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438B1 -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438B1
KR101851438B1 KR1020150180658A KR20150180658A KR101851438B1 KR 101851438 B1 KR101851438 B1 KR 101851438B1 KR 1020150180658 A KR1020150180658 A KR 1020150180658A KR 20150180658 A KR20150180658 A KR 20150180658A KR 101851438 B1 KR101851438 B1 KR 10185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rib
pulley
wall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743A (ko
Inventor
요시테루 우에노
마사카즈 다무라
겐지 마츠바라
미카일 도렌티노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5Gearboxes for gearing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 F16H9/1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using belts, V-belts, or ropes engaging a pulley built-up out of relatively axially-adjustable parts in which the belt engages the opposite flanges of the pulley directly without interposed belt-suppor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케이스의 질량 증가를 피하면서, 풀리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강성 강도를 높인다.
동력 전달 시에 회전하는 풀리축(310)을, 사이드 커버(6)의 벽부(60)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통 형상의 지지부(62)의 내주에서, 베어링(7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킨 사이드 커버(6)에 있어서의 풀리축(310)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풀리축(310)의 회전축 X2 방향에서 본 지지부(62)의 직경 방향의 두께이며, 동력 전달 시에 풀리축(310)으로부터 베어링(73)을 통하여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한 소정의 각도 범위 θ의 두께를, 소정의 각도 범위 외의 부위(621)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여, 지지부(62)의 일부에 후육부(622)를 설치한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ROTATIONAL AXIS FOR 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의 벨트식 무단 변속기는,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에 벨트를 권취한 기본 구성을 갖고 있고, 이들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의 풀리축은, 케이스(변속기 케이스)에 설치한 링 형상의 지지부에서,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케이스의 지지부에는, 프라이머리 풀리와 세컨더리 풀리 사이에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고 있을 때에, 풀리축의 직경 방향을 향하는 큰 하중이 작용하므로, 종래의 케이스에서는, 예를 들어, 지지부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두껍게 하는 것 등에 의해, 지지부의 강성 강도를 높이고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프라이머리 풀리의 풀리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세컨더리 풀리의 풀리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보강용의 지주부를 걸쳐서 설치함으로써, 이들 지지부의 강성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68693호 공보
그러나, 지지부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단순하게 두껍게 하면, 지지부의 강성 강도를 높일 수 있지만, 케이스의 질량이 증가하므로, 벨트식 무단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의 연비가 악화되어 버린다.
따라서, 케이스의 질량 증가를 피하면서, 풀리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강성 강도를 높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동력 전달 시에 회전하는 회전축을, 케이스의 벽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통 형상의 지지부의 내주에서 지지시킨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본 지지부의 직경 방향의 두께이며, 동력 전달 시에 회전축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한 소정의 각도 범위의 두께를, 소정의 각도 범위 외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지지부에서는, 동력 전달 시에 회전축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은 바뀌지 않으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지지부에 있어서의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한 소정 범위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소정 범위의 강성 강도를 높이는 것만으로, 지지부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부분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케이스의 질량 증가를 피하면서, 동력 전달 시에 회전축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 강도를 지지부에 갖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구조를 채용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사이드 커버에 있어서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사이드 커버에 있어서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사이드 커버에 있어서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지지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구조를 채용한 벨트식 무단 변속기(1)의 주요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벨트식 무단 변속기(1)는,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에 벨트(4)를 권취한 기본 구성을 갖고 있으며,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에 있어서의 벨트(4)의 권취 반경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변속비를 실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는 고정 원추판(21, 31)과, 가동 원추판(22, 32)을 갖고 있으며, 가동 원추판(22, 32)은 고정 원추판(21, 31)의 풀리축(210, 310)에서, 회전축(X1, X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 원추판(21)은 풀리축(21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210a)측의 외주가, 변속기 케이스(5)에 설치한 지지부(51)에서, 베어링(7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타단부(210b)의 외주가, 변속기 케이스(5)의 개구를 막는 사이드 커버(6)의 지지부(61)에서, 베어링(7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풀리축(210) 내에는, 당해 풀리축(210)의 타단부(210b)에 개구되는 유로(211)가 설치되어 있고, 풀리축(210)의 타단부(210b)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51)의 내측에서, 사이드 커버(6)의 벽부(60)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의 축부(63)에 외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풀리축(210)의 일단부(210a)에는, 기어(81)가 외부 삽입해서 설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측으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이 기어(81)를 통하여 프라이머리 풀리(2)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 원추판(31)은 풀리축(31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310a)가, 사이드 커버(6)의 지지부(62)에서, 베어링(7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타단부(310b)의 외주가, 변속기 케이스(5)에 설치한 지지부(52)에서, 베어링(74)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풀리축(310) 내에는, 당해 풀리축(310)의 일단부(310a)에 개구되는 유로(311)가 설치되어 있고, 풀리축(310)의 일단부(310a)는 원통 형상의 지지부(52)의 내측에서, 사이드 커버(6)의 벽부(60)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의 축부(64)에 외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풀리축(310)의 타단부(310b)에는, 도시하지 않은 차동 장치측에 회전을 전달하는 회전 전달축(82)이 스플라인 감합되어 있고, 벨트(4)를 통하여 프라이머리 풀리(2)측으로부터 전달된 회전 구동력이, 세컨더리 풀리(3)를 통하여, 차동 장치측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사이드 커버(6)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사이드 커버(6)의 사시도이며, (b)는 사이드 커버(6)를 변속기 케이스(5)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주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사이드 커버(6)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a)는 사이드 커버(6)를 변속기 케이스(5)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b)는 (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c)는 (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사이드 커버(6)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의 (c)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a)에서는, 도면에서의 각 부위의 형상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이드 커버(6)의 외주를 둘러싸는 주벽부(601)의 변속기 케이스(5)와의 접합면(6a)과, 지지부(61, 62)나 축부(63, 64)의 변속기 케이스(5)측의 단부면 등에, 해칭을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의 (b)에서는, 사이드 커버(6)의 벽부(60)의 지면 전방측의 면 형상 중,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 구조에 관계되는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음과 함께, 지지부(62) 내에 삽입된 베어링(73)을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6)의 벽부(60)에서는, 벽부(60)의 외주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둘러싸는 주벽부(601)의 내측에서, 풀리축(210)의 지지부(61)와, 풀리축(310)의 지지부(62)가, 사이드 커버(6)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부(61, 62)는, 벽부(60)에 있어서의 변속기 케이스(5)측의 면(60a)[도 3의 (c) 참조]으로부터, 주벽부(601)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X1, X2)의 축 방향에서 보아 링 형상을 이루는 지지부(61, 62)는, 주벽부(601)와의 사이에도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도 3의 (a) 참조].
여기서, 벨트식 무단 변속기(1)에서는,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 사이에서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 시(토크의 전달 시)에, 풀리축(210, 310)을 회전축(X1, X2)에 대해 기울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이, 풀리축(210, 310)을 지지하는 지지부(61, 62)에 작용한다.
그로 인해, 사이드 커버(6)의 지지부(61, 62)에는, 풀리축(210, 310)이 회전축(X1, X2)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 강도가 필요해지고 있고,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62)의 일부에, 회전축(X2)의 축 방향에서 본 직경 방향의 두께 W2가 지지부(62)에 있어서의 기준이 되는 부위(621)의 직경 방향의 두께 W1보다도 두꺼운 후육부(622)를 설치하여, 풀리축(31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62)의 강성 강도를 높이고 있다.
여기서, 지지부(62)에 있어서 후육부(622)는, 회전축(X2) 주위의 둘레 방향의 소정의 각도 범위 θ에 설치되어 있고, 풀리축(310)이 회전축(X2)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강성 강도가, 지지부(62)에 있어서 적어도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62)에 있어서의 후육부(622)가 설치되는 각도 범위 θ의 설정을, 풀리축(310)에 외부 삽입된 베어링(73)[볼(Ba)]에 작용하는 하중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베어링(73)의 볼(Ba)이 9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 볼[Ba(Ba1 내지 Ba9)]에 작용하는 하중(Ball Load)의 크기와, 지지부(62)에 있어서의 후육부(622)가 설치된 각도 범위 θ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서는, 회전축(X2) 주위로 40° 간격으로 배치된 각 볼[Ba(Ba1 내지 Ba9)]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를, 화살표의 길이로 나타내고 있고, (b)에서는, 각 볼[Ba(Ba1 내지 Ba9)]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를, Ball Road(N)를 종축으로 한 막대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 사이에서 토크의 전달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풀리축(310)을 회전축(X2)에 대해 기울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이, 베어링(73)을 통하여 지지부(62)에 작용한다.
본원 발명자는, 베어링(73)의 각 볼(Ba)에 작용하는 하중이며,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 시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를 시뮬레이션 등에 의해 산출한 결과, 하중이 최대가 되는 볼(Ba)은 프라이머리 풀리(2)의 회전축(X1)과 세컨더리 풀리(3)의 회전축(X2)을 연결하는 선분(Ln) 상의 볼(Ba)이 아닌 것을 찾아냈다.
이것은, 프라이머리 풀리(2)의 풀리축(210)과, 세컨더리 풀리(3)의 풀리축(310)에는, 자동 변속기의 다른 기어가 교합되어 있으므로, 풀리축(210)과 풀리축(310)에는, 풀리축(210)과 풀리축(310)에 권취한 벨트(4)로부터의 응력[풀리축(210)과 풀리축(310)의 축간 거리를 좁히는 방향의 응력]뿐만 아니라, 기어의 맞물림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도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1) 하중이 최대가 되는 볼(Ba)의 회전축(X2) 주위의 각도 위치는, 항상 동일해지는 것, (2) 작용하는 하중이 가장 큰 볼(Ba)을 기준(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 θ의 부위의 지지부(62)의 직경 방향의 두께 W2를, 다른 부위(621)의 기준이 되는 두께 W1보다도 후육으로 형성해서 후육부(622)로 함으로써, 풀리축(310)의 회전축(X2)에 대한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는 강성 강도를, 지지부(62)에 갖게 할 수 있는 것을 본원 발명자는 찾아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X2) 주위의 둘레 방향으로 40° 간격으로 볼(Ba)이 설치된 경우에 대해, 토크의 전달 시에 각 볼(Ba)에 작용하는 하중(Ball Road)을 산출한 결과, 하중이 최대가 되는 볼(Ba1)과, 이 볼(Ba1)에 인접하는 볼(Ba2, Ba9)에 작용하는 하중이, 다른 볼(Ba3 내지 Ba8)에 비해 현저하게 커지는 것을 찾아냈다.
그로 인해,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62)에 있어서, 하중이 최대가 되는 볼(Ba1)과, 이 볼(Ba1)에 인접하는 볼(Ba2, Ba9)이 적어도 포함되는 각도 범위의 부분이 후육부(622)가 되도록, 하중이 최대가 되는 볼(Ba1)의 회전축(X2) 주위의 각도 위치를 기준(중심)으로 한 120°의 범위(θ=120°)를 후육부(622)로 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부(62)의 강성 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 사이드 커버(6)의 벽부(60)에, 지지부(62)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65)를 설치하고 있다.
이 리브(65)는 지지부(62)에 있어서의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볼(Ba1)을 지지하는 부위]의 외주로부터, 회전축(X2)의 직경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사이드 커버(6)의 벽부(60)에서는, 리브(65)의 연장선(Lm) 상의 소정 범위의 영역(도면 중, 부호 A로 둘러싼 영역)을, 지지부(62)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한 팽출부(6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팽출부(66)는 벽부(60)의 변속기 케이스(5)측의 면(60a)[도 3의 (c) 참조]으로부터, 지지부(62)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팽출되어 있고, 리브(65)는 지지부(62)의 외주로부터 팽출부(66)에 미치는 길이 L1로 형성되어, 지지부(62)와 팽출부(66)를 접속하고 있다.
팽출부(66)는 지지부(62)의 돌출 방향으로 벽부(60)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정상부(661)와, 정상부(661)의 주연을 둘러싸는 주벽부(662, 663, 664)로 구성되어 있고, 사이드 커버(6)의 벽부(60)에서는 팽출부(66)의 이면측에, 지지부(62)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정상부(661)는 지지부(62)의 외주로부터 연장되는 리브(65)의 연장선(Lm) 상에 위치하고 있고, 이 정상부(661)의 지지부(62)측에 위치하는 주벽부(662)는 지지부(62)를 향함에 따라서 벽부(60)로부터의 돌출 높이 h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도 3의 (c) 참조].
주벽부(662)의 외주(662a)에는, 지지부(62)로부터 연장되는 리브(65)가 접속되어 있고, 이 리브(65)의 상단변(65a)은 벽부(60)측에 오목하게 들어간 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리브(65)의 선단과 주벽부(662)와의 접속점(P)의 벽부(60)로부터의 높이 ha는, 정상부(661)의 벽부(60)[면(60a)]로부터의 높이 h보다도 약간 낮아져 있고,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 시에, 지지부(62)로부터 리브(65)에 작용한 응력이, 주벽부(662)측으로부터 팽출부(66)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주벽부(663, 664)는 리브(65)의 연장선(Lm)을 사이에 둔 일방측[지지부(61)측]과 타방측[지지부(6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2의 (b) 참조].
주벽부(663)는 지지부(61)에 근접함에 따라서 벽부(60)의 면(60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고, 주벽부(664)는 벽부(60)의 면(60a)에 대략 직교하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도 3의 (b) 참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벽부(663)와 주벽부(664)는 공간(S)을 사이에 두고 거의 병행하게 위치하고 있고, 이들 주벽부(663, 664)의 리브(65)측이, 주벽부(663)를 통하여 리브(65)에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 시에, 지지부(62)를 통하여 리브(65)에 작용하는 응력은, 팽출부(66)의 주벽부(663, 664)에 분산시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도 4, 흑색 화살표 참조).
또한, 이들 주벽부(662, 663, 664)는, 상기한 정상부(661)의 외주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지부(62)를 통하여 리브(65)에 작용하는 응력은, 정상부(661)에도 분산시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 시에, 리브(65)에 지지부(62)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응력이 팽출부(66)의 부분에서 흡수되므로, 리브(65)에 의한 지지부(62)의 지지 강도가 확보되어, 지지부(62)의 변형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주벽부(663)와 주벽부(664)의 리브(65)와는 반대측은, 유로(67a)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보스부(67)와 유로(68a)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보스부(68)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팽출부(66) 전체의 강성 강도가 높아져 있다.
그로 인해, 지지부(61)의 강성 강도가, 팽출부(66)와, 이 팽출부(66)와 지지부(61)를 접속하는 리브(65)에 의해 높아지는 결과, 풀리축(310)을 회전축(X2)에 대해 기우는 일 없이 지지하는 데 필요한 강성 강도를, 지지부(61)에 있어서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에서는,
(1) 동력 전달 시에 회전하는 풀리축(310)(회전축)을, 사이드 커버(6)(케이스)의 벽부(60)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통 형상의 지지부(62)의 내주(62a)에서, 베어링(7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킨 사이드 커버(6)에 있어서의 풀리축(310)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풀리축(310)의 회전축(X2) 방향에서 본 지지부(62)의 직경 방향의 두께이며, 동력 전달 시에 풀리축(310)으로부터 베어링(73)을 통하여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기준(중심)으로 한 소정의 각도 범위 θ의 두께를, 소정의 각도 범위 외의 부위(621)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여, 지지부(62)의 일부에 후육부(622)를 설치한 구성으로 했다.
지지부(62)에서는, 동력 전달 시에 풀리축(310)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은 바뀌는 일 없으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지지부(62)에 있어서의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한 소정의 각도 범위 θ의 부분을 후육부(622)로서 강성 강도를 높이는 것만으로, 지지부(62)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부분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케이스의 질량 증가를 피하면서, 동력 전달 시에 풀리축(310)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 강도를 지지부(62)에 갖게 할 수 있다.
(2) 지지부(62)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시에 풀리축(310)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인 후육부(622)의 외주로부터, 지지부(62)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벽부(60)로부터 돌출된 리브(65)를, 회전축(X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벽부(60)에 있어서의 리브(65)의 연장선(Lm) 상의 소정 범위를, 지지부(62)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하여 리브(65)의 연장선(Lm) 상에, 지지부(62)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팽출하는 팽출부(66)를 형성하고, 리브(65)를 지지부(62)의 후육부(622)의 외주로부터 팽출부(66)까지 미치는 길이 L1로 설치하고, 리브(65)의 선단을 팽출부(66)에 접속한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벽부(60)에 설치한 리브(65)에 의해, 동력 전달 시에 풀리축(310)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인 후육부(622)의 외주가 지지되므로, 지지부(62)의 강성 강도가 보다 향상됨과 함께, 리브(65)의 외경측이 팽출부(66)에 지지되므로, 리브(65)에 의한 지지부(62)의 지지 강도도 향상된다.
또한, 팽출부(66)가, 벽부(60)에 있어서의 리브(65)의 연장선(Lm) 상의 소정 범위를, 지지부(62)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팽출부(66)의 이면측에 공간(S)이 형성되어, 팽출부(66)가 중실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지부(62)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사이드 커버(6)의 중량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벨트식 무단 변속기(1)를 탑재한 차량 연비의 향상이 기대된다.
(3) 팽출부(66)는 리브(65)의 연장선(Lm) 상에 위치함과 함께, 벽부(60)의 면(60a)으로부터 지지부(62)의 돌출 방향으로 소정 높이 h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정상부(661)와, 정상부(661)의 주연을 둘러싸는 주벽부(662, 663, 664)를 갖고 중공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리브(65)의 선단을, 이들 주벽부(662, 663, 664) 중, 지지부(62)측에 위치하는 주벽부(662)에 접속한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 시에, 리브(65)의 외경측이 주벽부(662)에 지지되므로, 리브(65)에 의한 지지부(62)의 지지 강도도 향상된다.
또한, 리브(65)에 작용하는 응력이, 중공의 상자 형상을 이루는 팽출부(66)의 부분에서 흡수되므로, 팽출부(66)에서의 리브(65)의 지지 강도가 향상되므로, 이 리브(6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지지부(62)의 리브에 의한 지지 강도가 향상되는 결과, 지지부(62)의 강성 강도를 높일 수 있다.
(4) 정상부(661)의 주연을 둘러싸는 주벽부는, 리브(65)의 연장선(Lm)을 사이에 두고 일방측과 타방측에 위치하는 주벽부(663)(제1 주벽부) 및 주벽부(664)(제2 주벽부)와, 주벽부(663)와 주벽부(664)의 지지부(62)측을 접속함과 함께 리브(65)가 접속된 주벽부(662)(제3 주벽부)를 갖고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 시에, 지지부(62)를 통하여 리브(65)에 작용하는 응력은 팽출부(66)의 정상부(661)와, 주벽부(662)와, 주벽부(663)와, 주벽부(664)에 분산시켜 전달되므로, 리브(65)에 작용하는 응력이, 팽출부(66)의 부분에서 흡수되어, 리브(65)를 통하여 입력되는 응력으로 팽출부(66)가 변형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해, 팽출부(66)에서의 리브(65)의 지지 강도가 한층 향상되는 결과, 리브(65)에 의한 지지부(62)의 지지 강도가 한층 향상되어, 지지부(62)의 강성 강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5) 주벽부(663)와 주벽부(664)의 지지부(62)와는 반대측은, 유로(67a, 68a)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보스부(67, 68)(벽부)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로(67a, 68a)를 둘러싸는 보스부(67, 68)의 강성 강도가 높으므로, 이 강성 강도가 높은 보스부(67, 68)에서, 팽출부(66)의 주벽부(663, 664)가 지지되는 결과, 팽출부(66) 전체의 강성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리브(65)에 의한 지지부(62)의 지지 강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결과, 지지부(62)의 강성 강도를 한층 높일 수 있다.
(6) 사이드 커버(6)는 프라이머리 풀리(2)의 풀리축(210)을 지지하는 지지부(61)(제1 지지부)와, 세컨더리 풀리(3)의 풀리축(310)을 지지하는 지지부(62)(제2 지지부)를 갖고 있으며, 리브(65)는 지지부(62)의 외주로부터 당해 지지부(62)에서 지지된 풀리축(3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리브(65)의 연장 방향은 지지부(61)에서 지지된 풀리축(210)의 회전축(X1)(회전 중심)과 지지부(62)에서 지지된 풀리축(310)의 회전축(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Ln)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인 구성으로 했다.
프라이머리 풀리(2)와 세컨더리 풀리(3) 사이에서의 토크 전달 시에, 풀리축(310)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의 회전축(X2)에서 본 방향은, 프라이머리 풀리(2)의 회전축(X1)과 세컨더리 풀리(3)의 회전축(X2)을 연결하는 선분(Ln) 상으로부터 어긋나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의 강성 강도를 확보하여, 토크의 전달 시에 풀리축(310)이 기울어지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62)의 직경 방향의 두께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두껍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케이스의 질량 증가를 피하면서, 풀리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강성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세컨더리 풀리(3)의 풀리축(310)을 지지하는 지지부(62)에 리브(65)를 설치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프라이머리 풀리(2)의 풀리축(210)을 지지하는 지지부(61)에도 리브를 설치해도 좋다.
1 : 벨트식 무단 변속기
2 : 프라이머리 풀리
3 : 세컨더리 풀리
4 : 벨트
5 : 변속기 케이스
6 : 사이드 커버
21, 31 : 고정 원추판
22, 32 : 가동 원추판
60 : 벽부
60a : 면
61 : 지지부
62 : 지지부
62a : 내주
63 : 축부
64 : 축부
65 : 리브
66 : 팽출부
67 : 보스부
67a : 유로
68 : 보스부
68a : 유로
71 내지 74 : 베어링
210 : 풀리축
310 : 풀리축
601 : 주벽부
622 : 후육부
661 : 정상부
662, 663, 664 : 주벽부
Ba(Ba1 내지 Ba9) : 볼
Ln : 선분
Lm : 연장선
P : 접속점
S : 공간
X1, X2 : 회전축

Claims (6)

  1. 동력 전달 시에 회전하는 회전축을, 케이스의 벽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통 형상의 지지부의 내주에서 지지시킨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본 상기 지지부의 직경 방향의 두께이며, 동력 전달 시에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한 소정의 각도 범위의 두께를,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외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하고,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동력 전달 시에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이 최대가 되는 부위의 외주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벽부로부터 돌출된 리브를, 상기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리브의 연장선 상의 소정 범위를, 상기 지지부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하여, 상기 리브의 연장선 상에 상기 지지부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팽출하는 팽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브의 선단을, 상기 팽출부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는,
    상기 리브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정상부와,
    당해 정상부의 주연을 둘러싸는 주벽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리브의 선단을, 상기 주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부측의 면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부는, 상기 리브의 연장선을 사이에 두고 일방측과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1 주벽부 및 제2 주벽부와, 상기 제1 주벽부와 상기 제2 주벽부의 상기 지지부측을 접속함과 함께 상기 리브가 접속된 제3 주벽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벽부와 상기 제2 주벽부의 상기 지지부와는 반대측은, 오일 구멍을 둘러싸는 벽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프라이머리 풀리의 풀리축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세컨더리 풀리의 풀리축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갖고 있고,
    상기 리브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로부터 당해 제2 지지부에서 지지된 풀리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리브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지지된 풀리축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지지된 풀리축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분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KR1020150180658A 2015-01-12 2015-12-17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KR101851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3753A JP6399934B2 (ja) 2015-01-12 2015-01-12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における回転軸の支持構造
JPJP-P-2015-003753 2015-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743A KR20160086743A (ko) 2016-07-20
KR101851438B1 true KR101851438B1 (ko) 2018-04-23

Family

ID=5640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658A KR101851438B1 (ko) 2015-01-12 2015-12-17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99934B2 (ko)
KR (1) KR101851438B1 (ko)
CN (1) CN1057824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1943B2 (ja) * 2018-01-20 2021-03-10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
EP3705747B1 (de) * 2019-03-04 2022-02-23 IMS Gear SE & Co. KGaA Stirnradgetrieb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162A (ja) * 2004-03-08 2005-09-15 Toyota Motor Corp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06183706A (ja) 2004-12-27 2006-07-13 Daihatsu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3217473A (ja) 2012-04-11 2013-10-24 Yamaha Motor Co Ltd ギアボック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鞍乗型車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881A (ja) * 2003-06-09 2004-12-24 Daihatsu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の冷却構造
JP2007303655A (ja) * 2006-05-15 2007-11-22 Toyota Motor Corp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08154381A (ja) * 2006-12-19 2008-07-03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JP2009068693A (ja) 2007-08-20 2009-04-02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ユニット、及び鞍乗型車両
JP5274198B2 (ja) * 2008-10-20 2013-08-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5738827B2 (ja) * 2011-12-01 2015-06-24 ジヤトコ株式会社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
CN203532697U (zh) * 2013-10-30 2014-04-09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动力传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9162A (ja) * 2004-03-08 2005-09-15 Toyota Motor Corp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06183706A (ja) 2004-12-27 2006-07-13 Daihatsu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3217473A (ja) 2012-04-11 2013-10-24 Yamaha Motor Co Ltd ギアボック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鞍乗型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82406A (zh) 2016-07-20
JP2016130523A (ja) 2016-07-21
JP6399934B2 (ja) 2018-10-03
CN105782406B (zh) 2018-06-08
KR20160086743A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0118B2 (ja) 無段変速機
EP2813729A1 (en) Torsional oscillation damping device
WO2014069125A1 (ja) 無段変速機
JP6709765B2 (ja) トルク変動抑制装置、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動力伝達装置
US9803718B2 (en) Torsional vibration reducing device
JP6863253B2 (ja) 捩り振動低減装置
US4175407A (en) Homokinetic joint allowing a large angular displacement
KR101851438B1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KR102236715B1 (ko) 기어 전동 장치
CN111656055A (zh) 动力传递装置
JP2018071694A (ja) 捩り振動低減装置
US7762915B2 (en)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11466770B2 (en) Driving force transmission apparatus
KR101833122B1 (ko) 차량용 변속 장치의 트랜스미션 케이스
WO2018025297A1 (ja) 波動発生器および波動歯車装置
JP2015194210A (ja) 遠心振子式吸振装置
DE102016223192A1 (de) Fliehkraftpendeleinrichtung
US10570999B2 (en) Toroid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6186840B2 (ja) 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JP2012007644A (ja) 摺動式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
JP2019086069A (ja) 捩り振動低減装置
KR102371286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JP6798467B2 (ja) 振子式捩り振動低減装置
JP2020159397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JP2022015467A (ja) 歯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