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251B1 -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 석고,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슬래그 시멘트 및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 석고,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슬래그 시멘트 및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251B1
KR101839251B1 KR1020160174926A KR20160174926A KR101839251B1 KR 101839251 B1 KR101839251 B1 KR 101839251B1 KR 1020160174926 A KR1020160174926 A KR 1020160174926A KR 20160174926 A KR20160174926 A KR 20160174926A KR 101839251 B1 KR101839251 B1 KR 101839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gypsum
sulfuric acid
alkali
desulfu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하
조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46Sulf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1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3Calcium-sulfate
    • C04B22/146Calcium-sulfate other waste Ca-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14Cements containing slag
    • C04B7/147Metallurgical slag
    • C04B7/153Mixtures thereof with other inorganic cementitious materials or other activ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05Materials having an early high strength, e.g. allowing fast demoulding or formless ca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 Y02W30/9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재생 황산과 CaO 성분을 다량 함유한 탈황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하여 보통시멘트 또는 슬래그시멘트의 혼화재용 알칼리 석고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 석고,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슬래그 시멘트 및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알칼리 석고는 CaO를 포함하는 탈황슬래그 슬러리에 황산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석고를 제조하되, 상기 반응이 슬러리의 pH가 알칼리 영역 내에서 일어나도록 황산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Description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 석고,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슬래그 시멘트 및 콘크리트 조성물{AKLALINE GYPSUM AND METHOD FOR PRODUCING ALKALINE GYPSUM USING DE-SULFURIZED SLAG, ADMIXTURE, SLAGCEMENT AND CONCTE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AKLALINE GYPSUM}
본 발명은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재생 황산과 CaO 성분을 다량 함유한 탈황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하여 보통시멘트 또는 슬래그시멘트의 혼화재용 알칼리 석고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얻어진 알칼리 석고, 상기 알칼리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슬래그시멘트 및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관제철소 등의 고로에서 생산된 용선 중에 함유된 황(S)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용선 상부에 CaO 등의 탈황 부원료를 투입한 후 교반함으로써, 황과 상기 탈황 부원료의 반응을 도모하여 용선 중에 함유된 황을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탈황처리 과정에서 슬래그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슬래그를 탈황슬래그라 한다.
상기 탈황슬래그는 슬래그 포트에 담아 이송시켜 슬래그 처리 야드에 적치한 후 물을 뿌려 급냉시키거나 공기 중에서 서서히 냉각시킨다. 일반적으로는 물을 뿌려 급냉시키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탈황슬래그에 함유된 다량의 CaO는 수화 팽창하여 Ca(OH)2를 생성하는데, 이러한 수화팽창으로 인해 상기 탈황 슬래그는 더스팅이 일어나 붕괴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화팽창으로 인하여 탈황슬래그는 미분이 다량 혼재되게 된다.
일관제철소에서 발생되는 탈황슬래그는 용선에 함유된 카본이 포화 용해도를 초과하게 되면 냉각과정에서 카본이 석출하게 되는데, 이를 키시카본이라 한다. 이러한 키시카본은 가벼워서 대기 중으로 비산되기 쉽고 반짝거리는 등 환경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이며 탈황슬래그의 자원화시 유해한 물질로 여겨져 왔으며 분리하여 자원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시멘트 업계에서는 석고를 시멘트에 대한 필수 혼화재로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보통시멘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석고가 필요한데, 이때 사용하는 석고는 이수석고가 대부분이다. 이수석고는 시멘트 구성 성분 중 3CaO-Al2O3 등 수화반응이 빠른 성분의 수화를 지연시키는 작용과 시멘트의 팽창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슬래그시멘트를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무수석고를 많이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무수석고는 슬래그시멘트에 함유된 고로수재슬래그 미분말의 활성도를 향상시키고 수축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최근 SOx 발생으로 인한 미세먼지 발생 등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각 업계에서는 SOx 발생 저감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발전소 배연 탈황과정에서 발생되는 석고량이 줄고 있는 실정이다. 더 나아가, 건축경기가 활발한 경우에는 석고 사용량이 급증하여 탈황석고 등이 품귀 현상까지 발생하기도 하여 시멘트 업계에서는 다방면에서 불편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일 구현예로서 제철소 소결공장 등의 탈황공정에서 발생되는 재생 황산의 자원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일 구현예로서 CaO 및 키시카본을 함유하고 있는 탈황슬래그 미분말을 고부가 자원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일 구현예로서 제철소에서 발생되는 탈황슬래그 및 재생황산의 안정적인 자원화를 도모함으로써 경제적 및 친환경적이고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석고를 제조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바, 제철 부산물을 이용하여 시멘트의 필수 혼화재인 석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구현예로서 상기에 언급한 재생황산과 제강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하여 보통시멘트용 및 슬래그시멘트용 혼화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고 석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탈황슬래그와 황산을 이용하여 알칼리 석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CaO를 포함하는 탈황슬래그 슬러리에 황산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석고를 제조하되, 상기 반응이 슬러리의 pH가 알칼리 영역 내에서 일어나도록 황산을 첨가하여 알칼리 석고를 제조하는 것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알칼리 영역의 pH는 9 내지 1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후에 고액분리에 의해 고형분과 여액을 분리하고, 상기 고형분을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탈황 슬래그는 황을 2 내지 3% 함유하는 용선 예비처리 슬래그일 수 있다.
상기 탈황슬래그는 수냉처리된 슬래그로서, 건조한 후 입도 선별하여 얻어진 2㎜ 이하의 입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탈황슬래그 슬러리는 2㎜ 이하의 입도를 갖는 탈황슬래그를 선별하는 입도 선별 단계 및 습식 부유선별에 의해 탈황슬래그에 포함된 키시카본을 제거하는 키시카본 제거단계에 의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키시카본 제거 후에 탈황 슬래그를 습식 분쇄하고, 습식 부유선별에 의해 키시카본을 추가로 제거하는 키시카본 제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식 부유선별 처리는 탈황슬래그 분말을 슬러리화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산은 제철소 소결 탈황공정의 재생황산 또는 타공정에서 발생된 폐황산 또는 이의 재생황산일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에 의한 여액은 탈황슬래그로부터 키시카본 제거를 위한 부유선별 공정에 공급하여 공정수로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pH가 9 내지 11.5의 범위의 알칼리 석고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초기강도가 향상된 슬래그 시멘트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슬래그 시멘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알칼리 석고는 시멘트 또는 슬래그시멘트의 기능성 혼화재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알칼리 석고를 시멘트의 기능성 혼화재로 사용하는 경우, 슬래그시멘트의 알칼리 자극제로 기능하여 초기강도를 향상시키고, 수화반응을 촉진시켜 반응 활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기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한다.
또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pH를 낮추지 않아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건조수축 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탈황슬래그 미분말 이용하여 알칼리 석고 제조하는 공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탈황슬래그의 pH 영역에 따른 H2S, HS- 및 S2-의 존재 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탈황슬래그와 황산을 이용하여 석고를 제조하되, pH 9 이상이고, 11.5 이하인 알칼리 석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알칼리 석고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 예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공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탈황슬래그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일관제철소 등에서 발생하는 CaO를 다량 포함하는 제강슬래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강 슬래그로는 구체적으로 용선 예비처리 슬래그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CaO를 이용하여 용선 중의 황 성분을 제거할 때 발생하는 탈황슬래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황슬래그는 용선 중에 함유된 황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로 황 성분이 2~3% 정도 함유하고 있다.
상기 탈황슬래그는 제철소에서 발생한 후에 공냉 또는 수냉 등의 방법에 의해 냉각 처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공냉 처리된 탈황슬래그의 경우에는 건조과정을 생략할 수 있지만, 수냉 처리된 탈황슬래그는 분급처리를 위해 건조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를 집진한 집진더스트 또한 본 발명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냉처리된 탈황슬래그는 서서히 냉각하는 것이어서, 입도가 크다. 따라서 적절히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냉 슬래그의 사용은 별도의 분쇄과정으로 인해 추가의 에너지 소모를 요구하는바, 수냉 탈황슬래그를 사용하는 것이 이러한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탈황슬래그는 체를 이용하여 분급 처리한다. 이때 체의 크기는 2㎜가 적합하다. 아래 표 2에는 탈황슬래그의 입도별 주요 성분의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2㎜를 초과하는 탈황슬래그에는 아래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aO 함량이 적다.
구분 MgO Al2O3 SiO2 CaO Fe2O3
탈황슬래그 집진더스트 2.5 5.8 12.4 52.4 11.6
탈황슬래그(2mm 이하) 2.1 5.3 10.7 48.4 10.4
탈황슬래그(2mm 이상) 5.5 5.8 18.1 38.1 25.5
또한 2㎜를 초과하는 탈황슬래그는 입도가 굵어서 향후 시멘트 혼화재로서 적합한 입도로 분쇄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분쇄 과정에서 분쇄에너지가 다량 필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2㎜를 초과하는 탈황슬래그는 골재로서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얻어진 탈황 슬래그는 황산과의 반응에 의한 알칼리 석고를 제조하기 위해 물을 공급하여 슬러리화한다.
이때, 상기 탈황 슬래그는 용선 중에 함유된 카본 성분이 석출된 키시카본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키시카본은 약 3mm 이하의 비늘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가벼워 특히 대기환경오염을 시키는 성분이다. 키시카본을 함유한 탈황슬래그를 건식공정에서 처리하고 시멘트 혼화재용을 활용시 콘크리트 블리딩수에 키시카본이 부유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오염시킨다. 따라서 키시카본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활용이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키시카본은 비늘모양이고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습식 부유선별 처리할 경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키시카본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설비를 도입하고 처리할 경우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 황산과의 반응에 의한 알칼리 석고의 제조는 탈황슬래그 미분말을 슬러리 상태로 만들어 제조함으로, 상기 슬러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유선별에 의해 키시카본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키시카본을 부유선별에 의해 제거함에 있어서는 부유선별의 효율 향상을 위하여 공기 버블링을 이용하거나 계면활성제 등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입자가 굵은 키시카본은 상기와 같은 습식부유선별 과정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지만, 탈황슬래그에 함침된 키시카본은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탈황슬래그에 함침된 입자가 작은 키시카본을 제거하기 위하여, 습식 볼밀 등을 이용하여 분쇄를 실시한 후 습식 부유선별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면 슬래그에 함침된 작은 키시카본까지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습식 부유선별을 통해 제거된 키시카본은 황산반응을 통해 키시카본에 붙어 있는 탈황슬래그를 용해시켜 고순도의 카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순도 키시카본은 인조흑연이나 전극봉 제조용 원료 등으로 자원화할 수 있어, 고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시카본이 제거된 탈황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석고는 시멘트 또는 슬래그시멘트 혼화재용으로 활용시 블리딩수에 키시카본이 부유되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석고 활용시 제약 사항이 없어 바람직하다.
상기 탈황 슬래그 슬러리에 황산을 첨가하여 습식 황산반응에 의해 석고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황산으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 황산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폐황산 또는 재생 황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철소 소결공장에서 발생되는 재생 황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생 황산은 황산의 농도가 불안정하고 발연 황산이 포함되어 있어 공업용 황산이나 시약급 황산에 비하여 설비 부식을 가속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자원화가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탈황 슬래그에 포함된 CaO 성분을 중화하는데 활용하는 경우에는 재생황산에 포함된 발연황산 등으로 인한 문제는 크게 방해 요인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재생황산도 본 발명에서는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석고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탈황슬래그는 황 성분을 2 내지 3중량% 정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황 성분으로 인해 탈황슬래그를 이용하여 습식공정으로 석고를 제조함에 있어서, 황산에 탈황슬래그 미분말 슬러리를 혼합할 경우 용액의 pH가 산성영역에서 중성영역으로 상승하면서 석고가 만들어진다. 이 경우에는 탈황슬래그에 함유된 황화칼슘(CaS)와 같은 소량의 황 성분이 황산과 반응하여 황화수소(H2S) 성분의 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악취를 발생시키는바,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보통 폐황산을 석회 등으로 중화하여 제조된 석고는 중화 후 시간이 경과되면 약산성을 띄게 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면서 석회 대신에 탈황슬래그를 사용할 경우 석고 제조과정에서 이와 같은 황화수소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탈황슬래그 슬러리에 황산을 부어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탈황슬래그 슬러리에 황산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반응시 전체 슬러리의 pH가 알칼리 영역에서 서서히 낮아지게 되며, pH를 적절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황화수소의 악취 발생을 방지하면서 석고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pH 영역에 따른 H2S, HS- 및 S2- 존재 분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황화수소(H2S) 가스는 pH 9 이상의 알칼리 영역일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통상 탈황슬래그는 pH 12 이상의 고알칼리성을 갖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pH가 12 이상의 고알칼리를 나타내는 탈황슬래그 슬러리에 황산을 첨가하여 슬러리의 pH를 황화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인 pH 9 이상의 영역에서 석고 반응을 시킴으로써 황화수소의 악취가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탈황슬래그 슬러리의 pH는 9 이상 pH 11.5 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1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반응의 탈황슬래그가 다량 존재하여 석고의 함량이 낮게 된다.
상기 반응 후에는 여과 등의 고액 분리에 의해 반응 여액을 제거한 후 얻어진 고형분을 건조 및 분쇄함으로써 본 발명의 알칼리 석고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pH 9 내지 11.5 정도의 알칼리 석고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알칼리 석고는 키시카본이 제거된 탈황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함으로써 시멘트 또는 슬래그시멘트 혼화재용으로 활용시 블리딩수에 키시카본이 부유되는 문제가 없어, 석고 활용시 제약 사항이 없어 바람직하다.
상기의 알칼리 석고를 이용하여 슬래그시멘트용 혼화재 활용할 경우, 이 석고는 고로수재슬래그 미분말의 알칼리 자극제 역할을 할 수 있어, 슬래그시멘트의 초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첨가된 알칼리 석고는 슬래그시멘트가 수화될 때 생성되는 CaO-SiO2-H2O 수화물이나 CaO-Al2O3-H2O 수화물 및 3CaO-Al2O3-CaSO4-32H2O(에트링자이트) 수화물의 생성시 수화체의 생성 사이트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슬래그시멘트의 수화 반응을 촉진시켜 반응 활성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본 발명의 알칼리 석고를 슬래그시멘트에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시멘트 페이스트의 pH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 증대에도 바람직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알칼리 석고는 상기 황산 반응 후에 2CaO-SiO2 성분이 잔존하는데, 이러한 성분은 탈황슬래그 중에 함유된 시멘트의 장기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알칼리 석고를 혼화재로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의 장기강도 향상에도 기여하며, 전술한 에트링자이트 생성에 의해 콘크리트 수축을 저감시킬 수 있어서 재료물성에 기인하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저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알칼리 석고는 일반적인 화학석고 또는 천연무수석고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중성영역에서 제조된 화학석고나 천연무수석고 그 자체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알칼리 석고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
한편, 상기 고액 분리에 의해 제거된 여액은 상기 탈황슬래그에 포함된 키쉬카본을 부슈선별 공정에 의해 제거하기 위해 탈황슬래그를 슬러리화하는 공정에서 공정수로 재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 폐수를 방류하지 않거나 폐수 방류량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기 표 1에 나타낸 입도 2㎜ 이하 사이즈의 탈황슬래그에 대하여 자력선별을 통해 메탈 성분을 제거한 후, 탈황슬래그에 물을 공급하여 슬러리화하고 부유선별공정에 의해 키시카본을 제거하였다. 이에 의해 제거된 키시카본은 5중량%이었다.
상기 탈황슬래그 슬러리를 습식 볼밀에 의해 습식 분쇄하여 75㎛의 입도를 갖도록 분쇄하고, 2차 부유선별을 수행하여 탈황슬래그 내의 키시카본의 함량을 0.5중량% 이하로 제거하였다.
키시카본이 제거된 탈황슬래그 슬러리에 재생황산을 pH가 6(비교예 1), 9(실시예 1), 11(실시예 2) 및 12.5(비교예 2)로 되도록 첨가한 후 석고를 제조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된 석고를 300℃에서 3시간 건조 후 해쇄하여, 75㎛를 100% 통과하는 입도의 석고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에 의해 제조된 석고 분말을 이용하여 슬래그시멘트 혼화재로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KSL ISO 679 시멘트 강도시험방법으로 몰탈 강도를 측정하여 알칼리 석고의 고로수재슬래그 알칼리 자극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천연무수석고에 대하여도 함께 테스트하였다(비교예 3).
상기 실험에서 사용한 슬래그시멘트의 구성비는 보통시멘트(OPC, 40%), 고로수재슬래그 미분말(55%) 및 석고(5%)를 혼합한 것으로 실시했다.
상기 몰탈 강도 측정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압축강도(MPa)
3일 7일 28일
비교예 1 pH 6 23.9 38.2 53.2
발명예 1 pH 9 27.2 41.8 57.7
발명예 2 pH 11 27.5 42.2 57.9
비교예 2 pH 12.5 24.1 38.1 52.9
비교예 3 천연무수석고 25.7 39.3 55.1
비교예 1은 탈황슬래그와 재생황산으로 제조시 최종 pH를 6의 산성영역으로 하여 제조한 석고이다. 한편, 비교예 2는 최종 pH를 12.5로 한 것으로 다량의 탈황슬래그가 잔존하였다.
비교예1 및 2는 발명예 1 및 2에 비하여 몰탈 압축강도 발현이 낮음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석고의 pH가 낮아 슬래그시멘트 중에 함유된 수재슬래그 미분말의 알칼리 자극제로서의 역할이 약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탈황슬래그에 함유된 2CaO-SiO2에 의한 장기강도 발현이 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비교예 3은 천연무수석고를 사용하여 측정한 압축강도로서, 발명예 1및 2에서 제조한 알칼리 석고에 비하여 강도발현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황산과의 반응에 의해 합성한 석고는 천연석고에 비하여 비표면적이 높다. 따라서 천연무수석고 대비 반응성이 양호하여 강도발현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14)

  1. 습식 부유선별에 의해, CaO를 포함하는 탈황 슬래그에 포함된 키시카본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키시카본 제거 후에 탈황 슬래그를 습식 분쇄하고, 습식 부유선별에 의해 탈황슬래그에 함침된 키시카본을 추가로 제거하여 탈황슬래그 슬러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키시카본이 제거된, 탈황슬래그 슬러리에 황산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석고를 제조하되 상기 반응이 슬러리의 pH가 9 내지 11.5 의 알칼리 영역 내에서 일어나도록 황산을 첨가하여 알칼리 석고를 제조하는 것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영역의 pH는 9 내지 11.5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후에 고액분리에 의해 고형분과 여액을 분리하고, 상기 고형분을 건조 및 분쇄하여 석고를 제조하는 것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황 슬래그는 황을 2 내지 3중량% 함유하는 용선 예비처리 슬래그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황슬래그는 수냉처리된 슬래그로서, 건조한 후 입도 선별하여 얻어진 2㎜ 이하의 입도를 갖는 것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황슬래그 슬러리는
    2㎜ 이하의 입도를 갖는 탈황슬래그를 선별하는 입도 선별 단계;
    습식 부유선별에 의해 탈황슬래그에 포함된 키시카본을 제거하는 키시카본 제거단계
    에 의해 얻어진 탈황슬래그 슬러리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시카본 제거 후에 탈황 슬래그를 습식 분쇄하고, 습식 부유선별에 의해 키시카본을 추가로 제거하는 키시카본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부유선별 처리는 탈황슬래그 분말을 슬러리화하여 수행하는 것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은 제철소 소결 탈황공정의 재생황산 또는 타공정에서 발생된 폐황산 또는 이의 재생황산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에 의한 여액은 탈황슬래그로부터 키시카본 제거를 위한 부유선별 공정에 공급하여 공정수로 재활용하는 것인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얻어진 pH가 9 내지 11.5의 범위에서 제조된 알칼리 석고.
  12. 제11항의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13. 제11항의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초기강도가 향상된 슬래그 시멘트.
  14. 제13항의 슬래그 시멘트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160174926A 2016-12-20 2016-12-20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 석고,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슬래그 시멘트 및 콘크리트 조성물 KR101839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926A KR101839251B1 (ko) 2016-12-20 2016-12-20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 석고,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슬래그 시멘트 및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926A KR101839251B1 (ko) 2016-12-20 2016-12-20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 석고,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슬래그 시멘트 및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251B1 true KR101839251B1 (ko) 2018-04-26

Family

ID=6208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926A KR101839251B1 (ko) 2016-12-20 2016-12-20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 석고,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슬래그 시멘트 및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2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40B1 (ko) * 2018-05-30 2019-07-19 주식회사 케이스트 제강슬래그 또는 산화칼슘을 함유한 산업부산물을 주원료로 알칼리중화제를 제조하고 폐산을 건식법으로 중화하여 so3 함량 38%(중량기준) 이상의 화학석고를 제조하는 방법
KR20200059639A (ko) *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 포스코 중조로 탈황 처리된 더스트를 이용한 석고 제조방법
KR20210073082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포스코 시멘트용 중화석고 조성물, 시멘트용 중화석고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시멘트용 중화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250B1 (ko) * 2000-02-07 2004-03-04 손연자 콘크리트 제조용 시멘트 혼화재
KR101257053B1 (ko) * 2011-06-28 2013-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탈황 슬래그의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1569490B1 (ko) * 2014-09-01 2015-11-17 주식회사 포스코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폐황산 중화처리 방법
JP2016199789A (ja) * 2015-04-10 2016-12-0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鉄鋼スラグの酸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250B1 (ko) * 2000-02-07 2004-03-04 손연자 콘크리트 제조용 시멘트 혼화재
KR101257053B1 (ko) * 2011-06-28 2013-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탈황 슬래그의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1569490B1 (ko) * 2014-09-01 2015-11-17 주식회사 포스코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폐황산 중화처리 방법
JP2016199789A (ja) * 2015-04-10 2016-12-0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鉄鋼スラグの酸処理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40B1 (ko) * 2018-05-30 2019-07-19 주식회사 케이스트 제강슬래그 또는 산화칼슘을 함유한 산업부산물을 주원료로 알칼리중화제를 제조하고 폐산을 건식법으로 중화하여 so3 함량 38%(중량기준) 이상의 화학석고를 제조하는 방법
WO2019231229A1 (ko) * 2018-05-30 2019-12-05 주식회사 케이스트 제강슬래그 또는 산화칼슘을 함유한 산업부산물을 주원료로 알칼리중화제를 제조하고 폐산을 건식법으로 중화하여 so3함량 38%(중량기준) 이상의 화학석고를 제조하는 방법
KR20200059639A (ko) *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 포스코 중조로 탈황 처리된 더스트를 이용한 석고 제조방법
KR102152698B1 (ko) 2018-11-21 2020-09-07 주식회사 포스코 중조로 탈황 처리된 더스트를 이용한 석고 제조방법
KR20210073082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포스코 시멘트용 중화석고 조성물, 시멘트용 중화석고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시멘트용 중화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
KR102293624B1 (ko) * 2019-12-10 2021-08-25 주식회사 포스코 시멘트용 중화석고 조성물, 시멘트용 중화석고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시멘트용 중화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438B1 (ko) 슬래그계 제철 폐기물과 제철 공정 부산물을 이용한 비소성 펠릿 조성물 및 펠릿 제조방법
US3920795A (en) Stabilization of sludge slurries
KR101839251B1 (ko)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알칼리 석고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알칼리 석고, 상기 알칼리 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용 혼화재, 슬래그 시멘트 및 콘크리트 조성물
KR101569490B1 (ko) 탈황슬래그를 이용한 폐황산 중화처리 방법
KR102305174B1 (ko) 조강성이 향상된 콘크리트 2차제품용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방법
KR101891183B1 (ko) 분쇄조제
KR20140092699A (ko) 페트로 코크스 탈황석고를 이용한 고함수 슬러지 고화제 및 이를 이용한 고화토 제조방법
CN111196688A (zh) 利用铁尾矿粉、矿渣微粉、脱硫灰制备复合胶凝材料的方法
KR101789030B1 (ko) 시멘트 혼화재와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시멘트 혼화재를 포함한 시멘트 및 상기 시멘트 혼화재를 포함한 콘크리트
KR101973093B1 (ko) 순환자원을 자극제로 이용한 시멘트 대체용 결합재 조성물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slag management & utilization in the steel industry
KR20180051903A (ko) 중금속 용출이 없는 무독성 표층혼합처리 공법
JP5610572B2 (ja) 製鋼スラグの処理方法
KR100732606B1 (ko) 소결 탈황더스트를 사용한 시멘트 자극제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한 시멘트
KR20070089021A (ko) 유·무기성 폐자원용 고화제의 제조방법
KR102565271B1 (ko)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포함하는 지반 고화제용 콘크리트 조성물
CN113831033A (zh) 脱硫灰-钢渣复合胶凝组合物、脱硫灰-钢渣复合胶凝材料
CN109293327A (zh) 一种无水泥大宗工业固废高性能土壤固化剂制备和应用方法
KR101366835B1 (ko) 탈황더스트를 이용한 시멘트 조성물
JP2014024718A (ja) 路盤材用スラグ及び路盤材用スラグの製造方法
CN114163148A (zh) 一种含铁水脱硫尾渣的固废基胶凝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663799A (zh) 一种彻底化全资源的钢渣处理工艺
KR102293624B1 (ko) 시멘트용 중화석고 조성물, 시멘트용 중화석고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시멘트용 중화석고를 포함하는 시멘트
CN115463527A (zh) 一种用工业固体废弃物制备的脱硫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880486A (zh) 一种利用钢铁厂固废的复合掺合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