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810B1 - 사골 육수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사골 육수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810B1
KR101839810B1 KR1020170079387A KR20170079387A KR101839810B1 KR 101839810 B1 KR101839810 B1 KR 101839810B1 KR 1020170079387 A KR1020170079387 A KR 1020170079387A KR 20170079387 A KR20170079387 A KR 20170079387A KR 101839810 B1 KR101839810 B1 KR 101839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lid
water
cooking vess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선
Original Assignee
최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선 filed Critical 최경선
Priority to KR102017007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7/0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gaseou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골을 장시간 끓여서 육수를 조리하는 장치를 개선하여 사골 육수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일조하는 한편, 조리되는 사골 육수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되어 물을 담아 조리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금속재 조리 용기(100)와; 상기 조리 용기(100)를 가열하는 가열부재(200)와; 다공성 판재 또는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사골(B)을 담아 상기 조리 용기(100) 내에 수용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금속재 거름 용기(300)와;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되 힌지(410)를 통해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100)를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400)와; 상기 덮개(400)에 마련되어 상기 덮개(400)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유지 가능한 유지부재(500)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장치에 대한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높은 풍미의 사골 육수를 조리할 수 있음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사골 육수 조리장치{Apparatus for cooking leg bone broth}
본 발명은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골을 장시간 끓여서 육수를 조리하는 장치를 개선하여 사골 육수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일조하는 한편, 조리되는 사골 육수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장치에 대한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골은 소의 네 다리뼈를 지칭하는 것으로, 단면적이 유백색이고 골밀도가 높으며, 콜라겐 단백질이나 칼슘과 같은 무기질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임산부나 수유부, 허약한 사람들에게 여름철 더위를 이기는 식품으로, 추운 겨울에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보양 음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골은 육수로 조리하기 전, 찬물에 한동안 담가 핏물을 빼 양질의 육수를 얻을 수 있으며, 사골을 우려낼 때에는 맨 처음 우려낸 육수는 이용하지 않고, 두 번째부터 우려낸 육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사골 육수의 조리 시에는, 핏물을 빼 제거하거나, 첫 번째 육수를 버리고, 장시간에 걸쳐 고온으로 가열 조리해야 하는 등의 다양한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사골 육수를 조리할 때에는 별도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반복 조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대한 몇몇 예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45668호 및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49818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몇 기술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조리 용기의 덮개가 무거워 덮개를 열어 사골 육수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거나 반복적으로 부유한 기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렵고, 특히 개방된 덮개가 스스로 닫힐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상해를 입히기 쉬웠다.
둘째, 사골 육수의 대량 조리를 위하여 설비를 비대화할 경우, 조리 용기의 설치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셋째, 조리 용기 내에 물을 급수를 하거나, 조리 용기 내에서 핏물 등을 배출하는 작업은 물론 화력의 조절이 사용자에 의해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장시간에 걸친 사골 육수의 조리 시 사용자의 조리 편의성이 크게 떨어진다.
넷째, 육수를 우려낸 사골을 거름 용기로부터 배출하기 어렵다.
다섯째, 사골 이외에 사골 보다 작은 기타 첨가물을 추가하여 조리할 경우, 이러한 재료를 분리하여 제거하기 쉽지 않고, 사골 육수의 풍미를 잘 살려내지 못하고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45668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4981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장시간에 걸쳐 조리되는 사골 육수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과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높은 풍미의 사골 육수를 조리할 수 있음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어 물을 담아 조리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금속재 조리 용기와;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다공성 판재 또는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사골을 담아 상기 조리 용기 내에 수용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금속재 거름 용기와;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되 힌지를 통해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를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와; 상기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덮개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유지 가능한 유지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덮개의 상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된 원형 단면의 손잡이와; T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을 감싸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끝단이 구부러진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에 걸쳐지는 지지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링크는 2분된 링크가 서로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길이 조절 및 상기 절곡부의 지향 방향 조절이 가능한 것이 좋을 것이다.
게다가, 상기 지지링크의 2분된 링크 중 어느 하나는 길이 조절 및 완충 기능을 하는 쇽 업저버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의 상측면에는 분할선과 나란하게 ㄷ자형 단면을 가진 제1보강부재와, 직립된 타공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보강부재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제2보강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게다가, 상기 덮개에는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연장된 회전축에 교반봉이 형성되어 있는 모터가 장착되어 상기 조리 용기로부터 분리 가능한 분리형 덮개인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는 다른 형태로, 상기 덮개는 타공판으로 형성된 힌지부재를 통해 상기 조리 용기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덮개와 상기 조리 용기 사이에는 댐퍼부재가 추가로 연결되는 연결형 덮개인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조리 용기와 상기 가열부재를 상하로 일체화시키는 2층 구조의 몸체가 설치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몸체의 높이 중간에는 사용자가 딛을 수 있는 그레이팅 답판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면과 상기 그레이팅 답판 사이에는 사다리 또는 계단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부차적으로, 상기 가열부재 외측의 상기 몸체에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가드가 형성되되, 상기 보호 가드는 양측에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수직하게 힌지축이 형성된 원호형의 보호망과, 상기 몸체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리 용기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급수 배관과, 상기 급수 배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 배관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통 설치되어 출수구가 상기 조리 용기 내부를 선택적으로 지향하는 출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리 용기에는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수위검출부재에서 검출된 수위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급수 밸브를 능동 제어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와는 다른 형태로, 상기 급수 배관의 중간에는 물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유량검출부재에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유량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조리 용기에 급수된 물의 체적을 산출하여 상기 급수 밸브를 능동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 용기에는 드레인 배관이 연통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배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드레인 밸브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위검출부재에서 검출된 수위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드레인 밸브를 능동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에어 노즐이 마련되고, 상기 에어 노즐에는 고압의 공기를 압송하는 공압공급부재가 연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에어 노즐은 반경 방향과 원주 방향의 사이로 경사지게 배향 설치되어 공기 분사에 따라 상기 조리 용기 내의 물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게다가, 상기 공압공급부재는 공기 압축기와, 압축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에어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에는 기포발생기가 마련되고, 상기 기포발생기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가 연통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공급부재는 전원 공급에 따라 발열하여 에어 배관 내에서 에어를 가열하는 예열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에는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온도검출부재에서 검출된 온도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가열부재를 능동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는 스팀 재킷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상기 스팀 재킷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는 다른 형태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 밑에 마련되는 버너를 포함하여, 상기 버너에 연료를 공급함에 따라 연소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 밑에 배선되는 전열선을 포함하여, 상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저항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도 양호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름 용기는 측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면의 일측은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의 타측은 상기 측면에 마련된 고정부재에 결합 가능하여 상기 바닥면의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름 용기의 바닥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거름 용기의 측면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게다가, 상기 후크에는 레버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또한, 상기 후크는 탄성체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후크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거름 용기의 내부는 통공의 크기가 서로 다른 다공성 판재 또는 그물망을 이용하여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거름 용기에는 고온 환경 하에서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사하는 방사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장시간에 걸쳐 조리되는 사골 육수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장치에 대한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높은 풍미의 사골 육수를 조리할 수 있음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의 제2분할덮개까지 완전히 개방한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의 제3분할덮개까지 완전히 개방한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유지부재를 제1보강부재에 걸어 연결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경사지게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유지부재를 제2보강부재에 걸어 연결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경사지게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유지부재를 힌지부재에 걸어 연결형 덮개의 제2분할덮개를 경사지게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가 적용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가 적용된 요부의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분리형 덮개를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경사지게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보다 더 경사지게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보호 가드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보호 가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조리 용기에 대한 급수 및 배수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조리 용기에 대한 급수의 다른 형태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조리 용기에 대한 고압의 공기 및 에어 공급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3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에어 노즐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조리 용기에 대한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에어 노즐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조리 용기에 대한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조리 용기에 대한 가열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가열부재로 버너가 적용된 정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가열부재로 전열선이 적용된 배선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거름 용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거름 용기의 바닥면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거름 용기의 바닥면이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거름 용기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두 영역으로 분할 형성된 거름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의 제2분할덮개까지 완전히 개방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의 제3분할덮개까지 완전히 개방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유지부재를 제1보강부재에 걸어 연결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경사지게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유지부재를 제2보강부재에 걸어 연결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경사지게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이다.
게다가, 도 10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유지부재를 힌지부재에 걸어 연결형 덮개의 제2분할덮개를 경사지게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가 적용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가 적용된 요부의 정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분리형 덮개를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완전히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경사지게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분리형 덮개의 제1분할덮개를 보다 더 경사지게 개방한 요부의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8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보호 가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보호 가드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조리 용기에 대한 급수 및 배수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조리 용기에 대한 급수의 다른 형태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조리 용기에 대한 고압의 공기 및 에어 공급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에어 노즐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조리 용기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에어 노즐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조리 용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25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조리 용기에 대한 가열에 관련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가열부재로 버너가 적용된 정단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가열부재로 전열선이 적용된 배선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8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거름 용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거름 용기의 바닥면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거름 용기의 바닥면이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31은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거름 용기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두 영역으로 분할 형성된 거름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는 장시간에 걸쳐 조리되는 사골 육수를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장치에 대한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높은 풍미의 사골 육수를 조리할 수 있음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는 상온에서 사골로부터 핏물을 제거하거나 혹은 고온으로 장시간 동안 사골 육수를 조리하는 데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골 육수 조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어 물을 담아 조리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금속재 조리 용기(100)와; 상기 조리 용기(100)를 가열하는 가열부재(200)와; 다공성 판재 또는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사골(B)을 담아 상기 조리 용기(100) 내에 수용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금속재 거름 용기(300)와;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되 힌지(410)를 통해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100)를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400)와; 상기 덮개(400)에 마련되어 상기 덮개(400)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유지 가능한 유지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는 기본적으로 조리 용기(100), 가열부재(200), 거름 용기(300), 덮개(400), 그리고 유지부재(50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조리 용기(100)는 상부가 개구되어 물을 담을 수 있으며, 이후에 설명할 사골(B)이 담긴 거름 용기(300)를 상측으로부터 수용하여 육수로 조리가 가능한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용기 형상의 구성이다.
이러한 조리 용기(100)는 장기간 물과 접촉하더라도 녹이 발생치 않도록 스테인레스 소재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후에 설명할 가열부재(200)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 사골 육수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조리 용기(100)에서는 사골 육수의 조리 이전에 사골(B)로부터 핏물을 빼는 작업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으로, 가열부재(200)는 상기 조리 용기(100)의 측면과 바닥면을 모두 감싸거나 혹은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조리 용기(100)를 가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열부재(200)는 기본적으로 상기 조리 용기(100)의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주지의 다양한 열원 중에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며, 조리 환경 등을 고려하여 열원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거나, 가스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원 공급에 따라 전기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열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거름 용기(300)는 사골(B)을 담아 상기 조리 용기(100) 내에 수용 가능한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용기로서, 다공성 판재 또는 그물망 등 다수의 통공을 지닌 금속재 판형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거름 용기(300) 내에 사골(B)을 담아 핏물을 빼거나 사골 육수의 조리 시, 물은 상기 거름 용기(300)의 안과 밖을 자유롭게 통과하는 반면 사골(B)은 오직 상기 거름 용기(300) 내에서만 잔존하게 된다.
그 결과, 사골(B)로부터 사골 육수를 모두 우려낸 후에는 상기 거름 용기(300)를 조리 용기(100)로부터 분리시켜 사골(B)을 손쉽게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덮개(400)는 상기 조리 용기(100)의 상측 개구를 덮어 조리 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조리 용기(100) 내에 적절한 압력이 발생토록 하는 구성인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400)는 상술한 조리 용기(100)의 개구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제작하여 상기 조리 용기(100)의 테두리를 모두 감싸 덮을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거름 용기(300) 및 덮개(400) 또한 모두 녹이 발생치 않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양호하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400)는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되 힌지(410)를 통해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100)를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골 육수 조리장치는 가정용이 아닌 통상 상업용으로 사용하는 데에 최적화된 것으로, 그 설비 규모가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어, 덮개(400)의 직경이 대략 1미터를 초과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덮개(400)는 조리 용기(100)에 덮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빈번하게 열리고 닫힐 필요가 있으나, 그 자중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종래에는 덮개(400) 전체를 열고 닫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덮개(400)를 둘 또는 이를 초과하는 개수로 분할 형성하고, 이와 같이 분할 형성된 덮개(400)를 힌지(410)로 절첩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조리에 필요한 영역에 위치하는 분할된 덮개(400)만을 선택적으로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면에는 덮개(400)가 제1분할덮개(401), 제2분할덮개(402), 그리고 제3분할덮개(403)로 3분할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때, 상기 덮개(400)에 마련되는 힌지(410)는 상기 덮개(400)의 상측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힌지(410)가 위치하는 방향, 즉 상방향으로는 덮개(400)의 절첩이 가능하지만, 힌지(410)가 위치하지 않은 방향, 즉 하방향으로는 덮개(400)가 절첩될 수는 없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덮개(400)의 크기나 자중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의 힌지(410)가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400)를 분할하는 선인 분할선(L)은 서로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도 4와 같이 제1분할덮개(401)만을 완전히 개방하여 전체 덮개(400)의 대략 1/4만 개방하거나, 도 5와 같이 2번의 절첩에 따라 제2분할덮개(402)까지 완전히 개방하여 전체 덮개(400)의 대략 1/2을 개방할 수도 있으며, 도 6과 같이 제3분할덮개(403)까지 완전히 개방하여 덮개(400) 전체를 개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만약, 상기 분할선(L)의 위치를 변경하여 도 11 및 도 14와 같이 덮개(400)를 구성한다면,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의 절첩에 따라 제1분할덮개(401)만을 개방하여 전체 덮개(400)의 1/3만 개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사골 육수의 조리 시 무거운 덮개(400)를 빈번하게 열고 닫아야 하는 점에 착안하여, 덮개(400)를 다수로 분할 형성하고, 분할되어 있는 분할덮개(401, 402, 403)를 서로 힌지(410)로 연결함으로써, 분할덮개(401, 402, 403) 중 일부만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는 점에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덮개(400)에 유지부재(500)가 마련되어 상기 덮개(400)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지부재(500)는 다양한 형태의 링크나 기계 요소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500)는, 상기 덮개(400)의 상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된 원형 단면의 손잡이(510)와; T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손잡이(510)의 외주면을 감싸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끝단이 구부러진 절곡부(521)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400)에 걸쳐지는 지지링크(5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선, 상기 손잡이(510)는 기본적으로 덮개(400)를 열고 닫을 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조리 용기(100)는 덮개(400)를 덮은 상태에서 사골 육수의 조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덮개(400)는 높은 온도로 상승하여,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덮개(400)를 잡고 열고 닫기가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덮개(400)에 손잡이(510)가 마련되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고온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51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그 양단이 상기 덮개(400)의 상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와 함께, 상술한 손잡이(510)를 원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이 손잡이(510)에 대략 T자형 막대 형상의 지지링크(520)를 연결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링크(520)의 일측은 상기 손잡이(510)의 외주면을 감싸 상기 손잡이(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손잡이(51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대략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지지링크(520)의 슬라이딩 가능한 구간을 확장하기 위하여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510)의 길이는 길게 연장되어 상기 덮개(400)의 상측면에 고정되되 다단으로 절곡시켜 약간의 간극을 두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지지링크(520)의 반대측인 타측은 대략 직각으로 꺽여진 절곡부(521)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지지링크(520)의 일측은 상기 손잡이(51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및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타측은 절곡부(521)를 이용하여 덮개(400)에 형성되는 이하에 설명할 보강부재(420, 430)나 힌지부재(450)와 같은 기타 구조물에 걸어놓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7은 덮개(400)가 완전히 닫힌 상태이지만, 도 8과 같이 제1보강부재(420)에 절곡부(521)를 걸어 제1분할덮개(401)를 경사지게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지지링크(520)는 2분된 링크가 서로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길이 조절 및 상기 절곡부(521)의 지향 방향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링크(520)를 서로 나사 결합되는 2개의 링크로 구성한다면, 상기 손잡이(510)에 연결된 링크를 기준으로 나머지 링크를 정역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지지링크(520)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덮개(400)의 개방 각도를 보다 더 다양하게 조절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 결과, 덮개(400)의 개방 각도를 소망하는 각도로 유지할 수 있으며, 개방된 덮개(400)가 스스로 닫히면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상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절곡부(521)의 지향 방향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보강부재(420, 430)나 힌지부재(450)와 같은 기타 구조물에 상기 절곡부(521)를 걸어 놓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링크(520)의 2분된 링크 중 어느 하나는 길이 조절 및 완충 기능을 하는 쇽 업저버(522)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쇽 업저버(522)는 가스나 기타 유체가 충진되어 있는 구성으로, 약간의 탄력적인 길이 조절도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경사지게 개방된 덮개(400)에 부딪히더라도 상해의 발생 위험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덮개(400)는 필요에 따라 이후에 설명할 힌지부재(450)와 연결되거나, 혹은 덮개(400) 위에 모터(440) 등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지만, 단순히 판재로만 성형될 경우 소망하는 강성을 유지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400)의 상측면에는 분할선(L)과 나란하게 ㄷ자형 단면을 가진 제1보강부재(420)와, 직립된 타공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보강부재(420)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제2보강부재(430)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우선, 제1보강부재(420)는 대략 ㄷ자 형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높은 강성을 지니며, 상기 덮개(400)의 상측면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보강부재(420)는 덮개(400)가 절첩되면서 개폐되는 것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덮개(400)가 분할되는 선인 분할선(L)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보강부재(430)는 상술한 제1보강부재(420)와는 직각을 이루어 배치되는 직립된 타공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또한 덮개(400)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430)를 타공판으로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성을 보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430)에 형성된 구멍에는 상술한 지지링크(520)의 절곡부(521)를 삽입하여 도 9와 같이 걸어 놓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2보강부재(430)의 표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제2보강부재(430)에 표면에 발생되는 산화물(녹)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으로 유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 과정에서 요구되는 덮개의 개방 정도에 따라 상기 덮개(400)를 보다 더 다양한 각도로 개방하여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로 분할 형성된 덮개(400)는 조리 용기(100)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도 1 내지 도 10에 예시한 연결형 덮개(400)와, 도 11 내지 도 17에 예시한 분리형 덮개(400)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형 덮개(400)와 분리형 덮개(400)의 선택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하게 제작될 수 있을 것이지만, 덮개(400)에 예를 들어 모터(440)와 같은 이 무거운 중량을 지닌 구성이 부가될 경우 힌지부재(45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분리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반대로, 덮개(400)에 무거운 중량을 지닌 구성이 부가되지 않을 경우 간편하게 덮개(400)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연결형 덮개(400)를 채택하는 것이 좋다.
우선 분리형 덮개(4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400)에는 상기 덮개(400)를 관통하여 연장된 회전축에 교반봉(441)이 형성되어 있는 모터(440)가 장착되어 상기 조리 용기(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분리형 덮개(400)일 수 있다.
즉, 조리 용기(100) 내에 사골(B)이 담긴 거름 용기(300)를 넣거나 빼기 위해서는 덮개(400)를 완전히 개방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사골(B)로부터 핏물을 제거하기 위한 교반을 목적으로 모터(440)가 덮개(400)에 장착되어야 한다면 분리형 덮개(400)를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분리형 덮개(400)의 경우 덮개(400)를 제1분할덮개(401), 제2분할덮개(402), 그리고 제3분할덮개(403)인 3부분으로 분할 형성하고, 중앙의 제2분할덮개(402) 위에 모터(44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모터(440)의 자중을 고려하여 제2분할덮개(402)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2개의 제1보강부재(420)를 모터(440)와 제2분할덮개(402) 사이에 설치하고, 이와 함께, 이 두 제1보강부재(420)를 연결하도록 2개의 제2보강부재(430)를 설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모터(440)는 전원 공급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는 것이며, 사골(B)로부터 핏물을 제거하는 데에는 높은 회전속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그 내부에 감속기구를 내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모터(440)의 회전축에는 도 12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교반봉(441)이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모터(440)의 구동 시 교반봉(441)이 사골(B)들 사이에서 서서히 회전하여 사골(B)로부터 핏물을 제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특히,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모터(440)가 장착된 분리형 덮개(400)의 경우, 도 15와 같이 제1분할덮개(401)를 개방할 경우, 개방된 제1분할덮개(401)의 개방 각도는 모터(440)에 의해 대략 90도를 약간 넘는 수준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지지링크(520)의 절곡부(521)를 도 15와 같이 제1보강부재(420)에 걸어 놓음으로써, 개방된 제1분할덮개(401)가 사용자에 의하거나 혹은 자체 진동 등에 의해 스스로 닫히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16이나 도 17과 같이 상기 지지링크(520)의 절곡부(521)를 제2보강부재(430)의 구멍 안에 걸어 놓음으로써, 상기 제1분할덮개(401)의 개방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분리형 덮개(400)는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할 연결형 덮개(40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있어서, 연결형 덮개(400)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모터(440)를 이용하여 사골(B)로부터 핏물을 제거하는 동안만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는 조리 용기(100)로부터 덮개(400)를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형 덮개(4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다르게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400)는 타공판으로 형성된 힌지부재(450)를 통해 상기 조리 용기(100)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덮개(400)와 상기 조리 용기(100) 사이에는 댐퍼부재(460)가 추가로 연결되는 연결형 덮개(400)인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연결형 덮개(400)는 핏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골(B)의 교반에 상술한 모터(440)를 사용치 않고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데에 착안한 것으로 덮개(400)를 힌지부재(450)로 조리 용기(100)에 연결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힌지부재(450)는 그 일측이 상기 덮개(400)의 상측면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조리 용기(100)의 외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덮개(400)가 상기 조리 용기(100)를 기준으로 열리고 닫히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부재(450)와의 연결 부위에서 상기 제3분할덮개(403)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측면에 제1보강부재(420) 및 제2보강부재(4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결형 덮개(400)에 있어서는 상기 힌지부재(450)도 타공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성을 보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표면적을 최소화하여 녹 발생을 최소화하고,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링크(520)의 절곡부(521)를 상기 힌지부재(450)의 구멍에 걸어 놓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덮개(400)와 조리 용기(100) 사이에는 댐퍼부재(460)를 추가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덮개(400)의 개폐 시 덮개(400)가 부드럽게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한편, 최대 개방각도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는 상기 조리 용기(100)와 상기 가열부재(200)의 위치관계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리 용기(100)와 상기 가열부재(200)를 상하로 일체화시키는 2층 구조의 몸체(600)가 설치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몸체(600)의 높이 중간에는 사용자가 딛을 수 있는 그레이팅 답판(610)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면과 상기 그레이팅 답판(610) 사이에는 사다리 또는 계단(620)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600)는 상술한 조리 용기(100)와 가열부재(200)를 상하에 수용하는 것으로, 그 하부는 다수의 받침대(601)에 의해 설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직립 설치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조리 용기(100)가 소형이 아닌 이상 상기 조리 용기(100)의 설치 높이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사용자가 설치면 상에서 조리 용기(100) 내부를 확인하거나 각종 재료를 투입 또는 반출하는 것은 물론 사골 육수의 조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략 상기 몸체(600)의 높이 중간 정도에 사용자가 딛고 올라서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그레이팅 답판(610)을 형성하고, 상기 그레이팅 답판(610)의 한쪽에 도 2 및 도 3과 같이 사다리 또는 계단(620) 등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소형의 가정용이 아닌 비교적 대형의 상업용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대하여 몸체(600) 중간에 그레이팅 답판(610)을 설치하여, 사용자는 조리 용기(100)에 사골(B)이나 물을 투입하거나 우려낸 사골(B)이나 육수를 배출시키는 작업을 그레이팅 답판(610) 상에서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200) 외측의 상기 몸체(600)에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가드(630)가 형성되되, 상기 보호 가드(630)는 양측에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수직하게 힌지축(632)이 형성된 원호형의 보호망(631)과, 상기 몸체(600)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63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몸체(6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가열부재(200)는 사골 육수의 조리를 위하여 고온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가열부재(200)를 수용하고 있는 몸체(600) 외주면 또한 높은 온도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몸체(600)의 외주면, 특히 가열부재(200)가 위치하는 몸체(600) 하부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600)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둘레를 따라 보호 가드(630)를 마련하는 것이다.
그 결과, 사용자가 고온의 몸체(600)에 닿아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 가드(630)를 상기 몸체(600)의 전체 둘레에 마련하지 않고 도 1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600)의 둘레 일부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도 18과 같이 상기 보호망(631)의 양측에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수직한 힌지축(632)을 형성하고, 이 힌지축(632)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600)에 힌지몸체(633)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보호망(631) 양측의 힌지축(632)을 각각 몸체(600) 양측의 힌지몸체(633) 내에 삽입하는 것으로, 보호 가드(630)를 몸체(600)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탈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보호망(631) 한쪽의 힌지축(632)만을 힌지몸체(633)에 삽입하면, 도 19와 같이 상기 몸체(600)를 중심으로 상기 보호망(631)이 회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지보수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상술한 조리 용기(100) 내에 물을 급수하거나 조리 용기(100)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리 용기(100)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급수 배관(710)과, 상기 급수 배관(710)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 밸브(720)와, 상기 급수 배관(710)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통 설치되어 출수구(731)가 상기 조리 용기(100) 내부를 선택적으로 지향하는 출수관(7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진 않았지만 급수 배관(710)을 상기 조리 용기(100)에 직결시켜 급수를 실시할 수도 있지만, 조리 용기(100)는 고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급수 배관(710)을 직결시킬 경우, 각종 부품의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기타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급수 배관(710)을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조리 용기(100)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직립 설치하고, 이 급수 배관(710)은 중간에 마련된 급수 밸브(720)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급수 여부를 단속할 수 있는 동시에 급수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 배관(710)은 그레이팅 답판(61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급수 배관(710)의 상측 말단에는 출수관(73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통 설치되며, 상기 출수관(730)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출수관(730)의 출수구(731)는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조리 용기(100) 내에 급수를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출수관(730)을 급수 배관(710)으로부터 회동시켜 출수구(731)가 상기 조리 용기(100)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 후, 급수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조리 용기(100) 내에 급수가 완료되어 덮개(400)를 덮고 조리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출수관(730)을 급수 배관(710)으로부터 회동시켜 출수구(731)가 상기 조리 용기(100) 바깥 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급수 배관(710), 상기 급수 밸브(720), 그리고 출수관(730)을 2조 이상 마련한다면 보다 짧은 시간 내에 상기 조리 용기(100) 내에 물을 급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추가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100)에는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부재(140)가 마련되며, 상기 수위검출부재(140)에서 검출된 수위에 따라 제어부(900)가 상기 급수 밸브(720)를 능동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수위검출부재(140)는 도 20과 같이 상기 조리 용기(100)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조리 용기(100) 내부에 저수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검출한 물의 수위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900)에 송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900)는 상기 수위검출부재(140)에 의해 검출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술한 급수 밸브(720)를 능동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상술한 급수 밸브(720)는 상기 제어부(900)의 전기적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가 제어되는 전자 절환 밸브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골(B)로부터 핏물을 제거하거나 사골 육수의 조리에 요구되는 물의 양을 미리 제어부(900)에 설정해 놓으면, 제어부(900)가 상기 수위검출부재(140)에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조리 용기(100)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 밸브(720)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급수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위에서는 수위검출부재(140)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100)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 배관(710)의 중간에는 물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부재(711)가 마련되며, 상기 유량검출부재(711)에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유량에 따라 제어부(900)가 상기 조리 용기(100)에 급수된 물의 체적을 산출하여 상기 급수 밸브(720)를 능동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유량검출부재(711)는 상술한 급수 배관(710)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 배관(710)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유량 센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검출한 물의 유량을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900)에 송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900)는 급수 배관(710)을 통과한 물의 유량에 시간을 곱하여 상기 조리 용기(100) 내에 공급된 물의 체적을 산출해 냄으로써, 상기 조리 용기(100)로 공급된 물의 체적에 따라 상술한 급수 밸브(720)를 능동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르면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사골(B)로부터 핏물을 제거하거나 사골 육수의 조리에 요구되는 물의 양을 미리 제어부(900)에 설정해 놓으면, 제어부(900)가 상기 조리 용기(100)에 급수된 물의 양을 산출하여 상기 급수 밸브(720)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위검출부재(140)나 유량검출부재(711)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조리 용기(100)에 급수를 할 때, 소망하는 물의 수위나 급수량을 제어부(900)에 미리 입력하는 것만으로 편리하게 급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100)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 배관(740)이 연통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배관(740)의 개폐를 제어하는 드레인 밸브(75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위검출부재(140)에서 검출된 수위에 따라 제어부(900)가 상기 드레인 밸브(750)를 능동 제어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조리 용기(100)로부터의 드레인은 핏물의 제거나 첫 번째 우려낸 사골 육수를 배출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드레인 배관(740)을 상기 조리 용기(100)의 하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 형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드레인 배관(740)의 중간에는 전자 절환 밸브인 드레인 밸브(750)를 마련하여 상술한 수위검출부재(140)에서 실시간으로 검출된 물의 수위에 따라 제어부(900)가 상기 드레인 밸브(750)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조리 용기(100) 내부의 물을 드레인 배관(740)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조리 용기(100) 내부의 바닥면을 수평하게 형성하지 않고 상기 드레인 배관(740)이 연통 형성된 부위를 향해 약간의 경사 구배를 줌으로써 핏물의 드레인 시 조리 용기(100) 내부의 모든 핏물이 상기 드레인 배관(74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드레인 배관(740)에도 추가적인 유량검출부재를 마련하여 드레인된 물의 양을 산출하여 조리 용기(100) 내부의 수위를 조절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위에서는 모터(440)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사골(B)을 교반시켜 핏물을 제거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사골(B)의 교반에 고압의 공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100)의 내주면에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에어 노즐(110)이 마련되고, 상기 에어 노즐(110)에는 고압의 공기를 압송하는 공압공급부재(810)가 연통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조리 용기(100)의 내주면을 따라 도 23과 같이 다수의 에어 노즐(110)을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이 에어 노즐(110)에 공압공급부재(810)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골(B)의 핏물 제거 시 사골(B)이 고압의 공기에 의해 조리 용기(100) 내에서 움직여 교반됨으로써, 별도의 모터(440) 없이도 핏물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23과 같이 단순히 상기 에어 노즐(110)이 조리 용기(100)의 중심을 향하도록 하지 않고,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노즐(110)은 반경 방향과 원주 방향의 사이로 경사지게 배향 설치되어 공기 분사에 따라 상기 조리 용기(100) 내의 물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 노즐(110)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는 조리 용기(100) 내에 사골(B)과 물에 대해 선회류를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핏물 제거에 큰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모터(440)를 이용하여 사골(B)을 교반시키는 것에 비하여 추가적인 전력 소모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사골(B)에 직접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게 되어 사골(B)의 훼손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공압공급부재(810)는 도 22와 같이 공기 압축기(811)와, 압축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에어탱크(812)를 더 포함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즉, 상술한 에어 노즐(11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 압축기(811)를 마련하고, 이 공기 압축기(811)를 통해 직접 에어 노즐(11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이보다는 상기 공기 압축기(811)의 작동을 통해 에어탱크(812) 내에 소정 압력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저장하였다가 핏물 제거 시 에어 노즐(110)을 통해 분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균일한 압력으로 안정적으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다.
위에서는 사골(B)로부터 핏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사골 육수의 조리 시 하부로부터 기포를 발생시켜 사골(B)로부터 풍미가 우수한 육수가 우러나오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도 22 내지 도 2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 용기(100)의 바닥면에는 기포발생기(120)가 마련되고, 상기 기포발생기(12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820)가 연통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포발생기(120)는 다공성 소재로 제작된 것으로 에어의 공급에 따라 미세한 크기의 기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기포발생기(120)에는 도 22와 같이 에어공급부재(820)가 연통 설치되어 있어, 상기 에어공급부재(820)로부터 상기 기포발생기(120)에 에어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에어공급부재(820)는 상술한 공압공급부재(810)와 거의 유사한 구성이지만, 공급되는 공기 압력의 높고 낮음에 차이가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에어공급부재(820)는 상술한 공압공급부재(810)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공압공급부재(810)는 핏물 제거 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핏물 제거 작업은 통상 찬물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공압공급부재(810)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더라도 수온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에어공급부재(820)는 조리 용기(100)를 가열부재(200)로 가열하면서 사골(B)로부터 육수를 우려낼 때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공급부재(820)를 통한 에어의 공급 시 사골 육수의 온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재(820)는 전원 공급에 따라 발열하여 에어 배관(821) 내에서 에어를 가열하는 예열 코일(82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상기 기포발생기(120)에 에어 배관(821)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에어공급부재(820)에 있어서, 예열 코일(822)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에어 배관(821)을 통과하는 공기를 미리 적절한 온도로 예열을 실시함으로써, 사골 육수 조리 시 에어의 공급에 따라 사골 육수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가열부재(200)를 통한 조리 용기(100)의 가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 용기(100)에는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재(130)가 마련되며, 상기 온도검출부재(130)에서 검출된 온도에 따라 제어부(900)가 상기 가열부재(200)를 능동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조리 용기(100)의 내부에 물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온도 센서인 온도검출부재(130)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검출부재(130)는 검출된 물의 온도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부(900)에 송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900)는 검출된 조리 용기(100) 내의 수온에 따라 상술한 가열부재(200)를 능동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골 육수의 조리에 요구되는 온도를 미리 제어부(900)에 설정해 놓으면, 제어부(900)가 상기 온도검출부재(130)에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조리 용기(100) 내부의 온도에 따라 가열부재(200)의 가열 온도를 높이거나 혹은 낮추는 것이 스스로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장시간에 걸쳐 조리되는 사골 육수를 보다 편리하게 조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상기 제어부(900)에는 별도의 타이머를 마련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가열부재(20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술한 상기 가열부재(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 용기(100)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는 스팀 재킷(210)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상기 스팀 재킷(210)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팀 재킷(210)에는 고온의 증기를 공급받는 유로와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가 상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팀 재킷(21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를 열원으로 조리 용기(100)의 가열에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상업적 용도로 사골 육수를 대량 조리할 때 매우 바람직하다.
이와는 다르게, 상술한 상기 가열부재(200)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 용기(100)의 바닥면 밑에 마련되는 버너(220)를 포함하여, 상기 버너(220)에 연료를 공급함에 따라 연소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버너(220)는 가스나 석유 등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가열부재(200)는 이러한 연료의 연소열을 조리 용기(100)의 가열에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가열부재(200)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 용기(100)의 바닥면 밑에 배선되는 전열선(230)을 포함하여, 상기 전열선(230)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저항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전열선(230)은 높은 전기적 저항값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어, 전원의 공급에 따라 높은 저항열을 방출하여 열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팀 재킷(210), 혹은 버너(220)나 전열선(230)을 이용하여 가열부재(200)를 구성하는 것은 조리 환경 등에 의존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사골(B)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거름 용기(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거름 용기(300)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310) 및 바닥면(320)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면(320)의 일측은 힌지(322)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320)의 타측은 상기 측면(310)에 마련된 고정부재(330)에 결합 가능하여 상기 바닥면(320)의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거름 용기(300)는 다공성 판재 또는 그물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301)을 통해 상호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320)은 전체 면적이 동시에 개방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320)을 둘로 분할하여 절반만을 개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면(320)의 개방을 위해 힌지(322)가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재(330)는 상기 측면(310)에 마련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바닥면(320)과의 결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고정부재(33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바닥면(320)의 개방이 선택적으로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30)는 다양한 형태의 기계적 구성에 의해 구현이 가능할 것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거름 용기(300)의 바닥면(320)에는 걸림돌기(3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30)는 상기 거름 용기(300)의 측면(310)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크(331)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걸림돌기(321)는 단순히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이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30)는 도 29 내지 도 3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의 후크(331)를 포함하고 있는 동시에, 이 후크(331)는 상기 거름 용기(300)의 측면(310) 외벽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29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321)가 후크(331)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거름 용기(300)의 바닥면(320)이 개방되는 것이 제한되며, 도 30과 같이 상기 후크(331)를 손으로 돌려 걸림돌기(321)가 후크(331)로부터 빠져 나오면 상기 거름 용기(300)의 바닥면(320)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후크(331)에는 레버(33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레버(332)를 잡고 후크(331)의 피봇을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게다가, 상기 레버(332)의 연장 방향을 적절하게 경사지게 형성한다면, 상기 후크(331)는 레버(332)의 자중에 의해 피봇 중심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위에서는 상기 후크(331)를 직접 손으로 돌려 걸림돌기(321)와 결합하거나 해제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결합하는 것은 별도의 조작 없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고 오직 해제시에만 조작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크(331)는 도 31과 같이 탄성체(333)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후크(331)에는 상기 걸림돌기(321)와 접촉하는 경사면(334)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후크(331)는 피봇축(335)에 마련된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333)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지지됨으로써, 후크(331) 내에 걸림돌기(321)가 위치하고 있을 때, 걸림돌기(321)가 스스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후크(331)의 바깥 쪽에는 상기 걸림돌기(321)와 접촉할 수 있는 경사면(334)을 형성함으로써, 후크(331) 밖에 걸림돌기(321)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열려있는 바닥면(320)을 닫으면 걸림돌기(321)가 후크(331)의 경사면(334)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골(B)의 배출을 위하여 거름 용기(300)의 바닥면(320)을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레버(332)을 잡고 후크(331)를 돌려 걸림돌기(321)가 후크(33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거름 용기(300)의 바닥면(320)을 닫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사용자 조작 없이 단순히 바닥면(320)을 닫는 것만으로, 걸림돌기(321)가 후크(331)의 경사면(334)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탄성체(333)에 의해 탄력적으로 피봇하도록 지지되는 후크(331) 내에 스스로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거름 용기(300) 내의 사골(B)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거름 용기(300)는 균일한 크기의 통공이 형성된 다공성 판재 또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측면(310)과 바닥면(320)을 포함하고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름 용기(300)의 내부는 통공의 크기가 서로 다른 다공성 판재 또는 그물망을 이용하여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거름 용기(300)의 내부를 사골(B)이 담기는 부분과 기타 첨가물이 담기는 부분으로 분할 형성되고, 사골(B)이 담기는 부분의 통공은 비교적 크게 형성하고, 기타 첨가물이 담기는 부분의 통공은 비교적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골 육수가 거름 용기(300)의 안과 밖을 더욱 원활하게 유통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름 용기(300)에는 고온 환경 하에서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사하는 방사부재(340)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방사부재(340)의 예로는 고온에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사하는 맥반석이나 토르말린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사부재(340)를 상기 거름 용기(300)에 다양한 형태로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맥반석이나 토르말린을 적절한 크기의 원판 형태로 성형한 후, 이러한 방사부재(340)를 거름 용기(300)의 측면(310) 혹은 도 28과 같이 바닥면(320) 하측면에 고정시키는 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골 육수를 고온 환경 하에서 조리 시, 방사부재(340)에서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사하게 됨으로써 사골 육수의 맛을 더욱 좋게 하는 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는 크게 사골(B)로부터 핏물을 제거하는 공정과 사골 육수를 조리하는 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사골(B)로부터 핏물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덮개(400)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에서 조리 용기(100) 내에 사골(B)을 담은 거름 용기(300)를 넣은 후, 조리 용기(100) 내에 물을 급수하게 된다.
물의 급수를 위해 출수구(731)가 조리 용기(100)의 안을 향하도록 출수관(73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수위검출부재(140) 또는 유량검출부재(711)를 통해 제어부(900)는 급수 배관(710)에 마련된 급수 밸브(720)를 제어함으로써, 소망하는 수위까지 물을 자동 급수하게 되는 것이다.
조리 용기(100) 내에 사골(B)과 물이 모두 담기면, 연결형 덮개(400)를 덮고 공압공급부재(810)를 통해 경사지게 배치된 에어 노즐(11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분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조리 용기(100) 내에는 선회류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사골(B)로부터 핏물의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분리형 덮개(400)의 경우 모터(440)를 작동시켜 교반봉(441)을 회전시킴으로써, 사골(B)로부터 핏물을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사골(B)로부터 핏물이 모두 우러나오면 제어부(900)는 드레인 밸브(750)를 열어 조리 용기(100) 내의 핏물을 드레인 배관(74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핏물의 드레인이 모두 완료되면, 사골 육수를 조리하는 단계가 시작된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리 용기(100) 내에 적정 수위의 물을 다시 공급하면, 제어부(900)가 온도검출부재(130)를 통해 조리 용기(100)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여 가열부재(2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러한 가열부재(200)는 고온의 증기를 사용하는 스팀 재킷(210), 혹은 가스나 석유 등의 연소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버너(220)나, 혹은 전열선(230)으로부터 발생하는 저항열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사골 육수의 조리가 시작된다.
이때, 사용자는 사다리 또는 계단(620)을 통해 몸체(600)의 중간 높이에 마련된 그레이팅 답판(610) 위에서 조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몸체(600)에 마련된 보호 가드(630)에 의해 화상의 위험성을 낮추게 된다.
필요에 따라, 보호 가드(630)를 탈착하거나 회동시켜 정비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첫 번째 끓여서 조리된 사골 육수는 통상 드레인 배관(740)을 통해 배출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후 다시 물을 공급하여 사골 육수를 조리하게 된다.
이때, 거름 용기(300)를 두 영역으로 분할 형성하여 한쪽 공간에는 사골(B)을 넣어 놓고, 다른 한쪽 공간에는 기타 첨가물을 넣어 사골 육수를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이 두 공간의 통공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보다 원활한 유통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거름 용기(300)에 맥반석이나 토르말린과 같이 고온 환경에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사부재(340)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높은 풍미의 사골 육수를 조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사골 육수의 조리 중, 예열 코일(822)에 의해 고온으로 예열된 공기를 기포발생기(120)를 통해 바닥으로부터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온도의 저하 없이 사골(B)로부터 보다 나은 육수가 우러나오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조리 중, 사용자는 손잡이(510)를 이용하여 덮개(40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열어 사골 육수 위에 부유된 이물질이나 기름 등을 반복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유지부재(500)를 이용하여 분할덮개(401, 402, 403) 중 일부만을 개방하거나 소정의 개방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골 육수의 조리가 완료되면 덮개(400)를 완전히 열고 거름 용기(300)를 조리 용기(100)로부터 분리시킨 후, 거름 용기(300)의 바닥면(320)을 열어 사골(B)을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는 단순히 후크(331)의 레버(332)를 돌리는 것으로 바닥면(32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거름 용기(300)의 바닥면(320)을 닫으면 걸림돌기(321)가 경사면(334)을 타고 넘어 탄성체(333)에 의해 피봇되도록 지지되는 후크(331)에 다시 걸리게 됨으로써, 바닥면(320)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공정을 통해 사골 육수를 상업적으로 편리하게 대량 조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차별화된 몇가지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첫째, 덮개(400)를 다수로 분할하여 힌지(410)로 상호 연결하는 한편, 유지부재(500)를 이용하여 덮개(400)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리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특히 개방된 덮개(400)가 스스로 닫혀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상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둘째, 몸체(600)의 중간 높이에 그레이팅 답판(610)을 설치하여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비교적 비대한 크기의 사골 육수 조리장치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사골 육수를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고, 보호 가드(630) 등을 통해 사용자의 화상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
셋째, 물의 급수나 핏물의 배수가 다양한 센서 및 제어부(900)에 의해 능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골 육수의 조리 시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넷째, 거름 용기(300)의 바닥면(320)을 걸림돌기(321) 및 후크(331)를 통해 보다 손쉽게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리를 마친 사골(B)을 거름 용기(300)로부터 배출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다섯째, 사골 육수 조리 시 기포발생기(120)를 통해 예열된 공기 방울을 공급하는 한편, 맥반석이나 토르말린과 같이 고온 하에서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사하는 방사부재(340)를 부가하여 보다 높은 풍미의 사골 육수를 조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조리 용기 110 : 에어 노즐
120 : 기포발생기 130 : 온도검출부재
140 : 수위검출부재 200 : 가열부재
210 : 스팀 재킷 220 : 버너
230 : 전열선 300 : 거름용기
301 : 프레임 310 : 측면
320 : 바닥면 321 : 걸림돌기
322 : 힌지 330 : 고정부재
331 : 후크 332 : 레버
333 : 탄성체 334 : 경사면
340 : 방사부재 400 : 덮개
401 : 제1분할덮개 402 : 제2분할덮개
403 : 제3분할덮개 410 : 힌지
420 : 제1보강부재 430 : 제2보강부재
440 : 모터 441 : 교반봉
450 : 힌지부재 460 : 댐퍼부재
500 : 유지부재 510 : 손잡이
520 : 지지링크 521 : 절곡부
522 : 쇽 업저버 600 : 몸체
601 : 받침대 610 : 그레이팅 답판
620 : 사다리 또는 계단 630 : 보호 가드
631 : 보호망 632 : 힌지축
633 : 힌지몸체 710 : 급수 배관
711 : 유량검출부재 720 : 급수 밸브
730 : 출수관 731 : 출수구
740 : 드레인 배관 750 : 드레인 밸브
810 : 공압공급부재 811 : 공기 압축기
812 : 에어탱크 820 : 에어공급부재
821 : 에어 배관 822 : 예열 코일
900 : 제어부 B : 사골
L : 분할선

Claims (28)

  1. 상부가 개구되어 물을 담아 조리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금속재 조리 용기와;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와;
    다공성 판재 또는 그물망으로 형성되어 사골을 담아 상기 조리 용기 내에 수용 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금속재 거름 용기와;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되 힌지를 통해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를 영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와;
    상기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덮개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여 유지 가능한 유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덮개의 상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손잡이와;
    T자형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은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을 감싸 슬라이딩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측은 끝단이 구부러진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에 걸쳐지는 지지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는 2분된 링크가 서로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길이 조절 및 상기 절곡부의 지향 방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크는 2분된 링크 중 어느 하나가 길이 조절 및 완충 기능을 하는 쇽 업저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측면에는 분할선과 나란하게 ㄷ자형 단면을 가진 제1보강부재와, 직립된 타공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보강부재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제2보강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연장된 회전축에 교반봉이 형성되어 있는 모터가 장착되어 상기 조리 용기로부터 분리 가능한 분리형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타공판으로 형성된 힌지부재를 통해 상기 조리 용기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덮개와 상기 조리 용기 사이에는 댐퍼부재가 추가로 연결되는 연결형 덮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와 상기 가열부재를 상하로 일체화시키는 2층 구조의 몸체가 설치면에 직립 설치되며;
    상기 몸체의 높이 중간에는 사용자가 딛을 수 있는 그레이팅 답판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면과 상기 그레이팅 답판 사이에는 사다리 또는 계단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 외측의 상기 몸체에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가드가 형성되되, 상기 보호 가드는 양측에 지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수직하게 힌지축이 형성된 원호형의 보호망과, 상기 몸체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일측에 직립 설치되는 급수 배관과, 상기 급수 배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 배관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통 설치되어 출수구가 상기 조리 용기 내부를 선택적으로 지향하는 출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에는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수위검출부재에서 검출된 수위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급수 밸브를 능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배관의 중간에는 물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검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유량검출부재에서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유량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조리 용기에 급수된 물의 체적을 산출하여 상기 급수 밸브를 능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에는 드레인 배관이 연통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배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드레인 밸브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위검출부재에서 검출된 수위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드레인 밸브를 능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에어 노즐이 마련되고, 상기 에어 노즐에는 고압의 공기를 압송하는 공압공급부재가 연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노즐은 반경 방향과 원주 방향의 사이로 경사지게 배향 설치되어 공기 분사에 따라 상기 조리 용기 내의 물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공급부재는 공기 압축기와, 압축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에어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에는 기포발생기가 마련되고, 상기 기포발생기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가 연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재는 전원 공급에 따라 발열하여 에어 배관 내에서 에어를 가열하는 예열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에는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온도검출부재에서 검출된 온도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가열부재를 능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는 스팀 재킷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상기 스팀 재킷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증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 밑에 마련되는 버너를 포함하여, 상기 버너에 연료를 공급함에 따라 연소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면 밑에 배선되는 전열선을 포함하여, 상기 전열선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저항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용기는 측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면의 일측은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의 타측은 상기 측면에 마련된 고정부재에 결합 가능하여 상기 바닥면의 선택적인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용기의 바닥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거름 용기의 측면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는 레버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탄성체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후크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접촉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용기의 내부는 통공의 크기가 서로 다른 다공성 판재 또는 그물망을 이용하여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 용기에는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을 방사하는 방사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육수 조리장치.
  28. 삭제
KR1020170079387A 2017-06-22 2017-06-22 사골 육수 조리장치 KR10183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87A KR101839810B1 (ko) 2017-06-22 2017-06-22 사골 육수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387A KR101839810B1 (ko) 2017-06-22 2017-06-22 사골 육수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810B1 true KR101839810B1 (ko) 2018-03-19

Family

ID=6191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387A KR101839810B1 (ko) 2017-06-22 2017-06-22 사골 육수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81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685B1 (ko) * 2018-09-27 2019-03-18 박상혁 가열조리 육수의 기름부유물 제거장치
KR101996546B1 (ko) 2018-08-27 2019-07-05 박정훈 기능성 사골육수의 제조시스템
KR20200014972A (ko) * 2018-08-02 2020-02-12 유한회사 정가네 감자탕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204069B1 (ko) * 2020-07-03 2021-01-19 팜트리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닭곰탕 육수의 제조장치
KR20210025851A (ko) 2019-08-28 2021-03-10 전성춘 사골 핏물 제거장치
KR102345724B1 (ko) * 2021-10-26 2021-12-30 김순자 열 효율성을 높인 증기 가열식 조리장치
KR20220061346A (ko) * 2020-11-05 2022-05-13 강원일 육수 가공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
CN116473264A (zh) * 2023-05-10 2023-07-25 双泰油脂(德州)有限公司 一种食用骨汤加工蒸煮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49B1 (ko) * 2010-04-20 2013-07-01 김민영 사골 곰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480764B1 (ko) * 2014-04-16 2015-01-21 홍성훈 국솥 혼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49B1 (ko) * 2010-04-20 2013-07-01 김민영 사골 곰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480764B1 (ko) * 2014-04-16 2015-01-21 홍성훈 국솥 혼합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972A (ko) * 2018-08-02 2020-02-12 유한회사 정가네 감자탕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05087B1 (ko) * 2018-08-02 2020-04-28 유한회사 정가네 감자탕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996546B1 (ko) 2018-08-27 2019-07-05 박정훈 기능성 사골육수의 제조시스템
KR101959685B1 (ko) * 2018-09-27 2019-03-18 박상혁 가열조리 육수의 기름부유물 제거장치
KR20210025851A (ko) 2019-08-28 2021-03-10 전성춘 사골 핏물 제거장치
KR102204069B1 (ko) * 2020-07-03 2021-01-19 팜트리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닭곰탕 육수의 제조장치
KR20220061346A (ko) * 2020-11-05 2022-05-13 강원일 육수 가공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2602520B1 (ko) * 2020-11-05 2023-11-15 강원일 육수 가공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2345724B1 (ko) * 2021-10-26 2021-12-30 김순자 열 효율성을 높인 증기 가열식 조리장치
CN116473264A (zh) * 2023-05-10 2023-07-25 双泰油脂(德州)有限公司 一种食用骨汤加工蒸煮设备
CN116473264B (zh) * 2023-05-10 2024-02-20 双泰油脂(德州)有限公司 一种食用骨汤加工蒸煮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810B1 (ko) 사골 육수 조리장치
US10004356B1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US4957039A (en) Five in one cooker
US7640848B1 (en) Gas fired outdoor cooking apparatus that includes pot with spigot drain
NZ742329A (en) Modular barbecue system and kits therefore
US5718165A (en) Barbecue and cooking apparatus
KR20040020169A (ko) 전자렌지
US6626089B1 (en) Cooking and smoking apparatus
US7743697B2 (en) Steam cooker
CN109475252B (zh) 双烧烤设备
KR101384297B1 (ko) 회전식 구이기
KR200475450Y1 (ko) 찜 용 조리 용기
KR20120003314U (ko) 즉석식품조리스팀기
KR101636037B1 (ko) 전기가열식 튀김기
US7325482B1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US5992307A (en) Portable outdoor steamer system
US10932621B2 (en) Cooking apparatus having wooden side members
KR20130026734A (ko) 숯불 구이기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KR20110113082A (ko) 수육용기
KR20150098143A (ko) 조리용 찜기
KR20150098144A (ko) 찜기용 스팀 공급장치
AU2018220066B2 (en) Improvements in or in relation to food preparation
KR101518417B1 (ko) 스팀 공급장치
RU207748U1 (ru) Мульти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генератор тепловых по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