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305B1 - 신축지주(伸縮支柱) - Google Patents

신축지주(伸縮支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305B1
KR820002305B1 KR7803036A KR780003036A KR820002305B1 KR 820002305 B1 KR820002305 B1 KR 820002305B1 KR 7803036 A KR7803036 A KR 7803036A KR 780003036 A KR780003036 A KR 780003036A KR 820002305 B1 KR820002305 B1 KR 820002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ember
rack
support
flexi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사부 로오 기노시다
노우찌 시게루 다께
다히로 아끼 나까
Original Assignee
하기와라 게이 다로오
가부시키 가이샤 세이 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기와라 게이 다로오, 가부시키 가이샤 세이 덴샤 filed Critical 하기와라 게이 다로오
Priority to KR780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축지주(伸縮支柱)
제1도는 종래의 신축지주를 표시한 정면도.
제2도는 종래의 신축지주를 표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신축지주의 한 실시예의 요부를 표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신축지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조명등과 안테나 등을 높은 위치에 지지하거나 혹은 상하 위치를 조절 가능케 지지하기 위하여 신축지주가 사용되어 왔다.
이같은 신축지주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텔레스 코우프(telescpe)식으로 감합한 복수개의 파이프로 형성된 신축파이프군(群)과 그 파이프군의 가장내측파이프에 상단을 연결한 플렉시블래크(flexible rack)와 래크를 상하이동시키는 승강장치로 구성하여서 되는 신축지주이다.
우선 종래 신축지주를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간단하게 설명하여 보면, 신축파이프군(1)은 텔레스코우프식으로 감합한 4개의 파이프(11), (12), (13), (14)로 되고 가장 내측 파이프(14)의 하단에는 코스프링상의 플렉시블 래크(2)의 상단을 연결하였으며, 승강장치(3)는 핸들(6)에 의하여 회전하는 워엄(worm)(7)과 이에 치합시킨 워엄치차(8) 및 이와 치합시킨 치차(8')와, 워엄치차(8)와 동일축상에 설치한 치차(9) 및 치차(8')와 동일축상에 설치한 치차(9')로 구성되며 승강장치(3)의 하부에 위치한 드럼(4)내에는 플렉시블 래크(2)를 수용하고 가장내측파이프 상단에는 안테나등의 피지지물(5)을 설치하여서 된것으로, 치차(9), (9')는 플렉시블 래크(2)에 치합하여 이것을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피니온으로 작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신축지주는 지면상에 설치하는 대형의 것으로 부터 안테나와 조명등을 자동차상에 탑재(塔載)하는 소형의 것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지 형식의 것이 있다.
그리고, 예로서 지상설치용의 신축지주의 경우 플렉시블래크의 수용드럼(4)과 래크승강장치(3)만을 일체로 조립하여 놓고 신축파이프군(1)은 목적지에서 취부하여 사용하는 것이 소망스러운 것이며, 이 경우 신축파이프군(1)을 취부하고 해탈할 대마다 가장 내측파이프(14)에 래크(2)를 취부하고 해탈하지 않으면 아니되며 종래와 같이 가장 내측파이프(14)와 래크(2)와를 나사수단 등에 의하여 연결하여서 된 것은 상기 착탈작업이 곤란하며 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플렉시블래크와 최내측파이프와의 착탈이 극히 간단한 신축지주 즉, 플렉시블래크를 승강시키는 것만으로 래크와 최내측파이프와의 착탈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신축지주를 제공하는데에 있으며, 그 요지는 텔레스코우프식으로 감합한 복수개의 파이프로 구성된 신축파이프군과, 이 파이프군의 최재측파이프의 하단부에 상단을 연결한 플렉시블래크와, 래크를 상하로 움직이게하는 장치를 비치하여서 되는 신축지주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래크의 상단에 피지지부를 가진 죠인트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최내측파이프의 하단부에 피지지부에 감합한 원통부 및 스톱퍼(stopper)부에 결합하는 수입구(受入口)를 갖고 또 원통부에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갖는 죠인트부재지지구를 설치하여 상기 죠인트부재가 소정위치에 하강할때 죠인트부재 지지구로 부터 상기 죠인트부재를 해제하는 지지상태해제 수단을 설치함에 있다.
이하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신축지주의 한 실시예의 요부를 표시한 단면도로서, 이 신축지주는 기본적으로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종래의 신축지주와 같은 구조 즉, 텔레스코와프식으로 감함한 4개의 파이프로된 신축파이프군과 이파이프군의 최내측파이프(14)에 상단을 연결한 플렉시블래크(2)와 이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로 구성되는 구조의 신축지주인 것이며 이같은 신축지주에 있어서 특히 최내측파이프(14)와 플렉시블래크(2)와의 연결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13)은 내측에서 두번째 파이프이고, (12)는 내측에서 세번째 파이프이며 최외측파이프는 생략한 것이다.
상기 내측파이프(14)의 하단부(14a)에는 보울트(10) 및 이와 나합한 캡(11)을 끼워서 죠인트부재지구(12)를 연결한 것이며 죠인트부재(13)는 원주상의 피지지부(13a)와 이의 하부에 형성한 스톱퍼부(13b)와 이의 하부에 플렉시블래크 결합부(13c)를 설치하고 그 래크결합부(13c)에는 플렉시블래크(2)를 결합시킨 것이다.
플렉시블래크(2)는 단면이 5각형으로 된 선상재(線狀材)를 코일 스프링상으로 감아서 형성한 것이며, 래크(2)를 이와 같이 형성하면 상하에 접하는 선상부재를 평면으로 접촉시킬수가 있고 래크(2)의 강도를 크게 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안테나 등의 피지지물의 중량이 클 경우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래크(2)가 신축파이프내에서 뱀처럼 굴절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죠인트 부재지지구(12)는 죠인트부재(13)와 감합하는 원통부(12a') 및 그의 하방으로 연장하여 수입구(12a")를 설치한 원통상 본체(12a)와 상기 원통부(12a')에 삽입한 피지지부(13a)를 지지하기 위한 보올(12b)과 이 보올(12b)을 원통부(12a')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경사면(12c')을 가진 테이페 슬리이브(12c)와 이 테이퍼 슬리이브(12c)를 상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12d)을 설치하고, 테이퍼 슬리이브(12c)와 스프링(12d)은 보올(12b)을 밀어주기 위한 탄압구(12e)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보올(12b)은 원통부(12a')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설한 경사면을 갖는 투공(12a"')내에 복수개설치하였으며 이의 보올(12b)은 보올(12b)의 외측에 경사면(12c')이 존재하지 않으면 외측 방면으로 이동하고 보옥(12b)의 외측에 경사면(12c')이 존재하면 경사면(12c')에 의하여 내측방향으로 눌러 원통부(12a')의 내주면으로부터 보올(12b)의 일부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 슬리이브(12c)는 원통부(12a')의 외측에 접동가능케 감합하였으며 스프링(12d)에 의하여 항상 밀어 올려지며 이에 형성한 경사면(12c')에 의하여 보올(12b)을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며 이 보올(12b)에 의하여 죠인트 부재(13)가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죠인트 부재지구(12)는 이 테이퍼 슬리이브(12c)를 끼워서 나사(12f)에 의하여 캡(11)에 고착하여 된 것이다.
또 내측에서 두번째의 파이프(13)에는 그 하단부에 내측에서 세번째의 파이프(12)와 접등하는 링체(14)를 장착하고 이 링체(14)를 펀치등에 의하여 키격변형(14a)시켜서 고착한 것으로서, 미설명 부호(15)는 파이프(13)에 감착하여 링체(14)상에 위치시킨 슬리이브이고, 2점쇄선으로 표시한 (3a)는 플렉시블래크의 승강장치카바이며 이것은 상기 지지구(12)의 죠인트 부재지지상태 해제수단(16)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신축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신축파이프군(1)을 플렉시블래크 상하운동장치(3)위에 재치고정하고 핸들(6)을 돌려서 래크(2)를 상승시키면 래크(2)에 설치한 죠인트부재(13)가 상승하여 피지지부(13a)가 죠인트부재 지지구의 본체(12a)내에 감입되고 피지지부(13a)의 상단이 보올(12b)에 접한다. 그러므로 다시 래크(2)를 상승시키면 보올(12b)이 피지지부(13a)에 압접하여 있으므로 피지지부(13a)의 상승에 따라 본체(12a)가 스프링(12d)에 저항하여 상승한다. 그리하여 본체(12a)가 어느정도 상승하면 보올(12b)은 테이퍼 슬리이브(12c)의 경사면(12c')으로부터 벗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지지부(13a)에 대하는 보올(12b)의 압력이 해제되고 피지지부(13a)는 보올(12a)을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본체(12b)내를 상승하고 최후로 죠인트부재의 스톱퍼부(13b)가 지지구본체의 수입구(12a")에 접하여 감합이 종료된다. 이 시점에서 레크(2)를 다시 상승시킨 즉 스톱퍼부(13b)가 수입구(12a")를 밀어올려 최내측파이프(14)가 상승한다. 한편, 래크(2)를 하강 시키는 경우 스프링(12d)에 의하여 본체(12a)가 하방향으로 밀려나므로 보올(12b)은 테이퍼슬리이브(12c)의 경사면(12c')에 연하여 폭이 좁은 곳으로 이등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경사면(12c')이 보올(112d)을 원통부(12a')의 내측 방향으로 밀어줌으로 보올(12b)은 죠인트부재(13)의 피지지부(13a)를 지지함과 동시에 피지지부(13a)와 경사면(12c')과의 사이에 있어서 쐐기의 작용을 한다.
따라서, 래크(2)의 하강시에는 죠인트부재(13)와 지지구(12)와는 강력하게 결합되어 래크(2)의 하강에 수반하여 최내측파이프(14)가 하강한다. 다시 하강을 속행하면 지지구의 수입구(12a")가 2점쇄선으로 표시한 지지상태해제 수단(16)인 플렉시블래크 승강장치의 카바(3a)에 걸리고 지지구 본체(12a)는 테이퍼슬리이브(12c)에 비해 조금 상승한다. 즉 지지구 본체(12a)와 테이퍼슬리이브(12c)사이에 약간의 상대운동이 발생함으로서 경사면(12c')에 의한 보올(12b)의 밀어주는 힘과 쐐기작용이 해제되어 죠인트부재(13)는 지지구(12)에서 이탈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최내측파이프(14)가 가장하단까지 하강한 시점에서 죠인트부재(13)가 지지구(12)에서 이탈하도록 플렉시블래크 승강장치카바(3a)의 지지상태 해제 수단(16)을 사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적당한 곳에 수입구(12a")가 걸리도록 스톱퍼를 설치하고 이 스톱퍼를 지지상태 해제수단(16)으로 사용하여도 좋은 것이다.
본 발명의 신축장치에 의한 즉, 텔레스코우프식으로 감합한 복수개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신축파이프군과, 이 파이프군의 최내측파이프의 하단부에 그 상단을 연결한 플렉시블래크와, 래크를 승강시키는 장치와를 비치하여서되는 신축지주에 있어서 플렉시블래크의 상단에 피지지부 및 스톱퍼 부를 갖는 죠인트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최내측 파이프의 하단부에, 피지지부에 감합하는 원통부 및 스톱퍼부에 결합하는 수입구를 갖고 또 원통부에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가진 죠인트부재 지지구를 설치하였으므로 플렉시블래크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말미암아 플렉시블래크와 최내측파이프를 확실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죠인트부재가 소정원치에 하강할때 죠인트부재 지지구로 부터 상기 죠인트부재를 해제하는 지지상태해제 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플렉시블래크를 하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탈할 수가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로서 파이프의 형상, 여러개의 갑합상태, 플렉시블래크의 형태, 래크 승강장치의 형태, 예로서 수동식 혹은 전등식 등은 어느 것이라 하더라도 상관 없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신축장치는 그 요지를 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태양을 취할 수가 있어서 도면에 표시한 구체예에 한정도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텔레스코우프식으로 감합한 복수개의 파이프로 되는 신축 파이프군(1), (11), (12), (13), (14)의 최내측파이프(14)의 하단부에 플렉시블래크(2)를 연결하고 이 래크를 승강시키는 장치(3)를 설치한 신축지주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래크(2)의 상단에 피지지부(13a) 및 스톱퍼부(13b)를 가진 죠인트부재(13)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최내측파이프의 하단부에, 피지지부에 감합하는 원통부(12a') 및 스톱퍼부(13b)에 결합하는 수입구(12a")를 갖고, 또 원통부에 피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가진 죠인트 부재지지구(12)를 설치하여 상기 죠인트부재(13)이 소정위치에 하강할때 죠인트부재 지지구(12)로 부터 상기 죠인트부재를 해제하는 지지상태 해제수단(16)을 설치하며, 상기 죠인트부재지지구(12)를 죠인트부재(13)의 피지지부(13a)에 감합하는 원통상본체(12a)와 이 본체에 설치한 투공(12a"')내에 배치된 죠인트 부재지지 보올(12b)과 보올을 상기 본체내측으로 밀어주는 보올 탄압구(12e)와 상기 본체와의 상대적인 위치변동에 위하여 상기 보올의 압력이 해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신축지주.
KR7803036A 1978-10-05 1978-10-05 신축지주(伸縮支柱) KR820002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036A KR820002305B1 (ko) 1978-10-05 1978-10-05 신축지주(伸縮支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036A KR820002305B1 (ko) 1978-10-05 1978-10-05 신축지주(伸縮支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305B1 true KR820002305B1 (ko) 1982-12-15

Family

ID=1920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036A KR820002305B1 (ko) 1978-10-05 1978-10-05 신축지주(伸縮支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595A1 (ko) * 2015-01-13 2016-07-21 최순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
JP2018504542A (ja) * 2015-01-13 2018-02-15 スン ギュ チョイ, 上昇又は下降可能な支柱構造物及びこれを採用した鉄道用信号灯構造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595A1 (ko) * 2015-01-13 2016-07-21 최순규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
JP2018504542A (ja) * 2015-01-13 2018-02-15 スン ギュ チョイ, 上昇又は下降可能な支柱構造物及びこれを採用した鉄道用信号灯構造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96813A1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을 가지는 맨홀
RU92016205A (ru)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ES471300A1 (es) Columna ascendente perfeccionada para pozos petroliferos o equipos submarinos, y metodo de desconexion rapida corres- pondiente
KR820002305B1 (ko) 신축지주(伸縮支柱)
JP4043563B2 (ja) 昇降装置
FR2593268B1 (fr) Dispositif comportant un support amovible pour luminaires encastres dans plafond
DE3677550D1 (de) Schlauchfoermige fluchtvorrichtung.
ES2083008T3 (es) Armazon de andamio extensible en altura.
ES2119403T3 (es) Apoyo para cinta transportadora.
JP3875445B2 (ja) 伸縮ポール
KR102033681B1 (ko) 방폭 라이팅 지주
ATE106359T1 (de) Hebebühne für kraftfahrzeuge.
KR200487081Y1 (ko) 배터리를 무게추로 이용한 삼각대
EP0016932A3 (en) Hinged connection for a shower separation wall
CN220453076U (zh) 一种管道塌陷非开挖修复装置
KR860000427Y1 (ko) 전 등 대
CN216246356U (zh) 一种建筑施工检测用的通用型辅助支撑装置
CN211011109U (zh) 一种照明装置
KR200220958Y1 (ko) 고무판재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커버 개폐기구
JP2005049201A (ja) 伸縮式レーザ機器設置ポール
KR970000181Y1 (ko) 난간용 지주캡
SU766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онтажа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истовых конструкций, например дымовых труб
KR100191640B1 (ko) 유압식 케이블 리프터
KR840001782Y1 (ko) 신축식 맨홀
SE9003214D0 (sv) Anordning vid skivhiss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