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881B1 -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881B1
KR101299881B1 KR1020120045757A KR20120045757A KR101299881B1 KR 101299881 B1 KR101299881 B1 KR 101299881B1 KR 1020120045757 A KR1020120045757 A KR 1020120045757A KR 20120045757 A KR20120045757 A KR 20120045757A KR 101299881 B1 KR101299881 B1 KR 10129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onnector
engine control
control uni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2004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제어유닛의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조립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로부터 커넥터를 분리하여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이송로봇과, 이송로봇의 측면에 설치되어 트레이를 공급 및 배출하는 트레이 이송플레이트와, 트레이 이송플레이트를 통해 트레이 공급부 및 트레이 배출부를 연결하는 트레이 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 이송플레이트는 이송로봇의 양측에 2열로 배치되고, 각각의 트레이 이송플레이트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트레이 공급부 및 다수개의 트레이 배출부가 장착되며, 트레이 공급부와 고정지그 및 트레이 이송플레이트에 각각 트레이 감지 센서와 진공패드 및 이물체 감지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공정이 끊임없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빈 트레이의 저장공간활용 효율성 및 이송의 편의성을 높이고, 고정지그와 트레이 사이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플레이트 표면에 이물체가 침입하면 공정이 중지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트레이의 소진 여부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의 중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TRAY SUPPLY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 CONNECTOR}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를 탑재하여 이송하는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별개의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엔진제어유닛의 인쇄회로기판 및 커넥터를 조립할 때에, 트레이 공급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이송로봇에 트레이에 탑재된 커넥터를 공급하면 이송로봇이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고, 빈 트레이를 트레이 공급장치가 자동으로 회수함으로써 엔진제어유닛의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조립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인쇄회로기판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공정은 별도의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가 각각 팰릿(pallet) 및 트레이에 장착되어 트레이 이송장치 및 팰릿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로봇으로 이송되고, 이송로봇은 트레이로부터 커넥터를 분리해 팰릿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트레이 공급장치의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2734호(2010.04.06)에는 고객 트레이들이 적재된 카세트가 장착되는 카세트 장착부와, 고객 트레이를 부품공급영역으로 이송시키는 트레이 공급수단과, 빈 고객 트레이를 배출영역으로 하강시키는 하강수단과, 빈 고객 트레이를 외부 수납부로 이송시키는 트레이 배출수단으로 구성된 부품 실장기용 트레이 공급장치가 도 1과 같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의 기존의 트레이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제어유닛의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조립공정을 수행하게 되면, 트레이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수단이 하나만 장착되어 있어 트레이 공급수단의 트레이가 모두 배출되면 작업의 중단이 발생하게 되고, 트레이 공급장치에서 트레이를 이송하는 동안 트레이의 고정이 불안정하게 되어 이송로봇에 트레이가 도달하였을 때 트레이의 정렬이 흐트러지게 되고, 그에 따라 이송로봇을 통한 커넥터의 이송작업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40778호(2004.07.08)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로부터 커넥터를 분리하여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이송로봇과, 이송로봇의 측면에 설치되어 트레이를 공급 및 배출하는 트레이 이송플레이트와, 트레이 이송플레이트를 통해 트레이 공급부 및 트레이 배출부를 연결하는 트레이 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 이송플레이트는 이송로봇의 양측에 2열로 배치되어있어 각각의 트레이 이송플레이트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트레이 공급부 및 다수개의 트레이 배출부가 장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공정이 끊임없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트레이를 고정하는 고정지그의 상부 표면부에 진공패드를 장착함으로써 고정지그와 트레이 사이의 고정력이 향상된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수직으로 쌓여있는 트레이의 측면에서 접촉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공급 가이드 패널과, 공급 가이드 패널에 형성된 제1 고정돌기 홈을 관통하여 돌출됨으로써 최하단의 트레이 모서리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돌기 및 제1 고정돌기의 돌출된 정도를 조절하는 제1 고정돌기 작동부를 통해 최하단의 트레이를 트레이 클램프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 공급부와; 커넥터를 트레이에서 인쇄회로기판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관절부에서 회전 및 스윙(swing) 운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된 로봇암과, 로봇암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커넥터를 고정하는 커넥터 그립으로 구성되는 이송로봇과; 이송로봇에 의해 커넥터가 분리된 빈 트레이를 최하단부터 수직으로 쌓아 배출하도록 트레이의 측면에서 접촉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배출 가이드 패널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배출 가이드 패널에 형성된 제2 고정돌기 홈을 관통하도록 돌출됨으로써 최하단의 트레이 모서리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2 고정돌기로 구성되는 트레이 배출부와; 트레이를 고정하는 고정지그와, 고정지그가 트레이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트레이를 트레이 공급부에서 추출하거나, 빈 트레이를 트레이 배출부로 배출하도록 고정지그 하부에 장착되며, 유체의 압력에 의해 고정지그를 승하강시키는 제1 실린더 및 고정지그의 승하강을 보조하는 제2 실린더로 구성되는 트레이 클램프; 및 상기 트레이 공급부로부터 커넥터가 탑재된 트레이를 공급받은 트레이 클램프를 이송로봇으로 이송하고, 이송로봇에서 커넥터를 분리한 빈 트레이가 장착된 트레이 클램프를 트레이 배출부로 이송하는 수평이송장치 및 수평이송장치가 장착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트레이 이송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트레이 공급부는 트레이 공급부에 쌓여있는 트레이가 모두 공급되면 트레이의 소진 여부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점등표시 또는 알람을 발생하는 트레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고정지그는 트레이 접촉부위의 압력을 감소시켜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트레이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트레이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표면부에 진공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트레이 이송플레이트는 트레이 클램프가 이동하는 플레이트 표면에 이물체가 침입하면 인쇄회로기판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공정이 중지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이물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트레이 이송플레이트는 이송로봇의 양측에 2열로 배치되고, 각각의 트레이 이송플레이트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트레이 공급부 및 다수개의 트레이 배출부가 장착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공정이 끊임없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레이로부터 커넥터를 분리하여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이송로봇과, 이송로봇의 측면에 설치되어 트레이를 공급 및 배출하는 트레이 이송플레이트와, 트레이 이송플레이트를 통해 트레이 공급부 및 트레이 배출부를 연결하는 트레이 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 이송플레이트는 이송로봇의 양측에 2열로 배치되고, 각각의 트레이 이송플레이트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트레이 공급부 및 다수개의 트레이 배출부가 장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공정이 끊임없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빈 트레이가 트레이 배출부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빈 트레이의 저장공간활용 효율성 및 이송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와, 트레이를 고정하는 고정지그의 상부 표면부에 진공패드를 장착함으로써 고정지그와 트레이 사이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트레이 이송플레이트에 이물체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트레이 클램프가 이동하는 플레이트 표면에 이물체가 침입하면 인쇄회로기판에 커넥터를 결합하는 공정이 중지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트레이 공급부에 트레이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트레이의 소진 여부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트레이 공급 및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 공급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배출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배출부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클램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장치 공급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공급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배출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배출부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클램프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100)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120)가 탑재된 트레이(110)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부(10)와, 트레이 공급부(10)에서 공급된 커넥터(120)를 트레이(110)에서 분리하여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200)의 팰릿(210)에 탑재된 인쇄회로기판(220)에 장착하는 이송로봇(20)과, 이송로봇(20)에 의해 커넥터(120)가 분리된 빈 트레이(110)를 배출하는 트레이 배출부(30)와, 트레이 공급부(10)에서 커넥터(120)가 탑재된 트레이(110)를 인수하고 빈 트레이(110)를 트레이 배출부(30)로 인계하는 트레이 클램프(40) 및 트레이(110)가 탑재된 트레이 클램프(40)를 이송로봇(20)과 트레이 공급부(10) 및 트레이 배출부(30)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로 구성되며,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100)의 이송로봇(20)측 말단부에는 인쇄회로기판(220)이 탑재된 팰릿(210)을 이송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200)가 설치된다.
세부적으로, 상기 트레이 공급부(10)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돌기 홈(11a)이 형성된 공급 가이드 패널(11) 내측에 다수개의 트레이(110)가 수직으로 적재되고, 수직으로 적재된 최하단의 트레이(110) 모서리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돌기(12)가 제1 고정돌기 홈(11a)을 관통하여 위치하며, 제1 고정돌기(12)에는 제1 고정돌기 작동부(13)가 장착되며, 공급 가이드 패널(11)에는 트레이 감지 센서(14)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송로봇(20)은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절부에서 회전 및 스윙(swing) 운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로봇암(21)이 형성되고, 로봇암(21)의 말단부에 커넥터 그립(22)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배출부(30)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고정돌기 홈(31a)이 형성된 배출 가이드 패널(31) 내측에 다수개의 빈 트레이(110)가 수직으로 적재되고, 수직으로 적재된 최하단의 빈 트레이(110) 모서리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2 고정돌기(32)가 제2 고정돌기 홈(31a)을 관통하도록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배출 가이드 패널(31)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 클램프(40)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110)를 고정하는 고정지그(41)의 상부면에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진공패드(23)가 장착되고, 고정지그(41)의 하부면에 유체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제1 실린더(42a)가 장착되며, 제1 실린더(42a)의 측면에는 제2 실린더(42b)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는 도 2,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 클램프(40)가 이동하는 플레이트(52)의 말단에 스토퍼가 장착되고, 플레이트(52) 상부면에 이물체 감지 센서(53)가 장착되며, 플레이트(52)의 하부에는 트레이 클램프(40)를 수평이송시키는 수평이송장치(51)가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는 수평이송장치(51)의 작동에 의해 트레이 클램프(40)가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의 플레이트(52)를 따라 이동하여 트레이 공급부(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 후,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린더(42a) 내부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제1 실린더(42a)가 상승하면서, 제1 실린더(42a)의 상부에 장착된 고정지그(41)가 트레이 공급부(10)의 공급 가이드 패널(11) 내부에 수직으로 쌓여있는 커넥터(120)가 탑재된 트레이(110) 중 최하단의 트레이(110) 하부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1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트레이 공급부(10)의 제1 고정돌기(12)로부터 트레이(110)가 미세하게 부양하게 된다.
그런 후, 제1 고정돌기 홈(11a)을 통해 공급 가이드 패널(11)을 관통하는 제1 고정돌기(12)가 제1 고정돌기 작동부(13)의 작동에 의해 공급 가이드 패널(11) 외부로 이동하면 제1 실린더(42a) 내부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을 감소시켜 제1 실린더(42a)를 하강시키고, 제1 실린더(42a)가 하강함에 따라 수직으로 쌓여있는 트레이(110)가 트레이 클램프(40)에 탑재된 상태로 한꺼번에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그(41) 하부면에는 제2 실린더(42b)가 제1 실린더(42a) 측면에 위치하도록 장착됨으로써 수직으로 쌓여있는 트레이(110)의 하중을 분산하고, 고정지그(41)의 더욱 안정적인 승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 후, 수직으로 쌓여있는 트레이(110) 중 최하단의 트레이(110)가 제1 고정돌기(12)를 통과하면, 제1 고정돌기(12)가 제1 고정돌기 작동부(13)에 의해 공급 가이드 패널(11) 내부로 재진입하여 고정지그(41)에 탑재된 트레이(110)의 바로 위에 위치한 트레이(110)의 하부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최하단의 트레이(110)만이 트레이 클램프(40)의 고정지그(41)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그(41)의 상부면은 트레이(110)의 하부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트레이(110)의 안정적인 안착을 가능하게 하고, 진공펌프에 연결된 진공패드(43)가 고정지그(41)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있어 트레이(110)와의 접촉부위 압력을 감소시켜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트레이(110)와 고정지그(41)의 고정력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트레이 클램프(40)의 승강운동 및 수평이송운동에 의해 트레이(110)의 탑재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한다.
그런 후, 수평이송장치(51)의 작동에 의해 트레이 클램프(40)가 플레이트(52)를 따라 이송로봇(20) 앞으로 이동하며, 플레이트(52) 말단에 형성된 스토퍼에 의해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52)에는 이물체 감지 센서(53)가 장착되어있어, 작업중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상에 이물체가 감지되면 이송로봇(20) 및 수평이송장치(51)의 작동이 정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후, 이송로봇(20)에 의해 트레이(110)에 탑재된 커넥터(120)를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200)의 팰릿(210)에 탑재된 인쇄회로기판(220)으로 이송하여 결합하게 되고, 트레이(110)가 비워지면 수평이송장치(51)의 작동에 의해 트레이 클램프(40)가 플레이트(52)를 따라 트레이 배출부(30) 앞으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그런 후,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린더(42a) 내부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제1 실린더(42a)가 상승하면 고정지그(41)에 탑재된 빈 트레이(110)가 트레이 배출부(30)로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빈 트레이(110)의 가장자리가 제2 고정돌기(32)와 접촉하면 제2 고정돌기(32)가 눌리면서 제2 고정돌기 홈(31a) 내부로 들어가며, 상승된 빈 트레이(110)가 제2 고정돌기(32)를 통과하면 스프링에 의해 제2 고정돌기(32)가 배출 가이드 패널(31) 내부로 재진입하여 배출된 트레이(110)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런 후, 진공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트레이(110)가 진공패드(43)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제1 실린더(42a) 내부에 가해지는 유체의 압력을 감소시켜 제1 실린더(42a)를 하강시키면 트레이 배출부(30)로 빈 트레이(110)가 배출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의 작동이 완료된다.
이후 위의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는 이송로봇(20)을 기준으로 양측에 2열로 배치되고, 각각의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에는 트레이 공급부(10) 및 트레이 배출구(30)가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어, 빈 트레이(110)가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의 플레이트(52)를 따라 이동하여 트레이 배출구(30)로 이송되는 동안 다른 이송플레이트(50)에서 커넥터(120)가 탑재된 트레이(110)를 공급하여 공정이 끊임없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각 이송플레이트(50)에 장착된 하나의 트레이 공급부(10)에 탑재된 트레이(110)가 소진되더라도 다른 트레이 공급부(10)에 탑재된 트레이(110)를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어 공정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게 되며, 트레이 공급부(10)에 장착된 트레이 감지 센서(14)를 통해 트레이 공급부(10)에 탑재된 트레이(110)가 소진되는 경우 점등표시 또는 알람을 발생시켜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트레이 공급부 11 : 공급 가이드 패널
11a : 제1 고정돌기 홈 12 : 제1 고정돌기
13 : 제1 고정돌기 작동부 14 : 트레이 감지 센서
20 : 이송로봇 21 : 로봇암
22 : 커넥터 그립 30 : 트레이 배출부
31 : 배출 가이드 패널 31a : 제2 고정돌기 홈
32 : 제2 고정돌기 40 : 트레이 클램프
41 : 고정지그 42 : 수직이송장치
42a : 제1 실린더 42b : 제2 실린더
43 : 진공패드 50 : 트레이 이송플레이트
51 : 수평이송장치 52 : 플레이트
53 : 이물체 감지 센서 100 :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110 : 트레이 120 : 커넥터
200 :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210 : 팰릿
220 : 인쇄회로기판

Claims (5)

  1.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엔진제어유닛 생산설비에 있어서,
    수직으로 쌓여있는 트레이(110)의 측면에서 접촉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공급 가이드 패널(11)과, 공급 가이드 패널(11)에 형성된 제1 고정돌기 홈(11a)을 관통하여 돌출됨으로써 최하단의 트레이(110) 모서리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돌기(12) 및 제1 고정돌기(12)의 돌출된 정도를 조절하는 제1 고정돌기 작동부(13)를 통해 최하단의 트레이(110)를 트레이 클램프(2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 공급부(10)와;
    커넥터(120)를 트레이(110)에서 인쇄회로기판(220)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관절부에서 회전 및 스윙(swing) 운동이 가능한 다수개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된 로봇암(21)과, 로봇암(21)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커넥터(120)를 고정하는 커넥터 그립(22)으로 구성되는 이송로봇(20)과;
    이송로봇(20)에 의해 커넥터(120)가 분리된 빈 트레이(110)를 최하단부터 수직으로 쌓아 배출하도록 트레이(110)의 측면에서 접촉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배출 가이드 패널(31)과,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며 배출 가이드 패널(31)에 형성된 제2 고정돌기 홈(31a)을 관통하도록 돌출됨으로써 최하단의 트레이(110) 모서리 하부면을 지지하는 제2 고정돌기(32)로 구성되는 트레이 배출부(30)와;
    트레이(110)를 고정하는 고정지그(41)와, 고정지그(41)가 트레이(110)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트레이(110)를 트레이 공급부(10)에서 추출하거나, 빈 트레이(110)를 트레이 배출부(30)로 배출하도록 고정지그(41) 하부에 장착되며, 유체의 압력에 의해 고정지그(41)를 승하강시키는 제1 실린더(42a) 및 고정지그(41)의 승하강을 보조하는 제2 실린더(42b)로 구성되는 트레이 클램프(40); 및
    상기 트레이 공급부(10)로부터 커넥터(120)가 탑재된 트레이(110)를 공급받은 트레이 클램프(40)를 이송로봇(20)으로 이송하고, 이송로봇(20)에서 커넥터(120)를 분리한 빈 트레이(110)가 장착된 트레이 클램프(40)를 트레이 배출부(30)로 이송하는 수평이송장치(51) 및 수평이송장치(51)가 장착되는 플레이트(52)로 구성되는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부(10)는 트레이 공급부(10)에 쌓여있는 트레이(110)가 모두 공급되면 트레이(110)의 소진 여부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점등표시 또는 알람을 발생하는 트레이 감지 센서(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41)는 트레이(110) 접촉부위의 압력을 감소시켜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트레이(110)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트레이(110)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표면부에 진공패드(2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는 트레이 클램프(20)가 이동하는 플레이트(52) 표면에 이물체가 침입하면 인쇄회로기판(220)에 커넥터(120)를 결합하는 공정이 중지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이물체 감지 센서(5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는 이송로봇(20)의 양측에 2열로 배치되고, 각각의 트레이 이송플레이트(5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트레이 공급부(10) 및 다수개의 트레이 배출부(40)가 장착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20)에 커넥터(120)를 결합하는 공정이 끊임없이 발생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KR1020120045757A 2012-04-30 2012-04-30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KR10129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57A KR101299881B1 (ko) 2012-04-30 2012-04-30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757A KR101299881B1 (ko) 2012-04-30 2012-04-30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881B1 true KR101299881B1 (ko) 2013-08-23

Family

ID=49221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757A KR101299881B1 (ko) 2012-04-30 2012-04-30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0797A (zh) * 2023-06-07 2023-08-22 苏州睿新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线性滑道式托盘供料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2533A (ko) * 1995-05-18 1996-12-21 배순훈 자동 트레이 체인저
KR960042698A (ko) * 1995-05-18 1996-12-21 배순훈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트레이 이송장치
KR19980021153A (ko) * 1996-09-13 1998-06-25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037604A (ko) * 2010-10-12 2012-04-20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2533A (ko) * 1995-05-18 1996-12-21 배순훈 자동 트레이 체인저
KR960042698A (ko) * 1995-05-18 1996-12-21 배순훈 자동 트레이 체인저의 트레이 이송장치
KR19980021153A (ko) * 1996-09-13 1998-06-25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20037604A (ko) * 2010-10-12 2012-04-20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20797A (zh) * 2023-06-07 2023-08-22 苏州睿新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线性滑道式托盘供料器
CN116620797B (zh) * 2023-06-07 2023-10-13 苏州睿新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线性滑道式托盘供料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271B1 (ko)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US7621710B2 (en) Work sheet conveying and housing system and work sheet conveying and housing method
KR20160144835A (ko) 연료전지 스택 고속 적층 장치
JP2020021795A (ja) 搬送システム
CN113213149A (zh) 一种组装设备
CN110146502A (zh) 汽车通讯模块的外观检测设备
KR20190002483U (ko) 곤포체 및 곤포 용기
CN112040647A (zh) 一种贴膜机
KR101299881B1 (ko) 자동차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 트레이 공급장치
KR101100863B1 (ko) 간지를 자동분리할 수 있는 세라믹 가공장치
CN211180457U (zh) 一种对位压合装置
CN209177597U (zh) 一种纸箱码垛机器人夹具
KR20140017306A (ko) 모듈식 기판 투입 장치
CN110626718A (zh) 线体设备及线体模组
JP2020155628A (ja) トレイ搬送装置およびパネル搬送システム
KR20100091153A (ko) 유리판 곤포대
KR101167076B1 (ko) 기판 이송장치
CN112935567A (zh) 一种片料自动激光打标设备
JP2020021896A (ja) 搬送ロボットおよび搬送システム
KR102050564B1 (ko) 유리 이송 장치
KR101637926B1 (ko) 리드 프레임 카세트 이송용 오토 스태커 및 그에 의한 리드 프레임의 이송 방법
CN219876332U (zh) Smt治具的供给装置
CN217263190U (zh) 一种封头切割机用上料装置
CN217971651U (zh) 一种用于组装线上移动式机器人拆垛机构
CN211866918U (zh) 焊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