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851A - 사골 핏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사골 핏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851A
KR20210025851A KR1020190105732A KR20190105732A KR20210025851A KR 20210025851 A KR20210025851 A KR 20210025851A KR 1020190105732 A KR1020190105732 A KR 1020190105732A KR 20190105732 A KR20190105732 A KR 20190105732A KR 20210025851 A KR20210025851 A KR 20210025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shing water
ethmoid
blood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820B1 (ko
Inventor
전성춘
Original Assignee
전성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춘 filed Critical 전성춘
Priority to KR1020190105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8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8Cleaning, e.g. washing, meat or saus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골에서 핏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골을 수용한 용기 내에서 세척수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순환 흐름이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 온도 범위에서 가열함으로써 영양성분은 최대한 없애지 않고 핏물 제거 효율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사골 핏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골 핏물 제거장치{Beef soup bone blood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사골에서 핏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골을 수용한 용기 내에서 세척수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순환 흐름이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 온도 범위에서 가열함으로써 영양성분은 최대한 없애지 않고 핏물 제거 효율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사골 핏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골은 소의 네 다리뼈를 지칭하는 것으로, 단면적이 유백색이고 골밀도가 높으며, 콜라겐 단백질이나 칼슘과 같은 무기질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임산부나 수유부, 허약한 사람들에게 여름철 더위를 이기는 식품으로, 추운 겨울에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보양 음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골은 육수로 조리하기 전, 찬물에 12~24시간 동안 담가 핏물을 빼 양질의 육수를 얻을 수 있으며, 사골을 우려낼 때에는 맨 처음 우려낸 육수는 이용하지 않고, 두 번째부터 우려낸 육수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와 같이 종래의 사골 육수의 조리시에는 핏물을 빼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으며, 핏물을 제대로 빼지 않고 육수를 만드는 경우 비릿한 냄새로 인해 품질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고, 육수 만들때 첫 번째 끓인 육수를 버리고 두 번째 끓인 육수부터 사용하는 경우 사골에 함유된 상당량의 무기질 성분이 제거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특허문헌에는 사골 육수를 제조하는 장치 등은 개발되었으나, 핏물만 뺄 수 있도록 고안된 핏물 제거 전용 장치는 전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05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981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골을 수용한 용기 내에서 세척수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순환 흐름이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 온도 범위에서 가열함으로써 영양성분은 최대한 없애지 않고 핏물 제거 효율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사골 핏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는 하단에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단에 세척수를 용기 내부로 분사하도록 유입구가 마련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는 덮개와; 상기 용기 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수용된 사골이 세척수와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도록 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내부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배출구와 유입구를 연결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흡입하여 유입구를 통해 용기 내부로 토출하도록 해주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세척수가 가열된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순환 흐름이 형성되면서 핏물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가열수단은 상기 용기 바닥에 배치되는 전열판이며, 상기 전열판은 상기 세척수가 40~55℃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용기 내에 설치된 제1정화수단 및 상기 호스 상에 설치된 제2정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제1정화수단은 상기 용기 바닥과 상기 내부 용기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가 마련되는 중앙 공간부, 상기 중앙 공간부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벽체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챔버부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중앙 공간부의 상측 및 하측 개구부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쉬가 식모된 한 쌍의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는, 각자의 브러쉬가 서로 중첩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측 개구부를 통해 하강하는 세척수는 통과시키되, 세척수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브러쉬에 의해 걸러지는 이물질을 좌우측의 챔버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제2정화수단은 상기 호스 상에 설치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단 측에 배치되는 거름망부재와, 배출단 측에 배치되는 흡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에 의하면, 사골을 수용한 용기 내에서 세척수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순환 흐름이 형성함과 동시에 소정 온도 범위에서 가열함으로써 영양성분은 최대한 없애지 않고 핏물 제거 효율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정화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의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골 국물을 우려내기 전 핏물을 제거하는 사골 핏물 제거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에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구(111)가 마련되고, 상단에 세척수를 용기 내부로 분사하도록 유입구(113)가 마련되는 용기(110)와, 상기 용기(110)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는 덮개(120)와, 상기 용기(110) 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수용된 사골이 세척수와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도록 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내부 용기(130)와, 상기 용기(11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140)과, 상기 배출구(111)와 유입구(113)를 연결하는 호스(151)와, 상기 호스(151)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11)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흡입하여 유입구(113)를 통해 용기(110) 내부로 토출하도록 해주는 순환 펌프(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110)는 핏물 제거 대상인 사골과 세척수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120)는 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단에는 압력계(122)와, 증기배출구(1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용기(130)는 사골을 손쉽게 용기(110) 내에 넣고 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며, 용기(110) 내의 세척수가 내부 용기(130)의 사골과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도록 격자 내지 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140)은 용기(110) 내의 세척수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용기 바닥에 설치된 전열판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종래 사골 핏물을 빼는 경우에는 차가운 세척수에 사골을 담궜으나, 핏물 빼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세척수를 소정 온도. 예를 들어 45~55℃로 가열하게 되면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예를 들어, 세척수 온도를 45℃ 미만으로 가열하게 되면 사골에서 핏물 배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비효율적이되고, 55℃를 초과하게 되면 핏물과 함께 사골에 함유된 유효성분까지 용출되기 때문에 상술한 온도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골에서 핏물의 배출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온도 범위 내에서의 가열과 함께 세척수의 순환 흐름을 형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세척수의 순환 흐름을 위해 용기(110) 하단의 배출구(111)에서 세척수를 배출하고, 배출된 세척수는 호스(151)와 순환 펌프(153)를 이용하여 용기(110) 상단의 유입구(113)로 순환시켜야 한다. 여기서 순환 펌프(153)는 배출구(111)를 개방하였을 때 세척수의 자중에 의해 아래로 배출되는 세척수를 유입구(113)로 끌어올려 고압으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순환 흐름은 용기(110)를 기준으로 하단의 배출구(111)에서 세척수가 배출된 다음, 상단의 유입구(113)로 순환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용기(110) 바닥쪽으로 하강하여 배출구(111)로 배출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형성된다.
기존 냉수에 담궈놓는 경우에는 핏물 빼는 시간이 12시간 이상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세척수의 가열과 순환 흐름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핏물 빼는 시간이 1시간 내지 2시간 소요되었다는 점에서 핏물을 제거 효율이 크게 상승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골 핏물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정화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와 함께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제1정화수단(160)과 제2정화수단(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정화수단(160) 및 제2정화수단(180)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세척수가 순환될 때 사골에서 빠져나온 핏물과 기름 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용기 내로 다시 유입됨에 따라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고 핏물 제거 효율도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사골에서 핏물이 용출될수록 순환되는 세척수에서는 핏물과 지방 등 이물질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핏물 등의 농도가 높은 세척수가 순환되면 핏물 제거 효율이 크게 저하되고, 지방 성분이 순환되면 용기, 호스 내벽은 물론, 순환 펌프에도 지방 성분이 고착되어 원활한 세척수의 순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세척수를 가열한 상태에서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경우에는 지방의 고착 현상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정화수단 및 제2정화수단의 설치는 필수적인 구성이 된다.
본 발명의 제1정화수단(160)은 사골에서 떨어져나온 지방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크게 케이스(161)와,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1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61)는 용기(110) 바닥과 상기 내부 용기(13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측 개구부(162a)와 하측 개구부(162b)가 마련되는 중앙 공간부(162), 상기 중앙 공간부(162)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벽체(166)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챔버부(165)로 구성된다.
상기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170)는 중앙 공간부(162)의 상측 및 하측 개구부(162b)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쉬(171)가 식모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170)의 양단에는 회전축(175)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175)은 상기 케이스(181)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175)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170)는 각자의 브러쉬(171)가 서로 중첩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측 개구부(162a)를 통해 하강하는 세척수는 통과시키되, 세척수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브러쉬(171)에 의해 걸러지는 이물질을 좌우측의 챔버부(165)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좌측의 회전롤러(170)는 반시계 방향으로, 우측의 회전롤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챔버부(165)를 중앙 공간부(162)와 구획하는 벽체(166)는 케이스(161)의 바닥에서부터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170)의 중심이 되는 높이까지 수직하게 연장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스크래퍼(166a)가 중앙 공간부(162) 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크래퍼(166a)는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170)에 마련된 브러쉬(171)와 접촉하면서 이물질을 털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챔버부(165)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바닥에는 이물질은 빠져나가지 못하고 세척수만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망체(165a)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용기(130) 내에 채워진 사골을 통과한 세척수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170)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구(111)를 통해 용기(110)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세척수에 부유하고 있는 지방 성분 등의 이물질은 세척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에 마련된 브러쉬(171)에 의해 챔버부(165)로 이송된다. 상기 벽체(166) 상단과 상측 개구부(162a) 사이에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통로(167)이 마련된다. 상기 통로(167)를 통해 상기 챔버부로 들어온 세척수는 챔버부(165) 바닥에 마련된 망체(165a)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세척수와 함께 이송된 이물질은 망체(165a)에 의해 가두어지기 때문에 순환되는 세척수에서 분리된다.
상기 제2정화수단(180)은 호스(151) 상에 설치된 케이싱(181)과, 상기 케이싱(181)에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단 측에 배치되는 거름망부재(182)와, 배출단 측에 배치되는 흡착부재(183)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81)은 세척수가 흐르는 호스 상에 연결되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립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부재(182)는 스펀지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정화수단에서 정화하지 못한 이물질을 2차적으로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착부재(183)는 세척수 중 핏물 성분을 흡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여과지를 원통형상으로 권취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부재(182)와, 흡착부재(183)는 오염되었을 경우 케이싱(181)을 분리하여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정화수단 및 제2정화수단을 설치하게 되면 이물질 제거는 물론 핏물을 흡착 제거하기 때문에 핏물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오염된 세척수를 수시로 교체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 핏물을 제거할 수 있어 연속적인 핏물 제거 공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 1의 실시예에서 정화수단이 생략되어 세척수를 모두 배수하고 다시 채우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과 대비할 때, 핏물 제거 시간을 10~30%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사골 핏물 제거장치 110 : 용기
111 : 배출구 113 : 유입구
120 : 덮개 121 : 증기배출구
122 : 압력계 130 : 내부 용기
140 : 가열수단 151 : 호스
153 : 순환 펌프 160 : 제1정화수단
161 : 케이스 162 : 중앙 공간부
162a : 상측 개구부 162b : 하측 개구부
165 : 챔버부 165a : 망체
166 : 벽체 166a : 스크래퍼
167 : 통로 170 :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
171 : 브러쉬 173 : 회전축
175 : 모터 180 : 제2정화수단
181 : 케이싱 182 : 거름망부재
183 : 흡착부재

Claims (5)

  1. 사골에서 핏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단에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구가 마련되고, 상단에 세척수를 용기 내부로 분사하도록 유입구가 마련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는 덮개와;
    상기 용기 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내부에 수용된 사골이 세척수와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도록 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내부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배출구와 유입구를 연결하는 호스와;
    상기 호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흡입하여 유입구를 통해 용기 내부로 토출하도록 해주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된 세척수가 가열된 상태에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순환 흐름이 형성되면서 핏물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핏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용기 바닥에 배치되는 전열판이며,
    상기 전열판은 상기 세척수가 40~55℃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핏물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에 설치된 제1정화수단 및 상기 호스 상에 설치된 제2정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핏물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화수단은,
    상기 용기 바닥과 상기 내부 용기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측 개구부와 하측 개구부가 마련되는 중앙 공간부, 상기 중앙 공간부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벽체에 의해 구획되는 한 쌍의 챔버부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중앙 공간부의 상측 및 하측 개구부 사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브러쉬가 식모된 한 쌍의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이물질 정화용 회전롤러는,
    각자의 브러쉬가 서로 중첩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상측 개구부를 통해 하강하는 세척수는 통과시키되, 세척수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브러쉬에 의해 걸러지는 이물질을 좌우측의 챔버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핏물 제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화수단은,
    상기 호스 상에 설치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단 측에 배치되는 거름망부재와, 배출단 측에 배치되는 흡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골 핏물 제거장치.
KR1020190105732A 2019-08-28 2019-08-28 사골 핏물 제거장치 KR10228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32A KR102281820B1 (ko) 2019-08-28 2019-08-28 사골 핏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32A KR102281820B1 (ko) 2019-08-28 2019-08-28 사골 핏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51A true KR20210025851A (ko) 2021-03-10
KR102281820B1 KR102281820B1 (ko) 2021-07-23

Family

ID=7514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732A KR102281820B1 (ko) 2019-08-28 2019-08-28 사골 핏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8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651A (ko) * 2010-04-20 2011-10-26 김기범 사골 곰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30123566A (ko) * 2012-05-03 2013-11-13 농업회사법인 다하누㈜ 식용뼈 세척장치
KR101349818B1 (ko) * 2012-02-07 2014-01-10 차세일 곰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곰탕 제조방법
KR101553115B1 (ko) * 2013-11-05 2015-09-14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사골 곰국의 제조방법
KR101839810B1 (ko) 2017-06-22 2018-03-19 최경선 사골 육수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651A (ko) * 2010-04-20 2011-10-26 김기범 사골 곰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280549B1 (ko) 2010-04-20 2013-07-01 김민영 사골 곰탕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349818B1 (ko) * 2012-02-07 2014-01-10 차세일 곰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곰탕 제조방법
KR20130123566A (ko) * 2012-05-03 2013-11-13 농업회사법인 다하누㈜ 식용뼈 세척장치
KR101553115B1 (ko) * 2013-11-05 2015-09-14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 사골 곰국의 제조방법
KR101839810B1 (ko) 2017-06-22 2018-03-19 최경선 사골 육수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820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5433A (en) Deep fat fryer assembly
CN107753978A (zh) 一种医疗护理消毒处理装置
KR20210025851A (ko) 사골 핏물 제거장치
SE8400659D0 (sv) Apparat for universell vattenbehandling
WO2018105942A1 (ko) 순환커버가 구비된 에어순환식 로스터
ES427501A2 (es) Procedimiento, con su correspondiente tanque depurador por filtracion, para el filtrado y limpieza biologica de agua sucia.
KR101581119B1 (ko) 수유 튀김기
KR100767750B1 (ko) 순환식 식용유 정제기
US1782374A (en) Air-filtering device for heating apparatus
CN208799560U (zh) 一种医疗护理消毒处理装置
KR200407219Y1 (ko) 식용유 정제장치
KR200405404Y1 (ko) 식용유의 정제 장치
RU178423U1 (ru) Агрегат дл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1123150B1 (ko) 식용유 정제장치 및 방법
CN208166747U (zh) 一种温泉泳池水循环处理装置
US3754652A (en) Filter pump system for liquid convection cooker
KR200404603Y1 (ko) 순환식 식용유 정제기
CN220788137U (zh) 一种粽叶蒸煮废水净化装置
CN216292959U (zh) 一种绿豆脱皮装置
CN216687819U (zh) 一种新型屠宰水处理回用净化系统
CN217184634U (zh) 一种新型火腿肠杀菌设备
CN217921824U (zh) 一种污泥浓缩脱水装置
CN212588806U (zh) 一种甘蓝种子消毒机
KR101708382B1 (ko) 양파즙의 제조방법
JPH04152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