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662B1 -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662B1
KR101931662B1 KR1020170021160A KR20170021160A KR101931662B1 KR 101931662 B1 KR101931662 B1 KR 101931662B1 KR 1020170021160 A KR1020170021160 A KR 1020170021160A KR 20170021160 A KR20170021160 A KR 20170021160A KR 101931662 B1 KR101931662 B1 KR 101931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ortion
support column
fixing member
auxiliary bod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688A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6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 폼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기둥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보강용 트러스 장치에 있어서, 슬라브 폼 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 바이브레이터 공정 수행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지지기둥과 트러스 장치 연결부위에서 결속력이 저하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된 수평부재와 연결되어 지지기둥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릴 수 있는 제1후크부가 형성된 주몸체와; 상기 제1후크부와 함께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릴 수 있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고, 주몸체에 힌지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몸체와; 상기 주몸체 및 보조몸체에 형성된 쐐기관통공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보조몸체의 일측면과 접촉을 이루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의 형상을 이용하여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도록 유도하는 쐐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몸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Connecting clamp and truss device for reinforcing suppor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슬라브 폼을 받치고 있는 복수의 지지기둥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용 트러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지지기둥과 트러스 장치 간의 결속력이 저하되어 트러스 장치가 붕괴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 슬라브 폼을 지지하기 위해 슬라브 폼의 하부에 여러 개의 지지기둥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지지기둥의 길이가 길면 슬라브 폼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제대로 지탱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슬라브 폼의 상방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지지기둥에 좌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지지기둥에 발생하는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기둥과 지지기둥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보강 부재를 연결 설치하여 좌굴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였으며, 이 경우 상기 보강 부재는 지지기둥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어 좌굴에 가장 취약한 위치를 보강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지지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트러스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트러스 형태라 함은 부재(部材)가 휘지 않게 접합점을 핀으로 연결한 골조구조로 아치 형식, 현수 형식 및 보 형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지지기둥의 좌굴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트러스 장치의 일 예로서, 특허등록 제10-1336633호(이하, '종래기술' 이라 함)에서는, 지지기둥 사이에 연결되는 보강 부재인 수평부재의 양단에 연결 클램프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 클램프를 지지기둥의 외면에 형성된 홈과 맞물리게 하여 지지기둥 사이에 트러스 장치를 연결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트러스 장치에서 수평부재를 지지기둥의 외면에 연결해주는 연결 클램프는, 제1후크부가 구비된 주몸체와, 상기 제1후크부와 대응되는 제2후크부가 구비되어 주몸체에 힌지 결합되는 보조몸체로 이루어지고, 주몸체 및 보조몸체에 형성된 쐐기관통공에 경사부를 갖는 쐐기기유닛을 삽입하여, 상기 쐐기유닛을 상방에서 타격함에 따라 쐐기유닛의 경사부가 보조몸체를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주몸체와 보조몸체가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를 통해 지지기둥의 외면에 강하게 맞물려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트러스 장치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기둥 사이에 트러스 장치가 연결되어 보강된 후, 슬라브 폼 내부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슬라브 폼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에는 바이브레이터 공정을 통해 콘크리트의 충전효율을 높이게 되는데, 이때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연결 클램프 주몸체 에 압입된 쐐기유닛이 지속적으로 흔들리게 되어 쐐기유닛과 쐐기관통공 사이가 헐거워지게 됨으로써 지지기둥과 연결 클램프 간의 결속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쐐기관통공에 압입된 쐐기유닛 부분에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진동이나 충격이 인가되면 쐐기관통공과 쐐기유닛 사이의 마찰력이 점차 상쇄되어 쐐기관통공과 쐐기유닛 사이가 헐거워지게 됨으로써 결국에는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려 있던 트러스 장치가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지지기둥 사이를 결속하고 있던 트러스 장치의 부재로 인하여 지지기둥에 하중에 의한 좌굴이 발생됨으로써 슬라브 폼 상부구조 전체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재산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까지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1336633호(2013.11.28)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라브 폼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한 이후 바이브레이터 공정을 통해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지지기둥과 연결 클램프 사이의 결속력이 저하되지 않아 시공에 따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연결 클램프 구조 및 이 연결 클램프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몸체 및 보조몸체에 형성된 양측 후크부가 탄성부재를 통해 항상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연결 클팸프의 양측 후크부를 지지기둥의 외면 홈에 쉽게 맞물릴 수 있고, 이에 따라 트러스 장치의 체결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된 수평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기둥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릴 수 있는 제1후크부가 형성된 주몸체와; 상기 제1후크부와 함께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릴 수 있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고, 주몸체에 힌지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몸체와; 상기 주몸체 및 보조몸체에 형성된 쐐기관통공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보조몸체의 일측면과 접촉을 이루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의 형상을 이용하여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도록 유도하는 쐐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몸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힌지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제2후크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보조몸체 상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는 주몸체의 내측면과 맞닿을 수 있는 위치의 보조몸체 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쐐기유닛과 맞닿을 수 있는 위치의 보조몸체 상에 결합되어 상기 쐐기유닛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쐐기유닛의 접촉 부위에는 접촉되지 않는 다른 부위보다 표면 거칠기가 큰 마찰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핀의 외면에는 일측이 주몸체에 지지되고 타측이 보조몸체에 지지되어,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 사이를 탄성적으로 벌려줄 수 있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슬라브 폼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한 이후 바이브레이터 공정을 통해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에도 지지기둥과 연결 클램프 사이의 결속력이 저하되지 않아 시공에 따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주몸체 및 보조몸체에 형성된 양측 후크부가 탄성부재를 통해 항상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연결 클팸프의 양측 후크부를 지지기둥의 외면 홈에 쉽게 맞물릴 수 있고, 이에 따라 트러스 장치의 체결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조몸체에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는 연결 클램프의 양측 후크부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강제로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고정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진동이나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해 쐐기유닛의 결합력이 느슨해질 경우에도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지지기둥과 연결 클램프 사이에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해줄 수 있기 때문에 지지기둥으로부터 트러스 장치가 분리되어 붕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쐐기유닛과 맞닿게 되는 위치의 보조몸체 상에 고정부재를 설치함에 따라, 쐐기유닛 부분에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하여도 고정부재가 쐐기유닛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게 되어 쐐기유닛의 결속력을 항상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와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 쐐기유닛의 접촉 부위에 접촉되지 않는 다른 부위보다 표면 거칠기가 큰 마찰면을 형성함에 따라, 고정부재와 쐐기유닛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주의에 의해 고정부재를 타이트하게 조여주지 못한 상황에서도 고정부재와 쐐기유닛 간에 일정 수준의 마찰력이 확보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쐐기유닛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장치가 지지기둥 사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러스 장치와 지지기둥의 결합된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램프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상세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연결 클램프가 지지기둥에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램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램프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클램프 및 이 연결 클램프를 구비하는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질 수 있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장치가 지지기둥 사이에 연결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기둥과 트러스 장치가 연결된 일부분을 확대 및 분리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장치(200)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슬라브 폼(Slab form)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수직 지지부재인 복수 개의 지지기둥(210) 사이의 중간 높이 지점에 좌굴 방지를 위해 연결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트러스 장치(200)는 지지기둥(210)의 길이가 긴 경우 도 1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상기 지지기둥(210)의 상하방향으로 2개 이상의 복수 단으로 설치하여 지지기둥(200)을 보강할 수 있고, 어느 한 단에서 복수 개의 트러스 장치(200)로 둘러싸인 상단에 발판(미도시) 등을 거치하여 슬라브 폼의 가설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트러스 장치(2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기둥(21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부재(220)와, 상기 한 쌍의 수평부재(220)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연결부재(240)와, 상기 수평부재(220) 사이를 경사진 형태로 연결하는 경사연결부재(230)와, 상기 수평부재(220)의 양단에 결합되어 지지기둥(210)의 외면과 맞물려 연결 고정되는 연결 클램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재(220)는 4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중공 부재로, 상기 수평부재(220)의 양단에는 연결 클램프(10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224)가 관통 체결될 수 있는 관통공(222)이 형성된다.
한편,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램프(100)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클램프(100)가 지지기둥(210)에 맞물려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램프(100)는 주몸체(110)와, 주몸체(110)에 힌지핀(13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몸체(120)와, 주몸체(110)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쐐기유닛(140)과, 쐐기유닛(140)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몸체(110)는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부재(220)의 양단과 접하는 부분에 볼트(222)가 관통되는 관통공(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14)의 반대편 위치에서 지지기둥(210)의 외면과 접하게 되는 주몸체(110)의 끝단 부분에는 상기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형성된 홈(212) 부분에 걸려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후크(hook) 형상을 갖는 제1후크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몸체(120)는 "ㄷ"자 형상을 갖는 상기 주몸체(11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어 힌지핀(13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주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핀(130)이 관통될 수 있는 힌지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몸체(120) 부분에도 상기 주몸체(110)의 힌지공(111)과 대응하는 또 다른 힌지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130)은 상기 주몸체(110) 및 보조몸체(120)에 각각 형성된 힌지공(111,121)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힌지핀(130)은 그의 어느 한쪽 단부 또는 양측 단부 부분이 상기 힌지공(111,1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130)이 상기 각각의 힌지공(111,121)에 관통된 후 다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몸체(12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주몸체(110)의 제1후크부(11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형성된 홈(212) 부분에 걸려 결합되는 제2후크부(122)가 형성된다.
아울러, 지지기둥(210)의 외주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다수 개의 홈(212)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연결 클램프의 제1후크부(112)와 제2후크부(122)는 서로 이웃하는 홈(212) 부분에 각각 걸려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연결 클램프(100)는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견고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기둥(210)의 외면과 접하게 되는 주몸체(110)의 단부 부분은 상기 지지기둥(210)의 외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 클램프(100)는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견고한 면접촉 상태를 이루며 밀착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쐐기유닛(140)은 "ㄷ"자 형상을 갖는 주몸체(110)의 상,하부에 형성된 "ㄱ"자 형상을 갖는 쐐기관통공(115) 내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일정 폭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쐐기유닛(140)에는 상부 폭이 넓고 하부 폭이 좁은 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경사부(142)가 형성되어, 상기 쐐기유닛(14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경사부(142)의 경사진 면과 접하게 되는 보조몸체(120)가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후크부(112)와 제2후크부(12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쐐기유닛(140)의 경사부(142)는 보조몸체(12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면(126)에 수직을 이루며 접촉되어 상기 쐐기유닛(140)이 쐐기관통공(115)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보조몸체(120)는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후크부(112)와 제2후크부(122) 사이의 간격을 벌리거나 좁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쐐기유닛(140)이 상부 측으로 이동된 경우 보조몸체(120)의 가이드면(126)과 경사부(142) 사이의 간격이 크게 벌어져 상기 보조몸체(120)는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더 큰 회전각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후크부(112)와 제2후크부(122) 사이는 큰 간격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쐐기유닛(140)이 하부 측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쐐기유닛(140)의 경사부(142)가 보조몸체(120)의 가이드면(126)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142)의 경사면을 통해 상기 보조몸체(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상기 제1후크부(112)와 제2후크부(122) 사이의 간격은 점차 좁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쐐기유닛(140)의 상단에는 주몸체(110)에 형성된 쐐기관통공(115) 보다 큰 면적을 갖는 걸림부(144)가 형성되어 상기 쐐기유닛(140)의 하방 이동시 상기 걸림부(144)에 의해 주몸체(110)의 상부 측 쐐기관통공(115)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고, 상기 쐐기유닛(140)의 하단에도 걸림부(147)가 형성되어 상기 쐐기유닛(140)의 상방 이동시 주몸체(110)의 하부 측 쐐기관통공(115)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주몸체(110)의 상하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쐐기관통공(115)은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상기 "ㄱ"자 형상의 수평부분 또는 수직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쐐기관통공(115)에 관통 삽입된 쐐기유닛(140) 또한 상기 쐐기관통공(115)과 대응하는 "ㄱ"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ㄱ"자 단면 중 수평부분 또는 수직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쐐기유닛(140)의 경사부(142)는 "ㄱ" 자 형상을 갖는 쐐기관통공(115) 중 길게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부(142)와 수직을 이루는 가이드부(148)는 상기 쐐기관통공(115) 중 짧은 길이를 갖는 부분에 배치되는데,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148)는 상기 경사부(142)가 쐐기관통공(115) 내부를 따라 이동할 때 좌우 흔들림 없이 직선운동 하도록 잡아주는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상기 쐐기유닛(140)이 쐐기관통공(115) 내에서 안정적으로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쐐기관통공(115) 및 쐐기유닛(140)이 형성하는 "ㄱ"자 형태의 단면형상은 보는 방향에 따라 "ㄴ"자 형상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ㄱ"자 형상의 형상구조에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쐐기유닛(140)의 가이드부(148)의 폭(d1)을 인접된 경사부(142)의 평균 폭(d2)보다 대체로 짧게 형성한 것은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의 폭을 불필요하게 길게 형성하게 되면 재료의 손실이 많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경사부(142)와 가이드부(148)는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ㄱ"자 단면 형상을 갖는 쐐기유닛(140)의 강도는 상기 경사부(142) 구조만 있는 "ㅡ"자형 단면 형상일 때보다 더 크게 발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쐐기유닛(140)의 상부 또는 하부를 타격하여 쐐기유닛(14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쐐기유닛(140)이 타격 충격에 의해 구부러지는 문제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보조몸체(120)에는 지지기둥(210)의 외면과 맞물려 결합된 상태의 제1후크부(112)와 제2후크부(122)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고정부재(1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50)로는 도 4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머리 부분에 링 모양의 고리가 달린 아이볼트(eyebolt)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한 아이볼트 형태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 하나의 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클램프(100)의 제1후크부(112) 및 제2후크부(122)가 지지기둥(210)의 외면과 맞물린 상태에서 쐐기유닛(140)을 하방으로 타격하여 상기 제1후크부(112) 및 제2후크부(122)를 지지기둥(210)의 외면과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한 이후에, 상기와 같이 타격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쐐기유닛(140)을 고정부재(150)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50)는 힌지핀(130)이 체결되는 보조몸체(120)의 상,하면과 수직을 이루는 보조몸체(120)의 측면부 상에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부재(150)는 볼트 모양을 갖도록 구비되어 보조몸체(120)의 측면부에 형성된 체결공(128)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공(128)은 힌지핀(130)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제2후크부(122)의 반대편에 있는 보조몸체(120)의 측면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체결공(128) 부분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150)의 단부 부분이 쐐기유닛(140) 부분에 접촉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 클램프(100)의 제1,2후크부(112,122)가 지지기둥(210)의 외면과 맞물린 상태에서 쐐기유닛(140)을 하방으로 타격하여 상기 제1,2후크부(112,122)가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50)를 시계방향을 돌려 전진시켜 쐐기유닛(140) 부분에 강하게 압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이 반복적으로 인가될 경우라도 상기 쐐기유닛(140)은 상기 고정부재(150)에 의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50)로 아이볼트를 적용하게 되면 보조몸체(120)에 체결된 아이볼트의 고리 부분에 와이어로프나 체인 등을 걸어 크레인으로 트러스 장치(200)를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통해 트러스 장치(200)를 용이하게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결 클램프(100)를 이용하여 트러스 장치(200)를 지지기둥(210)에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부재(220)의 단부와 연결 클램프(100) 사이의 결합은, 상기 수평부재(220)의 단부에 연결 클램프(100)를 겹치게 연결한 후, 연결 클램프(100) 및 수평부재(220)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114,222)에 볼트(112)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는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수평부재(220)와 연결 클램프(100)의 결합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쐐기유닛(140)이 주몸체(110)의 상부 측 쐐기관통공(115)에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몸체(110)와 보조몸체(120) 사이에 지지기둥(210)의 이웃하는 홈(212) 사이의 외면을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쐐기유닛(140)의 상부를 상방에서 타격하면, 쐐기유닛(140)은 쐐기관통공(115)을 통하여 하방으로 일정 폭 이동되면서 쐐기관통공(115)에 강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쐐기유닛(140)의 경사부(142)가 보조몸체(120)의 가이드면(126)과 접촉되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보조몸체(120)가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후크부(112) 및 제2후크부(122) 사이가 오므라들며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강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쐐기유닛(140)의 하방 타격에 의한 연결 클램프(100)의 간단한 연결 과정을 통해 트러스 장치(200)를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한, 쐐기유닛(140)의 경사부(142)와 보조몸체(120)의 가이드부(148)가 서로 수직을 이루며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쐐기유닛(140)의 상부 또는 하부를 타격하여 쐐기유닛(140)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쐐기유닛(140)이 타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쐐기유닛(140)의 하방 이동에 의해 연결 클램프(100)가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맞물려 결합된 이후, 다음으로, 보조몸체(120)에 장착된 고정부재(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쐐기유닛(140) 측으로 전진시켜서 상기 쐐기유닛(140)을 상하로 움직이지 않게 강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트러스 장치(200)의 연결작업이 모두 완료된다.
이와 같이 트러스 장치(200)의 연결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슬라브 폼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 바이브레이터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고정부재(150)가 쐐기유닛(140)을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바이브레이터 공정 수행에 따른 진동 또는 충격이 인가될 경우에도 쐐기유닛(140)이 쐐기관통공(115) 내에 강하게 압입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기둥(210)과 연결 클램프(100) 사이의 결속력이 공고하게 유지되어 트러스 장치(200)가 지지기둥(210)으로부터 분리되어 붕괴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된 제1실시 예 형태의 연결 클램프(100) 구조에서, 고정부재(150)의 단부가 접촉하게 되는 쐐기유닛(140)의 접촉 부위에 접촉되지 않는 다른 부위보다 표면 거칠기가 크게 가공된 마찰면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50)의 단부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쐐기유닛(140) 부분에 표면 거칠기가 큰 별도의 마찰면을 형성하게 되면, 고정부재(150)와 쐐기유닛(140) 간의 마찰력을 크게 증가킬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작업자가 부주의로 고정부재(150)를 쐐기유닛(140) 부분에 타이트하게 조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고정부재(150)의 단부와 쐐기유닛(140)의 마찰면 사이에 일정 수준의 마찰력 확보가 가능해져서 쐐기유닛(140)이 쐐기관통공(115) 내에서 강하게 압입 고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시공상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램프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연결 클램프(100) 구조는 전술된 제1실시 예 형태와 같이 고정부재(150)가 쐐기유닛(140) 부분과 접촉되어 쐐기유닛(140)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구조가 아니라, 고정부재(150)의 단부가 주몸체(110)의 안쪽면에 맞닿아 보조몸체(120)가 회전되지 않도록 억제함으로써 제1후크부(112) 및 제2후크부(122)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억제할 수 있는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연결 클램프(100)를 구현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연결 클램프(100)의 형상과 같이, 보조몸체(120)의 후단부를 주몸체(110)의 관통공(114)이 위치한 후방 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추가 연장되도록 형성한 후, 상기 연장된 보조몸체(120)의 후단부 측에 전술된 실시 예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고정부재(15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128)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128) 부분에 고정부재(150)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130)의 중심과 고정부재(150)의 중심 간의 거리(L2)는, 전술된 도 6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고정부재(150)가 쐐기유닛(140) 부분과 맞닿는 구조로 구현된 힌지핀(130)의 중심과 고정부재(150)의 중심 간의 거리(L1)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150)는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쐐기유닛(140)과 접촉하지 않고 주몸체(110)의 안쪽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50)를 회전시켜 조이게 될 경우 상기 체결공(128)에 체결된 고정부재(150)의 끝단이 주몸체(110)의 안쪽면에 접촉되어 보조몸체(120)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제1,2후크부(112,122)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지지기둥(210)과 연결 클램프(100) 간의 결속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150)의 길이는 주몸체(110)의 안쪽면에 맞닿아 지지력을 발휘할 만큼의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슬라브 폼 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바이브레이터 공정으로 쐐기유닛(140) 부분에 진동 또는 충격이 인가되어 쐐기유닛(140)과 쐐기관통공(115) 사이가 헐거워져 결속력이 저하될 경우라도 상기 고정부재(150)의 지지력을 통해 보조몸체(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벌어지는 것을 강제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트러스 장치(200)는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처음 상태와 같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과 같이 진동이나 충격 등의 외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에도 지지기둥(210)과 연결 클램프(100) 간의 결속력이 전혀 저하되지 않아 트러스 장치(200)의 붕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공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연결 클램프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연결 클램프(100) 구조에서는 연결 클램프(100)를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초기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결 클램프 구조가 적용된 것이다.
즉, 전술된 제1 및 제2실시 예에 나타나 있는 연결 클램프(100)의 보조몸체(120)의 경우 힌지핀(130) 결합부위 주변이 막혀져 있는 구조물 형태로 제작되나,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3실시 예 형태의 연결 클램프(100) 구조에서는 보조몸체(120)에 있어서 제2후크부(122)를 제외한 부분이 주몸체(110)의 경우와 같이 "ㄷ"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힌지핀(13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ㄷ"자 단면 형상을 갖는 보조몸체(120)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핀(130)의 외주부에는 코일 형태의 스프링(160)이 감겨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160)의 한쪽 단부(161)는 주몸체(110)의 안쪽면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 단부(162)는 보조몸체(120)의 안쪽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쐐기유닛(140)이 쐐기관통공(115)에 느슨하게 체결되어 있는 상태(쐐기유닛이 상부로 이동된 경우)에서 상기 보조몸체(120)는 상기 스프링(160)의 힘에 의해 힌지핀(13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2후크부(112,122) 사이는 항상 최대폭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연결 클램프(100)를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초기 체결할 경우 작업자가 연결 클램프(100)의 제1,2후크부(112,122) 사이를 손으로 일일이 벌려 지지기둥(210)의 외면에 맞물리게 하여 체결하게 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트러스 장치(200)를 지지기둥(210)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보조몸체(120)가 내부가 빈 "ㄷ"자 형상의 단면구조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보조몸체(120)의 안정적인 회전기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불필요한 부분에 대한 재료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중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보조몸체(120)의 중량감소로 인하여 연결 클램프(100)를 포함하는 트러스 장치(200)의 이동 및 보관작업이 보다 용이 해질 수 있고, 지지기둥(210)의 장착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용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보조몸체(120)의 형상 구조는 전술된 제1 및 제2실시 예에 도시된 연결 클램프(100)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연결 클램프 110 : 주몸체
112 : 제1후크부 115 : 쐐기관통공
120 : 보조몸체 122 : 제2후크부
126 : 가이드면 128 : 체결공
130 : 힌지핀 140 : 쐐기유닛
142 : 경사부 144,147 : 걸림부
148 : 가이드부 150 : 고정부재
160 : 스프링 200 : 트러스 장치
210 : 지지기둥 220 : 수평부재
230 : 경사부재 240 : 수직연결부재

Claims (7)

  1.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된 수평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기둥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릴 수 있는 제1후크부가 형성된 주몸체와;
    상기 제1후크부와 함께 상기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릴 수 있는 제2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몸체에 힌지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몸체와;
    상기 주몸체 및 보조몸체에 형성된 쐐기관통공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보조몸체의 일측면과 접촉을 이루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의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도록 유도하는 쐐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몸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면에 맞물린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쐐기유닛과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단부가 상기 경사부를 가압하면서 상기 쐐기유닛을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부재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접촉되지 않는 다른 부위보다 표면 거칠기가 큰 마찰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힌지핀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제2후크부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보조몸체 상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주몸체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클램프.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의 외면에는 일측이 상기 주몸체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몸체에 지지되어, 상기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 사이를 탄성적으로 벌려주는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클램프.
  7. 슬라브 폼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기둥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기둥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청구항 제1항, 제2항, 제3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연결 클램프;
    를 포함하는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KR1020170021160A 2017-02-16 2017-02-16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KR101931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160A KR101931662B1 (ko) 2017-02-16 2017-02-16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160A KR101931662B1 (ko) 2017-02-16 2017-02-16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688A KR20180094688A (ko) 2018-08-24
KR101931662B1 true KR101931662B1 (ko) 2018-12-21

Family

ID=6345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160A KR101931662B1 (ko) 2017-02-16 2017-02-16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6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39B1 (ko) * 2014-06-02 2015-01-14 김범준 지주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39B1 (ko) * 2014-06-02 2015-01-14 김범준 지주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688A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31473A1 (en) Lifting fastener
JP2018048450A (ja) 吊り足場の支持構造、支持方法及び構築方法
JP5020162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KR101931662B1 (ko)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KR101895306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JP4704851B2 (ja) クレーンの基礎免震受け梁構造
KR200479787Y1 (ko) 시스템 동바리 유헤드 고정 장치
JP2018087450A (ja) 支柱装置
KR100648046B1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JP4551199B2 (ja) 筋交部材用固定金具及び筋交部材
US20230017980A1 (en) Slider device and handrail apparatus
KR101632352B1 (ko) 교량용 안전망 고정 장치
KR100903442B1 (ko)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KR102148932B1 (ko) 구조강화지주
KR101775583B1 (ko)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거더
JP5118841B2 (ja) 落橋防止装置
JP2017166268A (ja) 落橋防止構造
JP4314485B2 (ja) 電線張替装置
KR101927760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JP4585228B2 (ja) エレベータの揚重梁固定装置
KR101851505B1 (ko) 철골용 안전 난간대
JP7091135B2 (ja) コラム切梁用吊り治具
JP3011939U (ja) 押し引きサポートの取付用治具および取付構造
KR102074573B1 (ko)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JP7313910B2 (ja) 手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