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958B1 - 차량의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958B1
KR101842958B1 KR1020160002657A KR20160002657A KR101842958B1 KR 101842958 B1 KR101842958 B1 KR 101842958B1 KR 1020160002657 A KR1020160002657 A KR 1020160002657A KR 20160002657 A KR20160002657 A KR 20160002657A KR 101842958 B1 KR101842958 B1 KR 101842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amp
receiving unit
magnitud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326A (ko
Inventor
김현민
손채은
박희정
김석배
황동혁
Original Assignee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알에프텍 filed Critical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9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H05B37/0209
    • H05B37/027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제어 장치는, 무선전력 송신기, 무선전력 수신기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무선전력 송신기는 제1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전력 송신부 및 제2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 전력 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1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2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각종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전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명 장치가 장착된다. 대표적으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헤드램프(HEAD LAMP)를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방의 사람에게 차량의 존재와 상태를 알리는 리어 콤비램프(REAR LAMP)가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차량에 장착되는 각종 램프는, 차량의 배터리와 커넥터 및 커넥터 및 전선을 통해 연결되어, 전력을 유선으로 공급받고,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점등하게 된다.
이러한 통상적인 차량용 램프의 전력 송수신 구조는, 필연적으로 수많은 배선 및 볼트 체결 작업을 동반하는바, 이르 인해 공간이 협소해지고, 작업 생산성 향상에 큰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유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램프의 구조 특성 상, 어느 정도의 공차 또는 유격이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램프 내로 먼지나 벌레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여, 고장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램프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램프 및 이와 연결된 부품의 부식은 물론, 합선이나 화재 등의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서로 다른 기기 간에 전선 등을 통한 유선 연결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하는 이른바 '무선전력전송'이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램프 각각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전력 송신부 및 제2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기, 상기 제1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2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기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고세서는,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1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1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2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2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2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는, 자기 공명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분리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는, 제3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3 전력 송신부 및 제4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4 전력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3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4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전력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3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3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3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3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3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3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3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4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제4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4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4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4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4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4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램프 내지 제4 램프는 각각은, 제동등, 후미등, 후진등 및 방향 지시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램프 내지 제4 램프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와 다른 종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램프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종래 유선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에 비하여, 램프 및 체결 구조가 단순해지고, 이로 인해 조립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복수의 램프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경우, 무선을 통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복수의 램프들 중 특정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 또는 차단함으로써, 별도의 통신 수단 없이도 복수의 램프들에 대한 개별적인 점등 및 소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무선전력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전력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복수의 램프들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함으로써, 무선전력 송신기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을 송신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무선전력 송신기의 발열을 저감하고, 무선 전력 전송 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의 상세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에서, 수신 전력의 크기와 무관하게 무선전력 수신기로부터 조명부로의 전원 공급이 개시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방법에서 램프별 점등 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가 도 3에 도시된 오작동 문제를 제거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램프 제어 장치(100)는 조명부(10), 무선전력 송신기(110), 무선전력 수신기(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0)는 복수의 램프들(10-1 ~ 10-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즉, 램프 제어 장치(1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원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조명부(10)는 일정 조건을 만족 시, 무선전력 수신기(120)와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어, 무선전력 수신기(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소모하는 전기부하로 작용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무선전력 수신기(12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기(110)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은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의 램프들(10-1 ~ 10-n)을 하나씩 또는 둘 이상을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서로 다른 전력원에 의한 복수의 전력(P-1 ~ P-n)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기(120)는 복수의 램프들(10-1 ~ 10-n)과 유선을 통한 전기적 연결이 형성 또는 해제되고, 무선전력 송신기(110)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조건에 따라, 수신된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복수의 램프들(10-1 ~ 10-n)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전력 송신기(110)와 무선전력 수신기(120)는, 자기유도 방식 또는 자기공명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무선전력 수신기(120)와 연결되어, 무선전력 수신기(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무선전력 수신기(120)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무선전력 수신기(120)로부터 복수의 램프들(10-1 ~ 10-n)로의 전원 공급을 개별적으로 개시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100)의 상세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램프 제어 장치(100)에는 4개의 서로 다른 종류의 램프(10-1 ~ 10-4)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복수의 송신 코일(110-1 ~ 110-4) 및 복수의 송신부(111 ~ 11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송신부는 '전력 송신부'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송신 코일(110-1 ~ 110-4) 및 송신부(111 ~ 114) 각각의 개수는 램프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램프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가정처럼, 램프가 4개인 경우, 송신 코일 및 송신부 각각의 개수 역시 4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지 제4 송신부(111 ~ 114)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210) 및 인터페이스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210)는 제1 내지 제4 송신부(111 ~ 114)에 전력 송신에 요구되는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복수의 램프들(10-1 ~ 10-4) 각각의 구동을 명령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무선전력 송신기(110)에 제공한다.
가령,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가 순서대로 제동등, 후미등, 후진등 및 방향 지시등인 것으로 가정하자.
만약, 브레이크 페달이 눌려지면, 인터페이스부(220)는 제동등(10-1)의 구동을 명령하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제1 송신부(111)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송신 코일(110-1)을 통해 제1 전력(P-1)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만약, 전조등이 켜지면, 인터페이스부(220)는 후미등(10-2)의 구동을 명령하는 제2 웨이크업 신호를 제2 송신부(112)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송신부(112)는 제2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송신 코일(110-2)을 통해 제2 전력(P-2)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만약, 변속기 레버가 후진 위치('R')에 놓여지면, 인터페이스부(220)는 후진등(10-3)의 구동을 명령하는 제3 웨이크업 신호를 제3 송신부(113)에 제공할 수 있다. 제3 송신부(113)는 제3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송신 코일(110-3)을 통해 제3 전력(P-3)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만약, 방향 지시 레버가 좌측 위치 또는 우측 위치에 놓여지면, 인터페이스부(220)는 방향 지시등(10-4)의 구동을 명령하는 제4 웨이크업 신호를 제4 송신부(114)에 제공할 수 있다. 제4 송신부(114)는 제4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제4 송신 코일(110-4)을 통해 제4 전력(P-4)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전력 수신기(120)는 복수의 수신 코일(120-1 ~ 120-4) 및 복수의 수신부(121 ~ 12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송신부는 '전력 수신부'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코일 및 수신부 각각의 개수는 램프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램프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가정처럼, 램프가 4개인 경우, 수신 코일 및 수신부 각각의 개수 역시 4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수신 코일(120-1 ~ 120-4)은 순서대로 제1 내지 제4 송신 코일(110-1 ~ 110-4)과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는 순서대로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수신 코일(120-1 ~ 120-4)을 통해 수신된 전력은 각각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 각각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 각각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컴퓨팅 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전력 측정부(131), 비교부(132) 및 스위칭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측정부(131)는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 각각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측정한다.
비교부(132)는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전력을 기 설정된 제1 내지 제4 기준 전력과 비교하여 대소를 판단한다. 예컨대, 제1 내지 제4 기준 전력은 순서대로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의 적정 구동 전력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기준 전력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스위칭부(133)는 비교부(132)에 의한 대소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로부터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로의 전력 공급을 개별적으로 개시 또는 차단한다. 예컨대, 스위칭부(133)는 i)제1 수신부(121)와 제1 램프(10-1)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ii)제2 수신부(122)와 제2 램프(10-2)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iii)제3 수신부(123)와 제3 램프(10-3) 사이에 연결되는 제3 스위치 및 iv)제4 수신부(124)와 제4 램프(10-4) 사이에 연결되는 제4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 수신부(121)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1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1 스위치를 열어, 제1 수신부(121)로부터 제1 램프(10-1)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제1 수신부(121)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1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1 스위치를 닫아, 제1 수신부(121)로부터 제1 램프(10-1)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만약, 제2 수신부(12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2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2 스위치를 열어, 제2 수신부(122)로부터 제2 램프(10-2)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제2 수신부(122)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2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2 스위치를 닫아, 제2 수신부(122)로부터 제1 램프(10-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각각의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등의 전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3 수신부(123)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3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3 스위치를 열어, 제3 수신부(123)로부터 제3 램프(10-3)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제3 수신부(123)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3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3 스위치를 닫아, 제3 수신부(123)로부터 제3 램프(10-3)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만약, 제4 수신부(124)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4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4 스위치를 열어, 제4 수신부(124)로부터 제4 램프(10-4)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제4 수신부(124)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제4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스위칭부(133)는 제4 스위치를 닫아, 제4 수신부(124)로부터 제4 램프(10-4)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스위치는 트라이악, 사이리스터,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램프 제어 장치(100)는 제1 케이스(C1) 및 제2 케이스(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C1)는 무선전력 송신기(11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케이스(C2)는 제1 케이스(C1)와 분리되고, 무선전력 수신기(120) 및 제어부(13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케이스(C1) 및/또는 제2 케이스(C2)는 이에 수용된 구성요소가 외부와 격리되도록, 완전히 밀폐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케이스(C1)와 제2 케이스(C2)는 무선 전력의 송수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C1) 및 제2 케이스(C2)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은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전력이 통과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가 각각 제동등, 후미등, 후진등 및 방향 지시등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순서는 무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100)에서, 수신 전력의 크기와 무관하게 무선전력 수신기(120)로부터 조명부(10)로의 전원 공급이 개시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즉, 도 3은,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지 않는 램프(소등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램프)가, 이와 연결된 수신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점등 상태로 전환되는 오동작을 예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송신부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가령,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제2 웨이크업 신호(도 2에 관한 설명 참조)만이 제공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기(110)는 제2 송신부(112)만을 구동할 수 있다. 제2 송신부(112)가 구동됨에 따라, 제2 송신 코일(110-2)을 통해 제2 전력(P-2)이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력(P-2)은 제2 램프(10-2)만을 구동(즉, 점등)하기 위해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무선 전력 전송의 특성 상,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은 전자기파의 형태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전자기파가 무선전력 송신기(110)로부터 이격된 무선전력 수신기(120)를 향하여 방사되어 나아감에 따라, 최초 송신된 전력의 일부만이 목표로 하는 수신부(122)에 도달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송신 코일(110-2)로부터 송신된 제2 전력(P-2)의 일부분은 제2 수신 코일(120-2)에 의해 수신되지만, 나머지 부분은 송신 중에 소실되거나, 제1 수신 코일(120-1), 제3 수신 코일(120-3) 및 제4 수신 코일(120-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중의 공간에서 소실되는 전력이 없다고 가정할 때, 제2 송신 코일(110-2)로부터 송신된 제2 전력(P-2)이 9W인 경우, 제2 수신 코일(120-2)에 의해 6W의 전력만이 수신되고, 제1 수신 코일(120-1) 및 제3 수신 코일(120-3)에 의해 각각 1.5W의 전력이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송신 코일(110-2)에 의해 수신된 6W의 전력이 제2 수신부(120)를 통해 제2 램프(10-2)로 공급되어, 제2 램프(10-2)가 점등될 수 있다.
다만, 만약 제1 수신부(121)와 제1 램프(10-1)의 전기적 연결 및 제2 수신부(122)와 제2 램프(10-2)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enable)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신 코일(110-1) 및 제3 송신 코일(110-3)에 의해 송신된 전력이 없음에도, 제1 수신 코일(120-1) 및 제3 수신 코일(120-3) 각각에 의해 수신된 1.5W의 전력에 의해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도 점등되는 오동작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램프(10-1)가 제동등인 경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이 밟고 있지 않음에도 제동등이 켜질 수 있고, 제3 램프(10-3)가 후진등인 경우, 변속기 레버가 후진 위치('R')에 놓여져 있지 않음에도 후진등이 켜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의 점등에 따른 잘못된 정보가 외부에 표시되고 사고 위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가 불필요하게 점등됨에 따라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램프(10-2)만이 아니라,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까지 제2 송신부(112)에 대한 전기부하로 작용하게 되므로, 제2 송신부(112)의 부하 임피던스의 상승으로 인하여 제2 송신부(112)가 불필요한 전력을 추가적으로 송신하게 되고, 결국 전력전송의 효율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발열이 심하진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2 송신부(112)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력(P-2)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송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전력에 의해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 4 및 도 5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무선 전력 전송에 따른 램프 오동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송신기(11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 수신기(120)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4c는 도 4b에 도시된 방법에서 램프별 점등 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송신기(110)의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를 대기한다(S411). 제1 웨이크업 신호는 브레이크 페달이 눌려진 경우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일 수 있다.
이어,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S412). 예컨대,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상태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되는 경우,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제1 송신부(111)는 제1 송신 코일(110-1)을 통해 제1 전력(P-1)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S413). 이때, 제1 전력(P-1)은 제1 램프(10-1)를 구동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크기의 전력일 수 있다.
이어,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종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14).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이 눌리지 않는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상태가 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로 전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송신부(111)는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 웨이크업 신호가 유지되는 경우, 제1 송신부(111)는 제1 송신 코일(110-1)을 통해 제1 전력(P-1)을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4a에서는 제1 송신부(111)에 의한 전력 송신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나머지 송신부(112 ~ 114) 역시 제1 송신부(111)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내지 제4 전력(P-2 ~ P-4)을 개별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제1 수신 코일(120-1)을 통해 제1 수신부(121)가 전력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421). 예컨대, 제어부(130)는 제1 수신 코일(120-1)에 의해 수신된 후 제1 수신부(121)에 의해 정류된 전력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를 기초로, 제1 수신부(121)가 전력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신 코일(120-1)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은 제1 내지 제4 송신부(111 ~ 11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일 수 있다. 한편, 단계 S421 이전에는 무선전력 수신기(120)로부터 조명부(10)로의 전원 공급이 모두 차단(disable)된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제1 수신부(121)에 수신된 전력을 측정한다(S422). 구체적으로, 제어부(130)에 포함된 전력 측정부(131)는 무선전력 송신기(110)에 포함된 모든 송신부(111 ~ 114)와 연결되어, 각각의 송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을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에는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데이터 테이블(430)이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테이블(430)에는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 4)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적정 구동 전력 및/또는 제1 내지 제4 기준 전력에 대한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 4)의 적정 구동 전력은 순서대로, 12W, 7W, 10W 및 10W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적정 구동 전력은 램프별 사양에 따라 출고 당시부터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준 전력은 이에 대응하는 적정 구동 전력에 따라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전력은 적정 구동 전력의 80%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램프(10-1)에 대한 제1 적정 구동 전력인 12W의 80%에 해당하는 9.6W가 제1 기준 전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램프(10-2 ~ 10-4) 각각에 대한 제2 기준 전력 내지 제4 기준 전력 역시 동일한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상기 측정된 전력의 크기가 제1 기준 전력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부(132)는 제1 수신부(121)에 대하여 측정된 전력의 크기와 기 설정된 제1 기준 전력을 비교하여, 상호 간의 대소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측정된 전력의 크기가 제1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30)는 단계 S422로 회귀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부(133)에 의해 제1 수신부(121)와 제1 램프(10-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겨, 제1 수신부(121)로부터 제1 램프(10-1)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disable)된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램프(10-1)는 제1 송신부(111)에 대한 부하 임피던스 상승을 유발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측정된 전력의 크기가 제1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수신부(121)로부터 제1 램프(10-1)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enable)할 수 있다(S424). 일 예로, 스위칭부(133)는 양단이 제1 수신부(121)와 제1 램프(10-1)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를 닫아, 제1 수신부(121)에 의해 수신된 전력이 제1 램프(10-1)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램프(10-1)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서는 제1 수신부(121)에 의한 전력 수신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나머지 수신부(122 ~ 124) 역시 제1 수신부(121)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내지 제4 램프(10-2 ~ 10-4)에 대한 전원 공급이 개시(enable) 또는 차단(disable)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100)가 도 3에 도시된 오작동 문제를 제거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3과 유사하게, 도 5는 제2 송신 코일(110-2)을 통해 제2 전력(P-2)이 무선으로 송신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 경우, 제1 송신 코일(110-1), 제2 송신 코일(110-3) 및 제4 송신 코일(110-4)을 통해 송신되는 전력은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전력(P-2)의 일부분은 제2 수신 코일(120-2)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일부분은 송신 과정 중에 소실될 수 있고, 나머지는 제1 수신 코일(120-1) 및 제3 수신 코일(120-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3 수신 코일(120-1 ~ 120-3)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은 순서대로 1,5W, 6W, 1.5W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4c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제1 수신 코일(120-1)을 통해 제1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제1 기준 전력인 9.6W와 비교할 수 있다. 제1 수신부(121)에 수신되는 전력은 제1 기준 전력인 9.6W보다 작은 1.5W이므로, 제어부(130)는 제1 수신부(121)로부터 제1 램프(10-1)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disable)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달리, 제1 램프(10-1)는 제2 전력(P-2)의 송신 전후로 소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30)는 제2 수신 코일(120-2)을 통해 제2 수신부(122)에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제2 기준 전력인 5.6W와 비교할 수 있다. 제2 수신부(122)에 수신되는 전력은 제1 기준 전력인 5.6W보다 큰 6W이므로, 제어부(130)는 제2 수신부(122)로부터 제2 램프(10-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enable)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동일하게, 제2 램프(10-2)는 제2 전력(P-2)의 송신에 따라 점등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3 수신 코일(120-3)을 통해 제3 수신부(123)에 수신되는 전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제3 기준 전력인 8W와 비교할 수 있다. 제3 수신부(123)에 수신되는 전력은 제3 기준 전력인 8W보다 작은 1.5W이므로, 제어부(130)는 제3 수신부(123)로부터 제3 램프(10-3)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disable)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과 달리, 제3 램프(10-3)는 제2 전력(P-2)의 송신 전후로 소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가 불필요하게 점등됨에 따른 수명 단축 문제를 저감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램프(10-1) 및 제3 램프(10-3)는 제2 송신부(112)에 대한 전기부하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제2 송신부(112)의 부하 임피던스가 불필요하게 상승되지 않아 제2 송신부(112)는 제2 램프(10-2)만의 점등에 요구되는 전력만을 송신하게 되고, 결국 도 3과 비교할 때 전력전송의 효율이 개선되고, 발열을 낮추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스위치를 제어하여, 제1 및 제3 수신부(121, 123)와 제2 램프(10-2) 간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3 수신부(121, 123)로부터 제2 램프(10-2)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할 수도 있다.
도 5에 따르면, 램프 제어 장치(100)는, 제1 내지 제4 수신부(121 ~ 124) 각각에 의해 수신되는 전력의 측정값을 제1 내지 제4 기준 전압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제1 내지 제4 램프(10-1 ~ 10-4)로의 전력 공급을 개별적으로 차단 또는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전력 송신기(110)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되는 전력이 목표로 하는 특정 수신부 외의 다른 수신부에 간섭을 일으키더라도,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무선전력 송신기(110)로 입력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램프만을 정확히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램프 제어 장치
10: 조명부
110: 무선전력 송신기
120: 무선전력 수신기
130: 제어부

Claims (10)

  1. 제1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 전력 송신부 및 제2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송신기;
    상기 제1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2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2 전력 수신부 각각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전력 측정부와, 상기 제1 내지 제2 전력 수신부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전력을 기 설정된 제1 내지 제2 기준 전력과 비교하여 대소를 판단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한 대소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내지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별적으로 개시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1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상기 제1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1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1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2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상기 제2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2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는,
    자기 공명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와 분리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 및 상기 제어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기는,
    제3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3 전력 송신부 및 제4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4 전력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기는,
    상기 제3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전력 수신부 및 상기 제4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전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 측정부는,
    상기 제3 내지 제4 전력 수신부 각각에 수신된 전력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3 내지 제4 전력 수신부 각각에 대하여 측정된 전력을 기 설정된 제3 내지 제4 기준 전력과 비교하여 대소를 판단하며,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3 내지 제4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3 내지 제4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별적으로 개시 또는 차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3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상기 제3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3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3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3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3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3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4 램프에 대하여 설정된 상기 제4 기준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제4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2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상기 제4 전력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4 기준 전력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4 전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제4 램프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내지 제4 램프는 각각은,
    제동등, 후미등, 후진등 및 방향 지시등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1 램프 내지 제4 램프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와 다른 종류인,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KR1020160002657A 2016-01-08 2016-01-08 차량의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42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57A KR101842958B1 (ko) 2016-01-08 2016-01-08 차량의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657A KR101842958B1 (ko) 2016-01-08 2016-01-08 차량의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326A KR20170083326A (ko) 2017-07-18
KR101842958B1 true KR101842958B1 (ko) 2018-03-28

Family

ID=5943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657A KR101842958B1 (ko) 2016-01-08 2016-01-08 차량의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180B1 (ko) * 2017-12-27 2023-05-09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리어 램프 제어 방법
KR102564782B1 (ko) * 2017-12-27 2023-08-08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리어 램프 제어 방법
KR200489511Y1 (ko) 2018-02-23 2019-06-28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무선전력전송 리어램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624A1 (en) * 2008-04-24 2009-10-29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Ventilation system for lamp enclosures
JP2009539213A (ja) * 2006-06-02 2009-11-12 オクシフェ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閉鎖ユニット用の通気性閉鎖要素
KR101135690B1 (ko) * 2011-10-04 2012-04-13 (주)바오스 큐브타입 조명장치
JP2015215995A (ja) * 2014-05-09 2015-12-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9213A (ja) * 2006-06-02 2009-11-12 オクシフェ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閉鎖ユニット用の通気性閉鎖要素
WO2009131624A1 (en) * 2008-04-24 2009-10-29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Ventilation system for lamp enclosures
KR101135690B1 (ko) * 2011-10-04 2012-04-13 (주)바오스 큐브타입 조명장치
JP2015215995A (ja) * 2014-05-09 2015-12-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326A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3892B2 (ja) イントリンシックフラックス検知
KR101842958B1 (ko) 차량의 램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3167266U (ja) 無停電電源装置
WO2013077171A1 (ja) 可視光通信用照明器具及び同器具を用いた可視光通信システム
CN102196630A (zh) 用于最小化光源电源兼容性问题的方法和系统
JP2008206086A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
CN103458566A (zh) 具有减小的待机电力的照明系统
EP2359666A1 (en) Led driver with single inverter circuit with isolated multi-channel outputs
CN104137656A (zh) Led照明装置及控制led照明装置的方法
KR101232304B1 (ko)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조명용 전원 공급 제어장치
US7388337B2 (en) Fluorescent lamp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system
US9462652B2 (en) Device for LED operation
EP4253187A2 (en) Signal light,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3037588A (zh) 一种新型全功能机外照明控制器
US10668811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railroad car
KR102581920B1 (ko) 차량용 램프
KR102109045B1 (ko) 차량용 직렬 엘이디 램프 고장 감지 후 엘이디 램프 밝기 유지 시스템
WO2017083034A1 (en) Battery back up lamp using ac wiring activation
US20150312979A1 (en) Radio transmission between modules in a potential-separated led converter
KR102617539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12331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365398B (zh) 机场引导用助航灯具双向独立控制系统
KR102617538B1 (ko) 차량용 램프
JP3175935U (ja) 無停電照明器具
KR102620166B1 (ko) 상용 전원 및 dali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led 조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