 전후진플레이트(22)의 후퇴를 방해하는 힘을 발휘하여서 모터(24)에는 부의 부하가 걸려 모터는 저속으로 회전하고, 즉, 전후진플레이트(22)는 저속으로 후퇴하고, 전후진플레이트(22)가 최대의 후퇴지점을 지나 전진을 하게 되면 그 순간 이후에는 스프링(257)이 전후진플레이트(22)의 전진을 촉진하는 힘을 발휘하여서 모터(24)에는 양의 부하가 걸려 모터(24)는 고속으로 회전하여 전후진플레이트(22)를 신속하게 전진시킨다.
이처럼 모터(24)가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경우 전후진 플레이트는 최전방에 고정된 상태로 인출롤러(23)가 회전하여 카드를 호퍼(11)에서 인출시키고, 모터(24)가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경우 인출롤러(23)의 회전은 자동으로 중단되고 전후진플레이트(22)가 후퇴하고, 전후진플레이트(22)가 최대 후퇴범위까지 후퇴하면 스프링(257)에 의해 전후진플레이트(22)는 최대 전진범위까지 자동으로 전진하게 된다.
상기 회전이송체(27)는 상기 전달롤러(26)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전달된 카드를 수평방향으로 눕힌 후에 상기 프린터모듈로 전달하여 투입시킨다.
상기 회전이송체(27)는 도7a 및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드를 회전 및 이송시키는 모터(272)와, 카드의 각도를 8분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솔레노이드(271)와, 상기 모터(272)와 치합된 중계기어(273)와, 중계기어 내부에 베어링과 함께 결합하는 회전체(274)와, 모터의 회전력을 이송롤러(276)에 전달하는 종단기어(2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체(274)의 각도를 고정시켜주는 솔레노이드(271)가 동작상태일 경우에 회전체(274)는 회전이 가능하며, 이 때 상기 모터(272)가 회전하면 중계기어(273) 내부에 있는 베어링에 의해 결합된 회전체(274)는 회전하고 종단기어(275)와 이송롤러(276)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솔레노이드(271)가 정지상태일 경우 회전체(274)는 회전이 불가능하며, 이 때 모터(272)가 회전하면 회전체(274)는 솔레노이드(271)에 의해 고정된 채 종단기어(275)와 이송롤러(276)만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하나의 모터(272)와 솔레노이드(271)만으로 카드를 회전 및 이송을 시킬 수 있는데,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인출롤러(23)에 의해 인출된 카드는 전달롤러(26)를 지나 회전이송체(27)로 수직으로 이송되고, 회전체(274)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271)가 동작 상태가 되고 이 때, 상기 모터(272)가 회전하면 회전체(274)만 회전하게 되고, 회전체(274)가 수직상태가 되면 솔레노이드(271)가 정지상태로 복귀하여 회전체(274)를 수직상태로 고정시킨다.
회전체(274)가 고정되고 모터(272)가 회전하면 전달롤러(26)에 의해 수직상태로 이송되어지는 카드를 회전체(274) 내부로 이송시키고, 카드가 온전히 회전체(274) 내부에 위치한 후에 솔레노이드(271)가 동작상태가 되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체(274)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프린트 모듈로 카드를 이송시킨다.
카드 규격은 변경될 수 있고, 변경되면 구형 카드를 회수하고 신형 카드를 새로 발급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정보 보안의 취약성으로 인해 마그네틱 카드는 폐기되고 이를 대체하여 IC 카드가 발급되고 있다.
이때, 구형의 마그네틱 카드를 회수하고 신형의 IC 카드를 발급하는 업무를 은행 창구에서 수행하기에는 인적 자원의 한계가 있어, 카드 발급기를 무인 발급기 형태로 개발하여 자동화시킬 필요가 있다. 즉, 카드 발급기가 수거되는 구형 카드의 정보를 읽고, 그에 해당하는 신형 카드로 발급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에 구형 카드를 회수하는 회수 기능과, 회수되는 카드의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과, 회수된 카드에 해당하는 신형의 카드를 호퍼에서 인출하여 프린팅모듈로 투입하여 신형 카드를 발급하는 오토 발급 기능을 구비하면, 카드 규격의 변경에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에 유효 적절하게 대응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호퍼모듈
11 : 호퍼 13 : 턴테이블
15 : 회전부재
20 : 이송모듈
21 : 고정플레이트 22 : 전후진플레이트
23 : 인출롤러 24 : 모터
25 : 전후진수단
30 : 프린터모듈

Claims (8)

  1. 카드를 공급하는 호퍼모듈;
    상기 호퍼모듈의 카드를 인출하여 프린터모듈로 투입하는 이송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모듈은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진플레이트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에 장착되고, 회전하면서 접촉 마찰력으로 카드를 상기 호퍼에서 인출시키는 인출롤러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에 장착되고, 상기 인출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후진플레이트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인출롤러가 카드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전후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후진수단은
    상기 모터와 인출롤러 사이에서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와,
    상기 모터, 인출롤러 및 샤프트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인출롤러로 전달하는 모터기어, 롤러기어 및 중계기어,
    상기 샤프트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편심원체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편심원체가 관통배치되고, 편심원체의 외경에 상응하는 전후폭과, 편심원체의 편심운동 범위에 상응하는 상하폭을 갖는 전후진가이드홀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전후진플레이트를 연결하여서, 전후진플레이트가 전진하려는 힘을 받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모듈은
    카드들을 수납하는 호퍼와,
    복수개의 상기 호퍼가 방사상으로 장착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선택된 호퍼가 상기 이송모듈 앞에 배치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턴테이블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카드들이 전후방향으로 적재되어 수납되고, 전방 하부에 인출구가 구비되는 수납틀과,
    상기 수납틀에 전후진 가능하게 내장되어 수납된 카드들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미는 전후진판과,
    외측은 상기 수납틀과 전후진판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내측은 펼침과 접힘이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결합되는 제1,2 푸시판과,
    상기 제1푸시판과 제2푸시판 사이에 개재되어 펼침되려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호퍼의 전후진판의 위치를 감지하여 카드 수납량을 계산하는 센서와,
    수납된 카드가 없을 경우 전후진판의 뚫린 공간을 감지하여 카드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서,
    각 호퍼 내의 카드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카드를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수단은 상기 모터 하나로 전후진 구동과 인출롤러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중계기어와 롤러기어 내부에 압입된 한방향 베어링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호퍼에서 인출되는 카드를 받아 아래로 전달하는 전달롤러와,
    상기 전달롤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전달된 카드를 수평방향으로 눕힌 후에 상기 프린터모듈로 전달하여 투입시키는 회전이송체와,
    상기 회전이송체의 회전 또는 카드 이송을 결정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회전이송체의 각도를 360도 기준으로 8분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는 회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KR1020150052004A 2015-04-13 2015-04-13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KR101863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04A KR101863723B1 (ko) 2015-04-13 2015-04-13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04A KR101863723B1 (ko) 2015-04-13 2015-04-13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008A KR20160122008A (ko) 2016-10-21
KR101863723B1 true KR101863723B1 (ko) 2018-06-04

Family

ID=5725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004A KR101863723B1 (ko) 2015-04-13 2015-04-13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422A (ko) * 2021-09-01 2023-03-08 아이디피 (주) 멀티 호퍼장치용 카드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0018B (zh) * 2018-08-30 2024-02-27 山东文登抽水蓄能有限公司 智能化水电行业人员制证用打印机卡片输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0834B2 (ja) * 1985-06-27 1997-10-08 ダイボールド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書類キャニスターの中身を同一確認し示すための装置
US20050139606A1 (en) * 2002-02-15 2005-06-30 Martin Douglas A.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magnetic cards, integrated circuit cards, and other similar items
KR101375205B1 (ko) * 2010-07-21 2014-03-18 파우치 팩 이노베이션즈, 엘엘씨. 충전밀봉기계 속으로 파우치를 연속 부가시키는 부하 스마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0834B2 (ja) * 1985-06-27 1997-10-08 ダイボールド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書類キャニスターの中身を同一確認し示すための装置
US20050139606A1 (en) * 2002-02-15 2005-06-30 Martin Douglas A.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spensing magnetic cards, integrated circuit cards, and other similar items
KR101375205B1 (ko) * 2010-07-21 2014-03-18 파우치 팩 이노베이션즈, 엘엘씨. 충전밀봉기계 속으로 파우치를 연속 부가시키는 부하 스마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422A (ko) * 2021-09-01 2023-03-08 아이디피 (주) 멀티 호퍼장치용 카드이송장치
WO2023033377A1 (ko) * 2021-09-01 2023-03-09 아이디피 (주) 멀티 호퍼장치용 카드이송장치
KR102585882B1 (ko) 2021-09-01 2023-10-11 아이디피 (주) 멀티 호퍼장치용 카드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008A (ko) 2016-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611B1 (ko) 카드 발행 및 회수 기능을 갖는 카드처리장치, 그 카드처리장치의 카드 발행방법 및 회수방법
CN102686404B (zh) 印刷装置
WO2018019040A1 (zh) 金融自助系统的发卡、换卡设备及其方法、金融自助终端
CN105189125B (zh) 打印机
EP2477918B1 (en) Dual hopper assembly
CN103578186B (zh) 箱补给
CN105579238A (zh) 标签打印机
KR101863723B1 (ko) 회전형 멀티 카드 피딩 시스템
CN101112824B (zh) 纸叠打印系统
JP4813950B2 (ja) 情報書き込み装置及び媒体発行装置
CN103253005B (zh) 自动进给辊清洁系统
JP4813945B2 (ja) 媒体発行装置
JP5896835B2 (ja) 採血管準備装置
CN1827505B (zh) 卡片状介质的输送机构
EP2657157B1 (en) Component housing stick replacement device and component housing stick replacement method
TWI690903B (zh) 紙張收納部及紙張處理裝置
KR102234923B1 (ko) 푸쉬형 카드 처리장치
US20200372765A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JP5941947B2 (ja) 発券装置
WO2015064640A1 (ja) 発券装置
JP2000044104A (ja) 記録装置
KR20090072665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033233B1 (ko) 금융 자동화기기의 카드처리장치
CN103030037B (zh) 介质储存器装置
CN220811180U (zh) 一种印刷纸张上料定位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