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802B1 -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 Google Patents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802B1
KR102384802B1 KR1020210101363A KR20210101363A KR102384802B1 KR 102384802 B1 KR102384802 B1 KR 102384802B1 KR 1020210101363 A KR1020210101363 A KR 1020210101363A KR 20210101363 A KR20210101363 A KR 20210101363A KR 102384802 B1 KR102384802 B1 KR 10238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osed
top frame
article
upp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쌍용호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쌍용호이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쌍용호이스트
Priority to KR1020210101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8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는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 프레임, 바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프레임 및 바텀 프레임과 탑 프레임을 연결하고, 바텀 프레임과 탑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탑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저 프레임을 포함하는 승강 프레임 조립체; 탑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탑 프레임의 상면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적재 테이블; 탑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적재 테이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압축 스프링; 및 탑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탑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의 무게에 따라 신축되면서 탑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압 댐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Non-motorized turntable lift}
본 발명은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프트를 승강시킬 수 있는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하지 않고, 적재된 물품의 중량에 따라 자동으로 승강 가능한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부품과 같은 단일부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정라인에서는 일정수량씩 박스에 포장된 상태로 이송되는 제품들을 팔레트에 적재하고, 물품들이 적재된 팔레트를 지게차를 통해 운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팔레트를 작업공간의 바닥에 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허리를 숙여가며 팔레트 위에 물품을 단계적으로 적재해야함에 따라, 작업자가 다치거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근력이 약한 고령/여성근로자의 경우 이러한 열악한 근로조건이 원인이 되어 허리디스크, 골절 등과 같은 질환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리프트가 개발된 바 있다.
전동 리프트는 전기의 공급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력을 통해 바닥에 배치된 고정 프레임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X 형태로 형성된 시저 프레임을 가압하여 시저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는 동력전달부와, 시저 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되어 물품의 적재가 가능한 적재대와, 모터에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리프트는 전원을 반드시 필요로 함에 따라, 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작업자가 일일이 적재대에 적재된 물품의 높이를 확인하면서 적재대의 높이를 조절해야하기 때문에 물품의 하역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동 리프트는 설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활용도가 낮고, 적재대가 시저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매번 위치를 이동해 가면서 물품을 하역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468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기적인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승강됨에 따라 활용성능 및 작업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는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 프레임,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탑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저 프레임을 포함하는 승강 프레임 조립체; 상기 탑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탑 프레임의 상면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적재 테이블;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 테이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탑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의 무게에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탑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압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바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휠을 가지는 복수의 캐스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은, 상기 시저 프레임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시저 프레임의 다른 일부분이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시저 프레임은, 일부분은 상기 바텀 프레임의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탑 프레임의 장공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바와, 상기 제1 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부분은 상기 탑 프레임의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바텀 프레임의 장공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 테이블은, 원판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저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프레임의 상측 중앙에 배치된 테이블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저면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향 배치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테이블 결합부와 상기 회전 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 지지 베어링; 및 상기 회전 축부의 하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1 볼 홈에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회전 축부의 하면과 마주하는 상기 탑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2 볼 홈에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 축부의 회전 시 구름운동을 수행하면서 상기 회전 축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물품이 안착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에 안착되어 상기 상판의 상면 상에서 이동 중인 상기 물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물품 가이드 유닛; 상기 본체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물품 가이드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에 안착되어 상기 상판의 상면 상에서 이동 중인 상기 물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물품 가이드 유닛; 상기 제1 물품 가이드 유닛과 상기 제2 물품 가이드 유닛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탄성체 재질의 진동 감쇠 부재;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진동 감쇠 부재들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품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물품 가이드 유닛은,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배치되는 볼 케이지; 및 상기 볼 케이지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상기 상판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 중인 상기 물품에 접촉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물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물품 가이드 볼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 실린더는, 상기 하판에 배치되는 완충 본체; 상기 완충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완충 로드; 및 상기 완충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완충 로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의 하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2-1 볼 홈에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측벽부의 하면과 마주하는 상기 탑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2-2 볼 홈에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측벽부의 회전 시 구름운동을 수행하면서 상기 측벽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가이드 볼; 상기 측벽부의 하면에 수용되고, 상기 제2-1 볼 홈을 중심으로 상기 제2-1 볼 홈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 자성체; 상기 탑 프레임의 상면에 수용되고, 상기 제2-2 볼 홈을 중심으로 상기 제2-2 볼 홈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 자성체와 동일 극성을 띄는 복수의 고정 자성체;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탑 프레임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 시 상기 탑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회전 지지체;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의 무게에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탑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보조 댐퍼; 및 상기 제1 보조 댐퍼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보조 댐퍼와 연결되고, 상기 적재 테이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2 보조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회전 지지체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1 패드; 상기 제1 패드로부터 이격되어 저면에 반구형상의 볼 지지홈이 마련되는 제2 패드;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볼 지지홈에 수용되고, 상기 탑 프레임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보조 가이드 볼을 포함하며, 상기 탑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할 경우, 상기 제1 보조 댐퍼는 상기 탑 프레임에 가압되어 수축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보조 댐퍼로 유입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2 보조 댐퍼는 내부로 유입된 상기 유체에 가압되어 압축되며, 상기 탑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할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보조 댐퍼는 탄성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보조 댐퍼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1 보조 댐퍼는 내부로 유입된 상기 유체에 가압되어 신장되면서 상기 탑 프레임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인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물품의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활용성능 및 작업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전후방 이동 및 회전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위치를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결합부와 회전 축부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 테이블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물품 가이드 유닛, 제2 물품 가이드 유닛 및 진동 감쇠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와 탑 프레임 사이에 제2 가이드 볼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회전 지지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보조 댐퍼 및 제2 보조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100)는 베이스 프레임(101), 승강 프레임 조립체(102), 적재 테이블(103), 압축 스프링(104) 및 유압 댐퍼(105)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1)은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1)은 바텀 프레임(BF)을 지지하는 프레임부(FM)와, 프레임부(FM)의 저면에 결합되고,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휠(W)을 가지는 복수의 캐스터 유닛(CU)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프레임 조립체(102)는 베이스 프레임(101)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 프레임(BF), 바텀 프레임(BF)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프레임(TF) 및 바텀 프레임(BF)과 탑 프레임(TF)을 연결하고, 바텀 프레임(BF)과 탑 프레임(TF)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탑 프레임(TF)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저 프레임(SF)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BF)과, 탑 프레임(TF)은, 각각 시저 프레임(SF)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H)와, 시저 프레임(SF)의 다른 일부분이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LH)을 포함할 수 있다.
시저 프레임(SF)은 상호 회전 가능하게 링크 결합되어 X 형상을 이루는 제1 바(B1)와 제2 바(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B1)의 일부분은 바텀 프레임(BF)의 힌지(H)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바(B1)의 다른 일부분은 탑 프레임(TF)의 장공(LH)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B2)의 일부분은 탑 프레임(TF)의 힌지(H)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바(B2)의 다른 일부분은 바텀 프레임(BF)의 장공(LH)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결합부와 회전 축부의 결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적재 테이블(103)은 탑 프레임(TF)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탑 프레임(TF)의 상면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적재 테이블(103)은, 원판 형태의 본체부(BM)와, 본체부(BM)의 저면 중앙에 배치되고, 탑 프레임(TF)의 상측 중앙에 배치된 테이블 결합부(TF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부(RS)와, 본체부(BM)의 저면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탑 프레임(TF)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향 배치되는 측벽부(SW)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압축 스프링(104)은 탑 프레임(TF)과 베이스 프레임(101)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적재 테이블(10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적재 테이블(103)에 물품이 적재되어 하중이 가해지면 압축 스프링(104)은 물품의 무게, 즉,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에 대응하여 압축되고, 적재 테이블(103)로부터 물품이 제거되어 하중이 해제되면 압축 스프링(104)은 물품의 무게, 즉,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재 테이블(103)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적재 테이블(103)이 물품의 무게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승강될 수 있다.
유압 댐퍼(105)는 탑 프레임(TF)과 베이스 프레임(101)을 연결하고, 탑 프레임(TF)에 가해지는 하중의 무게에 따라 신축되면서 탑 프레임(TF)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유압 댐퍼(105)는 통상의 유압 실린더의 구조로 적용될 수 있고, 하중에 따라 신축 가능한 정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 프레임 조립체(102)는 테이블 지지 베어링(TSB)과, 제1 가이드 볼(GB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 지지 베어링(TSB)은 테이블 결합부(TF1)와 회전 축부(RS)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 축부(RS)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 지지 베어링(TSB)은 통상이 볼 베어링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볼(GB1)은 회전 축부(RS)의 하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1 볼 홈(RS1)에 일부분이 수용되고, 회전 축부(RS)의 하면과 마주하는 탑 프레임(TF)의 상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2 볼 홈(TF2)에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어, 회전 축부(RS)의 회전 시 구름운동을 수행하면서 회전 축부(RS)의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회전 축부(RS)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 테이블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물품 가이드 유닛, 제2 물품 가이드 유닛 및 진동 감쇠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적재 테이블(103)은 상부에 놓인 물품을 상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하고, 외부의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적재 테이블(103)의 본체부(BM)는, 물품이 안착되는 상판(BM1)과, 상판(BM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하판(BM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재 테이블(103)의 본체부(BM)는, 상판(BM1)과 하판(BM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물품 가이드 유닛(BM3), 제2 물품 가이드 유닛(BM4), 진동 감쇠 부재(BM5) 및 완충 실린더(BM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물품 가이드 유닛(BM3)은 상판(BM1)과 하판(BM2)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판(BM1)에 안착되어 상판(BM1)의 상면 상에서 이동 중인 물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물품 가이드 유닛(BM4)은 본체부(BM)의 반경 방향을 따라 제1 물품 가이드 유닛(BM3)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물품 가이드 유닛(BM4)은 상판(BM1)과 하판(BM2)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판(BM1)에 안착되어 상판(BM1)의 상면 상에서 이동 중인 물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물품 가이드 유닛(BM3) 및 제2 물품 가이드 유닛(BM4)은, 상판(BM1)과 하판(BM2) 사이에 배치되는 볼 케이지(BC)와, 볼 케이지(BC)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상판(BM1)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 중인 물품에 접촉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물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물품 가이드 볼(PGB)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쇠 부재(BM5)는 제1 물품 가이드 유닛(BM3)과 제2 물품 가이드 유닛(BM4)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감쇠 부재(BM5)는 상판(BM1) 및 하판(BM2)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 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완충 실린더(BM6)는 제1 물품 가이드 유닛(BM3)과 제2 물품 가이드 유닛(BM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 실린더(BM6)는 원주방향을 따라 진동 감쇠 부재들(BM5) 사이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완충 실린더(BM6)는 상판(BM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완충 실린더(BM6)는, 하판(BM2)에 배치되는 완충 본체(SAB), 완충 본체(SAB)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판(BM1)을 지지하는 완충 로드(SAL) 및 완충 본체(SAB)에 수용되어 완충 로드(SAL)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SA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벽부와 탑 프레임 사이에 제2 가이드 볼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100)는 제2 가이드 볼(106), 복수의 이동 자성체(107) 및 복수의 고정 자성체(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볼(106)은 측벽부(SW)의 하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2-1 볼 홈(SW1)에 일부분이 수용되고, 측벽부(SW)의 하면과 마주하는 탑 프레임(TF)의 상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2-2 볼 홈(TF3)에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며, 측벽부(SW)의 회전 시 구름운동을 수행하면서 측벽부(SW)의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측벽부(SW)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자성체(107)는 측벽부(SW)의 하면에 수용되고, 제2-1 볼 홈(SW1)을 중심으로 제2-1 볼 홈(SW1)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자성체(108)는 탑 프레임(TF)의 상면에 수용되고, 제2-2 볼 홈(TF3)을 중심으로 제2-2 볼 홈(TF3)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 자성체(107)와 복수의 고정 자성체(108)는 동일한 극성을 띄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고정 자성체(108)와 복수의 이동 자성체(107)는 동일한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동일 극성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적인 상호작용으로 인해 측벽부(SW)와 탑 프레임(TF) 사이가 항상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게 되고, 이에 적재 테이블(103)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회전 지지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100)는 탄성 회전 지지체(1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회전 지지체(109)는 본체부(BM)의 저면에 결합되어 탑 프레임(TF)의 상면에 지지되고, 본체부(BM)의 회전 시 탑 프레임(TF)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본체부(BM)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회전 지지체(109)는, 본체부(BM)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1 패드(P1), 제1 패드(P1)로부터 이격되어 저면에 반구형상의 볼 지지홈(P21)이 마련되는 제2 패드(P2), 제1 패드(P1)와 제2 패드(P2)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지지체(ES) 및 볼 지지홈(P21)에 수용되고, 탑 프레임(TF)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보조 가이드 볼(SG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보조 댐퍼 및 제2 보조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100)는 제1 보조 댐퍼(110) 및 복수의 제2 보조 댐퍼(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댐퍼(110)는 탑 프레임(TF)과 베이스 프레임(101) 사이에 배치되고, 탑 프레임(TF)에 가해지는 하중의 무게에 따라 신축되면서 탑 프레임(TF)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보조 댐퍼(111)는 제1 보조 댐퍼(110)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어 제1 보조 댐퍼(110)와 연결되고, 적재 테이블(103)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탑 프레임(TF)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할 경우, 제1 보조 댐퍼(110)는 탑 프레임(TF)에 가압되어 수축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압하여 복수의 제2 보조 댐퍼(111)로 유입시키고, 이에 복수의 제2 보조 댐퍼(111)는 내부로 유입된 유체에 가압되어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탑 프레임(TF)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할 경우, 복수의 제2 보조 댐퍼(111)는 탄성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가압하여 제1 보조 댐퍼(110)로 유입시키고, 이에 제1 보조 댐퍼(110)는 내부로 유입된 유체에 가압되어 신장되면서 탑 프레임(TF)을 가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100)는 기울기 감지부(112)와, 제동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부(112)는 베이스 프레임(101)에 설치되어 베이스 프레임(101)의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울기 감지부(112)는, 베이스 프레임(101)에 설치되는 수용 박스(BX)와, 수용 박스(BX)의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수용 박스(BX)가 기울어질 경우 수용 박스(BX)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동부(113)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센싱유닛(SU)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유닛(SU)은, 수용 박스(BX)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브라켓(SU1)과, 브라켓(SU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 박스(BX)가 기울어질 경우 수용 박스(BX)의 측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수용 박스(BX)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되는 감지 핀(SU2)과, 감지 핀(SU2)의 단부에 배치되고, 감지 핀(SU2)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동부(113)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위치센서(SU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동부(113)는 기울기 감지부(112)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휠(W)에 마련된 디스크(D)를 가압하여 휠(W)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동부(113)는 제1 제동모듈(113A)과 제2 제동모듈(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동모듈(113A)은 디스크(D)를 중심으로 디스크(D)의 일 측에 배치되고, 위치센서(SU3)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크(D)의 일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제동모듈(113B)은 디스크(D)를 중심으로 디스크(D)의 타 측에 배치되고, 위치센서(SU3)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크(D)의 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동모듈(113A)과, 제2 제동모듈(113B)은, 각각 하우징부(HM), 이동 자성체(M), 제동패드(BP), 제1 전기자석(EM1) 및 제2 전기자석(EM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HM)는 디스크(D)의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디스크(D)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HM)의 내부에는 디스크(D)가 수용된 공간과 연통되고, 제1 전기자석(EM1) 및 제2 전기자석(EM2)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자계가 형성되는 자성체 안내 홈(HM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자성체(M)는 자성체 안내 홈(HM1)에 수용되고, 디스크(D)를 향하는 일 측은 S극성을 가지고, 자성체 안내 홈(HM1)의 단부를 향하는 타 측은 N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자성체(M)는 영구자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동패드(BP)는 이동 자성체(M)의 단부에 배치되고, 이동 자성체(M)가 디스크(D) 측으로 이동될 경우 디스크(D)에 접촉되면서 디스크(D)의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패드(BP)는 통상의 브레이크 패드와 동일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전기자석(EM1)은 자성체 안내 홈(HM1)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성체 안내 홈(HM1)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기자석(EM1)은 위치센서(SU3)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N극성을 띄고, 감지신호의 입력이 멈추면 S극성을 띄면서, N극성을 띄는 이동 자성체(M)의 타 측과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전기자석(EM2)은 자성체 안내 홈(HM1)을 중심으로 자성체 안내 홈(HM1)의 일 측과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기자석(EM2)은 위치센서(SU3)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N극성을 띄고, 감지신호의 입력이 멈추면 S극성을 띄면서, N극성을 띄는 이동 자성체(M)의 타 측과 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기자석(EM1) 및 제2 전기자석(EM2)에 위치센서(SU3)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N극성을 띄는 이동 자성체(M)의 타 측과 동일 극성(N극성)을 띄는 제1 전기자석(EM1)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이동 자성체(M)가 디스크(D) 측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디스크(D) 측으로 이동 중인 N극성을 띄는 이동 자성체(M)의 타 측과 동일 극성(N극성)을 띄는 제2 전기자석(EM2)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이동 자성체(M)가 디스크(D)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제동패드(BP)가 디스크(D)에 완전히 밀착되면서 디스크(D)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반대로, 위치센서(SU3)의 감지신호가 해제되면, 제1 전기자석(EM1) 및 제2 전기자석(EM2)의 극성이 S극성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S극성을 띄는 이동 자성체(M)의 일 측과 동일 극성(S극성)을 띄는 제2 전기자석(EM2)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이동 자성체(M)가 제1 전기자석(EM1)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1 전기자석(EM1) 측으로 이동된 N극성을 띄는 이동 자성체(M)의 타 측은 S극성을 띄는 제1 전기자석(EM1)과의 자기적인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자성체 안내 홈(HM1)의 단부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이에, 제동패드(BP)가 디스크(D)로부터 이격되어 디스크(D)가 다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인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물품의 무게에 따라 자동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활용성능 및 작업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이 적재된 상태에서 전후방 이동 및 회전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위치를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101. 베이스 프레임
FM. 프레임부
CU. 캐스터 유닛
W. 휠
D. 디스크
102. 승강 프레임 조립체
BF. 바텀 프레임
TF. 탑 프레임
TF1. 테이블 결합부
TF2. 제1-2 볼 홈
TF3. 제2-2 볼 홈
H. 힌지
LH. 장공
SF. 시저 프레임
B1. 제1 바
B2. 제2 바
103. 적재 테이블
BM. 본체부
BM1. 상판
BM2. 하판
BM3. 제1 물품 가이드 유닛
BM4. 제2 물품 가이드 유닛
BC. 볼 케이지
PGB. 물품 가이드 볼
BM5. 진동 감쇠 부재
BM6. 완충 실린더
SAB. 완충 본체
SAL. 완충 로드
SAS. 완충 스프링
RS. 회전 축부
RS1. 제1-1 볼 홈
SW. 측벽부
SW1. 제2-1 볼 홈
TSB. 테이블 지지 베어링
GB1. 제1 가이드 볼
104. 압축 스프링
105. 유압 댐퍼
106. 제2 가이드 볼
107. 복수의 이동 자성체
108. 복수의 고정 자성체
109. 탄성 회전 지지체
P1. 제1 패드
P2. 제2 패드
P21. 볼 지지홈
ES. 탄성 지지체
SGB. 보조 가이드 볼
110. 제1 보조 댐퍼
111. 복수의 제2 보조 댐퍼
112. 기울기 감지부
BX. 수용 박스
SU. 센싱유닛
SU1. 브라켓
SU2. 감지 핀
SU3. 위치센서
113. 제동부
113A. 제1 제동모듈
113B. 제2 제동모듈
HM. 하우징부
HM1. 자성체 안내 홈
M. 이동 자성체
BP. 제동패드
EM1. 제1 전기자석
EM2. 제2 전기자석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 프레임, 상기 바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 프레임 및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탑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저 프레임을 포함하는 승강 프레임 조립체;
    상기 탑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탑 프레임의 상면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적재 테이블;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적재 테이블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탑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탑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의 무게에 따라 신축되면서 상기 탑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유압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바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휠을 가지는 복수의 캐스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은, 상기 시저 프레임의 일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시저 프레임의 다른 일부분이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시저 프레임은, 일부분은 상기 바텀 프레임의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탑 프레임의 장공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바와, 상기 제1 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부분은 상기 탑 프레임의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바텀 프레임의 장공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 테이블은,
    원판 형태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저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프레임의 상측 중앙에 배치된 테이블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저면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향 배치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 조립체는,
    상기 테이블 결합부와 상기 회전 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 지지 베어링; 및
    상기 회전 축부의 하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1 볼 홈에 일부분이 수용되고, 상기 회전 축부의 하면과 마주하는 상기 탑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의 제1-2 볼 홈에 다른 일부분이 수용되며, 상기 회전 축부의 회전 시 구름운동을 수행하면서 상기 회전 축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가이드 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물품이 안착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에 안착되어 상기 상판의 상면 상에서 이동 중인 상기 물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물품 가이드 유닛;
    상기 본체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물품 가이드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에 안착되어 상기 상판의 상면 상에서 이동 중인 상기 물품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물품 가이드 유닛;
    상기 제1 물품 가이드 유닛과 상기 제2 물품 가이드 유닛 사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탄성체 재질의 진동 감쇠 부재;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진동 감쇠 부재들 사이에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품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물품 가이드 유닛은,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배치되는 볼 케이지; 및
    상기 볼 케이지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상기 상판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동 중인 상기 물품에 접촉되면서 구름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물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물품 가이드 볼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 실린더는,
    상기 하판에 배치되는 완충 본체;
    상기 완충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완충 로드; 및
    상기 완충 본체에 수용되어 상기 완충 로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는,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KR1020210101363A 2021-08-02 2021-08-02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Active KR102384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363A KR102384802B1 (ko) 2021-08-02 2021-08-02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363A KR102384802B1 (ko) 2021-08-02 2021-08-02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802B1 true KR102384802B1 (ko) 2022-04-08

Family

ID=81182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363A Active KR102384802B1 (ko) 2021-08-02 2021-08-02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8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7511A (zh) * 2022-07-26 2022-11-22 伊萨智能电梯有限公司 一种金属薄板辅助装卸装置
KR102751837B1 (ko) * 2023-07-14 2025-01-09 우주산업플랜트 주식회사 무게센싱에 의한 자동높낮이 조절 리프트 시스템
WO2025089483A1 (ko) * 2023-10-26 2025-05-01 쿠팡 주식회사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437U (ja) * 1992-02-28 1993-09-28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ターンテーブル用浮動ベアリング装置
KR19990027162A (ko) * 1997-09-29 1999-04-15 구본준 테이블 리프트 카
KR100653933B1 (ko) * 2006-03-20 2006-12-05 최형일 턴 테이블리프트
KR101002615B1 (ko) * 2010-03-23 2010-12-20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 볼트랜스퍼를 이용한 운반장치
KR20140067467A (ko) * 2012-11-26 2014-06-05 고병기 이송대차
KR101846855B1 (ko) 2017-08-22 2018-04-10 주식회사 해광강업 전동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1437U (ja) * 1992-02-28 1993-09-28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ターンテーブル用浮動ベアリング装置
KR19990027162A (ko) * 1997-09-29 1999-04-15 구본준 테이블 리프트 카
KR100653933B1 (ko) * 2006-03-20 2006-12-05 최형일 턴 테이블리프트
KR101002615B1 (ko) * 2010-03-23 2010-12-20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 볼트랜스퍼를 이용한 운반장치
KR20140067467A (ko) * 2012-11-26 2014-06-05 고병기 이송대차
KR101846855B1 (ko) 2017-08-22 2018-04-10 주식회사 해광강업 전동 리프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7511A (zh) * 2022-07-26 2022-11-22 伊萨智能电梯有限公司 一种金属薄板辅助装卸装置
KR102751837B1 (ko) * 2023-07-14 2025-01-09 우주산업플랜트 주식회사 무게센싱에 의한 자동높낮이 조절 리프트 시스템
WO2025089483A1 (ko) * 2023-10-26 2025-05-01 쿠팡 주식회사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802B1 (ko) 무동력 턴테이블 리프트
US11945706B2 (en) Handling robot
US11414311B2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s
CN101643182A (zh) 一种平衡重装卸装置及移动式起重机
US20220388823A1 (en) Handling robot
KR102140525B1 (ko) 대차리프트
CN210113246U (zh) 一种抗震防护型机床吊运装置
KR20130025316A (ko) 프로브 카드 컨테이너
US20170349418A1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s
US10329131B2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s
CN206317901U (zh) 一种移动机器人驱动轮支撑机构
CN203428212U (zh) 可移动式玻璃存放减震支架
CN211393743U (zh) 搬运车
CN208585347U (zh) 轨道式自动导引车的平衡减震机构
CN215206720U (zh) 一种货箱拣选仓储机器人
CN108116501B (zh) 仓储机器人用底盘结构
CN216996066U (zh) 锁定机构、搬运机器人及仓储系统
CN207402805U (zh) 仓储装卸机械臂
CN208021998U (zh) 一种用于pcb板生产的w型运输装置
CN110775555B (zh) 分段式轴类产品装配车间
CN118369262A (zh) 用于移动机器人的成套部件
JP4347273B2 (ja) 免振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免振架台ならびに免振台車
CN216684662U (zh) 一种重物搬运机器人
CN217600221U (zh) 一种减震起重机底座
CN119683203B (zh) 一种货架壁挂式高速仓储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2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