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855B1 - 전동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855B1
KR101846855B1 KR1020170105972A KR20170105972A KR101846855B1 KR 101846855 B1 KR101846855 B1 KR 101846855B1 KR 1020170105972 A KR1020170105972 A KR 1020170105972A KR 20170105972 A KR20170105972 A KR 20170105972A KR 101846855 B1 KR101846855 B1 KR 10184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g
link
leg unit
rotatab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광식
김철주
김해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강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강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강업
Priority to KR102017010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driven by screw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는, 바이크를 지지한 채, 상기 바이크를 전동식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전동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크를 지지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에 장착되어 상기 바이크가 상기 상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크체결부를 구비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 인가된 하중을 바닥면으로 전달하는 상부베이스부,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베이스부 및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상부베이스부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제1 링크부를 기준으로 접힘과 펼침이 구현되는 제1 레그부,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제2 링크부를 기준으로 접힘과 펼침이 구현되는 제2 레그부 및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전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베이스부는, 상기 전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가 접히는 경우, 상기 하부베이스부와 이격 거리가 감소하고, 상기 전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하부베이스부와 이격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리프트 장치{Electric lift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동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이크를 지지한 채, 바이크를 전동식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전동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크 리프트 장치는 바이크의 경·정비를 위한 장치로서 정비사가 보다 편리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유압식 리프트가 시중에 분포되어 있으며, 그 중 노후한 장비에서는 유압계통 누유로 인하여 환경적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품의 설치시 바닥에 고정하여 설치가 되므로 이동에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바이크 정비소 뿐만 아니라 개인 바이크 소유자 또한 유지보수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업자와 동시에 개인 주문 시 설치와 이동이 쉬운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개시된 바이크 리프트 장치(한국등록특허제10-1062489호)에는, 바이크가 보관될 수 있는 바이크 리프트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에는, 다수의 바이크가 보관되는 보관 플레이트와, 상기 보관 플레이트를 구동하는 구동장치 및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내용이 기술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2489호
본 발명은 전동식으로 승강 또는 하강을 구현하여 비용을 최소한으로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환경적인 문제를 개선한 전동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는, 바이크를 지지한 채, 상기 바이크를 전동식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전동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크를 지지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에 장착되어 상기 바이크가 상기 상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크체결부를 구비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 인가된 하중을 바닥면으로 전달하는 상부베이스부,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베이스부 및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상부베이스부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제1 링크부를 기준으로 접힘과 펼침이 구현되는 제1 레그부,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제2 링크부를 기준으로 접힘과 펼침이 구현되는 제2 레그부 및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전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베이스부는, 상기 전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가 접히는 경우, 상기 하부베이스부와 이격 거리가 감소하고, 상기 전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하부베이스부와 이격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1 링크부 및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접힘이 구현되고, 상기 제1 링크부 및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펼침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제1 레그부는, 일측은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에 연결되는 제1 상부레그유닛 및 일측은 상기 하부베이스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에 연결되는 제1 하부레그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동부는, 상기 제1 링크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이동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연결된 채,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및 상기 제1 링크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에 삽입된 채,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모터부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하며, 상기 모터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상부베이스부는, 상기 제1 링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이 형성하는 각 중 작은 각인 제1 각도의 크기가 커지면, 상기 하부베이스부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고, 상기 제1 각도의 크기가 작아지면, 상기 하부베이스부와의 이격 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제1 레그부는, 일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 및 일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과 상기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은, 각각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을 지지하여, 상기 제1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의 형성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되,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경우, 기립되어 상기 제1 레그부가 펼쳐지도록 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도복되어 상기 제1 레그부가 접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제2 레그부는, 일측은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에 연결되는 제2 상부레그유닛 및 일측은 상기 하부베이스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2 링크부에 연결되는 제2 하부레그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전동부는, 상기 제2 링크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이동부, 상기 제2 링크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에 삽입된 채,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를 연결하는 플랜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모터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하며, 상기 모터부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제1 관통홀은, 내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제1 나사산이 상기 제2 나사산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제2 관통홀은, 내주면에 제3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외주면에 상기 제3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4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2 회전부가 상기 제1 회전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면, 상기 제3 나사산이 상기 제4 나사산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위치이동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나사산의 형성 방향과 상기 제3 나사산의 형성 방향은, 반대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는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는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상부베이스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상측길이형성부 상기 제1 상측길이형성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상측길이형성부, 상기 제1 상측길이형성부의 일측 및 상기 제2 상측길이형성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상측폭형성부 및 상기 제1 상측폭형성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상측길이형성부의 타측 및 상기 제2 상측길이형성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상측폭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베이스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하측길이형성부 상기 제1 하측길이형성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하측길이형성부, 상기 제1 하측길이형성부의 일측 및 상기 제2 하측길이형성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하측폭형성부 및 상기 제1 하측폭형성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측길이형성부의 타측 및 상기 제2 하측길이형성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하측폭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은, 상기 제1 상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상부레그부, 상기 제2 상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상부레그부 및 상기 제1-1 상부레그부와 상기 제1-2 상부레그부를 연결하는 제1 상부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은, 상기 제1 하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하부레그부, 상기 제2 하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하부레그부 및 상기 제1-1 하부레그부와 상기 제1-2 하부레그부를 연결하는 제1 하부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은, 일측은 상기 제1 상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상부보조레그부 및 일측은 상기 제1 상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상부보조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은, 일측은 상기 제1 하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하부보조레그부 및 일측은 상기 제1 하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하부보조레그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은, 상기 제1 상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상부레그부, 상기 제2 상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상부레그부 및 상기 제2-1 상부레그부와 상기 제2-2 상부레그부를 연결하는 제2 상부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은, 상기 제1 하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하부레그부, 상기 제2 하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하부레그부 및 상기 제2-1 하부레그부와 상기 제2-2 하부레그부를 연결하는 제2 하부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레그부는, 일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 및 일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과 상기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은, 각각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을 지지하여, 상기 제2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의 형성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되, 상기 제2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경우, 기립되어 상기 제2 레그부가 펼쳐지도록 하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도복되어 상기 제2 레그부가 접히도록 하고, 상기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은, 일측은 상기 제1 상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상부보조레그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상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상부보조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은, 일측은 상기 제2 하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하부보조레그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하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하부보조레그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은, 상기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과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은, 상기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 상기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 상기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 및 상기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은, 상기 모터부에 의해 동시에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기 바이크체결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홀을 구비하는 제1 체결판, 상기 제1 체결판과의 사이에 바퀴수용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체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삽입홀을 구비하는 제2 체결판, 상기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과 연결된 채, 인가된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편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편은, 상기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에 동시에 삽입된 제1 위치에서 상기 회전편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삽입홀로부터 이탈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바퀴수용공간은, 상기 회전편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회전편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회전편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을 통해 전동식으로 승강 또는 하강을 구현하여 전동식 리프트 장치의 제조비용을 최소한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를 기준으로 접힘과 펼침이 구현되는 경우, 기본 레그유닛과 보조 레그유닛이 함께 동작하여, 바이크가 거치된 상판을 지지함으로 뒤틀림과 같은 파손의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부베이스부 및 하부베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리프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작동 순서 및 기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1)는 바이크(B)를 지지한 채, 바이크(B)를 전동식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바이크(B)란 엔진의 유무에 관계없이 바퀴가 앞뒤로 두 개가 있는 교통수단으로서, 이륜차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 모터사이크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전동 리프트 장치(1)는 지지부(10), 상부베이스부(20), 하부베이스부(30) 및 리프트부(40)를 포함한다.
지지부(10)는, 바이크(B)를 지지하는 상판(11) 및 상판(11)에 장착되어 바이크(B)가 상판(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크체결부(13)를 구비한다.
상판(11)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본 발명의 전동 리프트 장치(1)가 후술할 리프트부(40)에 의해 승하강되는 경우, 지면과의 평행이 유지될 수 있다.
상부베이스부(20)는, 지지부(10)의 하부측에 연결되며, 지지부(10)에 인가된 하중을 바닥면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부베이스부(20)는 지지부(10)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판(11)의 하중 및 상판(11)에 안착된 채, 바이크체결부(13)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된 바이크(B)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한다.
바이크체결부(13)는, 상판(11)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홀(131a)을 구비하는 제1 체결판(131), 제1 체결판(131)과의 사이에 바퀴수용공간(L)을 형성한 채, 제1 체결판(131)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삽입홀(132a)을 구비하는 제2 체결판(132), 제1 삽입홀(131a) 및 제2 삽입홀(132a)에 삽입된 채, 제1 삽입홀(131a) 및 제2 삽입홀(132a)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체결편(133) 및 체결편(133)과 연결된 채, 인가된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편(134)을 구비한다.
체결편(133)은, 제1 삽입홀(131a) 및 제2 삽입홀(132a)에 동시에 삽입된 제1 위치에서, 체결편(133)에 의한 회전에 의해 제1 삽입홀(131a) 및 제2 삽입홀(132a)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제2 삽입홀(132a)로부터 이탈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이 때, 바퀴수용공간(L)은, 체결편(133)이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체결편 (133)에 의해 폐쇄되고, 체결편(133)이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판(131)과 제2 체결판(132)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1 체결판(131)과 제2 체결판(132) 사이에 바퀴수용공간(L)이 형성된다. 바퀴수용공간(L)은 바이크(B)의 바퀴 중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 체결편(133)은 제1 체결판(131)과 제2 체결판(132) 사이를 가로 지르지 않는 제2 위치에서 바이크(B)의 바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바퀴수용공간(L)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바이크(B)의 바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바퀴수용공간(L)으로 유입된 상태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바이크(B)의 바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바이크(B)가 상판(11) 상에서 잠금되도록 한다.
또한, 체결편(133)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잠금된 바이크(B)는 해정될 수 있다.
하부베이스부(30)는 상부베이스부(2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바닥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바닥면이란 지면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전동 리프트 장치(1)가 다단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경우, 하부측에 위치한 또 다른 전동 리프트 장치(1)의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리프트부(40)는, 상부베이스부(20)와 하부베이스부(30)를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부베이스부(20)가 하부베이스부(30)를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높이방향이란 승강 또는 하강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리프트부(40)는, 상부베이스부(20)와 하부베이스부(30)를 연결하며, 제1 링크부(43)를 기준으로 접힘과 펼침이 구현되는 제1 레그부(41), 상부베이스부(20)와 하부베이스부(30)를 연결하며, 제2 링크부(44)를 기준으로 접힘과 펼침이 구현되는 제2 레그부(42) 및 제1 링크부(43)와 제2 링크부(44)를 위치 이동시키는 전동부(45)를 구비한다.
제1 레그부(41)는, 일측은 상부베이스부(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제1 링크부(4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상부레그유닛(411) 및 일측은 하부베이스부(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제1 링크부(4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하부레그유닛(413)을 구비한다.
제1 레그부(41)의 접힘은, 제1 링크부(43)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제1 상부레그유닛(411) 및 제1 하부레그유닛(413)에 의해 구현되며, 제1 레그부(41)의 펼침은 제1 링크부(43)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제1 상부레그유닛(411) 및 제1 하부레그유닛(413)에 의해 구현된다.
또한, 제2 레그부(42)는, 일측은 상부베이스부(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제2 링크부(44)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상부레그유닛(421) 및 일측은 하부베이스부(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제2 링크부(44)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하부레그유닛(423)을 구비한다.
제2 레그부(42)의 접힘은, 제2 링크부(44)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제2 상부레그유닛(421) 및 제2 하부레그유닛(423)에 의해 구현되며, 제2 레그부(42)의 펼침은 제2 링크부(44)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제2 상부레그유닛(421) 및 제2 하부레그유닛(423)에 의해 구현된다.
제1 레그부(41) 및 제2 레그부(42)의 접힘과 펼침에 관하여는 이하, 도 - 내지 도 - 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베이스부(20)는 전동부(45)에 의해 제1 레그부(41) 및 제2 레그부(42)가 접히는 경우, 하부베이스부(30)와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고, 전동부(45)에 의해 제1 레그부(41) 및 제2 레그부(42)가 펼쳐지는 경우, 하부베이스부(30)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상부베이스부 및 하부베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1)의 상부베이스부(2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상측길이형성부(21) 제1 상측길이형성부(2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상측길이형성부(22), 제1 상측길이형성부(21)의 일측 및 제2 상측길이형성부(22)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상측폭형성부(23) 및 제1 상측폭형성부(23)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상측길이형성부(21)의 타측 및 제2 상측길이형성부(22)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상측폭형성부(24)를 구비한다.
또한, 하부베이스부(3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하측길이형성부(31) 제1 하측길이형성부(3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하측길이형성부(32), 제1 하측길이형성부(31)의 일측 및 제2 하측길이형성부(32)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하측폭형성부(33) 및 제1 하측폭형성부(33)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하측길이형성부(31)의 타측 및 제2 하측길이형성부(32)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하측폭형성부(34)를 구비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리프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1)의 리프트부(40)의 전동부(45)는 상기 제1 링크부(43)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이동부(451), 제1 위치이동부(451)와 연결된 채,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453) 및 제1 링크부(43)에 형성된 제1 관통홀에 삽입된 채, 모터부(453)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부(45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회전부(455)는, 모터부(453)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위치이동부(451)와 제1 링크부(43)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하며, 모터부(453)에 의해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위치이동부(451)와 제1 링크부(43)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한다.
제1 관통홀은, 내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회전부(455)는 외주면에 제1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링크부(43)는 제1 회전부(455)가 모터부(453)에 의해 회전되면, 제1 나사산이 제2 나사산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제1 위치이동부(451)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된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부(455)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링크부(43)는 제1 위치이동부(451)와 이격 거리가 감소하며, 제1 회전부(455)가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링크부(43)는 제1 위치이동부(451)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한다.
또한, 전동부(45)는, 제2 링크부(44)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이동부(452), 제2 링크부(44)에 형성된 제2 관통홀(H2)에 삽입된 채, 모터부(453)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부(456) 및 제1 회전부(455)와 제2 회전부(456)를 연결하는 플랜지부(457)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제2 회전부(456)는, 모터부(453)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위치이동부(452)와 제2 링크부(44)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하며, 모터부(453)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위치이동부(452)와 제2 링크부(44)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한다.
제2 관통홀(H2)은, 내주면에 제3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 회전부(456)는 외주면에 제3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4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링크부(44)는 제2 회전부(456)가 제1 회전부(455)와 연동되어 회전되면, 제3 나사산이 제4 나사산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제2 위치이동부(452)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된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부(456)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링크부(44)는 제2 위치이동부(452)와 이격 거리가 감소하며, 제2 회전부(456)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링크부(44)는 제2 위치이동부(452)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한다.
이 때, 상술한 제1 나사산의 형성 방향과 제3 나사산의 형성방향은, 반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전부(455)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링크부(43)와 제2 링크부(44)는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위치 이동되며, 제1 회전부(455)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링크부(43)와 제2 링크부(44)는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위치 이동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제1 레그부(41)와 제2 레그부(42)는 플랜지부(457)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되나, 일 모터부(453)에 의한 회전에 의해 거울상으로 동일한 모션을 내기 위하여 제1 회전부(455)와 제2 회전부(456)의 회전에 따른 각각의 링크부와 각각의 위치이동부 간의 위치 이동은 대칭을 이루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제1 나사산의 형성 방향과 제3 나사산의 형성방향이 반대로 구성하여 일 모터부(453)에 의한 회전에 의해 거울상의 모션을 구현해낸 것이다.
한편, 리프트부(40)의 제1 상부레그유닛(411)은 제1 상측길이형성부(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상부레그부(411a), 제2 상측길이형성부(2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상부레그부(411b) 및 제1-1 상부레그부(411a)와 제1-2 상부레그부(411b)를 연결하는 제1 상부매개부(411c)를 구비한다.
또한, 제1 하부레그유닛(413)은, 제1 하측길이형성부(3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하부레그부(413a), 제2 하측길이형성부(3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하부레그부(413b) 및 제1-1 하부레그부(413a)와 제1-2 하부레그부(413b)를 연결하는 제1 하부매개부(413c)를 구비한다.
제1 레그부(41)는, 일측은 제1 위치이동부(45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상부레그유닛(41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415) 및 일측은 제1 위치이동부(45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1 하부레그유닛(4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417)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415)과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417)은, 각각 제1 상부레그유닛(411)과 제1 하부레그유닛(413)을 지지하여, 상부레그유닛과 하부레그유닛의 형성각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415)과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417)은, 제1 위치이동부(451)와 제1 링크부(43)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경우, 기립되어 제1 레그부(41)가 펼쳐지도록 하며, 제1 위치이동부(451)와 제1 링크부(43)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도복되어 제1 레그부(41)가 접히도록 한다.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415)은, 일측은 제1 상부매개부(411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위치이동부(451)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상부보조레그부(415a) 및 일측은 제1 상부매개부(411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위치이동부(451)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상부보조레그부(415b)를 구비한다.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417)은, 일측은 제1 하부매개부(413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위치이동부(451)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하부보조레그부(417a) 및 일측은 제1 하부매개부(413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1 위치이동부(451)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하부보조레그부(417b)를 구비한다.
한편, 제2 상부레그유닛(421)은, 제1 상측길이형성부(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상부레그부(421a), 제2 상측길이형성부(2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상부레그부(421b) 및 제2-1 상부레그부(421a)와 제2-2 상부레그부(421b)를 연결하는 제2 상부매개부(421c)를 구비한다.
제2 하부레그유닛(423)은, 제1 하측길이형성부(3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하부레그부(423a), 제2 하측길이형성부(3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하부레그부(423b) 및 제2-1 하부레그부(423a)와 제2-2 하부레그부(423b)를 연결하는 제2 하부매개부(423c)를 구비한다.
제2 레그부(42)는, 일측은 제2 위치이동부(45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상부레그유닛(4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425) 및 일측은 제2 위치이동부(45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2 하부레그유닛(42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427)을 더 구비한다.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425)과 상기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427)은, 각각 제2 상부레그유닛(421)과 제2 하부레그유닛(423)을 지지하여, 제2 상부레그유닛(421)과 제2 하부레그유닛(423)의 형성각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2 위치이동부(452)와 제2 링크부(44)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경우, 기립되어 제2 레그부(42)가 펼쳐지도록 하며, 제2 위치이동부(452)와 제2 링크부(44)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도복되어 제2 레그부(42)가 접히도록 한다.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425)은, 일측은 제1 상부매개부(411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위치이동부(452)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상부보조레그부(425a) 및 일측은 제2 상부매개부(421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위치이동부(452)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상부보조레그부(425b)를 구비한다.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427)은, 일측은 제2 하부매개부(423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위치이동부(452)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하부보조레그부(427a) 및 일측은 제2 하부매개부(423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위치이동부(452)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하부보조레그부(427b)를 구비한다.
제1 상부레그유닛(411)과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421)은, 플랜지부(457)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1 상부레그부(411a) 및 제1-2 상부레그부(411b)는, 제2-1 상부레그부(421a) 및 제2-1 상부레그부(421a)와 거울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1 하부레그유닛(413)과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423)은, 플랜지부(457)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1 하부레그부(413a) 및 제1-2 하부레그부(413b)는, 제2-1 하부레그부(423a) 및 제2-2 하부레그부(423b)와 거울상으로 배치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리프트 장치의 작동 순서 및 기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전동 리프트 장치(1)의 작동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동 리프트 장치(1)를 사용하기 위하여 우선 사용자는 적재 및 잠금 시키고자 하는 바이크(B)를 상판(11)상에 위치시킨 채, 바이크체결부(13)를 통해 바이크(B)를 상판(11)상에 잠금/고정시킨다.
바이크체결부(13)에 의한 바이크(B)의 체결 과정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 때, 제1 레그부(41) 및 제2 레그부(42)는 각각 제1 링크부(43) 및 제2 링크부(44)에 의해 접힌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바이크(B)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전동 리프트 장치(1)가 바닥면으로부터 가깝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제1 레그부(41) 및 제2 레그부(42)가 각각 제1 링크부(43) 및 제2 링크부(44)에 의해 펼쳐진 상태라면,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모터부(453)가 가동되도록 하여, 제1 회전부(455)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다음,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모터부(453)가 가동되도록 하여, 제1 회전부(455)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제1 회전부(455)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1 회전부(455)의 제2 나사산은 제1 관통홀의 제1 나사산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제1 링크부(43)와 제1 위치이동부(451)의 이격 거리는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제1 상부레그유닛(411)과 제1 하부레그유닛(413)는 제1 링크부(43)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펼침이 구현되며 이에 따라 상부베이스부(20)는 하부베이스부(30)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여, 상판(11)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 상측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부(43)와 제1 위치이동부(451)의 이격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415) 및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417)은 각각 제1 상부매개부(411c) 및 제1 하부매개부(413c)를 통해 제1 상부레그유닛(411) 및 제1 하부레그유닛(413)의 펼침을 가이드한다.
이 때, 상부베이스부(20)는 제1 링크부(43)를 기준으로 제1 상부레그유닛(411)과 제1 하부레그유닛(413)이 형성하는 각 중 작은 각인 제1 각도(A1, 도 8 참조)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하부베이스부(30)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한다.
반대로, 상부베이스부(20)는 제1 각도(A1)의 크기가 작아지면, 하부베이스부(30)와의 이격 거리가 감소한다.
또한, 제1 회전부(455)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플랜지부(457)를 통해 연동된 제2 회전부(456)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2 회전부(456)의 제4 나사산은 제2 관통홀(H2)의 제3 나사산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제2 링크부(44)와 제2 위치이동부(452)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도록 한다.
이 때, 제2 상부레그유닛(421)과 제2 하부레그유닛(423)은 제2 링크부(44)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펼침이 구현되며 이에 따라 상부베이스부(20)는 하부베이스부(30)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여, 상판(11)은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방향 상측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제2 링크부(44)와 제2 위치이동부(452)의 이격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425) 및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427)은 각각 제2 상부매개부(421c) 및 제2 하부매개부(423c)를 통해 제2 상부레그유닛(421) 및 제2 하부레그유닛(423)의 펼침을 가이드한다.
제1 링크부(43)를 기준으로 한 제1 레그부(41)의 펼침과 제2 링크부(44)를 기준으로 한 제2 레그부(42)의 펼침은 동시에 구현되며, 제1 레그부(41)와 제2 레그부(42)는 상판(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판(11) 상에 거치된 바이크(B)가 일 영역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특정 부재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정리하면, 제1 레그부(41) 및 제2 레그부(42)는 제1 링크부(43) 및 제2 링크부(44)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위치 이동에 따라 접힘이 구현되고, 제1 링크부(43) 및 제2 링크부(44)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위치 이동에 따라 펼침이 구현되며, 이는 제1 상부레그유닛(411과와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415)의 위치 및 연결관계, 제1 하부레그유닛(413)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427)의 위치 및 연결관계, 제2 상부레그유닛(421)과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425)의 위치 및 연결관계, 제2 하부레그유닛(423)과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427)의 위치 및 연결관계에 따라 도출된다.
여기서, 제1 상부레그유닛(411), 제2 상부레그유닛(421), 제1 하부레그유닛(413), 제2 하부레그유닛(423),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415),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425),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417) 및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427)은 모터부(453)에 의해 동시에 위치 이동된다.
상기에서는 제1 레그부(41) 및 제2 레그부(42)의 제1 링크부(43) 및 제2 링크부(44)를 통한 펼침이 구현되는 기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제1 레그부(41) 및 제2 레그부(42)의 제1 링크부(43) 및 제2 링크부(44)를 통한 접힘은 상술한 펼침 구현 기작의 역순이므로, 상술한 펼침 구현 기작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전동 리프트 장치
A1: 제1 각도
10: 지지부
11: 상판
L: 바퀴수용공간
20: 상부베이스부
21: 제1 상측길이형성부
22: 제2 상측길이형성부
23: 제1 상측폭형성부
24: 제2 상측폭형성부
30: 하부베이스부
31: 제1 하측길이형성부
32: 제2 하측길이형성부
33: 제1 하측폭형성부
34: 제2 하측폭형성부
40: 리프트부
42: 제2 레그부
43: 제1 링크부
44: 제2 링크부
45: 전동부

Claims (13)

  1. 바이크를 지지한 채, 상기 바이크를 전동식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전동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크를 지지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에 장착되어 상기 바이크가 상기 상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크체결부를 구비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측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에 인가된 하중을 바닥면으로 전달하는 상부베이스부;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베이스부; 및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상기 상부베이스부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부는,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제1 링크부를 기준으로 접힘과 펼침이 구현되는 제1 레그부,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상기 하부베이스부를 연결하며, 제2 링크부를 기준으로 접힘과 펼침이 구현되는 제2 레그부 및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전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베이스부는,
    상기 전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가 접히는 경우, 상기 하부베이스부와 이격 거리가 감소하고, 상기 전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하부베이스부와 이격 거리가 증가하고,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제1 링크부 및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는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접힘이 구현되고, 상기 제1 링크부 및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펼침이 구현되고,
    상기 제1 레그부는,
    일측은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에 연결되는 제1 상부레그유닛 및 일측은 상기 하부베이스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링크부에 연결되는 제1 하부레그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전동부는,
    상기 제1 링크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이동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연결된 채,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및 상기 제1 링크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에 삽입된 채,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모터부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하며, 상기 모터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레그부는,
    일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 및 일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과 상기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은,
    각각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을 지지하여, 상기 제1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의 형성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되,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경우, 기립되어 상기 제1 레그부가 펼쳐지도록 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1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도복되어 상기 제1 레그부가 접히도록 하며,
    상기 제2 레그부는,
    일측은 상기 상부베이스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2 링크부에 연결되는 제2 상부레그유닛 및 일측은 상기 하부베이스부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2 링크부에 연결되는 제2 하부레그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전동부는,
    상기 제2 링크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이동부, 상기 제2 링크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에 삽입된 채,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를 연결하는 플랜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모터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하며, 상기 모터부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하는 전동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은, 내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제1 나사산이 상기 제2 나사산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하는 전동 리프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은, 내주면에 제3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외주면에 상기 제3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4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2 회전부가 상기 제1 회전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면, 상기 제3 나사산이 상기 제4 나사산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위치이동부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나사산의 형성 방향과 상기 제3 나사산의 형성 방향은,
    반대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는 이격 거리가 증가하도록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는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위치 이동되는 전동 리프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이스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상측길이형성부 상기 제1 상측길이형성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상측길이형성부, 상기 제1 상측길이형성부의 일측 및 상기 제2 상측길이형성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상측폭형성부 및 상기 제1 상측폭형성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상측길이형성부의 타측 및 상기 제2 상측길이형성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상측폭형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베이스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하측길이형성부 상기 제1 하측길이형성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하측길이형성부, 상기 제1 하측길이형성부의 일측 및 상기 제2 하측길이형성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하측폭형성부 및 상기 제1 하측폭형성부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측길이형성부의 타측 및 상기 제2 하측길이형성부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 하측폭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은,
    상기 제1 상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상부레그부, 상기 제2 상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상부레그부 및 상기 제1-1 상부레그부와 상기 제1-2 상부레그부를 연결하는 제1 상부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은,
    상기 제1 하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하부레그부, 상기 제2 하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하부레그부 및 상기 제1-1 하부레그부와 상기 제1-2 하부레그부를 연결하는 제1 하부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은,
    일측은 상기 제1 상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상부보조레그부 및 일측은 상기 제1 상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상부보조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은,
    일측은 상기 제1 하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1 하부보조레그부 및 일측은 상기 제1 하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2 하부보조레그부를 구비하는 전동 리프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은,
    상기 제1 상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상부레그부, 상기 제2 상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상부레그부 및 상기 제2-1 상부레그부와 상기 제2-2 상부레그부를 연결하는 제2 상부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은,
    상기 제1 하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하부레그부, 상기 제2 하측길이형성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하부레그부 및 상기 제2-1 하부레그부와 상기 제2-2 하부레그부를 연결하는 제2 하부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레그부는,
    일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 및 일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과 상기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은,
    각각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을 지지하여, 상기 제2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의 형성각도가 유지되도록 하되, 상기 제2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감소되는 경우, 기립되어 상기 제2 레그부가 펼쳐지도록 하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와 상기 제2 링크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도복되어 상기 제2 레그부가 접히도록 하고,
    상기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은,
    일측은 상기 제1 상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상부보조레그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상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상부보조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은,
    일측은 상기 제2 하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1 하부보조레그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하부매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위치이동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2 하부보조레그부를 구비하는 전동 리프트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과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은,
    상기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과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은,
    상기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전동 리프트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레그유닛, 상기 제2 상부레그유닛, 상기 제1 하부레그유닛, 상기 제2 하부레그유닛, 상기 제1 상부보조레그유닛, 제2 상부보조레그유닛, 상기 제1 하부보조레그유닛 및 상기 제2 하부보조레그유닛은, 상기 모터부에 의해 동시에 위치 이동되는 전동 리프트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크체결부는,
    상기 상판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홀을 구비하는 제1 체결판, 상기 제1 체결판과의 사이에 바퀴수용공간을 형성한 채, 상기 제1 체결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 삽입홀을 구비하는 제2 체결판, 상기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체결편 및 상기 체결편과 연결된 채, 인가된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편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편은,
    상기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에 동시에 삽입된 제1 위치에서 상기 회전편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2 삽입홀을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삽입홀로부터 이탈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바퀴수용공간은,
    상기 회전편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회전편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회전편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개방되는 전동 리프트 장치.
KR1020170105972A 2017-08-22 2017-08-22 전동 리프트 장치 KR10184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72A KR101846855B1 (ko) 2017-08-22 2017-08-22 전동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72A KR101846855B1 (ko) 2017-08-22 2017-08-22 전동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855B1 true KR101846855B1 (ko) 2018-04-10

Family

ID=6197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972A KR101846855B1 (ko) 2017-08-22 2017-08-22 전동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8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45B1 (ko) * 2018-10-29 2019-05-10 이수영 건설공사용 거푸집
CN110693078A (zh) * 2019-11-22 2020-01-17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机ve供丝机移动辅助装置
CN112842660A (zh) * 2021-02-03 2021-05-28 南京脑科医院 一种医用精神科护理用上臂约束装置
KR102384802B1 (ko) 2021-08-02 2022-04-08 주식회사 쌍용호이스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45B1 (ko) * 2018-10-29 2019-05-10 이수영 건설공사용 거푸집
CN110693078A (zh) * 2019-11-22 2020-01-17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机ve供丝机移动辅助装置
CN110693078B (zh) * 2019-11-22 2024-04-16 江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卷烟机ve供丝机移动辅助装置
CN112842660A (zh) * 2021-02-03 2021-05-28 南京脑科医院 一种医用精神科护理用上臂约束装置
KR102384802B1 (ko) 2021-08-02 2022-04-08 주식회사 쌍용호이스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855B1 (ko) 전동 리프트 장치
US11590897B2 (en) Step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US9702161B2 (en) Fast transportable drilling rig system
CN107734899B (zh) 一种led显示屏固定装置
EP3604174A1 (en) Vehicle transporting frame
US11827183B2 (en) Lifting multi-joint roof carrier for vehicle
EP3915840A1 (en) Foot-deck device and vehicle
WO2020019646A1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顶升立柱
KR101358679B1 (ko) 붐 결합 힌지 조립장치
WO2020019645A1 (zh) 一种工业车辆
KR101510372B1 (ko) 차량 엔진 조립용 2단작업리프트
JP2010058874A (ja) 高所作業車
JP6874591B2 (ja) 無人搬送車
KR101510371B1 (ko) 차량 엔진 조립용 리프트
JP2006256437A (ja) 軌道走行可能な作業車両のガイド輪昇降機構
KR102170241B1 (ko)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CN212957834U (zh) 一种舞台折叠台口
JP3631608B2 (ja) 電気式荷役車両
KR101358677B1 (ko) 고소작업차용 실린더 힌지핀 조립장치
CN107388102A (zh) 合页式出光设备
WO2019182404A1 (ko) 절첩식 캠핑 컨테이너
JP4314385B2 (ja)
KR20120109904A (ko) 리프터
CN111764706A (zh) 一种舞台折叠台口
JP2573577Y2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