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892B1 - 밀봉 부재 - Google Patents

밀봉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892B1
KR101856892B1 KR1020167024727A KR20167024727A KR101856892B1 KR 101856892 B1 KR101856892 B1 KR 101856892B1 KR 1020167024727 A KR1020167024727 A KR 1020167024727A KR 20167024727 A KR20167024727 A KR 20167024727A KR 101856892 B1 KR101856892 B1 KR 101856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repulsive force
pressed
penetra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202A (ko
Inventor
다카히사 아오야마
히데키 고노
지홍 리우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0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01M2/3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장시간 사용한 경우에도 양호한 밀봉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제공한다. 환상의 밀봉 부재이며, 내측의 관통된 부분에 있어서의 관통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부터 가압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 가압되고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 비율이 외측쪽이 내측보다도 큰 부분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밀봉 부재{SEALING MEMBER}
본 발명은, 밀봉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서로 접속되는 부재끼리의 간극을 막음과 함께, 내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출이나 외부로부터의 이물의 진입을 억제하기 위한 밀봉 부재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7155호 공보)에 기재된 가스킷처럼,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 주변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가스킷은, 수지제이며, 상하로 관통된 구멍의 주위로 넓어지는 부분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7155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가스킷에서는, 전체적으로 두께가 균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불과하고, 유체의 누출이나 외부로부터의 이물의 진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가스킷 등의 밀봉 부재의 형상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히, 밀봉 부재가 사용되고 가압된 상태에서 오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양호한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에 대해서는, 아무런 검토가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과제는, 장시간 사용한 경우에도 양호한 밀봉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밀봉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 관점에 관한 밀봉 부재는, 환상의 밀봉 부재이며, 내측의 관통된 부분에 있어서의 관통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부터 가압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밀봉 부재는,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 가압되고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 비율이 내측보다도 외측쪽이 큰 부분을 갖고 있다.
제2 관점에 관한 밀봉 부재는, 제1 관점에 관한 밀봉 부재이며,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가압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에 관한 밀봉 부재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관한 밀봉 부재이며, 인장 탄성률이 0.8㎬ 이하이다.
제4 관점에 관한 밀봉 부재는, 제1 관점 내지 제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밀봉 부재이며, 퍼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5 관점에 관한 밀봉 부재는, 제4 관점에 관한 밀봉 부재이며, PFA의 함유량이 50wt% 이상 100wt% 이하이다.
제6 관점에 관한 밀봉 부재는, 제1 관점 내지 제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밀봉 부재이며, 전지용 가스킷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부재는, 내측보다도 외측의 압축 비율이 큰 부분을 갖고 있음으로써, 관통 방향으로부터 가압하여 사용된 경우에, 밀봉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시뮬레이션의 대상으로서의 밀봉 부재(1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례로서의 밀봉 부재(11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례로서의 밀봉 부재(21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시뮬레이션의 대상으로서의 밀봉 부재(10)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시뮬레이션의 대상으로서의 밀봉 부재(10X)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례로서의 밀봉 부재(310)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례로서의 밀봉 부재(410)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일례로서의 밀봉 부재(510)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일례로서의 밀봉 부재(610)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례로서의 밀봉 부재(710)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시뮬레이션의 비교 대상으로서의 밀봉 부재(10Y)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시뮬레이션의 비교 대상으로서의 밀봉 부재(10Z)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공칭 응력과 공칭 변형의 관계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14는 진응력과 진변형의 관계를 도시하는 선도이다.
도 15는 경사 각도 α나 β를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의 20만 시간 후의 반발력의 크기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밀봉 부재의 사용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른 반발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반발력이 배가 되는 소재의 경우의 경시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마찰 계수에 대한 20만 시간 후의 반발력의 관계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직경 방향의 위치에 따른 반발력의 당초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직경 방향의 위치에 따른 반발력의 1만 시간 경과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직경 방향의 위치에 따른 반발력의 10만 시간 경과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직경 방향의 위치에 따른 반발력의 20만 시간 경과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전지의 전극 주변에 사용되는 가스킷의 가압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전지의 전극 주변에 사용되는 가스킷이 가압된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밀봉 부재의 용도
밀봉 부재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가스킷, 패킹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전지용 가스킷에 사용되는 밀봉 부재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지로서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를 들 수 있다. 이 리튬 이온 전지의 전해액으로서는, 열화가 60℃ 이상이 될 때까지 발생하기 어려운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용 가스킷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밀봉 부재는, 밀봉 부재 내측의 관통된 부분에 전지의 전극(예를 들어, 정극 또는 부극)이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밀봉 부재의 형상
밀봉 부재의 형상은 환상이며, 내측의 관통된 부분에 있어서의 관통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부터 가압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 가압되고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 비율이 내측보다도 외측 쪽이 큰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하에 경사면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경사면이 관통 방향을 법선으로 하는 평면에 대하여 10도 이상 80도 이하로 경사져 있어도 되고, 20도 이상 70도 이하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환상의 밀봉 부재의 형상에 대해서, 내측의 관통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상면, 하면 등을 설명한다.
여기서, 「환상」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도 1의 평면도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와 같이, 내측의 원통 부분(11)이 도려내져 외주(12)가 원형인 원기둥 형상도 포함되고, 도 2의 평면도의 밀봉 부재(1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의 사각형 부분(111)이 도려내져 외주(112)가 사각형인 사각통도 포함되며, 도 3의 평면도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210)와 같이, 내측의 도려내진 부분(211)에 대한 중심과 외주(212)에 대한 중심이 편심되어 있는 형상도 포함된다. 또한, 밀봉 부재의 평면에서 보아 내측의 도려내진 부분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 형상이 도려내진 형상이어도 되고, 사각 기둥이나 오각 기둥 등의 다각형의 기둥이 도려내진 형상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밀봉 부재의 평면에서 보아 외측 테두리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호 형상이어도 되고, 다각형 형상이어도 된다.
환상의 밀봉 부재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 가압되게 되는 피가압 부분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가압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밀봉 부재 내측의 관통 부분의 중심을 포함하여 관통 방향으로 신장되는 선이 포함되는 단면도인 도 4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와 같이, 상면(13)은 외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고 하면(14)은 외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형상이어도 되고, 도 5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X)와 같이, 상면(13x)은 외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고 하면(14x)은 동일한 높이 위치로 넓어진 형상이어도 된다. 여기서, 밀봉 부재의 관통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부터 가압될 때 힘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여 밀봉 효과를 얻기 쉬운 관점에서, 관통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의 상방측과 하방측의 형상이 대칭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부재의 상방과 하방은, 평면을 구성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밀봉 부재의 내측 관통 부분의 중심을 포함하여 관통 방향으로 신장되는 선이 포함되는 단면도인 도 6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310)와 같이, 상방 부분(313)이 상방을 향하여 팽출되고 하방 부분(314)이 하방을 향하여 팽출된 형상이어도 되고, 도 7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410)와 같이, 상방 부분(413)이 하방을 향하여 오목하고 하방 부분(414)이 상방을 향하여 오목해진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510)와 같이, 상방 부분(513)과 하방 부분(514)이 양쪽 모두 경사져 있고, 각 경사 각도가 상이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610)와 같이, 상방 부분(613)이나 하방 부분(614)이 요철 형상을 수반하면서 전체적으로 경사진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710)와 같이, 내측의 관통 부분의 주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통 방향의 길이가 내측일수록 짧아지게 관통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방 경사 부분(713a)이나 하방 경사 부분(714a)을 갖고, 상방 경사 부분(713a)의 외측에 있어서 경사져 있지 않은 상방 평면 부분(713b)과 하방 경사 부분(714a)의 외측에 있어서 경사져 있지 않은 하방 평면 부분(714b)을 가진 형상이어도 된다.
밀봉 부재는,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 가압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 비율이 내측보다도 외측 쪽이 큰 부분을 갖고 있으면 된다. 여기서, 밀봉 부재 중 가압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피가압 부분에 대해서, 외측보다도 내측 쪽이 압축 비율이 큰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밀봉 부재의 압축 비율에 대해서는, 밀봉 부재의 내측 관통 부분의 중심을 포함하여 관통 방향으로 신장되는 선이 포함되는 단면에 있어서 내외 방향의 두께 중심을 기준으로 밀봉 부재를 내측과 외측으로 나누었을 경우에, 내측의 압축 비율이 외측의 압축 비율보다도 작은 것이 좋고, 내측의 압축 비율을 외측의 압축 비율로부터 차감하여 얻어지는 값이 2%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이상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측과 외측으로 분할된 압축 비율이 아닌 밀봉 부재의 전체 압축 비율은, 치수 공차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 10%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기간 높은 반발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20% 이상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압축 비율이란, 밀봉 부재 내측의 관통 부분의 중심을 포함하여 관통 방향으로 신장되는 선이 포함되는 단면에 있어서, 밀봉 부재에 아무런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또는 밀봉 부재의 특정한 부위)의 단면적에 대한, 밀봉 부재가 관통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부터 가압되어 밀봉되어 있는 상태(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또는 밀봉 부재의 특정한 부위)의 단면적의 감소 부분의 비율(1-가압 상태의 밀봉 부재의 단면적/아무런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의 단면적)을 말한다. 이 압축 비율은, 밀봉 부재가 관통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부터 가압되어 밀봉되어 있는 상태(사용 상태)에 있어서, 밀봉 부재는 단순히 가압 방향의 치수가 짧아져 내외 방향으로는 치수가 변화하지 않는 것이라 가정하여 얻어지는 값으로 한다.
또한, 밀봉 부재 내측의 관통 부분의 중심을 포함하여 관통 방향으로 신장되는 선이 포함되는 단면에 있어서, 상방 부분이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면의 경사 각도가 수평면에 대하여 5도 이상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도 이상 경사져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도 이상 경사져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 밀봉 부재의 소재
밀봉 부재의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밀봉 부재에 의한 밀봉 효과를 보다 장시간 얻기 위해서는, 밀봉 부재의 인장 탄성률의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0.8㎬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이다. 또한, 밀봉 부재의 인장 탄성률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3㎬이다. 당해 인장 탄성률의 바람직한 범위의 근거는, 후술한다.
또한, 밀봉 부재의 소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무상 물질, 불소 수지 이외의 수지, 불소 수지, 및 이것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소재는, 밀봉 부재의 주성분으로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상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니트릴 고무(NBR), 수소화 니트릴 고무(HNBR), 불소 고무(FKM), 퍼플루오로 불소 고무(FFKM), 실리콘 고무(VMQ),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클로로프렌 고무(CR), 아크릴 고무(ACM), 부틸 고무(IIR), 우레탄 고무(U), 천연 고무(NR),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CSM)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CO, ECO)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 이외의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르보네이트(PC), 메타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메틸펜텐(PMP), 폴리스티렌(P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 이외의 수지의 용융 유속은, 예를 들어 PP의 경우에는, ASTM D 1238에 따라, 온도 230℃, 하중 2.16㎏으로서 측정되는 값이며, 5 이상 60 이하가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공중합체(FEP), TFE/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AVE) 공중합체(PFA), 폴리페닐렌술피드(PPS), 에틸렌(Et)/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TFE 공중합체, Et/CTFE 공중합체, 폴리 불화 비닐리덴(PVdF), TFE/불화 비닐리덴(VdF) 공중합체, VdF/HFP 공중합체 및, 폴리 불화 비닐(PVF)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TFE/HFP 공중합체」와 같이 기재하는 경우에는, TFE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TFE 단위)와, HFP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HFP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압축되는 밀봉 부재의 일부가 면이며, 압축하는 측의 부재의 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압축 전에는 접촉되는 면이 평행이 아니다. 이로 인해, 밀봉 부재로서는, 유연하게 변형되어 압축하는 측의 부재의 면과 평행이 되도록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밀봉 부재의 소재로서는, 비교적 유연한 수지인 퍼플루오로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PTFE, PFA, FEP가 바람직하다. PFA에 있어서의 PAVE로서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PMVE), 퍼플루오로에틸비닐에테르(PEVE) 또는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PPVE)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PFA는, PAVE 단위가 2질량%를 초과하고, 8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6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공중합체의 각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NMR, FT-IR, 원소 분석, 형광 X선 분석을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이하 마찬가지). 상기 PFA는, 상술한 조성을 갖는 것이라면, 기타 단량체를 더 중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기타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HFP를 들 수 있다. 함유량으로서는 1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타 단량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FA 중에서도 내(耐)크리프성이 우수한 점에서, TFE/PPVE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PPVE의 공중합 조성으로서는, 2.0중량% 내지 5.0중량%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용융 유동 가능한 PTFE를 첨가하고, 외관 상 PPVE의 함유량을 낮추고, 내크리프성을 향상시켜, 압축 영구 변형을 저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토탈 PPVE 함유량은, 1.0중량% 내지 4.0중량%가 바람직하다. 토탈 PPVE 함유량이 1중량% 보다 낮아지면,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4중량%를 초과하면, PTFE를 첨가한 효과가 적어진다.
또한, 밀봉 부재를 리튬 이온 전지용 가스킷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극성이 강한 용제에 팽윤되기 어렵고, 접촉에 의한 열화를 일으키기 어려운 소재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극성이 강한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카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1,2-디메톡시에탄, 디메틸카르보네이트 또는 디에틸카르보네이트를 적절히 혼합한 비수 용매에 대하여 LiCF3SO3, LiClO4, LiBF4 및/또는 LiPF6을 용해하여 얻어지는 비수계 전해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들 극성이 강한 용제에 팽윤되기 어렵고, 접촉에 의한 열화를 일으키기 어려운 소재로서는, ETFE, 또는 퍼플루오로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퍼플루오로 중합체 중에서도 PTFE, PFA, FEP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수증기 투과성이 낮기 때문에 LiPF6 등의 전해질의 수분에 의한 분해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충분한 경도를 갖고 있으며, 용제 팽윤성이 고무보다도 작고, 폭넓은 화학 물질에 대한 내약품성이 있어 산화 열화되기 어려워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는 관점에서, 특히 PFA가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부재가 PFA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PFA의 함유량이 50wt% 이상 100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하한이 70wt%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술한 PTFE는, TFE 단독중합체여도 되고, 변성 PTFE여도 된다. 여기서, 「변성 PTFE」란, 얻어지는 공중합체에 용융 가공성을 부여하지 않을 정도의 소량(1중량% 이하)의 공단량체(변성제)를 TFE와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변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HFP 등의 퍼플루오로올레핀; CTFE 등의 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TFE/VdF 공중합체로서는, TFE 단위:VdF 단위의 몰비가 45 내지 85/5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50 내지 20이다.
상술한 VdF/HFP 공중합체로서는, VdF 단위와 HFP 단위의 몰비가 45 내지 85/5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50 내지 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40 내지 20이다. VdF/HFP 공중합체는, VdF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와, HFP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며, 다른 불소 함유 단량체에 기초하는 중합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VdF/HFP/TFE 공중합체인 것도 바람직한 형태 중 하나이다. VdF/HFP/TFE 공중합체로서는, VdF/HFP/TFE의 몰비가 40 내지 80/10 내지 35/10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부재가 퍼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흐르기 어렵고 반발력이 확보되기 쉬운 관점에서, 그 용융 유속(MFR)이 40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g/10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g/10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MFR이란, 중합체의 372℃에서의 용융 유속을 말하고, ASTM D 1238-98에 준거하여, 멜트 인덱스 테스터(도요세이키세이사쿠쇼 제조)를 사용하여, 약 6g의 수지를 372℃로 유지된 실린더에 투입하고, 5분간 방치하여 온도가 평형 상태에 도달한 후, 5㎏의 피스톤 하중 하에서 직경 2.1㎜, 길이 8㎜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수지를 압출하고, 단위 시간(통상 10 내지 60초)에 채취되는 수지의 질량(g)을 동일 시료에 대하여 3회씩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10분간당 압출량으로 환산한 값(단위: g/10분)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불소 수지 중, 용융 가공성이 우수한 관점에서는, FEP, PFA, Et/TFE 공중합체, PCTFE, CTFE/TFE 공중합체, Et/CTFE 공중합체, PVdF, TFE/VdF 공중합체, VdF/HFP 공중합체 및, PVF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융 가공성 불소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성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4) 시뮬레이션
본 발명의 밀봉 부재는,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 가압되고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 비율이 내측보다도 외측 쪽이 큰 부분을 갖고 있음으로써, 밀봉 부재가 사용된 상태에서 장시간(예를 들어, 20만 시간) 경과한 후에도, 밀봉 부재의 반발력이 남기 쉬워, 밀봉 효과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밀봉 부재의 예로서, 상술한 도 4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 및 도 5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X)를 예로 들어, 형상의 우위성을 확인하는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도 4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는, 외측으로 향할수록 관통 방향의 폭이 증대되는 형상이며, 상면(13)측도 하면(14)측도 모두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 각도 α로 경사져 있는 예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X)는, 외측으로 향할수록 관통 방향의 폭이 증대되는 형상이며, 상면(13x)에 대해서는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 각도 α로 경사져 있고, 하면(14x)에 대해서는 수평면 상으로 펼쳐져 있는 예이다.
또한, 시뮬레이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 부재가 아닌 비교 대상으로서, 도 11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Y)와 도 12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Z)를 사용하였다. 도 11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Y)는, 상면(13y)은 외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고 하면(14y)은 외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여 외측을 향할수록 관통 방향의 폭이 축소되는 형상이며, 상면(13y) 및 하면(14y) 모두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 각도 β로 경사져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밀봉 부재(10Z)는, 하면(14z)에 대해서는 수평면 상으로 펼쳐져 있고, 상면(13z)은 외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함으로써 외측으로 향할수록 관통 방향의 폭이 축소되는 형상이며, 상면(13z)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 각도 β로 경사져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밀봉 부재(10, 10X, 10Y, 10Z)는, 모두 환상이며, 내측의 관통 부분이 원통 형상이며 내경 A가 6㎜로 공통되고, 외주면도 원통 형상이며 외경 B가 18㎜로 공통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들 밀봉 부재(10, 10X, 10Y, 10Z)는, 수평 방향의 폭의 중심 위치(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주와 외주의 중간 위치)에서의 관통 방향의 폭 C가 모두 5㎜가 되도록 하여 공통화시켰다.
또한, 시뮬레이션은, 6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면을 갖는 부재에 의해 관통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의 양쪽으로부터 강체에 의해 밀봉 부재가 가압되고,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ANSYS V14.5를 사용해서 행했다. 또한, 가압은, 밀봉 부재의 수평 방향의 폭의 중심 위치(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주와 외주의 중간 위치)에서의 관통 방향의 폭 C가 3㎜가 될 때까지 행하고, 이 3㎜가 유지되는 것으로 하였다.
여기서,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밀봉 부재(10, 10X, 10Y, 10Z)의 소재는, 모두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로 하고, 구체적으로는, 네오프론(등록 상표) PFA AP-230의 물성값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PFA AP-230의 재질로서의 물성값으로서는, ASTM D 3307 준거에 의한 MFR이 2.0g/10분이고, ASTM D 4591 준거에 의한 융점이 306℃이고, ASTM D 3307 준거에 의한 비중이 2.14이며, ASTM D 3307 준거에 의한 인장 강도가 34.0㎫이고, ASTM D 3307 준거에 의한 신장이 320%이다. 인장 탄성률은 430㎫이다.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60℃에서의 물성값은, ASTM D 3307의 측정 분위기 온도만을 60℃로 변경하여 측정한 값이고, 인장 강도가 23.5㎫, 신장이 330%, 인장 탄성률이 186.1㎫, 항복 응력이 3.42㎫인 것으로 하였다. 포와송비는 0.46인 것으로 하였다.
여기서, 사용한 소재의 경시 변화 조건은, 사용한 소재인 PFA AP-230의 크리프 특성을 사용하여 정하였다. 또한, 크리프 특성은, 다음 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정 시간 경화형 크리프 모델로 표현한다고 가정하였다. AP230의 11.3㎜φ×10L의 테스트 피스를 압축 성형한 블록으로부터 절삭에 의해 제작하고, 60℃에서 6.9㎫, 14㎫, 20㎫, 30㎫, 40㎫의 하중에 있어서의 크리프 특성을 실측하였다. 그 실측값을 사용하여, 하기 수 1에 실측 데이터를 피팅함으로써 C1, C2, C3, C4를 구하였다.
Figure 112016087204563-pct00001
또한, 밀봉 부재와, 관통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에 사용되는 강체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0.1로 하였다.
또한, 사용한 소재에 대하여 인장 시험을 행함으로써, 도 13에 도시하는 공칭 응력과 공칭 변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를 얻었다. 또한, 도 13의 선도에 기초하여 계산을 행함으로써 도 14에 도시하는 진응력과 진변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를 얻었다. 그리고, 이들 선도로부터, 경년 거동 해석의 시뮬레이션 조건을 얻었다.
또한, 시뮬레이션에서는, 밀봉 부재(10, 10X, 10Y, 10Z)의 각 외주의 외측에 도 1에 도시하는 강체로서 가정되는 구속 부재(20)를 배치하여 관통 방향으로부터 가압된 경우에도 외주가 외측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 조건을 정한 예와, 이러한 구속 부재(20)를 사용하는 일 없이 외주에 있어서의 펼쳐짐을 자유롭게 한 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도 15에, 경사 각도 α나 β를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의 20만시간 후의 반발력의 크기에 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밀봉 부재(10, 10X, 10Y, 10Z)에 대해서도, 구속 부재(20)를 사용한 경우 쪽이 20만 시간 후에도 보다 많은 반발력이 남아있고, 밀봉 효과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외측으로 향할수록 관통 방향의 두께가 축소되는 밀봉 부재(10Y, 10Z)에 대해서는 경사 각도 β가 증대되었다고 하더라도 20만 시간 후에 남는 반발력은 양호해지지 않는다. 상면측만이 경사져 있는 밀봉 부재(10X)에 대해서는 경사 각도 α가 증대됨에 따라서 반발력이 조금 양호해지고, 경사 각도가 15도 이상 22도 이하의 범위에서 반발력이 극대가 된다. 외측으로 향할수록 관통 방향의 두께가 증대되는 형상인 밀봉 부재(10)에 대해서는, 경사 각도 α가 증대될수록 20만 시간 후에 남는 반발력도 양호해짐을 확인할 수 있고, 밀봉 부재(10X)와 비교하여 효과가 현저하였다. 구속 부재(20)가 있는 경우든 없는 경우든 α가 커짐에 따라 반발력은 양호해진다.
이상으로, 밀봉 부재로서는, 밀봉 부재(10)와 같이, 외측으로 향할수록 관통 방향의 두께가 증가하고 있으며, 상면(13) 및 하면(14)의 양쪽이 경사져 있는 형상의 것을, 구속 부재(20)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사용이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밀봉 부재의 사용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른 반발력의 변화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는, 평판 형상인 경사가 없는 것(「경사 없음」의 예)도 비교를 위해 사용하였다.
이 도 16의 결과에 의하면, 어느 밀봉 부재(10, 10X, 10Y, 10Z)에 대해서도, 역시, 구속 부재(20)를 사용한 경우 쪽이 시간 경과에 수반되는 반발력의 저하가 완만하고, 구속 부재(20)가 존재하고 있는 쪽이 밀봉 효과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의 소재로서, 상술한 소재의 물성 중, 인장 시험 시의 응력 및 크리프의 반발력을 배로 한 것에 대해서도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여기서, 시뮬레이션은, 실측한 것의 배의 하중을 가했을 경우의 크리프양이 동일해진 것으로서 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어느 변형량에 대하여 실측한 것의 배의 응력이 발생하는 것으로서 시뮬레이션용 데이터를 제작하였다.
도 17에, 밀봉 부재에 사용되는 소재의 인장 시험 시의 응력 및 크리프의 반발력이 1배인 것과 2배인 것에 대해서, 반발력의 경시 변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이 도 17의 결과에 의하면, 당초는 반발력이 2배인 모델 쪽이 바람직하지만, 1시간 정도에 반발력이 1배인 것과 2배인 것의 차가 없어지고, 그 후에는 오히려 1배인 것 쪽이 반발력이 크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밀봉 부재의 소재의 물성값에 있어서, 반발력에 의존성이 높은 물성값으로서 인장 탄성률이 있다. 실온에서의 인장 탄성률은, 반발력이 2배인 모델은 0.86㎬이므로 0.86㎬의 인장 탄성률을 갖는 것은 반발력이 너무 커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소재의 인장 탄성률은, 0.8㎬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0.7㎬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부재와 접촉되는 가압하는 부분과의 마찰 계수를 바꾸었을 경우의 20만 시간 후의 반발력을, 밀봉 부재(10)(경사 각도 α=10도), 10X(경사 각도 α=20도), 10Y(경사 각도 β=10도), 10Z(경사 각도 β=20도)에 대하여 각각 구하는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여기서, 각 밀봉 부재의 조건은, 가압하는 부재와의 마찰 계수에 관한 조건 이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였다. 이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 18에 도시한다. 이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와 접촉되는 가압하는 부재와의 마찰 계수는, 밀봉 부재로부터의 반발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 결과에 의하면, 상기 마찰 계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얻어지는 반발력이 커지는 것이 밝혀졌다. 이 효과는, 밀봉 부재의 형상에 구애되지 않고, 밀봉 부재(10, 10X, 10Y, 10Z) 중 어느 것도 동일했다. 또한, 마찰 계수의 증가에 의한 반발력의 증대 비율은, 경과 시간이 짧고 긴 것에 관계없이, 거의 동일한 비율이었다. 예를 들어, 마찰 계수를 1.0로부터 2.0으로 변화시키면, 반발력이 약25% 증대되었다.
또한, 상기 밀봉 부재 중 상면 및 하면에 경사가 없는 원통 형상의 것을, 관통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부터 가압해서 5㎜의 두께를 3㎜로 하여 유지했을 경우이며, 내측 및 외측의 구속이 없다는 조건에 있어서, 직경 방향의 위치에 따른 반발력의 경시 변화를 구하는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당해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가압 직후의 상태에 대하여 도 19에, 가압한 채로 1만 시간 경과한 상태에 대하여 도 20에, 가압한 채로 10만 시간 경과한 상태에 대하여 도 21에, 가압한 채로 20만 시간 경과한 상태에 대하여 도 22에 각각 도시한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2에 있어서는, 밀봉 부재의 측단면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고, 도면의 좌측이 직경 방향 내측이며, 도면의 우측이 직경 방향 외측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2에 있어서는, 상이한 반발력의 영역을 상이한 해칭에 의해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가압 직후의 상태에서는 반발력이 최대인 부분의 면압 값이 37.7㎫이고, 가압한 채로 1만 시간 경과한 상태에서는 반발력이 최대인 부분의 면압 값이 16.4㎫이고, 가압한 채로 10만 시간 경과한 상태에서는 반발력이 최대인 부분의 면압 값이 15.0㎫이며, 가압한 채로 20만 시간 경과한 상태에서는 반발력이 최대인 부분의 면압 값이 14.7㎫였다.
이것에 의하면,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이나 하면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밀봉 부재(일점쇄선으로 나타냄)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가압하여 변형시킨 상태(이점쇄선으로 나타냄)를 유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20만 시간 경과했을 때의 밀봉 부재의 외측 반발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외측으로 향할수록 관통 방향의 두께가 증대되는 형상이 아니며, 경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형상에서는,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 외측으로 밀려 펼쳐짐으로써 직경 방향 외측 주변 부분의 외경이 보다 길어지도록 변형되기(장외경화되기) 때문에 관통 방향에 있어서의 반발력이 약해지기 쉬운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반해, 밀봉 부재를 직경 방향 외측이 구속되도록 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가압 시에 있어서의 장외경화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발력의 저감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5) 사용예
가스킷(51)이 전지의 전극 주변의 밀봉 부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가압되기 전의 상태의 예를 도 23에, 가압된 사용 상태의 예를 도 24에 각각 도시한다.
이 전지의 상부 덮개(63) 및 상부 덮개(63)의 일부를 덮는 절연 커버(6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부분에는, 코오킹함에 따라 전극 등으로서 사용되는 코오킹 핀(6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코오킹 핀(61)은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핀 상부(61a)와 핀 하부(61b)를 갖고 있다.
코오킹 핀(61)의 핀 상부(61a)는, 코오킹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 부분의 내경보다도 작은 외경의 원기둥 형상이, 상부 덮개(63)보다도 하방의 높이로부터 상기 관통 부분의 내측을 통하여 상부 덮개(63)보다도 상방의 높이까지 상하 방향에 걸쳐서 연장된 형상을 갖고 있다.
코오킹 핀(61)의 핀 하부(61b)는, 코오킹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 부분의 내경보다도 큰 외경의 원기둥 형상이, 상부 덮개(63)의 하방에 있어서, 핀 상부(61a)의 하단부로부터 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코오킹 핀(61)의 핀 하부(61b)는, 강성이 높은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구속 부재(64)에 의해 직경 방향 주위로부터 덮여 있다. 또한, 이 구속 부재(64)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부재에 의해 예를 들어 상부 덮개(6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고정됨으로써, 위치 결정되어 있다.
가스킷(51)은, 상부 덮개(63)와 절연 커버(62)와 구속 부재(64)와, 코오킹 핀(61)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방 원통 부분(51a)과, 원판 부분(51b)과, 하방 원통 부분(51c)을 갖고 있다.
상방 원통 부분(51a)은, 상부 덮개(63)와 절연 커버(62)의 내측 관통 부분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과, 코오킹 핀(61)의 핀 상부(61a)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고 있으며, 상부 덮개(63)보다도 하방의 높이로부터 상기 관통 부분의 내측을 통하여 상부 덮개(63)보다도 상방의 높이까지 상하 방향에 걸쳐서 연장된 형상을 갖고 있다. 상방 원통 부분(51a)은, 상부 덮개(63) 및 절연 커버(62)와, 코오킹 핀(61)의 핀 상부(61a)와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양자를 절연하고 있다.
하방 원통 부분(51c)은, 코오킹 핀(61)의 핀 하부(61b)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과, 구속 부재(64)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갖고 있으며, 코오킹 핀(61)의 핀 하부(61b)의 외주와 구속 부재(64)의 내주가 대면하고 있는 높이 위치로부터 상부 덮개(63)의 하면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고 있다. 하방 원통 부분(51c)은, 코오킹 핀(61)의 핀 하부(61b)와, 구속 부재(64)의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양자를 절연하고 있다.
원판 부분(51b)은, 상방 원통 부분(51a)의 하단부 외주 부분과, 하방 원통 부분(51c) 상단부 내주 부분을, 직경 방향에 있어서 건너지르도록 펼쳐진 부재이며, 예를 들어 상술한 밀봉 부재(10)와 같은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원판 부분(51b)의 직경 방향 외측단부는, 상부 덮개(63)의 하면과 면 접촉하는 외측 상부 평면 부분과, 코오킹 핀(61)의 핀 하부(61b)의 상면 부분과 면 접촉하는 외측 하부 평면 부분을 갖고 있다. 원판 부분(51b) 중, 외측 상부 평면 부분 및 외측 하부 평면 부분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의 부분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면 및 하면이 경사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당해 사용예에서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상방 원통 부분(51a)의 하단부 외주에 도달할 때까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하 방향의 두께가 연속적으로 얇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상방 원통 부분(51a)의 하단부 외주에 도달하기 직전 부분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어 있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원판 부분(51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 상부 평면 부분 및 외측 하부 평면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당해 부분보다도 내측의 부분과의 직경 방향의 길이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오킹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1:9 내지 5: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3에 도시하는 코오킹되기 전의 상태의 코오킹 핀(61)을, 가스킷(51)이 구속 부재(64)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코오킹 핀(61)의 핀 상부(61a)의 상단부를 하방을 향하여 눌러 찌그러뜨림으로써, 코오킹 핀(61)의 핀 상부(61a)가 눌려 찌그러지고, 도 24에 도시하는 변형 핀 상부(61a')와 같이 가스킷(51)의 상방 원통 부분(51a)의 상단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변형한다. 또한, 이때, 가스킷(51)의 원판 부분(51b)은, 상부 덮개(63)의 하면 부분과 코오킹 핀(61)의 핀 하부(61b)의 상면 부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가압되어, 상하 방향의 두께가 작아지도록 변형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스킷(51)은, 직경 방향에 있어서 구속되면서 상하 방향으로부터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어, 사용 상태가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가스킷(51)의 상방 원통 부분(51a)에 대해서도,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변형되어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오킹된 후의 상태에 있어서, 가스킷(51)의 원판 부분(51b)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상부 평면 부분 및 외측 하부 평면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과 당해 부분보다도 내측 부분과의 직경 방향의 길이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7:3 내지 9.5: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 부재는, 장시간 사용한 경우에도 양호한 밀봉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예를 들어 가스킷 등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10, 10X, 110, 210, 310, 410, 510, 610, 710: 밀봉 부재
11: 원통 부분
111: 사각형 부분
211: 도려내진 부분
12, 112, 212: 외주
13, 13x, 13y, 13z: 상면
313, 413, 513, 613: 상방 부분
713a: 상방 경사 부분
713b: 상방 평면 부분
14, 14x, 14y, 14z: 하면
714a: 하방 경사 부분
714b: 하방 평면 부분
314, 414, 514, 614: 하방 부분
20: 구속 부재
51: 가스킷
51a: 상방 원통 부분
51b: 원판 부분
51c: 하방 원통 부분
61: 코오킹 핀
61a: 핀 상부
61a': 변형 핀 상부
61b: 핀 하부
62: 절연 커버
63: 상부 덮개
64: 구속 부재

Claims (6)

  1. 환상의 밀봉 부재이며,
    내측의 관통된 부분에 있어서의 관통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으로부터 가압된 상태에서 사용되고,
    상기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압되고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압축 비율이 내측보다도 외측쪽이 커지도록, 상기 관통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있어서는 외측일수록 상기 일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관통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는 외측일수록 상기 타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으며,
    소재가 인장 탄성률이 0.7㎬ 이하의 불소 수지인,
    밀봉 부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퍼플루오로 중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밀봉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PFA의 함유량이 50wt% 이상 100wt% 이하인,
    밀봉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전지용 가스킷에 사용되는,
    밀봉 부재.
KR1020167024727A 2014-02-28 2015-02-27 밀봉 부재 KR101856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9478 2014-02-28
JP2014039478 2014-02-28
PCT/JP2015/055888 WO2015129866A1 (ja) 2014-02-28 2015-02-27 封止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202A KR20160119202A (ko) 2016-10-12
KR101856892B1 true KR101856892B1 (ko) 2018-05-10

Family

ID=5400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727A KR101856892B1 (ko) 2014-02-28 2015-02-27 밀봉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11657B2 (ko)
KR (1) KR101856892B1 (ko)
CN (1) CN106068413B (ko)
WO (1) WO2015129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6241B (zh) 2014-11-10 2019-04-11 瑞士商億諾斯技術公司 襯墊、包含該襯墊之裝置及相關方法
TWI702138B (zh) * 2016-01-19 2020-08-21 日商大金工業股份有限公司 樹脂配管之捲取構造體、捲取構造體之製造方法、樹脂配管之敷設方法、及樹脂配管
WO2020204163A1 (ja) * 2019-04-05 2020-10-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用被圧縮部材
JP7248915B2 (ja) * 2020-09-11 2023-03-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封止部材及び円筒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
EP4290104A1 (en) * 2021-02-05 2023-12-13 Daikin Industries, Ltd. Sealing member and batt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2051A (ja) * 2008-03-06 2009-09-17 Fdk Energy Co Ltd ボビン形リチウム電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8574A (ja) * 1988-11-18 1990-05-28 Hitachi Ltd ガスケット
JPH07228744A (ja) * 1994-02-19 1995-08-29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フッ素系樹脂の摺動部材組成物
JP3916728B2 (ja) * 1997-06-26 2007-05-23 淀川ヒューテ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用パッキンの製造法
JPH11201288A (ja) * 1998-01-14 1999-07-27 Purovakku:Kk ガスケット
JP2002056827A (ja) * 2000-08-09 2002-02-22 Seiko Instruments Inc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2509384Y (zh) * 2001-10-24 2002-09-04 荣泰橡胶工业有限公司 管路或缆线的定位座的密封装置
JP6005363B2 (ja) * 2012-01-27 2016-10-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2051A (ja) * 2008-03-06 2009-09-17 Fdk Energy Co Ltd ボビン形リチウム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11657B2 (ja) 2016-10-19
CN106068413B (zh) 2018-08-07
JP2015178899A (ja) 2015-10-08
WO2015129866A1 (ja) 2015-09-03
KR20160119202A (ko) 2016-10-12
CN106068413A (zh)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892B1 (ko) 밀봉 부재
KR101644255B1 (ko) 밀봉 재료
EP2412735B1 (en) Fluororesin and riser pipe
RU2011126894A (ru) Ткань с покрытием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WO2007094228A1 (ja) 複合シール材
US10294339B2 (en) Method for producing modified molded article of fluororesin
EP2824144A3 (en) Fluorine rubber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crack-resistant sealing material and crack-resistant sealing material obtained from the composition
JP2007536397A5 (ko)
CN105358614A (zh) 氟弹性体组合物
CN107112474B (zh) 用于铅酸电池的抗振阀组件
US20220069396A1 (en) Sealing structure for battery
EP3208508B1 (en) Flexible pipe
US10359137B1 (en) Pipe seal and pipe joint
JP2022158284A (ja) 扁平形電池
US20220069394A1 (en) Sealing structure for battery
JP2012154388A (ja) シール材
RU2023127647A (ru) Композиция фторсмолы и формованный предмет
KR20230065316A (ko) 밀봉 부재 및 원통형 리튬 이온 전지
JP2016079200A (ja)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該フッ素ゴム組成物を用いたシール材を具備するシール構造
TW202124484A (zh) 含氟共聚物組成物及交聯橡膠物品
KR20230141833A (ko) 밀봉 부재 및 전지
KR20230079129A (ko) 축전체
KR20210011030A (ko) 복합 시일재
Drobny Introduction to fluoroplastics: Introduction to fluoroplastics
Arcella et al. Fluoromaterials for membrane disti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