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732B1 -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732B1
KR101845732B1 KR1020160061220A KR20160061220A KR101845732B1 KR 101845732 B1 KR101845732 B1 KR 101845732B1 KR 1020160061220 A KR1020160061220 A KR 1020160061220A KR 20160061220 A KR20160061220 A KR 20160061220A KR 101845732 B1 KR101845732 B1 KR 101845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ontrol bar
angle
base plat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710A (ko
Inventor
이시연
이정호
김창래
신현종
Original Assignee
(주)수산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산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수산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60061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7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16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aircraft wing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0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면이 일정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부분에 내측나사가 관통된 고정너트가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앙 부분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를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높이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승강조절바; 상기 승강조절바에 설치되어 압력센서의 변화 각도를 확인하게 하는 각도확인수단; 상기 승강조절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고정너트에 승강조절바를 결속 나사시키는 결속너트; 상기 결속너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속너트의 유동을 방지하게 하는 조임너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을 터버기계 외주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안내하게 하는 가이드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A Blade de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using a blade pressure of the turbo machinery}
본 발명은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보기계의 블레이드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에 따라 블레이드의 변형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된 블레이드가 몇번째 위치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블레이드의 변형 측정을 보다 정밀하게 실현할 수 있게 하는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보기계는 유체 에너지를 기계적 일로 변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주로 터빈이 이에 해당된다. 터빈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설치하고 여기에 증기 또는 가스를 내뿜어 고속으로 회전시켜 기계적 일로 변환하는 것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블레이드는 높은 속도와 고압에 의해 사용시간에 따라 변형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많은 수의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자는 변형이 일어난 블레이드가 어디에 위치되어 있는지 어떤 부분이 변형되었는지 확인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서 블레이드의 변형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모니터링 기술로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54157호(터보기계 블레이드 파손 모니터링 유닛 및 이를 갖는 터보장치), 일본등록특허 제4450619호(제어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의 경우 블레이드의 근방에 설치되어 블레이드의 압력을 측정하여 기준값과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블레이드의 변형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일본등록특허의 경우 동압 레벨 변동을 알아내는 센서를 이용해 측정 주파수 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변형 유무를 판단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두 기술을 경우 설치되는 센서의 위치가 단순히 블레이드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길이 변화에 따른 블레이드의 변형, 블레이드 각도에 따른 변형 등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레이드의 길이에 따른 손상 위치가 상단, 중단, 하단 등 어디서 손상 또는 변형이 이루어졌는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블레이드의 길이와 각도 변화에 따른 변형에 대해서는 대체할 수 없어 블레이드의 길이에 대해 특정 위치의 변형이나 각도 변화에 따른 특정 위치의 변형 등을 측정할 수 없음에 따라 정확한 변형 부분을 찾지 못하여 측정 오차에 따른 변형된 블레이드의 모니터링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터보기계의 블레이드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에 따라 블레이드의 변형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된 블레이드가 몇번째 위치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블레이드의 변형 측정을 보다 정밀하게 실현할 수 있게 하는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는, 하면이 일정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부분에 내측나사가 관통된 고정너트가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앙 부분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를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높이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승강조절바; 상기 승강조절바에 설치되어 압력센서의 변화 각도를 확인하게 하는 각도확인수단; 상기 승강조절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고정너트에 승강조절바를 결속 나사시키는 결속너트; 상기 결속너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속너트의 유동을 방지하게 하는 조임너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을 터버기계 외주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안내하게 하는 가이드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조절바의 외주면에는 각도확인수단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도확인수단의 삽입공에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너트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측나사와, 축 중심을 관통하는 내측나사와, 상기 내측나사 하측으로 연장되는 관통공과, 상기 외측나사 하측으로 연장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다수개의 절개홈에 의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판체이며, 상기 탄성체 외주면은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는 수직한 밀착면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는 고정너트의 내측나사 하측으로 연장된 가압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되는 승강조절바 외주면을 가압 고정한다.
또한 터버기계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는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전단과 후단의 상부영역, 중부영역, 하부영역에 대해 각각 설치되며, 블레이드의 각도 변화에 대응되도록 압력센서의 각도를 변화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보기계의 블레이드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에 따라 블레이드의 변형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된 블레이드가 몇번째 위치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블레이드의 변형 측정을 보다 정밀하게 실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며에 따르면, 간단한 설치로도 충분히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기존의 터버기계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용이성을 추가하고 범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기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버기계의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다른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의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장치(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압력센서(120), 승강조절바(130), 각도확인수단(140), 결속너트(150), 조임너트(160) 및 가이드대(1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설치되는 터버기계의 외주면의 곡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곡면(111)과,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형성된 각도계(112)와, 상기 각도계(112)의 중심 부분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내측나사(113a)가 형성된 고정너트(1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나사(113a) 하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가압 경사면(113b)이 형성되어 있고, 곡면(111) 측에는 베이스플레이트 둘레를 따라 등간격 배치되는 고정수단(114)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114)은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터버기계의 하우징(블레이드가 설치되는 부분)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주면에 쉽게 탈착할 수 있게 하고 블레이드의 축 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를 쉽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위함이다.
상기 압력센서(120)는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풍압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블레이드 회전에 따른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조절바(13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공(131)이 형성되어 삽입공(131)에 압력센서(120)를 삽입 고정하여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측방향으로 승강하며 블레이드에 상, 중, 하 부분에 압력센서가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승강조절바(130)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32)이 더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각도확인수단을 승강조절바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각도확인수단이 승강조절바의 외주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각도확인수단(140)은 상기 승강조절바(13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삽입공(14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의 길이 방향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지시편(142)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각도계(112)의 각도를 지시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각도확인수단(140)의 삽입공(14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안내돌기(143)이 더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32) 내에 배치되어 안내홈(13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결속너트(150)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외측나사(151)와, 내주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고 형성된 내측나사(152)와, 상기 외측나사(151) 하측에서 연장되는 탄성체(153)와, 상기 내측나사(152)의 하측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관통공(15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153)는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154)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관통공(155)으로부터 연장된 밀착면(156)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153)의 외주면이 중앙 부분으로 경사진 경사면(153a)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내측나사(113a)에 외측나사(151)가 나사 결속되며 진입하면 가압경사면(113b)과 밀착되며 축 중심 방향으로 가압되며 밀착면(156)이 관통공에 삽입되는 승강조절바(130)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조임너트(160)는 외주면에 일정하게 외측나사(161)가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162)이 승강조절바(130)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너트를 이용해 결속너트가 고정너트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대(17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직편(171)과 상시 수직편(171) 상단으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편(172)에 의해 형성된 안내면(173)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면(173)은 가이드대 사이에 위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편(171)의 하부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삽입되는 고정수단(174)이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174)은 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터버기계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수단(100)의 결합 관계를 보면,
먼저 승강조절바(130)의 삽입공(131)에 압력센서(120)를 삽입 고정한 후 안내홈(132)에 안내돌기(143)가 삽입되도록 각도확인수단(14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120)의 압력유입공(121)과 지시편(142)이 수평이 될 수 있게 하여 지시편이 지시하는 각도에 압력유입공이 위치되는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압력센서(120)가 내측나사(113a)를 경유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 하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승강조절바(130)를 삽입하고, 상기 승강조절바(130) 외주면에 결속너트(150)와 조임너트(160)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결속너트(150)의 외측나사(151)가 고정너트(113)의 내측나사(113a)에 결속되게 하고, 결속너트(150)의 내측나사(152)에 조임너트(160)의 외측나사(161)가 결속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결속너트와 조임너트는 상기 각도확인수단의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승강조절바가 고정너트를 기준으로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승강할 때 결속너트와 조임너트는 고정너트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며 동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를 터버기계(T)의 외주면을 절개 개구시킨 홈(H)에 위치시켜 정렬한 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양측면을 가이드대(170)의 안내면(173)에 의해 감싸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대(170)의 고정수단(174)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고정수단(114)보다 자력이 강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고정수단의 자력에 의해 터버기계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슬라이딩 과정에 가이드대가 터버기계로부터 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베이스플레이트의 유동에 의해 압력센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에 앞서 터버기계의 블레이드를 보면, 도 4는 블레이드를 평면에도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을 때, 블레이드 상부는 전단상부영역(B1)과 후단상부영역(B4)로 구분되고, 중앙은 전단중부영역(B2)과 후단중부영역(B5)으로 구분되며, 하부는 전단하부영역(B3)과 후단하부영역(B6)으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블레이드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부분은 일정한 각도(θ°)를 형성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부분을 감안하여 블레이드로부터 변형되는 부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의 둘레에 따른 영역들(B1~B6)과 더불어 각도 변화에 따른 압력 변화 인자들이 존재하므로 이들에 대한 변화값을 측정하여야 만이 정밀한 블레이드 변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블레이드의 영역별 각도 변화에 따른 인자를 전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의 전단, 후단,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의 각도 변화에 따라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변화 압력을 통해 블레이드의 변형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드(110)를 가이드대(170)를 따라 터버기계의 축 방향(화살표 참조)으로 슬라이딩시킴과 동시에 승강조절바(130)를 회전시켜 블레이드(B)의 각도(θ°)에 맞추어 압력유입공(121)의 위치를 블레이드의 각도와 수평을 이루도록 정렬시키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의 전단상부영역(B1)에 위치되도록 승강조절바(130)를 하강시킨다.
같은 방식으로 두번째 설치될 측정장치를 블레이드의 각도에 맞게 조정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중부영역(B2)에 위치되도록 승강조절바(130)를 하강시킨다.
세번째 측정장치도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하고, 각도를 블레이드의 전단하부영역의 각도와 맞도록 조정한 후 압력센서가 전단하부영역(B3)에 위치되도록 승강조절바를 하강시킨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결속너트(150)를 고정너트(113)에 결속시키면 가압경사면(113b)에 의해 탄성체(153)가 밀리며 밀착면(156)이 승강조절바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유동을 방지하게 한다. 이때 각각의 영역들(B1,B2,B3)에 위치된 압력센서(120)는 블레이드의 변화각도에 맞추어 설정된 상태를 각도계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블레이드 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블레이드(B) 각도에 따라 블레이드의 면을 타고 흐르는 풍압의 방향이 조금씩 변화하기 때문에 정확한 풍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블레이드에 근접하면서도 각도에 정렬시키기 위하여 방향과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때 설치되는 측정장치는 터버기계당 통상 3개를 설치하게 되고, 설치 위치는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블레이드의 전단상부영역(B1), 전단중부영역(B2) 및 전단하부영역(B3)에 설치하게 되고, 전단상부영역에서의 블레이드 각도, 전단중부영역에서의 블레이드 각도, 전단하부영역의 블레이드 각도가 전체적으로 다르게 이루어질 경우도 있기 때분에 각도 조절을 통해 대응시켜 보다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게 하고,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설치시켜 블레이드 전체 길이에 대해 변형되는 부분이 어떤 위치에서 변형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홈을 따라 압력세선의 위치를 블레이드 후단으로 배치할 경우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의 후단상부영역(B4), 후단중부영역(B5) 및 후단하부영역(B6)에서의 변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압력센서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속너트(130)를 고정너트(113)에 조이면 조임에 의해 가압경사면(113b)이 탄성체(153)의 경사면(153a)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력에 의해 탄성체가 축 방향 내측으로 밀려 밀착면(156)이 삽입된 승강조절바(13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밀착되어 승강조절바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부의 조임너트(160)를 결속너트에 조임으로써 결속너트가 고정너트로부터 진동 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압력센서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먼저 블레이드의 전단이나 후단, 각도에 따라 압력센서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조정한 후 승강조절바를 회전시켜 블레이드의 각도 변화에 맞춘 상태에서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에 맞추어 압력센서 위치를 상부, 중부, 하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승강조절바를 하강시키고 결속너트를 이용해 승강조절바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임너트를 이용해 결속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게 하여 압력센서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게 함으로써 블레이드 각도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측정장치가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블레이드 중 변형된 블레이드와 더불어 상부, 중부, 하부 중 어느 부분에서 변형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장치(100)는 제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고, 제어부(200)는 모니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제어부(200)는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블레이드의 압력을 신호로 받아드려 받아드린 신호를 미리 저장된 정상 신호의 값과 비교하여 동작 중인 블레이드의 변형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저장된 정상신호값은 정상상태로 판명된 블레이드를 가동하여 미리 저장한 것으로 터버기계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의 갯수도 같이 설정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를 통해 블레이드의 갯수가 표시되어 몇번째 블레이드의 어떤 부분이 변형이 이루어졌는지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측정장치 110 : 베이스플레이트
111 : 곡면 112 : 각도계
113 : 고정너트 114 : 고정수단
120 : 압력센서 121 : 압력유입공
130 : 승강조절바 131 : 삽입공
132 : 안내홈 140 : 각도확인수단
141 : 삽입공 142 : 지시편
143 : 안내돌기 150 : 결속너트
151 : 외측나사 152 : 내측나사
153 : 탄성체 154 : 절개홈
155 : 관통공 156 : 밀착면
160 : 조임너트 161 : 외측나사
170 : 가이드대 171 : 수직편
172 : 수평편 173 : 안내면
174 : 고정수단

Claims (8)

  1. 하면이 일정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부분에 내측나사가 관통된 고정너트가 배치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중앙 부분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를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높이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게 하는 승강조절바;
    상기 승강조절바에 설치되어 압력센서의 변화 각도를 확인하게 하는 각도확인수단;
    상기 승강조절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고정너트에 승강조절바를 결속 나사시키는 결속너트;
    상기 결속너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속너트의 유동을 방지하게 하는 조임너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을 터버기계 외주면으로부터 슬라이딩 안내하게 하는 가이드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하부면에는 다수개의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확인수단은 상기 승강조절바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관통 형성된 삽입공에 의해 상기 승강조절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조절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각도확인수단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도확인수단의 상기 삽입공의 내측에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너트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외측나사와, 축 중심을 관통하는 내측나사와, 상기 내측나사 하측으로 연장되는 관통공과, 상기 외측나사 하측으로 연장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연장된 밀착면이 형성되며, 외주면이 중앙 부분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정너트의 내측나사 하측으로 연장된 가압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되는 승강조절바 외주면을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터버기계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는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전단과 후단의 상부영역, 중부영역, 하부영역에 대해 각각 설치되며, 블레이드의 각도 변화에 대응되도록 압력센서의 각도를 변화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버기계의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KR1020160061220A 2016-05-19 2016-05-19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KR101845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20A KR101845732B1 (ko) 2016-05-19 2016-05-19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20A KR101845732B1 (ko) 2016-05-19 2016-05-19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710A KR20170130710A (ko) 2017-11-29
KR101845732B1 true KR101845732B1 (ko) 2018-04-05

Family

ID=6081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220A KR101845732B1 (ko) 2016-05-19 2016-05-19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2680A (zh) * 2019-03-25 2019-05-28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在线监测汽轮机叶片振动设备的调试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998A (ja) 2001-01-19 2002-07-31 Sanki Eng Co Ltd センサ取付装置
JP2007051647A (ja) 2006-10-19 2007-03-01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
JP4450619B2 (ja) 2002-12-30 2010-04-1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動圧センサを用いて蒸気タービン背圧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54157B1 (ko) 2007-12-21 2010-04-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터보기계 블레이드 파손 모니터링 유닛 및 이를 갖는 터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998A (ja) 2001-01-19 2002-07-31 Sanki Eng Co Ltd センサ取付装置
JP4450619B2 (ja) 2002-12-30 2010-04-1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動圧センサを用いて蒸気タービン背圧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051647A (ja) 2006-10-19 2007-03-01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
KR100954157B1 (ko) 2007-12-21 2010-04-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터보기계 블레이드 파손 모니터링 유닛 및 이를 갖는 터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710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732B1 (ko)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장치
CN205561711U (zh) 测量工具
CN104034921A (zh) 一种带定向功能的pcb板测试治具
CN110514378A (zh) 一种发动机带凸肩风扇叶片振动疲劳试验装置
CN105423864A (zh) 轴承轴向游隙测量装置
CN114235276B (zh) 一种可兼容轴向径向压力表的压力表检定台及检定方法
KR20170130711A (ko) 터보기계의 블레이드 압력을 이용한 블레이드 변형 측정시스템
CN202074938U (zh) 飞机发动机叶片的三坐标快速测量装置
CN107764168A (zh) 一种螺杆与星轮啮合间隙测量装置
CN202255191U (zh) 一种方向盘架位置度检具
CN106610256A (zh) 用于检测四联导向叶片基准圆弧面的装置
JP5399958B2 (ja) 自動芯出し装置および自動芯出し方法
CN210981130U (zh) 一种蜗杆轴线偏差测量装置
CN205505912U (zh) 一种检测齿轮的柔性跳动检具
CN102128576A (zh) 联轴器的对中检测仪及其使用方法
CN206277446U (zh) 定位装置及切割设备
KR20120057965A (ko) 공기압축기의 임펠러하우징 정렬용 다이얼게이지 지그
CN205981030U (zh) 磁电机外径检具
CN207423093U (zh) 一种平面度检测装置
CN206208648U (zh) 一种齿轮齿顶硬度测量的辅助装置
KR200207700Y1 (ko) 커플링볼트의 신장량 측정기
KR101550696B1 (ko) 터빈 케이싱의 센터 측정지그 및 그 측정방법
CN109269684A (zh) 一种电缆附件的界面压力测试误差校正方法
CN214842857U (zh) 一种检修马达转子用圆跳动公差检测装置
CN214159680U (zh) 一种教学用工程机械电气设备检测试验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