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572A -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572A
KR20150030572A KR20130110009A KR20130110009A KR20150030572A KR 20150030572 A KR20150030572 A KR 20150030572A KR 20130110009 A KR20130110009 A KR 20130110009A KR 20130110009 A KR20130110009 A KR 20130110009A KR 20150030572 A KR20150030572 A KR 2015003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electric vehicle
power
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137B1 (ko
Inventor
조석
Original Assignee
(주) 에프엠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프엠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 에프엠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3011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1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3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트 등의 공공장소의 충전 스테이션 등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 사용임을 한전 서버에 알려줌으로써 해당 전기 사용에 대한 전기료가 과금되지 않도록 해 주는 서비스의 제공방법 및 그러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트 등의 공공장소에서 일반 전기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한전 서버에 알려줌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의 경우에는 차등 부과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이를 통하여 환경 개선을 위한 전기자동차의 이용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FFERENTIAL-ACCOUNTING SERVICE FOR ELECTRICITY-USE IN CHARGING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트, 관공서 등의 공공장소의 충전 스테이션 등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 사용임을 한전 등과 같은 전력공급업체 서버에 알려줌으로써, 해당 전기 사용에 대한 전기료가 일반 전기료와 다르게 차등 부과되도록 하여 전기요금 누진세나 세금 부과 등을 별도로 과금할 수 있는 서비스의 제공방법 및 그러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13년 하반기부터 민간 보급용 전기차 공급이 본격화 됨에 따라 전기차 충전인프라 확충을 위한 충전기 보급이 절실한 상태이나, 전기자동차를 위한 충전소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며, 따라서 어댑터 등을 이용하여 가정이나 마트 등의 공공장소에서도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전기 요금 체계는, 전기 사용량에 비례하여 전기 요금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전기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전기 요금을 더욱 큰 비율로 늘어나는 누진세 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매우 큰 전력량을 필요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이와 같이 가정이나 마트 등의 일반 전기 콘센트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은 해당 전기요금 납부자에게 매우 큰 부담을 주게 되어, 현실적으로 이용하기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 연료로 사용되는 화석연료의 경우에 별도의 세금을 부과하듯이,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사용에 별도의 세금을 부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와 구분하여 과금할 필요성이 있어 왔다.
KR 10-2011-0060099 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마트, 관공서 등의 공공장소에서 일반 전기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한전 등과 같은 전력공급업체 서버에 알려줌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의 경우에는 별도의 과금체계를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이를 통하여 충전인프라의 보급을 확산하여 환경 개선을 위한 전기자동차의 이용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충전이 이루어진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출된 전력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운영업체에 지불할 충전료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에 대하여,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a)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충전 콘센트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a)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충전 요청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충전요청 수신모듈;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량 검출모듈;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충전이 이루어진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전력사용 정보 전송모듈; 상기 검출된 전력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운영업체에 지불할 충전료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충전 스테이션 결제모듈; 및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에 대하여,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충전 콘센트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은, 충전 과정 및 결제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거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입력 수단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화면을 통하여 충전 요청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상기 충전 요청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통신모듈로부터 전기료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수신하는 단계; (c)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충전 시설이 설치된 장소(이하 '충전 장소'라 한다)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충전 장소가 공공장소인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 소유자에게, 상기 충전에 대하여 상기 전력공급업체에 전기료 납부 결제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납부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장소가 공공장소인 경우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는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의 납부를 면제받으며, 상기 충전 장소가 가정집인 경우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에 대하여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a)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충전 콘센트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a)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충전 요청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배전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충전요청 수신모듈; 통신모듈로부터, 충전 시설이 설치된 장소(이하 '충전 장소'라 한다)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수신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 ID 수신모듈;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량 검출모듈;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전력사용 정보 전송모듈; 상기 충전 장소가 공공장소인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 소유자에게, 상기 충전에 대하여 상기 전력공급업체에 전기료 납부 결제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납부 결제를 수행하는 전력공급업체 결제모듈; 및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은, 충전 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거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입력 수단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장소가 공공장소인 경우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는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의 납부를 면제받으며, 상기 충전 장소가 가정집인 경우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에 대하여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충전 콘센트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충전 요청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배전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이나 마트 등의 공공장소에서 일반 전기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전기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한전 등과 같은 전력공급업체 서버에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이나 WiFi, 또는 이외에 다양한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전기료 과금의 주체를 알려줌으로써 전기자동차 충전의 경우에는 전기료를 누진세 제외나 세금 부과 등의 별도의 과금체계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충전인프라의 보급을 확산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환경 개선을 위한 전기자동차의 이용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
도 3은 도 2의 방법을 수행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
도 5는 도 4의 방법을 수행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력공급업체 서버(200)는 전력을 제공하는 업체, 즉 예를 들어 한전과 같은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이다.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부과 서비스 시스템(100,500)은, 충전 스테이션 또는 충전 콘센트(10)를 통하여 충전하는 전기자동차(20)에 대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부과 서비스 시스템(100)에 충전요금을 부과하거나, 또는 전력공급업체(200)에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을 직접 납부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500). 이에 대하여는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 2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본 도면은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을 유료로 제공하는 충전 스테이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100)은,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210).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는, 운전자가 충전 콘센트에 충전할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S211).
또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공하는(S212) 충전 요청 버튼을 터치함으로써(S213)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100)은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한다(S220). 이는 전력량계에서 계량된 전력량을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충전이 이루어진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로 전송하게 되는데(S230), 이러한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해 정해진 특정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라든지, 그 외 전기자동차 충전에 사용된 전력량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검출된 전력량을 기초로 하여, 해당 충전에 대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또는 카운터에서 직접 지불하는 방식 등을 통하여, 운전자가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100) 운영업체, 즉 상기 충전 스테이션 운영업체에 지불하는 충전요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게 된다(S240).
단계 S230에서 기술한 정보를 수신한 전력공급업체(200)는, 해당 전기자동차 충전 전력량에 대한 전기료 산정에 있어서, 일반 전기요금과는 다른 별도의 과금체계를 적용받도록 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 납부주체에게 전기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S250). 즉,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에게 별도의 과금체계가 적용된 전기요금을 부과하고,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는 전기자동차 소유자(또는 운전자)에게 충전요금을 받도록 하는 방식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방법을 수행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그 방법에 대하여는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모듈의 기능에 대하여만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100)의 각 모듈을 제어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한다.
충전요청 수신모듈(120)은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충전 콘센트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60)에서 제공하는 충전 요청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량 검출모듈(130)은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한다.
전력사용 정보 전송모듈(140)은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충전이 이루어진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션 결제모듈(150)은 상기 검출된 전력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운영업체에 지불할 충전료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60)은,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설명한 모듈이며, 충전 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거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입력 수단을 제공한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 및 버튼 등의 입력부를 제공한다.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직접 터치 버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본 도면의 경우는 마트, 관공서 등의 공공장소나, 또는 가정집에 설치된 콘센트 등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500)은,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410).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는, 운전자가 충전 콘센트에 충전할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S411).
또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공하는(S412) 충전 요청 수단을 이용하여(S413)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요청 버튼이 제공되고, 운전자는 그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통신모듈로부터 해당 충전시설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ID를 수신한다(S420). 통신모듈은 전술한 공공장소나 가정집의 배전반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500)은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한다(S430). 이는 전력량계에서 계량된 전력량을 검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상기 충전 시설이 설치된 장소(이하 '충전 장소'라 한다)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200)로 전송하게 되는데(S440), 검출된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해 정해진 특정 콘센트 등에서 충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라든지, 그 외 전기자동차 충전 전력량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200)로 제공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충전 장소가 가정집인 경우에 상기 전력공급업체는, 상기 전송된 아이디(즉, 가정집의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주체에게 전기자동차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을 부과한다(S451).
또는 충전 장소가 마트, 관공서 등의 공공장소인 경우에는,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충전시 전력공급업체에 충전 전기요금에 대한 결제를 바로 수행하여 전기요금을 운전자가 즉시 납부할 수 있다(S452). 이때 이러한 공공장소의 경우에는 RFID 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에 의해 운전자가 전력공급업체에 전기료 납부 결제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운전자가 전기료를 즉시 납부하는 것이므로 해당 공공장소 등의 전기요금 납부주체에 대한 충전 전기요금은 면제되게 된다. 즉, 이 경우는, 앞서 전력공급업체 서버(200)로 전송된 해당 충전장소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주체의 아이디(ID)는, 그 납부주체에 대한 전기요금을 면제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S453).
이와 같은 경우들에서도,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력공급업체는, 일반 전기요금과는 별도의 전기자동차 전기요금 과금체계를 적용한 전기요금을 가정집, 또는 운전자에게 부과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방법을 수행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5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그 방법에 대하여는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500)의 각 모듈의 기능에 대하여만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5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500)의 각 모듈을 제어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한다.
충전요청 수신모듈(520)은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충전 콘센트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70)에서 제공하는 충전 요청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요금 납부 주체 ID 수신모듈(530)은 통신모듈로부터, 충전 시설이 설치된 장소(이하 '충전 장소'라 한다)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수신한다. 이때 통신모듈은 그 충전 장소의 배전반에 설치될 수 있다.
전력량 검출모듈(540)은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한다.
전력사용 정보 전송모듈(550)은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충전 장소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력공급업체 결제모듈(560)은 상기 충전 장소가 공공장소인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 소유자에게, 상기 충전에 대하여 상기 전력공급업체에 전기료 납부 결제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납부 결제를 수행한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RFID 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에 의해 운전자가 전력공급업체에 전기료 납부 결제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570)은,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설명한 모듈이며, 충전 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거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입력 수단을 제공한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 및 버튼 등의 입력부를 제공한다.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스크린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직접 터치 버튼을 제공할 수도 있다.
10: 충전 스테이션 또는 충전 콘센트
20: 충전 전기자동차
100, 500: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부과 서비스 시스템
200: 전력공급업체 서버

Claims (24)

  1.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충전이 이루어진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출된 전력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운영업체에 지불할 충전료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에 대하여,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이 부과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충전 콘센트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충전 요청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6.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충전요청 수신모듈;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량 검출모듈;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충전이 이루어진 충전 스테이션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전력사용 정보 전송모듈;
    상기 검출된 전력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전기자동차 운전자가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운영업체에 지불할 충전료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충전 스테이션 결제모듈; 및,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에 대하여,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이 부과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충전 콘센트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충전 과정 및 결제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거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입력 수단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의 화면을 통하여 충전 요청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상기 충전 요청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12.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통신모듈로부터 전기료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수신하는 단계;
    (c)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충전 시설이 설치된 장소(이하 '충전 장소'라 한다)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충전 장소가 공공장소인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 소유자에게, 상기 충전에 대하여 상기 전력공급업체에 전기료 납부 결제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납부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소가 공공장소인 경우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는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의 납부를 면제받으며, 상기 충전 장소가 가정집인 경우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에 대하여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이 부과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충전 콘센트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충전 요청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배전반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이,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충전요청 수신모듈;
    통신모듈로부터, 충전 시설이 설치된 장소(이하 '충전 장소'라 한다)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수신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 ID 수신모듈;
    충전 완료 후, 충전에 소요된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량 검출모듈;
    상기 검출된 전력량 정보 및, 상기 충전 장소에 대한 전기요금 납부 주체의 아이디(ID)를 포함하는 전력사용 정보를 전력공급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전력사용 정보 전송모듈;
    상기 충전 장소가 공공장소인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 소유자에게, 상기 충전에 대하여 상기 전력공급업체에 전기료 납부 결제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납부 결제를 수행하는 전력공급업체 결제모듈; 및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의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충전 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 주거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입력 수단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소가 공공장소인 경우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는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의 납부를 면제받으며, 상기 충전 장소가 가정집인 경우 상기 전송된 아이디에 해당하는 전기요금 납부 주체에 대하여 전력공급업체로부터 상기 충전에 대한 전기요금이 부과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전력사용 정보에는,
    상기 전력량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용으로 사용된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충전 콘센트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플러그를 꽂은 것을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 충전요청 신호의 수신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운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충전 요청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2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배전반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시스템.
KR1020130110009A 2013-09-12 2013-09-12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602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009A KR101602137B1 (ko) 2013-09-12 2013-09-12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009A KR101602137B1 (ko) 2013-09-12 2013-09-12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572A true KR20150030572A (ko) 2015-03-20
KR101602137B1 KR101602137B1 (ko) 2016-03-15

Family

ID=5302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009A KR101602137B1 (ko) 2013-09-12 2013-09-12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32A1 (ko) * 2017-03-13 2018-09-20 한찬희 주차장에 대한 충전시설 설치 시스템과 그 시스템을 통해 설치된 충전시설에 의해 수행된 충전에 따라 요금을 정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9384A (ja) * 2007-11-28 2009-06-11 Hitachi Ltd 電気自動車に対する充電料金算出方法
KR20110060099A (ko) 2009-11-30 2011-06-08 이정섭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KR20110084634A (ko) * 2010-01-18 2011-07-26 노영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산방법
KR20120009923A (ko) * 2010-07-22 2012-02-02 주식회사 엠에이티 공공주택에서의 전기차 충전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9384A (ja) * 2007-11-28 2009-06-11 Hitachi Ltd 電気自動車に対する充電料金算出方法
KR20110060099A (ko) 2009-11-30 2011-06-08 이정섭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인증을 통한 충전과금방법
KR20110084634A (ko) * 2010-01-18 2011-07-26 노영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요금 정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산방법
KR20120009923A (ko) * 2010-07-22 2012-02-02 주식회사 엠에이티 공공주택에서의 전기차 충전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32A1 (ko) * 2017-03-13 2018-09-20 한찬희 주차장에 대한 충전시설 설치 시스템과 그 시스템을 통해 설치된 충전시설에 의해 수행된 충전에 따라 요금을 정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137B1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5342B (zh) 一种电动车辆用充电系统以及电动车辆的车载充电方法
CN201766395U (zh) 交直流一体充电桩
CN105574998A (zh) 基于云平台的充电桩费用结算方法
JP5124247B2 (ja) 電気自動車に対する充電料金算出方法
EP2202113A2 (en) System and method for pay as you go charging for electric vehicles
US20130127416A1 (en)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method of using and providing the same
KR1016547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4767733A (zh) 基于智能手机的充电桩授权系统及授权方法
CN103123732A (zh) 一种公用充电管理系统及充电方法
KR20100006913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요금 정산 시스템
AU20122014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charging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CN111347913B (zh) 充电系统
US9677909B2 (en) Electricity meter
JP2012098798A (ja) 充電システム
CN103854373B (zh) 基于套餐结算模式的电动交通工具用电计费方法及装置
CN103518308A (zh) 供电设备、方法以及程序
CN108986320A (zh) 电动汽车充电的结算方法、智能插座以及智能支付系统
WO2012012021A1 (en) System for interfacing wit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method of using and providing the same
Muharam et al. A development of smart metering infra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point
KR101602137B1 (ko) 전기자동차 충전시 전기료 차등 부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2022127463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127074A (ja) 駐車場管理および電気自動車充電管理システム
KR101684322B1 (ko) 수전과 송전기능을 구비한 전기자동차의 충전시스템
CN205231792U (zh) 能够提供无线网络的充电桩
KR20110072531A (ko) 전력 거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