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157B1 - 광경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157B1
KR101841157B1 KR1020137013943A KR20137013943A KR101841157B1 KR 101841157 B1 KR101841157 B1 KR 101841157B1 KR 1020137013943 A KR1020137013943 A KR 1020137013943A KR 20137013943 A KR20137013943 A KR 20137013943A KR 101841157 B1 KR101841157 B1 KR 101841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eth
parts
acrylic monomer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856A (ko
Inventor
나오 아리타
쿠니유키 와타나베
마사유키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쓰리본드 화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본드 화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쓰리본드 화인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08C or C08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08C or C08F
    • C08F290/046Polymer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08C or C08F
    • C08F290/042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08K5/5419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Si—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438/00Living radical polymerisation
    • C08F2438/01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or reverse ATRP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003/1034Material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fic properties
    • C09K2003/1062UV-curabl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25Polyacrylic 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발명에 의해, 내열성 시험이나 내오일성 시험에 있어서도 물리특성이 안정되고, 탈기포성 좋으면서 작업성이 우수한 광경화성 조성물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A)성분:주골격이 (메타)아크릴모노머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분자내에 적어도 2의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화합물, (B)성분: (b-1)성분 및/또는 (b-2)성분으로부터 이루어진 (메타)아크릴모노머, (b-1)성분: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50질량부를 포함하고, 분자내에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 (b-2)성분: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를 포함하고, 분자내에 포화 지환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 및 (C)성분:광개시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조성물{PHOTOCURABLE COMPOSITION}
본발명은,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경화되고, 탄성을 갖는, 내열성 및 내오일성이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서는, 주골격이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이며, 말단에 알케닐기를 갖는 중합체가 보고되어 있다. 해당 중합체는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해당 중합체는, 점성이 높고, 도포후의 탈기포성(debubbling properties) 및 코팅(塗出)시에 섬유화(stringiness)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실무적으로 사용하려면, 저분자화합물에 의해 희석하지 않으면, 작업성의 향상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라디칼종을 발생시키는 개시제(initiator)를 첨가하는 것으로, 가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메타)아크릴로일계 기를 갖는 중합체를 경화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조사에 의해 단시간으로 경화할 수 있다. 그러나, 고분자량체에 반응기가 존재할 경우, 일반적으로 가교 밀도가 낮아진다. 그 결과, 가령 경화되었다 하더라도, 얻어진 경화물의 탄성이 저하되고, 표면의 끈적거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한편, (메타)아크릴모노머를 첨가하면 가교점이 증가하므로, 경화물이 강고해지는 것과 함께 표면의 끈적거림도 저하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3과 같이, (메타)아크릴모노머의 첨가량을 지나치게 늘리면, 경화물이 점착제가 되어서, 탄성을 갖는 경화물을 조제할 수 없다. 또한, (메타)아크릴모노머를 첨가하면, 경화물의 내열성 등이 저하되고, 경화물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상기 고분자화합물을 씰제나 포팅제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메타)아크릴모노머의 선택 및 첨가량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일본특허공개 2000-03840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6-27408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5-105065호 공보
종래에는, 내구시험인 내열성 시험 및 내오일성 시험에 있어서, 물리특성이 안정되고, 탈기포성이 좋으면서, 도포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광경화성 조성물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의해 본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발명의 요지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발명의 제1 실시태양은, (A)성분∼ (C)성분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이다.
(A)성분:주골격이 (메타)아크릴모노머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분자내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화합물
(B)성분: (b-1)성분 및/또는 (b-2)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모노머
(b-1)성분: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50질량부를 포함하고, 분자내에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
(b-2)성분: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를 포함하고, 분자내에 포화 지환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
(C)성분:광개시제
본발명의 제2의 실시 태양은 (D)성분으로서, 표면을 알킬기로 처리한 흄드실리카(fumed silica)를 포함하는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조성물이다.
본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는, (b-1)성분에 있어서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가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제1 또는 제2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조성물이다.
본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는, (b-2)성분에 있어서의 포화 지환골격이, 이소보닐골격 및/또는 디사이클로펜타닐골격을 갖는 제1내지 제3실시 형태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조성물이다.
본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는, 제1내지 제4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씰제(sealing agent)이다.
본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는, 제1내지 제4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조성물, 또는 제5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재용 전자부품이다.
본발명은, 내열성 시험 및 내오일성 시험에 있어서, 물리특성이 안정되고, 탈기포성이 좋은 동시에 작업성이 우수한 광경화성 조성물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해당 광경화성 조성물은, 차재용 전자부품 등에 있어서의 씰제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발명의 상세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발명에서 사용하는 (A)성분은, 주골격이 (메타)아크릴모노머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분자내에 적어도 2의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여기에서 (메타)아크릴기란 아크릴기와 메타크릴기의 총칭이다. (A)성분에는 반응성을 갖는 (메타)아크릴기가 남아있고, 분자의 측쇄(側鎖)및/또는 말단의 어느 것에 존재하여도 무관하나, 고무탄성 및 유연성의 점에서는, 주 사슬의 양쪽말단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의 주 사슬을 구성하는 (메타)아크릴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모노머란, 아크릴기 또는 메타크릴기를 갖는 모노머의 총칭이다. 예시하면,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n-프로필, (메타)아크릴산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 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t-부틸, (메타)아크릴산-n-펜틸, (메타)아크릴산-n-헥실,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n-헵틸, (메타)아크릴산-n-옥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노닐, (메타)아크릴산 데실, (메타)아크릴산 도데실, (메타)아크릴산 페닐, (메타)아크릴산톨루일, (메타)아크릴산 벤질, (메타)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3-메톡시부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스테알릴,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메타)아크릴산 2-아미노 에틸, g-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아크릴산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메타)아크릴산트리플루오로메틸메틸(trifluoromethylmethyl), (메타)아크릴산 2-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trifluoromethylethyl), (메타)아크릴산 2-퍼플루오로에틸에틸(perfluoroethylethyl), (메타)아크릴산 2-퍼플루오로에틸-2-퍼플루오로부틸에틸, (메타)아크릴산 2-퍼플루오로에틸, (메타)아크릴산퍼플루오로메틸, (메타)아크릴산디퍼플루오로메틸메틸(diperfluoromethylmethyl), (메타)아크릴산 2-퍼플루오로메틸-2-퍼플루오로에틸메틸, (메타)아크릴산 2-퍼플루오로헥실에틸(perfluorohexylethyl), (메타)아크릴산 2-퍼플루오로데실에틸(perfluorodecylethyl), (메타)아크릴산 2-퍼플루오로헥사데실에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발명에 있어서는, 이들로부터 선택하여 중합시킬 수 있으나,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성분의 수 평균 분자량(Mn)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이며,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만이다. 수 평균 분자량이, 하한값보다 작을 경우, 경화물에 탄성이 발현되지 않는 경향을 볼 수 있다. 한편, 상한치보다 클 경우, 조성물의 성상에 강한 점성이 발현되어 취급성 및 도포성에 지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A)성분은 다양한 중합법에 따라 얻을 수 있고,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모노머의 범용성 및 반응 제어의 용이성이라는 점에서 라디칼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 중에서도 제어 라디칼 중합이 바람직하고, 리빙 라디칼 중합이 보다 바람직하고, 원자이동 라디칼 중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주 사슬인 (메타)아크릴모노머의 중합체에 대해, (메타)아크릴기의 도입법은, (1)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중합체와, 염소, 브롬 또는 수산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 사이의 반응에 의한 방법, (2)말단에 할로겐기를 갖는 비닐계 중합체와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4급 암모늄 이온을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 사이의 반응에 의한 방법, (3)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중합체에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을 반응시켜, 잔존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수산기 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들은 이미 공지의 방법이며, 특개쇼 61-133201호 공보, 특개평 11-80250호 공보, 특허공개 2000-38404호 공보, 특허공개 2001-271055호 공보, 특허공개 2002-69121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발명의 (B)성분인 (메타)아크릴모노머가 가리키는 것은, 상기와 (메타)아크릴모노머와 동일하나, 본발명의 (B)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b-1)성분으로서 분자내에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및/또는 (b-2)성분으로서 포화 지환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이다. 이들 성분의 첨가량은,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b-1)성분은 0.1∼50질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0.1∼30질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질량부이다.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b-2)성분은 0.1∼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질량부이다. (B)성분의 총첨가량이 많으면, 경화물이 약해져 내구시험에 있어서 내구성을 보유할 수 없다. 한편, (B)성분의 총첨가량이 적으면, 점도가 높아져 도포성이 저하되면서, 조성물의 점성이 높아져 섬유화(stringiness) 문제가 발생한다.
(b-1)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 (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acryloyloxyethyl succinate), 2- (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acryloyloxyethyl hexahydrophthalate), 2- (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b-1)성분은 화학식 1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hydroxypropylmethacrylate)및/또는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methacrylate)이다.
Figure 112013048247812-pct00001
(화학식 1)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 R2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b-2)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소보닐 골격 및/또는 디사이클로펜타닐 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이다.
본발명의 (C)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광개시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활성 라디칼종이 발생하여 (A)성분 및 (B)성분을 라디칼 중합시키는 것이다. (C)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세토페논, 프로피오폐논, 벤조페논, 크산톨(xanthol), 플루오렌,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트리페닐아민, 카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메틸아세토페논, 3-펜틸아세토페논, 4-메톡시아세토페논, 3-브로모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p-디아세틸벤젠, 3-메톡시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올리고 (2-히드록시-2메틸-1- (4- (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4-알릴아세토페논(allylacetophenone), 캠퍼퀴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4-메틸벤조페논, 4-클로로-4'-벤질벤조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파논, 3-클로로크산톤, 3,9-디클로로크산톤(dichloroxanthone), 3-클로로-8-노닐크산톤(nonylxanthone), 벤조일, 벤조일메틸에테르(benzoylmethylether), 벤조인부틸에테르, 비스(bis)(4-디메틸아미노페닐(dimethylaminophenyl))케톤, 벤질메톡시케탈(benzylmethoxyketal), 2-클로로티오잔톤, o-메틸벤조에이트, 벤질디메틸케탈, 메틸벤조일포메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C)성분은 0.1∼10질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성분이 0.1질량부보다 적으면 광경화성이 저하되고, 10질량부보다 많으면, 라디칼종의 발생량이 많아져 경화물이 단단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본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D)성분은, 표면을 알킬기로 처리한 흄드실리카이다. 흄드실리카의 표면에는 실라놀기가 잔류하고 있으므로 미처리의 상태에서는 친수성이나, 상기 실라놀기에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등을 부가시키는 것으로 표면을 소수화(疎水化)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본발명에서는, 탄소수가 2이상으로 직쇄 형태의 알킬기를 부가시킨 흄드실리카가 바람직하다. 또한, 흄드실리카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1∼100nm의 평균 일차입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상품명으로서는, Nippon Aerosil Co., Ltd.의 NKC130, R805 등을 들 수 있다. 흄드실리카의 표면처리의 종류는 다수존재하나, 알킬기 이외의 처리는 조성물 내로 분산되게 한 후, 장기 보존중에는 침강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본발명의 (D)성분이 적합하다. 더욱, 명확한 이유는 판명되지 않았으나, (D)성분을 사용한 경우, (B)성분의 첨가량과의 균형도 있으나, 탈기포성이 양호하다. 경화물에 기포가 잔류한 경우, 그 부분으로부터 크랙이 생겨 내구시험에서 물리특성을 유지할 수 없다.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D)성분은 0.1∼10질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0질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D)성분이 0.1질량부보다 적으면, (B)성분의 첨가량과의 균형도 있으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서 흘러버린다. 한편, 5.0질량부보다 많으면, 역시 (B)성분의 첨가량과의 균형도 있으나 탈기포성이 저하하는 경향을 보인다.
빛이 조사되지 않는 음부를 경화시키기 위해, 본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는, 유기과산화물을 첨가하여 가열경화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유기과산화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에틸케톤 퍼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3,3,5-트리메틸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trimethylcyclohexanone peroxide), 메틸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methylcyclohexanone peroxide),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퍼옥사이드, 아세틸아세톤퍼옥사이드 등의 케톤퍼옥사이드(ketone peroxides)류;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2,2-비스(t-부틸퍼옥시)옥탄,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발러레이트, 2,2-비스(t-부틸퍼옥시)부탄 등의 퍼옥시케탈(peroxyketals)류;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p-멘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 2,5- 디메틸헥산-2,5-디하이드로퍼옥사이드(dihydroperoxide), 1,1,3,3-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하이드로퍼옥사이드(hydroperoxides)류;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αα'-비스(t-부틸퍼옥시 m-이소프로필)벤젠, 2,5- 디메틸 -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 디메틸 -2,5-디(t-부틸퍼옥시)헥사인-3등의 디알킬퍼옥사이드(dialkyl peroxides)류; 아세틸퍼옥사이드, 이소부티릴퍼옥사이드, 옥타노일퍼옥사이드, 데카노일퍼옥사이드, 라우릴 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썩시닉애씨드퍼옥사이드(succinic acid peroxide), 벤조일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m-톨루오일퍼옥사이드 등의 디아실퍼옥사이드(diacyl peroxides)류;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비스- (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미리스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메톡시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dimethoxyisopropyl peroxydicarbonate), 디(3-메틸-3-메톡시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알릴퍼옥시디카보네이트 등의 퍼옥시디카보네이트(peroxydicarbonates)류;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쿠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네이트, 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라우레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t-부틸퍼옥시이소프탈레이트(butyl peroxy isophthalate), 2,5- 디메틸 -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t-부틸퍼옥시말레익산(butyl peroxymaleic acid),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큐밀퍼옥시옥토에이트, t-헥실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네오헥사노에이트(butyl peroxyneohexanoate), t-헥실퍼옥시네오헥사노에이트(hexyl peroxyneohexanoate), 큐밀퍼옥시네오헥사노에이트(cumyl peroxyneohexanoate)등의 퍼옥시에스테르(peroxyesters)류; 및 아세틸시클로헥실설포닐퍼옥시드(acetyl cyclohexyl sulfonyl peroxide), t-부틸퍼옥시알릴카보네이트(butyl peroxyallylcarbonate)가 있으나,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는, 물성을 조정하기 위해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노화 방지제, 가소제, 물성조정제, 용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는 본래,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이 우수한 중합체이므로, 노화 방지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나, 종래 공지의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노화 방지제는, 중합시의 중합 제어에도 이용할 수 있고, 물성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산화 방지제는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고, 티오에테르계, 인계(phosphorous), 힌더드페놀계, 모노아크릴레이트페놀(monoacrylate-phenol)계, 니트록시드(nitroxide)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하에 나타낸 것과 같은 힌더드페놀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티오에테르계 산화 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MARK PEP-36, MARK AO23 (이상 모두Adeka Argus Chemical사)등을 들 수 있다.
인계 산화 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Irgafos38, Irgafos168, IrgafosP-EPQ (이상 모두Nihon Ciba-Geigy K.K.사)등을 들 수 있다.
힌더드페놀계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2,6디-t-부틸-4-메틸 페놀, 2,6-디-t-부틸-4-에틸페놀, 모노(mono)(또는 디 (di)또는 트리(tri)) (α메틸벤질)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 (3-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2,5-디-t-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t-아밀하이드로퀴논,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 [3- (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1,6-헥산디올-비스 [3-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4-비스- (n-옥틸티오)-6- (4-히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butylanilino))-1,3,5-트리아진,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 [3-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티오-디에틸렌비스(diethylenebis) [3-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N, N'-헥사메틸렌비스(hexamethylenebis)(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록신아마미드)(N, N'-hexamethylenebis(3,5-di-t-butyl-4-hydroxy-hydrocinnamamide),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디에틸에스테르,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에틸)칼슘,트리스-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2,4-비스 [(옥틸티오)메틸]o-크레졸, N, N'-비스 [3- (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2- (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 [2-히드록시-3,5-비스(α,α- 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 (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 (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 (3,5-디 -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 (3,5-디-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 (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메틸-3- [3-t-부틸-5- (2H-벤조트리아졸-2-일(yl))-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약300)과의 축합물,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유도체, 2- (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2-n-부틸말론산비스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2,4-디-t-부틸 페닐-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품명으로 말하자면, NOCRAC 200, NOCRAC M-17, NOCRAC SP, NOCRAC SP-N, NOCRAC NS-5, NOCRAC NS-6, NOCRAC NS-30, NOCRAC 300, NOCRAC NS-7, NOCRAC DAH(이상 모두 Ouchi Shinko Chemical Co., Ltd.사), MARK AO-30, MARK AO-40, MARK AO-50, MARK AO-60, MARK AO-616, MARK AO-635, MARK AO-658, MARK AO-80, MARKAO-15, MARK AO-18, MARK 328, MARK AO-37 (이상 모두 Adeka Argus Chemical사),IRGANOX-245, IRGANOX-259, IRGANOX-565, IRGANOX-1010, IRGANOX-1024, IRGANOX-1035, IRGANOX-1076, IRGANOX-1081, IRGANOX-1098, IRGANOX-1222, IRGANOX-1330, IRGANOX-1425WL (이상 모두 Nihon Ciba-Geigy K.K.사), SumilizerGA-80(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모노아크릴레이트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 2-t-부틸-6- (3t-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methylphenylacrylate) (상품명Sumilizer GM), 2,4-디-t-아밀-6- [1- (3,5-디-t-아밀-2-히드록시페닐)에틸]페닐아크릴레이트(상품명Sumilizer G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니트록시드계 산화 방지제로서, 2,2,6,6-치환-1-피페리디닐옥시라디칼(piperidinyl oxyradicals)이나 2,2,5,5-치환-1-피롤리디닐옥시라디칼(pyrrolidinyl oxyradicals) 등, 환형 히드록시 아민으로부터의 니트록시프리라디칼(nitroxy free radicals)을 예시할 수 있다. 치환기로서는 메틸기나 에틸기 등의 탄소수 4이하의 알킬기가 적당하다. 구체적인 니트록시프리라디칼 화합물로서는, 한정은 되지 않으나,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라디칼(TEMPO), 2,2,6,6-테트라에틸-1-피페리디닐옥시라디칼, 2,2,6,6-테트라메틸-4-옥소-1-피페리디닐옥시라디칼, 2,2,5,5-테트라메틸-1-피롤리디닐옥시라디칼, 1,1,3,3-테트라메틸-2-이소인돌리닐옥시라디칼(isoindolinyl oxyradical), N, N-디-t-부틸아민옥시라디칼 등을 들 수 있다. 니트록시프리라디칼 대신, 갈비노옥실프리라디칼 (galvinoxyl free radicals)등의 안정된 프리라디칼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는 광안정제와 병용할 수 있다. 광안정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상품명Sanol)등을 들 수 있다. 병용하는 것에 의해 그 효과가 더욱 발휘되고, 특히 내열성이 향상되기도 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미리 산화 방지제와 광안정제를 혼합한 TINUVIN C353, TINUVIN B75 (이상 모두Nihon Ciba-Geigy K.K.사)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씰부, 포팅부 등에 도포한 후, 자외선이나 가시광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할 수 있으므로, 취급성이 양호하고, 씰제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관한 조성물은 내열성 및 내오일성을 가지므로, 차재용 전자부품 중에서도 항상 고온과 오일 비산에 노출되는 부품에도 이용할 수 있다. 가혹한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차재용 전자부품의 구체적인 예로는, 유압 스위치(oil pressure switches), 공기 유량계(air flow meters), 캠 포지션 센서(cam position sensors), 수온 센서, 크랭크 포지션 센서(crank position sensors), 흡기온도 센서(inlet air temperature sensors), 차속 센서(speed sensors)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포팅이 필요한 차재용 전자기판이나 차재용 전기전자부품의 조립에 사용할 수 있다. 전자기판의 구체적인 예로는, 엔진 제어장치, 스로틀 제어장치, 배기가스 재순환 제어장치 등의 전자기판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광경화성 조성물은 단지 조성물이라 한다.)
[ 제조예1 ]
주골격이 (메타)아크릴모노머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분자내에 적어도 2의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화합물을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브롬화 제1구리를 촉매,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을 리간드, 디에틸-2,5-디브로모디페이트(dibromoadipate)를 개시제로서, 아크릴산n-부틸을 중합하고, 수평균 분자량 25200, 분자량분포 1.20의 말단브롬기폴리(아크릴산n-부틸)를 얻었다. 이 중합체 300g을 N, N-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300mL)에 용해시켜, 아크릴산 칼륨 5.3g을 더하고, 질소분위기하, 70도에서 3시간 가열 교반하고, 아크릴로일기 양말단 폴리(아크릴산n-부틸) (이하, 중합체 1이라 한다)의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액 중 N, N-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감압유거한 후, 잔사에 톨루엔을 더하고, 불용분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액(濾液)의 톨루엔을 감압유거하여, 중합체 1을 정제하였다. 정제후의 중합체 1의 수 평균 분자량은 27100, 분자량분포는 1.31, 평균 말단아크릴로일기 수는 2.0 (즉, 말단에의 아크릴로일기의 도입율은 100%)이었다.
상기의 「수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중량평균 분자량과 수 평균 분자량의 비교)」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법에 의해 산출하였다. 단, GPC컬럼으로서 폴리스티렌 가교결합 된 겔을 충진한 것을 2개 (shodex GPC K-802.5; Showa Denko K.K.사) (shodex GPCK-804; Showa Denko K.K.사)를 직렬로 연결하여 이용하고, GPC용매로서 클로로포름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의 「평균 말단 아크릴로일기 수」는, 「중합체 1분자당의 말단에 도입된 아크릴로일기 수의 평균치」이며, 1H-NMR분석 및 GPC에 의해 구해진 수 평균 분자량에 의해 산출하였다.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해 하기 성분을 준비하였다.
(A)성분:주골격이 (메타)아크릴모노머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분자내에 적어도 2의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화합물
·제조예 1로 얻은 중합체 1
(B)성분: (b-1)성분 및/또는 (b-2)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메타)아크릴모노머
(b-1)성분:분자내에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
·모노머1: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2: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b-2)성분:분자내에 포화 지환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
·모노머3: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모노머4:디사이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B')성분: (B)성분 이외의 (메타)아크릴모노머
·모노머1':라우릴아크릴레이트
·모노머2':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C)성분:광개시제
·광개시제 1:벤조페논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의 1:2(질량비)의 혼합물.
(D)성분:표면을 알킬기로 처리한 흄드실리카
·실리카1:옥틸실란(octylsilane)기를 부가한 흄드실리카(평균 일차입경 12nm, 비교표면적 200m2/g) (Aerosil R805 Nippon Aerosil Co., Ltd.사)
(D')성분: (D)성분 이외의 흄드실리카
·실리카1':폴리디메틸실록산기를 부가한 흄드실리카(평균 일차입경 12nm, 비교표면적 200m2/g) (Aerosil RY200 Nippon Aerosil Co., Ltd.사)
·실리카2': 디메틸실록산기로 처리한 흄드실리카(평균 일차입경 12nm, 비교표면적 200m2/g) (Aerosil R974 Nippon Aerosil Co., Ltd.사)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조제한다. (A)성분과 (D)성분을 첨가하여 교반기에 의해 30∼60분간 교반한 후, (B)성분을 첨가하여 다시 30분정도 교반을 실시한다. (C)을 첨가하여 15분 교반한 후, 기포제거를 실시하여 메쉬를 통해 여과하여 용기에 충진한다. 상세한 조제량은 표1에 따르며, 수치는 모두 질량부로 표기한다.
성분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A)성분 제조예 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성분 모노머1 15 50 8 15 15
모노머2 15 15 15
(b-2)성분 모노머3 8 8 8
모노머4 8 8 8
(B')성분
모노머1
모노머2
(C)성분 광개시제 3 3 3 3 3 3 3 3 3 3
(D)성분 실리카1 3 3 3 3 3 3 3 3 3 3
(D')성분 실리카1
실리카2
합계 121 121 156 114 114 114 129 129 129 129
성분 원재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A)성분 제조예 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1)성분 모노머1 100 8 8 15
모노머2 8 8
(b-2)성분 모노머3 100 50 20 15 15
모노머4 15 15
(B')성분
모노머1
모노머2
(C)성분 광개시제 3 3 3 3 3 3 3 3 3 3
(D)성분 실리카1 3 3 3 3 3 3 3 3 3
(D')성분 실리카1 3
실리카2
합계 106 206 206 156 126 129 129 129 129 121
성분 원재명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A)성분 제조예 1 100 100 100
(b-1)성분 모노머1 15
모노머2
(b-2)성분 모노머3
모노머4
(B')성분
모노머1 15
모노머2 15
(C)성분 광개시제 3 3 3
(D)성분 실리카1 3 3
(D')성분 실리카1
실리카2 3
합계 121 121 121
미경화의 실시예 1∼10및 비교예 1∼13에 대해서는, 성상(性狀)으로 점도와 탈기포성을 확인하고, 경화물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해서는, 물리특성으로서 경도, 인장전단접착 강도, 신장률, 유리 전이점(DMA)을 측정하였다. 또한, 내구시험으로, 내열성 확인 시험 및 내오일성 확인 시험을 실시하였다. 초기의 측정 결과 및 내구시험후의 물리특성변화율을 표2에 정리하였다.
[점도측정]
순환 고온수선을 이용하여 25℃로 조정된 콘 플레이트형 회전 점도계를 이용한다. 조성물을 0.5cc 채취하여, 샘플 컵의 중심부에 토출한다. 샘플 컵을 본체에 장착하여, 3분간 측정을 한다. 측정 결과를 「점도(Pa·s)」로 한다. 점도는 10∼40Pa·s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Pa·s보다 낮으면 조성물의 흐름성이 지나치게 많은 경향 이 있고, 40Pa·s보다 높으면 조성물의 도포성이 저하되어 섬유화(stringiness)의 문제가 발생한다.
[ 탈기포성 확인]
조성물에 의도적으로 기포를 혼입시킨 후, 해당 조성물을 12cc의 유리 용기에 10cc을 충진한다. 그 후, 40도 분위기의 항온기에 12시간 정도 방치하고, 탈기포성을 3단계로 판정한다. 판정 기준은 아래와 같이 하고, 그 결과를 「탈기포성」이라 한다. 탈기포성은, ○ 또는 △인 것이 바람직하다.
0: 기포가 남아있지 않다
△: 기포가 약간 남아있다
×: 기포가 제거 되지 않았다
[경도( 쇼어 ( Shore )A)]
조성물의 두께를 6mm로 설정한 상태에서, 자외선조사기로 45kJ/m2을 조사하여 시트형상의 경화물을 작성한다. A형 듀로미터(경도계)의 가압면을 시트형상 경화물에 대하여 평행으로 유지하면서, 충격을 수반하지 않고 신속하게 10N의 힘으로 눌러, 가압면과 시료(試料)를 밀착시킨다. 측정시에 최대치를 읽어, 최대치를 「경도(단위없음)」로 한다. 상세한 것은 JIS K 6253에 따른다. 고온분위기에 있어서 경도가 낮은 쪽이 체적의 팽창 수축에 추종할 수 있으므로, 경도는 5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전단접착 강도측정]
철(JIS, G,3141 SPCC, SD)에 조성물을 칠하고, 유리(JIS, R,3202)와 25mm×0mm의 면적으로 서로 붙인다. 자외선조사기로 45kJ/m2을 조사하여 테스트 피스를 작성한다. 테스트 피스의 장축과 척(chuck)의 중심이 일직선이 되도록, 테스트 피스의 양단을 척에 고정한다. 인장속도 50mm/min으로 테스트 피스를 당겨, 최대하중을 측정한다. 해당 최대하중 때의 강도를 「전단접착 강도(MPa)」로 한다. 상세한 것은 JIS K 6850에 따른다. 전단접착 강도는, 1.0MPa이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률측정]
조성물의 두께를 2mm로 설정하고, 45kJ/m2을 조사하여 시트형상의 경화물을 작성한다. 3호 덤벨로 펀칭하여 테스트 피스를 제작하고, 10mm 간격의 표선을 테스트 피스에 기입한다. 인장전단강도의 측정과 같은 용량으로 척에 고정하고, 인장속도 500mm/min으로 시험편의 절단될 때까지 잡아 당긴다. 측정시에 테스트 피스가 늘어나 표선의 간격의 넓어지므로, 테스트 피스가 절단될때까지 노기스(Nonius)에 의해 표선의 간격을 계측한다. 초기의 표선간격을 기준으로하여, 늘어난 비율을 「신장률(%)」이라 한다. 팽창 수축에 추종하기 위해서는 신장률이 100%이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점 측정]
조성물의 두께를 1mm로 설정하고, 45kJ/m2을 조사하여 시트형상의 경화물을 작성한다. 폭 10mm로 펀칭하고, 테스트 피스를 제작한다. DMA(동적점탄성측정)장치에 장착하여, 저장 탄성율, 손실탄성율, tanδ을 측정한다. 손실탄성율의 극대값에 있어서의 온도를 「유리 전이점(℃)」로 한다.
[내열성 확인 시험]
초기의 측정에 있어서 작성한 경도, 전단접착 강도, 신장률 및 유리 전이점 측정용 테스트 피스의 일부를, 150도 분위기로 설정한 열풍건조로에 100시간 방치한다. 테스트 피스를 꺼내, 실온이 될 때까지 방치한 후에 측정하고, 초기와 150도 방치 후의 각 특성의 「변화율(%)」을 수식 1에 따라 계산한다. 유리 전이점의 변화율(%)은 ±10% 이내, 그 밖의 시험 항목의 변화율(%)은 ±50% 이내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3048247812-pct00002
(수식 1)
[ 내오일성 확인 시험]
초기의 측정시에 작성한 경도, 전단접착 강도 및 신장률 측정용 테스트 피스의 일부를 내압용기에 오일과 함께 투입한다. 내압용기를 150도 분위기로 설정한 열풍건조로에 100시간 방치한다. 내압용기를 꺼내 실온이 될 때 까지 방치한 후, 테스트 피스를 꺼내서 오일을 닦아낸다. 그 후에 측정을 하고, 초기와 150도 방치후의 각 특성의 수식 1에 따라 「변화율(%)」을 계산한다. 각 시험 항목의 변화율(%)은 ±50% 이내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스트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초기 점도 30 29 12 34 36 37 19 20 20 21
탈기포성 O O O O O O O
경도 33 38 45 32 28 32 29 36 31 40
전단접착강도 2.7 2.9 4.6 2.7 1.1 1.2 2.5 2.6 2.7 3.2
신장율 185 167 117 174 141 121 212 189 194 178
내구성 확인시험 경도 변화율 15 18 12 16 -11 -6 48 17 48 25
전단접착강도 변화율 -15 -21 2 -5 -11 -18 1 -9 -13 -17
신장율 변화율 -19 -40 -15 -25 3 0 -41 -23 -48 -35
유리이전점 변화율 -4 -5 -3 0 -7 -5 -7 4 -8 0
내오일성 확인시험 경도의 변화율 -3 0 8 -9 -32 -41 3 -11 19 5
전단접착강도의 변화율 5 7 29 8 -35 -23 20 8 19 -2
신장율 변화율 -8 -16 -2 -8 6 0 -17 -18 -30 -19
테스트항목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초기 점도 31 7 7 13 20 20 21 20 21 33
탈기포성 X O O O O O O O O X
경도 33 35 79 56 27 22 27 24 29 33
전단접착강도 0.7 3.3 12.0 5.9 1.1 1.4 1.8 1.8 1.9 2.4
신장율 100 55 185 175 165 213 212 221 205 175
내구성 확인시험 경도의 변화율 -12 71 -10 -14 -4 105 37 96 48 15
전단접착강도의 변화율 -3 -43 -12 -30 -25 42 -3 16 -5 -14
신장율 변화율 20 -9 -2 -6 -12 -62 -50 -68 -51 -19
유리이전점 변화율 -10 -3 -13 -13 -8 -7 -11 -2 0 -4
내오일성 확인시험 경도의 변화율 -52 63 -95 -75 -52 -9 -19 4 0 -3
전단접착강도의 변화율 -33 -56 -96 -89 -50 3 -9 6 9 8
신장율 변화율 50 9 16 14 6 0 -15 -30 -24 -9
테스트항목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초기 점도 28 32 85
탈기포성 X X
경도 32 26 70
전단접착강도 2.5 0.6 3.1
신장율 180 95 45
내구성 확인시험 경도의 변화율 16 -82 90
전단접착강도의 변화율 -15 -52 45
신장율 변화율 -21 -39 -70
유리이전점 변화율 -7 -5 -18
내오일성 확인시험 경도의 변화율 -3 -92 -70
전단접착강도의 변화율 5 -85 -90
신장율 변화율 -8 -19 10
표2의 각 항목의 시험 결과와 같이, 다수의 비교예는, 내열성과 내오일성을 양립할 수 없다. (b-1)성분의 첨가량이 50질량부를 초과하는 비교예2, (b-2)성분의 첨가량이 10질량부를 초과하는 비교예 3∼5에서는, 내오일 시험후의 변화율이 크다. 한편, (b-1)성분과 (b-2)성분을 혼합한 비교예 6∼9에서는, (b-1)성분은 50질량부 미만이나, (b-2)성분은 10질량부를 초과하고 있고, 내오일성 시험후의 변화율이 바람직한 범위이나, 내열성 시험후의 변화율이 크다. 이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내열성 및 내오일성 시험후의 변화율이 50% 미만으로 억제되어 있다. 또한, 모든 실시예와, (D)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0및 11을 비교하면, 비교예 10및 11의 탈기포성이 나쁜 결과인 것에 반해,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는, 탈기포성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의 경화물에는 기포가 남아 있기 어렵고, 내구시험에 있어서 크랙의 원인이 되기 어렵다.
본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다른 경화 형태인 가열 경화, 습기경화와 비교하여도 단시간에 경화되므로, 라인텍트의 단축으로 연결되어 부품이나 기판 등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일반적으로 연질의 경화물은, 내구시험 후에 물리특성의 열화가 심하나, 본발명은 특히 150도 분위기의 내열성 및 150도 분위기의 내오일성에서도 물리특성에 변화가 적고 안정되게 물리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탄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온도변화에 의한 팽창 수축에 추종할 수 있고, 피착체로부터의 박리 등을 일으키기 어렵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본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씰제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분야는 물론, 자동차분야에 있어서 차재용 전기·전자부품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차재용 전자부품은, 엔진오일 등의 오일에 접촉하는 부분에 전자부품을 사용하기도 하고, 내오일성을 겸비하는 본발명은 해당분야에 있어서 유용한 조성물이다.

Claims (6)

  1. (A)성분: 주골격이 (메타)아크릴모노머의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분자내에 적어도 2의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화합물;
    (B)성분: (b-1)성분 및 (b-2)성분으로부터 이루어진 (메타)아크릴모노머,
    (b-1)성분: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50질량부를 포함하고, 분자내에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
    (b-2)성분: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질량부를 포함하고, 분자내에 포화 지환골격을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
    (C)성분: 광개시제; 및
    (D)성분: 탄소수 2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로 처리한 흄드실리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1)성분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acryloyloxyethyl succinate),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acryloyloxyethyl hexahydrophthalate) 및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2)성분에 있어서의 포화 지환골격이, 이소보닐 골격 및 디사이클로펜타닐 골격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조성물.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씰제.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기재된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재용 전자부품.
  6. 삭제
KR1020137013943A 2010-11-30 2011-11-15 광경화성 조성물 KR101841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7189 2010-11-30
JP2010267189A JP5660305B2 (ja) 2010-11-30 2010-11-30 光硬化性組成物
PCT/JP2011/076308 WO2012073688A1 (ja) 2010-11-30 2011-11-15 光硬化性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856A KR20130121856A (ko) 2013-11-06
KR101841157B1 true KR101841157B1 (ko) 2018-03-22

Family

ID=4617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943A KR101841157B1 (ko) 2010-11-30 2011-11-15 광경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69709B2 (ko)
EP (1) EP2647652B1 (ko)
JP (1) JP5660305B2 (ko)
KR (1) KR101841157B1 (ko)
CN (1) CN103228689B (ko)
WO (1) WO2012073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4071B2 (ja) * 2011-12-26 2016-12-14 日立化成株式会社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用装置
JP5695101B2 (ja) * 2013-02-04 2015-04-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ガスケッ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EP2952528B1 (en) 2013-02-04 2017-11-15 Bridgestone Corporation Photocurable elastomer composition, gasket for hard disk drive, and hard disk drive
JP5675863B2 (ja) * 2013-02-04 2015-0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シール材、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ガスケットおよび装置
JP5675861B2 (ja) * 2013-02-04 2015-0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シール材、及び装置
JP5675862B2 (ja) * 2013-02-04 2015-02-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ガスケッ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5695100B2 (ja) * 2013-02-04 2015-04-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ガスケッ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US9388267B2 (en) 2013-02-04 2016-07-12 Bridgestone Corporation Photocurable elastomer composition, seal material, gasket for hard disc drive, hard disc drive and apparatus
JP5695102B2 (ja) * 2013-02-04 2015-04-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光硬化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用ガスケッ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7064442B2 (ja) * 2016-11-07 2022-05-10 株式会社カネカ 粘着剤用組成物、粘着剤、及び、粘着剤の製造方法
JP6540662B2 (ja) * 2016-11-16 2019-07-10 日立化成株式会社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用装置
JP2020007449A (ja) * 2018-07-06 2020-01-16 株式会社コバヤシ 光硬化性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4584A1 (ja) * 2005-06-30 2007-01-11 Three Bond Co., Ltd. 硬化性組成物およびシール方法
JP2007077182A (ja) * 2005-09-09 2007-03-29 Kaneka Corp 活性エネルギー硬化型組成物およびそれを硬化させて得られる硬化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9088A (en) * 1980-06-04 1984-01-31 Bachmann Andrew G Adhesive composition
JPS61133201A (ja) 1984-11-30 1986-06-20 Sunstar Giken Kk 室温硬化性弾性組成物
JP3895460B2 (ja) 1997-04-18 2007-03-22 株式会社カネカ 重合体、該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該重合体を用いた硬化性組成物
JP3751753B2 (ja) 1998-07-23 2006-03-01 株式会社カネカ 末端にアルケニル基を有する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該重合体を用いた硬化性組成物
JP2001271055A (ja) 2000-03-27 2001-10-0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シーリング材組成物
JP4499260B2 (ja) 2000-08-25 2010-07-07 株式会社カネカ ビニル系重合体の精製方法
JP2005105065A (ja) 2003-09-29 2005-04-21 Kaneka Corp アクリル系粘着剤
CA2558968A1 (en) * 2004-03-11 2005-09-22 Kaneka Corporation Active energy curing type composition for in-place shaping gasket and in-place shaped gasket
JP4786921B2 (ja) 2005-03-29 2011-10-05 株式会社カネカ 現場成形ガスケット用組成物および現場成形ガスケット
JP5676256B2 (ja) * 2008-06-06 2015-02-25 株式会社カネカ 難接着基材用接着剤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接着剤および光学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4584A1 (ja) * 2005-06-30 2007-01-11 Three Bond Co., Ltd. 硬化性組成物およびシール方法
JP2007077182A (ja) * 2005-09-09 2007-03-29 Kaneka Corp 活性エネルギー硬化型組成物およびそれを硬化させて得られる硬化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856A (ko) 2013-11-06
JP5660305B2 (ja) 2015-01-28
WO2012073688A1 (ja) 2012-06-07
EP2647652A4 (en) 2015-08-26
EP2647652B1 (en) 2019-04-17
JP2012116931A (ja) 2012-06-21
CN103228689B (zh) 2015-04-22
EP2647652A1 (en) 2013-10-09
CN103228689A (zh) 2013-07-31
US9469709B2 (en) 2016-10-18
US20130267626A1 (en)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57B1 (ko) 광경화성 조성물
KR101845758B1 (ko) 광경화성 조성물
US10774166B2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US9133330B2 (en) Composition for use as material for electrical or electronic parts, and cured product thereof
JP6913273B2 (ja) ラジカル硬化性樹脂組成物、モータ用接着剤組成物
WO2007034914A1 (ja) 光ラジカル硬化/光カチオン硬化併用硬化性組成物
JP4787018B2 (ja) 現場成形ガスケット用組成物及びガスケット、並びに、(メタ)アクリル系重合体及びその硬化性組成物
JP5861824B2 (ja) 熱硬化性組成物
JP4786921B2 (ja) 現場成形ガスケット用組成物および現場成形ガスケット
KR102553298B1 (ko) 광경화성 조성물, 경화체 및 경화체를 사용한 개스킷 및 방수 구조 및 개스킷의 제조 방법
CN114008095B (zh) 燃料电池用自由基固化性密封构件
JP2006274085A (ja) 液状硬化性組成物および硬化物
JP2006299233A (ja)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JP2006273918A (ja) 電気、電子部品材料用組成物及び電気、電子部品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