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703B1 -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703B1
KR101860703B1 KR1020170083016A KR20170083016A KR101860703B1 KR 101860703 B1 KR101860703 B1 KR 101860703B1 KR 1020170083016 A KR1020170083016 A KR 1020170083016A KR 20170083016 A KR20170083016 A KR 20170083016A KR 101860703 B1 KR101860703 B1 KR 101860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able
supporting
support
mai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문
Original Assignee
상명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산업(주) filed Critical 상명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08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Abstract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는: 통행부의 하중을 행어케이블을 통해 지지하는 주케이블과, 주케이블의 장력을 지지하도록 대지에 복수개 설치되는 앵커블록과, 주케이블을 상측 단부에 안착 지지하는 주탑부재와, 주탑부재에 구비되고, 주케이블을 넓게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하므로 주케이블의 굽힘 변형을 방지하는 하중분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DEVICE FOR SUPPORTING CABLE OF SUSPENSION BRIDGE}
본 발명은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탑부재의 너비보다 더 넓은 하중분산지지부를 이용하여 주케이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주케이블의 하중 지지범위를 넓혀 굽힙현상을 방지하므로 주케이블의 파손에 의한 수명 단축을 줄일 수 있는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이나 계곡의 양측을 케이블로 연결하고, 사람 또는 차량 등을 통행하게 하기 위하여 보행 및 차량통로를 행어케이블로 연결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현수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수교는 적당하게 늘어지는 케이블이 본체를 구성하는 다리로 그 주요한 구성요소는, 인장재인 주케이블과, 주케이블의 장력을 대지로 이끄는 앵커블록과, 주케이블을 상측 단부에 걸어 지지하는 주탑부재와, 사람 또는 차량이 통행하는 플레이트거더와, 플레이트거더의 양측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주케이블에 연결 지지되는 행어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케이블은 와이어를 꼬아서 강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주탑부재의 상측에 안착되어 행어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기존에는 주탑부재의 상단 양측에 각각 브라켓에 설치구멍을 형성하여 주케이블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일체고정방식과, 주탑부재의 상측에 롤러(roller)를 설치하여 주케이블을 안착 지지하고, 주케이블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지지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그런데, 기존의 일체고정방식은 주케이블을 주탑부재의 브라켓에 고정설치하므로 주케이블이 늘어진 경우, 길이조절이 불가능하여 구조적인 피로도가 주캅부재의 브라켓에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롤러지지방식은 주탑부재의 상측에 설치된 롤러에 주케이블을 안착하여 가이드하므로 주케이블의 길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만, 롤러의 지지면적이 협소함에 따라 주케이블에 굽힘현상(꺽임형상)이 발생되어 주케이블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939호(2012.03.12, 발명의 명칭: 복수 유닛 구조의 주케이블을 갖는 현수교)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주탑부재의 상측에 주탑부재의 너비보다 더 넓은 하중분산지지부를 이용하여 주케이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주케이블의 하중 지지범위를 넓혀 굽힙현상을 방지하므로 주케이블의 파손에 의한 수명 단축을 줄일 수 있는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는, 통행부의 하중을 행어케이블을 통해 지지하는 주케이블; 상기 주케이블의 장력을 지지하도록 대지에 복수개 설치되는 앵커블록; 상기 주케이블을 상측 단부에 안착 지지하는 주탑부재; 및 상기 주탑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주케이블을 넓게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하므로 상기 주케이블의 굽힘 변형을 방지하는 하중분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중분산지지부는, 상기 주탑부재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주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주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케이블의 이탈을 빙지하는 이탈방지홈부;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이탈방지홈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탈방지홈부에 안착된 상기 주케이블의 마찰을 방지하거나 하중을 완충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보강부에 의해 상기 주탑부재에서 보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주탑부재의 전면에서 전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는 전측지지브라켓; 상기 주탑부재의 후면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는 후측지지브라켓; 및 상기 주탑부재의 양측면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회동부에 의해 상기 주탑부재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한 쌍 구비되어 상기 주탑부재의 측면에 접촉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를 상기 주탑부재에 관통 설치하여 상기 주케이블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는 회동제한부에 의해 상기 주탑부재에서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주탑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전측에 걸리므로 상기 설치부재의 전측 회전을 차단하는 전측차단부재; 및 상기 주탑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후측에 걸려 상기 설치부재의 후측 회전을 차단하는 후측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케이블은 상기 지지부재 상측에 결합되는 덮개부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서 상기 주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케이블의 상측부위를 감싸는 함몰홈부; 및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서 회전을 지지하는 경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주케이블의 상측을 밀착하는 밀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함몰홈부는 상기 이탈방지홈부에 안착된 상기 주케이블의 단면 둘레의 나머지 범위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는, 주탑부재의 상측에 주탑부재의 너비보다 더 넓은 하중분산지지부를 이용하여 주케이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주케이블의 하중 지지범위를 넓혀 굽힙현상을 방지하므로 주케이블의 파손에 의한 수명 단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케이블에 충격이 가해질 때 지지부재를 회동부를 이용하여 주탑부재에서 회전시켜 지지부재를 완충하므로 지지부재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첩부재를 이용하여 커버부재를 지지부재에서 회전하면서 지지력을 발휘하므로 주케이블의 교환 및 수리시 커버부재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의 하중분산지지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중분산지지부의 변형예로서, 회동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측면도로서, 지지부재의 회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부에서 경첩부재가 구비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의 하중분산지지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중분산지지부의 변형예로서, 회동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측면도로서, 지지부재의 회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분산부에서 경첩부재가 구비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는, 주케이블(100), 앵커블록(200), 주탑부재(300), 하중분산지지부(400)를 포함한다.
주케이블(100)은 통행부(120)의 하중을 행어케이블(110)을 통해 지지하는 구성이다.
주케이블(100)은 와이어를 다수 가닥으로 꼬아서 하중을 잘 견디도록 강성을 높인 강철선을 주로 사용한다.
주케이블(100)은 양단을 주탑부재(300)에 고정하는 고정방식과, 주탑부재(300)에 설치된 롤러에 안착시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롤러방식 등이 사용된다.
이중 고정방식은 주케이블(100)을 주탑부재(300)에 설치된 브라켓에 고정시키므로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길이 조절이 어렵고, 구조적인 피로도가 주탑부재(300)와 주케이블(100)에 집중되므로 피로도가 커지는 단점을 지닌다.
롤러방식은 주케이블(1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반면에, 롤러의 좁은 면적에 주케이블(100)이 지지되므로 굽힘(꺽임) 현상으로 인해 주케이블(100)의 수명이 줄어드는 단점을 지닌다. 이로써, 후술하는 하중분산지지부(400)를 이용하여 주케이블(100)의 하중을 분산하면서 지지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앵커블록(200)은 주케이블(100)의 장력을 지지하도록 대지에 복수개 설치되는 구성이다.
앵커블록(200)은 사각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지에 앵커볼트로 매립 설치된다. 앵커블록(200)에는 주케이블(100)을 고정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고정부가 구비된다. 길이조절고정부는 앵커블록(200)에 주케이블(100)을 고정하면서 주케이블(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통행부(120)는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통행부(120)는, 행어케이블(11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통행 하중을 지지하는 버팀부재(130)와, 버팀부재(13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재(140)와, 하중지지부재(140) 상에 너비방향으로 안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촘촘하게 배치되고, 사람 또는 차량 등의 통행을 지지하는 테크부재(150)와, 버팀부재(130)의 양측에 상측으로 설치되어 측면으로 낙하를 방지하는 난간부재(160)를 포함한다.
버팀부재(130)는 에이치빔(H-beam)을 포함한 다양한 빔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중지지부재(140)의 중심에는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설치홈부(142)가 구비된다.
설치홈부(142)는 U자 형상의 홈일 수 있다.
설치홈부(142)에는 하중을 보강 지지하는 바닥케이블(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닥케이블(170)은 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심선부재와, 심선부재의 둘레를 감싸면서 고정되어 부식을 방지하는 피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피복부재는 심선부재의 둘레에 합성수지재를 적정한 두께로 도포하면서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피복부재의 보호에 의해 바닥케이블(170)의 심선부재가 부식되거나 부식에 의한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테크부재(150)는 하중지지부재(140)와 버팀부재(13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재(180)에 의해 버팀부재(130)에 체결된다.
태크부재(150)는 목재를 포함한 다양한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난간부재(160)는, 버팀부재(130)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 배치되는 기둥(161)과, 기둥(161)의 측면에 배치되는 차단판부재(162)와, 차단판부재(162)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연결케이블(163)과, 연결케이블(163)과 차단판부재(162)를 기둥(16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64)를 포함한다.
기둥(161)은 목재기둥을 포함한 다양한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차단판부재(162)의 상측에는 중심으로 경사지게 구부려진 굴곡부(165)가 구비될 수 있다.
굴곡부(165)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재(166)가 더 구비된다.
그립부재(166)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원형봉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크부재(150)의 양측 저면 모서리에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테크부재(150)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크보호부재(190)가 더 구비된다.
테크보호부재(190)는 ㄴ자 형상을 이중으로 굴곡시켜 테크부재(150)의 하부 모서리와 버팀부재(130)의 상측면에 안착 지지되면서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버팀부재(130)에서 테크부재(15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데크보호부재(190)는, 테크부재(150)의 하측 모서리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모서리안착부(192)와, 모서리안착부(192)의 일측 단부에서 굴곡되어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수직연결부(194)와, 수직연결부(194)의 하측 단부에서 굴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고, 버팀부재(130)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측고정부(196)를 포함한다.
하측고정부(196)는 버팀부재(130) 상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주탑부재(300)는 주케이블(100)을 상측 단부에 안착하여 지지하는 구성이다.
주탑부재(300)는 2개의 지지기둥을 탑처럼 상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므로 주케이블(100)을 상측 2개소에서 안착 지지하여 주케이블(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서포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주탑부재(300)는 현수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므로 주케이블(100)은 주탑부재(300) 사이에서 U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다수개의 행어케이블(110)이 설정간격으로 배치된다.
하중분산지지부(400)는 주탑부재(300)에 구비되고, 주케이블(100)을 넓게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하므로 주케이블(100)의 굽힘 변형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중분산지지부(400)는, 주탑부재(300)의 상측에 구비되고, 주케이블(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10)와, 지지부재(410)에서 주케이블(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주케이블(100)의 이탈을 빙지하는 이탈방지홈부(420)와, 지지부재(410)와 이탈방지홈부(420) 상에 구비되어 이탈방지홈부(420)에 안착된 주케이블(100)의 마찰을 방지하거나 하중을 완충하는 쿠션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10)는 주탑부재(300)의 측면에서 볼 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재(410)는 주탑부재(300)의 너비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어 주케이블(100)의 하중을 분산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주케이블(100)은 지지부재(410)에서 큰 곡률을 갖도록 안착되므로 주케이블(100)의 굽힘(꺽임) 현상을 방지하므로 주케이블(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주케이블(1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탈방지홈부(420)는 주케이블(100)의 단면 둘레의 20~50% 범위 정도를 수용하는 원호홈이다. 이탈방지홈부(420)는 주케이블(100)의 단면 둘레의 50%를 수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쿠션부재(430)는 탄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특수천소재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쿠션부재(430)는 지지부재(410), 이탈방지홈부(420) 및 주케이블(100)을 보호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쿠션부재(430)는 지지부재(410)의 상면 크기와 같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재(430)는 지지부재(410)에 접착재로 부착되거나 볼트, 나사 또는 리벳팅으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410)는 보강부(440)에 의해 주탑부재(300)에서 보강 설치된다.
보강부(440)는, 주탑부재(300)의 전면에서 전측으로 연장되면서 지지부재(4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전측지지브라켓(442)와, 주탑부재(300)의 후면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면서 지지부재(410)의 저면에 설치되는 후측지지브라켓(444)와, 주탑부재(300)의 양측면에서 연장되면서 지지부재(410)의 저면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브라켓(446)을 포함한다.
전측지지브라켓(442)과 후측지지브라켓(444)은 주탑부재(300)를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측면지지브라켓(446)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갈수록 널게 형성되어 지지부재(410)의 저면에 용접되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전측지지브라켓(442)과 후측지지브라켓(444)의 하측에는 주탑부재(300)에서 멀어질수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47)와, 수평부(447)에서 지지부재(410)의 양단부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448)가 구비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재(410)는 회동부(500)에 의해 주탑부재(300)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동부(500)는, 지지부재(410)의 하측에 한 쌍 구비되어 주탑부재(300)의 측면에 접촉되는 설치부재(510)와, 설치부재(510)를 주탑부재(300)에 관통 설치하여 주케이블(100)의 인장력에 의해 지지부재(410)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5620)를 포함한다.
설치부재(410)는 회동제한부(530)에 의해 주탑부재(300)에서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회동제한부(530)는, 주탑부재(300)에 구비되어 설치부재(510)의 전측에 걸리므로 설치부재(510)의 전측 회전을 차단하는 전측차단부재(532)와, 주탑부재(300)에 구비되어 설치부재(510)의 후측에 걸려 설치부재(510)의 후측 회전을 차단하는 후측차단부재(5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케이블(100)은 지지부재(410) 상측에 결합되는 덮개부(60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덮개부(600)는, 지지부재(4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610)와, 커버부재(610)에서 주케이블(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주케이블(100)의 상측부위를 감싸는 함몰홈부(620)와, 커버부재(610)를 지지부재(410)에 결합하는 결합부재(63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610)의 저면에는 주케이블(100)의 상측을 밀착하는 밀착부재(6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함몰홈부(620)는 이탈방지홈부(420)에 안착된 주케이블(100)의 단면 둘레의 나머지 범위를 수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주케이블(100)의 둘레는 이탈방지홈부(420)와 함몰홈부(620)에 의해 완전하게 감싸지면서 고정되므로 주케이블(100)은 주탑부재(300)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밀착부재(650)는 탄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특수천소재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밀착부재(650)는 커버부재(610), 함몰홈부(620) 및 주케이블(100)을 보호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덮개부(600)는, 커버부재(610)와 지지부재(410)를 연결하여 커버부재(610)를 지지부재(410)에서 회전을 지지하는 경첩부재(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첩부재(640)는 도 10에서 2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1개 또는 3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경첩부재(640)는 커버부재(610)를 지지부재(4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주케이블(100) 설치시 결합부재(630)의 분해로 인한 커버부재(610)의 분실 방지를 도와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는, 주탑부재의 상측에 주탑부재의 너비보다 더 넓은 하중분산지지부를 이용하여 주케이블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텐션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주케이블의 하중 지지범위를 넓혀주므로 굽힙현상을 방지하므로 주케이블의 파손에 의한 수명 단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케이블에 충격이 가해질 때 지지부재를 회동부를 이용하여 주탑부재에서 회전시켜 지지부재를 완충하므로 지지부재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첩부재를 이용하여 커버부재를 지지부재에서 회전하면서 지지력을 발휘하므로 주케이블의 교환 및 수리시 커버부재의 분실을 방지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주케이블 110 : 행어케이블
120 : 통행부 130 : 벼팀부재
140 : 하중지지부재 142 : 설치홈부
150 : 목재테크 160 : 난간부재
161 : 기둥 162 : 차단판부재
163 : 연결케이블 164 : 고정부재
165 : 굴곡부 166 : 그립부재
200 : 앵커블록 300 : 주탑부재
400 : 하중분산지지부 410 : 지지부재 :
420 : 이탈방지홈부 430 : 쿠션부재
440 : 보강부 442 : 전측지지브라켓
444 : 후측지지브라켓 446 : 측면지지브라켓
447 : 수평부 448 : 경사부
500 : 회동부 510 : 설치부재
520 : 회전축부재 530 : 회동제한부
532 : 전측제한부 534 : 후측제한부
600 : 덮개부 610 : 커버부재
620 : 함몰홈부 630 : 결합부재
640 : 경첩부재 650 : 밀착부재

Claims (10)

  1. 통행부의 하중을 행어케이블을 통해 지지하는 주케이블; 상기 주케이블의 장력을 지지하도록 대지에 복수개 설치되는 앵커블록; 상기 주케이블을 상측 단부에 안착 지지하는 주탑부재; 및 상기 주탑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주케이블을 넓게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하므로 상기 주케이블의 굽힘 변형을 방지하는 하중분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분산지지부는, 상기 주탑부재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주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주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케이블의 이탈을 빙지하는 이탈방지홈부;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이탈방지홈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탈방지홈부에 안착된 상기 주케이블의 마찰을 방지하거나 하중을 완충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회동부에 의해 상기 주탑부재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한 쌍 구비되어 상기 주탑부재의 측면에 접촉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를 상기 주탑부재에 관통 설치하여 상기 주케이블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보강부에 의해 상기 주탑부재에서 보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주탑부재의 전면에서 전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는 전측지지브라켓;
    상기 주탑부재의 후면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는 후측지지브라켓; 및
    상기 주탑부재의 양측면에서 연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회동제한부에 의해 상기 주탑부재에서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회동제한부는,
    상기 주탑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전측에 걸리므로 상기 설치부재의 전측 회전을 차단하는 전측차단부재; 및
    상기 주탑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재의 후측에 걸려 상기 설치부재의 후측 회전을 차단하는 후측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케이블은 상기 지지부재 상측에 결합되는 덮개부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서 상기 주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케이블의 상측부위를 감싸는 함몰홈부; 및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서 회전을 지지하는 경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주케이블의 상측을 밀착하는 밀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함몰홈부는 상기 이탈방지홈부에 안착된 상기 주케이블의 단면 둘레의 나머지 범위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170083016A 2017-06-30 2017-06-30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60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016A KR101860703B1 (ko) 2017-06-30 2017-06-30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016A KR101860703B1 (ko) 2017-06-30 2017-06-30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703B1 true KR101860703B1 (ko) 2018-05-24

Family

ID=6229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016A KR101860703B1 (ko) 2017-06-30 2017-06-30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4773A (zh) * 2018-08-24 2018-11-30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转角索鞍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055B1 (ko) 2012-01-06 2012-10-12 주식회사 에이맥스 막구조물에 대한 수직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KR101408648B1 (ko) * 2013-03-13 2014-06-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경간 현수교의 고밀착 탑정 새들
KR101595485B1 (ko) * 2015-04-07 2016-02-18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교량 케이블 제설장치
KR101706974B1 (ko) * 2016-07-04 2017-02-15 수풍산업 주식회사 출렁다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055B1 (ko) 2012-01-06 2012-10-12 주식회사 에이맥스 막구조물에 대한 수직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KR101408648B1 (ko) * 2013-03-13 2014-06-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경간 현수교의 고밀착 탑정 새들
KR101595485B1 (ko) * 2015-04-07 2016-02-18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교량 케이블 제설장치
KR101706974B1 (ko) * 2016-07-04 2017-02-15 수풍산업 주식회사 출렁다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4773A (zh) * 2018-08-24 2018-11-30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转角索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515B1 (ko) 주케이블 장력조절 고정장치를 갖는 현수교
JP7193179B2 (ja) ブラケット
US8833671B2 (en) Suspended rail fastening apparatus
US8240745B2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860703B1 (ko) 현수교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24209B1 (ko) 교량 및 옹벽 확장 인도교
KR20140084008A (ko) 파이프 대 파이프 버팀대 조립체
KR101304262B1 (ko) 변단면 ⅰ형 거더를 이용한 아치형 하로교의 트러스 복합교량 구조
JP3844861B2 (ja) 構築物のケーブル補強構造
JP4237223B2 (ja) 覆工板締結金具及びその覆工板の締結工法
JP6652461B2 (ja) 橋梁用防護柵
KR102585870B1 (ko) 내진 기능과 안정성이 향상된 케이블트레이 조립체
KR200479787Y1 (ko) 시스템 동바리 유헤드 고정 장치
JP2772505B2 (ja) 衝撃吸収柵
JP4314485B2 (ja) 電線張替装置
JP2021524552A (ja) 車両拘束システム用の垂直部材
JP4143016B2 (ja) スラブの補強方法
JP5733926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
US20230017980A1 (en) Slider device and handrail apparatus
US11318339B2 (en) Diving board stand
KR101931662B1 (ko)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JP3118626U (ja) 剛体電車線用の架台および剛体電車線
KR100637849B1 (ko)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공법 및 그 보강장치
CN220764360U (zh) 管束导向支架和具有其的车辆
JP7158334B2 (ja) 墜落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