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981B1 - 자동차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주차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981B1
KR101855981B1 KR1020150148181A KR20150148181A KR101855981B1 KR 101855981 B1 KR101855981 B1 KR 101855981B1 KR 1020150148181 A KR1020150148181 A KR 1020150148181A KR 20150148181 A KR20150148181 A KR 20150148181A KR 101855981 B1 KR101855981 B1 KR 10185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lift
pallet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735A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102015014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98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bstract

본 실시예는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승강로 및 상기 승강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보관실을 규정하는 자동차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며, 자동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회전장치; 상기 턴테이블에 놓여지며, 상기 자동차를 지지하는 팔레트; 상기 팔레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리프트 후크가 구비되는 리프트 장치; 상기 팔레트의 하측을 지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카트; 상기 리프트 장치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리프트 구동장치; 및 상기 카트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카트 구동장치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주차장치 {A device for parking car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주차장치는 자동차의 입출고 및 보관을 위한 장치로서 다수의 자동차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차 주차장치는 자동차가 보관될 수 있는 층이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입고 또는 출고는 자동화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주차장치에 의하면, 상기 자동화 장치의 구조 및 입고 또는 출고 과정이 복잡하여 신속한 입출고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의 문헌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제 1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공개번호(공개일자) : JP 특개평6-57998(1994년 3월 1일), 발명의 명칭 : 승강식 자동차 주차기
2. 제 2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공개번호(공개일자) : JP 특개평7-18901(1995년 1월 20일), 발명의 명칭 : 입체 주차장치용의 차량승강 유니트와, 그것을 사용하는 입체 주차장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입출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승강로 및 상기 승강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보관실을 규정하는 자동차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며, 자동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회전장치; 상기 턴테이블에 놓여지며, 상기 자동차를 지지하는 팔레트; 상기 팔레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리프트 후크가 구비되는 리프트 장치; 상기 팔레트의 하측을 지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카트; 상기 리프트 장치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리프트 장치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리프트 구동장치; 및 상기 카트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카트 구동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에는, 상기 리프트 후크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리프트 프레임; 상기 리프트 후크 및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 결합되는 리프트 플레이트; 및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롤링되며,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 및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카운터 웨이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 단부는 상기 와이어 결합부가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리프트 장치가 설정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리프트 장치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카트는, 상기 리프트 후크와 상기 리프트 프레임 사이 공간을 통하여 측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트 구동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카트 구동모터; 상기 카트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로켓; 및 상기 다수의 스프로켓 중, 일 스프로켓에 결합되는 카트 구동축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카트에는, 상기 카트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의 적어도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종동롤러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 롤러 및 상기 다수의 종동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트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에는, 상기 턴테이블의 상측에 돌출되어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는 팔레트지지부; 및 상기 팔레트의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전측 및 후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팔레트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로를 중심으로 양측에 보관실이 구비되고, 팔레트는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자동차의 안정적인 입출고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에는, 리프트 프레임 및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상측에 이격되는 리프트 후크가 포함되고,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는 카트는 상기 리프트 프레임과 상기 리프트 후크의 사이 공간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카트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상기 카트 또는 상기 카트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 주차장치의 하부에는 회전 장치가 구비되어, 자동차가 입고되는 과정에서 180도 회전하여 보관될 수 있으므로, 차량 출고시 탑승자가 차량의 운전석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베이스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 팔레트가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가 입고 출고되는 과정에서, 자동차를 지지한 팔레트가 카트의 상측에 이격되어 위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 및 카트 레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가 입고 또는 출고되는 과정에서, 카트가 팔레트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리프트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31,33)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31,33)에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골격을 가지도록 다수의 부재가 결합하여 구성되는 제 1 프레임(31) 및 상기 제 1 프레임(31)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리프트 장치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프레임(33)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프레임(31)에는, 상기 베이스(20)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31a) 및 상기 상부 프레임(31a)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프레임(31b)이 포함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31a) 및 상부 프레임(31b)은 전후 및 좌우에 이격되어 4개의 프레임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31)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31b)의 상측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프레임(31c)이 포함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31c)은 상기 4개의 상부 프레임(31b)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4각형의 형상으로 4개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33)에는, 전방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하부 프레임(31a)의 사이에 설치되는 2개의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프레임은, 전방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상부 프레임(31b)의 사이 공간까지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프레임에는,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전방에서 바라 보았을 때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프레임(33a) 및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프레임(33b)이 포함된다. 그리고, 이러한 좌측 프레임(33a) 및 우측 프레임(33b)은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후방에도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프레임(33a) 및 우측 프레임(33b)은 리프트 장치에 구비되는 리프트 레일(110)을 보호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리프트 레일(110)은, 상기 좌측 프레임(33a) 및 우측 프레임(33b)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프레임(31,33)에 의하여,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내부에는 3개의 공간부(13,15,16)가 규정된다. 상세히, 상기 상기 3개의 공간부(13,15,16)에는, 좌측 프레임(33a)과 우측 프레임(33b)의 사이에 형성되어 팔레트(5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승강로(13) 및 상기 승강로(13)의 양측에 형성되는 보관실(15,16)이 포함된다.
상기 보관실(15,16)에는, 상기 승강로(13)의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보관실(15) 및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보관실(16)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13)의 하부에는, 자동차(5)가 입고 또는 출고될 수 있는 출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는, 상기 3개의 공간부가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는 자동차의 보관이 가능한 4개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상부에는, 리프트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리프트 구동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100)에는, 구동 모터(101), 감속기(101a), 구동축(101b) 및 다수의 롤러(102,103,104), 와이어(108) 및 카운터 웨이트(180)가 포함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베이스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장치에 팔레트가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10)의 베이스(20)에는, 회전장치(150)가 설치되는 개구부(25)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5)는 상기 출입구(1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5)에는, 자동차(5)를 지지하기 위한 팔레트(50)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50)는 상기 회전장치(150)에 의하여 방향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동차(5)가 상기 출입구(11)를 통하여 입고되어 상기 팔레트(50)에 안착되면, 상기 회전장치(150)가 구동하여 상기 자동차(5)의 위치를 180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5)의 앞부분이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150)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턴테이블(151) 및 상기 턴테이블(15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팔레트(50)를 지지하는 팔레트지지부(152)가 포함된다. 상기 팔레트지지부(152)는 상기 팔레트(50)의 하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팔레트지지부(152)는 상기 턴테이블(15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지지부(152)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150)에는, 상기 팔레트(5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155)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155)는 상기 턴테이블(151)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155)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155)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팔레트(50)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는 경로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장치(150)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155)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부(15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155)는 상기 롤러지지부(153)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50)의 전방 하면 및 후방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155)와 접촉하는 안착 플레이트(55)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 플레이트(55)의 설치 위치는, 상기 가이드 롤러(155)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50)가 상기 턴테이브(151)에 안착되면 상기 안착 플레이트(55)는 상기 가이드 롤러(155)에 접하며, 상기 팔레트(5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155)는 회전하여 상기 팔레트(0)의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가 입고 출고되는 과정에서, 자동차를 지지한 팔레트가 카트의 상측에 이격되어 위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 및 카트 레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가 입고 또는 출고되는 과정에서, 카트가 팔레트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팔레트(50)의 승강 또는 하강을 가이드 하는 리프트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에는, 상기 제 2 프레임(33)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으로 연장되는 리프트 레일(110)이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레일(110)은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레일(110)에는, 레일 본체(110a)로부터 돌출되는 레일 가이드부(110b)가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에는, 상기 리프트 레일(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트 플레이트(11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113)는 대략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리프트 레일(110)을 따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113)에는, 상기 레일 가이드부(110b)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함몰부(113a)가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에는,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113)에 결합되며, 상기 팔레트(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프트 후크(117)가 더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후크(117)에는, 상기 팔레트(50)에 결합되는 후크 돌출부(117a)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후크 돌출부(117a)는, 상기 리프트 후크(117)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에는,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113)에 결합되며 전후방으로 연장되는 리프트 프레임(115)이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리프트 프레임(115)은 상기 리프트 후크(117)의 하측에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프레임(115)은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전방에 구비되는 리프트 레일(110)의 리프트 플레이트(113)로부터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후방에 구비되는 리프트 레일(110)의 리프트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에는,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113)의 상측에 결합되며 와이어(108)가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부(11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108)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와이어 결합부(114),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113), 상기 리프트 후크(117) 및 상기 리프트 프레임(115)은 함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프레임(33)의 일면은 절개되며, 상기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리프트 장치의 일부분, 일례로 상기 리프트 후크(117) 및 상기 리프트 프레임(115)이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각 층별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카트(6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카트(60)는 각 층별로 2개가 설치되며, 상기 보관실(15,16)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60)는, 상기 팔레트(50)의 저면을 지지하여 자동차(5)를 좌우 방향, 즉 상기 승강로(13)로부터 상기 양측의 보관실(15,16) 또는 상기 양측의 보관실(15,16)로부터 상기 승강로(1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카트(6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트 레일(68a,68b)가 포함된다. 상기 카트(60)에 구비되는 카트롤러(65)는 상기 카트 레일(68a,68b)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롤링 될 수 있다.
상기 카트 레일(68a,68b)은 상기 제 1 프레임(31) 및 상기 제 2 프레임(33)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 레일(68a,68b)은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트 레일(68a,68b)에는, 상기 승강로(13)에 대응하는 공간부, 즉 상기 2개의 제 2 프레임(33)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카트레일(68a) 및 상기 제 1 카트레일(68a)의 양측에 구비되는 2개의 제 2 카트레일(68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카트레일(68a)과 상기 제 2 카트레일(68b)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카트레일(68a,68b)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상기 리프트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 즉 상기 리프트 프레임(115) 및 상기 리프트 후크(117)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카트롤러(65)는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카트 레일(68a,68b)에 지지되므로, 상기 다수 개의 카트롤러(65) 중 일 카트롤러(65)가 상기 제 1,2 카트레일(68a,68b)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지나더라도 상기 카트(60)는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카트(60)의 구동 모터(6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전원케이블(66)은, 상기 카트(60)로부터 일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우측 보관실(16)에 구비되는 카트(60)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66)은 상기 카트(60)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좌측 보관실(15)에 구비되는 카트(60)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66)은 상기 카트(6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원케이블(66)과, 상기 리프트 장치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리프트 장치가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카트(60)는 상기 양측의 보관실(15,16)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자동차(5)의 입고 또는 출고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입고 과정을 설명한다. 탑승자가 자동차(5)를 출입구(11)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20)의 개구부(25) 위에 놓여진 팔레트(50)에 정차시킨다. 상기 턴테이블(151)이 회전하여 자동차(5)의 앞 부분이 자동차 주차장치(10)의 전방으로 바라보도록, 위치 변경된다. 이 때, 상기 팔레트(50)의 하측에는 리프트 후크(117)가 결합된 상태에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가 구동에 따라, 와이어(108)는 상방으로 당겨지며 이에 따라 상기 팔레트(50)는 상기 리프트 후크(117)와 함께, 상기 승강로(13) 내에서 상방으로 설정높이 만큼 이동된다. 상기 설정높이는, 자동차(5)를 보관하기 위한 층에 해당하는 높이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대응된다.
상세히, 상기 좌측 보관실(15) 또는 우측 보관실(16)에 구비되는 카트(60)가, 상기 리프트 후크(117)와 상기 리프트 프레임(115)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 후크(117) 및 팔레트(50)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좌측 보관실(15) 또는 우측 보관실(16)에 구비되는 카트(60)는 상기 승강로(13)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50)의 하측에 정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트(60)는 상기 리프트 후크(117)와 상기 리프트 프레임(115)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카트(60)가 이동된 상태의 모습은 도 7에 도시된다.
상기 카트(60)가 상기 팔레트(50)의 하측에 정렬되면, 상기 리프트 장치가 구동하여 와이어(108)는 하방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 후크(117) 및 팔레트(50)는 소정거리 만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50)는, 상기 카트(60)의 상측에 지지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50)가 상기 카트(60)에 지지된 후, 상기 리프트 장치는 추가 구동하여 상기 와이어(108)가 하방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 후크(117)는 상기 카트(60)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 참조).
상기 카트(60)는 상기 팔레트(50) 및 자동차(5)를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보관실(15) 또는 우측 보관실(16)로 이동하여, 상기 자동차(5)를 보관할 수 있다.
자동차(5)의 출고시 동작은 위 입고시 동작과 반대로 형성된다.
출고대상의 자동차(5) 및 팔레트(50)를 지지하는 카트(60)는 승강로(13)로 이동한다. 상기 리프트 장치가 구동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117) 및 리프트 프레임(115)은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리프트 후크(117)의 후크 돌출부(117a)는 상기 팔레트(5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장치는 추가 구동하며, 상기 리프트 후크(117)와 상기 리프트 프레임(115)의 사이에 상기 카트(6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108)는 상방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도 7 참조).
상기 카트(60)가 상기 리프트 후크(117)와 상기 리프트 프레임(115)의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카트(60)는 상기 승강로(13)로부터 상기 좌측 보관실(15) 또는 우측 보관실(16)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장치가 구동하여 상기 와이어(108)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 후크(117) 및 리프트 프레임(115)은 상기 출입구(11)를 향하여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50)가 상기 베이스(20)의 개구부(25) 상측에 놓여지면, 탑승자는 상기 자동차(5)로 이동하여, 상기 자동차(5)를 출고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동차(5)는, 상기 자동차(5)의 앞 부분이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에 있으므로, 탑승자의 탑승 및 출고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리프트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로 프레임(31c)에 설치되는 리프트 구동장치(1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100)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01)와, 상기 구동모터(101)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하는 감속기(101a) 및 상기 구동모터(101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101b)이 포함된다. 상기 구동축(101b)은 상기 감속기(101a)에 연결되어 상기 감속기(101a)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100)에는, 상기 구동축(101b)와 연동하는 다수의 롤러(102,103,104)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롤러(102,103,104)에는, 상기 구동축(101b)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 롤러(102)과, 상기 제 1 롤러(102)의 일측에 이격되어 회전하는 제 2 롤러(103) 및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제 3 롤러(104)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롤러(102,103,104)에는, 와이어(108)가 권취된다. 상기 와이어(108)에는, 상기 승강로(13)의 전방에 제공되는 리프트 장치(이하, 제 1 리프트장치)의 와이어 결합부(114)에 연결되는 제 1 와이어 및 상기 승강로(13)의 후방에 제공되는 리프트 장치(이하, 제 2 리프트 장치)의 와이어 결합부(114)에 연결되는 제 2 와이어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와이어 및 제 2 와이어는 상기 제 1 롤러(102)에 각각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102)는 2개의 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는 2열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와이어는 상기 제 1 롤러(102)에 권취되어 상기 승강로(13)의 전방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 1 리프트 장치의 와이어 결합부(114) 및 카운터 웨이트(18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와이어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1 리프트 장치의 와이어 결합부(114)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소정의 중량을 가지는 카운터 웨이트(18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180)는 리프트 장치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중력방향으로 힘이 작용되어, 상기 리프트 장치가 균형을 잡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와이어는 상기 제 2 롤러(10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3 롤러(10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103)는 상기 제 1 롤러(102)에 인접하여, 상기 제 1 롤러(102)의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롤러(102)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와이어는 상기 제 2 롤러(103)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으로 연장된 제 2 와이어는 상기 제 3 롤러(104)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방향 변경하여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방으로 연장된 제 2 와이어는 상기 제 2 리프트 장치의 와이어 결합부(11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180)의 중량은 상기 제 1 롤러(102) 및 와이어(108)등을 통하여 상기 제 2 리프트 장치에도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2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지지된 팔레트(5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카운터 웨이트(18)는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팔레트(5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카운터 웨이트(18)는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에는, 상기 카트(60)를 이동하기 위한 카트 구동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카트 구동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카트 구동모터(61) 및 상기 카트 구동모터(61)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카트 스프로켓(62)이 포함된다. 상기 카트 스프로켓(62)에는, 상기 카트 구동모터(61)에 연결되는 제 1 스프로켓 및 상기 제 1 스프로켓으로부터 이격된 제 2 스프로켓이 포함된다.
상기 카트 구동장치에는, 상기 제 1,2 스프로켓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카트 체인(63) 및 상기 제 2 스프로켓에 결합되는 카트 구동축(6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카트 구동모터(61)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제 1 스프로켓이 회전하면, 회전력은 상기 카트 체인(63)에 의하여 제 2 스프로켓에 전달된다. 상기 카트 구동축(64)은 상기 제 2 스프로켓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카트(60)에는, 상기 카트(6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카트롤러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카트롤러에는, 상기 카트(60)의 전방부에 제공되어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전방에 제공되는 제 1,2 카트레일(68a,68b)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제 1 카트롤러 및 상기 카트(60)의 후방부에 제공되어 상기 자동차 주차장치(10)의 후방에 제공되는 제 1,2 카트레일(68a,68b)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제 2 카트롤러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제 1 카트롤러 및 상기 다수의 제 2 카트롤러는 각각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카트롤러 및 제 2 카트롤러는 각각 4개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트롤러 또는 제 2 카트롤러에는, 상기 카트 구동축(64)에 결합되는 구동롤러(65a) 및 상기 구동롤러(65a)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종동롤러(65b)가 포함된다. 상기 카트 구동축(64)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65a)가 회전하면 상기 다수의 종동롤러(65b)는 상기 제 1,2 카트레일(68a,68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카트레일(68a)과 상기 제 2 카트레일(68b)이 설정거리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더라도, 상기 카트(60)는 상기 다수의 제 1 카트롤러 및 다수의 제 2 카트롤러에 의하여 상기 제 1,2 카트레일(68a,68b)에 지지되므로, 어느 하나의 카트롤러가 상기 제 1,2 카트레일(68a,68b)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지나는 과정에서도 상기 카트(60)는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10 : 자동차 주차장치 11 : 출입부
13 : 승강로 15 : 좌측 보관실
16 : 우측 보관실 20 : 베이스
31 : 제 1 프레임 33 : 제 2 프레임
50 : 팔레트 60 : 카트
100 : 리프트 구동장치 110 : 리프트 레일
114 : 와이어 결합부 115 : 리프트 프레임
117 : 리프트 후크 150 : 회전장치

Claims (7)

  1. 외관을 형성하며, 승강로 및 상기 승강로의 양측에 형성되는 보관실을 규정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며, 자동차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회전장치;
    상기 턴테이블에 놓여지며, 상기 자동차를 지지하는 팔레트;
    상기 팔레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프트 레일; 상기 리프트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판 형상을 가지는 리프트 플레이트;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팔레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 돌출부가 구비되는 상면을 가지는 리프트 후크;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프트 후크의 하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리프트 프레임; 및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부가 포함되는 리프트 장치;
    상기 팔레트의 하측을 지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양측의 보관실 중 우측 보관실에 배치되는 제 1 카트 및 좌측 보관실에 배치되는 제 2 카트가 포함되는 복수의 카트;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카트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 카트 또는 상기 제 2 카트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카트 레일;
    상기 리프트 장치의 이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와이어 결합부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리프트 구동장치; 및
    상기 제 1 카트 및 상기 제 2 카트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제 1,2 카트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카트 구동모터 및 상기 복수의 카트 구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케이블이 구비되는 카트 구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전원케이블 중, 상기 제 1 카트에 연결되는 제 1 전원케이블은 상기 제 1 카트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카트에 연결되는 제 2 전원케이블은 상기 제 2 카트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의 입고시,
    상기 제 1 카트는 상기 우측 보관실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원케이블이 접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카트는 상기 좌측 보관실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전원케이블이 접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2 전원케이블과 상기 리프트 장치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팔레트에 상기 리프트 후크의 후크 돌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하여, 상기 팔레트 및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승강로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카트 구동모터가 구동하여, 상기 제 1 카트 또는 상기 제 2 카트는 상기 리프트 후크와 상기 리프트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을 통하여 상기 보관실로부터 상기 승강로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의 하측에 정렬되고 상기 제 1 전원케이블 또는 상기 제 2 전원케이블은 펼쳐지며,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하여, 상기 팔레트 및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팔레트가 상기 제 1 카트 또는 상기 제 2 카트의 상측에 지지될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팔레트가 상기 제 1 카트 또는 상기 제 2 카트의 상측에 지지된 후 상기 구동모터는 추가 구동하여, 상기 리프트 후크는 상기 제 1 카트 또는 상기 제 2 카트의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 1 카트 또는 상기 제 2 카트는 상기 팔레트 및 상기 자동차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로로부터 상기 보관실로 수평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구동장치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롤링되며,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 및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카운터 웨이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 단부는 상기 와이어 결합부가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구동장치에는,
    상기 카트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로켓; 및
    상기 다수의 스프로켓 중, 일 스프로켓에 결합되는 카트 구동축이 더 포함되는 자동차 주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 또는 상기 제 2 카트에는,
    상기 카트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 롤러; 및
    상기 구동 롤러의 적어도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종동롤러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 롤러 및 상기 다수의 종동롤러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트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에는,
    상기 턴테이블의 상측에 돌출되어 상기 팔레트를 지지하는 팔레트지지부; 및
    상기 팔레트의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기 턴테이블의 전측 및 후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다수 개의 가이드 롤러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팔레트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장치.

KR1020150148181A 2015-10-23 2015-10-23 자동차 주차장치 KR10185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181A KR101855981B1 (ko) 2015-10-23 2015-10-23 자동차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181A KR101855981B1 (ko) 2015-10-23 2015-10-23 자동차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735A KR20170047735A (ko) 2017-05-08
KR101855981B1 true KR101855981B1 (ko) 2018-05-09

Family

ID=6016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181A KR101855981B1 (ko) 2015-10-23 2015-10-23 자동차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468B1 (ko) 2021-04-05 2021-08-20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건축물의 승강식 차량 주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8936A (zh) * 2019-09-06 2019-12-03 湖南湖大艾盛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道路自动泊车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844A (ja) * 1998-07-11 2000-02-02 Lg Industrial Syst Co Ltd エレベ―タ式多層自動駐車システム
JP2001227189A (ja) * 2000-02-18 2001-08-24 Nissei Ltd 円形循環式駐車装置
JP2014122528A (ja) * 2012-12-19 2014-07-03 Fuji Hensokuki Co Ltd 機械式駐車塔の昇降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844A (ja) * 1998-07-11 2000-02-02 Lg Industrial Syst Co Ltd エレベ―タ式多層自動駐車システム
JP2001227189A (ja) * 2000-02-18 2001-08-24 Nissei Ltd 円形循環式駐車装置
JP2014122528A (ja) * 2012-12-19 2014-07-03 Fuji Hensokuki Co Ltd 機械式駐車塔の昇降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468B1 (ko) 2021-04-05 2021-08-20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건축물의 승강식 차량 주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735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354B2 (en) In-building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taking article out of the same
JP6201977B2 (ja) 自動倉庫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3129502A (ja)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方法
KR101855981B1 (ko) 자동차 주차장치
JPH10299280A (ja) 自動車・荷物等の立体格納装置
JP6319069B2 (ja) 走行設備
KR20160143046A (ko) 자동차 주차장치
JP2011111804A (ja) 充電機能付き駐車装置のパレット
KR101062489B1 (ko) 자전거 리프트 장치
KR100599825B1 (ko) 반송장치
JP2007217076A (ja) 搬送車
JP6391908B2 (ja) パレットと駐車空間
JP5751443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における昇降台昇降装置
JP4613889B2 (ja) 多段棚運搬台車および生産ラインシステム
KR101676718B1 (ko) 스토커
JP2024047293A (ja) 機械式駐車装置
JP6478055B2 (ja) 搬送設備
JP3426978B2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2572274B2 (ja) 垂直循環式駐車設備
JP3018371U (ja) 駐車装置のパレット移載機構
JP3192600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JP4369823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891586B2 (ja) 立体駐車場
JP3752910B2 (ja) 被格納物収納装置
JP2016223085A (ja) 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