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918B1 -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 Google Patents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2918B1 KR101862918B1 KR1020160004451A KR20160004451A KR101862918B1 KR 101862918 B1 KR101862918 B1 KR 101862918B1 KR 1020160004451 A KR1020160004451 A KR 1020160004451A KR 20160004451 A KR20160004451 A KR 20160004451A KR 101862918 B1 KR101862918 B1 KR 1018629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ut
- screw
- nut
- strut member
- screw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은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에 있어서, 하부에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여 바닥면에 고정 부착된 타원 형상의 제 1 지주 부재; 하부에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지주 부재의 내측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스크류 부재; 상기 제 1 스크류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산에 볼트/너트 결합되어 상기 제 1 스크류 부재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제 1 너트 부재: 상기 제 1 지주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경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주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 부재의 승하강과 동시에 승하강하는 타원 형상의 제 2 지주 부재;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스크류가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스크류 부재;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산에 볼트/너트 결합되어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제 2 너트 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지주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경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주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너트 부재의 승하강과 동시에 승하강하는 타원 형상의 제 3 지주 부재;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부재; 및 상기 모터 부재의 회전력을 일정 비율로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호등, 표지판, CCTV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로서, 지주 구조물의 상단에 설치된 신호등, 표지판, CCTV의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하강시켜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및 철로 상에는 신호등을 비롯한 교통 표지판, 가로등, 차량 정보 수집용 CCTV, 교통의 흐름을 촬영하기 위한 CCTV, 이동 통신용 중계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도로 교통용 시설물들이 고정된 형상의 전주 형상의 지주 구조물의 상단에 다양한 형태의 교통시설물 등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도로 교통용 시설물들은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으나, 그들 중에서 대표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10)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7은 현재 사용 중인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10)은 원주 형상의 강관으로 이루어진 전주 형상의 지지 구조물(13, 이하 지지 부재라 통칭한다)의 상단에 신호등 부재(400)가 고정되어 있다. 신호등 부재(20)는 지주 부재(13)의 상단부에 지면으로부터 대략 3~5 미터 위에 클램프(도시하지 않음)등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교통 표지판, 가로등, 차량 정보 수집용 CCTV, 교통의 흐름을 촬영하기 위한 CCTV, 이동 통신용 중계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도로 교통용 시설물도 상술한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과 유사하게 지주 부재(13)의 상단부에 부수적인 부재들을 부가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신호등 부재(20)는 전주 형상의 지주 부재(13)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신호등 부재(20)가 고장난 경우, 사람이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가서, 발 받침대(15)에 매달려 불안정한 상태로 신호등 부재(20)를 수리 또는 교체하는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철도용 신호등은 빈번한 철도의 왕래를 제어하기 때문에, 고장 시, 신속한 유지 보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열차의 추돌 및 탈선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염려가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종래의 철도용 신호등 부재(20)을 수리 또는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는 신호등 부재(20)이 설치되어 있는 높이까지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지주 부재를 사람이 직접 올라가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철로의 특성 상 사다리를 설치하면, 철로에 걸쳐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경우, 철도의 통행을 방해하거나 혹은 작업자들이 위험한 사고들 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신호등의 유지 보수를 위해, 유지 보수 작업자 이외에 안전 요원 등이 더 필요로 하므로 많은 인건비 및 시간이 소요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한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람이 지주 구조물에 직접 올라갈 필요가 없는 지주 구조물 자체가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 구조물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신호등, CCTV, 가로등과 같은 여러 가지 교통 시설물의 수리 또는 교체와 같은 유지 보수가 용이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교통 시설물의 수리 또는 교체 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통 시설물의 수리 또는 교체에 필요한 인원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은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에 있어서, 하부에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여 바닥면에 고정 부착된 타원 형상의 제 1 지주 부재; 하부에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지주 부재의 내측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스크류 부재; 상기 제 1 스크류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산에 볼트/너트 결합되어 상기 제 1 스크류 부재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제 1 너트 부재: 상기 제 1 지주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경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주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 부재의 승하강과 동시에 승하강하는 타원 형상의 제 2 지주 부재;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스크류가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스크류 부재;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산에 볼트/너트 결합되어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제 2 너트 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지주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경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주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너트 부재의 승하강과 동시에 승하강하는 타원 형상의 제 3 지주 부재;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부재; 및 상기 모터 부재의 회전력을 일정 비율로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상기 3 지주 부재가, 타원형, 원형, 4각, 6각 또는 8각의 각관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너트 부재가 몸체부와 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 1 저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 중 하나에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제 1 저부 플레이트와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1 너트 부재와 상기 제 2 지주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너트 부재가 몸체부와 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 2 저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 중 하나에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제 2 저부 플레이트와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2 너트 부재와 상기 제 3 지주 부재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주 부재 및 상기 제 3 지주 부재의 승하강 속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크류 부재의 나사산의 피치와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의 나사산의 피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 지주 부재 및 상기 제 3 지주 부재의 승하강 속도를 서로 다르게 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크류 부재의 나사산의 피치와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의 나사산의 피치가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은 지주 구조물 자체가 승하강 가능하기 때문에 사람이 지주 구조물에 직접 올라갈 필요가 없이 유지 보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은 지주 구조물의 상단에 신호등, CCTV, 가로등, 조명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시설물을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술한 시설물의 수리 또는 교체와 같은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사람이 지주 구조물에 직접 올라갈 필요가 유지 보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은 지주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시설물의 수리 또는 교체 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은 다양한 형태의 시설물의 수리 또는 교체에 필요한 인원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지주 부재(100)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너트 부재(230)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2 지주 부재(300)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2 스크류 부재(400)와 제 너트 부재(43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3 지주 부재(5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100)의 승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승하강 부재(800)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승하강 부재(800)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형태, 즉 승하강 부재(800)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승하강 부재(800)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현재 사용 중인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지주 부재(100)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너트 부재(230)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2 지주 부재(300)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2 스크류 부재(400)와 제 너트 부재(43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3 지주 부재(5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100)의 승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승하강 부재(800)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승하강 부재(800)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형태, 즉 승하강 부재(800)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승하강 부재(800)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현재 사용 중인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승하강"이란 단어는 지주 구조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는 의미로서 사용되고, 또한, "수동"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무동력으로 사람의 힘만으로 동력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수동 또는 임팩트 또는 전동 드라이버와 같은 전동 공구의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자동" 이라는 개념은 상술한 수동의 개념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지 구조물 내에 형성된 모터와 같은 동력 장치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개념으로서 사용된다.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의 구조)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10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1000)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지주 부재(100)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1 너트 부재(230)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2 지주 부재(30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2 스크류 부재(400)와 제 너트 부재(43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 3 지주 부재(5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1000, 이하, 승하강 지주 구조물이라고도 한다)은 바닥에 고정된 제 1 지주 부재(100)(도 2a 참조), 제 1 지주 부재(100)의 바닥면에 고정 결합된 제 1 스크류 부재(200)(도 2b 참조), 제 1 너트 부재(230)(도 2c 참조), 제 2 지주 부재(300)(도 3a 참조), 제 2 지주 부재(300)에 고정 결합된 제 2 스크류 부재(400) 및 제 2 너트 부재(430)(도 3b 참조), 제 3 지주 부재(500)(도 4 참조), 모터 부재(600), 감속기(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스크류 부재(200)(도 2b 참조), 제 1 너트 부재(230)(도 2c 참조), 제 2 스크류 부재(400) 및 제 2 너트 부재(430)(도 2c 참조), 모터 부재(600), 및 감속기(700)를 총칭하여 승하강 부재(800)라 칭하고, 도 5 및 도 6에서, 승하강 부재(800)의 승하강 동작 및 그에 따른 지주 구조물(1000)의 승하강 동작에 대해서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 구조물(100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지주 부재(100, 300, 500)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관 형상으로 양쪽 면의 중간 부분에는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일정면을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타원형 형상의 상기 지주 부재들은 세로 방향(Y 방향)으로 반원 형상이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높이 방향(Z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철제,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으로 이루어지는 강제 구조물이다. 제 1 내지 제 3 지주 부재(100, 300, 500)는 세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고, 가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지주 부재들(100, 300, 500)은 원형 관 또는 4각, 6각, 또는 8각 관 형상의 다양한 관 형상의 부재로 대체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관 형상의 부재들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 1 지주 부재(100)는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 2 지주 부재(300)는 제 1 지주 부재(100)의 내측에 제 1 지주 부재(100)보다 작은 직경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 3 지주 부재(500)는 제 2 지주 부재(300)의 내측에 제 2 지주 부재(300)보다 작은 직경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제 1 지주 부재(100)가 고정되어 있고, 제 2 및 제 3 지주 부재(300, 500)가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제 1 지주 부재(100), 제 2 지주 부재(300), 및 제 3 지주 부재(500)는 각각의 높이가 약 1 내지 3 미터이고, 전개되었을 때, 최대 높이가 대략 4.5 미터 내지 7 미터가 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제 2 지주 부재(300), 및 제 3 지주 부재(500)가 하여 접혀졌을 때의 높이가 대략 1. 5~2,5 미터에 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구조물(1000)의 높이는 지주 구조물 및 설치 장소 등의 요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요구된 높이에 대응하는 것은 제 1 지주 부재(100), 제 2 지주 부재(300), 및 제 3 지주 부재(500)의 각각의 높이를 길게하거나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이에 대해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1000)은 제 1 지주 부재(100), 제 2 지주 부재(300), 및 제 3 지주 부재(500)를 포함하여 3 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1000)은 2 단, 또는 4 단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용이하게 변형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2 단, 또는 4 단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진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지주 부재(100)는 하부에 바닥에 시멘트 등으로 마련된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여러 가지 체결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는 베이스 부재(70)를 포함한다.
제 1 지주 부재(100)의 내측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 1 스크류 부재(200)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스크류 부재(200)는 봉 형상 또는 원통형 관으로서 외주면에 나사 산(210)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산(210)은 승하강 속도를 감안하여 원 안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의 나사 산이 바람직하지만, 사각 형의 나사 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나사 산(210)은 선택적으로 삼각 형의 나사 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사각 형의 나사 산의 피치(산과 골의 간격)은 10mm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는 베이스 플랜지(27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 1 너트 부재(230)는 제 1 스크류 부재(200)와 볼트 너트 체결되어, 제 1 스크류 부재(200)를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제 1 너트 부재(230)는 하단부에 플랜지(231)를 포함하고 있고, 몸체부(233)의 내측에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피치로 나사 산(235)이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너트 부재(230)의 나사 산(235) 역시 제 1 스크류 부재(200)에 형성된 사각 형의 나사 산에 대응하도록 사각 형의 나사 산이 10mm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지주 부재(300)는 제 1 지주 부재(100)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저부 플레이트(310)를 포함한다. 제 1 저부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내부에 2 개의 구멍을 포함하는데, 그 중 하나의 구멍(320)은 후술하는 제 1 스크류 부재(200) 및 제 1 너트 부재(230) 등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고, 다른 하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 등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도 1 및 도 2c를 참조하면, 제 1 너트 부재(230)의 몸체부(233)는 후술하는 제 2 지주 부재(3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저부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구멍(320)에 삽입되어 플랜지(231)가 제 1 저부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지주 부재(300)는 제 1 너트 부재(230)과 함께 일체로 승하강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스크류 부재(400)는 도 2b에 도시한 제 1 스크류 부재(200)보다 구경이 큰 원통형 관으로서 외주면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산은 제 2 너트 부재(430)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제 2 너트 부재(430)는 내측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2 너트 부재(430)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410)와 고정되게 체결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한 제 2 너트 부재(430)의 형상은 도 2c에 도시한 제 1 너트 부재(230)과 동일하지만, 제 2 스크류 부재(300)에 볼트/너트 채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내경이 제 2 스크류 부재(300)에 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제 1 스크류 부재(200)과 제 2 스크류 부재(40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나사산이 왼나사 방향으로 형성되면,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나사산은 오른 나사 방향으로 형성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형상은 제 1 저부 베이스 플레이트(3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원통형 관으로 형성된 제 2 스크류 부재(400)는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외부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하단에는 너트 부재(430)가 나사 체결되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 2 너트 부재(430)은 제 2 스크류 부재(300)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 승하강하도록 체결된다. 제 2 너트 부재(430)의 바닥면에는 제 2 베이스 플레이트(410)가 볼트/너트 또는 용접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일체형으로 체결된다. 제 2 너트 부재(430)는 도 4에 도시한 제 3 지주 부재(500)의 제 1 저부 베이스 플레이트(510)와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상단부에는 도 1, 도 3b, 도 5, 및 도 6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부재(600) 및 감속기(700)를 접속하기 위한 회전 축부(450)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부재(600) 및 감속기(70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서 제 2 스크류 부재(400)가 회전하게 된다.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이에 체결되어 있는 제 2 너트 부재(430) 및 제 3 지주 부재(500)가 제 2 스크류 부재(40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제 2 스크류 부재의 회전에 의해 제 1 스크류 부재(200)과 제 1 지주 부재(100)이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너트 부재(230) 및 제 2 지주 부재(300)가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나사 산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3 지주 부재(500)는 도 1 및 도 3a에 도시한 제 2 지주 부재(300)와 동일한 형상과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지주 부재(500)는 제 2 지주 부재(300)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제 2 저부 플레이트(510)를 포함한다. 제 2 저부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제 1 저부 플레이트(310)과 동일한 형상과 구조로 내부에 2 개의 구멍을 포함하는데, 그 중 하나의 구멍(520)은 후술하는 제 2 스크류 부재(4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고, 다른 하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 등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 너트 부재(430)의 몸체부는 후술하는 제 3 지주 부재(5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저부 베이스 플레이트(510)에 형성된 구멍(520)에 삽입되어 플랜지가 제 1 저부 베이스 플레이트(510)에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지주 부재(500)는 제 2 너트 부재(430)과 함께 일체로 승하강하게 된다. 한편, 제 3 지주 부재(500)의 상단부에는 교통 신호등, 교통 표지판, 교통 정보 및 감시용 CCTV 등과 같은 시설물 또는 장치 등이 클램프 또는 그와 유사한 체결 수단 등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모터 부재(600) 및 감속기(700)는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 축부(45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모터 부재(600)는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지고, 모터 부재(600)의 종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감속기(700)는 모터 부재(600)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제 2 스크류 부재(4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지주 구조물(1000)의 승하강 동작)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지주 구조물(1000)의 승하강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1000)의 승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구조물(1000) 중에서, 제 1, 제 2, 제 3 지주 부재(100, 300, 500)를 생략하여 승하강 부재(800)만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승하강 부재(800)이 하강한 상태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형태, 즉 승하강 부재(800)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주 구조물(1000)의 승하강 동작을 용이하게 설명하게 하기 위해 제 1, 제 2, 제 3 지주 부재(100, 300, 500)를 생략하고, 승하강 부재(800)만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승하강 부재(800)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류 부재(200), 제 1 너트 부재(230), 제 2 스크류 부재(400), 제 2 너트 부재(430), 모터 부재(600) 및 감속기(700)을 총칭하는 것이다.
제 1 스크류 부재(200)와 제 2 스크류 부재(40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스크류 부재(200)는 오른 나사 형태로 나사산이 형성되면, 제 2 스크류 부재(400)는 왼 나사 형태로 나사 산이 형성된다.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스크류 부재(200)는 오른나사 형태로 나사 산이 형성되면, 제 2 스크류 부재(400)는 왼 나사 형태로 나사 산이 형성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승하강 부재(800)의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주 구조물(1000)이 승하강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제 1 지주 부재(100) 및 제 1 스크류 부재(200)은 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너트 부재(230)은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나사산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나볼트/너트 체결되어 있다.
다시 한번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지주 구조물(100)의 승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승하강 부재(800)를 상승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승하강 부재(800)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형태, 즉 승하강 부재(800)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승하강 부재(800)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승하강 부재(800)의 상승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승하강 부재(800)를 상승시키기 위해 모터(600)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600)의 회전력에 의해 제 2 스크류 부재(400)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2 너트 부재(430)는 제 2 스크류 부재(400)에 너트 체결되어 있고,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나사산을 따라 윗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너트 부재(430) 및 제 3 지주 부재(500)가 일체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제 2 너트 부재(430)의 상승 동작에 따라 제 3 지주 부재(500)이 함께 상승하게 된다.
동시에 제 1 너트 부재(230)도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나사산을 따라 윗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왜냐하면, 제 1 지주 부재(100) 및 제 1 스크류 부재(200)가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지주 부재(300) 및 제 3 지주 부재(500)은 제 1 부재(100)내부에 승하강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 2 지주 부재(200) 및 제 3 부재(500)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터(60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는 제 2 스크류 부재(400)만이 회전하게 된다. 제 2 스크류 부재(4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하단부에 제 2 지주 부재(300)과 일체로 형성된 제 1 너트 부재(230)는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나사산에 볼트/너트 체결되어 있고, 또한, 제 1 스크류 부재(200) 및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스크류 부재(200)의 나사산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바닥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동시에 제 2 스크류 부재(4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나사산에 볼트/너트 체결되어 있는 제 2 너트 부재(430) 및 제 3 지주 부재(500) 역시 회전이 제한되고,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나사산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즉, 바닥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스크류 부재(200)와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나사산의 피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제 2 스크류 부재(200)의 회전에 의해 제 1 너트 부재(230) 및 제 2 너트 부재(430)는 동일한 속도로 상승하게 된다. 제 2 지지 부재(300)와 제 3 지지 부재(500)의 높이 차이로 인해, 이동 속도를 다르게 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스크류 부재(200)과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나사산의 피치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지주 부재들의 이동 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 구조물(1000)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지주 부재들(100, 300, 500)의 형상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타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의 회전이 제한되는 4각, 6각 또는 8 각의 각관 형상을 체텍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형태로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지주 자체가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 지주 부재들은 승하강 동작만이 수행된다.
그러나, 제 1 내지 제 3 내지 지주 부재(100, 200, 300)가 원형의 관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회전력에 의해 제 2 및 제 3 지주 부재(300, 50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지주 부재의 승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원형의 관 형상의 지주 부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지주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승 및 하강 동작만이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별도의 가이드 또는 돌기 들을 더 부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도 6은 도 5의 다른 형태, 즉 승하강 부재(800)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승하강 부재(800)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도 6의 승하강 부재(800)의 하강 동작은 도 5에 도시한 승하강 부재(800)의 상승 동작과 반대 방향의 동작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회전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너트 부재(230) 및 제 2 너트 부재(430)가 하강하는 동작을 제외한 다른 승하강 부재(800)의 동작 설명은 동일하다.
도 5 및 도 6에서, 승하강 부재(800)의 상승을 위해, 제 2 스크류 부재(400)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설명하고, 하강을 위해 시계 방향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회전 방향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지주 부재(100, 300, 500)가 생략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1000)의 승강 또는 하강 동작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승하강 부재(800)의 동작 설명만으로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구조물(10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CCTV, 교통 표지판, 신호등과 같은 교통 시설물 뿐만 아니라, 이동식 조명탑, 이동식 고소 작업대, 사다리차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구조물(1000)의 승하강 동작은 상술한 승하강 부재(800) 이외에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승하강 수단을 이용하여 등가적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며, 이러한 등가물에 의한 변형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마땅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구조물(1000)은 설명의 편의 상 3단의 승하강 가능한 형태를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2 내지 7단의 형태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을 변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전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70 : 베이스 부재 100 : 제 1 지주 부재
200 : 제 1 스크류 부재 230 : 제 1 너트 부재
300 : 제 2 지주 부재 400 : 제 2 스크류 부재
430 : 제 2 너트 부재 500 : 제 3 지주 부재
600 : 모터 부재 700 : 감속기
800 : 승하강 부재 1000 : 승하강 지주 구조물
200 : 제 1 스크류 부재 230 : 제 1 너트 부재
300 : 제 2 지주 부재 400 : 제 2 스크류 부재
430 : 제 2 너트 부재 500 : 제 3 지주 부재
600 : 모터 부재 700 : 감속기
800 : 승하강 부재 1000 : 승하강 지주 구조물
Claims (8)
-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에 있어서,
하부에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여 바닥면에 고정 부착된 타원 형상의 제 1 지주 부재;
하부에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지주 부재의 내측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스크류 부재;
상기 제 1 스크류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산에 볼트/너트 결합되어 상기 제 1 스크류 부재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제 1 너트 부재:
상기 제 1 지주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경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주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너트 부재의 승하강과 동시에 승하강하는 타원 형상의 제 2 지주 부재;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스크류가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스크류 부재;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 산에 볼트/너트 결합되어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를 따라 승하강 가능한 제 2 너트 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지주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내경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주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너트 부재의 승하강과 동시에 승하강하는 타원 형상의 제 3 지주 부재;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부재; 및
상기 모터 부재의 회전력을 일정 비율로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너트 부재가 몸체부와 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 1 저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 중 하나에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제 1 저부 플레이트와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1 너트 부재와 상기 제 2 지주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너트 부재가 몸체부와 플랜지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 2 저부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 중 하나에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제 2 저부 플레이트와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2 너트 부재와 상기 제 3 지주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주 부재의 상단부에 신호등, CCTV, 교통 표지판, 조명등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지주 부재 및 제 3 지주 부재의 승하강 속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 1 스크류 부재의 나사산의 피치와 상기 제 2 스크류 부재의 나사산의 피치가 동일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05468 | 2015-01-13 | ||
KR1020150005468 | 2015-01-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7364A KR20160087364A (ko) | 2016-07-21 |
KR101862918B1 true KR101862918B1 (ko) | 2018-05-31 |
Family
ID=566806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4456A KR20160087366A (ko) | 2015-01-13 | 2016-01-13 | 자동 및 수동으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
KR1020160004451A KR101862918B1 (ko) | 2015-01-13 | 2016-01-13 |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
KR1020160004454A KR20160087365A (ko) | 2015-01-13 | 2016-01-13 | 수동으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4456A KR20160087366A (ko) | 2015-01-13 | 2016-01-13 | 자동 및 수동으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4454A KR20160087365A (ko) | 2015-01-13 | 2016-01-13 | 수동으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18504542A (ko) |
KR (3) | KR2016008736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84005B (zh) * | 2020-12-08 | 2022-09-30 | 王家驹 | 一种智慧路灯管控装置 |
KR102545935B1 (ko) | 2021-11-05 | 2023-06-20 | 한국전기연구원 | 설비장치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지주대 |
KR102504470B1 (ko) * | 2022-08-30 | 2023-02-27 | 김태옥 | 전원공급용 케이블이 구비된 높이조절용 폴대 |
KR102636419B1 (ko) * | 2023-09-05 | 2024-02-13 | 송영덕 | 점검이 용이한 수직형 신호등의 설치구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6694B1 (ko) * | 2013-04-02 | 2014-10-06 | 강종원 | 승하강식 볼라드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20002305B1 (ko) * | 1978-10-05 | 1982-12-15 | 하기와라 게이 다로오 | 신축지주(伸縮支柱) |
JPH03191184A (ja) * | 1989-12-20 | 1991-08-21 | Showa Alum Corp | 伸縮式中空ポール |
JPH0554615U (ja) * | 1991-12-24 | 1993-07-23 | 戸田建設株式会社 | 照明用及び標識用の支柱 |
EP1272791A1 (en) * | 2000-03-31 | 2003-01-08 | Jorgen Larsen | A telescopical device |
KR100404957B1 (ko) * | 2000-11-24 | 2003-11-20 | 주식회사 신광테크놀러지 | 활차식 다각형 텔레스코핑 마스트 |
JP3810686B2 (ja) * | 2001-12-28 | 2006-08-1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路上機器支持装置 |
JP3793458B2 (ja) * | 2001-12-28 | 2006-07-05 | 星和電機株式会社 | 高さ可変型スノーポール |
KR20060118991A (ko) * | 2005-05-18 | 2006-11-24 | 강경이 | 신축성 가로등주 |
-
2016
- 2016-01-13 KR KR1020160004456A patent/KR20160087366A/ko unknown
- 2016-01-13 JP JP2017555193A patent/JP2018504542A/ja not_active Ceased
- 2016-01-13 KR KR1020160004451A patent/KR10186291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1-13 KR KR1020160004454A patent/KR20160087365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6694B1 (ko) * | 2013-04-02 | 2014-10-06 | 강종원 | 승하강식 볼라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504542A (ja) | 2018-02-15 |
KR20160087365A (ko) | 2016-07-21 |
KR20160087364A (ko) | 2016-07-21 |
KR20160087366A (ko) | 2016-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9968B1 (ko) |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 | |
KR101862918B1 (ko) |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 |
KR100960334B1 (ko) | 회전식 도로용 지주 | |
KR101896451B1 (ko) | 관리유지가 용이한 도로용 전광판 설치구조 | |
JP2007120077A (ja) | 高架道橋の架設方法及び装置 | |
WO2016114595A1 (ko) |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 | |
KR20090041382A (ko) | 승강식 지주대 | |
CN211083849U (zh) | 一种可升降路灯 | |
KR102208054B1 (ko) | Cctv용 업다운 방식 메탈 폴 지주 | |
KR101271763B1 (ko) |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폴 어셈블리 | |
KR101497661B1 (ko) | 접이식 폴 | |
KR102418706B1 (ko) | 지주 설치용 감시 장비 승하강 장치 | |
CN106524015A (zh) | 一种带有自动升降系统的路灯装置 | |
KR101273645B1 (ko) |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 |
KR20100077072A (ko) | 가로등 파이프 굽힘 및 램프 승하강장치 | |
KR102155830B1 (ko) | 정보통신 기능을 가지는 가로등주 | |
KR101193373B1 (ko) | 방향 안내장치를 미리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승하강장치 | |
CN211897633U (zh) | 一种地铁铺轨车 | |
KR200435725Y1 (ko) | 승강식 조명타워의 회전식 승강캐리어장치 | |
CN212473449U (zh) | 一种带有照明系统的地铁接触网作业车 | |
CN207230378U (zh) | 一种可调节高度的旋转led路灯 | |
CN111411547A (zh) | 一种地铁铺轨车 | |
KR200345342Y1 (ko) | 가로등용 램프 승하강장치 | |
KR101690677B1 (ko) | 교차로의 보행자 및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조명장치 | |
CN204901577U (zh) | 安全性高的高度可调式路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