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916B1 -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916B1
KR101848916B1 KR1020110022651A KR20110022651A KR101848916B1 KR 101848916 B1 KR101848916 B1 KR 101848916B1 KR 1020110022651 A KR1020110022651 A KR 1020110022651A KR 20110022651 A KR20110022651 A KR 20110022651A KR 101848916 B1 KR101848916 B1 KR 10184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state
turning
aug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951A (ko
Inventor
요오헤이 시모다
도시오 도미나가
마사루 구와지마
히로아끼 마쯔시따
유끼히로 이나메
요시마사 안도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03224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01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0322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347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02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방진망의 라디에이터에 대한 착탈 작업을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방진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원동부의 측벽부(38)가, 그 측벽부(38)와 라디에이터(16) 사이에 방진망(18)을 개재시키는 상태에서 라디에이터(16)에 접근하는 적정 장착 상태와, 라디에이터(16)로부터 이격되어 라디에이터(16)의 전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방진망(18)이 라디에이터(16)의 흡기측 개소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설치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체(52)에 지지체(50)가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로 삽입 장착되고, 프레임체(52)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전체 둘레에 걸쳐 탄성 변형 가능한 시일재(55)가 설치되고, 측벽부(38)가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 측벽부(38)가 시일재(55)를 압박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곡립 배출용 오거의 이동을 지령하는 조작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되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곡립 배출용 오거의 이동 조작을 지령하는 지령 조작부(S)가, 수납용 선회 위치와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에 걸쳐 곡립 배출용 오거를 자동적으로 선회시키는 자동 선회를 지령하는 자동 스위치(55')와,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를 변경 설정하기 위한 위치 변경 지령을 지령하는 선회 위치 전환 스위치(56')와, 곡립 배출용 오거의 상승, 하강, 우측 선회 및 좌측 선회를 지령하는 선회 승강 지령 수단(D)을 구비하고, 사이드 패널(67')의 후방부에 사이드 패널(67')의 패널면(67A')보다도 높은 수평한 상부면(68A')을 구비한 후방부측 패널부(68')가 설치되고, 자동 스위치(55'), 선회 위치 전환 스위치(56'), 선회 승강 지령 수단(D)의 각각이, 후방부측 패널부(68')의 상부면(68A')에 장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ENGINE STURUCTURE OF COMBINE}
본 발명은 원동부의 측벽부에 구비된 외기 도입부를 통해 흡기되는 외기를, 방진망을 통해 라디에이터에 통풍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측벽부가, 그 측벽부와 상기 라디에이터 사이에 상기 방진망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라디에이터에 접근하는 적정 장착 상태와,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회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주행 기체에 대해 선회 조작 가능하고 또한 승강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주행 기체에 대해 승강 조작 가능하게 구비된 곡립 배출용 오거와, 상기 곡립 배출용 오거의 선회 및 승강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 지령 조작부와, 상기 지령 조작부의 지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회용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에 있어서, 종래에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 있었다.
즉, 방진망이,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지지체의 내측에 망체를 돌출시켜 구성되는 동시에, 지지체의 상부측의 주연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걸림 지지용 결합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라디에이터의 흡기측 개소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설치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체의 상부측 개소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부가 걸려 결합되는 고정측 결합부가 설치되고, 원동부의 측벽부는, 종축심 주위에서 회전함으로써 적정 장착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한 쌍의 결합부를 고정측 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방진망을 라디에이터에 장착하여, 측벽부가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되면, 한 쌍의 결합부를 고정측 결합부에 결합시킨 방진망을 압박하여 밀착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덧붙여 말하면, 콤바인에서는 예취 작업이 행해지면, 가느다란 볏짚 부스러기 등의 공기 중에 부유하는 진애가 많아, 방진망이 비교적 단시간에 막힘을 일으킬 우려가 있어, 정기적으로 방진망을 떼어내어 진애의 제거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방진망의 착탈 작업은 가능한 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수동 조작식 지령 조작부가, 곡립 배출용 오거의 상승, 하강, 좌측 선회 및 우측 선회를 지령하는 십자 요동 레버식 수동 조작구, 선회 방향을 따라 서로 위치가 다른 수납용 선회 위치와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에 걸쳐 곡립 배출용 오거를 자동적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자동 스위치, 자동으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에 곡립 배출용 오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스위치,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를 변경 설정하기 위한 배출 위치 설정 볼륨과, 배출 클러치를 온/오프시켜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 배출을 정지하는 정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클러치 온/오프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운전 좌석의 횡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의 기체 후방측에 후방부측 패널부가 설치되고, 이 후방부측 패널부의 수평한 상부면에 십자 요동식 레버 조작구가 구비되고, 사이드 패널과 후방부측 패널부 사이의 단차부에 형성된 종벽 부분에, 자동 스위치, 정지 스위치, 배출 위치 설정 볼륨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117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53039호 공보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방진망에 설치된 한 쌍의 결합부를, 프레임체에 설치된 고정측 결합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방진망을 라디에이터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방진망을 프레임체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크게 슬라이드시켜 빼고 끼움으로써 착탈하는 구성에 비해, 방진망의 라디에이터에 대한 착탈 작업은, 한 쌍의 결합부를 고정측 결합부에 대해 결합 혹은 결합 해제시킬 뿐인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는 이점은 있지만,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불리한 점이 있어,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즉,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방진망을 라디에이터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방진망의 횡폭 방향의 이동 및 상향 방향에서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측벽부가 개방 상태로부터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될 때에, 측벽부 혹은 작업자의 신체가 방진망에 접촉하여, 방진망이 적정한 장착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려, 측벽부가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 방진망이 적정한 장착 상태로부터 위치 어긋남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외기를 흡인하여 라디에이터가 냉각 작용을 발휘해야 할 콤바인의 작업 중에 있어서, 방진망의 지지체가 프레임체에 대해 위치가 어긋나, 그들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그 간극으로부터 외기와 함께 진애가 흡인되는 등, 방진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진망의 라디에이터에 대한 착탈 작업을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방진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후방부측 패널부의 수평한 상부면에 십자 요동식 레버 조작구가 구비되고, 사이드 패널과 후방부측 패널부 사이의 단차부에 형성된 종벽 부분에, 자동 스위치, 배출 위치 설정 볼륨 등이 구비되는 것이므로, 조종자가 곡립 배출용 오거를 이동시키는 조작을 지령하는 경우에, 그 조작이 번거로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배출 위치 설정 볼륨을 조작하여 곡립 배출을 행하기 위한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 곡립 배출용 오거는 종축심 주위에서 선회하는 것인 것에 대해, 종벽 부분에 구비된 배출 위치 설정 볼륨을 조작하여 작업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에서는, 곡립 배출용 오거의 실제의 선회 위치와의 상관을 알기 어려워, 설정 조작이 번거로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곡립 배출용 오거를 수동으로 상승, 하강, 좌측 선회 및 우측 선회를 지령하기 위한 수동 조작구가 후방부측 패널부의 수평한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에 대해, 자동 스위치는 종벽 부분에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자동 스위치 및 레버 조작구를 각각 조작하는 경우에, 그들이 수평한 상부면과 종벽 부분으로 각각 나뉜 상태로 배치되므로 조작이 번거로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립 배출용 오거의 이동을 지령하는 조작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되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는, 원동부의 측벽부에 구비된 외기 도입부를 통해 흡기되는 외기를, 방진망을 통해 라디에이터에 통풍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측벽부가, 그 측벽부와 상기 라디에이터 사이에 상기 방진망을 개재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라디에이터에 접근하는 적정 장착 상태와,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방진망이,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지지체의 내측에 망체를 돌출시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의 흡기측 개소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설치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체에 상기 지지체가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로 삽입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체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전체 둘레에 걸쳐 탄성 변형 가능한 시일재가 설치되고,
상기 측벽부가 상기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가 상기 시일재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방진망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지지체의 내측에 망체를 돌출시켜 구성되지만, 이 방진망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지지체가, 라디에이터의 흡기측 개소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설치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체에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로 끼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지지체를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체에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로 삽입 장착하도록 하였으므로, 방진망을 프레임체에 장착하는 작업이나, 프레임체로부터 방진망을 떼어내는 작업은, 방진망을 외기의 통풍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킬 뿐인 조작으로 대응할 수 있어,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방진망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체에 의해 상하 방향 및 횡폭 방향의 각각에 대해 위치 어긋남을 저지하는 상태로 프레임체에 장착되게 된다.
그 결과, 방진망이 프레임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측벽부를 개방 상태로부터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 측벽부나 작업자의 신체가 방진망에 접촉하여 방진망이 상하 방향 혹은 횡폭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될 우려는 없어, 적정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측벽부가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측벽부가 프레임체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된 시일재를 압박하므로, 방진망의 외주부는 시일재에 의해 라디에이터와 측벽부 사이의 간극이 없는 상태로 되어, 외기 도입부를 통해 흡기되는 외기의 전량이 방진망을 통해 라디에이터에 통풍되므로, 방진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방진망의 라디에이터에 대한 착탈 작업을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방진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방진망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체의 외주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시일재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방진망이 프레임체에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로 삽입 장착되면, 지지체의 외주부에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시일재에 의해, 프레임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압박하는 상태로 프레임체에 접하므로, 마찰에 의해 위치 유지하는 상태로 되어, 방진망을 덜걱거림이 없는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 또는 제2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측벽부가, 그 하단부의 수평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대(機臺)에 지지되고, 상기 수평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상기 적정 장착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에 걸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상기 기대와의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는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변형 가능한 판 형상의 방진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3 특징 구성에 따르면, 측벽부가, 그 하단부의 수평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적정 장착 상태와 개방 상태에 걸쳐 전환되게 되지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측벽부와 기대 사이에는 요동 조작을 허용하기 위해 간극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변형 가능한 판 형상의 방진 부재를 설치하여, 이 간극을 폐색하도록 하고 있다.
방진 부재는 연질재로 이루어져 변형 가능하므로, 측벽부가 수평 축심 주위에서 요동 조작되어도, 방진 부재가 다른 부재와 접촉하여 손상을 받는 일이 없고, 장기에 걸쳐 측벽부와 기대 사이의 간극을 폐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극을 폐색함으로써, 외기 도입부 및 방진망을 통해 라디에이터에 흡인되는 외기가 간극을 통해 외기로 유출되고, 다시 외기 도입부로부터 흡기되어 단락적으로 순환함으로써 라디에이터의 냉각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불리함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는, 선회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주행 기체에 대해 선회 조작 가능하고 또한 승강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주행 기체에 대해 승강 조작 가능하게 구비된 곡립 배출용 오거와, 상기 곡립 배출용 오거의 선회 및 승강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 지령 조작부와, 상기 지령 조작부의 지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회용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지령 조작부가, 선회 방향을 따라 서로 위치가 다른 수납용 선회 위치와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에 걸쳐 상기 곡립 배출용 오거를 자동적으로 선회시키는 자동 선회를 지령하는 자동 선회 지령 수단과, 상기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를 변경 설정하기 위한 위치 변경 지령을 지령하는 선회 위치 지령 수단과, 상기 곡립 배출용 오거의 상승, 하강, 우측 선회 및 좌측 선회를 지령하는 선회 승강 지령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운전 좌석의 횡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의 후방부에, 그 사이드 패널의 패널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상태에서 수평한 상부면을 구비한 후방부측 패널부가 설치되고,
상기 자동 선회 지령 수단, 상기 선회 위치 지령 수단, 상기 선회 승강 지령 수단의 각각이, 상기 후방부측 패널부의 상부면에 장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운전 좌석의 횡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의 후방부에, 그 사이드 패널의 패널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상태에서 수평한 상부면을 구비한 후방부측 패널부가 설치되고, 후방부측 패널부의 상부면에, 자동 선회를 지령하는 자동 선회 지령 수단, 위치 변경 지령을 지령하는 선회 위치 지령 수단, 상승, 하강, 우측 선회 및 좌측 선회를 지령하는 선회 승강 지령 수단의 각각이 장비된다.
이와 같이 곡립 배출용 오거를 이동시키기 위한 각종 지령을 행하는 복수의 지령 수단이, 후방부측 패널부의 상부면에 통합되어 배치되므로, 예를 들어 자동 선회 지령 수단의 조작과, 선회 승강 지령 수단의 조작을 각각 실행하는 경우라도, 조작의 번거로움이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설명을 추가하면, 조작자가, 곡립 배출용 오거를 조작하기 위해 지령 조작부를 조작할 때에는, 곡립 배출용 오거의 이동 상태를 눈으로 보면서 조작하기 위해, 운전 좌석으로부터 일어서서 기체 후방측을 향한 선 자세로 조작하게 되지만, 후방부측 패널부는 운전 좌석의 횡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의 후방부에 연속되고, 또한 사이드 패널의 패널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후방측을 향한 선 자세로 조작하는 조작자는, 예를 들어 낮은 위치에 있는 종벽 부분을 들여다보기 위해 앞으로 구부린 상태로 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어, 선 자세 그대로 편하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측 패널부는 사이드 패널의 패널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지령 조작부에 구비되는 상기 각 지령 수단을, 사이드 패널에 장비되는 각종 조작구와 구별할 수 있어, 오조작의 우려도 적은 것으로 된다.
또한,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우에, 후방부측 패널부의 수평한 상부면에 구비된 선회 위치 지령 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종축심 주위에서 선회하는 곡립 배출용 오거의 실제의 선회 위치와의 상관을 알기 쉽고, 그 점에서도 조작의 번거로움이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곡립 배출용 오거의 이동을 지령하는 조작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되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은, 제4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지령 조작부가, 상기 곡립 배출용 오거를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 배출을 정지하는 정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레버식 전환 조작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자동 선회 지령 수단, 상기 선회 위치 지령 수단, 상기 선회 승강 지령 수단의 각각이, 상기 전환 조작구보다도 상기 운전 좌석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여, 기체 횡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5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곡립 배출용 오거를 곡립 배출 상태와 정지 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레버식 전환 조작구를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자동 선회 지령 수단, 선회 위치 지령 수단, 선회 승강 지령 수단의 각각이, 전환 조작구보다도 운전 좌석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여 기체 횡폭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크게 상방으로 돌출되는 레버식 전환 조작구에 의해 조작이 방해되는 일이 없고, 그들의 각 지령 수단은 운전 좌석에 근접하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어, 조작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또한, 곡립 배출용 오거의 이동을 지령하기 위한 지령 수단뿐만 아니라, 전환 조작구도 후방부측 패널부의 상부면에 구비함으로써, 전환 조작구의 조작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한층 더 사용 편의성이 좋은 것으로 되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은, 제4 특징 구성 또는 제5 특징 구성에 더하여, 상기 선회 승강 지령 수단이, 기체 전방으로의 쓰러짐 조작과 기체 후방으로의 쓰러짐 조작에 의해 상승 및 하강을 지령하는 시소형의 3위치 전환 스위치 및 기체 횡폭 방향 한쪽으로의 쓰러짐 조작과 기체 횡폭 방향 다른 쪽으로의 쓰러짐 조작에 의해 우측 선회 및 좌측 선회를 지령하는 시소형의 3위치 전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6 특징 구성에 따르면, 한쪽의 시소형 3위치 전환 스위치를 기체 전방으로 쓰러짐 조작하면, 곡립 배출용 오거의 상승 및 하강 중 어느 한쪽을 지령할 수 있고, 기체 후방으로 쓰러짐 조작하면, 상승 및 하강 중 어느 다른 쪽을 지령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쪽의 시소형 3위치 전환 스위치를 기체 횡폭 방향 한쪽으로의 쓰러짐 조작하면, 곡립 배출용 오거의 우측 선회 및 좌측 선회 중 어느 한쪽을 지령할 수 있고, 기체 횡폭 방향 다른 쪽으로 쓰러짐 조작하면, 우측 선회 및 좌측 선회 중 어느 다른 쪽을 지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회 승강 지령 수단을 조작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시소형 3위치 전환 스위치에 의해 구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오조작의 우려가 적고, 조작을 행하기 쉬운 상태로, 승강 및 선회를 지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 구성은, 제4 특징 구성 내지 제6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상기 지령 조작부가, 상기 자동 선회 지령 수단의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곡립 배출용 오거가 자동 선회하고 있는 도중에 상기 곡립 배출용 오거의 선회를 정지하기 위한 정지 지령을 지령하는 정지 지령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7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곡립 배출용 오거가 자동 선회하고 있을 때에, 정지 지령 수단에 의해 정지 지령을 지령하면, 선회를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자동 선회하고 있을 때에, 곡립 배출용 오거가 외부 부재에 간섭할 우려가 있을 때에 긴급 정지시킬 수 있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 구성은, 제4 특징 구성 내지 제7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탈곡 장치의 천장판을 상방으로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상태와, 상기 천장판을 폐색하는 통상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후방부측 패널부의 상부면에, 상기 탈곡 장치의 천장판의 자세 변화를 허용하기 위한 절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8 특징 구성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상태로 전환하면, 탈곡 장치의 천장판이 상방으로 개방되는 상태로 되므로, 급실(扱室) 내에 볏짚 부스러기 등이 부착 퇴적되어 있는 경우에, 그러한 볏짚 부스러기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부측 패널부의 상부면에 절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탈곡 장치의 천장판의 자세 변화를 허용할 수 있으므로, 후방부측 패널부와 탈곡 장치의 천장판이 간섭하는 일 없이, 통상 상태와 메인터넌스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원동부의 종단 정면도.
도 4는 방진망을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적정 장착 상태 및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방진망 배치부의 종단 정면도.
도 6은 운전부 매트의 평면도.
도 7은 운전부 매트의 저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운전부 매트의 일부 종단 정면도.
도 11은 운전부 매트의 일부 종단 측면도.
도 12는 방진 부재 배치부의 측면도.
도 13은 방진 부재 배치부의 종단 정면도.
도 14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15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16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17는 조종부의 평면도.
도 18는 콤바인의 일부 절결 정면도.
도 19은 후방부측 패널부의 평면도.
도 20은 백미러의 장착부의 배면도.
도 21은 예취 승강 실린더와 예취부의 연결부의 측면도.
도 22는 중계 부재의 평면도.
도 23은 로크 상태의 중계 부재의 단면도.
도 24은 로크 상태의 예취 승강 실린더의 측면도.
도 25는 그레인 탱크의 측면도.
도 26은 그레인 탱크의 배면도.
도 27는 제어 블록도.
도 28는 곡립 배출 클러치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9은 곡립 배출 클러치의 조작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를 구비한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횡축심 주위에서 승강 조작 가능하게 예취부(3)가 연결되고, 주행 기체(2)의 후방부측 개소에 기체 횡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탈곡 장치(4)와 곡립 탱크(5)를 구비하여, 농지를 주행하면서, 벼, 보리 등의 곡물대를 예취하고, 그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의 횡일측 개소(진행 방향에서 볼 때 우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탑승 운전부(7)가 구비되고, 그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9)의 하방측에 원동부(8)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7)는 운전 좌석(9)의 전방에 조종 레버(10) 등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11)을 구비하고, 운전 좌석(9)의 좌측에 주 변속 레버(12)나 부 변속 레버(13) 등을 구비한 사이드 패널(1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동부(8)는 엔진(15), 냉각용 라디에이터(16), 통풍 수단으로서의 냉각풍 발생용 팬(17), 냉각풍으로서 흡기되는 외기의 진애를 제거하기 위한 방진망(1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7)에 있어서의 운전부 발판(20)에는, 원동부(8)의 진동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운전부 매트(21)가 구비되고, 이 운전부 매트(21)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질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매트 본체(21A)와, 이 매트 본체(21A)의 이면에 구비된 연질의 고무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체(21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트 본체(21A)의 이면에, 보강용 리브(22)로 둘러싸이는 복수의 오목부(23)에, 고무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체(21B)를 끼워 넣어 부착하는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트 본체(21A)의 상부면의 전체면에 걸쳐, 기체 횡폭 방향[도 6에서는 지면(紙面) 상하 방향]을 따르는 동시에 평면에서 볼 때 동일한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는 미끄럼 방지용 홈(24)이 기체 전후 방향(도 6에서는 지면 좌우 방향)으로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 형성되고, 또한 운전자가 타고 내리는 우측 개소에는,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동시에 평면에서 볼 때 동일한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는 미끄럼 방지용 홈(25)이 기체 횡폭 방향으로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말하면, 도면 중, 부호 26, 27은 주행 조작용 페달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삽입 관통부이다.
운전부 매트(21)의 기체 전방부측의 단부 테두리(21a)의 좌우 양측에는, 프론트 패널(11)을 지지하기 위한 세로 프레임부(29)에 대해 결합되는 각형의 절결부(30)를 형성하고 있고, 이 절결부(30)가 세로 프레임부(29)에 결합됨으로써 운전부 매트(21)의 횡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 매트(21)의 좌측 단부 테두리(21c)에는,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 홈(35)을 형성하고 있고, 탑승 운전부(7)와 예취부(3)를 구획하는 구획벽부(33)로부터 벽면과 직교하는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판(36)이 끼워 넣어져 결합되어 상방으로의 부상(浮上)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운전부 매트(21)의 좌측 단부 테두리(21c)에는 구획벽부(33)에 대해 접촉하여 간극을 폐색하는 립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 매트(21)의 후방부측 단부 테두리(21b)에는, 탑승 운전부(7)의 탑승 공간과 원동부(8)를 구획하는 구획벽부(31)에 대해 접촉하여 간극을 폐색하는 립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 좌석(9)을 지지하는 지지대(37)는, 측면에서 볼 때 하방이 개방된 대략 문형(門形)의 형상이고, 전방측에 위치하는 세로면 부분이 상기 탑승 운전부(7)의 탑승 공간과 원동부(8)를 구획하는 구획벽부(31)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대(37)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기체 진행 방향에서 볼 때 우측)의 단부에 우측 종벽부(38)가 연속 설치되고, 이 우측 종벽부(38)는 냉각풍으로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해 넓은 면적의 다공 형상의 외기 도입부(39)가 형성되어, 흡기용 덕트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대(37)와 우측 종벽부(38)가 엔진 보닛으로서 기능한다.
우측 종벽부(38)에 대해 설명을 추가하면, 우측 종벽부(38)는 내측의 벽면과 외측의 벽면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들 내측의 벽면과 외측의 벽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외주벽을 구비한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종벽부(38)의 외측의 벽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공 형상의 외기 도입부(39)가 형성되지만,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기 도입부(39)는 상하 방향으로 4개로 분할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들 분할된 외기 도입부(39)의 중간을 지지하는 프레임부(38c)는 기체 전방측일수록 하방을 향하는 경사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종벽부(38)에 있어서의 외주벽의 기체 전방부측에는, 기체 전방측일수록 하방을 향하는 제1 경사벽 부분(38a) 및 그 제1 경사 부분(38a)보다도 연직 방향 자세에 근접한 경사 자세로 기체 전방측일수록 하방을 향하는 제2 경사벽 부분(38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 경사벽 부분(38a) 및 제2 경사벽 부분(38b) 각각에, 승강용 난간(A)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팬(17)의 작동에 의해 우측 종벽부(38)에 형성된 외기 도입부(39)로부터 흡기된 외기가, 라디에이터(16)를 통과한 후, 원동부(8) 내를 통과하여 예취부(3)측을 향해 유동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37) 및 상기 우측 종벽부(38)가 운전 좌석(9)과 함께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들이 일체적으로 적정 장착 상태[도 3, 도 5의 (a) 참조]와, 가로 쓰러짐 자세의 개방 상태[도 5의 (b) 참조]에 걸쳐, 하단부의 전후 방향 축심(X)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41)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개방 상태로 전환하면, 원동부(8)가 외측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원동부(8)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도 5,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지지대(37) 및 우측 종벽부(38)는, 기체 전후 방향의 양 측부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41)에 고정된 브래킷(43)에 지지축(44)을 통해 수평 축심(X)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37)는 적정 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기체측에 구비된 지지 프레임(60)에 의해 받아내어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측 종벽부(38)는 흡기 덕트를 구성하기 위해 중공 형상이며 기체 횡폭 방향으로 광폭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횡방향 외측의 측면의 하부는, 금속제의 커버체(45)로 덮이는 구성으로 하여, 다른 부재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우측 종벽부(38)의 하부에는, 하단부측일수록 서서히 협폭으로 되는 하부 경사부(38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하부 경사부(38A)에 형성된 개구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상태로 커버체(4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종벽부(38)의 하단부에는, 기체 프레임(41)과의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는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변형 가능한 판 형상의 방진 부재(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진 부재(42)의 장착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체(45)에, 전후 방향으로 적절하게 간격을 두고 4개의 스터드 볼트(46)가 용접 상태로 설치되고, 이 스터드 볼트(46)와 그것에 체결되는 너트(47)에 의해, 연질재로서의 연질 고무로 이루어지는 방진 부재(42)를 끼워 넣어 체결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체(45)의 하단부에는 전후 방향에서 볼 때 대략 일본어「く」자형으로 굴곡시킨 절곡부(45A)가 설치되고, 방진 부재(42)와 너트(47) 사이에는 덧댐판(48)이 개재 장착되어 있고, 스터드 볼트(46)와 너트(47)에 의해 체결 고정하면, 방진 부재(42)가 커버체(45)와 덧댐판(48)의 압박 작용에 의해, 커버체(45)의 절곡부(45A)를 따라 절곡되는 상태로 아래로 처져, 기체 프레임(41)에 접촉하는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방진 부재(42)는, 연질 고무 대신에 천이나 연질의 합성 수지재 등, 각종 연질재로 구성할 수 있다.
팬(17)의 작용에 의해 흡기되는 외기에 작용하는 방진망(18)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금속제의 지지체(50)의 내측에 망체(51)를 돌출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고, 또한 라디에이터(16)의 흡기측 개소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설치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체(52)에 지지체(50)가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로 삽입 장착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체(52)에는, 단면 형상이 역L자형인 끼워 넣음용 유지부(53)가 주위 방향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이 유지부(53)에 방진망(18)을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의 방진망(18)의 외주부, 즉,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지지체(50)를 프레임체(52)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끼워 넣음용 유지부(53)에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로 삽입 장착된다.
방진망(18)에 있어서의 지지체(50)의 외주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방진망측의 시일재(5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방진망측의 시일재(54)가 설치되므로, 방진망(18)을 프레임체(52)에 대해 방진망측의 시일재(54)의 탄성 변형에 의한 유지력이 작용하여, 지지체(50)가 마찰 유지되는 상태로 삽입 장착되게 되어, 덜걱거림이 적은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프레임체(52)의 끼워 넣음용 유지부(53)의 외주부에 있어서, 그 전체 둘레에 걸쳐 탄성 변형 가능한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측의 시일재(55)가 설치되고, 우측 종벽부(38)가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 우측 종벽부(38)에 있어서의 기체 내측의 측면이 프레임체측의 시일재(55)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프레임체(52)에는, 끼워 넣음용 유지부(53)의 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된 세로면부(56)가 주위 방향의 전역에 걸쳐 설치되고, 이 세로면부(56)의 기체 외측의 측면이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측의 시일재(55)가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우측 종벽부(38)의 기체 내측의 측면에 있어서의 방진망(18)에 대향하는 개소는, 외기와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되는 상태로 되어 있지만, 우측 종벽부(38)에 있어서의 프레임체(52)의 세로면부(56)에 대향하는 개소의 벽면(57)이, 프레임체측의 시일재(55)를 압박함으로써, 시일재(55)가 탄성 변형되어 시일 기능을 발휘하여, 라디에이터(16)의 주연부의 간극으로부터 원동부(8) 내의 고온의 공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기를 적절하게 흡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측 종벽부(38)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면[도 5의 (b) 참조], 방진망(18)이 외측에 면하는 상태에서 노출되게 되어(도 4 참조), 방진망(18)을 프레임체(52)로부터 외측으로 뺌으로써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어, 부착되어 있는 진애를 제거하는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측벽부로서의 우측 종벽부(38)가 그 하단부의 수평 축심(X)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41)에 지지되고, 수평 축심(X)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적정 장착 상태와 개방 상태에 걸쳐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우측 종벽부(38)가 종축심 주위에서 요동함으로써, 적정 장착 상태와 개방 상태에 걸쳐 전환되는 것이라도 좋고, 혹은 우측 종벽부(38)를 떼어내는 상태와 장착하는 상태에 걸쳐 착탈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적정 장착 상태와 개방 상태에 걸쳐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방진망(18)에 있어서의 지지체(50)의 외주부에 방진망측의 시일재(54)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러한 방진망측의 시일재(54)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우측 종벽부(38)가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 우측 종벽부(38)가 프레임체측의 시일재(55)를 압박하여, 탄성 변형된 프레임체측의 시일재(55)가 방진망(18)에 있어서의 지지체(50)를 압박하여 유지하도록 하면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체(52)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전체 둘레에 걸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일재(55)가, 프레임체(52)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우측 종벽부(38)에 있어서의 프레임체(52)의 세로면부(56)에 대향하는 개소의 벽면(57)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우측 종벽부(38)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면, 시일재(55)가 프레임체(52)로부터 이격되지만, 우측 종벽부(38)를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하면, 시일재(55)는, 우측 종벽부(38)에 있어서의 벽면(57)과 프레임체(52)의 세로면부(56)에 의해 압박되어 탄성 변형되어 시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시일재(55)를 방진망(18)에 있어서의 지지체(50)에 대응하는 개소까지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해 두면, 시일재(55)에 의해 방진망(18)을 압박하여 유지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 종벽부(38)의 하단부에 기체 프레임(41)과의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는 방진 부재(42)가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이러한 방진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를 구비한 주행 기체(V)의 전방부에 예취부(3')가 횡축심(P1) 주위로 요동 조작 가능한 상태로 부설되고, 주행 기체(V)에는, 조종부(2'), 예취 곡물대를 탈곡ㆍ선별하는 탈곡 장치로서의 탈곡부(4'), 탈곡부(4')에서 선별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5') 등이 장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V)는, 하부에 기체 프레임(11')을 구비하고 있고, 이 기체 프레임(11')에 의해, 조종부(2'), 탈곡부(4'), 그레인 탱크(5') 등을 적재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취부(3')는 식립(植立) 곡물대에 대해 분초(分草) 작용하여 예취 대상 곡물대와 미예취 곡물대를 분초하는 복수의 분초구(7'), 분초된 예취 대상 곡물대를 기립시키는 복수의 기립 장치(8'), 예취 대상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하는 클리퍼형 예취 장치(9'), 예취한 세로 자세의 곡물대를 서서히 가로로 쓰러지는 자세로 변경하면서 후방의 탈곡부(4')를 향해 반송하는 세로 반송 장치(1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취부(3')는, 예취 승강용 유압 실린더(13')(이하, 예취 승강 실린더라 칭함)에 의해 횡축심(P1) 주위에서 요동 승강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3')에 있어서의 기체 최좌측에 위치하는 기립 장치(8')의 상부에 백미러(14')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6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최좌측에 위치하는 기립 장치(8')에 대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 케이스(15')의 상부에 연결되고, 또한 예취부(3')의 상방을 덮는 방진 커버(16')에 형성된 구멍부(16A')를 삽입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아암(17')이 설치되고, 이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백미러(14')가 장착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 승강 실린더(13')의 후단부는, 기체 프레임(11')의 횡방향 프레임부(11A')에 고정된 브래킷에 횡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고, 예취 승강 실린더(13')의 전단부는 예취부 프레임(12')에 고정된 받아내기용 브래킷(26')에 횡방향의 지지 로드(22')를 통해 횡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다.
예취 승강 실린더(13')와 예취부(3')에 있어서의 예취부 프레임(12')은 중계 부재(18')를 통해 연결되고, 이 중계 부재(18')는 예취부(3')를 상승시키고 있는 상태, 환언하면 예취 승강 실린더(13')를 신장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예취 승강 실린더(13')를 고정시키는 로크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말하면, 상세한 서술은 하지 않지만, 중계 부재(18')는 메인터넌스를 위해 예취부(3')를 주행 기체(V)로부터 떼어내어 이격시킨 경우에도, 예취부 프레임(12')과 예취 승강 실린더(13')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절곡식 링크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취 승강 실린더(13')를 신장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해지는 것은, 예를 들어 예취부(3')의 수리 점검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이다.
설명을 추가하면,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계 부재(18')는, 좌우 한 쌍의 대판(帶板)(19')을 2개의 연결 부재(20', 21')를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그 중 한쪽 연결 부재(21')가 하향으로 개방된 역U자형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대판(19')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계 부재(18')의 일단부측이 예취 승강 실린더(13')의 실린더 로드(13A')의 선단부에 횡방향의 지지 로드(22')를 통해 피봇 연결되고, 실린더 로드(13A')의 양 외측에 있어서 지지 로드(22')에 한 쌍의 컬러(28')가 외부 끼움되어 있고, 중계 부재(18')의 타단부측이 예취부 프레임(12')에 설치된 브래킷(23')에 빼고 끼우기 가능한 연결 핀(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예취부(3')를 예취 승강 실린더(13')에 의해 구동 승강하는 통상의 작업시에는, 예취 승강 실린더(13')의 실린더 로드(13A')의 선단부에 연결된 지지 로드(22')가, 예취부 프레임(12')에 설치된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역U자형의 받아내기용 브래킷(25')의 하단부 테두리에 형성된 오목부(26')에 끼워 넣는 상태로 하중을 받아내어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때, 중계 부재(18')와 받아내기용 브래킷(25') 사이는 빼고 끼우기 가능한 연결 핀(27')에 의해 연결되어 부상(浮上)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계 부재(18')를, 신장 상태의 예취 승강 실린더(13')에 대한 로크 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지 로드(22')가 받아내기용 브래킷(25')의 오목부(26')에 끼워 넣어져 받아내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2개의 연결 핀(24', 27')을 빼내어 중계 부재(18')와 예취부 프레임(12')의 연결을 해제하여, 중계 부재(18')를 예취 승강 실린더(13')에 접근하는 상태(도 24 참조)로 전환한다. 이때,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U자형으로 형성된 연결 부재(21')가, 예취 승강 실린더(13')의 실린더 로드(13A')에 걸쳐지도록 겹쳐지고, 예취 승강 실린더(13')의 실린더 본체(13B')의 단부 테두리에 연결 부재(21')의 단부가 접촉하는 상태로 되어, 예취 승강 실린더(13')를 신장 상태에서 로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역U자형으로 형성된 연결구(21')의 실린더 로드(13A')보다도 하방측으로 돌출된 양 측부에 걸쳐,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떼어낸 연결 핀(24')을 관통시키는 상태로 삽입함으로써, 연결구(21')가 빠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떼어낸 다른 쪽의 연결 핀(27')은, 중계 부재(18')를 예취 승강 실린더(13')에 접근하는 상태로 전환한 후, 다시 중계 부재(18')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하여 장착해 두게 된다. 또한, 연결 핀(24', 27')은, 삽입 장착한 상태에서, 베타 핀(29')에 의해 빠짐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중계 부재(18')를 로크 장치로서 이용할 때에는, 통상의 예취 작업 상태에 있어서 중계 부재(18')를 예취부 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 핀(24')을 이용하여, 중계 부재(18')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탈곡부(4')는 상세한 서술은 하지 않지만, 탈곡 피드 체인(30')에 의해 예취 곡물대를 반송하면서 급실 내에서 이삭끝측을 급동(扱胴)(31')에 의해 탈곡 처리하여, 그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을 하방에 위치하는 요동 선별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체 선별이나 풍구(唐箕)로부터의 선별풍에 의한 풍력 선별 등을 실시하여, 처리물을, 단립화 곡립, 이삭 가지가 달린 곡립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의 혼재물 및 잘린 볏짚이나 볏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별하고, 단립화 곡립을 회수하여 그레인 탱크(5')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 처리된 후의 배출 볏짚은 배출 볏짚 처리 장치(32')에서 잘게 절단 처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부(4')는 천장판(33')을 급동(31')과 함께 상방으로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상태(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와, 천장판(33')을 폐색하는 통상 상태(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작업 종료 후에 메인터넌스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급실 내부나 탈곡 피드 체인(30')에 가득 찬 볏짚 부스러기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의 기체 외측(진행 방향에서 볼 때 우측)의 측면의 하부에는, 금속제의 보호 커버(34')가 구비되고, 그레인 탱크(5')의 기체 후방 외측에는, 후술하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1')를 보호하기 위한 금속제의 커버체(3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커버(34')의 후방측에 연속되고 또한 커버체(35')의 하방에 연속되는 기체 우측 후방측의 하단부에는, 고무판 또는 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연질 커버(36')가 설치되어, 후진 주행시 등에 있어서 밭이랑과 접촉해도,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받기 어렵게 되어 있다.
다음에 그레인 탱크(5')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5')의 저부에 전후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저부 가로 이송 반송 스크류(40')가 설치되고, 그 저부 가로 이송 반송 스크류(40')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1')가 연장되고, 이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1')의 상부에, 가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기단부가 횡축심(P2) 주위로 요동 조작 가능하고, 또한 종축심(P3) 주위로 선회 조작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는,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수납용 선회 위치(HP)로 선회한 상태를 나타내고, 이 수납용 선회 위치(HP)로 선회한 상태에서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하강시켜 수납용 유지구로서의 받아냄구(43')에 받아내게 하여 수납되게 된다.
저부 가로 이송 반송 스크류(40')의 반송 시단부에는, 기체 우측 전방부에 설치한 엔진(44')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단속(斷續)하는 벨트 텐션식 곡립 배출 클러치(45')의 출력 풀리(46')가 장착되어 있다.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1')는, 저부 가로 이송 반송 스크류(40')에 베벨 기어 케이스(47')에 내장된 베벨 기어를 통해 연동 연결된 세로 스크류(41A')와, 그것을 덮는 동시에 베벨 기어 케이스(47')에 연통 접속된 원통 케이스(41B')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배출용 오거(42')는,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1')의 세로 스크류(41A')에 베벨 기어를 통해 연동 연결된 가로 스크류(42A')와, 그것을 덮는 동시에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1')의 원통 케이스(41B')에 연통 접속된 원통 케이스(42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1')의 원통 케이스(41B')가 베벨 기어 케이스(47')에 종축심(P3)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동시에, 이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1')의 원통 케이스(41B')에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원통 케이스(42B')가 횡축심(P2) 주위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원통 케이스(42B')에 있어서의 선단부에는, 하향 상태의 곡립 배출구(4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저부 가로 이송 반송 스크류(40'), 세로 스크류(41A') 및 가로 스크류(42A')가, 곡립 배출 클러치(45')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44')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그레인 탱크(5')에 저류된 곡립을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곡립 배출구(48')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선회 조작의 구동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1')의 외측면에 선회 구동용 대직경 기어(49')가 고착되고, 그 대직경 기어(49')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50')를 회전 구동하는 선회용 전동 모터(M)가 고정측에 지지되고, 선회용 전동 모터(M)를 정역회전 구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종축심(P3) 주위로 선회 조작되고, 또한 선회용 전동 모터(M)를 작동 정지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선회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용 전동 모터(M)의 근방에는,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선회 위치를 검출하는 다회전형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한 선회 위치 검출 센서(51')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승강 조작의 구동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기단부와 세로 이송 스크류 컨베이어(41') 사이에 오거 승강용 유압 실린더(52')(이하, 오거 승강 실린더라 칭함)가 설치되고, 이 오거 승강 실린더(52')를 신장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횡축심(P2) 주위에서 상승 조작되고, 또한 오거 승강 실린더(52')를 단축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횡축심(P2) 주위에서 하강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승강 조작 범위의 상한 위치에 있을 때에 검출 작동하는 상한 검출 스위치(5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곡립 배출용 오거(42')는, 선회용 액추에이터로서의 선회용 전동 모터(M)에 의해 주행 기체(V)에 대해 선회 조작 가능하고, 또한 승강용 액추에이터로서의 오거 승강 실린더(52')에 의해 주행 기체(V)에 대해 승강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선회 및 승강을 지령하는 수동 조작식의 지령 조작부(S)와, 지령 조작부(S)의 지령 정보에 기초하여, 선회용 전동 모터(M) 및 오거 승강 실린더(5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제어 장치(5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지령 조작부(S)가, 선회 방향을 따라 서로 위치가 다른 수납용 선회 위치(HP)와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에 걸쳐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자동적으로 선회시키는 자동 선회를 지령하는 자동 선회 지령 수단으로서의 자동 스위치(55'),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를 변경 설정하기 위한 위치 변경 지령을 지령하는 선회 위치 지령 수단으로서의 선회 위치 전환 스위치(56'),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상승 및 하강을 지령하는 승강 지령 스위치(57'),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우측 선회 및 좌측 선회를 지령하는 선회 지령 스위치(58'),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 배출을 정지하는 정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레버식 전환 조작구(59') 및 자동 스위치(55')의 지령에 기초하여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자동 선회하고 있는 도중에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정지하기 위한 정지 지령을 행하는 정지 지령 수단으로서의 정지 스위치(60')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 지령 스위치(57') 및 상기 선회 지령 스위치(58')에 의해,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상승, 하강, 우측 선회 및 좌측 선회를 지령하는 선회 승강 지령 수단(D)이 구성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V)의 전방부의 횡일측 개소에 조종부(2')가 구비되고, 그 조종부(2')는 운전 좌석(62')의 전방에 조종 레버(63') 등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64')을 구비하고, 운전 좌석(62')의 좌측에 주 변속 레버(65')나 부 변속 레버(66') 등을 구비한 사이드 패널(6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62')의 횡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67')의 후방부에, 그 사이드 패널(67')의 패널면(67A')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상태에서 수평한 상부면(68A')을 구비한 후방부측 패널부(68')가 설치되고, 자동 스위치(55'), 선회 위치 전환 스위치(56'), 승강 지령 스위치(57'), 선회 지령 스위치(58'), 레버식 전환 조작구(59') 및 정지 스위치(60')의 각각이, 후방부측 패널부(68')의 상부면(68A')에 장비되어 있다.
또한, 자동 스위치(55'), 선회 위치 전환 스위치(56'), 승강 지령 스위치(57'), 선회 지령 스위치(58') 및 정지 스위치(60')의 각각이, 레버식 전환 조작구(59')보다도 운전 좌석(62')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여, 기체 횡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자동 스위치(55')는, 누름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온으로 되고, 손을 떼면 오프로 되는 누름 조작식으로 설치되고, 이 자동 스위치(55')가 누름 조작되면, 자동 지령이 지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 위치 전환 스위치(56')는, 종축심 주위에서 회전 조작됨으로써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를 3위치 중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한 회전 조작식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3위치로서는,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주행 기체(V)의 좌측으로 돌출되는 좌측 선회 위치,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주행 기체(V)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우 선회 위치,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주행 기체(V)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선회 위치가 각각 설정된다.
정지 스위치(60')는, 누름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온으로 되고, 손을 떼면 오프로 되는 누름 조작식으로 설치되고, 이 정지 스위치(60')가 누름 조작되면, 정지 지령이 지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강 지령 스위치(57')는, 기체 전방으로의 쓰러짐 조작과 기체 후방으로의 쓰러짐 조작에 의해 상승 및 하강을 지령하는 시소형의 3위치 전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승강 조작 스위치(57')는, 전후 방향으로 천칭 요동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중립 상태로 복귀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기체 후방으로 쓰러짐 조작하면, 쓰러짐 조작되어 있는 동안만 상승이 지령되고, 기체 전방으로 쓰러짐 조작하면, 쓰러짐 조작되어 있는 동안만 하강이 지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강 지령 스위치(57')의 쓰러짐 조작을 도중에 정지하고 손을 떼면, 승강 지령 스위치(57')는 자동으로 중립 상태로 복귀한다.
선회 지령 스위치(58')는, 기체 횡폭 방향 한쪽으로의 쓰러짐 조작과 기체 횡폭 방향 다른 쪽으로의 쓰러짐 조작에 의해 우측 선회 및 좌측 선회를 지령하는 시소형의 3위치 전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선회 지령 스위치(58')는, 좌우 방향으로 천칭 요동하는 상태로, 또한 중립 상태로 복귀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중립 상태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 우측으로 쓰러짐 조작하면, 쓰러짐 조작되어 있는 동안만 우측 선회가 지령되고, 중립 상태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 좌측으로 쓰러짐 조작하면, 쓰러짐 조작되어 있는 동안만 좌측 선회가 지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 지령 스위치(58')의 쓰러짐 조작을 도중에 정지하고 손을 떼면, 선회 지령 스위치(58')는 자동으로 중립 상태로 복귀한다.
레버식 전환 조작구(59')는, 기체 횡폭 방향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벨트 텐션식의 곡립 배출 클러치(45')를 온/오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조작구(59')는 전후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지지축(59A')에 의해 기체 횡폭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9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축(59A')은 기체 프레임(11')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지지 프레임(90')의 기체 내측의 지지 기둥(90B')에 고정된 통 형상부(90C')에 전후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조작구(59')의 요동에 수반하여 회전 지지축(59A')을 통해 요동 조작되는 요동 아암(70')과, 곡립 배출 클러치(45')의 텐션 아암(71')이 로드(72')를 통해 연동 연계되고, 클러치 온 위치로 조작하면, 로드(72')가 당김 조작되어, 로드(72')와 요동 아암(70')의 연결 개소가 데드 포인트를 타고 넘는 동시에, 전환 조작구(59')가 레버 가이드(73')의 단부 테두리에 접촉하여 로드(72')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저지하여, 클러치 온 상태에서 위치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부측 패널부(68')의 상부면(68A')은, 탈곡부(4')의 천장판(33')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설치되고, 이 후방부측 패널부(68')의 상부면(68A')에는 메인터넌스 작업을 위해 천장판(33')을 개방시키도록 요동할 때에 있어서의 자세 변화를 허용하기 위한 절결 오목부(6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결 오목부(69')를 형성함으로써, 곡립 배출 클러치(45')와 연동 연계하기 쉽도록 전환 조작구(59')를 기체 후방측에 배치하고, 또한 전환 조작구(59')를 후방부측 패널부(68')의 상부면(68A')의 후방부에 배치하면서도, 천장판(33')의 자세 변화를 허용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부측 패널부(68')의 상부면(68A')은, 기체 프레임(11')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지지 프레임(90')의 기체 내측의 지지 기둥(90B')의 상단부에 하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62')의 후방측에, 엔진(44')에 있어서의 연소 공기 흡기계에 접속된 에어클리너(80')가 구비되고, 이 에어클리너(80')의 하부의 통부(81')가 흡기 호스를 통해 연통 접속된 프리클리너(82')가 에어클리너(80')의 상방측의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기체 상방의 진애가 적은 외기가 프리클리너(82') 및 에어클리너(80')에 의해 정화되어 엔진 연소 공기로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클리너(80')는, 그 하부의 통부(81')가 기체 프레임(11')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지지 프레임(90')의 기체 외측의 지지 기둥(90A')의 상단부에 브래킷(90D')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클리너(82')는 운전 좌석(62')의 후방측이고 또한 운전 좌석(62')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후방부측 패널부(68')의 상부면(68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부측 패널부(68')의 상부면(68A')은, 운전 좌석(62')의 상단부와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조작자가 서있는 자세로 조작하는 경우에, 조작하기 쉬운 높이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 장치(54')에 의한 곡립 배출용 오거(42')의 이동 조작을 위한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54')는, 승강 지령 스위치(57')가 기체 후방으로 쓰러짐 조작됨으로써 상승 지령이 지령되면, 그 상승 지령이 지령되고 있는 동안은, 오거 승강 실린더(52')를 제어하여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상승 조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오거 승강 실린더(52')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제어 밸브(74')의 작동을 제어하여, 오거 승강 실린더(52')를 신장 조작시켜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상승 조작시킨다.
제어 장치(54')는, 승강 지령 스위치(57')가 기체 전방으로 쓰러짐 조작됨으로써 하강 지령이 지령되면, 그 하강 지령이 지령되고 있는 동안은, 상기 제어 밸브(74')를 제어하여 오거 승강 실린더(52')를 단축 조작시켜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하강 조작시킨다.
제어 장치(54')는, 선회 지령 스위치(58')가 우측으로 쓰러짐 조작됨으로써 우측 선회 지령이 지령되면, 그 우측 선회 지령이 지령되고 있는 동안은, 선회용 전동 모터(M)를 제어하여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우측 선회 조작시킨다. 또한, 선회 지령 스위치(58')가 좌측으로 쓰러짐 조작됨으로써 좌측 선회 지령이 지령되면, 그 좌측 선회 지령이 지령되고 있는 동안은, 선회용 전동 모터(M)를 제어하여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좌측 선회 조작시킨다.
제어 장치(54')는,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받아냄구(43')에 의해 받아내어지고 있는 수납 상태에 있을 때에, 자동 스위치(55')가 누름 조작됨으로써 자동 지령이 지령되면, 제어 밸브(74')의 작동을 제어하여 오거 승강 실린더(52')를 신장 조작시켜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최대 상승 위치까지 상승 조작시킨다. 그때, 상한 검출 스위치(53')에 의해 최대 상승 위치까지 상승된 것이 검출되면 상승 조작을 정지하고, 그 후, 선회용 전동 모터(M)를 제어하여 곡립 배출 오거(42')를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까지 자동으로 선회시켜 이동을 정지시킨다. 그 후의 상하 방향의 위치 조절은, 승강 지령 스위치(57')에 의한 하강 지령 또는 상승 지령에 기초하는 승강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제어 장치(54')는,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수납용 선회 위치(HP) 이외의 선회 위치에 있을 때에, 자동 스위치(55')가 누름 조작됨으로써 자동 지령이 지령되면, 제어 밸브(74')의 작동을 제어하여 오거 승강 실린더(52')를 신장 조작시켜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최대 상승 위치까지 상승 조작시킨다. 그때, 상한 검출 스위치(53')에 의해 최대 상승 위치까지 상승한 것이 검출되면 상승 조작을 정지하고, 그 후, 선회용 전동 모터(M)를 제어하여 곡립 배출 오거(42')를 수납용 선회 위치(HP)까지 자동으로 선회시키고, 그 후,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하강시키도록 제어 밸브(74')의 작동을 제어하여 오거 승강 실린더(52')를 단축 조작시켜,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받아냄구(43')에 받아내는 상태로 수납한다.
제어 장치(54')는, 자동 스위치(55')가 누름 조작됨으로써 자동 지령이 지령되어 곡립 배출용 오거(42')가 자동으로 선회하고 있을 때에, 정지 스위치(60')가 누름 조작됨으로써 정지가 지령되면, 선회용 전동 모터(M)를 제어하여 선회 조작을 정지시킨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배출용 오거(42')를 곡립 배출 상태와 곡립 배출을 정지하는 정지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레버식 전환 조작구(59')가, 자동 스위치(55'), 선회 위치 전환 스위치(56'), 승강 지령 스위치(57'), 선회 지령 스위치(58') 및 정지 스위치(60')와 함께, 후방부측 패널부(68')의 상부면(68A')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레버식 전환 조작구(59')를 후방부측 패널부(68')와는 다른 개소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선회 승강 지령 수단(D)이, 2개의 시소형의 3위치 전환 스위치(57', 58')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예를 들어 4방향으로 쓰러뜨림 조작 가능한 십자형의 조작 스위치로 구성해도 좋고, 세로 자세의 레버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각각으로 쓰러뜨림 조작함으로써 승강 및 선회를 지령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지 스위치(60')를, 자동 스위치(55'), 선회 위치 전환 스위치(56'), 승강 지령 스위치(57'), 선회 지령 스위치(58')와 함께, 후방부측 패널부(68')의 상부면(68A')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정지 스위치(60')를 후방부측 패널부(68')와는 다른 개소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한 정지 스위치(60')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선회용 액추에이터를 전동 모터(M)로 구성하고, 승강용 액추에이터를 유압 실린더(52')로 구성하였지만, 각각의 액추에이터를 모두 전동 모터로 하거나, 선회용 액추에이터를 유압 모터로 구성하고, 승강용 액추에이터를 전동 실린더로 구성해도 좋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선회 위치 지령 수단으로서의 선회 위치 전환 스위치(56')를 3위치 중 어느 하나를 지령하는 회전식 스위치로 구성하였지만, 곡립 배출용 선회 위치를 무단계로 변경 설정 가능한 포텐시오미터로 구성해도 좋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 장치(4')의 천장판(33')을 상방으로 개방하는 메인터넌스 상태와, 상기 천장판(33')을 폐색하는 통상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는 데 있어서, 천장판(33')이 급동(31')과 함께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천장판(33')만이 개방 상태와 폐색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원동부의 측벽부가 적정 장착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자탈형이나 보통형 등의 각종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립 배출용 오거를 구비한 자탈형이나 보통형 등의 각종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8 : 원동부
16 : 라디에이터
18 : 방진망
38 : 측벽부(우측벽)
39 : 외기 도입부
41 : 기대(기체 프레임)
42 : 방진 부재
50 : 지지체
51 : 망체
52 : 프레임체
54 : 방진망측의 시일재
55 : 프레임체측의 시일재
X : 수평 축심
4' : 탈곡 장치
33' : 천장판
42' : 곡립 배출용 오거
52' : 승강용 액추에이터
54' : 제어 수단
55' : 자동 선회 지령 수단
56' : 선회 위치 지령 수단
57', 58' : 3위치 전환 스위치
59' : 전환 조작구
60' : 정지 지령 수단
62' : 운전 좌석
67' : 사이드 패널
67A' : 패널면
68' : 후방부측 패널부
68A' : 상부면
69' : 절결 오목부
D : 선회 승강 지령 수단
M : 선회용 액추에이터
S : 지령 조작부
V : 주행 기체

Claims (12)

  1. 원동부의 측벽부에 구비된 외기 도입부를 통해 흡기되는 외기를, 방진망을 통해 라디에이터에 통풍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측벽부가, 그 측벽부와 상기 라디에이터 사이에 상기 방진망을 개재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라디에이터에 접근하는 적정 장착 상태와,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라디에이터의 전방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이며,
    상기 라디에이터의 흡기측 개소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상기 라디에이터를 지지하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체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체에, 상기 라디에이터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감과 함께, 오목하게 들어간 측의 단부에 세로방향 자세의 접촉부를 구비한 오목부가 외주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상기 방진망이,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지지체의 내측에 망체를 돌출시켜 구성되고, 또한 상기 프레임체의 상기 오목부에 상기 지지체가 끼워 맞추어지는 상태로 삽입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체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보다도 외주측 개소에 상기 측벽부측을 향하는 세로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체의 외주부에 있어서의 전체 둘레에 걸쳐 탄성 변형 가능한 시일재가 설치되고,
    상기 측벽부의 상기 프레임체 측의 세로면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라디에이터측을 향하는 상태로 세로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가 상기 적정 장착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측의 세로면부와 상기 프레임체측의 세로면부에 의해 상기 시일재를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망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체의 외주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방진망측의 시일재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망측의 시일재는,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또한 상기 방진망이 상기 오목부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과 상기 오목부의 내주면에 의해 끼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가, 그 하단부의 수평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대에 지지되고, 상기 수평 축심 주위에서의 요동에 의해 상기 적정 장착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에 걸쳐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상기 기대와의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는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변형 가능한 판 형상의 방진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022651A 2010-09-10 2011-03-15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KR101848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3224 2010-09-10
JP2010203224A JP5520170B2 (ja) 2010-09-10 2010-09-10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2010203225A JP5503475B2 (ja) 2010-09-10 2010-09-10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JPJP-P-2010-203225 2010-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951A KR20120026951A (ko) 2012-03-20
KR101848916B1 true KR101848916B1 (ko) 2018-04-13

Family

ID=4613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651A KR101848916B1 (ko) 2010-09-10 2011-03-15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469A (ko) 2019-02-25 2020-09-02 대동공업주식회사 오거 동작에 연계한 콤바인의 엔진 rpm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689A (ja) * 2004-08-12 2006-02-23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06328665A (ja) 2005-05-23 2006-12-07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フィル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2689A (ja) * 2004-08-12 2006-02-23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06328665A (ja) 2005-05-23 2006-12-07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フィル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951A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2475B2 (ja) コンバイン
JP4914384B2 (ja) コンバイン
US20100187858A1 (en) Work Machine Vehicle Having Seat Mounted Controls with Nested Seatbar
JP4977075B2 (ja) 作業機の運転部構造
US7934574B2 (en) Swing working vehicle
KR101848916B1 (ko) 콤바인의 원동부 구조
EP1903153B1 (en) Swing type working vehicle
JP2009234352A5 (ko)
KR101951953B1 (ko) 콤바인, 콤바인의 탑승 운전부 구조, 및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
US20160326716A1 (en) Construction Machine
JP5580696B2 (ja) 作業車
JP6979834B2 (ja) コンバイン
KR101946088B1 (ko) 주행 차량
JP3785182B2 (ja) コンバイン
JP3943431B2 (ja)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
JP3661269B2 (ja) 作業車輌の操縦席
JP5503475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JPH083381Y2 (ja) コンバイン
CN110313309B (zh) 收割机
JP2022010299A (ja) コンバイン
JP2004000248A (ja) コンバイン
JP2001211735A (ja) コンバイン
JP3625929B2 (ja) コンバイン
JP2006025761A (ja) コンバインの操縦部
JP3732815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