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250B1 -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250B1
KR101844250B1 KR1020160142796A KR20160142796A KR101844250B1 KR 101844250 B1 KR101844250 B1 KR 101844250B1 KR 1020160142796 A KR1020160142796 A KR 1020160142796A KR 20160142796 A KR20160142796 A KR 20160142796A KR 101844250 B1 KR101844250 B1 KR 101844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nel
front floor
mount member
rear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묵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일측에 운전석 및 조수석의 뒷부분을 고정 시키기 위해서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의 양측에 고정부분이 형성되어 있어서, 뒷자리에 탑승한 탑승객의 발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운전석 및 조수석을 장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바닥에 구비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인 포스 터널(500)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판넬 사이드 실(300)이 구비되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와 운전자 및 탑승자의 발이 들어갈 수 있도록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면의 멤버 어퍼(110)와 하면의 멤버 로워(150)로 이루어지며, 상면의 멤버 어퍼(110)와 하면의 멤버 로워(150)의 사이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을 고정 결합시켜주는 멤버 용접 너트(160)가 구비되고,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과 레인 포스 터널(500) 사이에 설치되되, 일단의 브라켓 아웃터(320)가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와 판넬 사이드 실 용접 너트(450)와 판넬 사이드 실 볼트(400)로 고정 결합되며, 타단의 브라켓 인너(120)가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레인 포스 터널(500)과 용접 너트(720)와 고정 볼트(710)로 고정 결합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structural of front seat mounted rear memb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실내에 운전석 및 조수석을 장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있어서, 운전석 및 조수석의 뒷부분이 설치되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에 얇은 두께로도 운전석 및 조수석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뒷자리에 승객이 탑승하였을 경우에 탑승객의 발을 편하게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 하부에 놓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뒷부분 하부에는 뒷자석에 탑승한 탑승객의 발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즉, 판넬 프론트 플로어(10)의 일측에 프론트 시트 리어 마은트 멤버 어셈블리(20)를 설치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의 뒷부분을 고정 시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일측에 운전석 및 조수석의 뒷부분을 고정 시키기 위해서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의 양측에 고정부분이 형성되어 있어서, 뒷자리에 탑승한 탑승객의 발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뒷자리에 탑승한 탑승객의 발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짐으로써, 장시간 차량에 탑승할 경우에 차량에 대한 감성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뒷자리에 승객이 탑승하였을 경우에 탑승객의 발을 편하게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 하부에 놓을 수 있도록, 자동차의 실내에 운전석 및 조수석을 장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있어서, 운전석 및 조수석의 뒷부분이 설치되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에 얇은 두께로도 운전석 및 조수석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를 설치함으로써,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일측에 운전석 및 조수석의 뒷부분을 고정 시키기 위해서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의 양측에 고정부분이 형성되어 있어서, 뒷자리에 탑승한 탑승객의 발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과, 뒷자리에 탑승한 탑승객의 발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짐으로써, 장시간 차량에 탑승할 경우에 차량에 대한 감성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운전석 및 조수석을 장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바닥에 구비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인 포스 터널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판넬 사이드 실이 구비되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와 운전자 및 탑승자의 발이 들어갈 수 있도록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면의 멤버 어퍼와 하면의 멤버 로워로 이루어지며, 상면의 멤버 어퍼와 하면의 멤버 로워의 사이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을 고정 결합시켜주는 멤버 용접 너트가 구비되고,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판넬 사이드 실과 레인 포스 터널 사이에 설치되되, 일단의 브라켓 아웃터가 판넬 프론트 플로어와 판넬 사이드 실 용접 너트와 판넬 사이드 실 볼트로 고정 결합되며, 타단의 브라켓 인너가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레인 포스 터널과 용접 너트와 고정 볼트로 고정 결합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의 브라켓 아웃터를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판넬 사이드 실에 고정 결합시킬 때 판넬 사이드 실의 외측에 레인 포스 사이드 실을 구비하고, 판넬 사이드 실 용접 너트를 레인 포스 사이드 실에 고정시킨 후 판넬 사이드 실 볼트로 레인 포스 사이드 실과 판넬 사이드 실 및 브라켓 아웃터를 고정 결합시켜서,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판넬 사이드 실과 레인 포스 터널 사이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가 운전석 및 조수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의 브라켓 인너를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레인 포스 터널에 고정 결합시킬 때 레인 포스 터널의 후면에 센터 크로스 멤버를 구비하되, 센터 크로스 멤버를 판넬 프론트 플로어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배면에 구비하여,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판넬 사이드 실과 레인 포스 터널 사이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가 운전석 및 조수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특히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후면에 구비되는 센터 크로스 멤버의 일측에 센터 크로스 멤버와 직각을 이루는 사이드 멤버를 설치하여, 판넬 프론트 플로어의 판넬 사이드 실과 레인 포스 터널 사이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가 운전석 및 조수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운전석 및 조수석을 장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있어서, 운전석 및 조수석의 뒷부분이 설치되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에 얇은 두께로도 운전석 및 조수석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를 설치함으로써, 뒷자리에 승객이 탑승하였을 경우에 탑승객의 발을 편하게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 하부에 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뒷자리에 승객이 탑승하였을 경우에 탑승객의 발을 편하게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 하부에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차량에 탑승한 뒷자리 탑승객의 피로도가 저하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의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의 센터 크로스 멤버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설치한 후 운전석 및 조수석의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은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의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의 센터 크로스 멤버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를 설치한 후 운전석 및 조수석의 탑승자가 발을 올려놓은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에 운전석 및 조수석을 장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바닥에 구비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인 포스 터널(500)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판넬 사이드 실(300)이 구비되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와 운전자 및 탑승자의 발이 들어갈 수 있도록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면의 멤버 어퍼(110)와 하면의 멤버 로워(150)로 이루어지며, 상면의 멤버 어퍼(110)와 하면의 멤버 로워(150)의 사이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을 고정 결합시켜주는 멤버 용접 너트(160)가 구비되고,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과 레인 포스 터널(500) 사이에 설치되되, 일단의 브라켓 아웃터(320)가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와 판넬 사이드 실 용접 너트(450)와 판넬 사이드 실 볼트(400)로 고정 결합되며, 타단의 브라켓 인너(120)가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레인 포스 터널(500)과 용접 너트(720)와 고정 볼트(710)로 고정 결합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로 이루어지며, 특히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의 브라켓 아웃터(320)를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에 고정 결합시킬 때 판넬 사이드 실(300)의 외측에 레인 포스 사이드 실(200)을 구비하고, 판넬 사이드 실 용접 너트(450)를 레인 포스 사이드 실(200)에 고정시킨 후 판넬 사이드 실 볼트(400)로 레인 포스 사이드 실(200)과 판넬 사이드 실(300) 및 브라켓 아웃터(320)를 고정 결합시켜서,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과 레인 포스 터널(500) 사이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가 운전석 및 조수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의 브라켓 인너(120)를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레인 포스 터널(500)에 고정 결합시킬 때 레인 포스 터널(500)의 후면에 센터 크로스 멤버(700)를 구비하되, 센터 크로스 멤버(700)를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와 대응되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배면에 구비하여,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과 레인 포스 터널(500) 사이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가 운전석 및 조수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센터 크로스 멤버(700)의 일측에 센터 크로스 멤버(700)와 직각을 이루는 사이드 멤버(800)를 설치하여,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과 레인 포스 터널(500) 사이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가 운전석 및 조수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 부호 (900)은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마감재인 플로어 메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차량의 뒷자리인 리어 시트에 탑승한 탑승객의 발을 편하게 프론트 시트의 하부에 놓을 수 있도록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를 얇게 형성하되,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의 양단이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과 레인 포스 터널(500)에 고정 결합되는 브라켓 아웃터(320)와 브라켓 인너(120)에는 각각 레인 포스 사이드 실(200)과 센터 크로스 멤버(700)로 보강함으로써, 공간을 확보하면서 강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
110 : 멤버 어퍼 120 : 브라켓 인너 150 : 멤버 로워 160 : 멤버 용접 너트 200 : 레인 포스 사이드 실 300 : 판넬 사이드 실
320 : 브라켓 아웃터 400 : 판넬 사이드 실 볼트
450 : 판넬 사이드 실 용접 너트 500 : 레인 포스 터널
600 : 판넬 프론트 플로어 700 : 센터 크로스 멤버
710 : 고정 볼트 720 : 용접 너트
800 : 사이드 멤버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자동차의 실내에 운전석 및 조수석을 장착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 바닥에 구비되며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인 포스 터널(500)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판넬 사이드 실(300)이 구비되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와
    운전자 및 탑승자의 발이 들어갈 수 있도록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설치되고, 상면의 멤버 어퍼(110)와 하면의 멤버 로워(150)로 이루어지며, 상면의 멤버 어퍼(110)와 하면의 멤버 로워(150)의 사이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을 고정 결합시켜주는 멤버 용접 너트(160)가 구비되고,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과 레인 포스 터널(500) 사이에 설치되되, 일단의 브라켓 아웃터(320)가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와 판넬 사이드 실 용접 너트(450)와 판넬 사이드 실 볼트(400)로 고정 결합되며, 타단의 브라켓 인너(120)가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레인 포스 터널(500)과 용접 너트(720)와 고정 볼트(710)로 고정 결합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로 이루어지며,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의 브라켓 아웃터(320)를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에 고정 결합시킬 때 판넬 사이드 실(300)의 외측에 레인 포스 사이드 실(200)을 구비하고,
    판넬 사이드 실 용접 너트(450)를 레인 포스 사이드 실(200)에 고정시킨 후 판넬 사이드 실 볼트(400)로 레인 포스 사이드 실(200)과 판넬 사이드 실(300) 및 브라켓 아웃터(320)를 고정 결합시켜서,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과 레인 포스 터널(500) 사이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가 운전석 및 조수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의 브라켓 인너(120)를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레인 포스 터널(500)에 고정 결합시킬 때 레인 포스 터널(500)의 후면에 센터 크로스 멤버(700)를 구비하되,
    센터 크로스 멤버(700)를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와 대응되는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배면에 구비하여,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과 레인 포스 터널(500) 사이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가 운전석 및 조수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후면에 구비되는 센터 크로스 멤버(700)의 일측에 센터 크로스 멤버(700)와 직각을 이루는 사이드 멤버(800)를 설치하여,
    판넬 프론트 플로어(600)의 판넬 사이드 실(300)과 레인 포스 터널(500) 사이에 설치되는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어셈블리(100)가 운전석 및 조수석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
KR1020160142796A 2016-10-31 2016-10-31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 KR10184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796A KR101844250B1 (ko) 2016-10-31 2016-10-31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796A KR101844250B1 (ko) 2016-10-31 2016-10-31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250B1 true KR101844250B1 (ko) 2018-04-02

Family

ID=6197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796A KR101844250B1 (ko) 2016-10-31 2016-10-31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2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0791A (zh) * 2020-07-01 2020-09-15 国唐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客车顶置固定电池基座
CN112659985A (zh) * 2020-12-29 2021-04-16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横梁结构
US11220294B2 (en) 2018-12-05 2022-01-11 Hyundai Motor Company Tunnel structure for vehicle
CN115158488A (zh) * 2022-06-27 2022-10-1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通风管道的座椅安装梁总成及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935B1 (ko) * 2013-09-27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크로스 멤버유닛
JP2015054600A (ja) * 2013-09-11 2015-03-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4600A (ja) * 2013-09-11 2015-03-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KR101490935B1 (ko) * 2013-09-27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크로스 멤버유닛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0294B2 (en) 2018-12-05 2022-01-11 Hyundai Motor Company Tunnel structure for vehicle
CN111660791A (zh) * 2020-07-01 2020-09-15 国唐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客车顶置固定电池基座
CN111660791B (zh) * 2020-07-01 2024-05-14 国唐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客车顶置固定电池基座
CN112659985A (zh) * 2020-12-29 2021-04-16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横梁结构
CN115158488A (zh) * 2022-06-27 2022-10-1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通风管道的座椅安装梁总成及汽车
CN115158488B (zh) * 2022-06-27 2023-11-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通风管道的座椅安装梁总成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250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리어 마운트 멤버 구조
US8366182B2 (en) Structure for vehicle high-strength member
GB2515576A (en) Vehicle Seat
US10144325B2 (en) Vehicle seat
JP6297472B2 (ja) 乗物用シート
CA2636483A1 (en) Vehicle frame structure
CN109955920B (zh) 车身后部构造
US8414066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JP2004034976A (ja) 車両のための上部構造体
WO2011162017A1 (ja) 車両用シートの組み付け構造
US7207619B2 (en) Child seat tether anchor structure
KR101771011B1 (ko) 하이브리드 타입의 차량용 리어 시트백 프레임
US9663152B2 (en) Structure for mounting front cabin in truck
JP5867300B2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の締結構造
JP2017109628A (ja) 自動車のリヤシート支持構造
FR3048950A1 (fr) Ensemble de structure
JP5704310B2 (ja) バスの床構造
KR101592779B1 (ko) 자동차의 시트프레임 조립체
JPS6198655A (ja) 小型車両のシ−トベルト取付構造
KR101695308B1 (ko) 강성을 개선한 3층 2중 중공 타입의 차량용 리어 시트백 프레임
JPS6036523Y2 (ja) 自動車の運転室補強構造
JP2021020565A (ja) 乗降ステップ
JPH07177945A (ja) 車両用クロスシ−ト及び一体型シ−ト
JP6863134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8114820A (ja) 車両のスライド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