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376B1 -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 - Google Patents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376B1
KR101851376B1 KR1020160013064A KR20160013064A KR101851376B1 KR 101851376 B1 KR101851376 B1 KR 101851376B1 KR 1020160013064 A KR1020160013064 A KR 1020160013064A KR 20160013064 A KR20160013064 A KR 20160013064A KR 101851376 B1 KR101851376 B1 KR 101851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alkyl
redox
arylalkyl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040A (ko
Inventor
조화연
박선아
김세진
박상선
장우인
강태혁
김대식
신동명
채정현
김현주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376B1/ko
Priority to PCT/KR2017/001144 priority patent/WO2017135704A1/ko
Priority to CN201780015345.6A priority patent/CN108886156A/zh
Priority to EP17747749.4A priority patent/EP3413386A4/en
Priority to US16/074,973 priority patent/US20210202973A1/en
Priority to JP2018541360A priority patent/JP2019505967A/ja
Priority to AU2017216034A priority patent/AU2017216034A1/en
Publication of KR2017009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65Zinc-halogen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01M12/085Zinc-halogen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el Cell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브롬(Zn/Br) 레독스 커플;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 및 물;을 포함한 첨가제 혼합물을 포함하고,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한 아연/브롬(Zn/Br) 레독스 흐름 전지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ELECTROLYTE FOR REDOX FLOW BATTERY AND REDOX FLOW BATTERY}
본 발명은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대량의 온실 가스 및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하는 화력 발전이나 시설 자체의 안정성이나 폐기물 처리의 문제점을 갖는 원자력 발전 등의 기존 발전 시스템들이 다양한 한계점을 드러내면서 보다 친환경적이고 높은 효율을 갖는 에너지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력 저장 기술은 외부 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 재생 에너지를 보다 다양하고 넓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 이용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어서, 이러한 기술 분야에 대한 개발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들 중 2차 전지에 대한 관심 및 연구 개발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학흐름전지는 활성 물질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산화/환원 전지를 의미하며, 태양광, 풍력 등 외부 환경에 따라 출력변동성이 심한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여 고품질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화학흐름전지에서는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키는 활물질을 포함한 전해액이 전극과 저장 탱크 사이를 순환하며 충방전이 진행된다.
이러한 화학흐름전지는 기본적으로 산화상태가 각각 다른 활물질이 저장된 탱크와 충/방전 시 활물질을 순환시키는 펌프, 그리고 분리막으로 분획되는 단위셀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셀은 전극, 전해액, 집전체 및 분리막을 포함한다.
상기 화학흐름전지의 구체적인 예로 아연/브롬(Zn/Br) 등을 레독스쌍(Redox-Couple)으로 사용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양극 전해액(캐소드 전해액)은 양극(캐소드 전극) 측에서 산화환원 반응하여 전류를 생성하여 캐소드 전해액 탱크에 저장되고, 음극 전해액(애노드 전해액)은 음극(애노드 전극) 측에서 산화환원 반응하여 전류를 생성하여 애노드 전해액 탱크에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충전시, 분리막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서,
2Br- → Br2+2e- (식 1)
와 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서 캐소드 전해액에 포함된 브롬이 생산되어 캐소드 전해액 탱크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충전시, 분리막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서,
Zn2++2e- → Zn (식 2)
와 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서, 애노드 전해액에 포함된 아연이 애노드 전극에 증착되어 저장된다.
캐소드쪽에서 발생하는 액체 브롬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증기압이 낮음으로 쉽게 기화되는 성질을 지니고 있어 쉽게 브롬 기체로 변하게 된다. 또는 액체 브롬이 애노드쪽으로 넘어감으로서 Zn와 반응하여 자가방전이 일어나기도 한다. 브롬 기체로의 손실과 액체 브롬의 애노드쪽으로의 크로스오버로 인해 충전량이 감소되는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자가 방전이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롬을 포함한 착제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브롬을 포함한 착제 화합물은 브롬과 착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기체 브롬의 용해도를 높여, 기체 브롬의 발생을 낮춤과 크로스오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브롬 착제로써 1-ethyl-1-methylpyrrolidinium bromide (약칭, MEP-Br)이라는 물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MEP-Br은 브롬이 착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충전량이 감소를 줄여서 전하량 효율을 높일 수 있지만, 착화합물 형성으로 인한 전해액의 점도가 높아져서 흐름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전압 효율이 낮아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pyridinium Bromide에 alkyl기를 도입한 화합물을 브롬 착제로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브롬 착제 화합물들은 브롬 착화합물 형성시 용해도가 감소하여 흐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압 효율 및 전하량 효율이 모두 낮아지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Imidazolium hailde계열에 alkyl기를 도입한 물질을 브롬 착제로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되었으나, MEP-Br에 비해 향상된 전도도를 나타내긴하지만 전기화학적 특성이 좋지 못해 방전 효율이 크게 저하되고 전하량 효율이 감소하는 한계가 있었다.
국제특허공개 WO2013-168145 (공개일: 2013년 11월 14일)
본 발명은, 충전시에 브롬 기체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브롬으로 인한 자가 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레독스 흐름 전지가 보다 높은 에너지 효율, 전류 효율 및 전압 효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을 사용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아연/브롬(Zn/Br) 레독스 커플;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 및 물;을 포함한 첨가제 혼합물을 포함하고,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이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전해액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가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아연/브롬(Zn/Br) 레독스 커플;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 및 물;을 포함한 첨가제 혼합물을 포함하고,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에 상술한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을 첨가하는 경우, 충전시에 브롬 기체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브롬으로 인한 자가 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레독스 흐름 전지가 보다 높은 에너지 효율, 전류 효율 및 전압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은 그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용해도를 크게 높이면서 브롬 기체와의 결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을 포함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은 충전시에 브롬 기체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브롬으로 인한 자가 방전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전해액을 포함한 레독스 흐름 전지를 구동시 보다 높은 에너지 효율, 전류 효율 및 전압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 그룹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가 결합된 작용기이며, 상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 그룹이 상기 4차 암모늄 브롬화물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화합물이거나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11348828-pat00001
상기 화학식1에서, R1, R2, R3 및 R4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16011348828-pat00002
상기 화학식2에서, R1, R2, R3 및 R4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3>
Figure 112016011348828-pat00003
상기 화학식3에서, R1, R2, R3 및 R4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4>
Figure 112016011348828-pat00004
상기 화학식4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R3 및 R4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0 내지 7인 정수이고,
<화학식 5>
Figure 112016011348828-pat00005
상기 화학식5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R3 및 R4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0 내지 7인 정수이고,
<화학식 6>
Figure 112016011348828-pat00006
상기 화학식6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R5 R6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7>
Figure 112016011348828-pat00007
상기 화학식7에서, R1, R2, R3, R4 R5 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R6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8>
Figure 112016011348828-pat00008
상기 화학식8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R4 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한편,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중 상기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의 농도가 0.1 M 내지 2.0 M일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중 상기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상술한 효과, 예들 들어 충전시에 브롬 기체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브롬으로 인한 자가 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이 실질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을 포함한 레독스 흐름 전지가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전류 효율 또는 전압 효율에 큰 변화가 없을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중 상기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의 농도가 2.0 M 를 초과하면,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용해도가 오히려 감소하거나, 상기 전해액의 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고, 상술한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이 석출되거나 상기 전해액을 포함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압 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현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은 아연/브롬(Zn/Br) 레독스 커플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액 상에서 아연/브롬(Zn/Br) 레독스 커플의 농도는 0.2 M 내지 10 M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은 상술한 첨가제 혼합물 이외로 전해액의 출발 물질인 ZnBr2, ZnCl2, 또는 순수 브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은 상술한 첨가제 혼합물 이외로 계면활성제, 추가적인 착화제, 도전제 또는 기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현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가 1이상 치환된 피리디니윰 브로마이드(pyridinium Bromide),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가 1이상 치환된 이미다졸리움 브로마이드(Imidazolium Bromide) 및 1-에틸-1-메틸 피롤리디늄 브로마이드(1-Ethyl-1-methylpyrrolidinium bro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착화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구현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에서 상기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 상기 착화제 간의 농도 비율은 1:10 내지 10:1 또는 1:1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은 전도 향상을 위한 도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제는 칼륨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KCl, KNO3, KBr, KMnO4 등 칼륨을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 일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중 도전제의 농도가 0.1M 내지 5.0M일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중 상기 도전제의 농도가 5.0 M 를 초과하면,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용해도가 감소하거나 상기 도전제의 석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의 전도도가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전해액을 사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압 효율 및 전하량 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예의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은 pH 조절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들 들어 황산 또는 이의 염, 염산 또는 이의 염, 브롬산, 또는 아스파트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은 최소 50 mS/cm이상의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을 사용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구체적인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아연/할라이드 레독스 흐름 전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아연/브롬(Zn/Br) 레독스 커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해액 중 아연/브롬(Zn/Br) 레독스 커플의 농도가 0.2 M 내지 10 M일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분리막과 전극을 포함하는 단위 셀; 산화상태가 각각 다른 활물질이 저장된 탱크; 및 충전 및 방전 시 상기 단위셀과 탱크 사이에서 활물질을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상기 단위 셀을 1이상 포함하는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는 플로우 프레임 (Flow fram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로우 프레임은 전해액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실제 전지의 전기 화학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전극과 분리막 사이로 전해액의 고른 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로우 프레임은 0.1 mm 내지 10.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시에 브롬 기체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브롬으로 인한 자가 방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레독스 흐름 전지가 보다 높은 에너지 효율, 전류 효율 및 전압 효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과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을 사용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가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제조]
하기 표1의 구성 성분을 사용하여 양극, 플로우 프레임, 분리막, 플로우 프레임, 음극 순서로 조립을 하여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조하였다.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제작
항 목 내 용
분리막 ASAHI SF600
전극
(Electrode)
Anode 재질 Graphite plate
Cathode 재질 Activated carbon coated
graphite plate
면적 (cm2) 35 (7㎝ x 5㎝)
플로우 프레임(frame material) PTFE (두께 1.5 mm)
개스킷 PVC
전해액 (ml) Anolyte 30 ml 2.25 M ZnBr2+ 0.55 M ZnCl2 + 브롬착제 + Pure Br2 0.035M
Catholyte 30 ml
Flow Rate (ml/min) 140
작동 온도 상온
*브롬착제의 구체적인 농도 및 성분은 하기 표2에 기재
* 하기 실시예의 전해액은 도전제 KCl 1M을 더 포함
[ 실시예 비교예 :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의 제조]
상기 표1의 전해액에 하기 표2의 브롬 착제를 상기 전해액 성분과 혼합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구분 브롬착제 종류 농도
[M]
구분 브롬착제 종류 농도
[M]
비교예1
Figure 112016011348828-pat00009
0.8 실시예5
Figure 112016011348828-pat00010
0.2
비교예2
Figure 112016011348828-pat00011
0.8
Figure 112016011348828-pat00012
0.6
실시예1
Figure 112016011348828-pat00013
0.8 실시예6
Figure 112016011348828-pat00014
0.25
실시예2
Figure 112016011348828-pat00015
0.8
Figure 112016011348828-pat00016
0.55
실시예3
Figure 112016011348828-pat00017
0.8 실시예7
Figure 112016011348828-pat00018
0.8
실시예4
Figure 112016011348828-pat00019
0.8 실시예8
Figure 112016011348828-pat00020
0.25
Figure 112016011348828-pat00021
0.55
[ 실험예1 :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성능 평가]
상기 표1의 레독스 흐름 전지에 상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해액을 각각 투입하고 이러한 충방전 사이클을 10회 진행하여 에너지 효율, 전하량 효율 및 전압 효율을 측정하였다.
이하의 실험예에서는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의 에너지 효율, 전압 효율 및 전하량 효율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에너지 효율 (Energy Efficiency, EE)
= (방전에너지 (Wh) / 충전에너지 (Wh)) *100
(2) 전압 효율 (Voltage Efficiency, VE)
= (에너지 효율 / 전하량 효율) *100
(3) 전하량 효율 (Coulombic Efficiency, CE)
= (방전용량 (Ah) / 충전용량(Ah)) * 100
< 실험예1의 조건>
- 충전 조건: 전류밀도 20 mA/㎠, 충전양 83 mAh/㎠
- 방전 조건: 20 mA/㎠, cut-off 0.01 V
실험예1의 운전 결과
Efficiency [%]
EE CE VE
비교예1 69.8 89.2 78.2
비교예 2 62.4 81.1 76.9
실시예1 72.2 88.0 82.1
실시예5 71.6 88.8 80.6
실시예6 74.2 90.3 82.1
실시예7 71.1 89.1 79.8
실시예8 74.2 90.3 82.1
상기 표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전해액을 적용한 경우에 비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전해액을 사용하는 경우 전하량 효율이 동등 수준에서 유지되면서도 에너지 효율 및 전압 효율이 크게 증가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실시예의 전해액을 사용함에 따라, 징크/브롬 레독스 흐름전지가 충전시에 발생하는 브롬 기체 억제 및 프리 브롬으로 인한 자가 방전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서, 전하량 효율이 동등 수준에서 유지되면서도 에너지 효율 및 전압 효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실험예 2: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해질의 전기전도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전해액 제조된 전해액 10mL를 vial에 담아 전극에 담지시키고 안정된 시점에서 TOADKK사의 CM-25R 전도도미터로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2의 측정 결과
구성 전도도 [mS/cm]
비교예1 70.2
실시예1 96.2
실시예2 86.9
실시예3 78.7
실시예4 76.1
상기 표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전해질은 비교예1의 전해질에 비하여 약 10% 내지 30%이상 높은 전도도를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온도에 따른 전해액 증기압 측정]
하기 표5에 기재된 성분을 혼합하여 SOC 40% 및 SOC 60%의 징크/브롬 전해액을 100mL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SOC 40% 용액 SOC 60% 용액
ZnBr2 1.35M 0.9M
ZnCl2 0.55M 0.55M
브롬착제 * 0.8M 0.8M
브롬 0.935M 0.385M
**브롬착제의 구체적인 농도 및 성분은 하기 표7에 기재
그리고, 상기 SOC40% 및 SOC60% 상태에서의 전해액을 원심분리기에 넣어 수층과 유기층을 분리하고, 결과물을 50mL 둥근 플라스트에 유기층 5mL를 넣고, 한일 랩테크 사의 진공계(마노메타) H5063와 연결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며 증기압 측정 하였다. 이 때, 상온에서부터 60 ℃까지 증기압실험을 진행하며, 온도가 안정된 상태로부터 증기압이 안정화되는 시점에서의 증기압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는 하기 표6에 기재된 바와 같다.
온도에 따른 전해액 증기압 측정 결과 / 단위:mmHg
No 브롬착제 조성 상온 40 ℃ 50 ℃ 55 ℃ 60 ℃
비교예3
Figure 112016011348828-pat00022
SOC40% 0 1 1 1 1.5
SOC60% 2 8 12 12 12
실시예9
Figure 112016011348828-pat00023
SOC60% 1 3.5 4 5.5 8
실시예10
Figure 112016011348828-pat00024
SOC40% 1 2 2 2 2
실시예11
Figure 112016011348828-pat00025
SOC40% 0 0 1 1 5
실시예12
Figure 112016011348828-pat00026
SOC40% 1 1 1 1 1
실시예13
Figure 112016011348828-pat00027
SOC60% 0 3.5 4.5 6 7
상기 표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9 내지 13의 전해질은 온도 상승에 따른 브롬 기체(Br2)와의 결합능력이 높아서 기체 발생량이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SOC 60%의 농도에서도 비교예3의 전해질이 50℃ 이상의 온도에서 약 12 mmHg 이상의 높은 증기압을 나타내는데 반하여, 실시예 9 내지 13의 전해질은 온도 상승에 따른 전해액의 고온 안정성 우수하여 기체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1)

  1. 아연/브롬(Zn/Br) 레독스 커플;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 및 물;을 포함한 첨가제 혼합물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 그룹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가 결합된 작용기이며,
    상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 그룹이 상기 4차 암모늄 브롬화물에 결합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화학식 1>
    Figure 112017102242902-pat00028

    상기 화학식1에서, R1, R2, R3 및 R4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17102242902-pat00029

    상기 화학식2에서, R1, R2, R3 및 R4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3>
    Figure 112017102242902-pat00030

    상기 화학식3에서, R1, R2, R3 및 R4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4>
    Figure 112017102242902-pat00031

    상기 화학식4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R3 및 R4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0 내지 7인 정수이고,
    <화학식 5>
    Figure 112017102242902-pat00032

    상기 화학식5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R3 및 R4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m은 0 내지 7인 정수이고,
    <화학식 6>
    Figure 112017102242902-pat00033

    상기 화학식6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R5 R6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7>
    Figure 112017102242902-pat00034

    상기 화학식7에서, R1, R2, R3, R4 R5 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R6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화학식 8>
    Figure 112017102242902-pat00035

    상기 화학식8에서, R1 및 R2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R3 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또는 아릴알킬이고, n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중 아연/브롬(Zn/Br) 레독스 커플의 농도가 0.2 M 내지 10 M 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중 상기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의 농도가 0.1 M 내지 2.0 M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6. 제1항에 있어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가 1이상 치환된 피리디니윰 브로마이드(pyridinium Bromide),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가 1이상 치환된 이미다졸리움 브로마이드(Imidazolium Bromide) 및 1-에틸-1-메틸 피롤리디늄 브로마이드(1-Ethyl-1-methylpyrrolidinium bro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착화제를 더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에서 상기 1이상의 알킬렌 알콕시기를 포함한 4차 암모늄 브롬화물: 상기 착화제 간의 농도 비율은 1:10 내지 10:1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8. 제1항에 있어서,
    전도 향상을 위한 도전제를 더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중 도전제의 농도가 0.1M 내지 5.0M인,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제는 칼륨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11. 제1항의 전해액를 포함하는, 아연/브롬(Zn/Br) 레독스 흐름 전지.
KR1020160013064A 2016-02-02 2016-02-02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 KR10185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64A KR101851376B1 (ko) 2016-02-02 2016-02-02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
PCT/KR2017/001144 WO2017135704A1 (ko) 2016-02-02 2017-02-02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
CN201780015345.6A CN108886156A (zh) 2016-02-02 2017-02-02 氧化还原液流电池电解液和氧化还原液流电池
EP17747749.4A EP3413386A4 (en) 2016-02-02 2017-02-02 REDOX BATTERY ELECTROLYTE AND REDOX BATTERY
US16/074,973 US20210202973A1 (en) 2016-02-02 2017-02-02 Redox flow battery electrolyte and redox flow battery
JP2018541360A JP2019505967A (ja) 2016-02-02 2017-02-02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用電解液およ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AU2017216034A AU2017216034A1 (en) 2016-02-02 2017-02-02 Redox flow battery electrolyte and redox flow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64A KR101851376B1 (ko) 2016-02-02 2016-02-02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40A KR20170092040A (ko) 2017-08-10
KR101851376B1 true KR101851376B1 (ko) 2018-05-31

Family

ID=5950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064A KR101851376B1 (ko) 2016-02-02 2016-02-02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02973A1 (ko)
EP (1) EP3413386A4 (ko)
JP (1) JP2019505967A (ko)
KR (1) KR101851376B1 (ko)
CN (1) CN108886156A (ko)
AU (1) AU2017216034A1 (ko)
WO (1) WO2017135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133B1 (ko) * 2018-11-21 2024-03-2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전해액 회복방법
KR20200109070A (ko) 2019-03-12 2020-09-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KR20200124398A (ko)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연-철 레독스 흐름 전지
KR102591528B1 (ko) * 2022-07-04 2023-10-19 주식회사 코스모스랩 아연-브롬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아연-브롬 전지
US20240055657A1 (en) * 2022-08-10 2024-02-15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Amphiphilic complexing agents for improved membrane compatibility and stability of redox spec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145A1 (en) 2012-05-10 2013-11-14 Bromine Compounds Ltd. Additives for zinc-bromine membraneless flow cells
US20150372351A1 (en) 2013-02-07 2015-12-24 Bromine Compounds Ltd. Processes for preparing l-alkyl-3-alkyl-pyridinium bromide and uses thereof as additives in electrochemical cell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8460A (en) * 1976-03-17 1977-07-26 Eco-Control, Inc. Halogen complexing ethers
EP0109223B1 (en) * 1982-11-02 1987-07-22 Kabushiki Kaisha Meidensha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Electrolyte for zinc-bromine storage batteries
JPS59111277A (ja) * 1982-12-17 1984-06-27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亜鉛―臭素二次電池
AU696452B2 (en) * 1993-11-17 1998-09-10 Jd Holding Inc. Stabilised electrolyte solutions, methods of preparation thereof and redox cells and batteries containing stabilised electrolyte solutions
GB0913638D0 (en) * 2009-08-05 2009-09-16 Acal Energy Ltd Fuel cells
JP5376052B2 (ja) * 2010-04-23 2013-12-25 富士通株式会社 電解液及び該電解液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
CN104600338A (zh) * 2013-11-01 2015-05-06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锌溴液流电池电解液添加剂及其制作方法
WO2016028408A1 (en) * 2014-08-20 2016-02-25 Albemarle Corporation Quaternary ammonium halides with ether functional groups for use as battery electroly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8145A1 (en) 2012-05-10 2013-11-14 Bromine Compounds Ltd. Additives for zinc-bromine membraneless flow cells
US20150372351A1 (en) 2013-02-07 2015-12-24 Bromine Compounds Ltd. Processes for preparing l-alkyl-3-alkyl-pyridinium bromide and uses thereof as additives in electrochemical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704A1 (ko) 2017-08-10
CN108886156A (zh) 2018-11-23
EP3413386A1 (en) 2018-12-12
EP3413386A4 (en) 2019-07-10
KR20170092040A (ko) 2017-08-10
US20210202973A1 (en) 2021-07-01
JP2019505967A (ja) 2019-02-28
AU2017216034A1 (en)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376B1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
JP5050847B2 (ja) 二次電池とこれを用いた電源システム、電源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101862368B1 (ko) 아연-브롬 화학흐름전지의 운전 방법
US4038459A (en) Halogen complexing alcohols and nitriles
US10840531B2 (en) Two-electron redox active molecules with high capacity and energy density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s
KR20140017017A (ko) 이온성 액체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
Verma et al. Recent progress in electrolyte development and design strategies for next‐generation potassium‐ion batteries
CN106654332B (zh) 一种有机相电解液及其在液流电池负极中的应用
CN113363544B (zh) 一种锌有机混合液流电池的阴极深共晶电解液及其液流电池
US10424805B2 (en) Benzothiophene-based redox molecules for flow battery
Thorat et al. Zn-based deep eutectic solvent as the stabilizing electrolyte for Zn metal anode in rechargeable aqueous batteries
AU2017292179A1 (en) Non-aqueous redox flow batteries
US10930937B2 (en) Flow batteries incorporating active materials containing doubly bridged aromatic groups
KR20170096641A (ko) 첨가제를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양극 전해질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
KR20190058136A (ko) 레독스 흐름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CN107359367A (zh) 一种耐高电压阻燃型锂离子电池电解液及其制备方法
KR101732686B1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레독스 흐름 전지
JP2014170715A (ja) 電池
Kemmizaki et al. Redox-active glyme–Li tetrahalogenoferrate (iii) solvate ionic liquids for semi-liqui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A3201816A1 (en) Rechargeable flow battery
CN104300167A (zh) 一种有机相液流电池
KR101873562B1 (ko) 레독스 흐름 전지의 운전 방법
KR20220067124A (ko) 흐름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
KR20200058081A (ko)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아연-브롬 레독스 흐름 전지
JP7252699B2 (ja) 電解液及びそれを含む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