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099A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099A
KR20110060099A KR1020090116588A KR20090116588A KR20110060099A KR 20110060099 A KR20110060099 A KR 20110060099A KR 1020090116588 A KR1020090116588 A KR 1020090116588A KR 20090116588 A KR20090116588 A KR 20090116588A KR 20110060099 A KR20110060099 A KR 20110060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authentication
server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섭
Original Assignee
이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섭 filed Critical 이정섭
Priority to KR102009011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0099A/ko
Publication of KR2011006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에 할당된 배터리 고유번호 및 배터리 고유번호와 연계되어 배터리를 인증하는 배터리 인증번호를 등록받고;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통해, 가정용 또는 충전소용 중 어느 충전 콘센트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는지 인지하고;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전기자동차에 입력되는 배터리 고유번호를 통해 충전이 요청되는 배터리를 인증하여, 배터리 충전에 따른 충전내역정보를 전력공급업체에 제공하고; 서버가 전력공급업체의 요청에 의해 충전내역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과금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 과금 방법으로 전기자동차를 주택, 아파트, 또는 일반 주거건물을 포함하는 일반 거주공간에서 충전할 때, 가정용이 아닌 전기자동차만의 별도의 요금제를 적용할 수 있어 국가는 세금 확보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 인증, 과금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Method for filling-up/billing by using battery state of charge in hybrid electric vehicle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인증을 통해 가정용 전기로 충전되는 전기자동차에 대해 효율적으로 세금을 과금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가 늘어나면서 가정의 전기로 충전이 될 때 가정용 전기요금제가 적용된다. 하지만, 현재 가정용 전기에 책정되고 있는 세금보다 가솔린이나 디젤에 책정된 세금이 높게 책정되고 있다. 따라서, 가정용 전기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경우 국가가 세금확보에 있어 형평성을 잃게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점차 전기자동차의 편리를 위해서 가정에서 충전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기에 가정용 전기요금과 전기자동차용 전기요금제를 분리해서 세금의 책정이 가능하면 가솔린 및 디젤 자동차에 부과되는 세금이 전기자동차로 변화되더라도 부족해지는 세금의 확보를 위해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에 할당된 배터리 고유번호 및 배터리 고유번호와 연계되어 배터리를 인증하는 배터리 인증번호를 등록받고;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통해, 가정용 또는 충전소용 중 어느 충전 콘센트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는지 인지하고;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전기자동차에 입력되는 배터리 고유번호를 통해 충전이 요청되는 배터리를 인증하여, 배터리 충전에 따른 충전내역정보를 전력공급업체에 제공하고; 서버가 전력공급업체의 요청에 의해 충전내역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과금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은,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에 할당된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와 연계되어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는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등록받고, 등록된 배터리 고유번호(I1)가 기록된 IC카드를 상기 전기자동차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회원등록단계(S1); 상기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충전장치(10)를 통해, 가정용 또는 충전소용 중 어느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지 인지하는 충전인지단계(S2); 상기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에 입력되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 또는 서버(30)에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를 통해 충전이 요청되는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에 따른 충전내역정보를 전력공급업체(4)에 제공하는 충전인증단계(S3); 및 상기 서버(30)가 상기 전력공급업체(4)의 요청에 의해 상기 충전내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과금하는 충전과금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전인지단계(S2)를 통해 상기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를 통해 충전 인증 개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인지단계(S2)를 통해 상기 충전소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IC카드의 정보가 전송된 상기 서버(30)에서 충전비용이 결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인증단계(S3)는,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서버(30)와의 통신 상태를 통신 가능상태 또는 통신 불가능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의 인증방식을 구분하는 인증방식 구분단계(S31); 통신 가능상태로 판단되면, 서버(30)가 접속이 승인된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전송받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I2)를 통해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고,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상기 전력공급업체에 제공하는 제1충전단계(S32); 및 통신 불가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입력받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를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고,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전력공급업체(4)에 제공하는 제2충전단계(S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충전단계(S32)는, 상기 서버(30)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의 접속 요청을 승인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와 접속되는 승인단계(S321); 상기 서버(30)가 접속된 배터리 충전장치(10)가 구비된 상기 전기자동차 및 상기 배터리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확인단계(S322); 등록이 확인된 배터리의 인증을 위해, 상기 서버(30)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전송받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등록된 배터리 고유번호 및 배터리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제1인증단계(S323); 및 상기 서버(30)를 통해 전력공급업체(4)에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충전단계(S33)는,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를 입력받아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제2인증단계(S331);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인증된 배터리의 충전 내역에 대한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단계(S332); 및 상기 기록단계(S332) 후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서버(30)와 통신 가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는 상기 서버(30)를 통해 상기 전력공급업체(4)에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 과금 방법으로 전기자동차를 주택, 아파트, 또는 일반 주거건물을 포함하는 일반 거주공간에서 충전할 때, 가정용이 아닌 전기자동차만의 별도의 요금제를 적용할 수 있어 국가는 세금 확보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서는 배터리의 인증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 도난 사고시에도 유용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의 절차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버(30)가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에 할당된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와 연계되어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는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등록받고, 등록된 배터리 고유번호(I1)가 기록된 IC카드를 상기 전기자동차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회원등록단계(S1); 상기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충전장치(10)가, 가정용 또는 충전소용 중 어느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지 인지하는 충전인지단계(S2);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는 상기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에 입력되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 또는 서버(30)에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를 통해 충전이 요청되는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에 따른 충전내역정보를 전력공급업체(4)에 제공하는 충전인증단계(S3); 및 상기 서버(30)가 상기 전력공급업체(4)의 요청에 의해 상기 충전내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과금하는 충전과금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장착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동하는 수단인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전기자동차 전용 요금제를 가정용 또는 공장용과 같은 일반 사용 전력과 구분하여 전기자동차 전용의 세금을 부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아파트, 주택 또는 일반 주거건물을 포함하는 일반 거주 공간에 설치된 콘센트 통해 이뤄질 때와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주유소 등과 동일한 개념의 자동차의 연료를 주입하는 공간과 같은 특정장소인 충전소에서 이뤄질 때 전기자동차 전용세금 요율을 동일하게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위한, 배터리 충전장치(10)는, 가정용 또는 충전소용 중 어느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지 인지하는 충전인식부(12); 통신상태 판단부(18)를 통해 서버(30)와 배터리 충전장치(10)가 통신 가능상태로 판단되면,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배터리 인증번호(I2)를 서버에 전송하거나, 충전내역 기록부(24)에 기록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14); 배터리 충전장치(10)에 IC카드가 삽입되면, 충전 인증 개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 출력부(16);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서버(30)와의 통신 상태를 통신 가능상태 또는 통신 불가능상태로 판단하는 통신상태 판단부(18); 전기자동차의 등록시 발급된 IC카드와 배터리 고유번호(I1)를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받아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인증하는 입력부(20);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 가 충전되는 경우, 전기자동차에 입력되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를 통해 충전이 요청되는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는 인증부(22); 인증부(22)를 통해 인증된 배터리의 충전 내역에 대한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기록하는 충전내역 기록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위한, 서버(30)는,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에 할당된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와 연계되어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는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등록받는 등록부(32); 배터리 충전장치(10)의 접속 요청을 승인하여, 서버(30)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와의 접속을 승인하는 접속승인부(34); 접속된 배터리 충전장치(10)가 구비된 상기 전기자동차 및 상기 배터리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확인부(36);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전송받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등록된 배터리 고유번호 및 배터리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배터리 인증부(38); 및 전력공급업체(4)에 충전내역정보를 제공하는 충전내역 제공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력공급업체(4)에 의해 운영되는 서버(30)에 구비되는 등록부(32)는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에 할당된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와 연계되어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는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등록받고, 등록된 배터리 고유번호(I1)가 기록된 IC카드를 상기 전기자동차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회원등록단계(S1)를 수행한다.
사용자가 전기자동차를 구매한 후 전기자동차를 등록시, 사용자로부터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의 배터리 고유번호를 등록부(32)가 입력받아 등록하여 관 리한다.
이를 통해, 한국전력공사 또는 관리사업자와 같은 전력공급업체(4)는 IC카드의 발급을 승인하고, 나아가 등록부(32)는 배터리 고유번호와 연계되는 배터리 인증번호(I2)를 입력받아 서버(30)에 등록한다.
IC카드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배터리 고유번호(I1)가 기록된 카드로서, 전기자동차를 시동할 수 있는 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경우, 서버는 교체된 배터리의 배터리 고유번호를 등록받으면서 교체된 배터리에 연계된 배터리 인증번호를 함께 등록받아 배터리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충전장치(10)에 구비되는 충전인식부(12)를 통해, 가정용 또는 충전소용 중 어느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지 인지하면서 충전인지단계(S2)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충전인지단계(S2) 후 상기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는 충전 인증 개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인지단계(S2) 후 상기 충전소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IC카드의 정보가 전송된 상기 서버(30)는 충전비용을 결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 충전장치(10)에 IC카드가 입력되면서 전기자동차의 사용자가 충전 콘센트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을 하려고 하는 경우, 충전인식부(12)가 가정용 충전 콘센트 또는 충전소용 충전 콘센트 중 어느 충전 콘센트로 배터리가 충전되려고 하는 지 인식하게 된다.
가정용 충전 콘센트에 전기자동차의 자동차 충전용 케이블이 연결되면, 충전인식부(12)는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충전장치(10)에 IC카드가 삽입되면, 배터리 충전장치(10)에 구비되는 메시지 출력부(16)를 통해 충전 인증 개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인증 개시 메시지로 “충전을 위한 인증을 시작합니다.”와 같은 문구가 동원될 수 있다.
메시지 출력부(16)는 전기자동차 내에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또는 화면을 통해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원될 수 있다.
또는, 충전소용 충전 콘센트에 전기자동차의 자동차 충전용 케이블이 연결되면, 충전인식부(12)는 충전소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충전소 및 배터리 충전 위탁기관과 같은 충전소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충전소에 제시된 사용자의 IC카드가 충전소 단말기를 통해 서버(30)와 통신하여 서버(30)를 통해 충전비용이 결재될 수 있다.
물론, 충전인지단계(S2) 후 충전인증단계(S3) 전에 사용자는 충전절차를 종료하여 불필요한 충전이 진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배터리 충전장치(10)에 구비되는 인증부(22)는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에 입력되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 또는 서버(30)에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를 통해 충전이 요청되는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여, 배터리 충전에 따른 충전내역정보를 전력공급업체(4)에 제공하는 충전인증단계(S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충전인증단계(S3)는,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서버(30)와의 통신 상태를 통신 가능상태 또는 통신 불가능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의 인증방식을 구분하는 인증방식 구분단계(S31); 통신 가능상태로 판단되면, 서버(30)가 접속이 승인된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전송받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I2)를 통해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고,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상기 전력공급업체에 제공하는 제1충전단계(S32); 및 통신 불가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입력받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를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고,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전력공급업체(4)에 제공하는 제2충전단계(S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증방식 구분단계(S31) 전에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장치(10)에 구비되는 입력부(20)를 통해 확인된 배터리 잔여전력량에 대응하여 충전전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배터리 충전장치(10)에 구비되는 통신상태 판단부(18)는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서버(30)와의 통신 상태를 통신 가능상태 또는 통신 불가능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의 인증방식을 구분하는 인증방식 구분단계(S31)를 수행한 다.
이를 통해, 배터리 충전을 위한 배터리 인증 방식은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서버(30)와 통신할 수 있는지 불가능한지에 따라 나뉘어 진행된다.
통신상태 판단부(18)가 통신 가능상태로 판단하면, 서버(30)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전송받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는 제1충전단계(S32)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기자동차 등록시 함께 등록된 배터리 고유번호(I1)와 암호인 배터리 인증번호가 대응할 때 비로소 충전은 시작된다. 만약 배터리 고유번호(I1)와 배터리 인증번호가 대응되지 않으면 충전은 진행되지 않는다.
배터리 충전장치(10)에 구비되는 통신부(14)와 서버(30)의 통신 방식은 유/무선 인터넷 통신 또는 RF통신 등이 동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고유번호와 연계된 배터리 인증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어느 곳에서 충전을 하여도 전기자동차의 차주에게만 과금되는 구조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충전단계(S32)는, 상기 서버(30)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의 접속 요청을 승인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와 접속되는 승인단계(S321); 상기 서버(30)가 접속된 배터리 충전장치(10)가 구비된 상기 전기자동차 및 상기 배터리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확인단계(S322); 등록이 확인된 배터리의 인증을 위해, 상기 서버(30)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전송받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등록된 배터리 고유번호 및 배터리 인증번 호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제1인증단계(S323); 및 상기 서버(30)가 전력공급업체(4)에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30)에 구비되는 접속승인부(34)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의 접속 요청을 승인하여, 서버(30)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와의 접속을 승인하면서 승인단계(S321)를 수행한다.
상기 서버(30)에 구비되는 등록확인부(36)가 접속된 배터리 충전장치(10)가 구비된 상기 전기자동차 및 상기 배터리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등록확인단계(S322)를 수행한다.
등록이 확인된 배터리의 인증을 위해, 상기 서버(30)에 구비되는 배터리 인증부(38)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전송받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등록된 배터리 고유번호 및 배터리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인증하면서 제1인증단계(S323)를 수행한다.
상기 서버(30)에 구비되는 충전내역 제공부(40)가 전력공급업체(4)에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제공하면서 정보제공단계(S324)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상태 판단부(18)가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서버(30)와의 통신 상태가 통신 불가능상태로 판단하면, 전기자동차의 등록시 발급된 IC카드와 배터리 고유번호(I1)를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받아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자체적으로 배터리가 인증될 수 있다.
즉, 통신 불가능상태로 판단되면, 인증부(22)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입력받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를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는 제2충전단계(S3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단계(S33)는,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를 입력받아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제2인증단계(S331);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인증된 배터리의 충전 내역에 대한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단계(S332); 및 상기 기록단계(S332) 후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서버(30)와 통신 가능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는 상기 서버(30)를 통해 상기 전력공급업체(4)에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터리 충전장치(10)에 구비되는 인증부(22)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를 입력받아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제2인증단계(S331)를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고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전기자동차 내부 배터리에 정상 충전이 진행되고, 충전내역 기록부(24)에 충전량이 기록된다.
배터리 충전장치(10)에 구비되는 충전내역 기록부(24)가 인증부(22)를 통해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인증된 배터리의 충전 내역에 대한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기록하면서 기록단계(S332)를 수행한다.
상기 기록단계(S332) 후 통신상태 판단부(18)를 통해 상기 서버(30)와 배터리 충전장치(10)가 통신 가능상태로 판단되면, 충전내역 기록부(24)에 기록된 정보는 통신부(14)를 통해 서버(30)에 전송된다. 다음, 서버(30)에 전송된 충전내역 기 록부(24)에 기록된 정보는 충전내역 제공부(40)를 통해 전력공급업체(4)에 제공된다. 이를 통해 정보제공단계(S333)가 수행된다.
나아가, 전기자동차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지역에 진입하면, 전기자동차의 충전내역정보가 등록된 IC카드를 주변에 위치하는 리더기에 근접시키는 방식으로 서버를 통해 전력공급업체에 제공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전기자동차 내부에 삽입된 충전내역 기록부(24)는 내부에 기록된 충전량에 대한 기록을 차량 등록정보를 갖고 있는 전력공급업체에서 제공되는 검침기를 통해 언제나 확인할 수 있도록 검침기와 통신 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거치고, 정보제공단계(S333)를 통해 전력공급업체(4)는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이에 상당하는 세금을 과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배터리 고유번호와 연계된 배터리 인증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어느 곳에서 충전을 하여도 전기자동차의 차주에게만 과금되는 구조로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의 절차흐름도이다.

Claims (5)

  1. 서버(30)가 전기자동차에 내장된 배터리에 할당된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와 연계되어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는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등록받고, 등록된 배터리 고유번호(I1)가 기록된 IC카드를 상기 전기자동차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회원등록단계(S1);
    상기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충전장치(10)가, 가정용 또는 충전소용 중 어느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지 인지하는 충전인지단계(S2);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는 상기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에 입력되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 또는 서버(30)에 전송되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를 통해 충전이 요청되는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에 따른 충전내역정보를 전력공급업체(4)에 제공하는 충전인증단계(S3); 및
    상기 서버(30)가 상기 전력공급업체(4)의 요청에 의해 상기 충전내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과금하는 충전과금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인지단계(S2) 후 상기 가정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는 충전 인증 개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인지단계(S2) 후 상기 충전소용 충전 콘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IC카드의 정보가 전송된 상기 서버(30)는 충전비용을 결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 과금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인증단계(S3)는,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서버(30)와의 통신 상태를 통신 가능상태 또는 통신 불가능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의 인증방식을 구분하는 인증방식 구분단계(S31);
    통신 가능상태로 판단되면, 서버(30)가 접속이 승인된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전송받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I2)를 통해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고,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상기 전력공급업체에 제공하는 제1충전단계(S32); 및
    통신 불가능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입력받는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를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를 인증하고,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전력공급업체(4)에 제공하는 제2충전단계(S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 한 충전과금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단계(S32)는,
    상기 서버(30)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의 접속 요청을 승인하여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와 접속되는 승인단계(S321);
    상기 서버(30)가 접속된 배터리 충전장치(10)가 구비된 상기 전기자동차 및 상기 배터리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확인단계(S322);
    등록이 확인된 배터리의 인증을 위해, 상기 서버(30)가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에서 전송받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 및 상기 배터리 인증번호(I2)를 등록된 배터리 고유번호 및 배터리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제1인증단계(S323); 및
    상기 서버(30)가 전력공급업체(4)에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충전단계(S33)는,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배터리 고유번호(I1)를 입력받아 상기 IC카드에 기록된 배터리 고유번호와 비교하여 인증하는 제2인증단계(S331);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인증된 배터리의 충전 내역에 대한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단계(S332); 및
    상기 기록단계(S332) 후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상기 서버(30)와 통신 가능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10)는 상기 서버(30)를 통해 상기 전력공급업체(4)에 상기 충전내역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S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KR1020090116588A 2009-11-30 2009-11-3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KR20110060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88A KR20110060099A (ko) 2009-11-30 2009-11-3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588A KR20110060099A (ko) 2009-11-30 2009-11-3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099A true KR20110060099A (ko) 2011-06-08

Family

ID=4439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588A KR20110060099A (ko) 2009-11-30 2009-11-30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00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1542A1 (en) * 2012-08-02 2014-02-06 Sk Innovation Co.,Ltd. Central server and charg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moving body according to user rate system using the same
KR101404490B1 (ko) * 2011-11-21 2014-06-13 채상윤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422340B1 (ko) * 2012-07-13 2014-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20150030572A (ko) 2013-09-12 2015-03-20 (주) 에프엠테크놀러지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490B1 (ko) * 2011-11-21 2014-06-13 채상윤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422340B1 (ko) * 2012-07-13 2014-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WO2014021542A1 (en) * 2012-08-02 2014-02-06 Sk Innovation Co.,Ltd. Central server and charge control system for electric moving body according to user rate system using the same
KR20150030572A (ko) 2013-09-12 2015-03-20 (주) 에프엠테크놀러지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10994B (zh) 一种电动车充电站管理系统及充电方法
CN102684253B (zh) 用于为电力驱动车辆充电的系统及方法
TWI582722B (zh) The use of smart cars in the service point to pay the system and methods
US20100274570A1 (en) Vehicle charging authorization
JP5152644B2 (ja) 電気駆動装置充電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33792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KR102409474B1 (ko) 요금 계산 처리 방법과 장치 및 차량 결제 시스템
CN105429200A (zh) 一种基于移动智能终端的电动汽车智能充电方法
US20140358749A1 (en) Cross-Reference Electric Vehicle Charge Data for Billing
KR20140114954A (ko) 도전 방지를 위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이를 위한 전기차의 충전 인증 시스템
CN103123732A (zh) 一种公用充电管理系统及充电方法
KR101828593B1 (ko) 사용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모바일충전기의 충전시스템
CN104700655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停车路线提示实现方法及系统
CN108876506A (zh) 一种车辆登记方法及装置
CN110544138B (zh) 一种获取不停车收费发票的方法、系统及车载单元
KR20120075530A (ko) 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자동차, 연료전지차, 모터사이클 전기 및 연료 판매 및 지불/결제 정비 및 보험 정보화 시스템
KR101193603B1 (ko) 공공주택에서의 전기차 충전방법 및 시스템
KR101182408B1 (ko) 전기자동차 공유 장치,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공유 방법
KR20110110997A (ko) 아파트 단지 내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KR20110060099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KR20140116047A (ko) 전력 요금 결제 시스템, 전력 요금 결제 시스템을 위한 전력량 계량 장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GB2608799A (en) Charging of electricity powered vehicles
JP2022127463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6101116B (zh) 充电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3509664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用の車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