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234B1 -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234B1
KR101853234B1 KR1020170146115A KR20170146115A KR101853234B1 KR 101853234 B1 KR101853234 B1 KR 101853234B1 KR 1020170146115 A KR1020170146115 A KR 1020170146115A KR 20170146115 A KR20170146115 A KR 20170146115A KR 101853234 B1 KR101853234 B1 KR 101853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user
activation code
managemen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정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웅 filed Critical 정재웅
Priority to KR1020170146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234B1/ko
Priority to PCT/KR2018/008853 priority patent/WO2019088410A1/ko
Priority to JP2020535945A priority patent/JP6901813B2/ja
Priority to CN201880057830.4A priority patent/CN111094057A/zh
Priority to US16/718,646 priority patent/US1136044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B60L11/1818
    • B60L11/1838
    • B60L11/18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3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e.g. from overhead contac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B60L223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39Energy management, use maximum of cheap power, keep peak load 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는, 외부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결합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부; 전원 콘센트부로부터 외부 전기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및 전원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전원 제어부는, 전원 활성화 코드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전원 콘센트부로부터 외부 전기기기로 전원을 공급한다.

Description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POWER SUPPLY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유의 전원활성화 코드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와 같은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 및 시스템과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기가스 규제 및 탄소 배출의 저감을 위한 각국의 노력으로 인해,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단계이다. 그러나, 주요 자동차 회사가 전기 자동차를 생산 판매를 하더라도, 보다 빠른 전기차 시장의 확대를 위해서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소와 같은 사회적 인프라가 구축이 필요하다.
종래의 전기 자동차는 정해진 전기 자동차 충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충전 비용에 대한 요금 산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기 자전거, 전기 오토바이, 전기 자동차 등, 개인 소유의 전기 차량이 아파트 등과 같이 여러 사람이 함께 거주하는 공공 주택과 공공 시설물에서 충전을 하는 경우, 전기 사용량에 대한 과금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공공 시설물에서 전기 차량을 충전할 때, 전기를 사용하는 자에게 사용량에 상응하는 정확한 과금을 지불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충전소의 경우, 전기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기로부터 실제 사용한 전력량을 계측하고 이에 대한 전력요금을 산출한 후 사용자가 직접 충전기기에 설치된 결제장치를 통하여 신용카드 등으로 지불하는 후불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기는 제한된 사업자가 대규모의 시설 투자를 하여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수의 사업자 만이 전기 충전소의 사업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아파트 주차장과 같은 공동 시설물에서의 전기차량의 충전의 경우 전기 사용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확한 과금을 하지 못하여 다른 주민들로부터 민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 사용자에게 사용량에 따라 정확한 과금을 할 수 있고, 설치 및 이용이 간편하며 누구든지 큰 시설 투자 없이 자신이 소유한 전기시설을 이용하여 타인에게 전기를 공급하면서 과금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61603호 (2014.5.22)
본 발명은 기존의 전원 콘센트와 같은 전기 시설물을 간단히 변경 또는 교체하여 전기 차량에 전력을 공급 하면서도 간편하게 과금을 할 수 있는 전원공급 장치 및 전원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ARS 또는 웹페이지 접속 방식에 의해 전기 사용요금을 선결제 후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용 및 요금지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전원공급 장치 및 전원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암호화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용시 마다 전원 활성화 코드를 변경하여 일회용으로 제공함으로써 보안성이 우수한 전원공급 장치 및 전원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술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는,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로서, 상기 외부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결합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부; 상기 전원 콘센트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기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에 대응하는 사용 시간 동안 상기 전원 콘센트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기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콘센트부는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의 전화기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 장치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고유 번호 및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OTP; One Time Password)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 번호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콘센트부는,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점검을 위한 외부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단말기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는,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로서, 상기 외부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결합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부; 상기 전원 콘센트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기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전원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사용 시간을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 장치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중앙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활성화를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전원 콘센트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기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시스템은, 전원 공급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 및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활성화를 위한 활성화 코드를 생성 또는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 장치는, 상기 외부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결합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부; 상기 전원 콘센트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기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고유번호 및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의 생성 때마다,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센터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방식 또는 웹페이지 제공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센터는 ARS 방식 또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이용요금을 안내하고, 상기 이용요금에 대한 사용자의 전화기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복수의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정보를 관리하고, 각각의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소유자로부터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고유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원공급 장치를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은,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공급 장치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가,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고유번호 및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사용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센터가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활성화를 위한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공급 장치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입력 받아 상기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센터가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상기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이용요금을 ARS 또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이용요금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공급 장치는 공공 시설물에서의 전기 콘센트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기존의 과금 체계를 개선할 수 있다. 전기 공급이 가능한 시설물의 소유자가 복잡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결제와 관리를 위한 통신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의 전원 콘센트를 간단히 변경 교체하여 과금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충전소 개소를 확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 자동차 보급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ARS 또는 웹페이지 접속 방식에 의해 전기 사용요금을 선결제 후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용 및 요금지불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매번 사용시 마다 전원 활성화 코드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매번 변경하여 일회용으로 제공함으로써 외부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원공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 장치와 중앙 관리 센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의 중앙 관리 센터와의 통신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와 중앙 관리 센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최초 등록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원공급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 장치와 중앙 관리 센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100)는 전기 자동차, 전기 오토바이, 또는 전기 자전거와 같은 전기 운송수단뿐만 아니라, 전기 충전이 가능한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전원공급 장치(100)는 개인 주택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 공공 시설물 등의 전력공급 망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 장치(100)는 전기가 공급되는 기존의 전기 콘센트를 간단히 교체하여 설치되거나 별도의 장소에서 전력 공급선에 연결되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 장치(100)는 전원 콘센트부(110), 전원 제어부(17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콘센트부(110)는 상기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 결합시켜 상기 외부 전기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전원 콘센트부(110)는 종래의 사각형 콘센트와 호환이 되도록 박스형의 하우징 형상일 수 있으며, 전면에 상기 외부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콘센트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센트부(112)는 원형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전기기기의 플러그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어댑터(미도시)가 상기 외부 전기기기의 플러그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콘센트부(112)에 삽입될 수도 있다.
전원 제어부(170)는 상기 전원 콘센트부(110)의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콘센트부(110)으로부터 상기 외부 전기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제어부(170)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전원공급 장치(100)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전원공급 장치(100)의 사용을 허가하는 전원 활성화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제어부(170)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에 대응하는 사용 시간 동안 또는 요구되는 전력량만큼 전원 콘센트부(110)로부터 상기 외부 전기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숫자 0부터 9까지의 버튼키로 구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패드나 한글 및/또는 영어가 함께 입력 가능한 키 입력 장치일 수도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의 숫자를 입력하면 입력 표시창(116)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100)는 제품 고유 번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품 고유 번호(140)는 전원공급 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번호로서, 각각의 전원공급 장치(100)마다 다르게 부여된다. 사용자는 중앙 관리 센터(200)에 통신하여 제품 고유 번호(140)를 전송하고 중앙 관리 센터(200)로부터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된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하면, 전원공급 장치(100)는 사용자의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 장치(100)에는 LED 표시장치(114)가 마련되어 전원공급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LED 표시장치(114)가 녹색이면 현재 전원공급 장치(100)가 정상적으로 전원공급 중인 것을 나타내며, LED 표시장치(114)가 적색이면 현재 전원공급 장치(100)는 전원공급이 차단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품 고유 번호는 숫자가 아닌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150) 방식으로 부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QR 코드(150)를 촬영하고 촬영된 QR 코드(150) 이미지를 중앙 관리 센터(200)에 통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센터(200)는 수신한 QR 코드 이미지를 통하여 전원공급 장치(100)를 식별한 후, 대응하는 전원 활성화 코드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품 고유 번호(140)를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화를 걸어 중앙 관리 센터(200)에 전화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관리 센터(200)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하며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중앙 관리 센터(200)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문자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100)는 단말기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 장치(100)의 소유자는 단말기 연결부(120)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를 전원공급 장치(1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전원공급 장치(100)를 점검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공급 장치(100)의 사용이력, 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자체 진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 장치(100)는 시간마다 변경되는 활성화 코드를 중앙 관리 센터(200)로부터 수신하여, 과금에 대한 사용시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 단말기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보안성 체크 및 전원공급 장치(100) 내부의 시계를 중앙 관리 센터(200)의 시계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연결부(120)는 USB, RS-232, RS-485 등과 같은 유선통신 연결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Wi-Fi나 NFC,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통신부(180)를 마련할 수 있다. 전원공급 장치(100)는 자체 통신부(180)를 통하여 중앙 관리 센터(21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원공급 장치(100)의 통신부(180)는 중앙 관리 센터(200)의 통신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전원공급 장치(100)의 고유번호(140)를 직접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고유번호(140)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중앙 관리 센터(200)의 통신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의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전원공급 장치(100)와 동일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와 입력 표시창(216)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원공급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가 전원 콘센트부(210) 전면에 마련되지 않고 별도의 키 패드 형태로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표시창(216)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의 키 패드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의 중앙 관리 센터와의 통신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관리 센터(200)는 복수의 전원공급 장치(100, 100a, 100b, 100c, 100d)의 정보를 관리하고, 전원공급 장치(100, 100a, 100b, 100c, 100d)의 활성화를 위한 활성화 코드를 생성 및/또는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중앙 관리 센터(200)는 전원공급 장치(100, 100a, 100b, 100c, 100d)의 고유번호 및 전원공급 장치(100, 100a, 100b, 100c, 100d)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센터(200)는 통신부(210), 이용요금 관리부(230), 활성화 코드 관리부(24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통신부(18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공급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 받은 고유번호(140)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통신부(180)를 통하여 중앙 관리 센터(200)의 통신부(210)로 송신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전원공급 장치(100)는 통신부(18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의 통신부(310)는 중앙 관리 센터(200)의 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에는 카메라부(32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카메라부(320)를 통하여 전원공급 장치(100)의 QR 코드(150)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상기 이미지를 중앙 관리 센터(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용요금 관리부(230)는 전원공급 장치(100) 또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전원공급 장치(100)의 고유번호(140)로부터 전원공급 장치(100) 설치위치, 해당 지역의 현재 전력단가 및 사용자의 사용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이용요금 관리부(230)에서 산출된 상기 이용요금은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210)를 통하여 전원공급 장치(100)의 통신부(180)로 송신될 수도 있고,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로 송신될 수도 있다.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에는 디스플레이부(330)가 마련되어 상기 이용요금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전기기기의 충전시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요금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중앙 관리 센터(200)는 ARS 또는 웹페이지를 운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300)로 중앙 관리 센터(200)에 전화를 걸어 ARS 방식(402)으로 안내를 받을 수도 있고, 중앙 관리 센터(200)로의 인터넷 접속 방식(404)으로 웹페이지를 통하여 안내를 받을 수도 있다. ARS 방식(402)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중앙 관리 센터(200)로부터 음성안내를 받으면서, 전원공급 장치(100, 100a, 100b, 100c, 100d)의 고유번호(140)와 사용 시간을 입력하고, 중앙 관리 센터(200)로부터 이에 해당하는 이용요금을 안내 받을 수 있다. 상기 이용요금은 문자로 안내 받을 수 있다. 만약 인터넷 접속 방식(404)인 경우에는 중앙 관리 센터(200)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는 고유번호(140)와 사용 시간을 입력할 수도 있고, QR 코드 이미지(150)와 사용 시간을 입력할 수도 있다. 중앙 관리 센터(200)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설치위치, 해당 지역의 현재 전력단가 및 사용자의 사용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용요금을 웹페이지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300)를 통하여 상기 이용요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결제(406)할 수 있다. 이 경우 폰뱅킹 서비스를 통하여 결제를 할 수도 있고, 중앙 관리 센터(200)의 웹페이지에서 직접 신용카드 결제를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밖의 다양한 전자 결제 서비스를 통하여 비용을 선결제 할 수도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중앙 관리 센터(200)는 문자 또는 웹페이지 또는 SNS를 통하여 결제완료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한편, 중앙 관리 센터(200)는 사용자의 결제가 완료되면, ARS 방식(402) 또는 인터넷 접속 방식(404)에 따라서 문자 또는 웹페이지 또는 SNS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원공급 장치(100, 100a, 100b, 100c, 100d)의 사용허가를 위한 전원 활성화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전원공급 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전원공급 장치(100)의 사용을 시작할 수 있다.
활성화 코드 관리부(240)는 각각의 전원공급 장치(100, 100a, 100b, 100c, 100d)의 사용허가를 위한 암호화된 코드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활성화 코드 관리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전원공급 장치(100, 100a, 100b, 100c, 100d)의 이용허가 요청이 있을 때마다,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데, 소정의 암호화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매번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 장치를 외부 해킹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활성화 코드 관리부(240)는 고유번호(104)와, 전원 콘센트부(110)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거나 제품 매뉴얼에서 확인이 가능한 내부번호와, 별도의 코드 생성을 위한 규칙을 설정하기 위한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코드 관리부(240)는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OTP; One Time Password)으로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와 중앙 관리 센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와 중앙 관리 센터는 도 1에 도시된 전체 시스템과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고 관리자 단말기(400)가 별도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시스템과의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공급 장치(100a)는 도 1의 전원공급 장치(100)와 달리 통신부(180)를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통신부(310)가 중앙관리센터(200)의 통신부(210)와 통신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10)를 통하여 중앙관리센터(200)에 접속하여 전원 활성화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자 단말기(400)가 사용자 단말기(300)와 별도로 구성된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전원공급 장치(100a)의 단말기 연결부(120)에 접속가능한 단말기 연결부(430)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400)를 통하여 전원공급 장치(100a)에 접속하여, 전원공급 장치(100a)의 사용이력, 고장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자체 진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400)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보안성 체크 및 전원공급 장치(100) 내부의 시계를 중앙 관리 센터(200)의 시계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는 공공 시설물에서의 전기 콘센트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기존의 과금 체계를 개선할 수 있다. 전기 공급이 가능한 시설물의 소유자가 복잡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의 전원 콘센트를 간단히 변경 교체하여 과금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의 충전소 개소를 확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 자동차 보급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ARS 방식 또는 웹페이지 접속 방식에 의해 전기 사용요금을 선결제 후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이용 및 요금지불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매번 사용시 마다 전원 활성화 코드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매번 변경하여 일회용으로 제공함으로써 전원공급 장치를 외부 해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고유번호(140)를 확인하고 자신의 모바일 기기로 전화를 걸어 중앙 관리 센터(200)와 ARS연결한다(S510).
중앙 관리 센터(200)의 음성 안내에 따라 사용자는 고유번호(140)와 전원공급 장치(100)의 사용 시간을 입력한다(S520).
이후, 중앙 관리 센터(200)는 입력된 상기 고유번호(140)와 상기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요금을 산출한다. 상기 사용요금은 전원공급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전력단가와 기타 시설비용 등에 따라 전원공급 장치(100)마다, 그리고 매시간 마다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중앙 관리 센터(200)는 산출된 상기 사용요금을 ARS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사용자는 안내 받은 상기 사용요금을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폰뱅킹 또는 은행이체 또는 전자결제 등의 방식으로 결제할 수 있다(S530).
상기 결제가 완료되면, 중앙 관리 센터(200)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사용을 허가하기 위한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송신한다(S540). 여기서, 전원 활성화 코드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고유번호, 내부번호와, 별도의 코드 생성을 위한 규칙을 설정하기 위한 번호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는 예컨대,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OTP; One Time Password)으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된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전원공급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하여 전원공급 장치(100)를 켠 후, 자신의 전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S55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로 전원공급 장치(100)의 QR 코드(150)를 촬영하고 자신의 모바일 기기로 중앙 관리 센터(200)의 웹페이지(인터넷 홈 페이지)에 접속한다(S410).
중앙 관리 센터(200)의 웹페이지 상의 결제페이지에 접속 후 안내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된 QR 코드(150) 이미지와 전원공급 장치(100)의 사용 시간을 입력한다(S420).
이후, 중앙 관리 센터(200)는 QR 코드(150)에 따라 전원공급 장치(100)의고유번호를 파악하여, 상기 고유번호와 상기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요금을 산출한다. 상기 사용요금은 전원공급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전력단가와 기타 시설비용 등에 따라 전원공급 장치(100)마다 그리고 매시간 마다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중앙 관리 센터(200)는 산출된 상기 사용요금을 상기 웹페이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사용자는 안내 받은 상기 사용요금을 자신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폰뱅킹 또는 은행이체 또는 상기 웹페이지 상의 전자결제 등의 방식으로 결제할 수 있다(S430).
상기 결제가 완료되면, 중앙 관리 센터(200)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사용을 허가하기 위한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송신한다(S440). 여기서, 전원 활성화 코드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고유번호, 내부번호와, 별도의 코드 생성을 위한 규칙을 설정하기 위한 번호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는 예컨대,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OTP; One Time Password)으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된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전원공급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하여 전원공급 장치(100)를 켠 후, 자신의 전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S4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의 사용 방법 역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최초 등록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초로 중앙 관리 센터(200)에 사용등록을 할 필요가 있다.
전원공급 장치(100)의 소유자는 최초로, 전원공급 장치(100)의 고유번호(140)와 내부번호를 확인한다(S610). 여기서, 상기 내부번호는 전원공급 장치(100)의 하우징 내부에 부착되어 있거나 제품 매뉴얼에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이후, 소유자의 모바일 기기(300)를 통하여, 전원공급 장치(100)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200)의 관리 페이지(웹페이지)에 접속한다(S620). 다음으로, 전원공급 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사용요금을 받기 위한 입금계좌를 등록한다(S630). 여기서, 상기 소유자는 보안을 유지하기 위하여 또는 인증의 목적으로 소유자는 다시 한번 고유번호(140)와 상기 내부번호를 입력하는 절차를 가질 수 있다(S640). 마지막으로, 소유자는 중앙 관리 센터(200)의 전원공급 장치(100)의 정보관리를 위하여 설치 장소의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S65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용하고자 하는 장치에 부여한 고유코드와 상기 장치에 대한 사용 시간을 기반으로 관리센터에서 암호화 코드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암호화 코드를 상기 장치에 입력하여 사용을 허가 받는 방식으로 다양한 장치에 응용이 가능하다. 일례로, 공중 화장실이나 일회용 보관함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전원공급 장치
110: 전원 콘센트부
112, 212: 콘센트
120: 단말기 연결부
130, 2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0, 240: 고유번호
150, 250: QR 코드
170: 전원 제어부
180: 통신부
200: 중앙 관리 센터(서버)
210: 통신부
220: 제어부
230: 이용요금 관리부
240: 활성화 코드 관리부
300: 사용자 모바일 기기
310: 통신부
320: 카메라부
330: 디스플레이부

Claims (13)

  1.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로서,
    상기 외부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결합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부;
    상기 전원 콘센트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기기기로의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에 대응하는 사용 시간 동안 상기 전원 콘센트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기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전원 콘센트부는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의 전화기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 장치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고유 번호 및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수신하는 것인 전원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일회용 패스워드 방식(OTP; One Time Password)으로 생성하는 것인 전원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번호는 QR 코드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인 전원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콘센트부는,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점검을 위한 외부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단말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원공급 장치.
  6. 삭제
  7.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 및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활성화를 위한 활성화 코드를 생성 또는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 장치는,
    상기 외부 전기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결합되어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부;
    사용자로부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원 활성화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콘센트부로부터 상기 외부 전기기기로의 전원의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고유번호 및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생성하는 것인 전원공급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의 생성 때마다,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다르게 생성하는 것인 전원공급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센터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또는 웹페이지 제공 방식을 통하여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는 것인 전원공급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센터는 ARS또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이용요금을 안내하고, 상기 이용요금에 대하여 사용자의 전화기 또는 모바일 기기를 통한 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는 것인 전원공급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복수의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정보를 관리하고,
    각각의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소유자로부터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고유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전원공급 장치를 등록하는 것인 전원공급 시스템.
  12.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원공급 장치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 센터가,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고유번호 및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사용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전원공급 장치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고유번호 및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전원 활성화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활성화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공급 장치가 상기 외부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 센터가 상기 전원공급 장치의 상기 사용 시간에 대응하는 이용요금을 ARS 또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상기 이용요금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원공급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KR1020170146115A 2017-11-03 2017-11-03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101853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115A KR101853234B1 (ko) 2017-11-03 2017-11-03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PCT/KR2018/008853 WO2019088410A1 (ko) 2017-11-03 2018-08-03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JP2020535945A JP6901813B2 (ja) 2017-11-03 2018-08-03 電源供給装置、電源供給システム及びこれを使用する方法
CN201880057830.4A CN111094057A (zh) 2017-11-03 2018-08-03 供电装置、供电系统及其使用方法
US16/718,646 US11360448B2 (en) 2017-11-03 2019-12-18 Power supply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115A KR101853234B1 (ko) 2017-11-03 2017-11-03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234B1 true KR101853234B1 (ko) 2018-04-27

Family

ID=6208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115A KR101853234B1 (ko) 2017-11-03 2017-11-03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60448B2 (ko)
JP (1) JP6901813B2 (ko)
KR (1) KR101853234B1 (ko)
CN (1) CN111094057A (ko)
WO (1) WO20190884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309A1 (ko) * 2022-03-31 2023-10-05 정재웅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2009655TA (en) * 2020-09-28 2021-12-30 Mine Mobility Research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ide control of a multi-pile charging se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5188A (ja) * 2010-04-23 2011-11-10 Kyosan Electric Mfg Co Ltd 列車位置検出装置
JP2012080748A (ja) 2010-10-06 2012-04-19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車載用蓄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
KR101448612B1 (ko) * 2013-11-09 2014-10-14 한찬희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과금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2649B2 (ja) * 1998-03-16 2003-09-02 パーク二四株式会社 電気車両用充電装置
DE10105384A1 (de) * 2001-02-06 2002-08-29 Peter Beck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elektrischen Energiezuführung
CN201204332Y (zh) * 2008-05-05 2009-03-04 苏艺莹 自动收费插座
JP2010154635A (ja) * 2008-12-25 2010-07-08 Chubu Electric Power Co Inc 車両の充電管理システム
US20110145141A1 (en) * 2009-10-02 2011-06-16 James Blai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harging electric vehicles
KR20110044006A (ko) * 2009-10-22 2011-04-28 (주)플레넷아이엔티 전기 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충전 관리 방법
KR101065595B1 (ko) * 2009-11-27 2011-09-23 한국전기연구원 전자 인증 카드에 기반하여 과금하는 전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603715B2 (ja) * 2010-09-02 2014-10-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
US9035606B2 (en) * 2011-04-15 2015-05-1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TM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9123035B2 (en) * 2011-04-22 2015-09-01 Angel A. Penilla Electric vehicle (EV) range extending charge systems, distributed networks of charge kiosks, and charge locating mobile apps
WO2013043867A2 (en) * 2011-09-21 2013-03-28 Jeff Thraman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ith connectivity to mobile devices to provide local information
US8521599B2 (en) * 2011-10-28 2013-08-27 General Electric Company Charging system, kiosk, and method of reserving a power charging device and supplying current to a power storage device
US9142978B2 (en) * 2012-11-06 2015-09-22 EV Connect, Inc. Queue prioritization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KR20150050900A (ko) * 2013-11-01 2015-05-11 (주)아이비허브 자동 결제 기능을 가진 전기 소켓
JP2015094695A (ja) * 2013-11-13 2015-05-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走行支援システム
US20170008414A1 (en) * 2015-07-08 2017-01-12 Chan Hee HAN Bill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KR20170109795A (ko) * 2016-03-22 2017-10-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CN106602657B (zh) * 2016-12-29 2019-09-06 杭州微飞胜科技有限公司 一种充电桩及其工作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5188A (ja) * 2010-04-23 2011-11-10 Kyosan Electric Mfg Co Ltd 列車位置検出装置
JP2012080748A (ja) 2010-10-06 2012-04-19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車載用蓄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
KR101448612B1 (ko) * 2013-11-09 2014-10-14 한찬희 전기자동차 충전에 따른 과금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309A1 (ko) * 2022-03-31 2023-10-05 정재웅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01813B2 (ja) 2021-07-14
CN111094057A (zh) 2020-05-01
WO2019088410A1 (ko) 2019-05-09
US20200125052A1 (en) 2020-04-23
JP2020533724A (ja) 2020-11-19
US11360448B2 (en)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609B1 (ko) 반공용 충전 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KR10123379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RU2515120C2 (ru) Система пункта подсчета и измерения для измерения и подсчет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CN104767733A (zh) 基于智能手机的充电桩授权系统及授权方法
KR101100363B1 (ko) 집합건물 주차장의 하이브리드 차량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828593B1 (ko) 사용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모바일충전기의 충전시스템
JP2013099246A (ja) 充電システム、キオスク、及び電力貯蔵装置に電流を供給する方法
CN103123732A (zh) 一种公用充电管理系统及充电方法
JP2011034500A (ja) 電気自動車の給電課金システム
KR1016547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252052B1 (ko)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JP2019113957A (ja)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KR20120075508A (ko) 공동주택용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101853234B1 (ko) 전원공급 장치,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20100059641A (ko) 유무선 전자지불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판매기 및 그 충전결제방법
WO2011021973A1 (en) Method of electrical charging
JP2014127074A (ja) 駐車場管理および電気自動車充電管理システム
US202003246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management of charging devices
JP6466017B1 (ja) サービス連携システム
KR20130106598A (ko) 무인 전기충전소의 운영시스템
KR20110060099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KR20110059492A (ko) 전자 인증 카드에 기반하여 과금하는 전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3724A (ko)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6542A (ko) 다중 프로파일 관리 기능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그에 따른 스마트 미터기 및 전력 정보 관리 시스템
KR20160121903A (ko) 전자 결제를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