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520B1 -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520B1
KR102493520B1 KR1020220136965A KR20220136965A KR102493520B1 KR 102493520 B1 KR102493520 B1 KR 102493520B1 KR 1020220136965 A KR1020220136965 A KR 1020220136965A KR 20220136965 A KR20220136965 A KR 20220136965A KR 102493520 B1 KR102493520 B1 KR 10249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pport
alignment
pilla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현
Original Assignee
양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태현 filed Critical 양태현
Priority to KR102022013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건축용 기둥의 중심축 상에 놓여질 수 있는,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는,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커버; 일측이 상기 제1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커버와 함께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 전체를 감싸는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지지대; 상기 제2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장착되고,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정렬부의 평면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건축용 기둥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Apparatus For Towing An Architectural Pillar}
본 발명은 건축용 기둥을 견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기둥을 특정 장소로 이동시켜 세우기 위해서는, 작업자 수작업으로 기둥 둘레에 벨트(끈)를 묶고, 벨트를 크레인에 연결시킨 후, 크레인 등을 통해 건축용 기둥을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크레인으로 건축용 기둥을 들어 올렸을 때, 건축용 기둥의 무게 중심이 맞지 않아 건축용 기둥이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용 기둥은 수직 상태로 정확한 위치에 놓여지기 어렵다.
또한, 크레인으로 건축용 기둥을 들어 이동할 때, 벨트가 풀려 건축용 기둥이 낙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명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또한, 건축용 기둥의 하단면과 상단면에는 특정한 결합구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작업자가 건축용 기둥의 회전각도를 세밀히 확인한 후, 건축용 기둥을 손으로 회전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 작업은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고, 작업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고 있으며, 다양한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058400호 호이스트용 캐리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9466호 배관용 래치 클램프 등록특허공보 10-2170241호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국제공개공보 WO 2008/088933호 전개가능한 조를 구비한 싱글 조인트 엘리베이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건축용 기둥의 중심축 상에 놓여질 수 있는,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는,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커버; 일측이 상기 제1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커버와 함께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 전체를 감싸는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지지대; 상기 제2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장착되고,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정렬부의 평면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건축용 기둥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용 기둥의 길이 방향의 무게 중심에, 연결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용 기둥이 수직을 이룬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용 기둥이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작업 위치에 정확하게 놓여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용 기둥의 견인 시, 건축용 기둥이 낙하될 위험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축용 기둥을 세밀하게 회전기어에 의해 회전시킨 후 브레이크에 의해 회전 각도를 고정할 수 있어 시공 작업 정확도 및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에 건축용 기둥이 감겨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체결부들의 결합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의 또 다른 예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차단연결부와 회전차단봉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에 건축용 기둥이 감겨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체결부들의 결합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의 또 다른 예시도들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차단연결부와 회전차단봉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기둥(20)의 원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커버(100), 일측이 제1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커버와 함께 건축용 기둥(20)의 원주면 전체를 감싸는 제2 커버(200), 제1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지지대(300), 제2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 지지대(400),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정렬부(500) 및 정렬부에 장착되고,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부(600)를 포함한다.
우선, 연결부(600)는 정렬부의 평면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건축용 기둥(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건축용 기둥(20)의 길이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K-K'라인이 될 수 있다.
즉, 연결부(600)는 건축용 기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건축용 기둥(20)이 체결된 연결부(600)가 크레인에 의해 이동될 때, 건축용 기둥(20)은 지면에 수직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다음, 건축용 기둥(20)의 원주면이란, 도 2에 도시된 건축용 기둥(20)의 측면을 의미한다. 즉, 건축용 기둥(20)의 원주면은 건축용 기둥(20)을 한바퀴 감싸고 있는 면을 의미한다. 이 경우 원주면은 건축용 기둥(20)의 길이 방향 전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기둥(20)의 길이 방향(K-K'라인 방향)의 일부분이 될 수 있다.
제1 커버(100)와 제2 커버(200) 각각은 건축용 기둥(20)의 원주면의 일부를 감싸고 있으며, 제1 커버와 제2 커버에 의해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이 감싸여질 수 있다.
다음, 제1 커버(100)의 일측은 고정축(190)에 의해 제2 커버(2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커버(100)의 타측에는 제1 톱니(111)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톱니부(110)가 구비된다.
제2 커버(200)의 일측은 고정축(190)에 의해 제1 커버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커버의 타측에는 제1 톱니들과 맞물리는 제2 톱니(211)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톱니부(210)가 구비된다.
제1 톱니부와 제2 톱니부는 제1 체결부(18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톱니(111)들은 제1 커버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톱니(211)들은 제2 커버의 양쪽 측면들 중 제1 커버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와 제2 커버가 건축용 기둥(20)의 원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1 톱니들과 제2 톱니들이 체결된 후, 제1 체결부(180)에 의해 제1 톱니부와 제2 톱니부가 체결되면, 건축용 기둥(20)은 제1 커버와 제2 커버에 의해 들려질 수 있다.
다음, 제1 톱니부(110)와 제2 톱니부(210) 각각에는 제1 체결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톱니부(110)에는 하나의 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톱니부(210)에는 적어도 두 개의 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톱니부(110)에는 하나의 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톱니부에 형성된 하나의 홀은 제2 톱니부의 끝단으로부터 제1 톱니부의 끝단 방향으로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톱니부의 홀과 제2 톱니부의 홀에 제1 체결부(180)가 느슨하게 체결된 상태에서, 제1 톱니부와 제2 톱니부가 더 조여질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제1 체결부에 의해 제1 톱니부와 제2 톱니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작업자는 제1 커버(100)와 제2 커버(200)를 최대한 조여서, 제1 톱니부(110)와 제2 톱니부(210)가 조여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용 기둥(20)이 밀착되어, 제1 커버(100)와 제2 커버(200)에 의해 들려질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제1 톱니부(110)와 제2 톱니부(210)를 최대한 조여주기 위해 제1 커버(100)와 제2 커버(200) 각각의 외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조임부(120)들 사이에 벨트를 연결시킨 후 벨트를 잡아당겨 제1 톱니부(110)와 제2 톱니부(210)를 최대한 조여줄 수 있으며, 벨트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들을 조임부(120)들 사이에 연결 또는 걸친 후 장치를 잡아당겨 제1 톱니부(110)와 제2 톱니부(210)를 최대한 조여줄 수 있다.
조임부(120)는 이하에서 설명될 제3 커버(700a) 및 제4 커버(700b)에도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톱니부(110)는 제2 톱니부(2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219)로 삽입되며, 제1 톱니(111)들은 삽입홀 내부면에 형성된 제2 톱니(211)들과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톱니부(210)의 끝단에 형성된 삽입홀(219)은 제1 톱니부(110)가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벌어질 수 있으며, 제1 체결부(180)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180)에 의해 제1 톱니부(110)와 제2 톱니부(210)가 체결될 수 있다.
다음, 정렬부(500)의 상단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300)와 제2 지지대(400)를 향하는 정렬부홈(501)이 형성되어 있다.
정렬부홈(501)에는 정렬부홈을 따라 이동하는 보조 정렬부(510)가 구비된다. 보조 정렬부(510)에는 정렬부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보조 정렬부홈(511)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정렬부홈(501)이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우, 보조 정렬부홈(511)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600)는 보조 정렬부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보조 정렬부(510)가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600)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연결부(600)는 보조 정렬부홈을 따라 Y축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부(60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연결부(600)가, 건축용 기둥(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정렬부(500)의 제1 측면에는 제1 지지대(300)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 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제1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홈에는 제1 체결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이동부가 장착된다. 제1 이동부에는 제1 지지대를 관통한 제1 고정부(320)가 체결된다.
정렬부(500)의 제2 측면에는 제2 지지대(400)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 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제2 체결홈(5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홈(541)에는 제2 체결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이동부(540)가 장착된다. 제2 이동부(540)에는 제2 지지대를 관통한 제2 고정부(420)가 체결된다.
예를 들어, 제1 톱니부와 제2 톱니부가 중첩되는 영역이 커지면, 연결부(600)가 보조 정렬부홈(511)을 따라 이동되더러라고, 연결부(600)가 건축용 기둥(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이동부 및 제2 이동부(540)를 제1 체결홈 및 제2 체결홈(541)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연결부(600)가 건축용 기둥(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렬부(500)의 높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제1 지지대(300)에는 제1 지지대의 높이 방향, 예를 들어, Z축 방향을 따라 제1 지지대홀(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대(400)에는 제2 지지대의 높이 방향, 예를 들어, Z축 방향을 따라 제2 지지대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홀(310)에는 제1 고정부(320)가 체결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대홀(410)에는 제2 고정부(420)가 체결될 수 있다.
다음, 정렬부(500)의 양쪽 끝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둥 체결부(591) 및 제2 기둥 체결부(592)가 관통하는 제1 관통부 및 제2 관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관통부 및 제2 관통부를 관통한 제1 기둥 체결부(591) 및 제2 기둥 체결부(592)는 건축용 기둥(20)의 상단면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기둥 체결부(591) 및 제2 기둥 체결부(592) 각각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일차적으로 제1 커버(100)와 제2 커버(200)에 의해 건축용 기둥(20)이 정렬부(5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차적으로, 건축용 기둥(20)의 상단면에 체결되는 제1 기둥 체결부(591) 및 제2 기둥 체결부(592)에 의해 건축용 기둥(20)이 정렬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둥 체결부(591) 및 제2 기둥 체결부(592)에 의해 정렬부(500)가 건축용 기둥(20)의 상단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후, 연결부(600)가 정렬부의 평면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건축용 기둥(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기둥 체결부(591) 및 제2 기둥 체결부(592)에 의해, 연결부(600)가 건축용 기둥(2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직벨트(160a)를 통해 제1 커버(100)와 연결되어 있는 제3 커버(700a)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직벨트(160b)를 통해 제2 커버(200)와 연결되어 있는 제4 커버(700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3 커버(700a)의 일측은 또 다른 고정축(790)에 의해 제4 커버(700b)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커버의 타측에는 제3 톱니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3 톱니부(710)가 구비되고, 제4 커버의 일측은 또 다른 고정축(790)에 의해 제3 커버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4 커버의 타측에는 제3 톱니들과 맞물리는 제4 톱니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4 톱니부(720)가 구비되며, 제3 톱니부와 제4 톱니부는 제2 체결부(780)에 의해 고정된다.
제3 커버와 제4 커버의 구조, 기능 및 연결관계는 상기에서 설명된 제1 커버와 제2 커버의 구조, 기능 및 연결관계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커버의 하단과 제4 커버의 하단 사이에는 제1 지지벨트(810a)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3 커버의 하단과 제4 커버의 하단 사이에는 제2 지지벨트(810b)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벨트(810a)와 제2 지지벨트(810b)는 서로 가로지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벨트 및 제2 지지벨트 각각의 일측은 제3 커버 또는 제4 커버에 탈부착될 수 있다.
제1 지지벨트와 제2 지지벨트는 건축용 기둥의 하단면에 밀착되어, 건축용 기둥(2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축용 기둥(20)의 하단면에는 제1 지지벨트와 제2 지지벨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10자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벨트와 제2 지지벨트가 10자 형태의 홈에 삽입되어 건축용 기둥(20)의 하단면을 지지하면, 건축용 기둥(20)이 이동될 때, 건축용 기둥(20)이 낙하하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벨트와 제2 지지벨트가 10자 형태의 홈에 쉽게 탈부착되도록, 제1 지지벨트 및 제2 지지벨트 각각의 일측은 제3 커버 또는 제4 커버에 탈부착될 수 있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커버 및 제4 커버에는 회전차단봉(860)이 연결되는 회전차단연결부(850)가 적어도 두 개 장착될 수 있다. 도 5에는 세 개의 회전차단연결부(850)들이 형성되는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건축용 기둥(20)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에 장착된 후, 크레인에 의해 이동될 때, 건축용 기둥(20)이 회전하면 건축용 기둥(20)이 정확한 위치로 이동되기 어려우며, 낙하와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들이 적어도 두 개의 회전차단봉(860)을 잡고 있으면, 건축용 기둥(20)이 임의로 회전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건축용 기둥(20)을 지면에 내려놓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때 회전차단봉(860)을 사용하여 세밀한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정확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차단봉(860)은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형성된 줄이 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막대 형태의 봉이 될 수도 있다.
다음,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직벨트(160a)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직벨트(160b) 각각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정부(161)가 구비될 수 있다. 길이 조정부(161)는 제1 수직벨트(160a) 및 제2 수직벨트(160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수직벨트(160a)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수직벨트(160b) 각각은 탄성을 갖는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300)는 제1 커버(100)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a 지지부(391) 및 정렬부가 장착되는 제1b 지지부(392)를 포함하며, 제2 지지대(400)는 제2 커버(200)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a 지지부(491) 및 정렬부가 장착되는 제2b 지지부(4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a 지지부(391) 및 제2a 지지부(491)의 상단에는 회전드럼(910)이 장착되고, 회전드럼(910)은 회전기어(9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제1b 지지부(392) 및 제2b 지지부(492)의 하단에는 지지판(930)이 구비되고, 지지판(930)에는 회전기어(920)가 장착되고, 지지판(930)에 구비된 제어부(910)에 의해 회전기어(920)가 회전하며, 제어부(940)는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회전기어(920)를 회전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회전드럼(910)은 자유 회전되는 회전기어(920)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회전드럼(9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와 회전기어(9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가 맞물리면서 작동시, 회전기어(9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드럼(910) 역시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드럼(9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어(920)의 하단부(9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지지판(930)의 하단으로 연장된 연장부에 회전드럼(910)과 회전기어(920)가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기어(920)가 연장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할 때, 회전드럼(910) 역시 연장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회전드럼(910)과 회전기어(920)는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통신장치가 될 수도 있다.
제어부(940)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기어(9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내장된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회전기어(920)에 회전드럼(910)이 회전하면, 회전드럼(910)과 연결되어 있는제1 커버(100) 및 제2 커버(200) 역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커버(100) 및 제2 커버(200)에 의해 지지되는 건축용 기둥(20) 역시 회전할 수 있다. 예로 회전기어(9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드럼(91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기어(920)의 회전량에 따라 건축용 기둥(20)의 회전량이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드럼(910)을 회전량 및 회전 각도를 요구되는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지지판(930)에는 브레이크(950)가 장착될 수 있다. 브레이크(950)는 제어부(94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회전드럼(910)과의 패드 마찰로 회전드럼(910)의 회전을 원하는 회전 각도에서 정확하게 중지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기어(920)의 회전이 중지되더라도, 회전드럼(910)이 관성에 의해 회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브레이크 구동신호를 전송하면, 제어부(940)는 브레이크(9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브레이크(950)가 회전드럼(910)에 밀착되며, 따라서, 회전드럼(910)의 회전이 즉각 중지되어 회전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회전차단봉(860)은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형성된 줄이 될 수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막대 형태의 봉이 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회전차단연결부(8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차단연결부(8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고정부(198) 및 헤드 삽입부(199)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헤드 고정부(198)는, 메인 고정부(191), 두 개의 돌출부들(192a, 192b) 및 나비 너트(19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고정부(191)는 제3 커버(700a) 또는 제4 커버(700b)에 고정된다.
메인 고정부(191)의 내부에는 반구 형태의 오목한 홈이 구비된다. 즉, 메인 고정부(191)의 내부에는 반구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
메인 고정부(191)의 측면의 일부는 벌어져 있다. 따라서, 메인 고정부(191)의 지름은 벌어진 틈의 간격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두 개의 돌출부들은 벌어진 틈 주변에 돌출되어 있다. 즉, 벌어진 틈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돌출부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두 개의 돌출부들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나비 너트(193)는 두 개의 돌출부들에 체결되어 벌어진 틈을 좁혀줄 수 있다. 즉, 나비 너트(193)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고정부(191)의 상단의 지름은 최대가 될 수 있으며, 나비 너트(193)가 체결된 상태에서 메인 고정부(191)의 상단의 지름은 최소가 될 수 있다.
둘째, 헤드 삽입부(199)는 삽입부(194) 및 체결너트(195)를 포함한다.
삽입부(194)는 헤드 고정부(198)에 삽입되며, 특히, 메인 고정부(191)의 내부에 형성된 반구 형태의 오목한 홈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삽입부(194)는 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비 너트(193)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고정부(191)의 상단의 지름은 삽입부(194)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194)는 자유롭게 메인 고정부(191)의 오목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94)가 메인 고정부(191)의 오목한 홈에 삽입된 후, 나비 너트(1953)가 두 개의 돌출부들(192a, 192b)에 완전히 체결되면, 메인 고정부(191)의 상단의 지름은 삽입부(194)의 지름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메인 고정부(191)의 오목한 홈에 삽입된 삽입부(194)는 오목한 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체결너트(195)는 삽입부에 구비되며 회전차단봉(860)과 체결된다.
이 경우, 체결너트(195)의 방향은 삽입부(194)가 메인 고정부(191)에 어떠한 방향으로 삽입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업 조건에 따라, 체결너트(195)의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방향의 정확한 조절이 가능하고,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94) 및 체결너트(195) 사이에는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 조절부(19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길이 조절부(196)는 적어도 두 개의 마디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길이 조절부(196)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두 개의 마디들의 길이는 나사산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마디들 사이를 고정하는 체결부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회전차단봉(860)에도 회전차단봉이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차단봉(860)에 구비되는 조절부는 길이 조절부(196)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마디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회전차단봉(86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두 개의 마디들의 길이는 나사산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마디들 사이를 고정하는 체결부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커버 200: 제2 커버
700a: 제3 커버 700b: 제4 커버

Claims (6)

  1. 삭제
  2.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커버;
    일측이 상기 제1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커버와 함께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 전체를 감싸는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지지대;
    상기 제2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장착되고,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정렬부의 평면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건축용 기둥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커버의 일측은 고정축에 의해 상기 제2 커버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의 타측에는 제1 톱니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톱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커버의 일측은 상기 고정축에 의해 상기 제1 커버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버의 타측에는 상기 제1 톱니들과 맞물리는 제2 톱니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톱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톱니부와 상기 제2 톱니부는 제1 체결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 톱니부는 상기 제2 톱니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로 삽입되며, 상기 제1 톱니들은 상기 삽입홀 내부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톱니들과 체결되는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3.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커버;
    일측이 상기 제1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커버와 함께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 전체를 감싸는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지지대;
    상기 제2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장착되고,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정렬부의 평면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건축용 기둥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정렬부의 상단면에는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를 향하는 정렬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렬부홈에는 상기 정렬부홈을 따라 이동하는 보조 정렬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정렬부에는 상기 정렬부홈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보조 정렬부홈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조 정렬부홈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정렬부의 제1 측면에는 상기 제1 지지대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체결홈에는 상기 제1 체결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이동부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이동부에는 상기 제1 지지대를 관통한 제1 고정부가 체결되고,
    상기 정렬부의 제2 측면에는 상기 제2 지지대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체결홈에는 상기 제2 체결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이동부가 장착되며,
    상기 제2 이동부에는 상기 제2 지지대를 관통한 제2 고정부가 체결되는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4. 삭제
  5.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커버;
    일측이 상기 제1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커버와 함께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 전체를 감싸는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지지대;
    상기 제2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장착되고,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정렬부의 평면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건축용 기둥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정렬부의 양쪽 끝단에는 제1 기둥 체결부 및 제2 기둥 체결부가 관통하는 제1 관통부 및 제2 관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관통부 및 상기 제2 관통부를 관통한 상기 제1 기둥 체결부 및 상기 제2 기둥 체결부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끼워지는 건축용 기둥의 상단면에 체결되는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6.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제1 커버;
    일측이 상기 제1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 커버와 함께 건축용 기둥의 원주면 전체를 감싸는 제2 커버;
    상기 제1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 지지대;
    상기 제2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 장착되고, 크레인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정렬부의 평면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건축용 기둥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1a 지지부 및 상기 정렬부가 장착되는 제1b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상기 제2 커버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제2a 지지부 및 상기 정렬부가 장착되는 제2b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a 지지부 및 상기 제2a 지지부의 상단에는 회전드럼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드럼은 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1b 지지부 및 상기 제2b 지지부의 하단에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회전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판에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하며,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KR1020220136965A 2022-10-24 2022-10-24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KR10249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65A KR102493520B1 (ko) 2022-10-24 2022-10-24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965A KR102493520B1 (ko) 2022-10-24 2022-10-24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520B1 true KR102493520B1 (ko) 2023-01-27

Family

ID=8510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965A KR102493520B1 (ko) 2022-10-24 2022-10-24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5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405U (ja) * 2000-01-20 2000-08-04 藤井電工株式会社 ボンベ吊具
US20050200147A1 (en) * 2004-03-15 2005-09-15 Ashby Rusty S.Sr. Lifting apparatus
KR200399466Y1 (ko) 2005-08-12 2005-10-24 주식회사 부광 배관용 래치 클램프
WO2008088933A1 (en) 2007-01-19 2008-07-24 Frank's International, Inc. Single joint elevator having deployable jaws
KR20100058400A (ko) 2008-11-24 2010-06-03 이광수 호이스트용 캐리어
US20140291027A1 (en) * 2012-04-26 2014-10-02 Jtb Tools & Oilfield Servic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r removal of a rotary control device insert or a component thereof
US20190390432A1 (en) * 2017-01-30 2019-12-26 Ihc Holland Ie B.V. System for use with a crane on a surface vessel
KR102170241B1 (ko) 2020-04-28 2020-10-26 주식회사 유로트럭모터스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405U (ja) * 2000-01-20 2000-08-04 藤井電工株式会社 ボンベ吊具
US20050200147A1 (en) * 2004-03-15 2005-09-15 Ashby Rusty S.Sr. Lifting apparatus
KR200399466Y1 (ko) 2005-08-12 2005-10-24 주식회사 부광 배관용 래치 클램프
WO2008088933A1 (en) 2007-01-19 2008-07-24 Frank's International, Inc. Single joint elevator having deployable jaws
KR20100058400A (ko) 2008-11-24 2010-06-03 이광수 호이스트용 캐리어
US20140291027A1 (en) * 2012-04-26 2014-10-02 Jtb Tools & Oilfield Servic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r removal of a rotary control device insert or a component thereof
US20190390432A1 (en) * 2017-01-30 2019-12-26 Ihc Holland Ie B.V. System for use with a crane on a surface vessel
KR102170241B1 (ko) 2020-04-28 2020-10-26 주식회사 유로트럭모터스 변속기 하우징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0889A (en) Single post safety anchor
MXPA03011206A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trabajos sobre superficies horizontales en obras de construccion.
KR102493520B1 (ko) 건축용 기둥 견인 장치
JPH0910851A (ja) 鉄筋ベンダー
JPH0511801B2 (ko)
EP1483466B1 (en) Orientation apparatus
KR200425822Y1 (ko)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KR20190123714A (ko) 원격조종 시스템이 구비된 하수관 보수 자동 견인장치
US20220064891A1 (en) Construction machine for special civil engineering
KR200167392Y1 (ko) 건축용 받침 지지대
CN218182963U (zh) 一种具有实时测力功能的导线卡线器
DE60030510D1 (de) Verankerungsvorrichtung für Betonbauteile oder ähnliches mit einem einfach zu benutzendem Element zum Verankern an dem Bauteil
CN216176157U (zh) 一种建筑工程的钢筋调直机构
CN218465057U (zh) 一种卷绕装置
JPS6326561Y2 (ko)
JP3039326B2 (ja) ねじ継手杭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113200462B (zh) 一种塔吊柱销安装设备
CN217105259U (zh) 一种测斜管悬空搭接辅助装置
CN219906580U (zh) 一种电力勘察用线缆固定装置
CN219398888U (zh) 一种高压电塔施工用便携助爬器
JPH06286577A (ja) ジョイント構造
CN215368258U (zh) 一种调节型预应力锚具
JP3494865B2 (ja) 円形立坑掘削機の連結装置
CN217784681U (zh) 一种简易激光水平仪固定支架
JP2009041742A (ja) 落下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