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025Y1 -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025Y1
KR200238025Y1 KR2020010012072U KR20010012072U KR200238025Y1 KR 200238025 Y1 KR200238025 Y1 KR 200238025Y1 KR 2020010012072 U KR2020010012072 U KR 2020010012072U KR 20010012072 U KR20010012072 U KR 20010012072U KR 200238025 Y1 KR200238025 Y1 KR 200238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mounting structur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2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025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된 키 버튼 장착구조는 유무선 전화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캡과 버튼 몸체를 이중 사출방식으로 구현하여 구성된 키 버튼; 및 상기 키 버튼 수직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선각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발광 다이오드의 발산된 빛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KEY 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PHONE}
본 고안은 유선 또는 무선 전화기에서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키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빛 발산 기능이 향상된 유무선 전화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선 전화기 또는 무선 전화기는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키를 구비한다. 물론, 키 버튼의 누름 동작으로 신호 전달을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입력 동작이 수행된다. 이때, 키 버튼은 대치하는 위치(하측)에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신호 제공 시에 발광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공지의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하여 야간에도 키 버튼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거나 누름동작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다. 공지된 키 버튼이나 발광 다이오드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키 버튼의 바닥면은 별도의 가공 처리 없이 평면형으로 평면 처리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 번째로, 종래의 키 버튼은 시선의 위치에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의 빛의 밝기가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키 버튼의 높이, 발광 다이오드와 키 버튼간의 거리, 발광 다이오드의 위치에 따른 키 버튼의 위치 등에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의 빛의 밝기가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키 버튼의 ABS(Acrylonitrile-Butadience-Styren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간의 경계면에서 발광 다이오드 불빛이 거의 반사되지 못하여 표면에서는 빛을 인식하지 못하고, 오히려 ABS와 PMMA의 경계면이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종래의 키 버튼은 빛의 밝기를 최대화하기 못하였으며, 보다 밝게 발광할 수 있는 키 버튼과 키 버튼 장착구조가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광 다이오드의 빛의 밝기를 결정하는 키 버튼과, 발광 다이오드 캡 및 발광 다이오드에 관계된 위치, 크기, 각도 등을 결정하고, 발광 다이오드 캡과 버튼 몸체와의 경계면의 상태를 규정함으로써, 시선의 위치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밝기를 최대화하여 설계 품질 최적화를 추구할 수 있는 키 버튼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무선 전화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캡과 버튼 몸체를 이중 사출방식으로 구현하여 구성된 키 버튼; 및
상기 키 버튼 수직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선각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키 장착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키 장착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출된 키 버튼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버튼(10) 장착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키버튼(10) 장착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10)은 인쇄회로기판(B)에 접속된 발광 다이오드(LED)의 수직방향 기준축(①)을 중심으로 약간 편향된 위치에 장착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는 시선각(A)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기준축(①)을 중심으로 약간 편향된 위치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적용된 키 버튼(10)의 수직방향 기준축(①)은 발광 다이오드 수직방향 기준축(②)을 중심으로 약 0.8mm 정도 이동(도 1의 우측방향)하여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키 버튼(10)은 약간 편향된 위치에 장착하는 이유를 하기에 기술하기로 한다. 참고로, 참조부호R은 러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버튼(10)은 발광 다이오드 캡(110)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 캡(110)에 이중사출되는 버튼 몸체(120)로 구성된다. 상기 키 버튼(110)을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 캡(110)과 버튼 몸체(120)의 이중사출 과정은 도 3에 도시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캡(110)은 상단(111)과, 양 측단(112) 및 바닥단(113,114)을 구비한다. 상기 상단(111)과 측단(112)의 일부는 하우징(H) 외부로 위치하게 배치되고, 상기 측단(112)의 하부와 바닥단(113,114)은 하우징(H) 내부로 위치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바닥단(113,114)을 통하고, 이어서 측단(112)에서 반사되어 상단(111)을 향하는 통로를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의 바닥단(113,114)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113,114)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발생한 빛은 반사되어 일정한 각도로 외부로 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 버튼의 경사면(113,114)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경사면(113,114)이 구현된다. 상기 키 버튼의 바닥단을 이루는 상기 제1경사면(113)과 제2경사면(114)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나, 경사진 각도는 상이하게 구현된다. 상기 제1경사면은 제1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제2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향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면(113)의 면적이 상기 제2경사면(114)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한다. 상기 제1,2경사면(113,114)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발생한 빛이 수직으로 입사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입사되도로 하여 발광 다이오드 캡 (110)내에서 반사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외부로 반사된 빛이 일정한 영역내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제1경사면(113)은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발생한 빛이 수직방향으로 입사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입사되게 하며, 측단(112)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제2경사면(114)은 발광 다이오드(LED) 빛이 방사형으로 퍼지는 것에 대한 차폐 역할을 하도록 하여 발광 다이오드 캡(110) 내부로 반사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제1,2경사면(113,114)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발광 다이오드 캡(110) 내로 모아져서 입사되고, 입사된 빛은 소정의 각도로 반사되어 하우징(H) 외부로 향하게 된다.
상기 반사되어 하우징(H) 외부로 향하는 반사된 빛은 시선각(A)내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향상된 발광 다이오드(LED)의 빛을 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발산된 빛은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외부에 전달되는 것보다는, 상기 제1,2경사면(113,114)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캡(110) 내로 반산되도록 하고, 측단(112)을 이용하여 외부로 입사된 빛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 다이오드 캡(110)과 버튼 몸체(120)간의 경계면에 거친 부식처리를 하여 발광 다이오드 캡(110)과 버튼 몸체(120)간의 미소한 굴절률 차이를 인해 반사되지 못하는 빛들을 난반사시킨다.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시선각(A)에서 볼때, 상기 하우징(H) 외부로 반사된 빛이 머무르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일정한 양의 빛을 인식할 수 있게 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발광 시선각의 위치에 따른 불빛이 보이지 않는 데드 존(dead zone)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체적인 불빛의 양이 고르게 분포되었으며, 또한 빛의 왜곡 및 복굴절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 캡에 맺히는 상의 찌그러짐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4)

  1. 유무선 전화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캡과 버튼 몸체를 이중 사출방식을 구현하여 구성된 키 버튼; 및
    상기 키 버튼 수직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선각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된 위치에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은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상된 빛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단을 구비하며, 상기 바닥단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경사면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소정의 제1각도로 경사진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각도보타 큰 제2각도로 경사지며, 상기 제1경사면의 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제1경사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산된 빛이 발광 다이오드 캡내로 반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캡과 버튼 몸체의 경계면은 미소한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난반사를 위하여 부식 처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KR2020010012072U 2001-04-26 2001-04-26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KR200238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072U KR200238025Y1 (ko) 2001-04-26 2001-04-26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072U KR200238025Y1 (ko) 2001-04-26 2001-04-26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025Y1 true KR200238025Y1 (ko) 2001-10-12

Family

ID=7305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072U KR200238025Y1 (ko) 2001-04-26 2001-04-26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0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9773B2 (en) Illuminated keyboard with a light guide plate
JP4914432B2 (ja) 照光入力装置
TWI399776B (zh) Thin light-emitting keyboard
US7340273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proved light emission structure
US20070217181A1 (en)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keypads
US9837228B2 (en) Illuminated keyboard with optical switch
US20070062793A1 (en)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a keypad
US6928297B2 (en) Portable telephone, diffuser and lighting device provided therein
CN219892094U (zh) 背光按键及其背光模组
JP3506021B2 (ja) 面照明装置及びこの面照明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TWI526898B (zh) 光學觸控面板及其導光模組
JP2019088387A (ja) 遊技機用押ボタン
WO2007142403A1 (en) Integrated micro-optic device
EP1389788B1 (en) Function indicator for visually indicating an operating state of equipment
JP5168780B2 (ja) 導光板構造
US20030142078A1 (en) Optical mouse for a personal computer
KR200238025Y1 (ko) 단말기의 키 버튼 장착구조
JP2001291458A (ja) 光学式タッチスイッチ装置
KR200421191Y1 (ko) 발광 다이오드 칩 모듈의 투광장치
JP2002245830A (ja) 導光板装置
JP6061397B2 (ja) 照光装置
CN217333917U (zh) 键盘组件
KR100810210B1 (ko) 키패드 어셈블리의 광 반사장치
KR101148670B1 (ko) 레이져 네비게이션 모듈
CN217544436U (zh) 可发光的按键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