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221B1 -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 - Google Patents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221B1
KR101852221B1 KR1020137019524A KR20137019524A KR101852221B1 KR 101852221 B1 KR101852221 B1 KR 101852221B1 KR 1020137019524 A KR1020137019524 A KR 1020137019524A KR 20137019524 A KR20137019524 A KR 20137019524A KR 101852221 B1 KR101852221 B1 KR 10185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pressur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222A (ko
Inventor
이츠히로 하타나카
나오미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25Copolymer of an unspecified olefine with a monomer other than an olef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5Composition of adhesive or bonding component specifi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박리성이 우수한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는, 발포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의 아크릴판에 대한 180° 박리력(인장 속도: 0.3m/min)이 0.1N/20mm 이상 2.5N/2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미만인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는 점착제층,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 A 및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폴리올레핀 B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B의 비율이 폴리올레핀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3 내지 30중량%인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FOAM LAMINATE FOR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체층의 적어도 편면측에 점착제층을 갖고, 전기·전자 기기(휴대 전화, 휴대 단말,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영화, 개인용 컴퓨터, 액정 텔레비전, 기타 가전 제품 등)용 개스킷으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발포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발포체에서, 접착성이나 시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발포체의 표면에 수지층을 설치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예컨대, 시일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발포체 상에 유연층이나 점착층을 형성한 발포 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방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발포체 표면에 이수용(易水溶)층(폴리바이닐알코올층 등)이 설치된 발포체(특허문헌 3 참조)나, 접착성 발현을 위해 발포체 표면을 폴리클로로프렌계 접착제 조성물로 처리한 발포체(특허문헌 4 참조) 등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발포 적층체에서는, 발포체 상에 층을 형성할 때에 가열 건조 공정이 필요하여, 내열성이 낮고 밀도가 낮은 발포체 등은 건조 시에 수축해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 온도를 낮게 하면, 3일 내지 7일 등 장시간의 가온이 필요해져, 효율이 좋지 않다.
또한, 발포체의 표면에 수지층을 설치할 때에 가열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방법으로서, 발포체 상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공압(共押)하여 적층 접착하는 것에 의해 수지층을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5 참조).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수지 적층 발포체는, 수지층 표면에 다수의 요철이 존재하기 때문에, 방진성(防塵性)이 불안하였다. 또한, 발포체 표면에 열 용융(hot melt) 수지를 도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6 참조). 그러나, 열 용융 수지 중에 고결정성 수지가 다량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수득된 수지층의 물성이 매우 딱딱하여, 구부렸을 때 등에 층에 균열이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또한, 발포체 상에, 접착력이 높은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설치하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발포체에서는, 전기·전자 기기에의 접합 시의 재가공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평9-13182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2-30919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0-3732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5-2414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9-18418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4-284575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박리성이 우수한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박리성이 우수함과 함께, 방진성(특히 동적 방진성)이 우수한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추가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박리성이 우수함과 함께, 내열성이 우수한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발포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는 발포 적층체의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의 아크릴판에 대한 180° 박리력을 특정한 범위 내로 하면, 우수한 재박리성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해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특정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으로 하면, 우수한 재박리성과 함께, 방진성(특히 동적 방진성)이나 내열성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해냈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는, 발포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의 아크릴판에 대한 180° 박리력(인장 속도: 0.3m/min)이 0.1N/20mm 이상 2.5N/2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미만인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는 점착제층,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 A 및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폴리올레핀 B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B의 비율이 폴리올레핀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3 내지 30중량%인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1 내지 30Pa·s의 200℃에서의 용융 점도를 갖는 열 용융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층의 겉보기 밀도는 0.02 내지 0.30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아크릴판에 대한 180° 박리력이 특정한 범위 내인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기 때문에, 재박리성이 우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특정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 면, 재박리성이 우수함과 함께, 방진성(특히 동적 방진성)이나 내열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 3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측정)에 의해 수득된 챠트(DSC 곡선)이다.
도 2는 동적 방진성 평가 시에 이용되는 평가용 샘플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동적 방진성 평가용 평가 용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동적 방진성 시험의 시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a)는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평가 용기(동적 방진성 평가용 평가 용기)의 평면도이며, 도 5(b)는 동일한 평가 용기의 A-A'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는, 발포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는 발포 적층체이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폴리올레핀을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아크릴판에 대한 180° 박리력(인장 속도: 0.3m/min)이 0.1N/20mm 이상 2.5N/20mm 이하인 점착제층이다. 본원에서는, 「아크릴판에 대한 180° 박리력(인장 속도: 0.3m/min)」을 간단히 「아크릴판에 대한 박리력(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아크릴판에 대한 박리력이 0.1N/20mm 이상 2.5N/20mm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를 간단히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시트상이나 테이프상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사용 시에, 이용되는 전기·전자 기기, 장치, 하우징, 부품 등에 따라, 원하는 형상을 갖도록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의 점착제층은, 사용 시까지, 박리 필름(세퍼레이터)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발포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층을 개재시켜,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 적층물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발포체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직접적으로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발포체층의 양쪽의 면측에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는 양면 점착 타입이어도 좋고, 발포체층의 한쪽의 면측에만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는 편면 점착 타입이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가 양면 점착 타입인 경우, 양쪽의 점착제층이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인 타입이어도 좋고, 한쪽의 면측의 점착제층이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며, 다른 쪽의 면측이 그 밖의 점착층(예컨대, 공지된 점착제층,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 등)인 타입이어도 좋다.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아크릴판에 대한 박리력(박리 각도: 180°, 인장 속도: 0.3m/min)이 0.1N/20mm 이상 2.5N/20mm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2N/20mm 이상 2.3N/20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N/20mm 이상 2.0N/20mm 이하이다. 상기 아크릴판에 대한 박리력이 0.1N/20mm 미만이면, 발포 적층체가 적용되는 피착체에 대하여 점착성을 발휘하기 곤란해지고, 방진성의 특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판에 대한 박리력이 2.5N/20mm를 초과하면, 발포 적층체가 적용되는 피착체에 대하여 재박리성을 발휘하기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의 결정 융해 에너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J/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J/g 이하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40J/g 이하이다. 상기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을 초과하면, 점착제층의 유연성이나 미(微)점착성이 손상되고, 방진성, 특히 동적 방진성(동적 환경 하에서의 방진성)의 저하 등이 우려된다.
한편, 본원에서, 결정 융해 에너지란, 10℃/min의 승온 속도로의 가열에 의해 시료를 용융시키고(제 1 가열), 다음으로 10℃/min의 강온 속도로의 냉각에 의해 -50℃까지 시료를 강온시키고(제 1 냉각), 그리고 10℃/min의 승온 속도로의 가열에 의해 -50℃로부터 시료를 승온시킨다(제 2 가열)는 조건에서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을 행하여, 상기 제 2 가열 시에 구해지는 융해열(J/g)을 말한다. 또한, 결정 융해 에너지를 구할 때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은, JIS K7122(플라스틱의 전이 열 측정 방법)에 준거한다.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는,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이 포함된다.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 중의 폴리올레핀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60중량% 이상(예컨대 60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예컨대 80 내지 100중량%)이다.
한편,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는, 1종의 폴리올레핀만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이 조합되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는, 폴리올레핀 이외의 수지나 첨가제 등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로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미만인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는, 상기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미만인 폴리올레핀」을 「폴리올레핀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올레핀 A는, 이른바 비결정성의 폴리올레핀이며, 거의 결정 구조를 갖지 않는다.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폴리올레핀 A가 포함되어 있으면, 재박리성에 더하여, 유연성이나 미점착성을 발휘하기 쉬워진다. 또한, 발포 적층체의 방진성(특히 동적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는, 폴리올레핀 A가 1종만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A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즉,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상기 아크릴판에 대한 박리력이 0.1N/20mm 이상 2.5N/20mm 이하이며,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A는,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미만(예컨대 5J/g 이상 50J/g 미만)인 폴리올레핀이며, 바람직하게는 결정 융해 에너지가 45J/g 미만(예컨대 7J/g 이상 45J/g 미만)인 폴리올레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정 융해 에너지가 40J/g 미만(예컨대 10J/g 이상 40J/g 미만)인 폴리올레핀이다.
폴리올레핀 A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線狀)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 A는 단독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혼합물이거나, 복수 종의 공중합체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또한, 폴리올레핀 A가 공중합체인 경우, 랜덤 코폴리머나 블록 코폴리머이어도 좋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1-뷰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α-올레핀은, 1-뷰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아세트산바이닐, 아크릴산, 아크릴산에스터,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에스터, 바이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α-올레핀이나 상기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하여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특히, 폴리올레핀 A는, 내열성과 유연성의 점에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상기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 A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84 내지 0.89g/cm3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 내지 0.89g/cm3이다. 밀도가 0.89g/cm3을 초과하면, 수지의 유연성이나 미점착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밀도가 0.84g/cm3 미만이면, 성형성 저하나 내열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폴리올레핀 A의 시판품으로서는, 예컨대 상품명 「타프셀렌 H5002」(스미토모화학사제,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결정 융해 에너지: 11.3J/g, 밀도: 0.86g/cm3), 상품명 「노티오 PN20300」(미쓰이화학사제,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결정 융해 에너지: 23.4J/g, 밀도: 0.868g/cm3), 상품명 「리코센 PP1502」(클라리언트사제,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결정 융해 에너지: 26.0J/g, 밀도: 0.87g/cm3), 상품명 「리코센 PP1602」(클라리언트사제,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결정 융해 에너지: 26.9J/g, 밀도: 0.87g/cm3), 상품명 「리코센 PP2602」(클라리언트사제,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결정 융해 에너지: 39.8J/g, 밀도: 0.89g/cm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올레핀 A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 포함되는 폴리올레핀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70중량% 이상(예컨대 70 내지 100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이상(예컨대 75 내지 100중량%)이다. 한편, 폴리올레핀 A의 비율이 70중량% 미만이면,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서 충분한 재박리성을 얻으면서, 양호한 유연성이나 미점착성을 얻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는, 폴리올레핀 A와 함께,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폴리올레핀(폴리올레핀 B)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서, 폴리올레핀 A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B가 포함되어 있으면, 재박리성 등의 상기 특성에 더하여, 내열성을 발휘하기 쉬워진다. 본원에서는, 상기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폴리올레핀」을 「폴리올레핀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올레핀 B는, 이른바 결정성의 폴리올레핀이며, 결정 구조를 많이 포함한다. 한편,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는, 폴리올레핀 B가 1종만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B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즉,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폴리올레핀 A 및 폴리올레핀 B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B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 B는 단독 중합체와 공중합체의 혼합물이거나, 복수 종의 공중합체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또한, 폴리올레핀 B가 공중합체인 경우, 랜덤 코폴리머나 블록 코폴리머이어도 좋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1-뷰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α-올레핀은, 1-뷰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아세트산바이닐, 아크릴산, 아크릴산에스터,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에스터, 바이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α-올레핀이나 상기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하여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폴리올레핀 B는, 내열성의 점에서, 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상기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레핀 B의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90 내지 0.91g/cm3이 바람직하다. 밀도가 0.90g/cm3 미만이면,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밀도가 0.91g/cm3을 초과하는 폴리올레핀 B는 입수가 곤란하다.
폴리올레핀 B의 시판품으로서는, 예컨대 상품명 「하이왁스 NP055」(미쓰이화학사제,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결정 융해 에너지: 89.1J/g, 밀도: 0.90g/cm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A 및 폴리올레핀 B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폴리올레핀 B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 포함되는 폴리올레핀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3 내지 3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8중량%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중량%이다. 폴리올레핀 B의 비율이 30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딱딱해져, 발포 적층체의 유연성이나 미점착성이 손상되거나, 발포 적층체의 방진성(특히 동적 방진성)이 저하되거나,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 취성이 될 우려가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 B의 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 있어서 충분한 내열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즉,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상기 아크릴판에 대한 박리력이 0.1N/20mm 이상 2.5N/20mm 이하이며, 폴리올레핀 A 및 폴리올레핀 B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B의 비율이,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 포함되는 폴리올레핀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3 내지 30중량%인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점착 부여제(점착 부여 수지),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가소제, 착색제, 충전제, 그 밖의 수지(폴리올레핀 A 및 폴리올레핀 B 이외의 수지)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한편, 첨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특히,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점착 부여제(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고 있으면,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예컨대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의 내(耐)미끄럼성이나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점착 부여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연화점(JIS K2207에 준거)이 70 내지 180℃인 수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화점이 80 내지 160℃인 수지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화점이 90 내지 150℃인 수지이다. 한편, 연화점이 지나치게 높으면, 재박리성의 저하나, 수지 유연성이나 미점착성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연화점이 지나치게 낮으면, 내열성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점착 부여제는, 상기 연화점을 갖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지방족계 석유 수지, 완전 수첨 지방족계 석유 수지, 부분 수첨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완전 수첨 방향족계 석유 수지, 부분 수첨 방향족계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재박리성이 손실될 우려가 있는 한편,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점착 부여제가 함유됨으로써 기대되는 효과(예컨대, 방진성의 추가적인 향상)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점착 부여제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 100중량부(폴리올레핀 A 및 폴리올레핀 B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폴리올레핀 A 및 폴리올레핀 B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25중량부 이하(예컨대 1 내지 2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하(예컨대 3 내지 2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발포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상기 특정한 점착제층(특히,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는데, 상기 특정한 점착제층의 두께(특히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이다. 상기 두께가 1㎛ 미만이면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는 한편, 두께가 50㎛를 초과하면 발포 적층체의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특정한 점착제층은 단층 구조이어도 좋고, 적층 구조이어도 좋다.
(발포체층)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발포체층을 갖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유연성,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다. 한편, 상기 발포체층은, 수지 조성물을 발포시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원료로서의 수지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 등을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성물이다.
상기 발포체층은 기포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포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독립 기포 구조, 반연속 반독립 기포 구조(독립 기포 구조와 연속 기포 구조가 혼재되어 있는 기포 구조이며, 독립 기포 구조와 연속 기포 구조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 연속 기포 구조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특히, 상기 발포체층은, 보다 양호한 유연성을 얻는다는 점에서, 연속 기포 구조 또는 반연속 반독립 기포 구조의 기포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연속 반독립 기포 구조로서는, 예컨대 기포 구조 중의 독립 기포 구조부가 40%(부피%) 이하(바람직하게는 30%(부피%) 이하)로 되어 있는 기포 구조를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체층의 밀도(겉보기 밀도)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0.02 내지 0.20g/cm3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7g/cm3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15g/cm3이다. 발포체층의 밀도가 0.20g/cm3을 초과하면, 발포가 불충분해져, 유연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0.02g/cm3 미만이면, 발포체층의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발포체층의 밀도는, 아래와 같이 하여 구해진다. 40mm×40mm의 타발 칼날형으로 발포체층을 타발하고, 타발된 시료의 치수(세로, 가로)를 측정한다. 또한, 측정 단자의 직경(φ) 20mm인 1/100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로 상기 시료의 두께를 측정한다. 상기 시료의 치수 및 상기 시료의 두께의 값으로부터 상기 시료의 부피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시료의 중량을 최소 눈금 0.01g 이상의 윗접시 저울로 측정한다. 상기 시료의 부피 및 상기 시료의 중량의 값으로부터 상기 발포체층의 밀도(g/cm3)를 산출한다.
상기 발포체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방진 성능이나 충격 흡수성의 점에서, 또한 박형, 소형, 세폭(細幅) 등의 형상을 갖는 전자 또는 전기 기기에 대한 적용성의 점에서, 0.1mm 내지 5m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3mm이다.
상기 발포체층은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발포체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열가소성을 나타내고, 가스(기포를 형성하는 가스)가 함침 가능한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포체층은 1종의 수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예컨대, 뷰텐-1, 펜텐-1, 헥센-1, 4-메틸펜텐-1 등)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다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예컨대, 아세트산바이닐, 아크릴산, 아크릴산에스터,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에스터, 바이닐알코올 등)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ABS 수지) 등의 스타이렌계 수지; 6-나일론, 66-나일론, 12-나일론 등의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에터이미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바이닐; 폴리불화바이닐; 알켄일 방향족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가 공중합체인 경우,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의 어느 쪽의 형태의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그 중에서도,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넓고 또한 고분자량 측에 숄더(shoulder)를 갖는 타입의 수지, 미(微)가교 타입의 수지(약간 가교된 타입의 수지), 장쇄 분기 타입의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예컨대, 하기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도 포함된다. 상기 발포체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포함되어 있으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유리전이온도는 실온 이하(예컨대 20℃ 이하)이기 때문에, 발포체층의 유연성 및 형상 추종성이 현저히 우수해진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천연 고무, 폴리아이소뷰틸렌, 폴리아이소프렌, 클로로프렌 고무, 뷰틸 고무, 나이트릴 뷰틸 고무 등의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폴리뷰텐, 염소화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 및 그들의 수소 첨가물 등의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올레핀계 수지 성분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나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고무와 같은 올레핀계 고무 성분이 마이크로 상분리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각 성분을 물리적으로 분산시킨 타입이거나, 가교제의 존재 하에, 동적으로 열처리한 타입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 예시되어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상용성이 양호하다.
특히, 상기 발포체층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제외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및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제외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비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비율이 지나치게 적으면 발포체층의 쿠션성이 저하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는 한편,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비율이 지나치게 많으면 기포 구조 형성 시에 가스 방출이 발생되기 쉬워져, 발포체층에서 고발포의 기포 구조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상기 발포체층이, 폴리프로필렌 등의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제외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비율(중량 기준)은, 전자/후자로 1/99 내지 99/1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90/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80/20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발포체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용융 유량(MFR)은 0.1 내지 30g/10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15g/10mi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내지 10g/10min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MFR이 30g/10min보다 높으면, 수지 조성물이 부드러워, 발포 시에 가스 방출이 쉬운 경우가 있고, 0.1g/10min보다 낮으면, 수지 조성물이 지나치게 딱딱해져 압출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MFR은 특별히 부정하지 않는 한, 「230℃, 98N」에서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발포체층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첨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기포핵제(후술하는 입자 등), 결정핵제, 가소제, 활제, 착색제(안료, 염료 등),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충전제, 보강제, 대전 방지제, 계면 활성제, 장력 개질제, 수축 방지제, 유동성 개질제, 클레이(clay), 가황제, 표면 처리제, 난연제(후술하는 분말상의 난연제, 분말상 이외의 각종 형태의 난연제 등)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첨가제의 양은 기포의 형성 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상기 발포체층에는, 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는 수지 조성물의 발포 성형 시의 기포핵제(발포핵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에 입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발포체층에서 양호한 발포 상태의 기포 구조가 얻어진다. 상기 입자로서는, 예컨대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산화아연, 산화타이타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마이카,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클레이, 카본 입자, 유리 섬유, 카본 튜브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입자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된다.
상기 입자로서는, 평균 입자 직경(입경)이 0.1 내지 20㎛인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0.1㎛ 미만에서는 핵제로서 충분히 기능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 한편, 입경이 20㎛를 초과하면 발포 성형 시에 가스 방출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발포체층에 있어서의 입자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수지 조성물에서는, 수지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30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중량부이다. 0.1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발포 성형 시에 기포핵제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어, 발포체층에서 균일한 기포 구조를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는 한편, 15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현저히 상승함과 함께, 발포 형성 시에 가스 방출이 발생되어, 발포 특성을 손상시키고, 고발포의 기포 구조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발포체층에는, 난연제(분말상의 난연제, 분말상 이외의 각종 형태의 난연제 등)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 용도 등의 난연성의 부여가 불가결한 용도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상기 발포체층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하기 쉽다고 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분말상의 난연제는, 무기 난연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난연제로서는, 예컨대 브롬계 난연제, 염소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안티몬계 난연제, 비할로젠-비안티몬계 무기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염소계 난연제나 브롬계 난연제는, 연소 시에 인체에 대하여 유해하고 기기류에 대하여 부식성을 갖는 가스 성분을 발생시키고, 또한 인계 난연제나 안티몬계 난연제는, 유해성이나 폭발성 등의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무기 난연제는, 비할로젠-비안티몬계 무기 난연제가 바람직하다. 비할로젠-비안티몬계 무기 난연제로서는, 예컨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산화니켈의 수화물, 산화마그네슘·산화아연의 수화물 등의 수화 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수화 금속 산화물은 표면 처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분말상의 난연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된다.
상기 발포체층에 있어서의 난연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난연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고발포의 기포 구조를 얻기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예컨대, 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분말상의 난연제의 함유량은, 수지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0중량부이다.
한편, 상기 분말상의 난연제는, 기포핵제로서 기능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발포체층은, 충분한 난연성과 고발포의 기포 구조의 양립을 얻는다는 점에서, 기포핵제 및 난연제의 양쪽이 포함되는 것보다, 기포핵제로서도 기능하는 분말상의 난연제만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체층은, 원료로서의 수지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 등을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성물인 수지 조성물을 발포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수지 조성물을 발포 성형할 때에 사용되는 발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물리적 방법(저비점 액체(발포제)를 수지 조성물에 분산시키고, 다음으로 가열하여 발포제를 휘발시킴으로써 기포를 형성시키는 방법), 화학적 방법(수지 조성물에 첨가한 화합물(발포제)의 열 분해에 의해 발생된 가스에 의해 기포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을 발포 성형할 때에 이용되는 발포 방법은, 물리적 발포 방법이 바람직하고, 특히, 셀 직경이 작고, 또한 셀 밀도가 높은 기포 구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발포제로서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는 물리적 발포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로서의 가스는, 수지 조성물 중의 수지에 대하여 불활성인 가스인 불활성 가스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포체층은, 발포제로서 고압의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는 물리적 발포 방법에 의해 수지 조성물을 발포하여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활성 가스는, 발포체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하여 불활성이고, 또한 함침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이산화탄소, 질소 가스, 공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불활성 가스는, 수지에의 함침량이 많고, 함침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이산화탄소가 바람직하다. 한편, 불활성 가스는 혼합 가스이어도 좋다.
또한, 함침 속도를 빠르게 한다고 하는 점에서, 상기 고압의 가스(특히 불활성 가스, 나아가서는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상태의 가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초임계 상태에서는, 수지에의 가스의 용해도가 증대되어, 고농도의 혼입이 가능하다. 또한, 함침 후의 급격한 압력 강하 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농도로 함침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포핵의 발생이 많아지고, 그 기포핵이 성장하여 생성된 기포의 밀도는, 기공률이 같아도, 커지기 때문에, 미세한 기포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의 임계 온도는 31℃, 임계 압력은 7.4MPa이다.
상기 발포제로서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는 물리적 발포 방법은, 수지 조성물에 고압의 가스를 함침시킨 후, 감압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미(未)발포 성형물에 고압의 가스를 함침시킨 후, 감압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이나, 용융한 수지 조성물에 가스를 가압 상태 하에서 함침시킨 후, 감압과 함께 성형에 붙여 발포시키는 방법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포체층은, 미리 수지 조성물을, 시트상 등의 적당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미발포 수지 성형체(미발포 성형물)로 한 후, 이 미발포 수지 성형체에 고압의 가스를 함침시키고, 압력을 해방함으로써 발포시키는 배치 방식에 의해 얻어져도 좋고, 수지 조성물을 가압 하에, 고압의 가스와 함께 혼련하고, 성형함과 동시에 압력을 해방하여, 성형과 발포를 동시에 행하는 연속 방식으로 얻어져도 좋다.
상기 배치 방식에 있어서, 미발포 수지 성형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법; 수지 조성물을, 롤러, 캠(cam), 니더, 밴버리형 등의 날개를 설치한 혼련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련해 두고, 열판의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프레스 성형하는 방법;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미발포 수지 성형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시트상, 롤상, 판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배치 방식에서는, 원하는 형상이나 두께의 미발포 수지 성형체가 얻어지는 적당한 방법에 의해 수지 조성물이 성형된다.
상기 배치 방식에서는, 미발포 수지 성형체를 내압 용기 중에 넣고, 고압의 가스를 주입(도입)하여, 미발포 수지 성형체 내에 고압의 가스를 함침시키는 가스 함침 공정, 충분히 고압의 가스를 함침시킨 시점에서 압력을 해방하여(보통, 대기압까지), 수지 중에 기포핵을 발생시키는 감압 공정을 경유하여, 기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속 방식에서는,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예컨대,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나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혼련하면서, 고압의 가스를 주입(도입)하여, 충분히 고압의 가스를 수지 조성물에 함침시키는 혼련 함침 공정, 압출기의 선단에 설치된 다이스 등을 통해서 수지 조성물을 압출함으로써 압력을 해방하여(보통, 대기압까지), 성형과 발포를 동시에 행하는 성형 감압 공정에 의해 수지 조성물이 발포 성형된다.
상기 배치 방식이나 연속 방식에서는, 필요에 따라, 가열에 의해 기포핵을 성장시키는 가열 공정이 설치되어도 좋다. 한편, 가열 공정을 설치하지 않고서, 실온에서 기포핵을 성장시켜도 좋다. 또한, 기포를 성장시킨 후, 필요에 따라 냉수 등에 의해 급격히 냉각하여, 형상을 고정화시켜도 좋다. 고압의 가스의 도입은, 연속적으로 행하여도 좋고 불연속적으로 행하여도 좋다. 한편, 기포핵을 성장시킬 때의 가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 욕조, 오일 욕조, 열 롤, 열풍 오븐, 원적외선, 근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의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치 방식이나 상기 연속 방식에서, 가스의 혼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수지 조성물 중의 수지 전량에 대하여 2 내지 10중량%이다.
상기 배치 방식의 가스 함침 공정이나 상기 연속 방식의 혼련 함침 공정에서, 가스를 함침시킬 때의 압력은, 가스의 종류나 조작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되지만, 예컨대 가스로서 불활성 가스, 특히 이산화탄소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6MPa 이상(예컨대, 6 내지 100MPa)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MPa 이상(예컨대, 8 내지 100MPa)이다. 가스의 압력이 6MPa보다 낮은 경우에는, 발포 시의 기포 성장이 현저하여, 기포 직경이 지나치게 커져, 예컨대 방진 효과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압력이 낮으면 가스의 함침량이 고압 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어, 기포핵 형성 속도가 저하되어, 형성되는 기포핵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1기포당 가스량이 반대로 증가되어 기포 직경이 극단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6MPa보다 낮은 압력 영역에서는, 함침 압력을 조금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기포 직경, 기포 밀도가 크게 변하기 때문에, 기포 직경 및 기포 밀도의 제어가 곤란해지기 쉽다.
또한, 상기 배치 방식에 있어서의 가스 함침 공정이나 상기 연속 방식에 있어서의 혼련 함침 공정에서, 가스를 함침시킬 때의 온도(함침 온도)는, 이용하는 가스나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고, 넓은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조작성 등을 고려한 경우, 10 내지 350℃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치 방식에서의 함침 온도는 1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40℃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30℃이다. 또한, 연속 방식에서는, 함침 온도는 60 내지 3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20℃이며,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이다. 한편, 고압의 가스로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초임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함침 시의 온도(함침 온도)는 32℃ 이상(특히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치 방식이나 상기 연속 방식에 있어서, 감압 공정에서의 감압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균일한 미세 기포를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MPa/초이다. 추가로, 또한 가열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는, 예컨대 40 내지 2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50℃이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발포·성형할 때에 상기 발포제로서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는 물리적 발포 방법을 이용하면, 고발포의 기포 구조가 얻어지고, 발포체층의 두께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예컨대, 0.50 내지 5.00mm의 두께를 갖는 발포체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발포체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mm 내지 5m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3mm이다. 두께가 0.1mm 미만이면, 발포 적층체의 방진 성능의 저하나 쿠션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한편, 두께가 5mm를 초과하면, 박형, 소형, 세폭 등의 형상을 갖는 전자 또는 전기 기기에 발포 적층체를 적용하기 곤란해진다. 한편, 발포체층의 두께는, 미리 두께가 있는 발포체층을 얻고 나서, 원하는 두께로 슬라이스 가공함으로써 조정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상기 발포제로서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는 물리적 발포 방법에 있어서, 두께가 있는 발포체층을 얻기 위해서는, 상대 밀도[발포 후의 밀도/미발포 상태에서의 밀도(예컨대, 수지 조성물의 밀도나 미발포 성형물의 밀도 등)]가 0.02 내지 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내지 0.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대 밀도가 0.30을 초과하면 발포가 불충분해지고, 발포체층의 유연성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대 밀도가 0.02 미만에서는 발포체층의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발포체층의 기포 구조, 밀도, 상대 밀도는 발포체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수지 조성물을 발포 성형할 때의 발포 방법이나 발포 조건(예컨대, 발포제의 종류나 양, 발포 시의 온도나 압력이나 시간 등)을 선택함으로써 조정된다.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0.02 내지 0.20g/cm3의 밀도(겉보기 밀도)를 갖는 발포체층은, 상기 발포제로서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는 물리적 발포 방법에 있어서, 150℃ 내지 190℃의 온도 분위기 하, 10MPa 내지 30MPa의 압력 하에서, 발포제로서의 가스(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가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를 수지 조성물에 함침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층)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나 발포체층 이외에, 그 밖의 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그 밖의 층으로서는, 예컨대 발포체층과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층(예컨대,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하도(下塗)층, 심재(芯材)로서 작용하는 기재층(예컨대, 필름층, 부직포층 등)),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층(그 밖의 점착층)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발포체층의 편면측 또는 양면측에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설치함으로써 제작된다.
예컨대, 발포체층의 적어도 편면측에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는 발포 적층체는, 발포체층의 적어도 편면측에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시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조성물은,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인 것이며, 점착제를 형성하는 조성물도 포함한다.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A나 폴리올레핀 B 등의 폴리올레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첨가제 등의 원료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한편, 원료를 혼합하는 때는, 열이 가해지고 있어도 좋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때는, 작업성의 점에서, 승온시켜 용융 상태의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조성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조성물의 용융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발포체층 상에 정밀도 좋게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등의 정밀도 좋은 도포성을 얻는 점에서, 예컨대 200℃에서의 용융 점도로 1 내지 30Pa·s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Pa·s이다. 30Pa·s를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 균일하게 도포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는 한편, 1Pa·s 미만이면,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 도공 시에 유동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하기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이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조성물의 용융 점도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의 용융 점도이기도 하다.
즉, 상기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은, 열 용융 점착제층(열 용융 타입, 상온에서는 고형의 점착제 조성물을 가열 용융시켜 도포하고 나서, 냉각함으로써 형성되는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 내지 30Pa·s의 200℃에서의 용융 점도를 갖는 열 용융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박형, 소형, 세폭 등의 형상을 갖는 전자 또는 전기 기기에의 적용의 점에서, 0.1mm 내지 5mm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3mm이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하기의 내열성의 평가 방법에 의해 평가되는 내열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 평가되는 내열성이 불량이면, 전기·전자 기기의 사용 중에, 내부에 편입된 발포 적층체 중의 점착제층이 녹아 발포 적층체 밖으로 밀려나와, 예컨대 전기·전자 기기의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전기·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대하여 시인성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내열성의 평가 방법
두께가 압축 전의 50%가 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샘플을, 60℃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72시간 보존하고, 점착제층의 발포 적층체 밖으로의 밀려나옴이 발생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점착제층의 밀려나옴이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양호라고 평가하는 한편, 점착제층의 밀려나옴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를 불량이라고 평가한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기 때문에, 양호한 재박리성을 갖는다. 본원에서, 「재박리성」이란,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 맞닿는 형태로 피착체에 부착한 발포 적층체를 피착체로부터 벗길 때에, 발포체층의 파괴 등의 발포 적층체의 파손 및 피착체에의 오염이 발생됨이 없이,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재박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부재의 리사이클이나 자원 절약화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점착제층으로서,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는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면, 재박리성에 더하여, 유연성이나 미점착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는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면, 방진성, 특히 동적 방진성(동적 환경 하에서의 방진 성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점착제층으로서, 폴리올레핀 A 및 폴리올레핀 B를 포함하는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면, 상기에 더하여, 내열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내열성이 양호하면, 치수 안정성(온도나 시간이 변화되어도 치수 변화가 적은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전기·전자 기기의 내부에 편입되는 경우가 많아, 전기·전자 기기의 사용에 의해 전기·전자 기기의 내부에서는 60 내지 100℃의 온도 분위기 하로 상정되지만, 내열성이 양호하면, 상기 온도 분위기 하에서, 성능의 저하나 열화를 발생시키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점착제층으로서, 메탈로센을 촉매로 하는 중합에 의해 수득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특정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고 있으면, 상기에 더하여, 저오염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가 저오염성이면, 예컨대 발포 적층체가 편입된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를 해체할 때나 발포 적층체를 전기 또는 전자 기기에 편입한 경우에서의 재가공 시에서, 발포 적층체를 기기 하우징의 수지면이나 금속면, 화상 표시부의 유리면 등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기기 하우징의 수지면이나 금속면, 화상 표시부의 유리면 등에의 오염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가 저오염성이면, 발포 적층체를 전기 또는 전자 기기에 편입하는 경우에서의 재가공 시에 유리하며, 또한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부품, 부재, 하우징 등의 리사이클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예컨대 휴대 전화, 휴대 단말,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영화, 개인용 컴퓨터, 액정 텔레비전, 기타 가전 제품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에서,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 또는 부품을 소정의 부위에 설치하는(장착하는) 때에 이용되는 때의 개스킷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를 이용하여 설치(장착) 가능한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 또는 부품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전기발광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장착되는 화상 표시 부재(특히, 소형의 화상 표시 부재)나, 이른바 「휴대 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 등의 이동체 통신의 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나 렌즈(특히, 소형의 카메라나 렌즈) 등의 광학 부재 또는 광학 부품 등을 들 수 있다.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류)
본 발명의 발포 적층체에 의해,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류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부재 또는 부품이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를 개재시켜 소정의 부위에 설치된(장착된)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류로서는, 예컨대 광학 부재 또는 부품으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 전기발광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특히, 소형의 화상 표시 부재가 광학 부재로서 장착되어 있는 화상 표시 장치)나, 카메라나 렌즈(특히, 소형의 카메라 또는 렌즈)가 상기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를 개재시켜 장착된 구성을 갖고 있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류(예컨대, 이른바 「휴대 전화」나 「휴대 정보 단말」 등의 이동체 통신의 장치 등)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류는, 종래의 것보다 박형화된 제품이어도 좋고, 그 두께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포체층의 제조예 1)
폴리프로필렌(용융 유량(MFR): 0.35g/10min): 50중량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용융 유량(MFR): 6g/10min, JIS A 경도: 79°): 55중량부, 카본 블랙(상품명 「아사히#35」, 아사히카본주식회사제): 6중량부, 및 수산화마그네슘(평균 입자 직경: 0.7㎛): 10중량부를, 니폰제강소(JSW)사제의 2축 혼련기에서, 200℃의 온도에서 혼련한 후, 스트랜드상으로 압출하고, 수냉 후 펠렛상으로 성형했다. 한편, 펠렛의 연화점은 155℃였다.
이 펠렛을, 니폰제강소(JSW)사제의 단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220℃의 분위기 하, 혼련하면서, 22(주입 후 19)MPa의 압력에서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했다. 이산화탄소 가스를 충분히 포화시킨 후, 발포에 적합한 온도까지 냉각 후, 다이로부터 압출하여, 반연속 반독립 구조를 갖는 발포체를 수득했다. 한편, 이 발포체는 시트상의 형상을 갖고, 밀도는 0.05g/cm3이며, 두께는 2.0mm였다.
그리고, 이 발포체를 슬라이스하여, 두께 0.5mm의 발포체층(발포체층 A)(시트상의 발포체)을 수득했다.
(실시예 1 내지 9)
도요정기제작소사제의 라보 플라스토밀(혼련 압출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각 실시예의 재료를 투입하고, 회전수: 30rpm, 온도: 140℃의 조건에서 5분간 혼련하고, 추가로 온도: 200℃로 승온시켜 10분간 혼련하여, 각 실시예의 점착제 조성물을 수득했다.
다음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용융 온도: 200℃의 조건 하에서, 코팅 머신(장치명 「GPD-300」, 유리롤기계주식회사제)을 이용하여, 상기 발포체층 A 상에 30㎛의 두께로 도공하여, 각 실시예의 발포 적층체를 제작했다. 한편, 이 발포 적층체는 시트상의 형상을 갖고, 발포체층/점착제층의 층 구성을 갖는다.
(비교예 1)
상기 발포체층의 제조예 1에서 얻은 발포체층을 그대로 사용했다.
(비교예 2, 3 및 4)
도요정기제작소사제의 라보 플라스토밀(혼련 압출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각 비교예의 재료를 투입하고, 회전수: 30rpm, 온도: 140℃의 조건에서 5분간 혼련하고, 추가로 온도: 200℃로 승온시켜 10분간 혼련하여, 각 비교예의 점착제 조성물을 수득했다.
다음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용융 온도: 200℃의 조건 하에서, 코팅 머신(장치명 「GPD-300」, 유리롤기계주식회사제)을 이용하여, 상기 발포체층 A 상에 30㎛의 두께로 도공하여, 각 비교예의 발포 적층체를 제작했다. 한편, 이 발포 적층체는 시트상의 형상을 갖고, 발포체층/점착제층의 층 구성을 갖는다.
Figure 112013066379009-pct00001
표 1에서, 「타프셀렌 H5002」는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상품명 「타프셀렌 H5002」, 스미토모화학주식회사제, 결정 융해 에너지: 11.3J/g)이며, 「리코센 PP1602」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상품명 「리코센 PP1602」, 클라리언트사제, 결정 융해 에너지: 26.9J/g)이며, 「리코센 PP2602」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상품명 「리코센 PP2602」, 클라리언트사제, 결정 융해 에너지: 39.8J/g)이며, 「하이왁스 NP055」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상품명 「하이왁스 NP055」, 미쓰이화학주식회사제, 결정 융해 에너지: 87.2J/g)이며, 「아콘 P125」는 수소화 석유 수지(상품명 「아콘 P125」, 아라카와화학공업주식회사제, 연화점: 125℃)이며, 「아이마브 P125」는 수첨 석유 수지(상품명 「아이마브 P125」, 이데미쓰고산주식회사제, 연화점: 125℃)이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점착제층의 결정 융해 에너지,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 방진성, 재가공성, 점착제층의 용융 점도, 내열성을 측정 또는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정리했다.
(점착제층의 결정 융해 에너지)
발포 적층체의 점착제층을 3.0mg 샘플링하여, 시료로 했다.
상기 시료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측정)을 행하여, DSC 곡선을 얻었다(예컨대, 도 1). 한편, JIS K7122에 준거하여 측정을 행했다.
그리고, 2nd Run heating(제 2 가열) 시의 융해 에너지의 총합을 산출하여, 결정 융해 에너지로 했다.
DSC 측정 조건
샘플량: 3.0mg
팬(pan): Tzero 팬(TA 인스트루먼츠사제)(직경: 4mm), Tzero 뚜껑(TA 인스트루먼츠사제)
승온 속도: 10℃/min
강온 속도: 10℃/min
온도 조건
1st Run heating(제 1 가열): -50℃로부터 200℃로 승온
1st Run cooling(제 1 냉각): 200℃로부터 -50℃로 강온
2nd Run heating(제 2 가열): -50℃로부터 200℃로 승온
한편, 비교예 1은 점착제층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결정 융해 에너지의 측정을 행하지 않았다.
점착제층의 결정 융해 에너지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 3의 경우를 들어, 추가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3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측정)에 의해 수득된 챠트(DSC 곡선)를 나타낸다.
최초에, 시료를, 승온 속도: 10℃/min으로의 가열에 의해, -50℃로부터 200℃까지 승온시켜, 용융시켰다. 다음으로, 해당 용융한 시료를, 강온 속도: 10℃/min으로의 냉각에 의해, 200℃로부터 -50℃까지 강온시켜, 고화시켰다. 다음으로, 해당 고화된 시료를, 재차, 승온 속도: 10℃/min으로의 가열에 의해, -50℃로부터 200℃까지 승온시켜, 용융시켰다. 그리고,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측정)에 의한 DSC 곡선을 얻었다(도 1의 챠트 참조).
다음으로, 이 DSC 곡선으로부터, 융해 피크(도 1의 피크 C(도 1의 사선의 피크)) 전후의 베이스 라인으로부터 떠나는 점(도 1의 점 A)과 베이스 라인으로 되돌아가는 점(도 1의 점 B)을 연결함으로써 얻어지는 직선과 융해 피크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의 면적(도 1의 사선의 피크의 면적)으로 결정 융해 에너지를 구했다.
한편, 융해 피크의 베이스 라인은, DSC 곡선의 계단상 변화부(도 1의 계단상 변화부 D)로 유리전이온도를 결정할 때의 저온측 베이스 라인(도 1의 베이스 라인 E)과 고온측 베이스 라인(도 1의 베이스 라인 F) 중 고온측 베이스 라인(베이스 라인 F)이다.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
발포 적층체를, 폭: 20mm, 길이: 100mm로 재단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상기 시험편을, 1kg 롤러, 1왕복의 조건에서, 아크릴판(상품명 「아크릴라이트」, 미쓰비시레이온주식회사제)에 압착함으로써 접합하고, 실온(23±2℃)에서 30분간 방치했다.
방치 후, 인장력 시험기(장치명 「TG-1kN」, 미네베아사제)를 사용하여, 온도: 23±2℃, 습도: 50±5%RH의 분위기 하, 인장 속도: 0.3m/min,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박리 시험(JIS Z0237에 준거)을 행하여,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아크릴판에 대한 박리 밀착 강도)을 측정했다.
한편, 비교예 1, 2 및 3은 아크릴판에 압착하여도 밀착성을 발휘하지 않아,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의 측정을 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밀착되지 않음」이라고 평가했다.
(동적 방진성)
발포 적층체(비교예 1은 발포체)를 액자상으로 타발하여 평가용 샘플(도 2 참조)로 한 후,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평가 용기(후술하는 동적 방진성 평가용 평가 용기, 도 3 및 도 5 참조)에 맞붙였다. 다음으로, 평가 용기 중의 평가용 샘플의 외측 부분(분말 공급부)에 입자상 물질을 공급하고, 입자상 물질을 공급한 평가 용기를 텀블러(회전조)에 둔 후, 텀블러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평가 용기에 충격을 반복 부하했다. 그리고, 평가용 샘플을 통과하여, 평가 용기 내부로 침입한 분말의 수를 계측함으로써 동적 방진성을 평가했다.
도 5(a) 및 (b)는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평가 용기(동적 방진성 평가용 평가 용기)의 평면도 및 절단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동적 방진성 평가용 평가 용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5(b)는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평가 용기의 A-A'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평가 용기는, 평가용 샘플을 맞붙이고 나서 낙하시킴으로써, 평가용 샘플의 동적 방진성(충격 시의 방진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5(a) 및 (b)에서, 부호 2는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평가 용기이며, 부호 211은 흑색 아크릴판(커버판 측의 흑색 아크릴판)이며, 부호 212는 흑색 아크릴판(알루미늄판 측의 흑색 아크릴판)이며, 부호 22는 평가용 샘플(액자상의 수지 발포체)이며, 부호 23은 알루미늄판이며, 부호 24는 베이스판이며, 부호 25는 분말 공급부이며, 부호 26은 나사이며, 부호 27은 폼 압축판이며, 부호 28은 핀이며, 부호 29는 평가 용기 내부이며, 부호 30은 알루미늄 스페이서이다. 평가용 샘플(22)의 압축률은, 알루미늄 스페이서(30)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a)에 나타내는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동적 방진성 평가용 평가 용기의 평면도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대면하는 나사 사이에는 커버판 고정 쇠장식이 구비되어 있어, 흑색 아크릴판(211)은 폼 압축판(27)에 확실히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동적 방진성 평가용 평가 용기의 간단한 단면 개략도이다. 도 3에서, 부호 2는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평가 용기(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패키지)이며, 부호 22는 평가용 샘플(액자상으로 타발된 수지 발포체)이며, 부호 24는 베이스판이며, 부호 25는 분말 공급부이며, 부호 27은 폼 압축판이며, 부호 29는 평가 용기 내부(패키지 내부)이다. 도 3의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평가 용기에 있어서, 분말 공급부(25)와 평가 용기 내부(29)는 평가용 샘플(22)에 의해 구분되어 있고, 분말 공급부(25) 및 평가 용기 내부(29)는 닫힌 계로 되어 있다.
도 4는 동적 방진성 시험의 시험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에서, 부호 1은 텀블러이며, 부호 2는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평가 용기이다. 또한, 방향 a는 텀블러의 회전 방향이다. 평가 용기(2)는 텀블러(1) 내에 수용되어 있다. 텀블러(1)가 회전하면, 평가 용기(2)에는, 반복하여 충격이 부하된다.
동적 방진성의 평가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지 발포체를 도 2에 나타내는 액자상(창틀상)(폭: 2mm)으로 타발하여, 평가용 샘플(22)로 했다.
이 평가용 샘플(22)을,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평가 용기(2)(동적 방진성 평가용 평가 용기, 도 3 및 도 5 참조)에 장착했다. 한편, 장착 시의 평가용 샘플(22)의 압축률은 40%(초기 두께에 대하여 40%가 되도록 압축)였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평가용 샘플(22)은, 폼 압축판(27)과, 베이스판(24)에 고정된 알루미늄판(23) 상의 흑색 아크릴판(211, 21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평가용 샘플(22)을 장착한 평가 용기(2)에서는, 평가용 샘플(22)에 의해, 내부의 일정 영역이 닫혀진 계로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평가용 샘플(22)을 평가 용기(2)에 장착 후, 분말 공급부(25)에 분진으로서의 옥수수 전분(입경: 17㎛)을 0.1g 넣고, 평가 용기(2)를 텀블러(1)(회전조, 드럼식 낙하 시험기)에 넣어, 1rpm의 속도로 회전시켰다.
그리고, 100회의 충돌 횟수(반복 충격)가 얻어지도록, 소정 횟수를 회전시킨 후, 평가 용기(패키지)(2)를 분해했다. 분말 공급부(25)로부터, 평가용 샘플(22)을 통과하여, 알루미늄판(23) 상의 흑색 아크릴판(212) 및 커버판으로서의 흑색 아크릴판(211)에 부착된 입자를,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장치명 「VHX-600」, 기엔스주식회사제)로 관찰했다. 알루미늄판(23) 측의 흑색 아크릴판(212) 및 커버판 측의 흑색 아크릴판(211)에 대하여 정지 화상을 작성하고, 화상 해석 소프트(소프트명 「Win ROOF」, 미타니상사주식회사제)를 이용하여 이진화 처리를 행하여, 입자의 개수로서 입자 총 면적을 계측했다. 한편, 관찰은, 공기 중의 부유 분진의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서 클린 벤치(clean bench) 내에서 행했다.
알루미늄판(23) 측의 흑색 아크릴판(212)에 부착되어 있는 입자 및 커버판 측의 흑색 아크릴판(211)에 부착되어 있는 입자를 합한 입자 총 면적이 1500[Pixel×Pixel] 미만인 경우를 양호 「○」라고 판정하고, 1500[Pixel×Pixel]을 초과하는 경우를 불량이라고 판정했다.
(점착제층의 용융 점도)
발포 적층체의 점착제층을 20g 샘플링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다음으로, 상기 시험편을 샘플 챔버 내에서 200℃에서 용해시키고, 30분간 로터로 교반하여, 용융물을 수득했다. 그리고, 그 용융물의 점도를 측정하여, 용융 점도를 구했다.
한편, 비교예 1은 점착제층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용융 점도의 측정을 행하지 않았다.
용융 점도 장치: 「DV-II + VISCOMETER」(BROOK FILD사제)
샘플 챔버: HT-2DB
로터: SC4-27
(재가공성 평가 시험)
발포 적층체를, 폭: 20mm, 길이: 100mm로 재단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상기 시험편을, 1kg 롤러, 1왕복의 조건에서, 아크릴판(상품명 「아크릴라이트」, 미쓰비시레이온주식회사제)에 압착함으로써 접합하고, 실온(23±2℃)에서 24시간 방치했다.
방치 후, 인장력 시험기(장치명 「TG-1kN」, 미네베아사제)를 사용하여, 온도: 23±2℃, 습도: 50±5%RH의 분위기 하, 인장 속도: 0.3m/min, 박리 각도: 180°의 조건에서 시험편을 박리시켰다.
그리고, 박리 후의 시험편 및 시험편을 박리한 후의 아크릴판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하기 기준으로 재가공성(재박리성)을 평가했다.
재가공성 평가 기준
양호(○): 시험편을 박리한 후의 아크릴판 표면에 부착물(접착제 잔류물)이 존재하지 않음
불량(×): 시험편을 박리한 후의 아크릴판에 부착물(접착제 잔류물)이 존재함
(내열성)
발포 적층체를 폭: 30mm×길이: 30mm로 절단하여, 측정용 샘플로 했다. 측정용 샘플을, 지그를 사용하여, 두께가 압축 전의 50%가 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압축했다. 다음으로, 측정용 샘플을, 두께 방향으로 50% 압축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80℃의 온도 분위기 하에서 72시간 보존했다. 그리고, 보존 후의 측정용 샘플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발포 적층체 중의 점착제층이 유동하여, 점착제층이 발포 적층체 밖으로 밀려나와 있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점착제층의 밀려나옴이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내열성 양호 「○」라고 평가하는 한편, 점착제층의 밀려나옴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를 내열성 불량 「×」라고 평가했다.
한편, 어느 것에서도, 보존 전에 두께 방향으로 50% 압축한 단계에서, 발포 적층체 밖으로 점착제층의 밀려나옴이 발생되는 경우는 없었다.
Figure 112013066379009-pct00002
상기 표 2에서, 「-」는 측정이나 평가를 행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3은, 아크릴판에 압착하여도 밀착성을 발휘하지 않아, 재가공성을 평가할 수 없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9의 발포 적층체는, 상기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의 측정 시나 상기 재가공성 평가 시험의 평가 시에 아크릴판으로부터 박리되지만, 해당 박리 시에, 어느 실시예의 발포 적층체도, 발포체층의 파괴 등의 발포 적층체의 파괴가 발생되는 경우는 없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태양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1년 1월 24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제2011-012249)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 텀블러
2 평가용 샘플을 맞붙인 평가 용기
22 평가용 샘플
23 알루미늄판
24 베이스판
25 분말 공급부
26 나사
27 폼 압축판
28 핀
29 평가 용기 내부
30 알루미늄 스페이서
211 흑색 아크릴판
212 흑색 아크릴판

Claims (4)

  1. 발포체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을 갖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미만인 폴리올레핀 A 및 결정 융해 에너지가 50J/g 이상인 폴리올레핀 B를 포함하고, 폴리올레핀 B의 비율이 폴리올레핀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3 내지 28중량%인 점착제층이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의 아크릴판에 대한 180° 박리력(인장 속도: 0.3m/min)이 0.1N/20mm 이상 2.5N/2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층이, 1 내지 30Pa·s의 200℃에서의 용융 점도를 갖는 열 용융 점착제층인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층의 겉보기 밀도가 0.02 내지 0.30g/cm3인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
KR1020137019524A 2011-01-24 2012-01-16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 KR101852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2249A JP5666926B2 (ja) 2011-01-24 2011-01-24 電気又は電子機器用の発泡積層体
JPJP-P-2011-012249 2011-01-24
PCT/JP2012/050728 WO2012102112A1 (ja) 2011-01-24 2012-01-16 電気又は電子機器用の発泡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222A KR20140018222A (ko) 2014-02-12
KR101852221B1 true KR101852221B1 (ko) 2018-04-25

Family

ID=4658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524A KR101852221B1 (ko) 2011-01-24 2012-01-16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302590A1 (ko)
JP (1) JP5666926B2 (ko)
KR (1) KR101852221B1 (ko)
CN (1) CN103328594B (ko)
TW (1) TW201235220A (ko)
WO (1) WO20121021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1835B2 (ja) * 2011-01-24 2015-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気又は電子機器用の発泡積層体
JP2014040094A (ja) * 2012-07-24 2014-03-06 Nitto Denko Corp 電子機器用再剥離可能発泡積層体及び電気又は電子機器類
JP2014180816A (ja) * 2013-03-19 2014-09-29 Nitto Denko Corp 発泡積層体
JP2014180818A (ja) * 2013-03-19 2014-09-29 Nitto Denko Corp 発泡積層体
JP2014180817A (ja) * 2013-03-19 2014-09-29 Nitto Denko Corp 発泡積層体
CN106660305B (zh) * 2014-09-24 2019-06-18 日东电工株式会社 层叠体
EP3265307B1 (en) * 2015-03-02 2019-01-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s
KR101527953B1 (ko) * 2015-03-05 2015-06-10 강제훈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치아 이동 시스템 및 방법
EP3365168B1 (en) * 2015-10-21 2021-06-30 Schneller, LLC Lightweight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structures
WO2018116844A1 (ja) * 2016-12-22 2018-06-28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
MX2020008084A (es) 2018-01-31 2020-09-24 Bostik Inc Composiciones de adhesivos termofusibles que contienen copolimeros de propileno y metodos para usar las mismas.
JP2018161895A (ja) * 2018-06-25 2018-10-1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電池用包装材、及び電池用容器
JP6809509B2 (ja) * 2018-06-25 2021-01-0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電池用包装材、及び電池用容器
WO2020050225A1 (ja) * 2018-09-04 2020-03-12 出光興産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ホットメルト接着剤
KR20210143024A (ko) * 2020-05-19 2021-11-26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점착성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다층 성형품 및 이에 의해 운송되는 전자제품
JPWO2022092199A1 (ko) * 2020-10-28 2022-05-05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575A (ja) * 2003-03-06 2004-10-14 Hitachi Kasei Polymer Co Ltd 自動車内装材用プレコート表皮材および自動車内装材の製造方法
JP2006312308A (ja) * 2005-04-08 2006-11-16 Nitto Denko Corp 発泡部材、発泡部材積層体及び発泡部材が用いられた電気・電子機器類
JP2010144063A (ja) * 2008-12-19 2010-07-01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8045A (en) * 1987-01-08 1989-09-19 Nagoya Oilchemical Co., Ltd. Masking member
DE4226081A1 (de) * 1992-08-06 1994-02-10 Henkel Kgaa Thermoplastischer Schmelzklebstoff
JP4938199B2 (ja) * 2000-06-14 2012-05-23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ホットメルト接着剤用樹脂
US6586483B2 (en) * 2001-01-08 2003-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am including surface-modified nanoparticles
GB2420348B (en) * 2004-10-28 2009-11-18 Exxonmobil Chem Patents Inc Syndiotactic rich polyolefins
JP2008024859A (ja) * 2006-07-24 2008-02-07 Sumitomo Chemical Co Ltd ホットメルト接着剤
US8288479B2 (en) * 2007-02-15 2012-10-16 Mitsui Chemicals, Inc. Propylene-based polymer, propylene-based polymer composition, pell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JP2008208173A (ja) * 2007-02-23 2008-09-1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JP5371206B2 (ja) * 2007-05-30 2013-12-18 アキレス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JP2009057397A (ja) * 2007-08-29 2009-03-19 Sanyo Chem Ind Ltd 難接着基材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09275209A (ja) * 2008-04-14 2009-11-26 Nitto Denko Corp 粘着剤、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596299B2 (ja) * 2008-04-15 2014-09-2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0150452A (ja) * 2008-12-26 2010-07-08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フィルム
WO2012051239A1 (en) * 2010-10-15 2012-04-1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based adhesive compositions
JP5731835B2 (ja) * 2011-01-24 2015-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気又は電子機器用の発泡積層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575A (ja) * 2003-03-06 2004-10-14 Hitachi Kasei Polymer Co Ltd 自動車内装材用プレコート表皮材および自動車内装材の製造方法
JP2006312308A (ja) * 2005-04-08 2006-11-16 Nitto Denko Corp 発泡部材、発泡部材積層体及び発泡部材が用いられた電気・電子機器類
JP2010144063A (ja) * 2008-12-19 2010-07-01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5220A (en) 2012-09-01
US20130302590A1 (en) 2013-11-14
JP2012153765A (ja) 2012-08-16
JP5666926B2 (ja) 2015-02-12
CN103328594A (zh) 2013-09-25
CN103328594B (zh) 2015-03-11
WO2012102112A1 (ja) 2012-08-02
KR20140018222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221B1 (ko)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
JP5856448B2 (ja) 樹脂発泡体及び発泡シール材
JP6358825B2 (ja) 樹脂発泡複合体
KR101905929B1 (ko) 전기 또는 전자 기기용 발포 적층체
TWI570171B (zh) Production method of resin foam and resin foam
WO2013183662A1 (ja) 樹脂発泡体及び発泡材
WO2014017423A1 (ja) 電子機器用再剥離可能発泡積層体及び電気又は電子機器類
JP2011012235A (ja) 樹脂発泡体
JP2009091556A (ja) 微細セル構造を有する発泡防塵材
WO2021106912A1 (ja) 樹脂発泡体
US20100119812A1 (en) Light-reflecting member containing polyolefin resin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3180028A1 (ja) 熱可塑性樹脂発泡体及び発泡シール材
WO2013168798A1 (ja) 樹脂発泡体及び発泡シール材
JP5427972B2 (ja) 樹脂発泡体
JP5872524B2 (ja) 発泡部材
CN116997600A (zh) 树脂发泡体
JP2023104866A (ja) 発泡部材
WO2022030649A1 (ja) 多層発泡体シート
CN117062861A (zh) 树脂发泡体和发泡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