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241B1 -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241B1
KR102170241B1 KR1020200051169A KR20200051169A KR102170241B1 KR 102170241 B1 KR102170241 B1 KR 102170241B1 KR 1020200051169 A KR1020200051169 A KR 1020200051169A KR 20200051169 A KR20200051169 A KR 20200051169A KR 102170241 B1 KR102170241 B1 KR 102170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horizontal
hook
hook portion
transmiss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트럭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트럭모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트럭모터스
Priority to KR102020005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66C1/30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and also arranged to grip the sides of the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바형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걸이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걸이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제 1걸이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1조절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제 2걸이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조절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A Transmission Housing Car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등의 동력전달에 사용되는 변속기의 하우징을 분리하기 위한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상태(엔진 회전수, 차량속도, 차량부하, 도로 조건 등)에 따라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을 직접 변속하는 수동 변속기는 통상, 차량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 변속레버에 의해 해당 변속단의 시프트레일이 선택되고, 각 단별 시프트레일과 함께 전,후로 동작하면서 시프트레일에 고정된 시프트 포크가 싱크로나이저 슬리브 홈에 들어가서 슬리브를 작동시키면, 상기 슬리브가 각 기어의 클러치 기어와 싱크로 허브를 연결해, 원하는 변속단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변속기의 내부가 문제가 있어 분해하거나 조립하는 경우 변속기의 하우징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0748673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기의 하우징을 쉽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는, 바형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걸이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걸이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제 1걸이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1조절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제 2걸이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조절부와,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걸이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홈에 삽입되는 제 1수평걸이부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걸이부의 일단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수직걸이부와, 상기 제 1수직걸이부의 하단에 상기 제 1수평걸이부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제 1수평걸이부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절곡되는 제 1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수평걸이부의 일단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의 제 1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걸이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조절부는, 상기 제 1수평걸이부의 타단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제 1수평걸이부의 하단에 타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조절나사부와, 상기 제 1조절나사부의 상단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판상으로 마련되는 제 1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조절나사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조절나사부와 제 2가이드가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회전가능한 수직프레임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한 보조가이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의 상단 가장자리를 높이와 폭에 상관없이 다양한 하우징에 대응하여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0)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걸이부(20)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걸이부(30)와, 상기 수평프레임(10)에 상기 제 1걸이부(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1조절부(40)와, 상기 수평프레임(10)에 상기 제 2걸이부(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조절부(50)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수직지지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에는 수평프레임(10)이 마련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0)은 금속재질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면에 가까운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평프레임(10)의 하방에는 보조판(1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판(12)은 판상으로 평성되어 상기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의 접촉면적을 넓혀 픽업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양단에는 제 1홈(14)과 제 2홈(16)이 마련된다. 상기 제 1홈(14)과 상기 제 2홈(16)에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제 1걸이부(20)와 제 2걸이부(3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1홈(14)에는 제 1걸이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걸이부(20)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의 하면과 측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걸이부(2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걸이부(2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홈(14)에 삽입되는 제 1수평걸이부(22)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의 일단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수직걸이부(24)와, 상기 제 1수직걸이부(24)의 하단에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제 1수직걸이부(24)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절곡되는 제 1지지단(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의 일단에는 제 1걸이홈(27)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일단의 제 1축(17)을 중심으로 상기 제 1걸이부(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1걸이부(20)가 상기 수평프레임(10)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걸이부(20)에는 제 1수평걸이부(2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1홈(14)에 삽입된다.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의 일단에는 제 1수직걸이부(2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수직걸이부(24)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의 일단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와 상기 제 1수직걸이부(24)가 절곡되는 부분에는 제 1걸이홈(27)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걸이홈(27)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1축(17)을 중심으로 상기 제 1걸이부(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걸이홈(27)은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의 선단 즉 상기 제 1수직걸이부(2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1조절부(40)와 함께 동작하면서 상기 제 1걸이부(20)가 다양한 각도와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수직걸이부(24)의 하단에는 제 1지지단(26)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지지단(26)은 상기 제 1수직걸이부(24)의 하단에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수직걸이부(24)와 상기 제 1지지단(26)은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의 측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본 발명인 이송장치에 변속기의 커버가 고정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2홈(16)에는 제 2걸이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걸이부(30)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의 하면과 측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걸이부(3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걸이부(3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2홈(16)에 삽입되는 제 2수평걸이부(32)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의 일단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수직걸이부(34)와, 상기 제 2수직걸이부(34)의 하단에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제 2수직걸이부(32)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절곡되는 제 2지지단(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수평걸이부(30)의 일단에는 제 2걸이홈(37)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일단의 제 2축(18)을 중심으로 상기 제 2걸이부(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2걸이부(30)가 상기 수평프레임(10)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2걸이부(30)에는 제 2수평걸이부(3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2홈(16)에 삽입된다.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의 일단에는 제 2수직걸이부(3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수직걸이부(34)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의 일단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와 상기 제 2수직걸이부(34)가 절곡되는 부분에는 제 2걸이홈(37)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걸이홈(37)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2축(18)을 중심으로 상기 제 2걸이부(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걸이홈(37)은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의 선단 즉 상기 제 2수직걸이부(3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조절부(50)와 함께 동작하면서 상기 제 2걸이부(30)가 다양한 각도와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수직걸이부(34)의 하단에는 제 2지지단(36)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지지단(36)은 상기 제 2수직걸이부(34)의 하단에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수직걸이부(34)와 상기 제 2지지단(36)은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의 측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어 본 발명인 이송장치에 변속기의 커버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걸이부(20)에는 제 1조절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조절부(40)는 상기 제 1걸이부(20)에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 1조절부(4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한 구성이면 어떤 구성이라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의 타단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의 하단에 타단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조절나사부(42)와, 상기 제 1조절나사부(42)의 상단과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사이에 판상으로 마련되는 제 1가이드(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조절부(40)에는 제 1조절나사부(4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조절나사부(42)는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의 하단에 너트와 결합되고, 타단에는 헤드(42a)가 마련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상단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조절나사부(42)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조절나사부(42)의 헤드(42a)가 상기 수평프레임(10)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 1걸이부(20)가 상기 수평프레임(10)에 고정된다.
상기 제 1조절나사부(42)의 헤드(42a)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헤드(42a)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1홈(14)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수평프레임(10)에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1수평걸이부(22)의 관통공(미도시)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조절나사부(42)의 축이 일정한 범위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조절나사부(42)의 헤드(42a)와 상기 수평프레임(10) 사이에는 제 1가이드(4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가이드(44)는 상기 제 1조절나사부(42)의 헤드(42a)와 상기 수평프레임(10)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44)는 상기 제 1조절나사부(42)의 축이 관통되며, 서로 다른 폭의 제 1-1판(44a)과 제 1-2판(44b)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1판(44a)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길이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상기 제 1-1판(44b)의 폭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1홈(16)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2판(44b)은 상기 제 1-1판(44a)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판(44b)의 길이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1홈(14)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판(44b)은 상기 제 1가이드(44)가 상기 수평프레임(10) 상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제 1홈(14)에 맞물려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2걸이부(30)에는 제 2조절부(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조절부(50)는 상기 제 2걸이부(30)에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 2조절부(5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한 구성이면 어떤 구성이라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의 타단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의 하단에 타단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조절나사부(52)와, 상기 제 2조절나사부(52)의 상단과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사이에 판상으로 마련되는 제 2가이드(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조절부(50)에는 제 2조절나사부(5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조절나사부(52)는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를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의 하단에 너트와 결합되고, 타단에는 헤드(52a)가 마련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상단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 2조절나사부(52)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2조절나사부(52)의 헤드(52a)가 상기 수평프레임(10)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 2걸이부(30)가 상기 수평프레임(10)에 고정된다.
상기 제 2조절나사부(52)의 헤드(52a)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헤드(52a)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2홈(16)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수평프레임(10)에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2수평걸이부(32)의 관통공은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조절나사부(52)의 축이 일정한 범위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조절나사부(52)의 헤드(52a)와 상기 수평프레임(10) 사이에는 제 2가이드(5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가이드(54)는 상기 제 2조절나사부(52)의 헤드(52a)와 상기 수평프레임(10)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이드(54)는 상기 제 2조절나사부(52)의 축이 관통되며, 서로 다른 폭의 제 2-1판(54a)과 제 2-2판(54b)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1판(54a)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길이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상기 제 2-1판(54a)의 폭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2홈(16)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2판(54b)은 상기 제 2-1판(54a)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되어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2판(54b)의 길이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제 2홈(16)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2판(54b)은 상기 제 2가이드(54)가 상기 수평프레임(10) 상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제 2홈(16)에 맞물려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10)에는 수직지지부(60)가 마련된다. 상기 수직지지부(60)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의 상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0)에는 수직프레임(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수직프레임(70)은 상기 수평프레임(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70)은 상기 수직지지부(60)와 같은 위치에 위치되며, 상단에는 고리 등이 마련되어, 다른 장치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0)에는 보조가이드(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80)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양단에 즉 상기 제 1조절부(40)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중앙 사이에 마련되는 제 1보조가이드(82)와, 상기 제 2조절부(50)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중앙 사이에 마련되는 제 2보조가이드(84)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가이드(82)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1보조판(82a)과, 상기 제 1보조판(82a)의 제 1보조공(82b) 및 수평프레임(10)의 제 1홈(14)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보조핀(8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공(82b)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보조핀(82c)은 상기 제 1보조공(82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핀(82c)은 변속기 하우징 커버의 홈 또는 관통공에 결합되어,본 발명인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에 변속기 하우징 커버가 안전하게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보조가이드(84)는 상기 수평프레임(1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2보조판(84a)과, 상기 제 2보조판(84a)의 제 2보조공(84b) 및 수평가이드(10)의 제 2홈(16)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보조핀(84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조공(84b)은 상기 수평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보조핀(84c)은 상기 제 2보조공(84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보조핀(84c)은 변속기 하우징 커버의 홈 또는 관통공에 결합되어, 본 발명인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에 변속기 하우징 커버가 안전하게 위치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변속기하우징을 수직으로 지그 등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인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를 변속기 하우징의 커버의 상면에 위치시킨다.
이때, 보조가이드(82, 84)를 커버의 상면의 홈 등에 대응시키고, 보조판(12)이 상기 커버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 1걸이부(20)와 상기 제 2걸이부(30)는 상기 커버의 상면의 가장자리의 곡면에 따라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벌어지게 된다.
수직지지부(60)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의 상면에 밀착시켜 본 발명인 이송장치를 가고정시킨 후, 제 1가이드(44), 제 2가이드(54), 제 1조절나사부(42) 및 제 2조절나사부(52)를 회전시켜 제 1걸이부(20) 및 제 2걸이부(30)가 상기 커버의 측면 및 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제 1조절부(40)의 경우, 제 1가이드(44)를 회전시켜, 상기 수평프레임(10)에 대한 제 1조절부(40)의 제 1조절나사부(42)의 헤드(42a)와 간격을 조절하고, 아울러, 상기 제 1조절부(40)는 상기 제 1걸이부(20)의 제 1수평걸이부(22)의 관통공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걸이부(20)를 다양한 위치와 각도록 커버의 측면과 하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 2조절부(50)도 상기 제 1조절부(40)의 동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하여 커버를 수평프레임(10)에 안전하게 밀착시킨다.
그리고, 수직지지부(60)를 다시 회전시켜 상기 커버의 상면에 완전하게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수직프레임(70)을 회전시킨 후 고리에 다른 기중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걸어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커버가 하우징에서 분리되며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수평프레임 12: 보조판
14: 제 1홈 16: 제 2홈
17: 제 1축 18: 제 2축
20: 제 1걸이부 22: 제 1수평걸이부
24: 제 1수직걸이부 26: 제 1걸이판
27: 제 1걸이홈 30: 제 2걸이부
32: 제 2수평걸이부 34: 제 2수직걸이부
36: 제 2걸이판 37: 제 2걸이홈
40: 제 1조절부 42: 제 1조절나사부
42a: 헤드 44: 제 1가이드
44a: 제 1-1판 44b: 제 1-2판
50: 제 2조절부 52: 제 2조절나사부
52a: 헤드 54: 제 2가이드
54a: 제 2-1판 54b: 제 2-2판
60: 수직지지부 70: 수직프레임

Claims (5)

  1. 바형으로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걸이부;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걸이부;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제 1걸이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1조절부;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제 2걸이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 2조절부;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앙을 관통하여 승하강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수직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걸이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홈에 삽입되는 제 1수평걸이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걸이부의 일단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1수직걸이부; 및
    상기 제 1수직걸이부의 하단에 상기 제 1수평걸이부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제 1수평걸이부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절곡되는 제 1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수평걸이부의 일단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의 제 1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걸이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1조절부는,
    상기 제 1수평걸이부의 타단을 관통하여 일단은 상기 제 1수평걸이부의 하단에 타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 1조절나사부; 및
    상기 제 1조절나사부의 상단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판상으로 마련되는 제 1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조절나사부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조절나사부와 제 2가이드가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제 1가이드는,
    상기 제 1조절나사부의 축이 관통되며, 서로 다른 폭의 제 1-1판과 제 1-2판의 적층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판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길이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상기 제 1-1판의 폭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제 1홈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회전가능한 수직프레임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한 보조가이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하우징 이송장치.
KR1020200051169A 2020-04-28 2020-04-28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KR102170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169A KR102170241B1 (ko) 2020-04-28 2020-04-28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169A KR102170241B1 (ko) 2020-04-28 2020-04-28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241B1 true KR102170241B1 (ko) 2020-10-26

Family

ID=7300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169A KR102170241B1 (ko) 2020-04-28 2020-04-28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2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520B1 (ko) 2022-10-24 2023-01-27 양태현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73B1 (ko) 2006-07-24 2007-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 변속기 장착용 리프팅 장치
JP2018188260A (ja) * 2017-05-02 2018-11-29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
CN109095344A (zh) * 2018-10-24 2018-12-28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钢卷夹钳卷芯定位装置及对中定位方法
KR20190141867A (ko) * 2018-06-15 2019-12-26 김동규 크레인용 유리판재 적재물 클램핑 리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73B1 (ko) 2006-07-24 2007-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 변속기 장착용 리프팅 장치
JP2018188260A (ja) * 2017-05-02 2018-11-29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
KR20190141867A (ko) * 2018-06-15 2019-12-26 김동규 크레인용 유리판재 적재물 클램핑 리프트
CN109095344A (zh) * 2018-10-24 2018-12-28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钢卷夹钳卷芯定位装置及对中定位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520B1 (ko) 2022-10-24 2023-01-27 양태현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8147B2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a table
CN1160176C (zh) 带有滑座和可调冲头的手柄冲孔器
KR102170241B1 (ko)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EP0069661B1 (fr) Plieuse automatique de tôles
US4659072A (en) Knitting machine head extractor
CN109056727A (zh) 一种桥梁围堰施工专用钢板桩拆除装置的工作方法
JP4313031B2 (ja) ツール交換装置及びツール
CN108999189A (zh) 一种桥梁围堰施工专用钢板桩拆除装置
US4354410A (en) Straight line insulation cutter assembly
KR101510372B1 (ko) 차량 엔진 조립용 2단작업리프트
EP2087950B1 (en) Drawing method of work piece in non-circular cylindrical shape and apparatus for it
CN103938632A (zh) 打桩定向机构
KR101510371B1 (ko) 차량 엔진 조립용 리프트
JP3281519B2 (ja) 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ダイをダイ嵌入孔に嵌入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CN114871687A (zh) 一种用于汽车发动机配件检修装置
EP0106774B1 (fr) Agencement de tourelles pour poinçonneuses-grignoteuses
JP2012135839A (ja) 位置決め部品
KR102151788B1 (ko) 유동암 리프팅 장치
CN117485919B (zh) 一种托盘码垛用转盘
CN220760644U (zh) 一种便于旋转调节的折弯装置
JPH10292714A (ja) サツシ、網戸の脱輪落下防止用戸車装置。
KR102608363B1 (ko) 절곡 작업을 위한 자동 회전 시스템
JP3223518B2 (ja) 複数テーブル駆動装置
CN215373846U (zh) 一种ccd视觉精确高效对位机构
CN218311720U (zh) 一种建筑铝合金模板铁构件耳朵焊接定位工装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