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971B1 - 도어 스위치 - Google Patents

도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971B1
KR102105971B1 KR1020180138166A KR20180138166A KR102105971B1 KR 102105971 B1 KR102105971 B1 KR 102105971B1 KR 1020180138166 A KR1020180138166 A KR 1020180138166A KR 20180138166 A KR20180138166 A KR 20180138166A KR 102105971 B1 KR102105971 B1 KR 102105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ensor
light guide
door switch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864A (ko
KR102105971B9 (ko
Inventor
리나 수
게이시 야야마
가즈히로 구도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3163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059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971B1/ko
Publication of KR10210597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97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91Refle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5Proximity switches
    • H03K22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 H03K2217/958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involving transpo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발광 기능을 갖는 소형 도어 스위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이 도어 스위치는 액튜에이터와 센서를 구비한다. 이 도어 스위치는 도어가 닫혔을 때 센서의 표면과 액튜에이터의 대향면이 접촉 또는 근접되고, 도어가 열렸을 때 센서의 표면과 액튜에이터의 대향면이 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센서는 액튜에이터가 출력하는 검출용 신호의 수신 상태에 대응하여 검출광을 발광하는 광원부와, 검출광을 모으는 집광부와, 집광부와 연접하도록 형성되고 집광부에서 모아진 검출광을 확산시켜 출사하는 확산 도광부와, 확산 도광부에 접촉되도록 센서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확산 도광부로부터의 출사된 검출광을 출사하는 주면을 갖는 이면 표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어 스위치{DOOR SWITCH}
본 발명은 발광 기능을 갖는 소형 도어 스위치의 시인성(視認性, visibility)을 향상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광원, 볼록 렌즈, 오목 렌즈를 이용하여 표시면을 균일하게 발광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개별적으로 광원을 이용하지 않고, 조작면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키를 발광시킴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2-296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3-45266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구성을 이용한 경우,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표시면까지의 거리가 길어져 도어 스위치의 소형화를 꾀하기가 어렵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구성을 이용한 경우, 조작 키, 즉, 조작을 하는 부분만을 부분적으로 발광시키고, 조작면 전체를 넓은 범위에서 발광시키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 기능을 갖는 소형 도어 스위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도어 스위치는 액튜에이터와 센서를 구비한다. 이 도어 스위치는 도어가 닫혔을 때, 센서의 표면과 액튜에이터의 대향면이 접촉 또는 근접되고, 도어가 열렸을 때, 센서의 표면과 액튜에이터의 대향면이 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센서는 액튜에이터가 출력하는 검출용 신호의 수신 상태, 또는 센서의 상태에 대응하여 검출광을 발광하는 광원부와, 검출광을 모으는 집광부와, 집광부와 연접하도록 형성되고, 집광부에서 모아진 검출광을 전송 확산하여 출사하는 확산 도광부와, 확산 도광부에 접촉되도록 센서의 이면측에 형성되고, 확산 도광부로부터 출사된 검출광을 면에서 출사하는 주면(主面)을 갖는 이면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서는, 센서가 액튜에이터로부터 수신한 검출용 신호, 또는 센서의 상태에 대응한 검출광을, 확산 도광부를 이용하여 센서의 이면 표시부로 효율적으로 도광할 수 있고, 소정의 면적에서 빛나게 할 수 있다. 도어 스위치의 대향 상태에 관한 표시부의 시인성은 향상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센서의 배면으로부터도 센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의 센서의 이면 표시부에는 주면의 길이방향 양측에 센서의 측면측으로 연장되는 부면(副面)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센서의 측면에도 검출광을 도광시킬 수 있어 시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센서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의 센서의 확산 도광부는 주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검출광이 균등하게 도광되어, 확산 도광부에 접촉하는 이면 표시부, 측면 표시부를 균등하게 발광시킨다.
또한, 이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의 확산 도광부의 이면 표시부에 평행한 단면적은 집광부의 이면 표시부에 평행한 단면적보다 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집광부에서 모은 검출광이 확산 도광부에서 확산되어, 이면 표시부, 및 측면 표시부의 것보다 넓은 면적이 발광한다. 따라서, 시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이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의 광원부는 발광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부는 발광면을 집광부에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광원부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와 집광부의 배치 스페이스를 삭감할 수 있어 센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집광부의 일부가 투광율이 낮은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검출광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의 확산 도광부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확산 도광부를 이용하여 검출광을 효율적으로 도광시킬 수 있다. 또한, 확산 도광부의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이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의 이면 표시부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이면 표시부를 균등하게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이면 표시부의 제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기능을 갖는 소형 도어 스위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의 일부인 도광 표시부의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적용예 
먼저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스위치의 개요도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검출광이 출사하는 부분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광 표시부(120)를 해칭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스위치(1)는 센서(10)와, 액튜에이터(20)를 구비한다. 센서(10)에는 배선부(30)가 접속되어 있고, 센서(10)에서 수신한 신호를 다른 기기로 송신한다. 배선부(30)는, 예컨대, 커넥터나 케이블 등이다.
우선, 센서(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센서(10)는 표시부(110)와, 도광 표시부(120)와, 센서 케이스(140)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10)는 표면(S1)과, 이면(B1; 裏面)과, 표면(S1)과 이면(B1)에 연접하는 측면(SD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S1)과, 이면(B1)에 연접하는 측면 중 배선부(30)가 접속되어 있는 면에 대향되는 면을 상면(T1)이라 한다.
표시부(110)는 센서 케이스(140) 표면(S1)에 형성되어 있다. 도광 표시부(120)는 센서 케이스(140)의 이면(B1)의 대략 중앙 위치, 및 측면(SD1)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액튜에이터(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액튜에이터(20)는 표면(S2)과, 이면(B2)과, 표면(S2)과 이면(B2)에 연접하는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튜에이터(20)의 표면(S2)이 본 발명에서의 “액튜에이터의 대향면”이다.
또한, 표면(S2)과 이면(B2)에 연접하는 측면 중 센서(10)의 상면(T1)측의 면을 상면(T2)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10)와 액튜에이터(20)의 관계에 대한 일 예에 대해 이하에 나타낸다.
센서(10)는 내부에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그 기판은 도시하지 않는 RFID 안테나를 갖는다. 또한, 액튜에이터(20)는 도시하지 않은 패시브 IC 태그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RFID 안테나는 패시브 IC 태그에 대해, 전파를 송신하고, 패시브 IC 태그로부터 전파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센서(10)와 액튜에이터(20)의 대향 상태를 얻을 수 있다.
패시브 RFID를 일 예로서 나타냈지만, 액티브 RFID를 대신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RFID를 일 예로서 나타냈지만, RFID에 한정되지 않고, 대향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구성이라면 무방하다.
또한, 센서(10) 내부에 구비하는 기판은 광원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서는, 기판 및 광원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광원은 도어 스위치(1)의 대향 상태, 또는 센서(10)의 상태에 대응하여 검출광을 발광한다. 센서(10) 상태란, 예컨대, 센서(10)의 에러를 검출한 상태, 또는 단락(短絡)을 검출한 경우 등이다. 또한 발광 패턴으로는, 예컨대,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적색으로 발광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녹색으로 발광하고, 센서(10)가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황색으로 발광한다.
도광 표시부(120)는 검출광을 확산시키면서 도광하여, 센서(10)의 이면(B1)으로부터 면상(面狀)으로 대략 균일하게 출사한다.
이로부터, 도광 표시부(120)의 발광 상태에 의해, 도어 스위치(1)의 대향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시인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도어의 개폐 상태를 이면으로부터도 확실히 알아볼 수 있다. 또한, 도광 표시부(120)는 측면(SD1)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됨으로써, 시인성은 더욱 향상되고, 도어의 개폐 상태를 측면에서도 확실하게 알아볼 수 있다.
·구성예 1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의 일부인 도광 표시부의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상술한 도 1의 기능 구성에 따라 도 2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2는 센서(10)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센서(10)의 주요 부분만을 나타낸 것이며,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있다.
센서(10)는 도광 표시부(120)와, 기판(130)과, 센서 케이스(140)를 구비한다. 또한, 도광 표시부(120)와, 기판(130)이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 케이스(140)는 그 기판(130)을 덮고 있다. 즉, 도광 표시부(120)는 센서 케이스(140) 및 기판(130)에, 이면(B1)측으로부터 보아, 끼워져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광 표시부(120)의 보다 구체적인 형상, 구성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광 표시부(120)는 이면 표시부(121), 집광부(122), 확산 도광부(123), 측면 표시부(124), 주면(125), 및 부면(126)을 구비하고 있다.
센서(10)의 이면(B1), 및 이면(B1)의 일부에 형성된 이면 표시부(121)에 평행하고 또한 이면 표시부(121)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한다. 또한, 센서(10)의 이면(B1), 및 이면(B1)의 일부에 형성된 이면 표시부(121)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한다. 이면 표시부(121)는 집광부(122)에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면 표시부(121), 및 집광부(122)는 제1 방향에 평행인 면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방향이 본 발명에서의 “길이방향”이다. 또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이, 제3 방향이다. 즉, 제3 방향은 도광 표시부(120)의 두께 방향이다.
이면 표시부(121)는 확산 도광부(123)와 연접되어 있다. 이면 표시부(121)는 측면 표시부(124)와 연접되어 있다. 또한, 집광부(122)는 확산 도광부(123)와 연접되어 있다.
구체적인 확산 도광부(123)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확산 도광부(123)는 집광부(122)를 기점으로 하고, 소정의 이루는 각도를 가지고 각각 연장되는 형상, 즉, V자형이다. 또한, 일방의 확산 도광부(123)와, 다른 일방의 확산 도광부(123)는 동일한 형상이며, V자형의 골(谷)이 되는 부분에서, 집광부(122)에 접촉되어 있다.
이면 표시부(121)는 제2 방향에 있어서, 확산 도광부(123)를 사이에 두고, 집광부(122)에 대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확산 도광부(123)를 연결하도록 이면 표시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확산 도광부(123)와, 이면 표시부(121)의 3변을 이용한, 대략 삼각형을 형성하고 있고, 그 삼각형의 내부에 공간(HL)을 갖는 형상이다. 또한 각각의 확산 도광부(123)에 접촉되도록 측면 표시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주면(125)은 이면 표시부(121)의 확산 도광부(123)에 대향하는 면이다. 또한, 부면(126)은 주면(125)의 양측에 연접하고, 제2 방향측으로 연장되는 측면 표시부(124)의 면이다.
또한, 도광 표시부(120)는 제1 방향(길이방향)과 제2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면에 직교하는 형상, 즉, 제3 방향으로 두께(d)를 갖는 형상이다. 두께(d)는 도광 표시부(120)의 전체를 통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d)는 검출광을 도광하고, 주면(125)(이면 표시부(121)), 부면(126)(측면 표시부(124))를 균등한 밝기로 하기 위한 두께면 무방하다.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또한, 도광 표시부(120)는 제1 방향에서 좌우 대칭이 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 표시부(120)는 V자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Y자형일 수도 있다. 즉, 도광 표시부(120)는 제3 방향(두께 방향)에서 보아, 길이방향인 제1 방향의 중심보다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대칭형이다.
도광 표시부(120)가 대칭형이 됨으로써, 이면 표시부(121)에서의 주면(125), 측면 표시부(124)에서의 부면(126)의 밝기를 대략 균일하게 하여,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면 표시부(121)와, 집광부(122)와, 확산 도광부(123)와, 측면 표시부(124), 주면(125), 부면(126)이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수지를 재료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광 표시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광 표시부(120)가 일체 형성됨으로써, 계면에서의 반사 등이 억제되고, 도광 효율이 향상된다.
도 4를 이용하여, 도광 표시부(120)를 센서(10)에 배치하였을 때의 구조, 및 검출광을 도광하는 방법에 대해, 측면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조를 과장하여 기재하고 있다.
센서(10) 내부에는 기판(130)이 설치되어 있다. 기판(130)에는 광원(150)이 형성되어 있다. 광원(150)은,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이다.
광원(150)은 발광면(SD2)을 갖는다. 광원(150)은 집광부(122)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광원(150)의 발광면(SD2)은 도광 표시부(120)의 집광부(122)에 대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150)은 도어 스위치(1)의 대향 상태에 대응하여 검출광(LF)을 발광한다. 검출광(LF)은 발광면(SD2)으로부터 출사되고, 집광부(122)로 입광된다. 집광부(122)는 검출광(LF)을 확산 도광부(123)로 도광한다. 확산 도광부(123)는, 검출광(LF)을 확산 도광부(123) 내에서 확산시키면서, 이면 표시부(121), 및 주면(125)으로 도광한다. 마찬가지로, 확산 도광부(123)는 검출광(LF)을 측면 표시부(124) 및 부면(126)으로 도광한다.
집광부(122)의 단면적을 단면적(122R)이라 하고, 확산 도광부(123)의 이면 표시부(121)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측의 단면적을 단면적(123R)이라 한다. 이 때, 예컨대, 도광 표시부(120)의 두께(d)를 조정하여, 단면적(123R)>단면적(122R)의 관계가 되도록 결정한다.
확산 도광부(123)의 단면적(123R)이 집광부(122)의 단면적(122R)보다 커지도록 설정함으로써, 집광부(122)에 모은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검출광(LF)은 광원(150)으로부터 발광하고, 집광부(122)로부터 확산 도광부(123)의 내부, 측면 표시부(124)의 내부를 확산하면서, 이면 표시부(121)에서의 주면(125), 및 측면 표시부(124)에서의 부면(126)으로 도광한다.
따라서, 광원(150)이 점광원인 경우라도, 면상의 이면 표시부(121)에 접촉하는 주면(125), 측면 표시부(124)에 접촉하는 부면(126)의 밝기를 대략 균일하게 하여,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광 표시부(120)는 도광 표시부(120) 내의 내면 반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검출광(LF)을 도광할 수 있다. 또한, 수지가 검출광(LF)의 누출을 억제하는 재료라는 점에서, 검출광(LF)을 효율적으로 도광할 수 있다.
또한, 집광부(122)의 일부가 투광율이 낮은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직진하는 검출광(LF)이 확산 도광부(123) 이외로 도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0)의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광원(150)이 LED와 같은 점광원인 경우라도, 넓은 범위에 검출광(LF)을 도광할 수 있다. 즉, 주면(125), 및 부면(126)의 밝기를 대략 균일하게 하여,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실하게 알아볼 수 있다. 따라서, 센서(10)(도어 스위치(1))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이면 표시부(121)에 접촉하는 주면(125), 및 측면 표시부(124)에 접촉하는 부면(126)은 도어 스위치(1)의 대향 상태로부터 얻어지는 검출광(LF)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광원(150)이 LED라는 점에서, 광원(150)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어 센서(10)(도어 스위치(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성예 2 
이어서, 도 5를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스위치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확산 도광부(123A)의 형상이 다르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마찬가지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확산 도광부(123A)는 제1 실시 형태의 확산 도광부(123)에 비해 공간(HL)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도광 표시부(120A)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이 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확산 도광부(123A)는 집광부(122)로부터 입광하는 검출광(LF)을 효율적으로 도광하여, 주면(125) 및 부면(126)의 밝기를 대략 균일하게 하여,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면 표시부(121)에서의 주면(125) 및 측면 표시부(124)에서의 부면(126)의 밝기를 대략 균일하게 하여 얼룩을 억제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실히 알아볼 수 있다. 따라서, 센서(10A)(도어 스위치)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광원(150)이 발광 다이오드(LED)이기 때문에, 광원(150)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어 센서(10A)(도어 스위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구성예 3 
이어서, 도 6을 이용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어 스위치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센서의 측면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의 도광 표시부(120B)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확산 도광부(123B), 공간(HLB)의 형상 및 집광부(122B)의 형성 위치가 다르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마찬가지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확산 도광부(123B)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확산 도광부(123)와는 다른 형상의 공간(HLB)을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면 표시부(121)의 제1 방향에서의 중심과, 집광부(122B)의 제1 방향에서의 중심을 연결하는 평면이 제2 방향에 평행하지 않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150)과 집광부(122B) 간의 거리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150)과 집광부(122) 간의 거리에 비해 짧다.
이러한 구성으로도, 확산 도광부(123B)는 집광부(122)로부터 입광하는 검출광(LF)을 효율적으로 도광하여, 주면(125), 및 부면(126)의 밝기를 대략 균일하게 하여,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면 표시부(121)에 있어서의 주면(125), 및 측면 표시부(124)에 있어서의 부면(126)의 밝기를 대략 균일하게 하여, 얼룩을 억제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실히 알아볼 수 있다. 따라서, 센서(10B)(도어 스위치)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이면 표시부(121)에 있어서의 주면(125), 및 측면 표시부(124)에 있어서의 부면(126)은, 도어 스위치의 대향 상태로부터 얻어지는 검출광(LF)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광원(150)이 발광 다이오드(LED)이기 때문에, 광원(150)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어 센서(10B)(도어 스위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구조의 형상, 형성 위치를 한정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이면 표시부(121)에 있어서의 주면(125), 및 측면 표시부(124)에 있어서의 부면(126)의 밝기를 대략 균일하게 하여, 얼룩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도어 스위치의 구조는 일 예이며,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성이라면, 각 실시 형태의 구조를 조합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B1, B2 이면
d 두께
HL, HLB 공간
LF 검출광
S1, S2 표면
SD1 측면
SD2 발광면
T1, T2 상면
1 도어 스위치
10, 10A, 10B 센서
20 액튜에이터
30 배선부
110 표시부
120, 120A, 120B 도광 표시부
121 이면 표시부
122, 122B 집광부
122R 단면적
123, 123A, 123B 확산 도광부
123R 단면적
124 측면 표시부
125 주면
126 부면
130 기판
140 센서 케이스
150 광원

Claims (6)

  1. 액튜에이터와 센서를 구비하고,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센서의 표면과 상기 액튜에이터의 대향면이 접촉 또는 근접되며,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센서의 표면과 상기 액튜에이터의 대향면이 떨어지도록 설치하는 도어 스위치로서,
    상기 센서는,
    상기 액튜에이터가 출력하는 검출용 신호의 수신 상태, 또는 센서의 상태에 대응하여 검출광을 발광하는 광원부와,
    상기 검출광을 모으는 집광부와,
    상기 집광부와 연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집광부에서 모아진 상기 검출광을 확산시켜 출사하는 확산 도광부와,
    상기 확산 도광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센서의, 상기 표면과는 반대측의 면인 이면(裏面)측에 형성되고, 상기 확산 도광부로부터 출사된 상기 검출광을 출사하는 주면(主面)을 갖는 이면 표시부를 더 구비한 도어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면 표시부에는,
    상기 주면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상기 센서의 측면측으로 연장되는 부면(副面)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 스위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확산 도광부는,
    상기 주면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 형상인 도어 스위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발광 다이오드이고,
    상기 광원부의 발광면을 상기 집광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도어 스위치.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확산 도광부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도어 스위치.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이면 표시부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도어 스위치.
KR1020180138166A 2018-02-07 2018-11-12 도어 스위치 KR102105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9987A JP6915559B2 (ja) 2018-02-07 2018-02-07 ドアスイッチ
JPJP-P-2018-019987 2018-02-07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64A KR20190095864A (ko) 2019-08-16
KR102105971B1 true KR102105971B1 (ko) 2020-04-29
KR102105971B9 KR102105971B9 (ko) 2023-03-31

Family

ID=6431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166A KR102105971B1 (ko) 2018-02-07 2018-11-12 도어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40866B2 (ko)
EP (1) EP3525350B1 (ko)
JP (2) JP6915559B2 (ko)
KR (1) KR102105971B1 (ko)
CN (2) CN1101185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057B1 (ko) * 2004-09-27 2010-12-22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조광식 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4156U (ja) * 1984-04-27 1985-11-18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近接スイツチ
JPH0668257A (ja) 1992-08-17 1994-03-11 Kawasaki Steel Corp 画像中の物体のエッジ検出方法及びエッジ間距離検出方法
JPH0668257U (ja) * 1993-02-26 1994-09-22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構造
JP2003045266A (ja) 2001-07-26 2003-02-14 Victor Co Of Japan Ltd 発光スイッチ
KR20030045266A (ko) 2001-12-01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학 기상 증착 장치의 로드락 챔버
JP2003223683A (ja) * 2002-01-29 2003-08-08 Nittan Co Ltd 検出装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出力電圧値登録方法
JP2004199005A (ja) * 2002-12-20 2004-07-15 Alps Electric Co Ltd 導光体及びこれを備えた照光式スイッチ装置
JP4240307B2 (ja) * 2004-06-22 2009-03-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4913639B2 (ja) 2006-05-16 2012-04-11 Idec株式会社 電子機器の取付構造及びこの電子機器の取付構造を備えた産業機械システム
WO2009034762A1 (ja) * 2007-09-10 2009-03-19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照明装置
EP2085800A1 (de) * 2008-02-01 2009-08-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ische Anzeigeeinrichtung und Automatisierungsgerät
JP5660367B2 (ja) 2010-06-16 2015-01-28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機械製品
KR20120002968A (ko) 2011-12-20 2012-01-09 박상구 내열성 도전사 및 그의 코팅액
EP2728316B1 (en) * 2012-10-31 2018-12-0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ensor device with indicator and related methods
US9349260B2 (en) * 2013-11-13 2016-05-2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ensor device with enhanced light guide visualization and related methods
WO2016109889A1 (en) * 2015-01-05 2016-07-14 Nyce Sensors Inc. Hinge with complementary wireless sensor
CN204808517U (zh) * 2015-07-24 2015-11-25 江西智能无限物联科技有限公司 智能门窗传感器
EP3450823B1 (en) * 2015-08-05 2020-04-29 Patlite Corporation Lens compon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GB2549761B (en) * 2016-04-28 2018-04-25 Ensota Guangzhou Tech Ltd An automatic door installation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n obstacle
CN206640608U (zh) * 2017-04-20 2017-11-14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智能家居物联网控制系统
US10480221B2 (en) * 2017-07-20 2019-11-19 Magna Closures Inc. Illuminated virtual handle for power door system in motor veh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057B1 (ko) * 2004-09-27 2010-12-22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조광식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20405B2 (ja) 2022-08-17
JP2019139878A (ja) 2019-08-22
EP3525350A1 (en) 2019-08-14
EP3525350B1 (en) 2021-02-17
JP2021166205A (ja) 2021-10-14
JP6915559B2 (ja) 2021-08-04
US10540866B2 (en) 2020-01-21
CN110118574A (zh) 2019-08-13
KR20190095864A (ko) 2019-08-16
US20190244490A1 (en) 2019-08-08
KR102105971B9 (ko) 2023-03-31
CN113418538A (zh) 202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3615B2 (en) Proximity sensor module with two sensors
US20070062793A1 (en)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a keypad
US10983211B2 (en) Distance sensing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US20070217181A1 (en)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keypads
CN105392672A (zh) 用于车辆内部空间照明的车辆照明装置
US7432464B2 (en)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keypads
US8878124B2 (en) Optical touch device having an auxiliary light guide component disposed between the two neighboring ends of first and second light guide components
US7417217B2 (en) Regressive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witch
KR102104475B1 (ko) 도어 스위치
KR102105971B1 (ko) 도어 스위치
JPH09212303A (ja) 導光体及び光学的位置検出装置
JPH11144514A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210302672A1 (en) Optical receptacle and optical module
WO2002095944A1 (en) Sensor,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device
JP2019158588A (ja) 限定反射型センサ
JP3926808B2 (ja) 導光体及び光学的位置検出装置
JP2019067521A (ja) 車両用灯具
US10957677B2 (en) Modules configured to emit and receive light in adjacent directions
US20200041718A1 (en) Light guide plate and input apparatus
US10916387B2 (en) Module cover for a key module for a key, key module for a key, and method for producing a key
US9064410B2 (en) Light emitting diode traffic light
WO2023079952A1 (ja) 配線器具
US20070209917A1 (en)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keypads
CN113302501A (zh) 流量传感器装置以及带外罩的流量传感器装置
KR200238025Y1 (ko)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5000005;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30119

Effective date: 2023030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