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645B1 -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645B1
KR101273645B1 KR1020110113610A KR20110113610A KR101273645B1 KR 101273645 B1 KR101273645 B1 KR 101273645B1 KR 1020110113610 A KR1020110113610 A KR 1020110113610A KR 20110113610 A KR20110113610 A KR 20110113610A KR 101273645 B1 KR101273645 B1 KR 101273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wire
emitting units
emitting unit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8463A (ko
Inventor
허승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ublication of KR2013001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원을 방출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을 도르래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발광 유닛과 연결된 와이어, 상기 발광 유닛의 상측 및 하측에 각기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발광 유닛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상측 회전 부재 및 하측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 모듈은 발광 유닛을 도르래 방식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발광 유닛을 교량에 설치하거나, 상기 교량으로부터 발광 유닛을 분리하고자 할 때, 구동 모듈을 이용하여 발광 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즉, 종래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높은 곳 까지 올라가 발광 유닛을 직접 하강 또는 상승시키지 않고도 상기 발광 유닛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 환경이 안전한 장점이 있으며, 작업 시간도 짧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LIGHTING DEVICE AND BRIDG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풍압을 최소화할 수 있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강 또는 바다에 설치되는 교량 또는 다리(bridge)에 조명을 설치하여, 조명 또는 장식 효과를 겸비한 다리의 건설 또는 보수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예컨데, 다리는 지면과 지면을 연결하는 도로, 도로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지대 및 복수의 지지대 사이를 예컨데, 아치형으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지지대 각각에 복수의 조명이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지지대 각각은 수십~수백 미터의 높이일 수 있다.
한편,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조명이 설치된 지지대는 바람에 대한 강한 저항을 받게된다. 이에,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조명이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강한 바람에 의해 복수의 조명이 지지대로부터 분리되어 도로면으로 낙하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한 바람이 불거나 조명이 오작동하거나 고장난 경우 작업자가 직접 사다리 차를 타고 지지대의 높은 높이까지 올라가, 상기 조명을 보수하거나 해체시킨다. 하지마,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에게 매우 위험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7816(출원번호 제20-2005-0021363)'에는 난간을 지지하는 난간 기둥, 다수의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타이머를 이용하여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 난간 기둥과 기둥 사이에 형성되는 난간살, 난간살의 요부에 설치되는 이미지가 각인된 조형물 및 난간 기둥과 난간살 및 조형물을 상부에서 조명하는 조명창이 구비된 상부 레일로 구성된 난간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7816호
본 발명의 일 기술적 과제는 풍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발광 유닛의 탈부착이 용이한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기술적 과제는 발광 유닛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조명 장치로서, 광원을 방출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을 도르래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발광 유닛과 연결된 와이어, 상기 발광 유닛의 상측 및 하측에 각기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발광 유닛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상측 회전 부재 및 하측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유닛이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상기 상측 회전 부재에 고리 형태로 걸리고, 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이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하측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을 중심으로 상기 하측 회전 부재를 권취하도록 감기거나, 풀린다.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감기거나 풀리는 방향과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감기거나 풀리는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중심으로하는 감김 또는 풀림과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중심으로 하는 감김 또는 풀림이 교대로 실시된다.
상기 상측 회전 부재 및 하측 회전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상측 회전 부재 및 하측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이 상승하여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이 하강하여 상호 적재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절곡되거나 펴진다.
본 발명은 교량에 관한 것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도로, 상기 도로의 상측에서 상기 도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된 연장 부재, 상기 도로와 연장 부재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도로 및 연장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 사이에 각기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장치는, 광원을 방출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을 도르래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 장치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도로의 일측 및 타측 가장 자리 영역 각각에서 상기 도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다.
상기 도로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와 상기 도로의 타측 가장 자리 영역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로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는 상기 도로의 타측 가장 자리 영역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 장치 사이 영역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듈은 발광 유닛을 도르래 방식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발광 유닛을 교량에 설치하거나, 상기 교량으로부터 발광 유닛을 분리하고자 할 때, 구동 모듈을 이용하여 발광 유닛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즉, 종래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높은 곳 까지 올라가 발광 유닛을 직접 하강 또는 상승시키지 않고도 상기 발광 유닛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의 작업 환경이 안전한 장점이 있으며, 작업 시간도 짧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환경 예컨데,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명 장치를 용이하게 하강시킬 수 있어, 교량이 받는 풍압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로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조명 장치와 상기 도로의 타측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설치된 조명 장치가 상호 엇갈리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발광 유닛을 이용한 조명 디자인이 용이하다. 즉,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된 복수의 발광 유닛에 의해 자연스러운 조명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설치된 교량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시한 입체 도면이며, 상기 도 2는 복수의 발광 유닛이 상호 이격된 상태이고, 도 3은 복수의 발광 유닛이 상호 적재되어 있는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조명 장치의 발광 유닛과 제 1 조명 장치의 발광 유닛이 엇갈려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설치된 교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시한 입체 도면이며, 상기 도 2는 복수의 발광 유닛이 상호 이격된 상태이고, 도 3은 복수의 발광 유닛이 상호 적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조명 장치의 발광 유닛과 제 1 조명 장치의 발광 유닛이 엇갈려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400a, 400b)가 설치된 교량은 일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그 위로 자동차가 활주하는 도로(R), 도로(R)의 상측에서 상기 도로(R)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연장 부재(200a, 200b), 도로(R)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복수의 연장 부재(200a, 200b) 사이를 각기 연결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기둥(100a, 100b), 복수의 기둥(100a, 100b) 사이에서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의 지지대(300a, 300b) 및 복수의 지지대(300a, 300b) 사이 또는 지지대(300a, 300b)와 기둥(100a, 100b) 사이에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발광 유닛(410a, 410b)을 구비하는 복수의 조명 장치(400a, 400b)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과 각기 연결된 전원선(414), 전원선(41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의 발광 여부 및 조명 장치(400a, 400b)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90) 및 상기 전원선(414), 조명 장치(400a, 400b) 및 제어부(49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490)이 명령 신호를 전원선(414) 및 조명 장치(400a, 400b)로 전달하는 통신선(미도시)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로(R)를 폭 방향으로 중심 영역, 중심 영역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해당하는 일측 가장 자리 영역 및 타측 가장 자리 영역으로 나눈다. 그리고, 도로(R)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설치된 기둥(100a), 연장 부재(200a), 지지대(300a) 및 조명 장치(400a) 각각을 제 1 기둥(100a), 제 1 연장 부재(200a), 제 1 지지대(300a) 및 제 1 조명 장치(400a)로 명명한다. 또한, 도로(R)의 타측 가장 자리 영역의 연장 방향으로 따라 설치된 기둥(100b), 연장 부재(200b), 지지대(300b) 및 조명 장치(400b) 각각을 제 2 기둥(100b), 제 2 연장 부재(200b), 제 2 지지대(300b) 및 제 2 조명 장치(400b)로 명명한다.
여기서, 제 1 기둥(100a)과 제 2 기둥(100b), 제 1 연장 부재(200a)와 제 2 연장 부재(200b), 제 1 지지대(300a)와 제 2 지지대(300b), 제 1 조명 장치(410a)와 제 2 조명 장치(410b)는 상호 동일한 형상,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하기에서는 제 1 기둥(100a), 제 1 연장 부재(200a), 제 1 지지대(300a), 제 1 조명 장치(410a)의 형상, 구조 및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 2 기둥(100b), 제 2 연장 부재(200b), 제 2 지지대(300b), 제 2 조명 장치(410b)의 형상, 구조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제 1 연장 부재(200a)의 양단은 상호 이격 배치된 두개의 제 1 기둥(100a)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두 제 1 기둥(100a) 사이에 배치된 제 1 연장 부재(200a)는 하향 경사 영역, 상향 경사 영역, 상기 하향 경사 영역과 상향 경사 영역 사이의 곡선 영역을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연장 부재(200a)는 형상은 상기에서 설명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 영역 및 곡선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직선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연장 부재(200a)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도로(R)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기둥(100a)은 도로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설치되며, 복수의 제 1 기둥(100a) 각각의 하단은 도로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에 연결되며, 상단은 제 1 연장 부재(200a)와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제 1 기둥(100a) 각각의 길이 및 상기 복수의 제 1 기둥(100a) 사이의 이격 거리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른 제 1 기둥(100a)은 원통형의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지지대(300a)는 두개의 제 1 기둥(100a) 사이에서 도로(R)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설치되며, 복수의 제 1 지지대(300a) 각각의 하단은 도로(R)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에 연결되고, 상단은 제 1 연장 부재(200a)와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른 제 1 지지대(300a)는 예컨데 원통형의 형상으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예컨데, 두개의 제 1 기둥(100a)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 1 지지대(300a)의 길이는 서로 다르며, 하나의 제 1 기둥(100a)에서 다른 하나의 제 1 기둥(100a) 방향으로 갈 수록 제 1 지지대(300a)의 길이가 점차 짧아지다가 다시 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두개의 제 1 기둥(100a)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연장 부재(200a)의 형상은 하향 경사 영역, 상향 경사 영역, 상기 하향 경사 영역과 상향 경사 영역 사이의 곡선 영역을 포함하는 형상이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조명 장치(410a)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유닛(410a),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도르래 방식으로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구동 모듈(500a),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의 상측에 배치되어 타단이 제 1 연장 부재(200a)에 연결된 상측 고정 부재(491a),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의 하측에 배치된 하측 고정 부재(492a)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의 양 외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제 1 연장 부재(200a)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하측 고정 부재(492a)에 결합되는 보조 지지 부재(480a)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조명 장치(410a)의 발광 유닛(410a)은 내부에 광을 방출하는 광원(미도시)이 설치된 몸체(411), 몸체(411)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광원(미도시)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과시키는 윈도우(411-1, 412-2), 몸체(411)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결합 수단(413)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는 광원(미도시)으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을 방출하는 다양한 수단을 광원(미도시)으로 이용할 수 있다. 몸체(411)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지며,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윈도우(411-1, 412-2)는 몸체(411) 내부에 설치된 광원(미도시)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광성의 재료 예컨데, 석영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윈도우(412-1, 412-2)를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2개의 윈도우(411-1, 412-2)를 마련하며, 상기 윈도우(411-1, 412-2)가 상호 이격되어 대향 위치하도록 한다. 윈도우(411-1, 412-2)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결합 수단(413)은 복수의 발광 유닛(410a)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470a)가 결합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고리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 부재(470a)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동 모듈(500a)은 최 하단의 발광 유닛(410a)의 하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1, 421a-2), 최 상단의 발광 유닛(410a)의 하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1, 431a-2), 제 1 및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1, 421a-2)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구동 유닛(440a), 개방된 루프(loop) 형상으로 제작되어 복수의 발광 유닛(410a),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 및 제 1 상측 회전 부재(431a-1)와 연결된 제 1 와이어(450a-1), 개방된 루프(loop) 형상으로 제작되어 복수의 제 1 발광 유닛(410a),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2) 및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2)와 연결된 제 2 와이어(450a-2)를 포함한다.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와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2)는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며,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는 제 1 와이어(450a-1)와 연결되고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2)는 제 2 와이어(450a-2)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1, 421a-2) 각각은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하측 플랜지(421-1, 421-2), 한 쌍의 하측 플랜지(421-1, 421-2) 사이를 연결하며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의 양 끝단이 결합 고정되는 하측 샤프트(421-3)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른 하측 플랜지(421-1, 421-2)는 그 단면이 원형이며, 하측 샤프트(421-3)의 지름에 비해 크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플랜지(421-1, 421-2)의 형상은 상기에서 설명한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하측 샤프트(421-3)의 양 단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1, 421a-2) 각각의 하측 샤프트(421-3)는 구동 유닛(440a)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며, 이로 인해 상기 하측 샤프트(421-3)에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가 감기거나 풀어진다. 실시예에 따른 하측 샤프트(421-3)는 그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며 제 1 와이어(450a-1)가 용이하게 감기거나 풀어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 상측 회전 부재(431a-1)와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2)는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며, 제 1 상측 회전 부재(431a-1)에 제 1 와이어(450a-1)가 권취되고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2)에 제 2 와이어(450a-2)가 권취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1, 431a-2)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및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1, 421a-2)와 유사한 구성 및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제 1 및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1, 431a-2) 각각은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상측 플랜지(431-1, 431-2), 한 쌍의 상측 플랜지(431-1, 431-2) 사이를 연결하며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가 고리 형태로 걸리는 상측 샤프트(43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측 샤프트(431-3)는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가 하측 샤프트(421-3)에 감기거나 풀리는 힘을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에,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는 상측 샤프트(431-3)에 권취되어 지지된 상태로 하측 샤프트(421-3)에 감기거나 반대로 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의 감김 및 풀림 동작이 용이하다.
구동 유닛(440a)은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441), 일단이 동력부(44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의 하측 샤프트(431-3)와 연결되는 제 1 구동축(443-1) 및 일단이 제 1 구동축(44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2)의 하측 샤프트(431-3)와 연결되는 제 2 구동축(443-2)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 유닛(440a)은 동력부(441)와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 사이에서 상기 제 1 구동축(443-1)과 연결되어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회전 속도 조절기(4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동력부(441)로 모터(MOTOR)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부(441)에 의한 제 1 및 제 2 구동축(443-1, 44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의 이동 방향 즉, 힘이 가해지는 방향이 달라지며, 이로 인해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제 1 와이어(450a-1)는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 및 제 1 상측 회전 부재(431a-1)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에 감기거나 풀리고, 제 2 와이어(450a-2)는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2) 및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2)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2)에 감기거나 풀린다.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을 이용하여 라인(line) 형상으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와이어(450a-1)와 제 2 와이어(450a-2)는 동일한 형상 및 구조이므로, 하기에서는 제 1 와이어(450a-1) 대해 설명하며, 제 2 와이어(450a-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와이어(450a-1)는 개방된 루프(loop) 형상으로 제작되어, 개방된 양 끝단 각각이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에 결합 고정되고, 상측에 위치한 일부가 제 1 상측 회전 부재(431a-1)에서 고리 형태로 걸쳐진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와이어(450a-1)를 제 1 라인(45) 및 제 2 라인(425)으로 나눈다. 여기서, 제 1 라인(451)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의 각각의 몸체(411)와 연결되며, 제 2 라인(425)은 복수의 발광 유닛(410a)과 연결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의 측 방향에서 제 1 라인(451)의 연장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라인(451)의 일단 및 제 2 라인(425)의 일단은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 1 라인(451)의 타단과 제 2 라인(425)의 타단은 상호 연결되어 제 1 상측 회전 부재(431a-1)를 권취하도록 즉, 고리 형태로 걸쳐진다.
이러한 제 1 와이어(450a-1)는 예컨데,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상호 적재되어 하측에 위치할 때, 제 1 라인(451)의 일단을 중심으로 하측 샤프트(421-3)에 소정 횟수로 감겨져 있고, 제 2 라인(425)은 상기 하측 샤프트(421-3)에 감기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상호 이격되어 있을 때, 제 2 라인(425)의 일단을 중심으로 하측 샤프트(421-3)에 소정 횟수로 감겨져 있고, 제 1 라인(451)은 상기 하측 샤프트(421-3)에 감기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와이어(450a-1)는 하측 샤프트(421-3)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감겨있던 제 1 라인(451)이 풀어지면서 제 2 라인(425)이 감기거나, 감겨있던 제 2 라인(425)이 풀어지면서 제 1 라인(451)이 감길 수 있다. 즉, 제 1 와이어(450a-1)는 하측 샤프트(421-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 1 라인(451)이 일단을 중심으로 감기고 제 2 라인(425)의 일단을 중심으로 풀리거나, 반대로 제 1 라인(451)의 일단을 중심으로 풀리거나 제 2 라인(425)의 일단을 중심으로 감길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적재되어 있던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승강하여 상호 이격되거나, 상호 이격되어 있던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하강하여 적재된다.
연결 부재(470a)는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상호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의 몸체(411)에 장착된 결합 수단(413)에 장착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 부재(470a)는 복수의 발광 유닛(410a)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절곡되거나 일 직선으로 펴질수 있도록 플랙서블(flexible)하게 제작된다.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470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쇠 사슬(chain) 형상으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연결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470a)에 의해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의 상승 및 하강이 용이하며, 이탈되는 일 없이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측 고정 부재(491a)는 제 1 및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1, 431a-2)를 지지하는 것으로, 실시예에 따른 상측 고정 부재(491a)는 예컨데, 제 1 및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1, 431a-2)의 상측에 배치된 플레이트(미도시),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일단이 제 1 및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1, 431a-2)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이 플레이트(미도시)에 결합된 제 1 고정 수단(미도시) 및 일단이 플레이트(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연장 부재(200a)에 연결된 제 2 고정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물론 이에 상측 고정 부재(491a)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및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1, 431a-2)를 고정 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구성으로 변경 가능하다.
구동 모듈(500a)은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승강시켜 이격 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하강시켜 이격 시킬수 있는 다양한 구성 및 구조의 수단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2개의 와이어(450a-1)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2개 이상의 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하측 고정 부재(492a)는 제 1 및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1, 421a-2)를 지지하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블럭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지지 부재(480a)는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의 양 외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제 1 연장 부재(200a)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하측 고정 부재(492a)에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지지 부재는 개방된 루프(loop) 형상으로 제작되어, 양 끝단이 하측 고정 부재에 결합되고, 상측 영역이 제 1 연장 부재에 권취된다. 물론 보조 지지 부재(480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 조명 장치(410a)는 제 1 기둥(100a)과 하나의 제 1 지지대(300a) 사이 또는 두개의 제 1 지지대(300a) 사이에 배치 되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예컨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명 장치(410a)는 우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조명 장치(410b)는 제 2 기둥(100b)과 하나의 제 2 지지대(300b) 사이 또는 두개의 제 2 지지대(300b) 사이에 배치되는데, 제 1 조명 장치(410a)와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 2 조명 장치(41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치우치도록 배치 된다. 이와 같이 제 1 조명 장치(410a)와 제 2 조명 장치(410b)를 엇갈리도록 배치함에 따라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을 이용한 조명 디자인이 용이하다. 즉, 도로의 길이 방향으로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 사이의 이격 거리가 종래에 비해 감소하기 때문에,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을 이용한 이미지의 연출이 자연스럽다.
제어부(490)는 통신선(미도시)을 통해 전원선(414) 및 구동 유닛(440a)과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 각각의 발광 여부 및 배열을 조절한다. 예컨데, 구동 유닛(440a)을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400a, 400b)의 발광 유닛(410a, 410b)을 승하강시켜 이격 거리 및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제어부(490)은 목적에 따라 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400a, 400b) 각각의 발광 유닛(410a)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 1 조명 장치(410a)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복수의 발광 유닛(410a) 및 하나의 제 2 조명 장치(410b)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복수의 발광 유닛(410b)의 높이 및 상호 간의 이격 거리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90)은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 각각에 전원 공급 여부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 각각의 발광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490)는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의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의 발광 여부를 조절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디자인이되도록 연출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때, 제 1 조명 장치와 제 2 조명 장치의 동작은 유사하므로, 제 1 조명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먼저, 적재되어 있는 제 1 조명 장치(400a)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상승시켜, 상호 이격되도록 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이때, 제 1 와이어(450a-1)와 제 2 와이어(450a-2)의 동작이 유사하므로, 제 1 와이어(450a-1)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제 2 와이어(450a-2)의 동작은 간략히 설명한다.
제 1 조명 장치(400a)의 발광 유닛(410a)이 적재되어 있을 때, 예컨데, 제 1 와이어(450a-1)는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의 하측 샤프트(421-3)에 제 1 라인(451)의 일단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소정 횟수 감겨져 있고, 제 2 라인(425)은 상기 하측 샤프트(421-3)에 감기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동력부(441)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구동축(443-1, 443-2)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하측 샤프트(421-3)에 감겨져 있던 제 1 와이어(450a-1)의 제 1 라인(451)이 점차 풀리면서, 상기 제 1 와이어(450a-1)가 이완된 상태가 된다. 이후, 연속하여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와이어(450a-1)의 제 2 라인(425)이 하측 샤프트(421-3)에 반 시계 방향으로 감긴다. 이때, 제 2 라인(425)이 반 시계 방향으로 감기는 힘이 제 1 상측 회전 부재(431a-1)에 전달되어 상기 제 1 상측 회전 부재(431a-1)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 1 와이어(450a-1) 전체가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완되어 있던 제 1 라인(451)이 점차 팽팽해 지고, 이후 제 1 라인(451)이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에 의해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상승한다. 상기에서는 제 1 와이어(450a-1)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제 1 와이어(450a-1)의 동작 시에 제 2 와이어(450a-2)도 함께 동작한다. 즉, 제 1 및 제 2 구동축(443-1, 443-2)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와 함께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2)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 2 와이어(450a-2)의 제 1 라인(451)이 풀리면서 제 2 와이어(450a-2)가 반 시계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제 2 와이어(450a-2)가 반 시계 방향으로 감기는 힘에 의해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2)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 2 와이어(450a-2) 전체가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상승한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의 동작에 의해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상승하여 상호 이격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 각각의 제 1 라인(451)이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함께 이동하므로,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지지 않고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 1 조명 장치(400a)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상승시켜,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제 1 조명 장치(400a)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상승시킬 때, 제 2 조명 장치(400b)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b)도 함께 상승시킨다. 여기서, 제 2 조명 장치(400b)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b)이 상승하는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조명 장치(410a)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400a, 400b) 각각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을 상승시킬 때, 제어부(490)를 통해 구동 유닛(440a)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 또는 410b)의 높이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 또는 410b)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발광 유닛(410a 또는 410b)의 상승 높이 및 상호 이격 거리는 제 1 및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1, 421a-2)의 회전 횟수 및 복수의 연결 부재(470a) 각각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복수의 발광 유닛(410a 또는 410b) 각각의 최대 이격 거리는 그 사이에 배치된 연결 부재(470a)의 길이에 의해 조절된다. 이에, 작업자는 설치 전에 연결 부재(410a, 410b) 각각의 길이를 조절하고, 제어부(490)를 통해 제 1 및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1, 421a-2)의 회전 횟수를 조절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410a 또는 410b)의 높이 및 상호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400a, 400b) 각각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의 상승 작업이 완료되면, 전원 공급부(미도시) 및 전원선(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이 발광하면서, 발광된 광은 윈도우(411-1, 412-2)를 통해 방출된다. 이러한 광은 교량의 조명 또는 정 이미지의 디자인을 연출에 사용될 수 있다.
반대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제 1 조명 장치(400a)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하강시켜 적재되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400a, 400b) 각각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하강시키기 전,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의 전원 공급을 중단 한 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와이어(450a-1)와 제 2 와이어(450a-2)의 동작이 유사하므로, 제 1 와이어(450a-1)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제 2 와이어(450a-2)의 동작은 간략히 설명한다.
제 1 조명 장치(400a)의 발광 유닛(410a)이 이격되어 있을 때, 예컨데, 제 1 와이어(450a-1)의 제 2 라인(425)은 예컨데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의 하측 샤프트(421-3)에 반 시계 방향으로 소정 횟수 감겨져 있고, 제 1 라인(451)은 상기 하측 샤프트(421-3)에 감기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동력부(441)를 동작시켜 제 1 및 제 2 구동축(443-1, 443-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제 하측 샤프트(421-3) 각각에 감겨져 있던 제 1 와이어(450a-1)의 제 2 라인(425)이 점차 풀리면서, 상기 제 2 와이어(450a-2)가 이완된 상태가 된다. 이후, 연속하여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와이어(450a-1) 각각의 제 1 라인(451)이 제 1 하측 샤프트(421-3)에 시계 방향으로 감긴다. 이때, 제 1 라인(451)이 시계 방향으로 감기는 힘이 제 1 상측 회전 부재(431a-1)에 전달되어 상기 제 1 상측 회전 부재(431a-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 1 와이어(450a-1) 전체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 2 라인(425)은 팽팽해 지고 제 1 라인(451)은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에 감긴다.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 라인(451)이 감기는 힘은 제 1 와이어(450a-1) 전제를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 방향으로 당기는 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하강하여 순서적으로 적재된다. 상기에서는 제 1 와이어(450a-1)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제 1 와이어(450a-1)의 동작 시에 제 2 와이어(450a-2)도 함께 동작한다. 즉, 제 1 및 제 2 구동축(443-1, 443-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하측 회전 부재(421a-1)와 함께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 2 와이어(450a-2)의 제 2 라인(425)이 풀리면서 제 1 와이어(450a-1)가 시계 방향으로 감기고, 상기 제 1 와이어(450a-1)가 시계 방향으로 감기는 힘에 의해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 2 와이어(450a-2) 전체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상승한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의 동작에 의해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하강하여 상호 이격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 각각의 제 1 라인(451)이 복수의 발광 유닛(410a)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함께 이동하므로,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 지지 않고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 1 조명 장치(400a)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하강시켜,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이 적재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제 1 조명 장치(400a)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을 하강시킬 때, 제 2 조명 장치(400b)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b)도 함께 하강시킨다. 여기서, 제 2 조명 장치(400b)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b)이 하강하는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조명 장치(400a)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조명 장치(400a, 400b) 각각의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을 하강시키는 작업은 외부 환경 변화 예컨데, 강한 바람이 불경우 교량에 가해지는 풍압을 줄이기 위한 작업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람이 불 때,발광 유닛(410a, 410b)이 높은 곳에 위치할 때에 비해 낮은 곳에 위치할 때 상기 발광 유닛(410a, 410b)에 가해지는 바람에 의한 저항이 작다. 교량이 받는 풍압의 세기가 크면, 상기 교량이 손상되거나, 조명 장치들이 낙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 모듈(500a) 이용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을 낮은 위치로 하강시킨다. 이로 인해, 교량에 가해지는 풍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을 교량으로부터 분리하여 보수하는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행해질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의 분리 또는 보수 작업을 위해 사다리를 타고 높은 곳 까지 올라간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경우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지 않고 구동 유닛(440a), 제 1 및 제 2 하측 회전 부재(421a-1, 421a-2), 제 1 및 제 2 상측 회전 부재(431a-1, 431a-2), 제 1 및 제 2 와이어(450a-1, 450a-2)를 이용하여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을 하측으로 하강시킨 후,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410a, 410b)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유닛(410a, 410b)의 분리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자의 안전성이 보장된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높은 곳으로 올라갈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400a, 400b)가 교량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장치 예컨데 커튼(curtain)에 설치될 수 도 있다.
R: 도로 100a, 100b: 기둥
200a, 200b: 연장 부재 300a, 300b: 지지대
400a, 400b: 조명 장치 410a, 410b: 발광 유닛
421a-1, 421a-2: 하측 회전 부재
431a-1, 431a-2: 상측 회전 부재
440: 구동 유닛 450a-1, 450a-2: 와이어

Claims (18)

  1. 광원을 방출하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을 도르래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발광 유닛과 연결된 와이어;
    상기 발광 유닛의 상측 및 하측에 각기 위치하여,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발광 유닛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상측 회전 부재 및 하측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이 상승하여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이 하강하여 상호 적재되는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가 설치되는 조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상기 상측 회전 부재를 권취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양 끝단이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고정되는 조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하측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을 중심으로 상기 하측 회전 부재를 권취하도록 감기거나, 풀리는 조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감기거나 풀리는 방향과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감기거나 풀리는 방향이 서로 반대인 조명 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중심으로하는 감김 또는 풀림과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중심으로 하는 감김 또는 풀림이 교대로 실시되는 조명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회전 부재 및 하측 회전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상측 회전 부재 및 하측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8. 삭제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절곡되거나 펴지는 조명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 및 구동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발광 유닛의 발광 여부 및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의 전원 공급 여부,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의 높이 및 배열을 제어하는 조명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발광 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선과,
    상기 제어부, 구동 모듈 및 전원선과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의 명령을 상기 전원선 및 구동 모듈에 전달하는 통신선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3. 일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도로;
    상기 도로의 상측에서 상기 도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된 연장 부재;
    상기 도로와 연장 부재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도로 및 연장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 사이에 각기 배치되어 광을 방출하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장치는,
    광원을 방출하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을 도르래 방식으로 이동시켜, 상기 발광 유닛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에 의해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이 상승하여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이 하강하여 상호 적재되는 교량.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가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도로의 일측 및 타측 가장 자리 영역 각각에서 상기 도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교량.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의 발광 유닛과 상기 도로의 타측 가장 자리 영역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의 발광 유닛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교량.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일측 가장 자리 영역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의 발광 유닛은 상기 도로의 타측 가장 자리 영역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 장치의 발광 유닛 사이 영역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교량.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 및 구동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발광 유닛의 발광 여부 및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량.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로의 일측 및 타측에 각기 설치된 복수의 발광 유닛의 전원 공급 여부, 상기 복수의 발광 유닛 각각의 높이 및 배열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디자인으로 발광되도록 연출하는 교량.
KR1020110113610A 2011-08-08 2011-11-02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KR101273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648 2011-08-08
KR20110078648 2011-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463A KR20130018463A (ko) 2013-02-25
KR101273645B1 true KR101273645B1 (ko) 2013-06-11

Family

ID=4789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610A KR101273645B1 (ko) 2011-08-08 2011-11-02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005B1 (ko) * 2019-06-28 2020-04-01 신경용 와이어를 통하여 복수의 엘이디램프가 공간상에 지지되는 입체조명시스템의 유지보수 방법
KR102096012B1 (ko) * 2019-06-28 2020-04-01 신경용 보강부재를 통하여 복수의 엘이디램프가 공간상에 지지되는 입체 조명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422B1 (ko) * 1997-04-17 2000-04-15 강영주 승강구조를 갖춘 타워조명장치
KR20040062378A (ko) * 2003-06-10 2004-07-07 신정훈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KR20080112556A (ko) * 2007-06-21 2008-12-26 (주)성우에스람 조명등 승강장치
KR20100084767A (ko) * 2009-01-19 2010-07-28 신정훈 승강기능을 갖는 가로등의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422B1 (ko) * 1997-04-17 2000-04-15 강영주 승강구조를 갖춘 타워조명장치
KR20040062378A (ko) * 2003-06-10 2004-07-07 신정훈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와이어 정렬장치
KR20080112556A (ko) * 2007-06-21 2008-12-26 (주)성우에스람 조명등 승강장치
KR20100084767A (ko) * 2009-01-19 2010-07-28 신정훈 승강기능을 갖는 가로등의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463A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42142T3 (es) Método de instalación de un ascensor
KR100928870B1 (ko) 승강식 지주대
KR101639968B1 (ko)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한 철도용 신호등 구조물
JP2004518245A (ja) 昇降機能を持つ高所照明灯設備
KR101934361B1 (ko) 가로등
CN104150353A (zh) 一种可升降可拆卸的桥式起重机
KR101273645B1 (ko)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KR101416795B1 (ko) 연등 리프팅 장치
KR101862918B1 (ko) 승하강 가능한 지주 구조물
KR102389154B1 (ko) 등기구 승강구조를 갖는 가로등
KR101583611B1 (ko) 벽부 승강 조명시스템
KR20200107652A (ko) 가로등의 등기구 승강 리프트장치
KR102096005B1 (ko) 와이어를 통하여 복수의 엘이디램프가 공간상에 지지되는 입체조명시스템의 유지보수 방법
JP5064444B2 (ja) 立坑用螺旋階段の設置方法及び設置用足場装置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JP2936254B2 (ja) 投光機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KR102551843B1 (ko)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KR200299943Y1 (ko) 가로등 승하강 장치
KR100442082B1 (ko) 계단식 조명탑
KR20120122015A (ko) 조명 타워용 안전 장치
KR102204836B1 (ko) 미니 크레인
KR20130032673A (ko)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
KR200376063Y1 (ko) 구동부 위치 선정이 자유로운 승강기식 주차설비
KR100959641B1 (ko) 다단 자동식 조명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