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662B1 -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662B1
KR101851662B1 KR1020160125855A KR20160125855A KR101851662B1 KR 101851662 B1 KR101851662 B1 KR 101851662B1 KR 1020160125855 A KR1020160125855 A KR 1020160125855A KR 20160125855 A KR20160125855 A KR 20160125855A KR 101851662 B1 KR101851662 B1 KR 101851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abric
conveyor belt
cutt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578A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재훈
Priority to KR102016012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6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7/00Fel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을 제조하기 위해 부직포원단을 복수 층으로 연단하는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는 부직포원단이 공급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가이드롤러와 양측 단 중 어느 한 끝단에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와 구동롤러를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본체프레임을 포함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를 함께 감싸 상기 구동롤러에 의해 회전하며, 마스크팩을 제조할 부직포원단이 끝단이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부직포원단을 감아 연단하는 컨베이어벨트,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감겨지는 부직포원단의 하단을 받쳐 상기 부직포원단의 하단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롤러,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이 공급되는 폭을 조절하여 상기 부직포원단의 변사을 방지하는 변사방지부,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원단장력조절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단길이를 증대시켜 마스크팩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a spreading apparatus of fabric}
본 발명은 마스크팩을 제조하기 위해 부직포원단을 복수 층으로 연단하기 위한 부직포원단의 연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원단은 공극이 많고 상대적으로 가벼워 사용용도가 많은데, 부직포원단을 사용하는 일례로서, 부직포 마스크팩이 있다.
이 부직포 마스크팩은 기능성 화장재료를 부직포원단에 함침시켜 제조되며, 부직포원단은 굴곡이 많은 얼굴에 밀착하여 붙착하기 위해 얼굴을 넓게 펼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부직포원단을 얼굴의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부직포원단을 여러층으로 연단시킨 상태에서 복수 개의 얼굴 형상이 새겨진 금형을 유압프레스에 의해 찍어내어 형성한다.
여기서, 부직포원단의 연단되는 적층되는 층수 또는 길이에 따라 생산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부직포 마스크팩을 생산하는 공정 중에서 부직포원단을 연단하는 공정이 중요하다.
한편, 부직포원단의 연단은 연단기에 의해 수행되는 데, 종래의 연단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7403호(2001.01.09.등록)에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연단기는 하단 양측에 재단작업대의 상단 양측에 장착된 가이드레일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이동로울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단 일측에 수평봉이 결합고정되며, 이 수평봉의 일측에 원단의 측면부가 위치됨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원단측면부 감지센서가 장착된 바디와, 내측 양측에 제 1날개편 및 제 2날개편이 내측으로 돌출구성되고, 이 제 1날개편의 상단에 래크가 결합고정되어 상기 바디의 상단에서 종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이동프레임과, 하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고정되고, 상단에 제 1연장부 및 제 2연장부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며, 이 제 1연장부의 상단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제 2연장부의 자유단에 원단가이드로울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브라켓과, 외주면에 롤 형태의 원단이 장착되고, 상기 제 1연장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서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원단 재치봉과, 일측이 상기 바디의 상단면과 상단 측면부에 결합고정되고, 상단에 이동프레임의 측면과 하단면에 접촉되어 이동프레임이 이동됨에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로울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복수개의 브라켓과, 상기 바디의 상단에 원단측면부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고, 구동축의 자유단에 제 1날개편의 상단에 결합고정된 래크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이 결합고정된 정역회전구동모터와, 상기 바디의 상단에 이동프레임의 제 2날개편이 이동되는 거리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 1이동거리감지센서 및 제 2이동거리감지센서와, 상기 원단측면부감지센서와 이동거리감지센에서 출력된 저항값을 내장된 기준치와 비교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정역회전구동모터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단기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원단이 걸쳐지는 이동로울러가 왕복 운동하며 원단을 연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연단기는 가이드레일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만큼만 원단을 연단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연단된 원단의 길이가 짧아 유압프레스에 의한 연속적인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단기는 원단의 방향이 전환되어 연단되는 부분에는 부직포 마스크팩을 형성할 수가 없기 때문에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 제조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치의 길이에 비해 2배의 길이로 연단된 원단을 얻을 수 있어 유압프레스에 의한 연속적인 생산 및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원단의 버려지는 부분을 최소화시켜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는 부직포원단이 공급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가이드롤러와 양측 단 중 어느 한 끝단에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와 구동롤러를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본체프레임을 포함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를 함께 감싸 상기 구동롤러에 의해 회전하며, 부직포원단의 끝단이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부직포원단을 감아 연단하는 컨베이어벨트,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감겨지는 부직포원단의 하단을 받쳐 상기 부직포원단의 하단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롤러,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이 공급되는 폭을 조절하여 상기 부직포원단의 변사를 방지하는 변사방지부,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원단장력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단장력조절부는 상호 이격되어 부직포원단이 지나는 한 쌍의 공급롤러, 및 상기 한 쌍의 공급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공급롤러의 사이를 지나는 부직포원단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는 형태로 상기 부직포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롤러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상기 처짐방지롤러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단장력조절부로 부직포원단을 공급하기 위해 부직포원단이 롤 형태로 미리 감긴 원단롤이 끼워지는 원단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공급부는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의 좌,우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원단롤의 위치를 조절하는 롤위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감긴 부직포원단을 잘라내는 원단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단커터는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가장 밑부분에 감겨진 부직포원단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커터가이드, 및 상기 커터가이드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부직포원단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터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감겨진 부직포원단을 절단하는 커팅날을 포함하는 커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가이드는 상기 커터가이드의 끝단을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터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부직포원단이 감길 때, 부직포원단이 주름지면서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원단의 외면을 가압하여 펼치는 원단펼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단펼침부재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감기는 부직포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원단펼침부재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상기 원단펼침부재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펼침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벨트에 부직포원단을 감고, 절단하여 컨베이어벨트의 길이 대비 2배의 길이로 연단된 부직포원단을 얻을 수 있어 유압프레스에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의 공급량을 늘려 연속적인 마스크팩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량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변사방지부 및 원단장력조절부에 의해 일정하고 정확한 위치에 원단을 연단시킬 수 있다.
또한, 원단펼침부재에 의해 부직포원단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단커터가 컨베이어부에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절단커터에 의해 작업자가 걸려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절단커터에는 커팅기가 따라 이동하는 커터가이드가 설치되고, 누름부재에 의해 절단할 양측을 누른상태에서 절단함으로써, 절단 불량에 의해 버려지는 부직포원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절단커터가 부직포원단에 커팅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안전스위치가 설치되어 절단커터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의 컨베이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의 변사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의 변사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의 원단장력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의 원단장력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의 원단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의 원단커터와 원단펼침부부를 도시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의 원단커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부직포원단을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의 원단커터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원단커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의 원단커터를 도시한 개략적인 정단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100)는 컨베이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컨베이어부(110)는 부직포원단(200)을 감기 위한 컨베이어벨트(115)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부(110)는 가이드롤러(113), 구동롤러(112) 및 본체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프레임(111)은 부직포원단(200)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프레임(111)은 부직포원단(200)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컨베이어벨트(115)의 처짐을 방지하고 컨베이어벨트(115)의 회전을 안내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113)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프레임(111)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13)의 양단에는 본체프레임(111)에서 가이드롤러(113)를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롤러(112)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본체프레임(111)의 양단 중 어느 한 끝단 또는 양측 끝단에 각각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115)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100)는 컨베이어벨트(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컨베이어벨트(115)는 구동롤러(112) 및 가이드롤러(113)를 함께 감싸도록 끼워져 구동롤러(112)에 의해 회전하며 부직포원단(200)이 외면에 결합되어 부직포원단(200)을 감아 부직포원단(200)을 적층시키는 형태로 부직포원단(200)을 연단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벨트(115)에는 최초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기는 부직포원단(200)의 감기는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컨베이어벨트(115)에서 부직포원단(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원단부착부재(11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원단부착부재(116)는 컨베이어벨트(115)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컨베이어벨트(115)의 외면에 일정 간격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원단부착부재(116)는 벨크로테입에서 고리가 형성된 수 벨크로테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기는 부직포원단(200)의 최초 끝단은 컨베이어벨트(115)에 접착테입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100)는 처짐방지롤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처짐방지롤러(117)는 컨베이어벨트(115)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부직포원단(200)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처짐방지롤러(117)는 본체프레임(111)에서 가이드롤러(11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처짐방지롤러(117)는 복수 개가 본체프레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처짐방지롤러(117)는 본체프레임(111)에서 처짐방지스프링(118)에 의해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컨베이어벨트(115)에 부직포원단(200)을 탄성력에 의해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겨지는 부직포원단(200)의 감기는 회수에 따라 두꺼워지는 두께에 대응하여 부직포원단(200)을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100)는 변사방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변사방지부(120)는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겨지는 부직포원단(200)이 컨베이어벨트(115)에서 변사되어 감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변사방지부(120)는 컨베이어벨트(115)에서 부직포원단(200)의 폭방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컨베이어벨트(115)에서 부직포원단(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변사조절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변사조절부재(121)는 부직포원단(200)이 컨베이어벨트(115)로 진입할 때, 부직포원단(200)이 이전에 감긴 부직포원단(200)과 같은 위치에 위치될 감길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115)에서 컨베이어벨트(115)이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부직포원단(200)이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기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변사조절부재(121)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체결봉(125)에 나사체결되고, 나사체결봉(125)은 변사방지모터(127)에 의해 회전하여 나사체결에 의해 변사방지부(120)가 부직포원단(20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부직포원단(200)이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기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100)는 원단원단장력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원단원단장력조절부(130)는 컨베이어벨트(115)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200)의 공급되는 장력을 조절하여 원단롤(210)에서 부직포원단(200)의 풀림과 컨베이어벨트(115)에서 부직포원단(200)을 감는 속도를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한편, 원단원단장력조절부(130)는 변사방지부(120)로 부직포원단(200)이 공급되기 전에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체프레임(11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원단원단장력조절부(130)는 한 쌍의 공급롤러(131)와 장력조절롤러(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공급롤러(131)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한 쌍의 공급롤러(131)의 사이에는 장력조절롤러(133)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력조절롤러(133)는 한 쌍의 공급롤러(131)의 상부를 지나는 부직포원단(200)의 상부에서 장력조절롤러(133)가 가압하는 형태로 장력조절롤러(133)의 가압력에 의해 부직포원단(200)이 변사방지부(120)를 통해 컨베이어벨트(115)로 공급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장력조절롤러(133)는 탄성력에 의해 부직포원단(200)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장력조절스프링(1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장력조절롤러(133)는 부직포원단(200)을 가압하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체결봉(137)에 장력조절롤러(133)가 설치되고, 나사체결봉(137)은 본체프레임(111)의 결합된 너트(139)에 의해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봉(137)의 회전에 따라 장력조절롤러(133)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100)는 원단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원단공급부(150)는 부직포원단(200)을 컨베이어부(11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원단공급부(150)는 부직포원단(200)이 롤 형태로 감긴 원단롤(21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원단롤(210)에서 부직포원단(200)을 풀어 원단원단장력조절부(130)로 공급하는 형태로 컨베이어부(110)에 부직포원단(200)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원단공급부(150)는 롤위치조절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롤위치조절부(151)는 컨베이어벨트(115)의 중앙과 부직포원단(200)의 중앙이 일치된 상태에서 원단을 풀어 공급할 수 있도록 원단공급부(150)에 끼워진 원단롤(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롤위치조절부(151)는 컨베이어벨트(115)의 폭 방향으로 원단롤(2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원단롤(210)이 지지되는 롤지지프레임(157)과 롤지지프레임(157)을 컨베이어벨트(115)의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봉(153), 및 나사체결봉(153)을 회전시키는 위치조절모터(15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위치조절모터(155)가 나사체결봉(153)을 회전시키면 나사체결봉(153)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롤지지프레임(157)이 컨베이어벨트(115)의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단롤(210)의 중앙과 컨베이어벨트(115)의 중앙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100)는 원단펼침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원단펼침부재(140)는 부직포원단(200)의 주름이 발생되지 않고 넓게 펼쳐져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길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기는 부직포원단(200)을 펼칠 수 있다.
한편, 원단펼침부재(140)는 부직포원단(200)이 컨베이어벨트(115)에서 감길 때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원단펼침부재(140)는 컨베이어벨트(115)의 폭을 갖는 롤러로 구현되거나, 판 형태의 스퀴즈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원단펼침부재(140)는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기는 부직포원단(200)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면에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코팅되거나,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원단펼침부재(140)는 펼침프레임(141)을 포함할 수 있다.
펼침프레임(141)은 원단펼침부재(140)을 컨베이어벨트(115)의 감겨지는 부직포원단(200)의 감기는 회수에 따른 두께에 대응하기 위해 본체프레임(111)에서 원단펼침부재(14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원단펼침부재(140)는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부직포원단(20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펼침프레임(14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100)는 원단커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원단커터(160)는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겨진 부직포원단(200)을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원단커터(160)는 커터가이드(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커터가이드(161)는 부직포원단(200)을 컨베이어벨트(115)와 최초 감겨진 부직포원단(200)의 사이로 삽입되어 부직포원단(200)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기(169)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가이드(161)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프레임(111)의 중앙부분에 끝단이 커터힌지(163)에 의해 결합되어 커터힌지(163)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의 끝단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커터가이드(161)에는 커팅기(169)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터가이드홈(16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터가이드(161)의 하부에는 커터힌지(163)을 중심으로 커터가이드(161)가 커터힌지(163)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커터힌지(163)이 결합되는 핀가이드홈(16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터가이드(161)는 누름가이드(1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누름가이드(165)는 컨베이어벨트(115)에 의해 연단된 부직포원단(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커터가이드(161)의 상부에 누름가이드(165)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커팅기(169)가 설치되는 끝단부분이 커터가이드(161)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커터가이드(161)와 누름가이드(165)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가이드(165)는 누름부재(1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누름부재(166)는 부직포원단(200)의 절단 시 부직포원단(200)의 절단되는 양측을 가압하여 절단 시 커팅날(168)에 의해 부직포원단(200)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누름부재(166)는 누름가이드(165)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부직포원단(200)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누름부재(166)는 누름가이드(165)에서 누름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부직포원단(200)을 가압할 수 있으며, 누름가이드(165)는 누름레버(167)를 포함하여 누름레버(167)의 상하 작동에 의해 누름부재(166)를 하부로 이동시켜 부직포원단(200)을 가압하거나, 가압된 상태에서 누름부재(166)를 상부로 이동시켜 부직포원단(200)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원단커터(160)는 커팅기(16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커팅기(169)는 커팅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커팅날(168)이 설치되어 부직포원단(200)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커팅날(168)은 톱날 형태의 커팅날(168)이 커팅모터에 의해 상하로 왕복하거나, 밴드형 톱날 형태의 커팅날(168)이 커팅모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팅기(169)는 작업자가 커팅날(168)을 작동할 수 있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되어 작동스위치를 작업자가 누르면 커팅날(168)이 작동하여 부직포원단(200)을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커팅기(169)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스위치(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안전스위치(164)는 절단을 수행하기 위한 상태 즉, 커터가이드(161)가 부직포원단(200)과 컨베이어벨트(115)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커팅기(169)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안전스위치(164)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팅기(169)의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도 커팅기(169)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안전스위치(164)는 커팅기(16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에 누름스위치를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커터힌지(163)이 위치된 측면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커터가이드(161)의 끝단 즉, 부직포원단(200)과 컨베이어벨트(115)의 사이로 삽입되는 끝단과는 반대방향의 끝단에는 안전스위치(164)를 가압하는 스위치가압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안전스위치(164)는 커터가이드(161)를 부직포원단(200)과 직교된 상태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부직포원단(200)과 컨베이어벨트(115)의 사이로 커터가이드(161)를 삽입시키면, 스위치가압부(162)가 안전스위치(164)를 가압하여 커팅기(169)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단커터(160)는 부직포원단(200)이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긴 상태에서 부직포원단(200)을 절단 시 본체프레임(111)에서 커터가이드(161)를 부직포원단(2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된 상태로 회전시키고, 부직포원단(200)과 컨베이어벨트(115)의 사이로 커터가이드(1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커터가이드(161)를 커터힌지(163)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커터가이드(161)의 스위치가압부(162)가 안전스위치(164)를 가압하여 커팅기(169)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커팅기(169)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커터가이드(161)가 부직포원단(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누름부재(166)가 부직포원단(200)에서 절단할 부분의 양측을 가압하도록 누름레버(167)를 작동시켜 누름부재(166)를 하향 이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커터가이드(161)를 따라 커팅기(169)가 이동하여 부직포원단(200)을 절단할 수 있도록 커팅기(169)를 작동시키고 커터가이드(161)에서 커팅기(169)를 외측단으로 미는 형태로 부직포원단(200)의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100)는 원단공급부(150)에 원단롤(210)을 끼운 상태에서 원단롤(210)과 컨베이어벨트(115)의 중앙이 서로 일치되도록 원단공급부(150)의 롤위치조절부(151)를 통해 원단롤(210)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원단롤(210)에 감긴 부직포원단(200)의 끝단을 원단장력조절부(130)와 변사방지부(120)를 거쳐 컨베이어벨트(115)의 외면에 접착테입에 의해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컨베이어부(110)를 작동시키면, 컨베이어부(110)의 구동롤러(112)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하는 구동롤러(112)는 컨베이어벨트(115)를 회전시켜 부착시킨 부직포원단(200)의 끝단이 컨베이어벨트(115)를 따라 회전하며 컨베이어벨트(115)의 외면에 감기는 형태로 부직포원단(200)이 연단된다.
이때, 원단롤(210)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200)은 원단장력조절부(130)의 장력조절롤러(133)가 공급되는 부직포원단(200)의 상부를 가압하여 공급되는 부직포원단(200)의 장력이 조절되며, 장력이 조절된 부직포원단(200)은 변사방지부(120)에 의해 컨베이어벨트(115)의 감기는 폭이 상호 일치되도록 조절되어 컨베이어벨트(115)로 공급된다.
그리고, 컨베이어벨트(115)를 따라 컨베이어벨트(115)의 하부로 이동하는 부직포원단(200)은 처짐방지롤러(117)에 의해 지지되어 연단되는 부직포원단(200)의 하단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처짐방지롤러(117)는 처짐방지스프링(118)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연단되는 부직포원단(2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프레임(111)에는 원단펼침부재(140)가 설치되어 컨베이어벨트(115)에 감기는 부직포원단(200)을 컨베이어벨트(115)와 접촉되는 부분의 상부에서 가압하여 부직포원단(200)이 주름지지 않도록 펼쳐 부직포원단(200)을 연단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두께 또는 미리 설정된 회수 또는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부직포원단(200)이 연단되면, 구동모터의 작동이 자동으로 중지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벨트(115)에는 부직포원단(200)이 원하는 만큼 감기면, 작업자는 본체프레임(111)과 나란하게 회전하여 위치되는 원단커터(160)의 커터가이드(161)를 감긴 부직포원단(200)과 직교되도록 커터힌지(163)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커터가이드(161)를 커터힌지(163)에서 밀어 컨베이어벨트(115)와 가장 하단에 위치되는 부직포원단(200)의 사이로 삽입시키고, 누름레버(167)를 통해 누름부재(166)가 절단할 부직포원단(20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부직포원단(200)의 상부를 가압한다.
이때, 커터가이드(161)를 컨베이어벨트(115)와 부직포원단(200)의 사이로 삽입하면, 커터가이드(161)의 스위치가압부(162)가 안전스위치(164)를 가압하여 커팅기(169)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누름부재(166)가 부직포원단(200)의 상면이 가압되면, 작업자는 커팅기(169)의 작동스위치를 통해 커팅기(169)를 작동시키고, 커팅기(169)가 커터가이드(161)를 따라 이동하도록 커팅기(169)를 커터가이드(161)의 끝단을 향해 밀면서 부직포원단(200)의 커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직포원단(200)의 커팅이 수행되면, 다시 누름레버(167)를 통해 누름부재(166)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누름부재(166)를 상향 이동시키고, 컨베이어벨트(115)에서 커터가이드(161)가 이탈되도록 커터가이드(161)를 초기 위치로 당기고, 커터힌지(163)을 중심으로 본체프레임(111)과 일치되도록 커터가이드(161)를 회전시켜 위치시킨다.
한편, 부직포원단(200)이 원단커터(160)에 의해 절단되면, 마스크팩의 형상대로 절단할 금형이 설치된 유압프레스에 절단된 부직포원단(200)을 컨베이어벨트(115)에서 이탈시켜 공급하는 형태로 부직포원단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100)는 컨베이어벨트(115)에 의해 부직포원단(200)을 연단시켜 같은 공간 내에서 대략 두 배의 길이를 갖도록 부직포원단(200)을 연단시킴으로써, 유압프레스에 기존보다 더 긴 길이로 연단된 부직포원단(200)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부직포원단(200)을 컨베이어벨트(115)에 의해 연단함으로써, 신속한 연단이 가능하며, 원단장력조절부(130) 및 변사방지부(120)에 의해 정확한 연단이 가능하며, 원단펼침부재(140)에 의해 원단을 펼쳐 연단함으로써, 주름이 없이 연단이 가능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커터가이드(161)가 본체프레임(111)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치공간 및 돌출로 인한 작업의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커팅기(169)가 커터가이드(161)를 따라 이동하고, 누름부재(166)에 의해 절단할 부분을 눌러 절단함으로써, 정확한 절단을 수행하여 불규칙적인 절단으로 인한 버려지는 부직포원단(200)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팅기(169)가 안전스위치(164)에 의해 절단을 수행할 상태에서만 작동하여 커팅기(169)의 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110: 컨베이어부
111: 본체프레임 112: 구동롤러
113: 가이드롤러 115: 컨베이어벨트
116: 원단부착부재 117: 처짐방지롤러
118: 처짐방지스프링 120: 변사방지부
121: 변사조절부재 125: 나사체결봉
127: 변사방지모터 130: 원단장력조절부
131: 공급롤러 133: 장력조절롤러
135: 장력조절스프링 137: 나사체결봉
139: 너트 140: 원단펼침부재
141: 펼침프레임 150: 원단공급부
151: 롤위치조절부 153: 나사체결봉
155: 위치조절모터 157: 롤지지프레임
160: 원단커터 161: 커터가이드
161a: 핀가이드홈 161b: 커터가이드홈
162: 스위치가압부 163: 커터힌지
164: 안전스위치 165: 누름가이드
166: 누름부재 167: 누름레버
168: 커팅날 169: 커팅기
200: 부직포원단 210: 원단롤

Claims (9)

  1. 부직포원단이 공급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가이드롤러와 양측 단 중 어느 한 끝단에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와 구동롤러를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본체프레임을 포함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를 함께 감싸 상기 구동롤러에 의해 회전하며, 부직포원단의 끝단이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부직포원단을 감아 연단하는 컨베이어벨트,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감겨지는 부직포원단의 하단을 받쳐 상기 부직포원단의 하단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롤러,
    상기 컨베이어벨트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이 공급되는 폭을 조절하여 상기 부직포원단의 변사를 방지하는 변사방지부,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원단장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장력조절부는 상호 이격되어 부직포원단이 지나는 한 쌍의 공급롤러, 및 상기 한 쌍의 공급롤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공급롤러의 사이를 지나는 부직포원단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는 형태로 상기 부직포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처짐방지롤러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하부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상기 처짐방지롤러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원단장력조절부로 부직포원단을 공급하기 위해 부직포원단이 롤 형태로 미리 감긴 원단롤이 끼워지는 원단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공급부는 원단롤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원단의 좌,우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원단롤의 위치를 조절하는 롤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감긴 부직포원단을 잘라내는 원단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커터는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가장 밑부분에 감겨진 부직포원단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커터가이드, 및
    상기 커터가이드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부직포원단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터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감겨진 부직포원단을 절단하는 커팅날을 포함하는 커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가이드는
    상기 커터가이드의 끝단을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터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부직포원단이 감길 때, 부직포원단이 주름지면서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원단의 외면을 가압하여 펼치는 원단펼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펼침부재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감기는 부직포원단의 두께에 따라 상기 원단펼침부재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에서 상기 원단펼침부재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펼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KR1020160125855A 2016-09-29 2016-09-29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KR101851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855A KR101851662B1 (ko) 2016-09-29 2016-09-29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855A KR101851662B1 (ko) 2016-09-29 2016-09-29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578A KR20180035578A (ko) 2018-04-06
KR101851662B1 true KR101851662B1 (ko) 2018-04-24

Family

ID=6197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855A KR101851662B1 (ko) 2016-09-29 2016-09-29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6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861B1 (ko) 2020-05-08 2020-09-15 김용식 마스크 제조 장비
KR102160364B1 (ko) 2019-10-29 2020-09-28 한종우 마스크 팩 제조용 수분산성 원단과 그의 제조 방법
KR102205039B1 (ko) 2020-09-18 2021-01-19 배진현 연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056B1 (ko) * 2019-12-27 2021-12-08 김규철 마스크 팩 제조장치
CN111893696B (zh) * 2020-08-07 2022-10-28 金银萍 一种防褶皱的无纺布生产加工用淋膜装置
KR102486506B1 (ko) * 2021-03-03 2023-01-09 박명철 안전망 제조장치
CN117162677B (zh) * 2023-11-02 2024-02-02 江苏龙达纺织科技有限公司 双侧张力调整式印花机上下料辊组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03Y1 (ko) 2000-09-02 2001-03-15 조준행 연단기
KR100622870B1 (ko) 2004-12-10 2006-09-19 도석기 3중 세폭직물 및 그 세폭직물 커팅장치
US20070201936A1 (en) 2006-02-27 2007-08-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nveyance apparatus
KR101538098B1 (ko) * 2015-01-06 2015-07-21 김치희 자동 연단기
KR101623407B1 (ko) 2015-05-12 2016-05-23 서정범 원단공급용 지관 홀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403Y1 (ko) 2000-09-02 2001-03-15 조준행 연단기
KR100622870B1 (ko) 2004-12-10 2006-09-19 도석기 3중 세폭직물 및 그 세폭직물 커팅장치
US20070201936A1 (en) 2006-02-27 2007-08-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onveyance apparatus
KR101538098B1 (ko) * 2015-01-06 2015-07-21 김치희 자동 연단기
KR101623407B1 (ko) 2015-05-12 2016-05-23 서정범 원단공급용 지관 홀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364B1 (ko) 2019-10-29 2020-09-28 한종우 마스크 팩 제조용 수분산성 원단과 그의 제조 방법
KR102155861B1 (ko) 2020-05-08 2020-09-15 김용식 마스크 제조 장비
KR102205039B1 (ko) 2020-09-18 2021-01-19 배진현 연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578A (ko) 2018-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662B1 (ko) 마스크팩 제조용 부직포원단 연단장치
EP056635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king fabric light control window covering
KR101433364B1 (ko) 원단 자동 제단기
JPS5951621B2 (ja) 生地をウエブを整合し糸に真直ぐに分断するための装置
KR920007788A (ko) 광선조절 창 덮개
KR101661294B1 (ko) 주름 및 에어포켓 방지형 연단기 및 그 연단방법
US20180112352A1 (en) Machine for spreading fabric
CN107879176B (zh) 一种用于自动裁布机的纠偏纵切系统
CN106458488A (zh) 用于吸烟制品制造的接装纸进给组件
CN112318578A (zh) 一种纺织用快速切割设备及其使用方法
CN210558217U (zh) 床垫复合切边机的放卷机构
ITMI20130510A1 (it) Macchina per la rifilatura automatica di tessuti
CN210657469U (zh) 床垫复合切边机的缝合切边机构
US11472654B2 (en) Feeding unit for a tissue converting machine for converting a web of two-layer tissue
CN112758746B (zh) 可空间错位输送的导向装置、无纺布成型加工机构
US3029775A (en) Apparatus for cutting strip material
US7412996B2 (en) Apparatus for hot applying strips or films on textile or non textile supports
CN211522633U (zh) 床垫复合切边机的调节机构
US4448138A (en) Machine for continuously folding over and stitching web edges
KR102348850B1 (ko) 부직포 원단 절단장치
CN210650965U (zh) 床垫复合切边机
CA1328806C (en) Web slitter
US742807A (en) Wall-paper pasting and trimming machine.
JP3014599B2 (ja) 帯状材料の自動接続方法及び装置
GB1582227A (en) Apparatus for use in and a method of hemming units of flexible shee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