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093B1 - 렌즈 미터 - Google Patents

렌즈 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093B1
KR101848093B1 KR1020110098440A KR20110098440A KR101848093B1 KR 101848093 B1 KR101848093 B1 KR 101848093B1 KR 1020110098440 A KR1020110098440 A KR 1020110098440A KR 20110098440 A KR20110098440 A KR 20110098440A KR 101848093 B1 KR101848093 B1 KR 10184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optric power
distribution
measurem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006A (ko
Inventor
다다시 가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12003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8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 G01M11/0235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by measuring multiple properties of lenses, automatic lens me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과제) 단초점 렌즈의 도수 편차를 측정할 수 있고, 도수 편차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렌즈 미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측정 광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소정 패턴의 측정 지표와, 렌즈 및 측정 지표를 통과한 측정 광속에 의한 지표 이미지를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갖는 측정 광학계를 구비하고, 단초점 렌즈의 굴절 도수를 측정하는 렌즈 미터로서, 수광 소자에 의하여 수광된 지표 이미지에 기초하여,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의 제 1 굴절 도수를 구함과 함께, 렌즈의 광학 중심의 주변 부분의 굴절 도수 분포를 구하는 측정 도수 산출 수단과, 기준 도수에 대한 굴절 도수 분포의 상대적인 변동 도수 분포를 산출하는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으로서, 기준 도수를 제 1 굴절 도수로 하거나, 또는 제 1 굴절 도수를 소정의 도수 스텝에 사사오입한 제 2 굴절 도수로 하는, 상기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과, 산출된 변동 도수 분포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렌즈 미터{LENS METER}
본 발명은 피검 렌즈의 굴절 도수 (광학 특성) 를 측정하는 렌즈 미터에 관한 것이다.
측정 광속을 피검 렌즈에 투광하고, 피검 렌즈를 투과한 측정 광속을 수광 소자에 의하여 수광하여 피검 렌즈의 굴절 도수 (광학 특성) 를 얻는 렌즈 미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단초점 렌즈의 측정에 있어서는, 렌즈의 광학 중심이 측정 광학계의 측정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허용 범위내로 얼라인먼트됨으로써,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의 굴절 도수 (구면 도수 S, 난시 도수 C, 난시축 각도 A) 가 측정되고, 측정 결과가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 누진 렌즈의 원용부 및 근용부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측정 광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소정 패턴의 다수의 측정 지표와, 피검 렌즈 및 측정 지표를 통과한 측정 광속에 의한 지표 이미지를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갖는 측정 광학계를 갖고, 수광 소자에 의하여 수광된 지표 이미지에 기초하여 노즈피스내의 측정 영역내의 도수 분포를 측정 가능하게 한 렌즈 미터도 제안되어 있다. 이 렌즈 미터에 있어서도, 단초점 렌즈의 측정시에는, 측정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수광 소자에 의하여 수광되는 특정 지표 이미지에 기초하거나, 또는 도수 분포를 평균화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의 하나 (S 및 C 의 1 조) 의 굴절 도수를 측정 결과로서 표시할 뿐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8-241694호
종래, 렌즈 메이커에 있어서의 단초점 렌즈의 합격 여부는,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이 측정 광학계의 측정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허용 범위내로 얼라인먼트된 상태에서,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에서 얻어진 굴절 도수가 소정의 허용 오차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판정되고 있었다. 그러나, 단초점 렌즈에 있어서도, 렌즈의 제조상 과정에서, 광학 중심 부분의 도수에 대하여 그 주변 부분의 도수 편차가 크고, 그 중에는 허용 오차를 초과해 버리는 것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허용 오차를 초과하는 도수 편차가 검사되지 않고, 광학 중심 부분의 굴절 도수만으로 합격 여부가 판정되어 버리면, 굴절 도수 편차가 큰 렌즈가 불량품이 되지 않고 그대로 출시되어 고객에게 제공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단초점 렌즈의 도수 편차를 측정할 수 있고, 도수 편차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렌즈 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피검 렌즈의 광학 중심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의 굴절 도수 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 광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소정 패턴의 다수의 측정 지표와, 상기 피검 렌즈 및 상기 측정 지표를 통과한 측정 광속에 의한 지표 이미지를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갖는 측정 광학계를 구비하는 렌즈 미터로서,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하여 수광된 지표 이미지에 기초하여,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의 제 1 굴절 도수를 구함과 함께, 렌즈의 광학 중심의 주변 부분의 굴절 도수 분포를 구하는 측정 도수 산출 수단과, 기준 도수에 대한 상기 굴절 도수 분포의 상대적인 변동 도수 분포를 산출하는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으로서, 상기 기준 도수를 상기 제 1 굴절 도수로 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굴절 도수를 소정의 도수 스텝에 사사오입한 제 2 굴절 도수로 하는, 상기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과, 상기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에 의하여 산출된 변동 도수 분포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2) (1) 의 렌즈 미터는, 단초점 렌즈의 굴절 도수 검사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허용 오차로서, 상기 기준 도수에 대한 허용 오차를 설정하는 허용 오차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추가로, 상기 변동 도수 분포 중에 상기 허용 오차에서 벗어나 있는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3) (2) 의 렌즈 미터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 상기 변동 도수 분포를 나타내는 제 1 그래픽과, 상기 변동 도수 분포의 각 도수가 상기 허용 오차를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다.
(4) (3) 의 렌즈 미터에 있어서, 상기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은, 구면 도수 및 난시 도수 각각의 변동 도수 분포를 산출하는 수단이고, 상기 허용 오차 설정 수단은, 구면 도수 및 난시 도수 각각의 기준 도수에 대한 허용 오차를 설정하는 수단이며, 상기 표시 수단은, 구면 도수 및 난시 도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 1 그래픽 및 상기 제 2 그래픽을 표시한다.
(5) (2) 의 렌즈 미터는, 상기 허용 오차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갖고, 상기 허용 오차는 상기 단초점 렌즈의 굴절 도수에 따라서 변화된 값이고,
상기 허용 오차 설정 수단은, 상기 기준 도수에 대한 허용 오차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호출하여 설정한다.
(6) (2) 의 렌즈 미터에 있어서, 상기 허용 오차 설정 수단은, 상기 허용 오차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를 갖는다.
(7) (1) 의 렌즈 미터는, 상기 기준 도수를 상기 제 1 굴절 도수 및 상기 제 2 굴절 도수 중 어느 것으로 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갖는다.
(8) (1) 의 렌즈 미터에 있어서, 상기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은, 상기 제 1 굴절 도수를 소정의 도수 스텝에 사사오입한 값으로서 상기 제 2 굴절 도수를 연산한다.
(9) (1) 의 렌즈 미터에 있어서, 상기 측정 도수 산출 수단은, 단초점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이 상기 측정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허용 범위로 얼라인먼트된 상태에서,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하여 수광된 지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굴절 도수를 포함하는 상기 굴절 도수 분포를 구한다.
(10) (1) 의 렌즈 미터는, 렌즈가 재치되는 렌즈 재치대로서, 상기 측정 광학계의 측정 광속이 통과하는 개구를 갖는, 상기 렌즈 재치대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 도수 산출 수단은, 상기 개구 및 상기 측정 지표를 통과한 측정 광속에 의하여 상기 수광 소자에 수광된 지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개구 내에서 렌즈의 광학 중심의 주변에 분포하는 복수 위치의 도수를 상기 굴절 도수 분포로서 구한다.
(11) (1) 의 렌즈 미터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 상기 변동 도수 분포를 색의 변화로 나타내는 그래픽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초점 렌즈의 도수 편차를 측정할 수 있고, 도수 편차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1 은 렌즈 미터의 외관 개략도.
도 2 는 광학계와 제어계의 개략 구성도.
도 3 은 그리드 판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 는 얼라인먼트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5 는 제 1 맵 표시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6 은 제 2 맵 표시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7 은 제 3 맵 표시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8 은 허용 오차를 나타내는 표.
도 9 는 도수 분포의 변동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렌즈 미터의 외관 개략도이다.
렌즈 미터 (1) 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2), 조작 신호 등을 입력하는 스위치부 (3), 렌즈 (피검 렌즈) LE 가 재치되는 렌즈 재치대의 노즈피스 (4), 렌즈 LE 를 상방에서 가압하는 렌즈 가압부 (5), 렌즈 LE 가 프레임에 끼워진 안경 프레임 F 를 맞닿게 하는 렌즈 테이블 (6), 인점 (印点) 기구 (7), 렌즈 LE 의 굴절 도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READ 스위치 (8) 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2) 에는, 측정 결과나 얼라인먼트용 타깃 등 측정에 필요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 디스플레이 (2) 에는, 렌즈 LE 의 도수 분포를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하기 위한 컬러 맵 (그래픽) 이 표시된다. 스위치부 (3) 는, 디스플레이 (2) 상에 표시되는 스위치 표시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스위치부 (3) 의 조작에 의하여 측정 모드의 전환 등을 행한다. 측정 모드로는, 단초점 렌즈의 측정 모드와 누진 렌즈의 측정 모드가 있다. 단초점 렌즈의 측정 모드에는, 굴절 도수만을 표시하는 제 1 측정 모드와, 굴절 도수의 표시에 더하여 도수 분포를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제 2 측정 모드가 있다. 노즈피스 (4) 는, 개구 (4a) 를 갖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노즈피스 (4) 내에는 측정 광학계의 광축이 통과하고 있다. 렌즈 가압부 (5) 는, 노즈피스 (4) 의 상방에 상하동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렌즈 가압부 (5) 가 하강됨으로써, 노즈피스 (4) 상에 재치된 렌즈 LE 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렌즈 테이블 (6) 은, 노즈피스 (4) 에 대하여 전후 방향 (도면 중 화살표 A 방향) 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기구를 구비한다. 안경 프레임 F 에 끼워진 렌즈 LE 의 측정에 있어서, 렌즈 테이블 (6) 에, 프레임 F 의 하단 (안경 프레임 및 렌즈의 상하란 안경 착용시의 상하를 말한다) 을 맞닿게 함으로써, 프레임 F 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렌즈 LE 의 난시축 각도가 어긋나는 경우가 없고, 프레임 F 를 이동할 수 있어, 렌즈 LE 의 난시축 각도 A 를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누진 렌즈 원용부 및 근용부를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스위치 (8) 를 누름으로써 측정값이 디스플레이 (2) 에 홀드 표시됨과 함께, 장치 내부의 메모리에 측정값이 기억된다.
도 2 는 광학계와 제어계의 개략 구성도이다. 측정 광학계 (10) 의 측정 광축 L1 상에 각 광학 부재가 배치된다. 측정 광학계 (10) 는, LED 등의 측정 광원 (11), 콜리메이터 렌즈 (12), 미러 (13), 소정 패턴의 다수의 측정 지표가 형성된 측정 지표판인 그리드 판 (14), 2 차원 수광 센서 (15) 를 구비한다. 그리드 판 (14) 은 본체 (1) 의 유지 부재 (16) 에 유지되고, 그리드 판 (14) 상에 노즈피스 (4) 의 개구 (4a) 가 위치되어 있다. 개구 (4a) 는 직경 8 ㎜ 의 원형이다.
장치 전체를 통괄·제어하는 제어 유닛 (40) 에는, 측정 광원 (11), 수광 센서 (수광 소자 ; 15), 디스플레이 (2), 스위치부 (3), 스위치 (8), 메모리 (41) 가 접속된다. 메모리 (41) 에는, 렌즈 미터 (1) 의 제어 프로그램 (41a) 이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 (41a) 으로는, 단초점 렌즈의 광학 중심의 굴절 도수 및 광학 중심의 주변 부분의 도수 분포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 처리, 측정 결과를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 측정 결과를 가공하는 가공 처리 등의 처리 (모듈) 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 (40) 은 이들 처리를 실행한다. 또, 메모리 (41) 에는 설정 정보, 측정 결과가 기억된다. 메모리 (41) 에 기억된 측정 결과는, 데이터 출력용으로 가공되고, 외부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도 3 은, 그리드 판 (14) 에 형성된 지표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드 판 (14) 의 외경은 노즈피스 (4) 의 개구 (4a) 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드 판 (14) 에는, 검사자가 렌즈를 이동시키지 않고, 개구 (4a) 내의 렌즈의 굴절 도수 분포를 한 번에 측정하기 위한 기하학 패턴을 갖는 다수의 측정 지표 (20)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측정 지표 (20) 는, 다수의 원형 구멍이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지표 (20) 는, 측정 광축 L1 이 통과하는 중심 위치에 형성된 직경 0.4 ㎜ 의 중심 구멍 (21) 과 중심 구멍 (21) 의 주위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직경 φ0.2 ㎜ 의 다수의 작은 구멍 (22) 으로 이루어진다. 작은 구멍 (22) 은 0.5 ㎜ 피치로 격자 형상으로 분포되고 있다. 측정 지표 (20) 는, 구멍 (21) 및 구멍 (22) 의 백색을 제거한 흑 Cr 코팅을, 그리드 판 (14) 의 후면에 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중심 구멍 (21) 은, 다른 구멍 (21) 의 대응 관계를 특정하기 위한 기준 지표이다. 즉, 중심 구멍 (21) 은, 렌즈 LE 가 광로상에 놓여지지 않은 상태의 「0D 기준」에 대하여, 렌즈 LE 가 놓여졌을 때에 대응하는 각 지표 이미지를 특정하기 위한 기준 지표로서 사용된다. 기준 지표는 다른 측정 지표와 구별할 수 있으면, 그리드 판 (14) 의 중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장소에 있어도 되고, 그 개수 및 형상도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드 판 (14) 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이, 도트 형상의 패턴인 측정 지표가 된다.
측정 광원 (11) 으로부터의 광속은, 콜리메이팅 렌즈 (12) 에 의하여 평행 광속으로 된 후, 미러 (13) 에 의하여 반사되어 노즈피스 (4) 상에 재치된 렌즈 LE 에 투광된다. 렌즈 LE 를 투과한 광 중에서, 그리드 판 (14) 의 구멍 (21) 및 구멍 (22) 을 통과한 광속이 수광 센서 (15) 에 입사된다. 또한, 수광 센서 (15) 에는, 측정 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렌즈 LE 의 상하 방향으로 긴 소자를 사용한다. 이로써, 상하 방향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도수 분포가 얻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분포하는 누진대를 측정하기 쉬워진다.
수광 센서 (15) 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어 유닛 (40) 에 입력된다. 제어 유닛 (40) 은, 렌즈 LE 가 광로상에 놓여지지 않은 경우에 수광 센서 (15) 에 입사된 각 구멍 (21, 22) 의 각 지표 이미지의 좌표 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굴절력을 갖는 렌즈 LE 가 놓여진 경우의 각 지표 이미지 (도트 패턴) 의 위치 변화를 기초로, 렌즈 LE 의 굴절 도수 (구면 도수 S, 난시 도수 C, 난시축 각도 A, 프리즘값 Δ) 를 연산한다.
단초점 렌즈의 광학 중심 (렌즈의 광학 중심이 광축 L1 에 대하여 소정의 허용 범위로 위치가 맞추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의 굴절 도수를 얻는 경우, 측정 광축 L1 을 중심으로 한 직경 2 ∼ 3 ㎜ 에 있는 5 × 5 (25 개) 또는 7 × 7 (49 개) 등의 지표 이미지가 사용됨으로써,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의 굴절 도수가 양호한 정밀도로 얻어진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 (40) 은, 중심 구멍 (21) 을 중심으로 한 5 × 5 개의 지표 중에서, 인접하는 4 개 또는 3 개의 지표를 1 조로 하여 얻어지는 굴절 도수를 모든 조합에 의하여 구하고, 이것을 평균화하여 하나의 굴절 도수 (S, C, A, 프리즘값 Δ) 를 구한다. 혹은, 중심 구멍 (21) 의 지표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5 × 5 개의 지표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여, 각 지표 이미지의 편위 (偏位) 검출 결과를 기초로 광선 추적법을 사용한 방법으로, 구면 도수 S, 난시 도수 C, 난시축 각도 A 및 프리즘값 Δ 의 각각에 대하여 최소 이승법을 적용하여 가장 잘 피팅되는 회귀 평면을 구함으로써, 하나의 굴절 도수를 구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 단초점 렌즈의 굴절 도수 분포를 얻는 경우, 제어 유닛 (40) 은, 예를 들어 수광 센서 (15) 에 수광된 지표 이미지 중의 5 × 5 개의 지표 이미지를 1 조로 하여, 상기와 같은 연산 방법으로 굴절 도수를 구한다. 측정 위치는 1 조의 지표 이미지 범위의 중심 위치로 한다. 그리고, 5 × 5 개의 지표 이미지의 조를 횡방향으로 1 도트의 지표 이미지만큼 어긋나게 함으로써 가로로 이웃하는 측정 위치의 굴절 도수를 순차적으로 얻는다. 또, 5 × 5 개의 지표 이미지의 조를 세로 방향으로도 1 도트의 지표 이미지만큼 어긋나게 함으로써 세로 방향으로 이웃하는 측정 위치의 굴절 도수를 순차적으로 얻는다. 이 연산을, 수광 센서 (15) 에 수광된 지표 이미지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행함으로써, 단초점 렌즈의 광학 중심과, 광학 중심의 주변에 분포하는 복수 위치의 도수 분포가 얻어진다.
누진 렌즈의 경우도, 상기와 같은 연산 방법에 의하여 도수 분포가 얻어진다. 이로써, 누진 렌즈의 측정에 있어서는, 현재의 측정 위치가 원용부에 있는지의 여부를 효율적으로 판정할 수 있고, 동일하게, 현재의 측정 위치가 근용부에 있는지의 여부를 효율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제어 유닛 (40) 은, 얼라인먼트 상태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2) 의 얼라인먼트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유닛을 겸한다. 또, 제어 유닛 (40) 은, 수광 센서 (15) 의 출력에 기초하여 굴절 도수 분포를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연속적으로 얻는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장치에 있어서, 단초점 렌즈의 측정 동작을 설명한다. 처음에, 단초점 렌즈의 굴절 도수를 표시하는 제 1 측정 모드를 간단히 설명한다. 스위치부 (3) 의 측정 모드 선택 스위치에 의하여 제 1 모드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2) 에는, 도 4(a) 와 같은 얼라인먼트 표시부 (51), 측정값의 표시부 (65) 를 갖는 표시 화면 (50) 이 표시된다. 렌즈 LE 가 노즈피스 (4) 에 재치되면, 수광 센서 (15) 에 수광된 지표 이미지 중에서 중심 구멍 (21) 의 지표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5 × 5 개의 지표 이미지가 추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굴절 도수가 연산된다. 도 4(a) 의 얼라인먼트 표시부 (51) 에는, 세로선과 가로선으로 구성되는 레티클 (61) 과, 측정 광축 L1 에 대한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얼라인먼트 어긋남을 나타내는 링 마크 (62) 가 표시되어 있다. 레티클 (61) 의 세로선과 가로선의 중심이 얼라인먼트 목표가 된다. 렌즈 LE 의 프리즘량, 굴절 도수에 기초하여 측정 광축 L1 에 대한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편위량과 편위 방향이 구해지고, 편위량과 편위 방향에 기초하여 레티클 (61) 에 대한 링 마크 (62) 의 표시 위치가 변경된다.
검사자는, 링 마크 (62) 가 레티클 (61) 의 중심으로 향하도록 렌즈 LE 를 이동한다. 렌즈 LE 의 이동에 의하여, 렌즈 LE 의 프리즘량 등에서 구해지는 광학 중심이 얼라인먼트 완료의 허용 범위 (0.4 ㎜) 에 들어가면, 도 4(b) 와 같이, 링 마크 (62) 는 큰 십자 마크 (63) 로 변경된다. 검사자에 의하여 스위치 (8) 가 눌려지면 (또는, 얼라인먼트 완료가 판정되면 자동적으로), 표시부 (65) 에 표시되는 굴절 도수 (S, C, A) 가 홀드 표시된다.
다음으로, 단초점 렌즈의 굴절 도수 분포를 표시하는 제 2 모드를 설명한다. 도 5 ∼ 도 7 은, 단초점 렌즈의 제 2 측정 모드의 표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스위치부 (3) 에 의하여 제 2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 유닛 (40) 에 의하여 메모리 (41) 로부터 단초점 렌즈의 도수 분포 표시를 위한 프로그램 (41a) 이 호출된다. 도 5 ∼ 도 7 은 단초점 렌즈의 도수 분포의 표시 형태의 예이다. 검사자에 의하여, 노즈피스 (4) 상에 렌즈 LE 가 재치되면, 도 4 와 동일하게, 얼라인먼트 표시부 (51) 에는 링 마크 (62) 가 표시된다. 검사자는 얼라인먼트 표시부 (51) 를 보면서, 렌즈 LE 를 얼라인먼트하여 렌즈 LE 의 도수를 측정한다. 렌즈 LE 의 얼라인먼트가 완료되면, 큰 십자 마크 (63) 로 변경된다. 또한, 도 5 ∼ 도 7 은 얼라인먼트가 완료되었을 때의 표시예이다.
단초점 렌즈의 제 1 측정 모드에서는, 렌즈의 광학 중심을 기준으로 한 굴절 도수가 수치로 표시될 뿐이었으나, 제 2 측정 모드에서는, 표시부 (65) 의 도수 표시에 더하여, 화면의 좌측에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주변 부분의 도수 분포 (변동 도수 분포) 가 그래픽으로 표시된다. 이것은, 렌즈 LE 의 도수 분포 편차를 검사자가 판정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 가지의 수법에 의하여 도수 분포를 표시한다. 첫 번째는,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굴절 도수 (표시부 (65) 에 표시되는 도수) 를 기준 도수로 하고, 이 기준 도수에 대한 상대적인 변동 도수 분포의 표시이다. 두 번째는,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굴절 도수를 단초점 렌즈의 제작 스텝마다 (0.25D 스텝마다) 의 도수에 사사오입한 후, 이 사사오입한 도수를 기준 도수로 한 상대적인 변동 도수 분포의 표시이다.
도 5 는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굴절 도수를 기준 도수로 한 변동 도수 분포의 제 1 맵 표시의 예로서, 제 1 맵 표시는 도수의 허용 오차를 매뉴얼로 변경할 수 있는 예이다. 맵 표시부 (70) 는, 맵 표시의 표시 타입 (제 1 맵 표시부 (70), 제 2 맵 표시부 (80), 제 3 맵 표시부 (90)) 을 선택 (입력) 하는 선택기로서의 모드 스위치 (71) 와, 구면 도수의 분포를 맵 표시하는 구면 도수 맵 (72) 과, 주면 (柱面) 도수의 분포를 맵 표시하는 주면 도수 맵 (73) 과, 맵 (72 및 73) 에 그래픽 표시되는 변동 도수를 단계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스케일을 갖는 스케일 바 (75) 와, 렌즈 도수의 허용 오차의 값 (상한값 (75h) 및 하한값 (75m)) 을 매뉴얼로 설정 (변경) 하기 위한 스위치 (도수 변경 스위치 ; 76) 를 구비한다.
스위치 (71) 는, 제 1 맵 표시를 선택한 것을 나타낸다. 맵 (72, 73) 및 스케일 바 (75) 에서는, 도수에 대응하여 색상이 정해져 있고, 검사자에게 도수 분포를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나타내는 표시로 되어 있다. 이 예의 단초점 렌즈는 구면 도수가 마이너스 (광학 중심의 S 값이 -3.85D) 인 렌즈이고, 수광 센서 (15) 에 의하여 수광된 지표 이미지에서 3 × 5 (가로 × 세로) 의 15 개의 측정 위치의 도수 분포가 얻어진 예이다. 이에 맞추어, 도수 분포의 맵 (72, 73) 의 표시도, 가로 3 매스 (블록) × 세로 5 매스 (블록) 의 표시 영역에서 나타나 있다. -3.85D 보다 플러스측의 렌즈인 경우에는, 수광 센서 (15) 에 의하여 수광된 지표 이미지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측정 위치의 수도 증가하고, 이에 맞추어 맵 (72, 73) 의 표시 영역의 수가 증가된다. 3 × 5 매스의 중앙 위치 (72c, 73c) 가, 렌즈의 광학 중심의 도수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 유닛 (40) 은, 이하와 같이 하여, 변동 도수 분포를 산출 및 표시한다. 수광 센서 (15) 에 의하여 취득된 지표 이미지 패턴으로부터 전술한 수법으로 굴절 도수를 얻는다. 측정값으로서 표현되는 굴절 도수는, 안경 렌즈의 측정 단위 (제작 단위) 인 0.25D 스텝이 아니고, 도수 분포 편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0.25D 에 비해 충분히 세밀한 스텝에서 연산된다. 여기서는, 0.01D 스텝으로 한다. 도 5 는, 렌즈의 광학 중심 (측정 광축 L1 상의 도수이기도 하다) 의 구면 도수 S = -3.85D, 주면 도수 C = -4.94D, 난시축 각도 A = 35°가 얻어진 예이고, 그 측정값이 표시부 (65) 에 표시되어 있다. 렌즈의 광학 중심의 도수가 기준 도수 (기준 구면 도수 Sc, 기준 주면 도수 Cc) 로 되고, 메모리 (41) 에 기억된다. 제어 유닛 (40) 은, 구면 도수 S 와 주면 도수 C 의 각각에 대하여, 각 측정 위치의 도수와 기준 도수를 비교 연산하고, 기준 도수에 대한 도수 분포의 상대적인 변동 도수 분포 (변동 구면 도수 분포, 변동 주면 도수 분포) 를 얻는다. 그리고, 제어 유닛 (40) 은, 맵 (72) 에 변동 구면 도수 분포를 표시 (출력) 하고, 맵 (73) 에 변동 주면 도수 분포를 표시 (출력) 한다. 맵의 각 위치에서는, 스케일 바의 변동 스텝에 따른 색이 부여된다.
맵 (72, 73) 및 스케일 바 (75) 는, 풀 컬러의 색상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색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스케일 바 (75) 중앙의 블록에서부터, 도수의 증감에 대하여 각각 4 색씩 대응시켜 9 색으로 한다. 색의 변화에는 그라데이션을 갖게 하여 도수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도수 (스케일 바 (75) 의 중앙 블록) 를 녹색으로 하고, 도수의 증가 방향으로는 황색, 적색 등의 난색 (暖色) 으로 그라데이션을 부여하여 배색하고, 도수의 감소 방향으로는 청색, 보라색 등의 한색 (寒色) 으로 그라데이션을 부여하여 배색한다. 또, 허용 오차의 상한값 (75h) 을 적색, 하한값 (75m) 을 보라색으로 한다. 도면에서는, 스위치 (76) 에 의하여, 상한값 (75h) 은 +0.12D 로 설정되고 하한값 (75m) 은 -0.12D 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스케일 바 (75) 의 최상단에 대응하는 색 (적색) 은, 맵 (72, 73) 상에서는 허용 오차의 상한을 초과한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스케일 바 (75) 의 최하단의 블록에 대응하는 색 (보라색) 은, 맵 (72, 73) 상에서는 허용 오차의 하한을 밑돈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여, 맵 (72, 73) 상의 변동 도수 분포의 색의 구별 (그래픽) 에 의하여, 각각의 변동 도수 분포가 허용 오차에서 벗어났는지의 여부가 나타나고, 검사자가 시각적으로 렌즈의 합격 여부를 쉽게 판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스위치 (76) 에는, 상한값 (75h) 및 하한값 (75m) 의 허용 오차를 증가 및 감소시키는 2 개의 스위치를 구비한다. 허용 오차가 변경되면, 제어 유닛 (40) 은, 스케일 바 (75) 의 1 블록당의 도수 범위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맵 (72, 73) 의 표시를 변경 (갱신) 한다.
검사자는, 제 1 맵 표시부 (70) 를 확인함으로써, 렌즈 LE 의 변동 도수 분포 (편차) 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도수의 변동량이 컬러 표시되어 있음으로써 허용 오차를 벗어나는 위치를 파악하기 쉽다. 또, 스위치 (76) 의 조작에 의하여, 상한값 (75h), 하한값 (75m) 을 변경하여 맵 (72, 73) 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자는 렌즈 LE 의 합격 여부 판정에 적절한 맵 표시를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표시부 (65) 에 표시된 도수 (광학 중심의 도수) 가 허용 오차 (±0.12D) 에 들어가 있는 경우, 이 표시만으로는 측정된 렌즈가 합격으로 판정되어 버리지만, 맵 (72, 73) 의 변동 도수 분포 (편차) 가 허용 오차에서 벗어나 있는지의 여부가 나타남으로써, 검사자는 도수 편차를 포함하여 렌즈의 합격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6 은,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굴절 도수를 기준 도수로 한 변동 도수 분포의 제 2 맵 표시의 예이다.
제 2 맵 표시는,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기준 도수에 대한 허용 오차가,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굴절 도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예이다. 도 6 의 제 2 맵 표시부 (80) 는, 모드 스위치 (71) 에 의하여 호출되어 표시 화면 (50) 에 표시된다. 얼라인먼트 표시부 (51), 측정 정보 표시부 (65) 는 공통되어 있다. 제 1 맵 표시부 (70) 와 다른 곳은, 구면 도수 맵 (82) 과 주면 도수 맵 (83) 의 각각에 대한 스케일 바 (85, 86) 의 표시이다. 스케일 바 (85, 86) 의 허용 오차 (상한값, 하한값) 는, 각각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굴절 도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맵 (82 및 83) 의 각각의 중앙 위치 (82c 및 83c) 는, 렌즈의 광학 중심의 도수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허용 오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메모리 (41) 에 기억되어 있는 허용 오차를 나타내는 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국제 표준 규격 (ISO) 으로 정해져 있는 허용 오차가 도 8 에 나타나 있다. 또한, 허용 오차는 렌즈 메이커에 의하여 독자적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구면 도수 S 의 허용 오차는, 측정된 렌즈의 굴절력 (광학 중심의 굴절력) 의 절대값에서 큰 쪽의 주경선 (主俓線) 굴절력 Da 에 따라서 정해져 있다. 주면 도수 (난시 굴절력) 의 허용 오차는, 굴절력 Da 과 주면 도수 C (렌즈 LE 의 측정 도수) 에 따라서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도 5 ∼ 도 7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렌즈 LE 의 구면 도수 S = -3.85D, 주면 도수 C = -4.94D 인 경우, 렌즈 LE 의 굴절력 Da 는 8.79D 가 된다. 따라서, 렌즈 LE 의 굴절력은 6.00<Da≤9.00D 의 범위가 되고, 구면 도수의 허용 오차는 ±0.12D, 주면 도수의 허용 오차는 ±0.18D 가 된다.
이와 같은 허용 오차의 범위는, 각 렌즈 메이커, 검사자 등에 의하여 정의되고, 미리 메모리 (41) 에 기억시켜 놓는다. 제어 유닛 (40) 은, 모드 스위치 (71) 에 의하여 제 2 맵 표시 모드가 입력되면, 메모리 (41) 의 표를 판독하여, 렌즈 LE 의 측정 결과에 대응하는 구면 도수의 허용 오차와 주면 도수의 허용 오차를 결정한다. 제어 유닛 (40) 은, 스케일 바 (85, 86) 의 색과 도수를 대응시키고, 이 대응에 기초하여 맵 (82, 83) 의 표시를 변경한다. 제어 유닛 (40) 은, 구면 도수의 허용 오차 (±0.12D) 를 상한값 (85h), 하한값 (85m) 에 대응시켜 표시하고, 주면 도수의 허용 오차 (±0.18D) 를 상한값 (86h), 하한값 (86m) 에 대응시켜 표시한다. 또, 구면 도수의 스케일 바 (85) 의 중앙에는, 표시부 (65) 의 구면 도수 S = -3.85D 의 값이 표시되고, 주면 도수의 스케일 바 (86) 의 중앙에는, 표시부 (65) 의 주면 도수 C = -4.94D 의 값이 표시된다.
맵 표시부 (80) 에는, 스케일 바 (85) 의 상한값 (85h) 을 0.12D, 하한값 (85m) 을 -0.12D 로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주면 도수의 허용 오차 86h, 86m 도 도 8 에서 정해진 범위로서 표시된다. 제어 유닛 (40) 은, 스케일 바 (85, 86) 의 배색과 변동 도수의 관계에 맞추어, 구면 도수 맵 (82), 주면 도수 맵 (83) 의 표시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된 맵 표시부 (80) 를 확인함으로써, 검사자는, 렌즈 LE 의 편차가 허용 오차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렌즈 메이커에서는, 렌즈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허용 오차 (판정 기준) 를 측정된 굴절 도수에 따라서 정한 것이 자동적으로 적용되므로, 경험이 부족한 검사자라도 용이하게 렌즈 LE 의 합격 여부 판정의 검품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 맵 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은, 측정된 굴절 도수 (구면 도수 S, 주면 도수 C) 를 단초점 렌즈의 제작 스텝마다 (0.25D 스텝마다) 의 값에 사사오입하고 (사사오입의 산식으로, 단수 (端數) 를 처리하여 0.25D 스텝의 도수로 처리한다), 사사오입한 도수를 기준 도수로 하여 제 2 맵 표시부 (80) 와 동일하게 도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맵 표시의 예이다.
도 7 에 있어서, 제 3 맵 표시부 (90) 는, 모드 스위치 (71) 의 조작에 의하여 표시 화면 (50) 에 표시된다. 얼라인먼트 표시부 (51), 측정 결과의 표시부 (65) 는 도 6 에 공통되어 있다. 제 2 맵 표시부 (80) 와 다른 곳은, 구면 도수 맵 (92) 의 기준 도수 (92c) 와, 주면 도수 맵 (93) 의 기준 도수 (93c) 를, 렌즈의 제작 도수의 스텝 (0.25D) 에 사사오입한 수치로 하고 있는 점이다. 또, 모드 스위치 (71) 는, 맵 표시에 사용되는 변동 도수 분포의 기준 도수를, 렌즈의 광학 중심의 굴절 도수로 하거나, 렌즈의 광학 중심의 굴절 도수를 소정의 도수 스텝 (0.25D) 에서 사사오입한 값으로 하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를 겸한다.
제어 유닛 (40) 은, 제 3 맵 표시부 (90) 를 표시하기 위한 모드 스위치 (71) 의 신호가 입력되면, 표시부 (65) 의 굴절 도수 (렌즈 LE 의 광학 중심의 도수) 를 0.25D 스텝에서 사사오입한 값을 구한다. 즉, 표시부 (65) 의 굴절 도수와 0.25D 스텝의 값 (예를 들어, -3.50D, -3.75D, -4.00D,…) 을 비교 연산하여, 차가 작은 쪽의 0.25D 스텝의 값을, 사사오입한 값으로서 구한다. 이 처리를 구면 도수 S, 주면 도수 C 의 각각에 대하여 실시한다. 도 7 의 예에서는, 표시부 (65) 의 구면 도수 S = -3.85D 를 0.25D 스텝에서 사사오입한 값은 -3.75D 로서 구해진다. 마찬가지로 주면 도수 C = -4.94D 를 0.25D 스텝에서 사사오입한 값은 -5.00D 로서 구해진다. 이 사사오입한 값을 기준 도수로 하여 허용 오차가 설정된다. 허용 오차는, 제 2 맵 표시와 동일하게, 도 8 에 따라서, 표시부 (65) 에 표시되는 굴절 도수에 의하여 정해진다.
도 7 에 있어서, 맵 표시부 (90) 의 구면 도수 스케일 바 (95) 에는, 사사오입된 값의 -3.75D 가 중앙에 표시되고, 상한값 (95h) 이 +0.12D, 하한값 (95m) 이 -0.12D 로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주면 도수 스케일 바 (96) 에는, 사사오입된 값의 -5.00D 가 중앙에 표시되고, 상한값 (96h) 이 +0.18D, 하한값 (96m) 이 -0.18D 로서 표시된다. 구면 도수 맵 (92), 주면 도수 맵 (93) 은, 도 6 과 마찬가지로, 각각 스케일 바 (95, 96) 의 스케일의 변동 스텝에 따른 색이 부여되어 맵 표시되어 있다.
검사자는, 맵 (92, 93) 을 확인함으로써, 렌즈 LE 의 도수 분포 편차를 렌즈의 도수 스텝에 대하여 어느 정도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안경 렌즈에서는 그 제작 도수의 스텝이 0.25D 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제 3 맵 표시를 사용하면, 도수 분포 편차가 도수 스텝의 허용 오차내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수 있어, 숙련되지 않은 검사자라도 렌즈의 검품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제 2 맵 표시부 (80) 와 제 3 맵 표시부 (90) 에, 허용 오차 (상한값, 하한값) 를 변경하는 구성을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구면 도수의 허용 오차를 ±0.12D 에서 ±0.09D 등으로 변경함으로써, 렌즈의 검품 기준을 엄격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허용 오차의 변경은, 화면상에 표시하는 스위치로 증감시키는 구성, 설정을 미리 메모리 (41) 에 기억시켜, 검사자의 조작에 의하여 호출하는 구성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단초점 렌즈의 도수 편차를 측정할 수 있다. 또, 맵 표시에 의하여 단초점 렌즈의 도수 분포 편차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 맵 표시에 복수의 모드를 형성함으로써, 도수 분포의 측정, 렌즈의 검품 등 여러 가지 목적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변용이 가능하다. 도수 분포의 표시는 그레이 스케일 표시여도 된다. 또, 도수와 도형을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해칭을 사용하여 도수의 수치와 해칭 간격을 대응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또, 색으로 구별되는 맵 표시를 대신하여, 검사자에게 시각적으로 알기 쉬운 표시로서 그래프 표시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가로축에 2 차원 좌표를 직선상에 배치한 위치, 세로축이 도수로 한다.
도 9 는, 도수 분포 편차를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하는 변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또는 도 6, 도 7) 의 맵 표시를 대신하여, 구면 도수 그래프 (172) 와 주면 도수 그래프 (173) 가 얼라인먼트 표시부 (51) 의 왼쪽에 표시된다. 어느 그래프나, 가로축은 렌즈 LE 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15 점 (3 × 5 매스에 대응) 의 스텝을 갖는다. 또, 세로축은 도수를 나타낸다. 세로축의 도수 눈금은, 맵 표시에 있어서의 스케일 바와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그래프에 도수 분포가 플롯되어 있다.
그래프 (172) 에는, 상한값 (175h), 하한값 (175m) 에 대응하는 라인 (175ha, 175ma) 이 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그래프 (173) 에는 상한값 (176h), 하한값 (176m) 에 대응하는 라인 (176ha, 176ma) 이 표시되어 있다. 라인 (175ha, 175ma, 176ha, 176ma) 은 임계값을 나타내는 라인으로서, 전술한 허용 오차에 대응하여 표시되어 있다. 그래프상에 플롯된 도수 분포가, 라인 (175ha, 176ha (176ma, 175ma)) 을 초과함 (밑돌음) 으로써, 렌즈 LE 의 도수가 허용 오차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또, 변동 도수 분포의 출력은, 디스플레이 (2) 에 표시하는 것 이외에, 인쇄에 의한 출력, 데이터로서 외부 메모리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출력된 데이터를 컴퓨터 등으로 처리하여, 렌즈 LE 의 도수 분포의 측정, 검품 등에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렌즈의 도수 분포의 허용 오차에 있어서의 한계값을 초과한 것은, 알림 수단으로서의 스피커에서 음성으로 검사자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메모리 (41) 에 판정 기준 (허용 오차 등) 을 기억시켜 놓고, 제어 유닛 (40) 이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변용가능하다. 여기서는, 렌즈 미터 (1) 에서 실행한 처리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렌즈 LE 의 도수 분포 확인, 검품 (평가) 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컴퓨터 (200) 는, 장치 전체의 통괄·연산·출력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 유닛 (연산 제어 수단) (210), 측정값, 처리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인 메모리 (211), 측정 결과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 (220) 과, 컴퓨터 (200) 를 조작하는 조작 수단 (230) 과, 연산 결과, 맵 등을 표시하는 출력 수단인 디스플레이 (240) 를 구비한다.
메모리 (211) 에는, 상기 서술한 처리 스텝을 제어 유닛 (210) 에 실행시키는 단초점 렌즈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그램 (211a) 이 기억되어 있다. 데이터 입력 수단 (220) 으로는, 외부 메모리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메모리 (211) 에 전송하기 위한 포트 (221),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포트 (222) 를 구비한다. 렌즈 미터 (1) 에서 측정된 단초점 렌즈의 도수 분포 데이터는, 포트 (222) 로부터 제어 유닛 (210) 에 입력되어 메모리 (211) 에 기억된다. 조작 수단 (230) 으로는, 검사자가 수치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 (231), 디스플레이 (240) 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켜 조작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232) 를 구비한다.
프로그램 (211a) 에는, 렌즈 LE 의 도수 분포를 취득하는 스텝, 렌즈 LE 의 기준 도수를 취득하는 스텝, 기준 도수에 대한 상대적인 도수 분포 (변동 도수 분포) 를 산출하는 스텝, 변동 도수 분포를 출력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도수 분포 및 기준 도수는, 데이터 입력 수단 (220) 에 의하여, 렌즈 미터, 외부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기준 도수는, 취득한 도수 분포로부터 제어 유닛 (210) 이 산출하여 취득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된다. 취득한 도수 분포 및 기준 도수는 메모리 (211) 에 기억시킨다. 제어 유닛 (210) 은, 비교 연산에 의하여 기준 도수에 대한 도수 분포의 상대적인 변동량을 산출하여 메모리 (211) 에 기억시킨다. 제어 유닛 (210) 은, 변동 도수 분포를 디스플레이 (240) 에 표시한다. 이 때, 변동 도수 분포의 변동량을 맵 표시한다. 맵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메모리 (211) 에 기억시켜 놓은 허용 오차, 도수의 변동량을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하는 컬러 스케일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 (210) 이 생성한다.
검사자는, 디스플레이 (240) 에 표시된 맵을 확인함으로써, 렌즈 LE 의 도수 분포 편차, 도수의 변동량이 허용 오차내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리고, 렌즈 LE 의 검품의 합격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출력으로는, 외부 기억 수단으로의 데이터의 출력, 프린터 등을 이용한 인쇄 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렌즈 미터 (1) 에 도 5 ∼ 도 7 의 맵 표시의 프로그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렌즈 미터 (1) 는 도수 분포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컴퓨터상에서 렌즈 LE 의 도수 분포 편차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 렌즈 LE 의 검품 합격 여부를 판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렌즈 LE 의 검품의 합격 여부 판정을 컴퓨터 (200) 에 의한 자동 실행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허용 오차를 검사자, 렌즈 메이커에 의하여 정의하고, 제어 유닛 (210) 에 검품의 합격 여부를 판정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데이터 입력 수단 (220) 에, 렌즈마다의 도수 분포 등을 순서대로 입력하고, 제어 유닛 (210) 에 순서대로 검품의 합격 여부를 판정시킨다. 이로써, 대량의 렌즈를 검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미터에는, 예를 들어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2-534665호에 개시되어 있는 렌즈의 넓은 범위에 걸쳐 도수 분포를 측정하는 안경 렌즈 광학 특성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4 … 노즈피스
14 … 그리드 판
15 … 수광 센서
10 … 측정 광학계
40 … 제어 유닛
70 … 제 1 맵 표시부
80 … 제 2 맵 표시부
90 … 제 3 맵 표시부
200 … 컴퓨터

Claims (11)

  1. 피검 렌즈의 광학 중심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 내의 굴절 도수 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 광축을 중심으로 배치된 소정 패턴의 다수의 측정 지표와, 상기 피검 렌즈 및 상기 측정 지표를 통과한 측정 광속에 의한 지표 이미지를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갖는 측정 광학계를 구비하는 렌즈 미터로서,
    상기 피검 렌즈는 단초점 렌즈이고,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하여 수광된 지표 이미지에 기초하여, 단초점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의 제 1 굴절 도수를 구함과 함께, 단초점 렌즈의 광학 중심의 주변 부분의 굴절 도수 분포를 구하는 측정 도수 산출 수단과,
    기준 도수에 대한 상기 굴절 도수 분포의 상대적인 변동 도수 분포를 산출하는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굴절 도수를 상기 기준 도수로 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굴절 도수를 소정의 도수 스텝에 사사오입한 제 2 굴절 도수를 상기 기준 도수로 하는, 상기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과,
    상기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에 의하여 산출된 변동 도수 분포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렌즈 미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초점 렌즈의 굴절 도수 검사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허용 오차로서, 상기 기준 도수에 대한 허용 오차를 설정하는 허용 오차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수단은, 추가로, 상기 변동 도수 분포 중에 상기 허용 오차에서 벗어나 있는 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렌즈 미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 상기 변동 도수 분포를 나타내는 제 1 그래픽과, 상기 변동 도수 분포의 각 도수가 상기 허용 오차를 벗어났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 2 그래픽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렌즈 미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도수를 상기 제 1 굴절 도수 및 상기 제 2 굴절 도수 중 어느 것으로 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갖는, 렌즈 미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도수 산출 수단은, 상기 수광 소자에 의하여 수광된 지표 이미지로서, 피검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지표 이미지에 기초하여 피검 렌즈의 광학 중심 부분의 상기 제 1 굴절 도수를 구하고, 피검 렌즈의 광학 중심의 주변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지표 이미지에 기초하여 피검 렌즈의 광학 중심의 주변 부분의 상기 굴절 도수 분포를 구하고,
    상기 변동 도수 분포 산출 수단은, 상기 제 1 굴절 도수를 상기 기준 도수로 하는 제 1 방법과, 상기 제 2 굴절 도수를 상기 기준 도수로 하는 제 2 방법 중 일방에 의해 상기 변동 도수 분포를 산출하는, 렌즈 미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98440A 2010-09-30 2011-09-28 렌즈 미터 KR101848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2135 2010-09-30
JPJP-P-2010-222135 2010-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006A KR20120034006A (ko) 2012-04-09
KR101848093B1 true KR101848093B1 (ko) 2018-04-11

Family

ID=4613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440A KR101848093B1 (ko) 2010-09-30 2011-09-28 렌즈 미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62139B2 (ko)
KR (1) KR101848093B1 (ko)
CN (1) CN102539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647B2 (ja) * 2012-07-26 2016-09-14 アズビル株式会社 グラデーション表示装置および方法
CN103926053B (zh) * 2013-01-11 2018-08-24 上海嫦娥光学仪器科技有限公司 自动焦度计
KR101628217B1 (ko) * 2014-12-30 2016-06-08 유니코스(주) 렌즈미터의 누진 렌즈 측정방법
CN105182566A (zh) * 2015-10-27 2015-12-2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便携式电子设备及眼镜度数测量方法
US20230034573A1 (en) 2019-12-26 2023-02-02 Nidek Co., Ltd. Eyeglasses lens measurement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6717A (ja) * 2002-05-16 2009-09-24 Hoya Corp 眼鏡レンズ製造方法および製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836B2 (ja) * 1992-03-31 2000-06-26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メ−タ
DE10014334C2 (de) * 2000-03-24 2002-03-21 Zeiss Car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rtsaufgelösten Brechkraft-Bestimmung
JP2002296149A (ja) * 2001-03-30 2002-10-09 Nidek Co Ltd レンズメータ
JP2005214701A (ja) * 2004-01-28 2005-08-11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JP4920181B2 (ja) * 2004-08-23 2012-04-18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メータ
WO2007052347A1 (ja) * 2005-11-02 2007-05-10 Nidek Co., Ltd. レンズメータ
JP2007155413A (ja) * 2005-12-01 2007-06-21 Nidek Co Ltd レンズメータ
JP5202011B2 (ja) * 2007-02-28 2013-06-05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メ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6717A (ja) * 2002-05-16 2009-09-24 Hoya Corp 眼鏡レンズ製造方法および製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62139B2 (ja) 2016-02-16
CN102539118B (zh) 2015-12-09
JP2012093348A (ja) 2012-05-17
CN102539118A (zh) 2012-07-04
KR20120034006A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996B1 (ko) 렌즈 미터
US5855074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mapping opthalmic elements
KR101848093B1 (ko) 렌즈 미터
KR101437175B1 (ko) 렌즈 미터
JP5540213B2 (ja) 眼鏡レンズの評価方法
JP4646017B2 (ja) レンズメータ
JP2003075296A (ja) レンズメータ
KR20070053289A (ko) 렌즈 미터
JP2018028453A (ja) レンズメータ
JP4421332B2 (ja) レンズメータ
KR101213993B1 (ko) 안경 렌즈의 측정 장치
JP4756828B2 (ja) レンズメータ
JP4909325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の光学性能評価方法
WO2021132101A1 (ja) 眼鏡レンズ測定装置及び眼鏡レンズ測定プログラム
JP5397882B2 (ja) レンズメータ
JP4699006B2 (ja) レンズメータ
KR20030046118A (ko) 누진 굴절력 측정용 자동 렌즈미터 및 그 측정 방법
JP6912071B2 (ja) レンズメータ
JP5197240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の光学性能評価方法
JP4781705B2 (ja) レンズメータ
WO2020067036A1 (ja) レンズメーターにおける近点誘導マークの表示装置
JPH0712682A (ja) レンズ屈折度測定装置
JP2021105573A (ja) 眼鏡レンズ測定装置及び眼鏡レンズ測定プログラム
JP2018048988A (ja) レンズメータ
JP2002296149A (ja) レンズメ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