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875B1 - 자기점착성 박막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점착성 박막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875B1
KR101839875B1 KR1020160164533A KR20160164533A KR101839875B1 KR 101839875 B1 KR101839875 B1 KR 101839875B1 KR 1020160164533 A KR1020160164533 A KR 1020160164533A KR 20160164533 A KR20160164533 A KR 20160164533A KR 101839875 B1 KR101839875 B1 KR 101839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layer
thickness
adhesiv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일
국윤봉
김은진
허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Priority to KR102016016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09J2201/162
    • C09J2201/622
    • C09J2205/1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점착성을 갖는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30㎛ 이하의 박막 두께를 가지면서 두께 편차가 거의 없고 우수한 인장강도와 파단강도를 갖는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점착성 박막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THIN PROTECTIVE FILM WITH SELF ADHESIV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기점착성을 갖는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30㎛ 이하의 박막 두께를 가지면서 두께 편차가 거의 없고 우수한 인장강도와 파단강도를 갖는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LCD 모듈, 편광판, TV,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관련 기기는 운송, 보관 또는 제조시, 대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 등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과 표면 손상(scratch)을 방지하기 위해 기능성 보호 필름을 화면에 부착한 상태로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최신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제품을 생산, 포장할 때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할 때까지 흠결 없는 깨끗한 화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청정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표면의 청정도 및 동작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호 필름을 사용한다.
특히, LCD에 사용되는 편광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자 역할을 하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층(3)과, 그 양면에 부착되어 보호층 역할을 하는 TAC 필름(2, 4)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AC 필름 중 하나는 눈부심 방지 기능을 하는 TAC 필름(AG-TAC)이다. 이러한 AG-TAC/PVA/TAC의 3층 필름의 일면에 점착제(5)와 이형필름(6)이 부착되고, 반대면에는 PET 보호필름(1)이 부착된다.
한편, 편광판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AG-TAC 필름, 편광자인 PVA 필름, 일반 TAC 필름을 각각 연신한 다음, PVA 필름을 중간층으로 하여 그 일면에 AG-TAC 필름을 부착하고 반대면에 일반 TAC 필름을 부착하는 합지공정을 거쳐 3층의 보호필름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합지공정에서, TAC 필름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미세한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합지될 TAC 필름 외면에 자기점착성 보호필름을 부착시킨 상태로 공정을 진행한 후, PET 보호필름이나 이형필름을 부착하기 전에 이 보호필름을 탈착하여 폐기한다.
상기 보호필름은 일반적으로 5 내지 10 gf/mm 자기점착성과 1개/m3 이하의 피시아이(fish eye)를 가져야 하고, 정전기 발생이 없고, 스티프니스가 있을 것 등의 물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보호필름을 공압출 방법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4877호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층,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포함하는 제2층, 및 초저밀도폴리에틸렌(LLDPE)과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3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공압출 방법으로 제조된 자기점착성 보호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공압출 방식은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다양한 원료의 사용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호필름의 두께를 박막화하기 위한 요구가 계속 높아지고 있지만, 종래 공압출 방법으로는 30 ㎛ 이하의 두께로 박막화된 보호필름을 제조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 공압출 방법으로 제조된 보호필름의 경우 두께 편차가 발생하여 편광판 제조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30 ㎛ 이하의 박막 두께를 갖는 동시에 두께 편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보호필름에서 요구되는 자기점착성과 강도를 갖는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는, 연신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위에 압출 코팅으로 형성된 저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이 1 내지 5 gf/25mm이고, 상기 보호필름은 15 내지 30㎛의 두께, 200 내지 1250 kgf/cm2의 인장강도 및 3 내지 3.5 kgf/cm2의 파단강도를 갖는,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 편차는 2 % 이하(0 포함)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층,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2층 및 터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3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층 위에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연신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250 내지 300℃로 가열하여 100 내지 150 m/min의 속도로 압출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제조된 보호필름의 점착층의 점착력은 1 내지 5 gf/25mm이고,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 편차는 2% 이하(0 포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은 30㎛ 이하의 두께를 갖고, 기존 공압출 보호필름과 대비하여 두께 편차가 거의 없고, 인장강도와 파단강도 역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을 통해 두께편차를 최소화하고 F/E 외관 관리가 가능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광판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1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보면, 보호필름(1)은 연신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기재층(11) 및 저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점착층(12)으로 이루어진 보호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층은 연신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OPP)으로 이루어진 단일층이거나 2종 이상의 연실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다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층,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2층 및 터(ter)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3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층 위에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자기점착층과의 이형성이 우수하다. 제2층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보호필름에서 요구되는 강도를 부여한다. 제3층은 터(Ter)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와의 접착이 용이하게 한다.
호모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량체로만 이루어진 경우이고, 랜덤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에틸렌 단량체가 서로 코폴리머 형태로 중합된 경우이며, 터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에틸렌, 부텐-1 단량체가 서로 코폴리머 형태로 중합된 경우를 가리킨다. 호모폴리프로필렌은우, 프로필렌 단량체로만 이루어지므로 결정성이 높고 인장강도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랜덤폴리프로필렌은 호모폴리프로필렌보다 투명성 및 유연성 물성이 우수하며, 터폴리프로필렌은 랜덤폴리프로필렌보다 더욱 유연하고 저온 열봉합성이 우수하다.
기재층의 두께는 5 내지 2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이다. 기재층의 두께가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호필름의 전체 두께가 30㎛를 초과하여 박막을 형성하기 어렵고, 5㎛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필름 강도를 얻기 어렵다.
연신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기재층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재층이 3층의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공압출, 블로운 압출 등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3-레이어 티다이 공압출 방법으로 제조된 후 연신 공정을 거쳐 이축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그 용융 지수가 1 내지 10 g/10 min이고, 그 밀도가 0.918 내지 0.923 g/cm3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층 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압출코팅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압출코팅시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250 내지 300℃로 가열하여 도포할 수 있다.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상기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열산화를 유도하여 저밀도폴리에틸렌 쇄에 C=O(카르보닐기)를 유도하여 표면에 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착층에 자기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1 내지 5 gf/25mm의 점착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착강도가 1 gf/25m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력이 약해서 쉽게 분리(delamination)되고, 점착강도가 5 gf/25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판 제조공정이 완료된 후 탈착 및 폐기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을 분리할 때 쉽게 분리되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압출코팅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데, 원하는 점착강도를 얻기 위하여 3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필름의 두께편차는 2% 이하(0 포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광판 제조공정시 TAC 필름과 연신된 PVA 필름이 합지되는 공정을 포함하는데, 이 공정에서 TAC 필름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점착성의 보호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필름의 두께편차가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TAC 필름이나 PVA 필름이 합지된 완제품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래 자기 점착 필름의 경우 상기한 편광판의 합지 공정에서 잘못된 텐션 조절로 인해 보호필름이 늘어나거나 수축되거나 처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보호필름은 1200 내지 1250 kgf/cm2의 인장강도 및 3 내지 3.5 kgf/cm2의 파단강도를 갖는다. 이를 통해 편광판 합지 공정시 텐션 조절이 용이하여 생산 공정이 현저히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의 아래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연신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기재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일면에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250 내지 300℃로 가열하여 100 내지 150 m/min의 속도로 압출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에서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250 내지 300℃로 가열함으로써 열산화를 유도하여 저밀도폴리에틸렌 쇄에 C=O(카르보닐기)를 유도하여 표면에 극성을 부여하여 점착층에 자기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250℃ 미만으로 가열하여 압출코팅하는 경우에는 점착층의 열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원하는 점착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300℃를 초과하여 가열하여 압출코팅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열산화가 되어 압출이 불안정하게 되어 점착력이 잘 구현되지 않는다.
또한, 압출 속도는 100m/min 내지 150m/min이 바람직하다. 압출 속도가 150m/min 초과인 경우 빠른 압출 가공 속도에 의해 압출 안정성이 떨어져 점착층에 미세 펑크 및 주름이 발생할 수 있으며 100m/min 미만인 경우 생산성이 저하되어 수율이 감소될 수 있다.
추가로 점착층을 형성한 후 점착층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코로나 처리를 통해 점착층의 점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호필름의 두께는 1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30㎛ 이하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두께 편차가 거의 없고, 피쉬아이(F/E), 에어포켓 또는 골주름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필름은 우수한 인장강도와 파단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피쉬아이(F/E)란, 필름의 외관을 육안이나 현미경 등으로 관찰하여 필름에 형성된 겔(gel)이나 탄화물 등의 존재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저밀도폴리프로필렌수지인 LG화학, LB5000 제품(밀도 0.918 g/cm3, 용융지수 5g/10 min.)를 250℃로 가열하여, 두께가 12 ㎛이고 3층의 연신폴리프로필렌 필름(필맥스, SCB 제품) 위에 100 m/min의 속도로 압출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의 두께는 4㎛ 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필름의 총 두께, 점착력, 두께편차, 인장강도, 파단강도, F/E, 골주름, 에어포켓 수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저밀도폴리프로필렌수지인 LG화학, LB5000 제품(밀도 0.918 g/cm3, 용융지수 5 g/10 min.)를 280℃로 가열하여, 두께가 12 ㎛이고 3층의 연신폴리프로필렌 필름(필맥스, SCB 제품) 위에 100 m/min의 속도로 압출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의 두께는 8㎛ 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필름의 총 두께, 점착력, 두께편차, 인장강도, 파단강도, F/E, 골주름, 에어포켓 수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저밀도폴리프로필렌수지인 LG화학, LB5000 제품(밀도 0.918 g/cm3, 용융지수 5 g/10 min.)를 300℃로 가열하여, 두께가 12 ㎛이고 3층의 연신폴리프로필렌 필름(필맥스, SCB 제품) 위에 100 m/min의 속도로 압출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의 두께는 12㎛ 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필름의 총 두께, 점착력, 두께편차, 인장강도, 파단강도, F/E, 골주름, 에어포켓 수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저밀도폴리프로필렌수지인 LG화학, LB5000 제품(밀도 0.918 g/cm3, 용융지수 5 g/10 min.)를 240℃로 가열하여, 두께가 12 ㎛이고 3층의 연신폴리프로필렌 필름(필맥스, SCB 제품) 위에 100 m/min의 속도로 압출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의 두께는 8㎛ 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필름의 총 두께, 점착력, 두께편차, 인장강도, 파단강도, F/E, 골주름, 에어포켓 수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저밀도폴리프로필렌수지인 LG화학, LB5000 제품(밀도 0.918 g/cm3, 용융지수 5 g/10 min.)를 310℃로 가열하여, 두께가 12 ㎛이고 3층의 연신폴리프로필렌 필름(필맥스, SCB 제품) 위에 100 m/min의 속도로 압출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의 두께는 8㎛ 였다. 이렇게 제조된 보호필름의 총 두께, 점착력, 두께편차, 인장강도, 파단강도, F/E, 골주름, 에어포켓 수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외층, 중층, 내층의 3개 압출기가 구비된 3레이어 티다이 공압출 설비(3-layer T-die cast extrustionn)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외층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pp) 수지로서는 호남석유화학의 FC150B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중층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로서는 엘지화학의 BF415 또는 삼성석유화학의 531G 제품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내층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로서는 엘지화학사의 ST508 제품과, 엑슨모빌의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제품인 EXACT 0203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두께 30마이크로인 자기 점착성 공압출 필름을 생산하였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LDPE압출 코팅
(250-300℃)
저온압출
(240℃)
고온압출
(310℃)
기존
공압출제품
기재층 OPP 12㎛ OPP 12㎛ OPP 12㎛ OPP 12㎛ OPP 12㎛ 3layer
점착층 두께 4㎛ 8㎛ 12㎛ 8㎛ 8㎜
총 두께 16㎛ 20㎛ 24㎛ 20㎛ 20㎛ 30㎛
점착력 1-1.5 2-3 3-4 0.5 0.6 1-2
두께편차 (%) 2% 2% 2% 5% 5% 3%
인장
강도
1200kgf/cm2 1230kgf/cm2 1240Kgf/cm2 1150Kgf/cm2 1140Kgf/cm2 350kgf/cm2
파단
강도
3kgf/cm2 3.1kgf/cm2 3.1kgf/cm2 2.9kgf/cm2 2.9kgf/cm2 1.3kgf/cm2

F/E O O O X X O
골주름 없음 없음 없음 2개 3개 없음
에어
포켓
없음 없음 없음 1개 2개 없음
상기 표 1에 기재된 물성은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점착력은 KSA 1107에 따라 90도 박리각에서 측정하였다(상온(23± 2℃), 단위:gf/25mm).
두께 편차(TTV, Total Thickness Variation)는, 필름의 폭 1m, 길이 30 cm로 샘플을 취하고, 제품의 폭방향(TD)으로 20mm 간격, 길이방향으로 30mm 간격으로 미쓰토요(Mizutoyo)사) 접촉식 두께 측정기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두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평균 두께로 나누어 편차 R(%)을 계산하였다.
인장강도 및 파단 강도의 경우 ASTM D88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F/E(피쉬아이)의 경우 제품을 1000mm X 1000mm으로 컷팅 후 암실에서 삼파장 램프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겔(gel), 탄화물의 개수를 확인하여 5개 이하 시 O로 표기하였고 5개 이상 시 X로 표기하였다.
골주름과 에어포켓의 경우 제품을 1000mm폭 4000M 권취 후 육안으로 관찰 후 개수를 표기하였다.
상기 표 1을 보면, 실시예 1~3의 경우 보호필름의 두께편차가 2 이하임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3 내지 5의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의 저온 압출의 경우, 점착층의 열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점착력이 거의 없거나 매우 약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비교예 2의 고온압출의 경우 과도한 열산화가 되어 압출이 불안정하게 되어 점착력이 잘 구현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두께 편차가 우수하다. 또한 인장강도, 항복강도, 파단 강도의 경우 기존 공압출 제품이나 비교예보다 우수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으로서,
    연신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위에 압출 코팅으로 형성된 저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층,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2층 및 터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3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층 위에 점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이 1 내지 5 gf/25mm이고, 상기 보호필름은 15 내지 30㎛의 두께, 1200 내지 1250 kgf/cm2의 인장강도 및 3 내지 3.5 kgf/cm2의 파단강도를 갖고,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 편차는 2 % 이하(0 포함)인,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
  2. 삭제
  3. 삭제
  4.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연신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일면에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250 내지 300℃로 가열하여 100 내지 150 m/min의 속도로 압출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은 15 내지 30㎛의 두께를 갖고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 편차는 2 % 이하(0 포함)인,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은 1 내지 5 gf/25mm인,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1200 내지 1250 kgf/cm2의 인장강도 및 3 내지 3.5 kgf/cm2의 파단강도를 갖는, 편광판 제조공정용 보호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60164533A 2016-12-05 2016-12-05 자기점착성 박막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39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533A KR101839875B1 (ko) 2016-12-05 2016-12-05 자기점착성 박막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533A KR101839875B1 (ko) 2016-12-05 2016-12-05 자기점착성 박막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875B1 true KR101839875B1 (ko) 2018-03-19

Family

ID=6191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533A KR101839875B1 (ko) 2016-12-05 2016-12-05 자기점착성 박막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8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927A (ja) * 2007-09-14 2009-04-02 Japan Polypropylene Corp 二軸延伸自己粘着性プロテクトフィルム
JP2010229328A (ja) * 2009-03-27 2010-10-14 Gunze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5129426A1 (ja) * 2014-02-28 2015-09-03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加熱工程用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653808B1 (ko) 2016-05-02 2016-09-05 주식회사 유상 편광판 제조공정용 자기점착성 보호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7927A (ja) * 2007-09-14 2009-04-02 Japan Polypropylene Corp 二軸延伸自己粘着性プロテクトフィルム
JP2010229328A (ja) * 2009-03-27 2010-10-14 Gunze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5129426A1 (ja) * 2014-02-28 2015-09-03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加熱工程用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653808B1 (ko) 2016-05-02 2016-09-05 주식회사 유상 편광판 제조공정용 자기점착성 보호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1539B (zh) 雙軸延伸積層聚丙烯膜
KR101154877B1 (ko) 편광판 제조공정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TWI781149B (zh) 二軸配向聚丙烯膜
TW201120180A (en) Adhesive film
KR20210086617A (ko)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형 필름
WO2018199172A1 (ja) 保護フィルム
JP6500699B2 (ja) 延伸フィルム
KR101316706B1 (ko) 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KR101839875B1 (ko) 자기점착성 박막 보호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6043560A (ja) 積層二軸延伸フィルム
JP6561857B2 (ja) 延伸フィルム
JP5230326B2 (ja) 逐次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3132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316707B1 (ko) 사출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JP2023015849A (ja) 真空断熱材外装用積層体
CN109890882B (zh) 薄膜、卷绕体及粘合带
KR102127555B1 (ko) 알루미늄 증착 필름과의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핫멜트 필름
KR20120108216A (ko) 디스플레이용 광학 다층시트의 제조방법
JP5997961B2 (ja) 二軸延伸自己粘着性プロテクトフィルム
KR101887233B1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WO2016047546A1 (ja) 積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7490940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無延伸シーラントフィルム、包装材及び包装体
JP2020037184A (ja) 保護フィルム
KR102375434B1 (ko) 시간-온도 이력지시계 포장용 다층 복합필름
JP5485476B2 (ja) 感圧型粘着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表面保護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および物品の表面を保護するために使用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