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105B1 -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105B1
KR101860105B1 KR1020160125904A KR20160125904A KR101860105B1 KR 101860105 B1 KR101860105 B1 KR 101860105B1 KR 1020160125904 A KR1020160125904 A KR 1020160125904A KR 20160125904 A KR20160125904 A KR 20160125904A KR 101860105 B1 KR101860105 B1 KR 101860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tilting
light source
light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992A (ko
Inventor
임재정
정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to KR1020160125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105B1/ko
Priority to PCT/KR2017/008167 priority patent/WO2018062674A1/ko
Priority to CN201780040697.7A priority patent/CN109416280B/zh
Publication of KR2018003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57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beam, e.g. laser beam, headlamp bea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6Restricting the angle of inciden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bstract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감지 장치는 빛을 제공하는 이미터; 그리고, 상기 이미터와 마주하여 상기 빛을 감지하는 리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터는: 일측에 위치하는 발광부; 그리고, 상기 발광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서로 나란한 광축들을 지니는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리시버는: 상기 발광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수광부; 그리고, 상기 수광부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수광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이미터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의 광축들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하는 광축을 지니는 적어도 하나의 틸팅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지 장치{SENSOR}
본 발명은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에어리어 센서에 관한 것이다.
에어리어 센서는 다수의 광원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area)의 감지를 목적으로 하는 센서를 말한다. 에어리어 센서는 출입구, 승강기,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에어리어 센서는 특정 영역에 사람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이 필요한 곳에 널리 쓰일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승강기(10)는 좌우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12,14)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2,14)는 좌측도어(12), 그리고 우측도어(14)를 구비할 수 있다. 좌측도어(12)는 우측도어(14)와 마주할 수 있고, 좌측도어(12) 또는 우측도어(14)는 움직이면서 승강기(1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승강기(10)에 탑승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승강기(10)에 탑승하는 중 또는 사용자가 승강기(10)에 탑승하였으나 사용자에게 연결된 물건이 승강기(10)의 외부 또는 승강기(10)의 도어(12,14) 주위에 있는 상태에서 승강기(10)의 도어(12,14)가 닫히면 사용자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센서(100)가 승강기(10) 또는 승강기(10)의 도어(12,14)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2,14)가 닫히면서 일정 영역 내에 있는 사람 또는 물체는 센서(1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감지된 정보에 따라서 승강기(10)의 도어(12,14)는 다시 열리거나 멈출 수 있다.
센서(100)는 일정한 영역을 감지할 수 있으나, 센서(100)가 감지할 수 없는 불감영역이 존재할 수 있고, 이는 승강기(10)의 도어(12,14)의 움직임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감지 장치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감지 장치의 불감 영역을 줄이거나 해소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감지 장치의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빛을 제공하는 이미터; 그리고, 상기 이미터와 마주하여 상기 빛을 감지하는 리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터는: 일측에 위치하는 발광부; 그리고, 상기 발광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서로 나란한 광축들을 지니는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리시버는: 상기 발광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수광부; 그리고, 상기 수광부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수광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이미터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의 광축들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하는 광축을 지니는 적어도 하나의 틸팅 광원을 포함하는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틸팅 광원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틸팅 광원은, 상기 최외곽 발광소자를 제외한 나머지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의 광축들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하는 광축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틸팅 광원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최외곽 발광소자에 이웃한 발광소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틸팅 광원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일단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틸팅 광원;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타단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틸팅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의 양단의 적어도 하나의 틸팅 광원들은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틸팅 광원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일단에 위치한 발광소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틸팅 광원;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타단에 위치한 발광소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틸팅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틸팅 광원은 상기 제2 틸팅 광원과 대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틸팅 광원은: 제1 틸팅 광원; 그리고, 상기 제1 틸팅 광원에 이웃한 제3 틸팅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틸팅 광원은 상기 제3 틸팅 광원과 다른 광축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틸팅 광원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최외곽 발광소자에 이웃한 발광소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틸팅 광원은, 상기 최외곽 발광소자와 상기 제3 틸팅 광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 틸팅 광원은 상기 제1 틸팅 광원 보다 작은 기울기를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틸팅 광원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일단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와 그에 이웃한 발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3 틸팅 광원; 상기 일단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제3 틸팅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틸팅 광원;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타단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와 그에 이웃한 발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4 틸팅 광원; 그리고, 상기 타단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제4 틸팅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틸팅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틸팅 광원은, 상기 제2 틸팅 광원과 대칭을 이루고, 상기 제3 틸팅 광원은, 상기 제4 틸팅 광원과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틸팅 광원의 광축은 상기 제3 틸팅 광원의 광축과 교차하지 않고, 상기 제2 틸팅 광원의 광축은 상기 제4 틸팅 광원의 광축과 교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틸팅 광원은 상기 제1 틸팅 광원 보다 작은 기울기를 지니고, 상기 제4 틸팅 광원은 상기 제2 틸팅 광원 보다 작은 기울기를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수광소자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각각에 대응하여 동일한 광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의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수광소자들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수광소자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감지 장치의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감지 장치의 불감 영역을 개선하거나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감지 장치의 생산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감지 장치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감지 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장치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장치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정한 영역을 감지한다는 의미에서 센서(100)는 에어리어 센서(area sensor, 100)라 칭할 수 있다. 센서(100) 또는 에어리어 센서(100)는 감지장치(100)라 통칭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리어 센서(100)는 이미터(emitter, 100E), 그리고 리시버(receiver, 100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리시버(100R)와 마주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빛을 발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발광유닛(100E) 또는 투광기(100E)라 칭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소자는 이미터(100E)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또는 직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수광유닛(100R) 또는 수광기(100R)라 칭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복수개의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수광소자는 리시버(100R)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또는 직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미터(100E)에서 제공되는 빛은 리시버(100R)에서 감지할 수 있다.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 사이에 사람 또는 물체가 위치하면, 이미터(100E)에서 제공되는 빛의 일부가 차단되어 감지영역에 사람 또는 물체의 존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터(100E)는 하우징(110E), 발광부(120E), 그리고 캡(130E,140E)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E)은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발광부(120E)는 하우징(110E)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20E)는 하우징(110E)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하우징(110E)의 일면 또는 일측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캡(130E,140E)은 하우징(110E)의 일단 및/또는 타단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20E) 및 하우징(110E)은 캡(130E,140E)에 의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미터(100E)는 케이블(CA)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CA)은 발광부(120E)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CA)은 하우징(110E)의 일측 또는 캡(140E)에서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CA)은 일측이 발광부(120E)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커넥터(CN)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터(100E)는 외부에서 전원 또는 제어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미터(100E)는 브라켓(BKT)을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BKT)은 이미터(100E)의 일단 또는 양단에 장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BKT)은 이미터(100E)를 승강기(10, 도 1 참조)의 슬라이딩 도어(12,14, 도 1 참조)에 설치 또는 장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브라켓(BKT)은 이미터(100E)에 결합부재(f)에 의해서 장착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하우징(110R), 수광부(120R), 그리고 캡(130R,140R)을 구비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케이블(CA)을 구비할 수 있고, 브라켓(BKT)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10R), 캡(130R,140R), 케이블(CA) 및/또는 브라켓(BKT)은 이미터(100E)의 그것 또는 그것들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수광부(120R)는 발광부(120E)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및 6을 참조하면, 이미터(100E)는 복수개의 발광소자(122)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소자(122)는 발광부(120E)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발광소자(122)는 8개가 배치될 수 있다. 8개의 발광소자(122)는 발광부(120E)에 순차적 또는 직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8개의 발광소자(122)는 일렬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리시버(100R)는 복수개의 수광소자(124)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수광소자(124)는 수광부(120R)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수광소자(124)의 개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122)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수광소자(124)는 8개가 배치될 수 있다. 8개의 수광소자(124)는 수광부(120R)에 순차적 또는 직렬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8개의 수광소자(124)는 일렬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발광소자(122)는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빛은 수광소자(124)를 향할 수 있다. 발광소자(122)에서 제공된 빛은 수광소자(124)에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발광소자(122)에서 제공되는 빛은 일정한 범위 또는 각도(theta)로 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theta)는 50도일 수 있다.
제1 발광소자(122a)에서 제공되는 빛은 제1 발광소자(122a)와 마주하거나 대응하는 제1 수광소자(124a)에 유입되거나 제1 수광소자(124a)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동시에, 제1 발광소자(122a)에서 제공되는 빛은 제1 발광소자(122a)와 마주하되, 대응하지 않는 제2 수광소자(124b) 또는 제3 수광수자(124c) 등에 유입되거나 그들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이는,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의 거리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다.
즉, 발광소자(122)에서 제공되는 빛이 일정한 범위 또는 각도(theta)로 퍼짐에 따라서 이를 감지하는 수광소자들(124)은 발광소자(122)와 수광소자(124)가 어떠한 거리를 유지하는가에 의해 달라 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발광소자(122b) 내지 제8 발광소자(122h)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미터(100E)는 리시버(100R)와 일정거리(D) 이격될 수 있다. 에어리어 센서(100, 도1 참조)가 승강기(10, 도1 참조)의 슬라이딩 도어(12,14, 도 1 참조)에 설치되면, 에어리어 센서(100, 도 1 참조)는 슬라이딩 도어(12,14, 도 1 참조)의 움직임에 따라서 위 거리(D)는 변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도어(12,14, 도 1 참조)가 닫히는 경우, 이미터(100E)가 리시버(100R)와 이격된 거리(D)는 제3 거리(D3)에서 제1 거리(D1)로 좁혀질 수 있다. 반대로, 슬라이딩 도어(12,14, 도 1 참조)가 열리는 경우, 이미터(100E)가 리시버(100R)와 이격된 거리(D)는 제1 거리(D1)에서 제3 거리(D3)로 멀어질 수 있다.
이들 거리(D)의 변화에 따라서 불감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불감영역(C)은 에어리어 센서(100)가 감지하지 못하는 구역 또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감영역(C)의 위치 또는 면적은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의 이격 거리(D)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 사이에 그려진 실선은 빛의 경로일 수 있고, 이들 실선 사이의 원은 불감영역의 위치 또는 면적일 수 있다. 발광소자들(122, 도 7참조)의 간격 또는 수광소자들(124, 도 7 참조)의 간격은, 예를 들면, 58mm일 수 있다.
제1 영역(AR1)을 예를 들면, 제3 거리(D3)는 200mm일 수 있는데, 불감영역(C5)은 직경이 28mm일 수 있고, 불감영역(C6)은 직경이 35mm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거리(D2)는 100mm일 수 있는데, 불감영역(C3)은 직경이 28mm일 수 있고, 불감영역(C4)은 직경이 35mm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거리(D1)는 50mm일 수 있는데, 불감영역(C1)은 직경이 25mm일 수 있고, 불감영역(C2)은 직경이 23mm일 수 있다.
위 예들에서,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 간의 거리(D)에 따라서 불감영역(C)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발광소자(122T)는 틸팅될 수 있다. 틸팅된 발광소자(122T)는 틸팅 광원(122T) 또는 틸팅 발광소자(122T) 또는 보강 광원(122T) 또는 보강 발광소자(122T)라 칭할 수 있다. 틸팅 광원(122T)은 발광소자들(1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122T1)은 제1 발광소자(122a)와 제2 발광소자(12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틸팅 광원(122T2)은 제7 발광소자(122g)와 제8 발광소자(122h)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122T1)은 제2 발광소자(122b)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제1 틸팅 광원(122T1)의 광축은 제2 발광소자(122b)의 광축과 교차할 수 있다. 제2 틸팅 광원(122T2)은 제7 발광소자(122g)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제2 틸팅 광원(122T2)은 제7 발광소자(122g)의 광축과 교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틸팅 광원(122T1) 또는 제2 틸팅 광원(122T2)은 다른 발광소자들(122b 내지 122g)의 광축과 교차하는 광축을 지닐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122T1)의 광축은 제2 틸팅 광원(122T2)의 광축과 교차할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122T1)은 제1 발광소자(122a)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122a)는 최외곽에 위치한 발광소자일 수 있다. 제2 틸팅 광원(122T2)은 제8 발광소자(122h)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8 발광소자(122h)는 최외곽에 위치한 발광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틸팅 광원(122T1)은 각도(T1) 만큼 기울어질 수 있는데, 각도(T1)는 50도 또는 75도일 수 있다. 제2 틸팅 광원(122T2)은 각도(T2) 만큼 기울어질 수 있는데, 각도(T2)는 50도 또는 75도일 수 있다. 제2 틸팅 광원(122T2)은 제1 틸팅 광원(122T1)과 대칭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120E)은 안착부(111 내지 119)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부(111 내지 119)는 발광부(120E)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119T)는 하우징(120E)의 전면을 기준으로 일정각도(theta)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착부(119T)는 하우징(120E)의 전면을 기준으로 50도 또는 75도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122T1)은 제1 안착부(119T1)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틸팅 광원(122T2)은 제2 안착부(119T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19T1)는 제1 발광소자(122a) 또는 안착부(111)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안착부(119T2)는 제8 발광소자(122h) 또는 안착부(118)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발광소자(122)는 틸팅될 수 있다. 틸팅된 복수개의 발광소자(122T)는 틸팅 광원 그룹(122T) 또는 틸팅 발광소자 그룹(122T) 또는 보강 광원 그룹(122T) 또는 보강 발광소자 그룹(122T)이라 칭할 수 있다. 그룹은 세트라 칭할 수도 있다. 틸팅 광원 그룹(122T)은 발광소자들(122a~122h)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 그룹(122T1,122T3)은 제1 발광소자(122a)와 제2 발광소자(12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틸팅 광원 그룹(122T2,122T4)은 제7 발광소자(122g)와 제8 발광소자(122h)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 그룹(122T1,122T3)은 제2 발광소자(122b)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제1 틸팅 광원 그룹(122T1,122T3)의 광축은 제2 발광소자(122b)의 광축과 교차할 수 있다. 제2 틸팅 광원 그룹(122T2,122T4)은 제7 발광소자(122g)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제2 틸팅 광원 그룹(122T2,122T4)은 제7 발광소자(122g)의 광축과 교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틸팅 광원 그룹(122T1,122T3) 또는 제2 틸팅 광원 그룹(122T2,122T4)은 다른 발광소자들(122a~122h)의 광축과 교차하는 광축들을 지닐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 그룹(122T1,122T3)의 광축은 제2 틸팅 광원 그룹(122T2,122T4)의 광축과 교차할 수 있다.
제3 틸팅 광원(122T3)은 제1 발광소자(122a)와 제2 발광소자(122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발광소자(122a)는 최외곽에 위치한 발광소자일 수 있고, 제2 발광소자(122b)는 발광소자들(122a~122h) 중 제1 발광소자(122a)에 가장 근접한 발광소자일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122T1)은 제1 발광소자(122a)와 제3 틸팅 광원(122T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틸팅 광원(122T4)은 제7 발광소자(122g)와 제8 발광소자(122h)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8 발광소자(122h)는 최외곽에 위치한 발광소자일 수 있고, 제7 발광소자(122g)는 발광소자들(122a~122h) 중 제8 발광소자(122h)에 가장 근접한 발광소자일 수 있다. 제2 틸팅 광원(122T2)은 제8 발광소자(122h)와 제4 틸팅 광원(122T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122T1)은 각도(T1 or theta 1) 만큼 기울어질 수 있는데, 각도(T1 or theta 1)는 예를 들면, 75도일 수 있다. 제3 틸팅 광원(122T3)은 각도(T3 or theta 3) 만큼 기울어질 수 있는데, 각도(T3 or theta 3)는 예를 들면, 50도 일 수 있다. 즉, 제3 틸팅 광원(122T3)이 제1 틸팅 광원(122T1) 보다 제2 발광소자(122b) 측으로 더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제1 틸팅 광원(122T1)의 기울기는 제3 틸팅 광원(122T3)의 기울기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터(122E)와 리시버(100R)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불감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틸팅 광원(122T2)은 각도(T2 or theta 2) 만큼 기울어질 수 있는데, 각도(T2 or theta 2)는 예를 들면, 75도일 수 있다. 제4 틸팅 광원(122T4)은 각도(T4 or theta 4) 만큼 기울어질 수 있는데, 각도(T4 or theta 4)는 예를 들면, 50도 일 수 있다. 즉, 제4 틸팅 광원(122T4)이 제2 틸팅 광원(122T2) 보다 제7 발광소자(122g) 측으로 더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제2 틸팅 광원(122T2)의 기울기는 제4 틸팅 광원(122T4)의 기울기와 다를 수 있다.
제2 틸팅 광원(122T2)은 제1 틸팅 광원(122T1)과 대칭일 수 있다. 제4 틸팅 광원(122T4)은 제3 틸팅 광원(122T3)과 대칭일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122T1) 내지 제4 틸팅 광원(122T4)에서 제공되는 빛은 제1 수광소자(124a) 내지 제8 수광소자(124h)에 유입되거나 그들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광축의 교차에 의해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불감영역을 더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즉, 이는 에어리어 센서의 감도 향상을 의미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E)은 안착부(111~119T)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부(111~119T)는 발광부(120E)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111~119T)는 하우징(110E)의 전면을 기준으로 일정각도(theta 1~theta 4)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안착부(119T1)는 하우징(110E)의 전면을 기준으로 75도 기울어질 수 있고, 제3 안착부(119T3)는 하우징(110E)의 전면을 기준으로 50도 기울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안착부(119T2)는 하우징(110E)의 전면을 기준으로 75도 기울어질 수 있고, 제4 안착부(119T4)는 하우징(110E)의 전면을 기준으로 50도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안착부(119T1)는 제3 안착부(119T3)와 다른 기울기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안착부(119T2)는 제4 안착부(119T4)와 다른 기울기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1 안착부(119T1)의 일측의 깊이(D1)는 안착부(111)의 일측의 깊이(Da) 보다 클 수 있다. 제3 안착부(119T3)의 일측의 깊이(D3)는 제1 안착부(119T1)의 일측의 깊이(D1) 보다 클 수 있다. 제2 안착부(119T2)의 일측의 깊이(D2)는 안착부(118)의 일측의 깊이(Dh) 보다 클 수 있다. 제4 안착부(119T4)의 일측의 깊이(D4)는 제2 안착부(119T2)의 일측의 깊이(D2) 보다 클 수 있다.
제1 틸팅 광원(122T1)은 제1 안착부(119T1)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틸팅 광원(122T2)은 제2 안착부(119T2)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틸팅 광원(122T3)은 제3 안착부(119T3)에 위치할 수 있고, 제4 틸팅 광원(122T4)은 제4 안착부(119T4)에 위치할 수 있다.
안착부(111), 제1 안착부(119T1) 및/또는 제3 안착부(119T3)는 순차적 또는 직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안착부(118), 제2 안착부(119T2) 및/또는 제4 안착부(119T4)는 순차적 또는 직렬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복수개의 발광소자들(122)의 간격 또는 복수개의 수광소자들(124)의 간격을 피치(P1,P2)라 칭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미터(100E)는 리시버(100R)와 서로 다른 거리(D)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이미터(100E) 및/또는 리시버(100R)의 움직임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들의 움직임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인 것일 수도 있다.
이미터(100E)에 구비된 발광소자들 또는 리시버(100R)에 구비된 수광소자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와 발광소자의 거리 또는 수광소자와 수광소자의 거리는 피치(P1)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치(P1)는 58mm일 수 있다. 실선은 빛의 경로일 수 있다. 피치(P1)는 틸팅 광원과 무관하며, 발광소자들 또는 수광소자들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터(100E)가 리시버(100R)와 거리(D4)를 유지하는 경우, 불감영역(F1~F3)이 발생할 수 있다. 거리(D4)는 200mm일 수 있고, 불감영역(F1)의 직경은 23mm, 불감영역(F2)의 직경은 20mm, 불감영역(F3)의 직경은 35mm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터(100E)가 리시버(100R)와 거리(D3)를 유지하는 경우, 불감영역(F4~F6)이 발생할 수 있다. 거리(D3)는 100mm일 수 있고, 불감영역(F4)의 직경은 23mm, 불감영역(F5)의 직경은 20mm, 불감영역(F6)의 직경은 35mm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터(100E)가 리시버(100R)와 거리(D2)를 유지하는 경우, 불감영역(F7~F9)이 발생할 수 있다. 거리(D2)는 50mm일 수 있고, 불감영역(F7)의 직경은 18mm, 불감영역(F8)의 직경은 12mm, 불감영역(F9)의 직경은 23mm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터(100E)가 리시버(100R)와 거리(D1)를 유지하는 경우, 불감영역(F10~F12)이 발생할 수 있다. 거리(D1)는 25mm일 수 있고, 불감영역(F10)의 직경은 12mm, 불감영역(F11)의 직경은 7mm, 불감영역(F12)의 직경은 12mm일 수 있다.
위 예들에서 주목할 점은(도 1, 2및 15참조),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가 이루는 거리(D)가 줄어들수록 불감영역(F)의 직경이 줄어들거나 불감영역(F)이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의 거리(D)가 줄어든다는 것은 승강기(10)의 슬라이딩 도어(12,14)가 닫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슬라이딩 도어(12,14)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 사이에 작은 물체가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어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가 가까워질수록 불감영역(F)의 크기가 줄거나 불감영역(F)이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은 에어리어 센서(100)의 감도가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미터(100E)에 구비된 발광소자들 또는 리시버(100R)에 구비된 수광소자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와 발광소자의 거리 또는 수광소자와 수광소자의 거리는 피치(P2)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치(P2)는 116mm일 수 있다. 이는 발광소자들 또는 수광소자들의 개수가 도 15에 비하여 줄어든 것을 의미한다. 실선은 빛의 경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터(100E)가 리시버(100R)와 거리(D4)를 유지하는 경우, 불감영역(G1,G2)이 발생할 수 있다. 거리(D4)는 200mm일 수 있고, 불감영역(G1)의 직경은 47mm, 불감영역(G2)의 직경은 70mm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터(100E)가 리시버(100R)와 거리(D3)를 유지하는 경우, 불감영역(G3,G4)이 발생할 수 있다. 거리(D3)는 100mm일 수 있고, 불감영역(G3)의 직경은 50mm, 불감영역(G4)의 직경은 45mm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터(100E)가 리시버(100R)와 거리(D2)를 유지하는 경우, 불감영역(G5,G6)이 발생할 수 있다. 거리(D2)는 50mm일 수 있고, 불감영역(G5)의 직경은 25mm, 불감영역(G6)의 직경은 28mm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터(100E)가 리시버(100R)와 거리(D1)를 유지하는 경우, 불감영역(G7,G8,G9)이 발생할 수 있다. 거리(D1)는 25mm일 수 있고, 불감영역(G7)의 직경은 13mm, 불감영역(G8)의 직경은 7mm, 불감영역(G9)의 직경은 15mm일 수 있다.
위 예들에서 주목할 점은(도 1, 2 및 16참조),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가 이루는 거리가 줄어들수록 불감영역(G)의 직경이 줄어들거나 불감영역(G)이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인데, 특히 피치(P2)가 증가하여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의 거리(D)가 큰 경우의 불감영역들(G)에 비하여 이미터(100E)와 리시버(100R)의 거리(D)가 작은 경우의 불감영역들(G)의 개선이 현저하게 이루어진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발광소자들 및/또는 수광소자들의 피치를 감소시킴으로써 개선할 수 있는 불감영역의 문제들을 발광소자들 및/또는 수광소자들의 피치와 무관하게 또는 피치를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개선할 수 있다.
생산비용의 절감, 고장요소의 감축뿐만 아니라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빛을 제공하는 이미터; 그리고,
    빛을 감지하는 리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터는:
    상기 이미터의 일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서로 나란한 광축들을 지니는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리시버는:
    상기 리시버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수광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이미터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일단에 위치한 발광소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틸팅 광원;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타단에 위치한 발광소자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 틸팅광원을 포함하는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팅 광원 또는 제2 틸팅 광원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발광소자의 내측에 위치하는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팅 광원 또는 제2 틸팅 광원은,
    상기 최외곽 발광소자를 제외한 나머지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의 광축들과 교차하는 광축을 지니는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은:
    일단에 위치한 제1 발광소자;
    상기 제1 발광소자에 이웃한 제2 발광소자;
    타단에 위치한 제3 발광소자; 그리고,
    상기 제3 발광소자에 이웃한 제4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틸팅 광원은, 상기 제1 발광소자와 상기 제2 발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발광소자에 더 가깝고,
    상기 제2 틸팅 광원은, 상기 제3 발광소자와 상기 제4 발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3 발광소자에 더 가까운 감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안착부; 그리고,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틸팅 안착부 및 제2 틸팅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발광소자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안착부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틸팅 광원은 상기 제1 틸팅 안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틸팅 광원은 상기 제2 틸팅 안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틸팅 안착부 및 상기 제2 틸팅 안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복수개의 안착부와 다른 형상을 지니는 감지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팅 광원에 인접한 제3 틸팅 광원; 그리고,
    상기 제2 틸팅 광원에 인접한 제4 틸팅 광원을 더 포함하는 감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팅 광원은 상기 제3 틸팅 광원과 다른 틸팅 각도를 지니고,
    상기 제2 틸팅 광원은 상기 제4 틸팅 광원과 다른 틸팅 각도를 가지는 감지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팅 광원은, 상기 제2 틸팅 광원과 틸팅 각도가 대칭이고,
    상기 제3 틸팅 광원은, 상기 제4 틸팅 광원과 틸팅 각도가 대칭인 감지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틸팅 광원은 상기 제1 틸팅 광원 보다 작은 기울기를 지니고,
    상기 제4 틸팅 광원은 상기 제2 틸팅 광원 보다 작은 기울기를 지니는 감지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25904A 2016-09-29 2016-09-29 감지 장치 KR10186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04A KR101860105B1 (ko) 2016-09-29 2016-09-29 감지 장치
PCT/KR2017/008167 WO2018062674A1 (ko) 2016-09-29 2017-07-28 감지 장치
CN201780040697.7A CN109416280B (zh) 2016-09-29 2017-07-28 感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04A KR101860105B1 (ko) 2016-09-29 2016-09-29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992A KR20180035992A (ko) 2018-04-09
KR101860105B1 true KR101860105B1 (ko) 2018-05-23

Family

ID=6176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904A KR101860105B1 (ko) 2016-09-29 2016-09-29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60105B1 (ko)
CN (1) CN109416280B (ko)
WO (1) WO201806267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128A (ja) 2002-11-18 2004-06-17 Optex Co Ltd センサ
JP2009051615A (ja) 2007-08-27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32761A (ja) * 2009-08-03 2011-02-17 Nippon Jido Door Kk 自動ドア装置
KR101082077B1 (ko) 2011-06-03 2011-11-10 전인성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감지장치
KR101654712B1 (ko) * 2016-06-01 2016-09-06 김진영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921A (en) * 1991-07-10 1992-09-22 Innovation Industries, Inc. Self correcting infrar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CA2158902A1 (en) * 1994-10-25 1996-04-26 Brian J. Amend Weak beam detection
JP2010197334A (ja) * 2009-02-27 2010-09-09 Honda Denshi Giken:Kk 自動ドア用反射型センサ
CN105283403B (zh) * 2013-06-14 2017-07-2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门的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128A (ja) 2002-11-18 2004-06-17 Optex Co Ltd センサ
JP2009051615A (ja) 2007-08-27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32761A (ja) * 2009-08-03 2011-02-17 Nippon Jido Door Kk 自動ドア装置
KR101082077B1 (ko) 2011-06-03 2011-11-10 전인성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감지장치
KR101654712B1 (ko) * 2016-06-01 2016-09-06 김진영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16280A (zh) 2019-03-01
CN109416280B (zh) 2021-09-03
WO2018062674A1 (ko) 2018-04-05
KR20180035992A (ko)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9505A1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US9103931B2 (en) Modular light curtain and optical unit for a light curtain
KR101529804B1 (ko) 자동 도어용 센서
JP5902995B2 (ja) Ledチューブを用いた移動システム、移動方法及びledチューブ
US8487236B2 (en) 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EP0964273A2 (en) Area sensor with optical axis having narrow angular charactistics
US20130270423A1 (en) Multiple 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EP3002615B1 (en) Sensor and safety system
KR102246882B1 (ko) 카메라 모듈
WO2003102630A3 (en) Loss-less etendue-preserving light guides
KR101860105B1 (ko) 감지 장치
US20120278017A1 (en) Safety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safety sensor
US20070064424A1 (en) Multifunction edge device for powered doors
US20100220319A1 (en) Tilt sensor
KR101654712B1 (ko)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EP1283427A3 (en) Multi-beam photoelectric safeguard system
US20110096001A1 (en) Optical touch control systems
ITTO20090147A1 (it) Barriera di sicurezza a rilevamento di luce
JP5278845B2 (ja) 感度調整部付き能動型物体検知装置
ATE307344T1 (de) Optoelektronische zugangsabsicherung
US20180012457A1 (en) Signal Guides For Sensor Devices
CN109590282B (zh) 空气吹扫单元
CN103863928A (zh) 电梯用出入口装置
JP2015020868A (ja) 乗客コンベアの物体検知装置
KR101780732B1 (ko) 엘리베이터 멀티빔센서를 이용한 모니터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