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870B1 -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870B1
KR101850870B1 KR1020170010216A KR20170010216A KR101850870B1 KR 101850870 B1 KR101850870 B1 KR 101850870B1 KR 1020170010216 A KR1020170010216 A KR 1020170010216A KR 20170010216 A KR20170010216 A KR 20170010216A KR 101850870 B1 KR101850870 B1 KR 101850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late
separating means
press material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형
Original Assignee
한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형 filed Critical 한재형
Priority to KR102017001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870B1/ko
Priority to PCT/KR2018/000930 priority patent/WO201813590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가장자리 부분(변부)을 상승시키는 상승수단과 소재 상승 상태를 유지하는 오토 래치를 이용하여 자성 소재(magnetic material)나 비자성 소재(Non-magnetic material) 구분없이 최상부의 적재 소재를 신속 정확하게 상승 분리시키는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받침판(2)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ㄷ" 평면 형상의 지지부재(3)와, 지지부재(3)의 바깥 측면에 고정되는 좌우 측판(4)(5)과, 좌우 측판(4)(5)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구성되고 소재(9)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정열봉(6)(7)과, 지지부재(3)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판(8)과, 경사판(8)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승수단(10)과, 상승수단(10)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최상부에 적재되는 소재(9a)의 가장자리 부분을 밀어올려 상승 분리시키는 분리수단(27)과, 좌우 측판(4)(5)에 설치되고 최상부 소재(9a)의 가장자리 저부면이 얹혀 지지되는 오토 래치(11)(12)와, 소재(9)의 상승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3) 또는 근접스위치와, 받침판(2)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를 소재 적재대(14)의 바닥면(15)에 흡착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마그네틱 베이스(1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Separation device of material}
본 발명은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프레스 소재를 상승시키는 상승수단과 상승된 소재의 가장자리 저부면을 지지하는 오토 래치(Auto-latch)를 이용하여 자성 소재(magnetic material)나 비자성 소재(Non-magnetic material) 구분없이 소재 적재대의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를 신속 정확하게 상승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기 주변(또는 프레스 공정)에는 적재된 프레스 소재(이하 '소재' 라고 함)를 프레스기의 금형으로 낱장씩 연속 공급하는 소재공급장치(소재공급대)가 설치된다. 상기 소재공급장치에는 복수의 소재정열수단이 설치되어 적재(적층)되는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가지런히 정열시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소재정열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열봉이 선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적재되는 소재를 정열하고 있으나, 정열봉 상부나 상단에는 자석분리기가 설치되어 최상부에 적재되는 자성 소재(magnetic material)가 자력(磁力)에 의해 상승 및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 소재(Non-magnetic material), 예컨대 알루미늄, 스텐레스, 동(구리)이나 각종 비자성(非磁性) 합금, 상자성체(paramagnetic substance), 반자성체(diamagnetic substance)의 경우 분리가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5592호(발명의 명칭: 프레스 소재 정열장치, 2013. 7. 12.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753호(발명의 명칭: 연마장치 운반용기의 소재 정열장치, 2002. 11. 13.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제20-0243135호(발명의 명칭: 선재 정열장치, 2001. 11. 30. 등록공고)
본 발명은 프레스 소재를 상승시키는 상승수단과, 상승된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붙잡아 상승 상태를 유지하는 오토 래치(Auto-latch)를 이용하여 자성 소재(magnetic material)나 비자성 소재(Non-magnetic material) 구분없이 소재 적재대의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를 신속 정확하게 상승 분리시킬 수 있는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는, 하부에 위치하는 소정 평면적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바깥 측면에 고정되는 좌우 측판과, 상기 좌우 측판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구성되고 프레스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정열봉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승수단과, 상기 상승수단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최상부에 적재되는 프레스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밀어올려 상승시키는 분리수단과, 상기 좌우 측판에 설치되고 상승된 프레스 소재의 가장자리 저부면을 지지하되 상승은 허용하고 하강은 방지하는 오토 래치와, 상기 좌우 측판 중 일측 측판 상부에 설치되고 프레스 소재의 상승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승수단은, 경사판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구성되는 피스톤 및 피스톤 로더와, 상기 피스톤 로더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봉과, 상기 피스톤 로더와 안내봉 상단에 고정되는 승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수단은, 승강체의 상부면 후단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방홈과, 상기 개방홈에 끼워진 다음 축핀으로 하부가 축설치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수단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분리수단의 전면으로 개방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끼워진 다음 복수의 체결부재로 고정되고 전면부에 클릭홈이 형성되는 클릭부재와, 상기 축핀보다 높은 위치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분리수단과 하우징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축핀보다 낮은 위치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구성되고 돌출되면 분리수단의 하부를 밀어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분리수단과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분리수단을 소재 방향으로 밀어 탄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릭부재는 상부 경사면과 하부 수평면이 교대로 형성되어 삼각형의 클릭홈이 복수로 나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릭부재는 소재 방향으로 3~30°기울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오토 래치는, 지지부재의 상부 바깥 측면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수평판 하부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가 축핀으로 축 설치되는 래치와, 상기 래치 하부에 일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래치의 하부 후면과 고정부재의 하부 전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축핀보다 높은 위치의 고정부재의 상부에 체결되는 간격유지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토 래치는, 수평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 연장부를 측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승수단에 의해 소재 적재대의 최상부에 적재되는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변부)이 상승되고, 상승된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토 래치(Auto-latch)에 의해 상승 상태가 유지되므로 자성 소재(magnetic material)나 비자성 소재(Non-magnetic material) 구분없이 최상부 적재 소재를 신속 정확하게 상승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재 적재대(14)에 적재되는 소재(9)의 표면에 묻은 오일이나 윤활제 및 진공 현상 등에 의해 떼어내기 곤란한 경우에도 상승수단(10)과 분리수단(27)에 의해 소재(9)가 쉽게 분리되므로 프레스 작업 공정의 전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9a)를 밀어올리는 클릭홈(33)은 경사면이 상부에 위치하고 수평면이 하부에 위치하므로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9a)의 모서리 부분이 잘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오토 래치(11)(12)는 절곡 연장부(41b)의 장공(51)을 측부(3a)(3b)에 체결함으로써 소재(9)의 형상에 따라 돌출 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최상부 소재(a)가 상승할 때 가장자리 부분(모서리 부분)이 클릭부재(32)의 반대방향으로 조금 멀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클릭부재(32)가 소재(9) 방향으로 3~30°기울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최상부의 소재(9a)가 상승할 때(밀어 올려질 때) 최상부의 소재(9a)가 클릭홈(33)을 이탈하거나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자력을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 소재(Non-magnetic material), 예컨대 알루미늄, 스텐레스, 동(구리)이나 각종 비자성(非磁性) 합금, 상자성체(paramagnetic substance), 반자성체(diamagnetic substance)의 경우에도 쉽고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열봉 상부나 상단에 설치되는 자석분리기 없이도 최상부에 적재되는 자성 소재(magnetic material)를 간편하면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는 손잡이(16a) 조작으로 강력한 흡자력(吸磁力)이 생성되거나 제거(소멸)되는 마그네틱 베이스(Magnetic Base)(16)가 받침판(2)에 설치되어 있어서 소재 적재대(14)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적재되는 소재(9)의 형상이나 모양 및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를 대응 위치로 신속히 이동시켜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프레스 작업 공정의 전체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측면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오토 래치(Auto-latch)의 구성도.
도 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동작 상태 단면도로, 최상부의 소재를 밀어올리기 전의 상태.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동작 상태 단면도로, 최상부의 소재를 밀어올려 분리시킨 상태.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동작 상태 단면도로, 최상부의 소재가 오토 래치에 걸림된 상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로, 하부에 위치하는 소정 평면적의 받침판(2)과, 받침판(2)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전면(소재 방향)으로 개방되는 "ㄷ" 평면 형상의 지지부재(3)와, 지지부재(3)의 바깥 측면에 복수의 체결부재로 각각 고정되는 좌우 측판(4)(5)과, 좌우 측판(4)(5)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구성되고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변부)을 지지하는 정열봉(6)(7)과, 지지부재(3) 사이에 설치되는 경사판(8)과, 경사판(8)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승수단(10)과, 상승수단(10)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최상부에 적재되는 소재(9a)의 가장자리 부분을 밀어올려 상승 분리시키는 분리수단(27)과, 좌우 측판(4)(5)에 설치되고 최상부 소재(9a)의 가장자리 저부면을 지지하되 최상부 소재(9a)의 상승은 허용하고 하강은 방지하는 오토 래치(11)(12)와, 일측 측판(4 또는 5)의 상부에 설치되고 소재(9)의 상승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3) 또는 근접스위치와, 받침판(2)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자석의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를 소재 적재대(14)의 바닥면(15)에 흡착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마그네틱 베이스(16)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3)는 양측 측부(3a)(3b)가 평행으로 구성되고, 측부(3a)(3b) 사이에는 전면으로 개방된 수납실(3c)이 형성되고, 측부(3a)와 측부(3b) 사이에는 복수의 보강판(8a)이 끼워진 다음 고정되어 지지부재(3)가 보강되고, 수납실(3c) 상부에는 전면부(소재 방향)가 낮은 경사판(8)이 고정되고, 경사판(8)의 상부면에는 최상부에 위치하는 소재(9a)의 가장자리 부분을 들어올려 상승 분리시키는 상승수단(10) 및 분리수단(27)이 설치되며, 경사판(8)에 설치되는 상승수단(10)과 분리수단(27)은 전면부가 낮은 구성이다.
상기 상승수단(10)은, 경사판(8)의 상부면에 소정의 기울기로 고정되는 실린더(18)와, 실린더(18)에 구성되는 피스톤(20) 및 피스톤 로더(21)와, 피스톤 로더(21)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봉(22)(23)과, 피스톤 로더(21)와 안내봉(22)(23) 상단에 고정되는 승강체(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실린더(18)의 동작상태에 따라 승강체(24)가 상승 및 하강 운동하게 되고, 승강체(24) 상부면에 설치되는 분리수단(27) 또한 승강체(24)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체(24)의 상부에는 최상부에 위치하는 소재(9)의 가장자리 부분을 들어올려 분리시키는 분리수단(27)이 설치된다.
상기 분리수단(27)은, 승강체(24)의 상부면 후단에 고정되는 하우징(25)과, 하우징(25)의 전면으로 개방 형성되는 개방홈(26)과, 개방홈(26)에 끼워진 다음 축핀(28)으로 하부가 축설치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분리수단(27)과, 분리수단(27)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29)과, 분리수단(27)의 전면으로 개방 형성되는 결합홈(35)과, 결합홈(35)에 끼워진 다음 복수의 체결부재(34)로 고정되고 전면부에 복수의 클릭홈(33)이 나열 형성되는 클릭부재(32)와, 상기 축핀(28)보다 높은 위치의 하우징(25)에 설치되고 분리수단(27)과 하우징(25)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36)와, 상기 축핀(28)보다 낮은 위치의 하우징(25)에 설치되는 실린더(37)와, 실린더(37)에 구성되고 돌출되면 분리수단(27)의 하부(27a)를 밀어 축핀(28)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피스톤 로드(38)와, 분리수단(27)과 하우징(25)의 상부에 설치되어 분리수단(27)을 소재(9) 방향으로 밀어 탄지하는 스프링(30)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30)의 좌우 단부는 분리수단(27)과 하우징(25)에 형성되는 요입홈에 각각 결합되어 분리수단(27)이 축핀(28)을 중심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탄지된다.
상기 클릭부재(32)는 상부 경사면과 하부 수평면이 교대로 형성된 삼각형의 클릭홈(33)이 전면부에 나열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소재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진 상태의 클릭부재(32)가 상승수단(10)에 의해 상승하면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9a)의 모서리 부분(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모서리 부분)이 클릭홈(33)에 걸림된 다음 오토 래치(11)(12)의 걸림부(47) 위로 상승하고, 실린더(37)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 로더(38)가 돌출 동작하면서 분리수단(27)의 하부(27a)를 밀어주면, 도 10과 같이 분리수단(27)이 축핀(2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직상태로 유지되어 소재(9)와 멀어지게 되므로, 최상부 소재(9a)의 가장자리 부분이 클릭홈(33)을 이탈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다가 오토 래치(11)(12)의 걸림부(47)에 얹혀 걸림되므로, 최상부의 소재(9a)와 직하부의 소재(9)가 완전히 분리된다.
도 6은 상기 오토 래치(11)(12)를 도시한 것으로, 지지부재(3)의 상부 바깥 측면에 고정되는 수평판(40)과, 수평판(40) 하부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판(41)과, 지지판(41)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가 축핀(44)으로 축 설치되어 회동하는 래치(43)와, 래치(43) 하부에 일측(소재 정열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47)와, 걸림부(47)의 일측(소재 정열 방향)에 형성되는 경사부(48)와, 지지판(4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2)와, 래치(43)의 하부 후면과 고정부재(42)의 하부 전면에 각각 형성되는 홈에 결합되어 래치(43)가 축핀(44)을 중심으로 소재(9) 방향으로 이동되는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36a)과, 축핀(44)보다 높은 위치의 고정부재(42)의 상부에 체결되는 간격유지볼트(45) 및 너트(45a)를 포함한다.
상기 오토 래치(11)(12)는 수평판(40)의 일측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 연장부(41b)를 측부(3a)(3b)에 직접 고정하거나, 또는 도 2, 도 5와 같이 절곡 연장부(41b)와 연결부재(49)를 이용하여 측부(3a)(3b)에 체결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5와 같이 분리수단(27)의 양측에 오토 래치(11)(12)가 떨어져 위치하게 되며, 상승되는 소재(9a)가 양측 오토 래치(11)(12)의 걸림부(47)에 얹혀 지지된다.
상기 오토 래치(11)(12)는 소재의 형상에 따라 돌출 정도가 조절된다. 이를테면 측부(3a)(3b)에 체결할 때 절곡 연장부(41b)의 장공(51)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돌출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오토 래치(11 또는 12)는 분리수단(27)의 일측 또는 타측에 하나만 설치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나, 도 6과 같이 분리수단(27)의 양측에 이격 설치함으로써 상승된 소재(9a)의 2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근접센서(13)는 적재된 소재(9a)가 소모되면 소재 적재 높이가 낮아지게되므로 이를 감지하여 소재 적재대(14)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구동시켜 소재(9)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소재(9)의 적재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근접센서(13)는 브라켓(13b)에 체결되고, 상기 브라켓(13b)은 또 다른 브라켓(13a)에 체결부재(13d)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재(13d)는 측부(3b)에 고정되는 일측 연결부재(49)에 체결된다. 따라서 소재(9)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브라켓(13a)(13b)에 각각 형성된 수직 장공 및 수평 장공을 이용하여 근접센서(13)의 높이와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로, 마그네틱 베이스(16)를 이용하여 소재 적재대(14)의 바닥면(15)에 소재(9)의 형상을 감안하여 복수의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를 흡착 고정시킨 다음 엘리베이터 축봉(52) 상부에 위치하는 승강판(53)에 소재(9)를 고정시킨 다음 그 상부면에 소재(9)를 여러층으로 적재(적층)시키면 수직 정열봉(6)(7)(54)에 의해 소재(9)의 가장자리 부분(변부)이 정열 지지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된다.
상기 소재(9)는 자성 소재(magnetic material)를 위시하여 알루미늄, 스텐레스, 동(구리)이나 각종 비자성(非磁性) 합금 소재와 같이 자력을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 소재(Non-magnetic material), 상자성체(paramagnetic substance) 소재, 반자성체(diamagnetic substance) 소재를 포함한다.
한편, 소재 적재대(14)에 적층되는 소재(9)는 표면에 묻은 수분이나 오일이나 윤활제 등에 의해 적층된 소재(9)(9a)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면서 쉽게 분리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서는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9a)를 쉬우면서 효율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된다.
즉,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9a)를 프레스(프레스기) 또는 이송테이블로 낱장씩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 소재(9a)를 상승시키는 상승수단(10)과, 분리수단(27)과, 상승된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붙잡아 상승 상태를 유지하는 오토 래치(11)(12)를 이용하여 자성 소재(magnetic material)나 비자성 소재(Non-magnetic material) 구분없이 최상부의 적재 소재를 신속 정확하게 상승 분리시키게 되며, 상승 분리된 소재(9a)는 도시안된 진공흡착패드와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스(프레스기) 또는 이송테이블, 또는 필요한 장소로 낱장씩 이송시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도 8은 최상부의 소재(9a)를 밀어올리기 전의 단면도로, 제어기(도시안됨)에 의해 실린더(37)가 동작하여 피스톤 로더(38)가 몰입 동작하면 분리수단의 하부(27a)를 밀어주는 힘이 제거되므로 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분리수단(27)이 축핀(28)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θ) 회전하면 클릭홈(33)이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9a)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며, 하우징(25)에 체결된 간격유지부재(36)의 체결 정도(돌출 정도)를 조절시켜 클릭부재(32)의 각도(θ)와 클릭홈(33)의 결합 정도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클릭홈(33)은 경사면이 상부에 위치하고 수평면이 하부에 위치하므로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9a)의 모서리 부분이 잘 결합되며, 도 8, 도 9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θ)로 밀어 상승시키게 되므로 도 7과 같이 반대편 수직 정열봉(54)에 의해 최상부 소재(a)가 지지되면서 이동이 억제되더라도 최상부 소재(a)의 가장자리 부분(모서리 부분)이 클릭부재(32)의 반대방향으로 조금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최상부 소재(a)가 상승할 때 가장자리 부분(모서리 부분)이 클릭부재(32)의 반대방향으로 조금 멀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도 8, 도 9와 같이 클릭부재(32)가 소재(9)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최상부의 소재(9a)가 상승할 때(밀어 올려질 때) 최상부의 소재(9a)가 클릭홈(33)을 이탈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릭부재(32)의 소정 각도(θ)는 최상부의 소재(9a)가 상승하더라도 클릭홈(33)을 이탈하거나 분리되지 않는 각도인 3~30°의 기울기가 바람직하다.
도 9는 최상부의 소재(9a)를 밀어올려 분리시킨 상태의 단면도로, 도 8과 같이 클릭부재(32)의 클릭홈(33)이 최상부에 적재된 소재(9a)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어기에 의해 상승수단(10)이 동작하여 피스톤 로더(21)가 돌출 동작하면 승강체(24)가 양측 안내봉(22)(23)의 안내를 받으면서 소정의 각도(θ)로 상승하고, 승강체(24) 상승과 더불어 하우징(25)과 분리수단(27)과 클릭부재(32)가 소정 높이(상승수단의 상승 스트로크)로 상승하면서 클릭홈(33)에 결합되어 있던 최상부의 소재(9a)가 상승하게 되므로 하부의 소재(9)와 완전 분리된다.
상기에서 최상부의 소재(9a)가 상승할 때, 도 6과 같이 래치(43)의 경사부(48)를 밀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스프링(36a)의 탄발력과 간격유지볼트(45)의 스토퍼 작용에 의해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래치(43)가 축핀(4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다가 최상부의 소재(9a)가 걸림부(47) 위로 상승하게 되면 경사부(48)를 밀어주던 힘이 제거되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던 래치(43)가 스프링(36a)의 탄발작용에 의해 축핀(4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간격유지볼트(45)의 스토퍼 작용에 의해 정지하면서 수직 상태로 유지된다.
도 10은 최상부의 소재가 오토 래치(11)(12)의 걸림부(47)에 걸림된 상태의 단면도로, 도 9와 같이 최상부의 소재(9a)가 걸림부(47) 위로 상승된 상태에서 제어기(도시안됨)에 의해 실린더(37)가 동작하여 피스톤 로더(38)가 돌출 동작하면 스프링(30)의 탄발 작용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있던 분리수단(27)이 축핀(2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경사면(29)이 하우징(25)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정지되고, 클릭부재(32)는 수직 상태로 유지되고, 최상부 소재(9a)의 모서리 부분이 클릭홈(33)을 이탈하면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다가 오토 래치(11)(12)의 걸림부(47)에 얹혀 걸림되면서 하강이 방지되므로 최상부의 소재(9a)와 직하부의 소재(9)가 완전히 분리되며, 최상부의 소재(9a)가 걸림부(47)에 걸림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도시안된 진공흡착패드로 최상부 소재(9a)의 상부면을 흡착한 다음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프레스(프레스기) 또는 이송테이블, 또는 필요한 장소로 이송시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마그네틱 베이스(16)는 바닥판(2)의 상부면에 몸체(16a)가 설치되고, 몸체(16a) 일측에 손잡이(16b)가 설치되어 있어서 몸체(16a)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16b)를 회전시키면 몸체(16a)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이 하강하여 소재 적재대(14)의 바닥면(15)에 강한 자력(磁力)으로 흡착되면서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가 쉽게 고정되며, 반대로 손잡이(16b)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영구자석이 상승하면서 바닥면(15)과의 흡착력이 제거되거나 극히 감소되면서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가 소재 적재대(14)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소재(9)의 형상과 정열 및 지지위치를 감안하여 적당한 위치의 바닥면(15) 상부에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를 간편하면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는 손잡이(16b)의 조작으로 강력한 흡자력(吸磁力)이 생성되거나 제거(소멸)되는 마그네틱 베이스(Magnetic Base)(16)를 이용하여 소재 적재대(14)의 바닥면(15)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며, 적재되는 소재(9)의 형상이나 모양 및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1)를 대응 위치로 신속히 이동시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프레스 작업 공정의 전체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미설명 부호 (50)은 볼트/피스 등의 체결부재이고, (17)은 지지부재(3)의 후면을 지지하는 보강부재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2)--받침판
(3)--지지부재 (3a)(3b)--측부
(4)(5)(55)--측판 (6)(7)(54)--정열봉
(8)--경사판 (8a)--보강판
(9)(9a)--소재(프레스 소재 등) (10)--상승수단
(11)(12)--오토 래치 (13)--근접센서(근접스위치)
(14)--소재 적재대 (15)--소재 적재대의 바닥면
(16)--마그네틱 베이스 (18)--실린더
(20)--피스톤 (21)--피스톤 로더
(22)(23)--안내봉 (24)--승강체
(25)--하우징 (26)--개방홈
(27)--분리수단 (27a)--분리수단의 하부
(28)(44)--축핀 (29)--경사면
(30)(36a)--스프링 (32)--클릭부재
(33)--클릭홈 (34)--체결부재
(35)--결합홈 (36)--간격유지부재
(37)--실린더 (38)--피스톤 로드
(40)--수평판 (41)--지지판
(41b)--절곡 연장부 (42)--고정부재
(43)--래치 (45)--간격유지볼트
(45a)--너트 (47)--걸림부
(48)--경사부 (49)--연결부재
(51)--장공 (52)--엘리베이터 축봉
(53)--승강판

Claims (8)

  1. 하부에 위치하는 소정 평면적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바깥 측면에 고정되는 좌우 측판;
    상기 좌우 측판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구성되고 프레스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정열봉;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경사판;
    상기 경사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승수단;
    상기 상승수단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최상부에 적재되는 프레스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승시키는 분리수단;
    상기 좌우 측판에 설치되고 상승된 프레스 소재의 가장자리 저부면을 지지하는 오토 래치;
    상기 좌우 측판 중 일측 측판 상부에 설치되고 프레스 소재의 상승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베이스;
    를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승수단은,
    경사판(8)에 고정되는 실린더(18);
    실린더(18)에 구성되는 피스톤(20) 및 피스톤 로더(21);
    피스톤 로더(21)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봉(22)(23);
    피스톤 로더(21)와 안내봉(22)(23) 상단에 고정되는 승강체(24);
    를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3.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리수단은,
    승강체의 상부면 후단에 고정되는 하우징(25);
    하우징(25)의 전면으로 개방 형성되는 개방홈(26);
    개방홈(26)에 끼워진 다음 축핀(28)으로 하부가 축설치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하는 분리수단(27);
    분리수단(27)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면(29);
    분리수단(27)의 전면으로 개방 형성되는 결합홈(35);
    결합홈(35)에 끼워진 다음 복수의 체결부재(34)로 고정되고 전면부에 클릭홈(33)이 형성되는 클릭부재(32);
    축핀(28)보다 높은 위치의 하우징(25)에 설치되고 분리수단(27)과 하우징(25)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36);
    축핀(28)보다 낮은 위치의 하우징(25)에 설치되는 실린더(37);
    실린더(37)에 구성되고 돌출되면 분리수단(27)의 하부(27a)를 밀어 축핀(28)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피스톤 로드(38);
    분리수단(27)과 하우징(25)의 상부에 설치되어 분리수단(27)을 소재(9) 방향으로 밀어 탄지하는 스프링(30);
    을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클릭부재(32)는, 상부 경사면과 하부 수평면이 교대로 형성되어 삼각형의 클릭홈(33)이 복수로 나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5.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클릭부재(32)는 소재(9) 방향으로 3~30°기울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6.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오토 래치는,
    지지부재(3)의 상부 바깥 측면에 고정되는 수평판(40);
    수평판(40) 하부 양측에 고정되는 지지판(41);
    지지판(41) 사이에 결합되는 상부가 축핀(44)으로 축 설치되는 래치(43);
    래치(43) 하부에 일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47);
    걸림부(47)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사부(48);
    지지판(4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2);
    래치(43)의 하부 후면과 고정부재(42)의 하부 전면에 설치되는 스프링(36a);
    축핀(44)보다 높은 위치의 고정부재(42)의 상부에 체결되는 간격유지볼트(45) 및 너트(45a);
    를 포함하는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7.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오토 래치는, 수평판(40)의 일측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 연장부(41b)를 측부(3a)(3b)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8.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근접센서(13)는, 브라켓(13b)에 체결되고, 상기 브라켓(13b)은 또 다른 브라켓(13a)에 체결부재(13d)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재(13d)는 측부(3b)에 고정되는 일측 연결부재(49)에 체결되어 소재(9)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근접센서(13)의 높이와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KR1020170010216A 2017-01-23 2017-01-23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KR101850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216A KR101850870B1 (ko) 2017-01-23 2017-01-23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PCT/KR2018/000930 WO2018135909A1 (ko) 2017-01-23 2018-01-22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216A KR101850870B1 (ko) 2017-01-23 2017-01-23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870B1 true KR101850870B1 (ko) 2018-04-20

Family

ID=6208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216A KR101850870B1 (ko) 2017-01-23 2017-01-23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0870B1 (ko)
WO (1) WO20181359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056B1 (ko) * 2018-07-13 2019-11-20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틸팅 기능이 부여된 소재정열장치
KR20230152280A (ko) * 2022-04-27 2023-11-03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소재분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0642B2 (ja) 1995-12-20 2004-04-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パネル材の分離装置およびパネル材の分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6838U (ja) * 1984-04-28 1985-11-22 株式会社オリイ 薄板材の剥離補助装置
KR200241715Y1 (ko) * 2001-05-24 2001-10-15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파레트 체인저의 파레트 분리장치
KR101262703B1 (ko) * 2011-08-09 2013-05-15 한재형 전자석을 이용한 프레스 소재 지지장치
KR101633606B1 (ko) * 2015-04-23 2016-06-27 한재형 프레스 소재 지지 및 분리장치
KR101689144B1 (ko) * 2015-11-18 2016-12-23 한재형 마그네틱 베이스를 이용한 소재 정열 및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0642B2 (ja) 1995-12-20 2004-04-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パネル材の分離装置およびパネル材の分離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056B1 (ko) * 2018-07-13 2019-11-20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틸팅 기능이 부여된 소재정열장치
KR20230152280A (ko) * 2022-04-27 2023-11-03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소재분리장치
KR102620874B1 (ko) * 2022-04-27 2024-01-04 쓰리피로봇 주식회사 소재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5909A1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805B1 (ko) 물품 반송 설비
WO2018018750A1 (zh) 用于产品自动转移料架的装置
JP5494588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用の下受けピンモジュールおよび基板下受け装置ならびに基板下受け方法
JP5796162B2 (ja) トレイフィーダおよびトレイセット用のパレットならびにトレイセット方法
JP5445534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ならびに下受けピンモジュールの配置変更方法
KR101850870B1 (ko) 프레스 소재 분리장치
KR100637397B1 (ko) 철판 적재장치
JP5678277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CN209774414U (zh) 柔性键盘固定装置
CN110589412A (zh) 一种物料自动倒盘机
CN210884043U (zh) 一种物料自动倒盘机
KR101457023B1 (ko) 로봇을 이용한 물건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방법
JP2013116780A (ja) 物品載置具
JP2014225594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6364230B2 (ja) 板材分離装置及びマグネットフロータ
KR102620874B1 (ko) 소재분리장치
JP2020066514A (ja) ワーク分離機構、ワーク供給装置およびワーク分離方法
CN217866474U (zh) 一种用于千斤顶检测的加载装置
CN114101941B (zh) 托盘机构及激光打标装置
CN210312505U (zh) 一种玻璃用翻转变形式吸持装置
CN211225465U (zh) 一种圆形料片分料定位台
CN218476301U (zh) 机壳打螺丝输送顶升机构
KR101299881B1 (ko)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CN215200588U (zh) 一种背靠背自动上料锁螺丝设备
WO2019006876A1 (zh) 一种防掉落货物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