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149B1 -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 - Google Patents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149B1
KR101839149B1 KR1020110082117A KR20110082117A KR101839149B1 KR 101839149 B1 KR101839149 B1 KR 101839149B1 KR 1020110082117 A KR1020110082117 A KR 1020110082117A KR 20110082117 A KR20110082117 A KR 20110082117A KR 101839149 B1 KR101839149 B1 KR 101839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locking
contour
compon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084A (ko
Inventor
슈테판 후버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01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 특히 조향 칼럼(11)의 가동 로킹 부재(10)를 변위시키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변위 장치는 로킹 부재(10)가 체결 위치(30)와 해제 위치(31)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로킹 부재(10)와 기계식으로 작용 연결되는 구동 장치와, 적어도 릴리스 위치와 블로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기구(20)를 포함하고, 이때 체결 위치(30)에서는 로킹 부재(10)가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 내에 맞물려 구성 부재(11)의 이동을 방지하며, 해제 위치(31)에서는 로킹 부재(10)가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로부터 분리되어 구성 부재(11)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릴리스 위치에서는 로킹 부재(10)가 자유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블로킹 위치에서는 안전 기구(20)가 로킹 부재(10)에 작용하므로, 로킹 부재(10)를 부당하게 이동시키려는 조작 시도가 발생한 경우 해제 위치(31)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10)의 이동이 방지되며, 발생 가능한 상기 구성 부재(11)의 부적합 위치(38)의 경우, 로킹 부재(10)는 체결 위치(30)와 해제 위치(31)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32)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부적합 위치(38)에서는 구성 부재(11)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로킹 부재(10)는 구성 부재(11)의 부적합 위치(38)에서 조작 시도가 있을 시에, 구성 부재(11)가 상기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38)로부터 이동하면, 로킹 부재(10)가 상기 로킹 부재의 체결 위치(3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조작 시도 시에 안전 기구(20)가 영향을 미치는 유형의 윤곽부(12)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DEVICE FOR DISPLACING A MOVABLE LOCKING ELEMEN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능 필수 구성 부재(component essential to function), 특히 조향 칼럼의 가동 로킹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변위 장치는, 체결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로킹 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로킹 부재와 기계식으로 작용 연결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체결 위치에서 로킹 부재는 기능 필수 구성 부재 내에 맞물려 상기 구성 부재의 이동을 방지한다. 해제 위치에서는 로킹 부재가 기능 필수 구성 부재로부터 분리되면서, 구성 부재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릴리스 위치 및 블로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기구(safety mechanism)를 포함한다. 릴리스 위치에서 로킹 부재는 자유 이동할 수 있다. 블로킹 위치에서 안전 기구는 로킹 부재에 작용하므로, 로킹 부재를 부당하게 이동시키려는 조작 시도가 발생하는 경우 해제 위치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의 이동은 방지된다. 발생 가능한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의 경우 로킹 부재는 체결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부적합 위치에서 구성 부재는 이동할 수 있다.
DE 102 47 803 B3호에는 체결 위치에서 조향 칼럼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킹 부재를 통해 조향 칼럼을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로킹 부재는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조향 칼럼의 로킹 그루브(locking groove) 내로 삽입된다. 상기 장치의 경우, 비권한 사용자가 장치의 밀폐 덮개를 들어올려 체결 위치로부터 로킹 부재를 제거하고자 하는 조작 시도는 실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는 조작 시도 시에 로킹 부재의 공동부(cavity) 내로 삽입되어 체결 위치에 로킹 부재를 고정하는 로킹 핀(locking pin)을 포함한다.
이 경우 단점은 장치의 제조 및 조립 시에 조향 칼럼에 대한 하우징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이런 제조 공차에 의해, 로킹 핀이 체결 위치에서 공동부와 마주보고 위치하지 않게 됨으로써, 조작 시도 시에 로킹 핀이 공동부 내로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만일 공동부가 체결 위치에서 로킹 핀보다 조향 칼럼으로부터 더욱 멀리 이격되어 위치한다면, 비권한 사용자는 로킹 핀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로킹 부재를 체결 위치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체결 위치에서 공동부가 로킹 핀보다 조향 칼럼에 더욱 가깝게 위치한다면, 비권한 사용자가 로킹 부재를 제거하는 동안 로킹 핀이 공동부 내로 삽입되기는 하지만, 로킹 부재가 조향 칼럼의 회전을 전혀 방지하지 못하거나 충분히 방지하지 못하는 로킹 부재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에 도달하고자 할 때 로킹 그루브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로킹 그루브들 사이에 배치되는 조향 칼럼의 톱니부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로킹 부재가 취하는 위치는 다음에서 중간 위치로서 지칭된다. 조향 칼럼에 대한 하우징의 부정확한 거리로 인해 로킹 부재의 중간 위치에서 로킹 핀이 공동부와 마주보고 위치한다면, 조작 시도 시에 로킹 부재가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로킹 핀은 공동부 내로 삽입된다. 통상적으로 로킹 부재에는 스프링이 배치되며, 이 스프링은 로킹 부재가 로킹 그루브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조향 칼럼의 이동 시에 로킹 부재가 중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이동하게끔 한다. 그러나 로킹 핀은 공동부 내에 맞물린 후에 중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의 이동을 방지한다. 로킹 부재는 중간 위치에서 조향 칼럼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로킹 핀은 비권한 사용자가 차량을 조향할 수 있는 위치에 로킹 부재를 고정시켜, 체결 위치로 이루어지게 되는 로킹 부재의 그 외의 통상적인 이동을 방지한다. 그에 따라 로킹 핀은 의도되는 작용과 정확히 반대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 시도 시에 체결 위치에 로킹 부재를 블로킹하기 위한 안전 기구가 제공되고, 제조 공차가 있더라도 조작 시도 시에 로킹 부재가 상기 로킹 부재의 체결 위치에 확실하게 도달할 수 있는, 가동 로킹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 특히 특징부의 모든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예는 종속항들에서 제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에 언급되는 특징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 형태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로킹 부재는,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에서 조작 시도가 있을 시에 구성 부재가 상기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로부터 이동하면, 로킹 부재가 상기 부품의 체결 위치로 이동하도록 조작 시도 시에 안전 기구가 영향을 미치는 유형의 윤곽부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해야 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로킹 부재는 체결 위치에서, 예컨대 조향 칼럼, 변속 레버, 및/또는 자동차의 비사용 상태에서 항상 활성 상태인 브레이크와 같이, 자동차의 사용에 필요한 자동차의 기능 필수 구성 부재를 체결한다. 권한 사용자가 자동차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로킹 부재는 구동 장치에 의해 체결 위치로부터, 기능 필수 구성 부재가 로킹 부재로부터 릴리스되는 해제 위치로 이동하므로 권한 사용자는 구성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자동차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권한은 예컨대 키리스 엔트리 또는 구동 시스템을 통해, 또는 유효한 기계식 키를 통해 증명될 수 있다.
권한이 없는 비권한 사용자는 장치를 부분적으로 개방하고 예컨대 자석을 통해 체결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로킹 부재를 이동시키고자 시도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는 안전 기구가 제공되며, 이 안전 기구는 상기 유형의 조작 시도 시 로킹 부재를 체결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안전 기구는 이 안전 기구가 로킹 부재에 작용하는 블로킹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안전 기구는 로킹 부재의 이동이 안전 기구에 의해 릴리스되는 릴리스 위치를 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로킹 부재가 기능 필수 구성 부재 내에 맞물리지 못하는 부적합 위치를 기능 필수 구성 부재가 취하게 되면, 로킹 부재는 기능 필수 구성 부재를 규정대로 체결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로킹 부재는 체결 위치의 방향으로의 이동 시 구성 부재의 그루브 대신에 그 톱니부에 부딪힐 수 있고 로킹 부재가 그루브 내에 맞물리는 체결 위치로 계속 이동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앞서 정의한 중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조작 시도 시에 실수로, 예컨대 제조 공차로 인해 안전 기구와 로킹 부재가 중간 위치에서 공간적으로 서로 부정확하게 배치됨으로써 로킹 부재가 안전 기구에 의해 중간 위치에 고정된다면, 로킹 부재는 구성 부재가 상기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즉시, 상기의 잘못된 고정에도 불구하고 로킹 부재의 본 발명에 따른 윤곽부에 의해 체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윤곽부는, 안전 기구에 부합하게 형성된 단일의 리세스부(recess)를 벗어나 형성되는, 로킹 부재의 공간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비권한 사용자는 조작 시도 시에 통상적으로, 비권한 사용자가, 다시 말해 외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장착 부재를 제거하거나 파괴하려는 시도를 하게 된다. 장착 부재는 키 실린더, 폐쇄 부품, 특히 하우징 덮개 또는 하우징 반부(housing half) 또는 전기 단자 접점일 수 있다. 장착 부재는, 비권한 사용자가 장착 부재를 조작할 때 안전 기구를 릴리스 위치로부터 블로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안전 기구와 기계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장착 부재가 사용 조건에 따른 배치 상태, 다시 말해 아직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배치 상태에 위치해 있다면, 안전 기구는 릴리스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장착 부재는 안전 기구의 연결 부재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비권한 사용자가 본원의 장치로부터 장착 부재를 제거한다면, 연결 부재도 마찬가지로 이동하고 이때 변위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원의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연결 부재는 안전 플레이트 또는 안전 와이어일 수 있다. 연결 부재는 안전 기구의 고정 부재(fixing element)와 기계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릴리스 위치에서 연결 부재는, 고정 부재가 윤곽부 내로 삽입되지 않는 휴지 위치(rest position)에서 고정 부재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연결 부재는 로킹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고정 부재에서는 연결 부재를 위한 특별한 수용부가 생략될 수 있게 된다. 그와 반대로 조작 시도 시에 연결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원의 장치로부터 제거되거나 변위되면, 그로 인해 고정 부재는, 고정 부재가 윤곽부 내에 맞물리는 고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윤곽부는, 고정 부재가 2개 이상의 상이한 고정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고정 위치는 로킹 부재에 대해 3개의 공간 방향으로 정해진 고정 부재의 위치로서 정의되며, 이 위치에서 고정 부재는 로킹 부재 내에 맞물린다. 로킹 부재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과 기능 필수 구성 부재의 상호 간 공간 배치 상태가 제조 공차로 인해 변동하면, 고정 부재가 복수의 고정 위치를 취할 수 있게끔 하는 윤곽부는, 로킹 부재의 체결 위치에서 조작 시도가 있을 경우 고정 부재가 항상 고정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윤곽부의 구성을 통해 복수의 고정 위치, 바람직하게는 3개와 10개 사이의 고정 위치, 특히 바람직하게는 4개와 8개 사이의 고정 위치가 가능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큰 제조 공차도 보상될 수 있다.
특히 제1 하우징과 기능 필수 구성 부재의 상호 간 거리는 제조 공차로 인해 변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 윤곽부는 로킹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다시 말해 기능 필수 구성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구성된다. 윤곽부는, 조작 시도 시 고정 부재가 로킹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연달아 복수의 고정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가 복수의 고정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윤곽부는 복수의 윤곽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윤곽 구간은 고정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기능 필수 구성 부재에 대한 로킹 부재의 위치가 적합한 경우에 조작 시도가 있으면 고정 부재는 대략 중앙의 윤곽 구간 내에 맞물릴 수 있다. 구성 부재에 대한 제1 하우징의 거리가 계획한 것보다 작다면, 고정 부재는 구성 부재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는 윤곽 구간 내에 맞물려 대응하는 고정 위치를 취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구성 부재에 대한 제1 하우징의 거리가 계획한 것보다 크다면, 고정 부재는 구성 부재로부터 더욱 멀리 이격된 윤곽 구간 내에 맞물릴 수 있다.
윤곽부는, 고정 부재가 일측 윤곽 구간으로부터, 기능 필수 구성 부재에 더욱 가깝게 위치하는 윤곽 구간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위치를 진술하는 "가깝게"라는 표현은 로킹 부재의 정상 상태(stationary state)에 관한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고정 부재가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비권한 사용자가 구성 부재의 이동이 가능하게 될 정도로 구성 부재로부터 로킹 부재를 빼내고자 하는 점은 방지되어야 한다. 구성 부재의 이동은 이미 로킹 부재의 중간 위치에서 가능하다.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로킹 부재는 구성 부재를 가능한 확실하게 체결하기 위해 구성 부재 내에 가급적 깊게 맞물려야 한다. 그와 반대로 로킹 부재가 구성 부재 내에 맞물리지 않으면, 흔들림, 연마, 굽힘 또는 파손에 의해 구성 부재가 해제될 수 있다.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의 뚜렷한 이동은 특히 고정 부재와 로킹 부재, 특히 윤곽부 간의 형태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각각 취해지는 고정 위치에서 고정 부재는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로킹 부재가 이동할 시에 윤곽부와의 형태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써, 특히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구성 부재의 그루브의 깊이보다 크거나 동일한 로킹 부재 이동은 방지된다.
예컨대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에 의해 로킹 부재가 중간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로킹 부재가 우선 체결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특히 고정 부재가 윤곽부 내에 맞물리면서 안전 기구가 가능한 방식으로 블로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럼에도, 체결 위치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의 이동은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윤곽부는, 고정 부재가 일측 윤곽부 구간으로부터, 기능 필수 구성 부재로부터 더 이격되어 위치하는 윤곽부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위치를 진술하는 "더 이격되어"라는 표현은 로킹 부재의 정상 상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안전 기구가 구동 장치와 완전히 무관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안전 기구는 구동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통상적으로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 및 해제 위치로 이동할 시에, 다시 말해 사고 또는 조작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안전 기구는 릴리스 위치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안전 기구는 불필요한 마모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중간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로킹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본원의 장치에는 로킹 부재를 기능 필수 구성 부재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구성 부재가 상기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로부터 이동하면, 로킹 부재는 제1 스프링의 힘에 의해 체결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예컨대 구성 부재의 그루브 내에 맞물릴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로킹 부재의 방향으로 고정 부재를 강제 이동시키는 제2 스프링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만일 연결 부재가 고정 부재를 위해 로킹 부재를 릴리스하면,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추가 구동 장치 없이 제2 스프링의 힘에 의해 로킹 부재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고정 부재는 제2 스프링의 힘에 의해 휴지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측의 고정 위치로부터 윤곽부의 구성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 추가의 고정 위치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재의 이동이 제2 스프링의 힘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실행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예컨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일측의 윤곽 구간으로부터, 기능 필수 구성 부재로부터 더 이격되어 위치하는 윤곽 구간으로 제2 스프링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로킹 부재 및/또는 고정 부재는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안내되는 제1 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제2 가이드 내에서 선형으로 안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프링의 일측 단부는 제1 가이드로서 이용되는 제1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프링의 경우, 그에 상응하게 제2 스프링의 일측 단부는 제2 가이드로서 이용되는 제2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가 사고 발생 시에 로킹 부재를 해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킹 부재에는 해제 위치에서 고정 부재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제1 공동부가 제공된다. 고정 부재는 구동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고정 부재는 사고 발생 시에만 제1 공동부 내에 맞물리지만 자동차의 정상적인 작동 시에는 맞물리지 않는다.
연결 부재는 자동차의 정상적인 작동 시에 고정 부재를 휴지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사고가 발생한 경우 연결 부재는 파손되고 고정 부재와 로킹 부재 사이의 위치로부터 이동하므로, 고정 부재는 특히 제2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제1 공동부 내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 고정 부재는, 비록 자동차의 정상적인 작동 시에 제1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로킹 부재를 해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추가 메커니즘이 사고 결과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제1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로킹 부재를 해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따라서 정상적인 작동 시에 로킹 부재는 구동 장치에 의해, 예컨대 리프팅 로드(lifting rod)에 의해 해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사고 발생 시에 연결 부재가 우선 파손됨으로써 고정 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는 로킹 부재 내에 맞물린 후에야 비로소 리프팅 로드가 파손되면, 기능 필수 구성 부재는 로킹 부재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리프팅 로드가 파손됐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는 계속해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체결 위치에서 조작 시도가 있을 때뿐만 아니라 해제 위치에서 사고가 발생할 때에도 동일한 고정 부재가 로킹 부재 내에 맞물릴 수 있도록, 특히 윤곽부와 기능 필수 구성 부재 사이에 제1 공동부가 배치된다.
고정 부재에 대한 비권한 사용자의 접근을 어렵게 하기 위해, 고정 부재는 비권한 사용자로부터 가능한 이격되어 접근 불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제1 하우징 내에서 캡슐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의 부재들은 고정 부재와 장착 부재 사이에 제공된다. 구동 장치는 전기 또는 기계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리프팅 로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리프팅 로드를 통해 로킹 부재가 이동한다. 구동 장치를 위해, 특히 리프팅 로드를 수용하기 위해, 제2 공동부가 로킹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동부는 장착 부재와 윤곽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윤곽부는 제1 및 제2 공동부 사이에 배치된다.
윤곽부에 의해 로킹 부재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윤곽부의 가장 깊은 지점은 로킹 부재의 추가 공동부보다 덜 깊거나 동일하게 깊은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윤곽부는 계단 형태로 구성된다. 계단부는 기능 필수 구성 부재의 방향으로 상승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부재가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조작 시도가 있을 경우 안전 기구가 상기 유형의 계단형 윤곽부 내에 맞물리면, 구성 부재가 상기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우 로킹 부재는 확실하게 체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고정 부재는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로 이동할 시에 일측의 계단 단계로부터 더욱 깊게 위치하는 계단 단계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윤곽부는 고정 부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와 반대로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의 이동은 상기 유형의 계단형 윤곽부 내로 고정 부재가 삽입될 시에 고정 부재가 계단 견부(staircase shoulder)와 형태 결합될 때까지만 가능하다. 이런 경우 바람직하게는 폭이 작은 계단 단계가 복수 개 존재하기 때문에,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로부터 뚜렷하게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계단 단계들은 약간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의 장점은 로킹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계단부가 약간 연장되는 것에 있다.
대체되는 실시예에서 윤곽부는 연달아 위치하는 복수의 리세스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들은 로킹 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될 수 있다. 리세스부는 모두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리세스부들은 바람직하게는, 로킹 부재가 중간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조작 시도가 있을 시에 안전 기구가 리세스부 내에 맞물리면, 구성 부재가 상기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우 로킹 부재가 확실하게 체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리세스부들 및 고정 부재는 서로 향해 있는 경사면을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 부재의 경사면은 기능 필수 구성 부재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다. 만일 고정 부재가 리세스부와 맞물려 있을 때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리세스부 및 고정 부재의 경사면들은 서로 맞닿아 미끄러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고정 부재는, 로킹 부재가 리세스부로부터 체결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특히 제2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로킹 부재는 체결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의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하는 동안 고정 부재는 제2 스프링의 힘에 의해, 구성 부재로부터 훨씬 이격된 추가 리세스부와 맞물리게 된다. 이런 과정은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해제 위치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의 이동은 고정 부재가 리세스부 내에 맞물릴 경우 고정 부재가 리세스부와 형태 결합될 때까지만 가능하다. 이를 위해 고정 부재 및 리세스부는 서로 인접하는 표면을 각각 가질 수 있으며, 이들 표면은 실질적으로 로킹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고정 부재의 상기 표면은 기능 필수 구성 부재로 향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폭이 작은 복수의 리세스부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체결 위치로부터 로킹 부재가 뚜렷하게 이동하는 점은 불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부들 사이의 중간 공간부가 작게 유지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의 뚜렷한 이동도 방지된다. 또한, 로킹 부재의 길이는 짧게 유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를 가능한 파손되지 않게 구성하기 위해, 고정 부재가 계단 단계 또는 리세스부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갖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계단 단계 또는 리세스부는 윤곽 구간에 상응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위치는 리세스부 또는 계단 단계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개선하는 추가 조치들은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제시된다. 구조적인 상세 내용, 공간 배치 구조 및 공정 단계를 포함하여 특허 청구 범위,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으로부터 개시되는 모든 특징 및/또는 장점은 그 자체로 그리고 다양한 조합 형태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대상이 될 수 있다.
도 1a는 조작 시도나, 사고 발생이 존재하지 않고, 로킹 부재가 해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기능 필수 구성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예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b는 도 1a에 따르지만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c는 도 1a 및 도 1b에 따르지만 로킹 부재가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도 1a에 따르지만 사고가 발생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b는 도 1b에 따르지만 조작 시도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c는 도 1c에 따르지만 조작 시도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조작 시도나, 사고 발생이 존재하지 않고, 로킹 부재가 체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기능 필수 구성 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 실시예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 따르지만 조작 시도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c는 도 3b에 따르지만 로킹 부재가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장치의 부품들을 3차원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부품들을 3차원으로 도시한 추가의 도면.
도면에서 작동 방식이 동일한 장치 및 부재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장치(1)의 부재들은 조작 시도나, 사고 발생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상적인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장치(1)는 제1 가이드로서도 동시에 이용되는 제1 하우징(19) 내에 선형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킹 부재(10)를 포함한다. 로킹 부재(10)는 조향 칼럼(11)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기능 필수 구성 부재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로킹 부재(10)는 도 1b에 도시된 체결 위치(30)에서 조향 칼럼(11)의 회전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장치(1)가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를 작동 불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비권한 사용자가 자동차를 주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킹 부재(10)는 체결 위치(30)에서 조향 칼럼(11)의 그루브(11.1)와 맞물린다.
도 1a에 도시된 로킹 부재(10)의 해제 위치(31)에서 로킹 부재(10)는 조향 칼럼(11)과 맞물리지 않는다. 로킹 부재(10)는 제1 스프링(13)의 힘에 대항하여 미도시된 구동 장치에 의해 화살표(4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체결 위치(30)로부터 해제 위치(31)로 이동한다. 로킹 부재는 구동 장치 및/또는 제1 스프링(13)의 힘에 의해 화살표(41) 방향으로 해제 위치(31)로부터 체결 위치(30)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제1 스프링(13)은 제1 하우징(19)과, 조향 칼럼의 반대편에 있는 로킹 부재(10)의 단부(10.1)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 장치가 로킹 부재(10)를 해제 위치(31)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자동차를 운전하기 위한 자신의 권한을 예컨대 기계식 또는 전자식 키를 통해 증명해야 한다.
도 1c에서 조향 칼럼(11)은, 그루브(11.1) 내로 로킹 부재(10)가 맞물리는 것을 조향 칼럼(11)의 톱니부(11.2)가 방지하는 부적합 위치(38)를 갖는다. 그런 다음 로킹 부재(10)를 체결 위치(30)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면, 로킹 부재(10)는 체결 위치(30) 대신에 도 1c에 따른 중간 위치(32)를 취하게 된다. 조향 칼럼(11)이 부적합 위치(38)로부터 예컨대 화살표(43)에 따라 회전된다면, 제1 스프링(13)의 힘에 의해 로킹 부재(10)는 화살표(42)에 따라 체결 위치(30)로 이동되며, 그럼으로써 로킹 부재(10)는 도 1b에 따른 체결 위치(30)를 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폐쇄 부품으로서 형성된 장착 부재(21)에 안전 와이어(22)가 고정되어 있는 안전 기구(20)를 포함한다. 추가로 안전 기구(20)는 고정 부재(23)를 포함하며, 이 고정 부재는 제2 가이드로서 이용되는 제2 하우징(26) 내에 배치된다. 고정 부재(23)는 하우징(26)과, 로킹 부재(10)의 반대편에 있는 고정 부재(23)의 단부(23, 1)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24)에 의해 로킹 부재(10)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하우징(26)은 비권한 사용자가 가급적 접근하지 못하도록 배치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조작 시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 기구(20)는 릴리스 위치에 위치한다. 릴리스 위치에서 안전 와이어(22)는, 고정 부재(23)가 로킹 부재(10) 내에 맞물리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안전 와이어(22)는 고정 부재(23)와 로킹 부재(10) 사이에 위치한다. 고정 부재(23)는 안전 기구(20)가 릴리스 위치에 있는 동안 로킹 부재(10) 외부의 휴지 위치(37)에 위치한다.
로킹 부재(10)는 도 1a 내지 도 1c, 도 2a 내지 도 2c, 도 4 및 도 5에서 계단부(16)로서 형성되는 윤곽부(12)를 포함한다. 계단부(16)는, 로킹 부재(10)가 체결 위치(30)에 위치할 때 계단부(16)가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방식으로 로킹 부재(10)에 배치된다. 계단 단계(16.1, 16.2, 16.3, 16.4)는 윤곽 구간들로서 이용된다. 계단부(16)는 조향 칼럼(11)의 방향으로 상승한다.
조향 칼럼(11)과 제1 하우징(19) 사이의 거리(d)는 제조 공차로 인해 변동할 수 있다. 조립 후 거리(d)가 얼마나 큰지에 따라, 로킹 부재(10)가 체결 위치(30)에 위치할 때 계단 단계(16.1, 16.2, 16.3, 16.4) 중 각각 다른 계단 단계가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할 수 있다. 거리(d)가 작다면, 예컨대 계단 단계(16.1)가 로킹 부재(10)의 체결 위치(30)에서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한다(미도시). 그와 반대로 거리(d)가 크다면, 예컨대 계단 단계(16.4)가 로킹 부재(10)의 체결 위치(30)에서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한다(미도시). 도 1a 내지 도 1c,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b에 따라 로킹 부재(10)가 체결 위치(30)에 위치한 경우 계단 단계(16.3)가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한다. 그로 인해, 거리(d)가 변동함에도 불구하고, 윤곽부(12)의 길이에 걸쳐서 제조 공차가 보상될 수 있으므로, 고정 부재(23)는 조작 시도가 있는 경우 계단 단계(16.1, 16.2, 16.3, 16.4) 중 일측의 계단 단계 내에 맞물릴 수 있다. 윤곽부(12)의 길이는 기대되는 가변의 거리(d)에 부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계단 단계(16.1, 16.2, 16.3, 16.4)의 개수도 변동할 수 있다.
로킹 부재(10)는, 도 1a에 따라 해제 위치(31)에서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하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해제 위치(31)에 로킹 부재(10)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1 공동부(14)를 포함한다.
로킹 부재(10)는, 미도시한 구동 장치의 부품인 미도시한 리프팅 로드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공동부(15)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윤곽부(12)의 가장 깊은 지점, 즉 계단 단계(16.4)는 제2 공동부(15)보다 덜 깊다. 윤곽부(12)는 제1 공동부(14)와 제2 공동부(15) 사이에 배치된다. 윤곽부(12)는 제2 공동부(15)로 이어진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고정 부재(23)가 로킹 부재(10)와 맞물려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서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그 결과로 안전 와이어(22)가 파손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안전 와이어(22)는 고정 부재(23)를 위한 제1 하우징(19)의 개구부(19.1)를 통해 로킹 부재(10)에 대한 접근을 릴리스하며, 그럼으로써 고정 부재(23)는 제1 공동부(14) 내에 맞물린다. 따라서, 비록 리프팅 로드가 파손되고 로킹 부재(10)가 제1 스프링(13)의 힘에 의해 체결 위치(30)의 방향으로 가압된다고 하더라도, 로킹 부재(10)는 해제 위치(31)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로써, 조향 칼럼(11)의 체결이 방지될 수 있다. 조향 칼럼(11)은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작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2b에서는 비권한 사용자가 장치(1)를 조작하고자 시도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비권한 사용자는 장착 부재(21)를 제거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안전 기구(20)는 블로킹 위치로 이동한다. 블로킹 위치에서는 장착 부재(21)가 제거됨으로써 안전 와이어(22)가 개구부(19.1)로부터 화살표(45)의 방향으로 이격되었으며, 그럼으로써 안전 와이어(22)는 고정 부재(23)를 릴리스한다. 블로킹 위치에서 고정 부재(23)는 고정 부재(23)가 윤곽부(12) 내에 맞물리는 고정 위치(34)를 취한다. 계단 단계(16.1, 16.2, 16.3, 16.4) 중 어느 계단 단계가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고정 위치(33, 34)가 취해질 수 있다. 비권한 사용자가 예컨대 자석을 이용하여 화살표 방향(44)에 따라 로킹 부재(10)를 체결 위치(30)로부터 해제 위치(31)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고정 부재(23)는 계단 견부(16.3')에 도달하며, 그럼으로써 화살표 방향(44)으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10)의 추가 이동은 계단 견부(16.3')와 고정 부재(23)의 형태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계단 단계(16.3)의 폭(16.3")을 그루브(11.1)의 깊이보다 훨씬 더 작게 함으로써, 로킹 부재(10)는 확실히 체결 위치(30)에 유지된다.
도 2c에서 로킹 부재(10)는 중간 위치(32)를 취하고 있다. 조작 시도가 이루어진다면, 로킹 부재(10)의 중간 위치(32)에서도 일측 계단 단계(16.1, 16.2, 16.3, 16.4)가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경우 고정 부재(23)는 고정 위치(33)를 취한다. 도 2c에서 계단 단계(16.1)는 로킹 부재(10)의 중간 위치(32)에서 고정 부재와 마주보고 위치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조작 시도의 경우 로킹 부재(10)의 중간 위치(32)에 안전 기구(20)의 블로킹 위치가 제공된다. 로킹 부재(10)의 중간 위치(32)에서 조향 칼럼(11)은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조작 시도 시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라, 블로킹 위치에서 안전 기구(20)는 로킹 부재(10)를 중간 위치(32)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조향 칼럼(11)이 부적합 위치(38)로부터 이동할 때 로킹 부재(10)가 목표하는 체결 위치(30)로 이동하도록 한다.
로킹 부재(10)가 중간 위치(32)로부터 체결 위치(30)로 변위되면, 고정 부재(23)는 계단 단계(16.1)로부터 더욱 깊게 위치하는 계단 단계(16.2, 16.3, 16.4)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고정 부재(23)는 제2 스프링(24)의 힘에 의해서만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윤곽부(12)에 의해서는 도 2c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조향 칼럼(11)의 일시적인 부적합 위치(38)에서도 로킹 부재(10)는 체결 위치(30)로 이동하고, 안전 기구(20)에 의해 의도한 바대로 체결 위치에 고정된다.
도 4 및 도 5에는 이미 도 1a 내지 도 1c,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장치의 부품들이 3차원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공동부(14)와, 제2 공동부(15)와, 그리고 복수의 계단 단계(16.1, 16.2, 16.3, 16.4)를 구비한 계단부(16)로서 형성된 윤곽부(12)를 포함하는 로킹 부재(1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안전 와이어(22)와, 제2 스프링(24)을 구비한 고정 부재(23)가 휴지 위치(37)에 도시되어 있다. 제2 스프링(24)은 고정 부재(23)의 스프링 수용부(23.2) 내에 수용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는, 윤곽부(12) 및 고정 부재(23)의 실시예에 관해서만, 도 1a 내지 도 1c, 도 2a 내지 도 2c,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제2 실시예의 나머지 부재, 위치 및 기능 모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대응하는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에서는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실시예의 차이점만이 설명된다.
제1 실시예의 계단형 윤곽부 대신에, 제2 실시예에서 윤곽부(12)는 로킹 부재(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4개의 리세스부(17.1, 17.2, 17.3, 17.4)로서 구성되며, 윤곽 구간은 리세스부(17.1, 17.2, 17.3, 17.4)에 상응한다. 조향 칼럼(11)에 대한 제1 하우징(19)의 거리(d)에 따라, 로킹 부재(10)의 체결 위치(30)에서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리세스부(17.1, 17.2, 17.3, 17.4)는 변동한다. 거리(d)가 작다면, 예컨대 리세스부(17.1)가 로킹 부재(10)의 체결 위치(30)에서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한다(미도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 3a, 도 3b에 따라 로킹 부재(10)가 체결 위치(30)에 위치해 있다면, 리세스부(17.3)는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한다. 그로 인해, 거리(d)가 변동함에도 불구하고, 윤곽부(12)의 길이에 걸쳐서 제조 공차가 보상될 수 있으므로 조작 시도가 있는 경우 고정 부재(23)는 리세스부들(17.1, 17.2, 17.3, 17.4) 중 일측의 리세스부 내에 맞물릴 수 있다. 윤곽부(12)의 길이는 기대되는 가변의 거리(d)에 부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리세스부(17.1, 17.2, 17.3, 17.4)의 개수도 변동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조작 시도가 존재하지 않으며, 그럼으로써 고정 부재(23)는 휴지 위치(37)에 위치한다. 그와 반대로, 도 3b에서는 장착 부재(21)가 비권한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었고, 장착 부재(21)에 고정 연결된 안전 와이어(22)는 고정 부재(23)와 로킹 부재(10) 사이의 개구부(19.1)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안전 기구(20)는 블로킹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고정 부재(23)는 고정 위치(35)로 이동한다. 비권한 사용자가 화살표 방향(44)에 따라 체결 위치(30)로부터 로킹 부재(10)를 이동시키고자 한다면, 안전 기구(20)는 상기 시도를 막는다. 로킹 부재(10)는 리세스부(17.3)의 표면(17.3')이 고정 부재(23)에 충돌할 때까지만 이동한다. 리세스부(17.3)는 그루브(11.1)의 깊이보다 작은 폭(17.3")만을 가지기 때문에, 로킹 부재(10)는 체결 위치(30)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비록 고정 부재(23)가 리세스부들(17.1, 17.2, 17.3, 17.4) 사이의 중간 공간부(17')에 부딪힌다고 하더라도, 로킹 부재(10)는, 윤곽부(12)와 고정 부재(23)의 형태 결합이 이루어질 때까지만 이동한다. 또한, 중간 공간부(17')는 작은 폭을 가지기 때문에, 로킹 부재(10)는 체결 위치(30)에 유지된다.
도 3c에서 로킹 부재(10)는 중간 위치(32)를 취하고 있다. 조작 시도가 이루어진다면, 고정 부재(23)는 고정 위치(36)를 취하며, 로킹 부재(10)의 중간 위치(32)에서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하는 공동부(17.2) 내에 맞물린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3c에 도시된 조작 시도의 경우 로킹 부재(10)의 중간 위치(32)에 안전 기구(20)의 블로킹 위치가 제공된다. 로킹 부재(10)의 중간 위치(32)에서 조향 칼럼(11)은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조작 시도 시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블로킹 위치에서 안전 기구(20)는 로킹 부재(10)를 중간 위치(32)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조향 칼럼이 부적합 위치(38)로부터 이동할 때 로킹 부재(10)가 목표한 체결 위치(30)로 이동하도록 한다.
로킹 부재(10)가 중간 위치(32)로부터 체결 위치(30)로 변위된다면, 고정 부재(23)는 리세스부(17.2)로부터, 조향 칼럼으로부터 훨씬 이격된 리세스부(17.3, 17.4)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부재(23) 및 각각의 리세스부(17.1, 17.2, 17.3, 17.4)는 서로 향해 있는 경사면(18, 25)을 포함하며, 이들 경사면에서는 고정 부재(23) 및 로킹 부재(10)가 서로 맞닿아 미끄러진다. 고정 부재(23)는 우선 제1 스프링(13)에 의해 이동하는 로킹 부재(10)의 변위에 의해 제2 스프링(24)의 힘에 대항하여 리세스부(17.2)로부터 가압된다. 로킹 부재(10)가 계속해서 체결 위치(30)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리세스부(17.3)가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하게 되면, 고정 부재(23)는 제2 스프링(24)에 의해 리세스부(17.3) 내로 변위된다. 이런 과정은, 로킹 부재(10)가 체결 위치(30)에 완전하게 위치하게 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윤곽부(12)에 의해서는 도 3c로부터 도 3b에 도시한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그 결과로서 조향 칼럼(11)의 일시적인 부적합 위치(38)에서도 로킹 부재(10)는 체결 위치(30)로 이동하고 체결 위치에서 안전 기구(20)에 의해 의도한 바대로 고정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공동부(14)는, 경사면(25)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 부재(23)의 벽부(23.2)는 제1 공동부(14)와 형태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로킹 부재(10)가 해제 위치(31)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깊게 유지된다.
조향 칼럼(11) 대신에, 변속 레버 또는 브레이크와 같은 또 다른 기능 필수 구성 부재도 로킹 부재(1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1: 장치
10: 로킹 부재
10.1: 로킹 부재의 단부
11: 조향 칼럼
11.1: 조향 칼럼의 그루브
11.2: 조향 칼럼의 톱니부
12: 윤곽부
13: 제1 스프링
14: 제1 공동부(cavity)
15: 제2 공동부
16: 계단부
16.1: 계단 단계
16.2: 계단 단계
16.2': 계단 견부
16.3: 계단 단계
16.4: 계단 단계
17': 중간 공간부
17.1: 리세스부(recess)
17.2: 리세스부
17.3: 리세스부
17.3': 리세스부의 표면
17.3": 리세스부의 폭
17.4: 리세스부
18: 경사면
19: 제1 하우징
19.1: 제1 하우징의 개구부
20: 안전 기구(safety mechanism)
21: 장착 부재, 특히 폐쇄 부품
22: 연결 부재, 특히 안전 와이어
23: 고정 부재
23.1: 고정 부재의 단부
23.2: 고정 부재의 스프링 수용부
23.3: 고정 부재의 벽부
24: 제2 스프링
25: 경사면
26: 제2 하우징
30: 체결 위치
31: 해제 위치
32: 중간 위치
33: 고정 위치
34: 고정 위치
35: 고정 위치
36: 고정 위치
37: 휴지 위치(rest position)
38: 부적합 위치(false position)
41: 화살표
42: 화살표
43: 화살표
44: 화살표
45: 화살표
d: 거리

Claims (20)

  1.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의 가동 로킹 부재(10)를 변위시키기 위한 장치(1)이며, 상기 변위 장치는,
    로킹 부재(10)가 체결 위치(30)와 해제 위치(31)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로킹 부재(10)와 기계식으로 작용 연결되는 구동 장치와, 적어도 릴리스 위치와 블로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기구(20)를 포함하고,
    이때 체결 위치(30)에서는 로킹 부재(10)가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 내에 맞물려 상기 구성 부재(11)의 이동을 방지하며,
    해제 위치(31)에서는 로킹 부재(10)가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로부터 분리되어 구성 부재(11)가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릴리스 위치에서는 로킹 부재(10)가 자유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블로킹 위치에서는 안전 기구(20)가 로킹 부재(10)에 작용하므로, 비권한 사용자가 외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장착 부재(21)를 제거하거나 파괴하려는 시도를 하여 로킹 부재(10)를 부당하게 이동시키려는 조작 시도가 발생한 경우 해제 위치(31)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10)의 이동이 방지되며,
    발생 가능한 구성 부재(11)의 부적합 위치(38)의 경우, 로킹 부재(10)는 체결 위치(30)와 해제 위치(31)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32)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부적합 위치(38)에서는 상기 구성 부재(11)가 이동할 수 있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에 있어서,
    안전 기구(20)는 연결 부재(22) 및 고정 부재(23)를 포함하고, 연결 부재(22)는 장착 부재(21)에 고정 연결되어 장착 부재(21)와 함께 이동할 수 있고, 릴리스 위치에서 상기 연결 부재(22)는 상기 고정 부재(23)를 휴지 위치(37)에 유지시키며,
    상기 로킹 부재(10)는 조작 시도 시에 안전 기구(20)가 영향을 미치는 유형의 윤곽부(12)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착 부재(21) 및 연결 부재(22)를 부당하게 제거하는 것을 통해 조작 시도가 발생한 경우 고정 부재(23)는 윤곽부(12) 내의 고정 위치(33, 34, 35, 36)로 이동하며,
    상기 구성 부재(11)의 부적합 위치(38)에서 조작 시도가 있을 시에, 구성 부재(11)가 상기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38)로부터 이동하면, 상기 로킹 부재(10)가 상기 로킹 부재의 체결 위치(3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윤곽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장착 부재(21)는 안전 기구(20)와 기계식으로 상호 작용하므로, 장착 부재(21)에서의 조작 시도 시에 안전 기구(20)는 블로킹 위치로 이동하고, 그리고/또는 장착 부재(21)가 상기 장착 부재의 사용 조건에 따른 배치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안전 기구(20)는 상기 안전 기구의 릴리스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22)는 로킹 부재(10)와 고정 부재(23) 사이의 릴리스 위치(37)에 배치되고, 연결 부재(22)는 안전 플레이트 또는 안전 와이어(22)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23)는 윤곽부(12) 내의 2개 이상의 고정 위치(33, 34, 35, 36)로 이동할 수 있고, 고정 부재(23)는 로킹 부재(10)가 체결 위치(30)에 위치할 때 조작 시도가 있을 경우 고정 위치(33, 34, 35, 36)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6. 제1항에 있어서, 윤곽부(12)는 로킹 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구성되고, 다양한 윤곽 구간(16.1, 16.2, 16.3, 16.4, 17.1, 17.2, 17.3, 17.4)이 로킹 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되므로, 다양한 윤곽 구간(16.1, 16.2, 16.3, 16.4, 17.1, 17.2, 17.3, 17.4)에 상응하는 고정 위치(33, 34, 35, 36)가 고정 부재를 위해 취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윤곽부(12)는, 고정 부재(23)가 일측의 윤곽 구간(16.1, 16.2, 16.3, 16.4, 17.1, 17.2, 17.3, 17.4)으로부터,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로부터 더 이격되어 위치하는 윤곽 구간(16.1, 16.2, 16.3, 16.4, 17.1, 17.2, 17.3, 17.4)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8.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취해진 각각의 고정 위치(33, 34, 35, 36)에서 고정 부재(23)는 해제 위치(31)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로킹 부재(10)의 뚜렷한 이동을 윤곽부(12)와의 형태 결합을 통해 블로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9.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 기구(20)는 구동 장치와 무관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10.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10)는 체결 위치(30)와 해제 위치(31) 사이의 제1 가이드 내에서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고, 고정 부재(23)는 휴지 위치(37)와 고정 위치(33, 34, 35, 36) 사이의 제2 가이드 내에서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11.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킹 부재(10)는 제1 스프링(13)에 의해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의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구성 부재(11)가 상기 구성 부재의 부적합 위치(38)로부터 이동하는 경우 상기 로킹 부재(10)는 상기 제1 스프링(13)에 의해 병진 운동으로 체결 위치(30)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12.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23)는 제2 스프링(24)에 의해 로킹 부재(10)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휴지 위치(37)로부터 고정 위치(33, 34, 35, 36)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제2 스프링(24)에 의해 일측의 윤곽 구간(16.1, 16.2, 16.3, 16.4, 17.1, 17.2, 17.3, 17.4)으로부터,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로부터 더 이격되어 위치하는 윤곽 구간(16.1, 16.2, 16.3, 16.4, 17.1, 17.2, 17.3, 17.4)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13. 제1항에 있어서, 해제 위치(31)에서 로킹 부재(10)의 제1 공동부(14)는 휴지 위치(37)에서의 고정 부재(23)와 마주보고 위치하고, 고정 부재(23)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해제 위치(31)에서 로킹 부재(10)의 제1 공동부(14) 내에 맞물릴 수 있으며, 제1 공동부(14)는 윤곽부(12)와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14.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를 위한 제2 공동부(15)는 로킹 부재(10)에 형성되고, 제2 공동부(15)는 장착 부재(21)와 윤곽부(1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윤곽부(12)는 제2 공동부(15)와 제1 공동부(1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윤곽부(12)의 가장 깊은 지점은 로킹 부재(10)에 배치되는 추가 공동부(14, 15) 중 하나 이상의 공동부보다 덜 깊거나 동일하게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16. 제6항에 있어서, 윤곽부(12)는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의 방향으로 상승하는 계단부(16)로서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 위치(33, 34, 35, 36)에 계단 단계(16.1, 16.2, 16.3, 16.4)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17. 제6항에 있어서, 윤곽부(12)는 연달아 위치하는 복수의 리세스부(17.1, 17.2, 17.3, 17.4)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 위치(33, 34, 35, 36)에 리세스부(17.1, 17.2, 17.3, 17.4)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18. 제17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23)는 각각의 고정 위치(33, 34, 35, 36)에서 기능 필수 구성 부재(11)의 방향으로 해당 리세스부(17.1, 17.2, 17.3, 17.4)와 형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윤곽부(12)는, 체결 위치(30)의 방향으로 로킹 부재(10)가 이동할 시에 고정 부재(23)가 제2 스프링(24)의 힘에 대항하여 리세스부(17.1, 17.2, 17.3, 17.4)로부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리세스부(17.1, 17.2, 17.3, 17.4) 및 상기 고정 부재(23)는 각각 경사면(18, 25)을 포함하므로, 로킹 부재(10)가 체결 위치(3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고정 부재(23)는 경사면(18, 25)을 따라 리세스부(17.1, 17.2, 17.3, 17.4)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20.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23)는 계단 단계(16.1, 16.2, 16.3, 16.4) 또는 리세스부(17.1, 17.2, 17.3, 17.4)와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1).
KR1020110082117A 2010-08-19 2011-08-18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 KR101839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7071.1 2010-08-19
DE102010037071A DE102010037071A1 (de) 2010-08-19 2010-08-19 Vorrichtung zur Verlagerung eines bewegbaren Sperrelemen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084A KR20120018084A (ko) 2012-02-29
KR101839149B1 true KR101839149B1 (ko) 2018-03-15

Family

ID=4454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117A KR101839149B1 (ko) 2010-08-19 2011-08-18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20416B1 (ko)
KR (1) KR101839149B1 (ko)
CN (1) CN102424029B (ko)
DE (1) DE102010037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5867B (zh) * 2013-09-12 2016-08-31 天合汽车零部件(苏州)有限公司 一种电子转向柱锁保险机构
DE102013018835A1 (de) * 2013-09-19 2015-03-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echanische Lenkungsverriegelung für Fahrzeuge
DE102013112124A1 (de) * 2013-11-04 2015-05-07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ellschaft Lenkradschloss für eine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4112816A1 (de) 2014-09-05 2016-03-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Lenkradverriegelung
DE102014114410A1 (de) * 2014-10-02 2016-04-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esicherte Verriegelungsvorrichtung
DE102017121604A1 (de) * 2016-09-19 2018-03-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esicherte Vorrichtung zum Sperren eines funktionswesentlichen Bauteils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116898A1 (de) * 2017-07-26 2019-01-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perrvorrichtung zum Sperren eines funktionswesentlichen Bauteils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Sichern eines Sperrbolzens einer Sperrvorrichtung
CN108406676B (zh) * 2018-03-30 2023-09-08 钦州学院 一种基于船舶基座垫块的研配方法
DE102018109898A1 (de) * 2018-04-25 2019-10-31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USD849277S1 (en) 2018-10-02 2019-05-21 Elemental LED, Inc. Reflective LED strip
USD849278S1 (en) 2018-10-02 2019-05-21 Elemental LED, Inc. Reflective LED strip
DE102019125189A1 (de) * 2019-09-19 2021-03-2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funktionswesentliches Bauteil, Funktionseinheit für ein Fahrzeug sowie Verfahren zum zerstörungsfreien Abstützen einer Bewegung eines funktionswesentlichen Bauteils
CN112407025B (zh) * 2020-12-01 2021-12-03 湖北塞弗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方向盘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6335C2 (de) * 2001-11-16 2003-12-24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DE10247803B3 (de) 2002-10-14 2004-01-2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4038132B2 (ja) * 2003-01-31 2008-01-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320138B3 (de) * 2003-05-06 2005-01-1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4205507B2 (ja) * 2003-07-31 2009-01-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831391B2 (ja) * 2004-07-08 2006-10-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5186127B2 (ja) * 2007-03-29 2013-04-17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08023997B4 (de) * 2008-05-16 2019-04-2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perrvorrichtung mit einem Sperrglied zur Sperrung eines funktionswesentlichen Bauteils
DE102008031217B4 (de) * 2008-07-03 2020-05-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perrvorrichtung mit einem Sperrglied zur Sperrung eines funktionswesentlichen Baute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24029A (zh) 2012-04-25
KR20120018084A (ko) 2012-02-29
DE102010037071A1 (de) 2012-02-23
CN102424029B (zh) 2016-06-01
EP2420416A3 (de) 2013-05-15
EP2420416A2 (de) 2012-02-22
EP2420416B1 (de)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149B1 (ko) 가동 로킹 부재의 변위 장치
US6516640B2 (en) Steering column lock apparatus and method
RU2565154C2 (ru) Противоуг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506346B1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EP1086285B1 (en) Locking device and bonnet lock for a vehicle comprising such a locking device
KR20090009750A (ko) 억류부를 구비한 쇄정 장치
RU254280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локировки рулевой колонки
KR20120137353A (ko) 잠금 장치
JP3120391B2 (ja) 電子点火錠装置
CN110621553A (zh) 尤其用于机动车的锁定装置
EA008553B1 (ru) Цилиндровый замок с кодовым ключом для блокировки вала рулевого колеса и защит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т кражи
CN101864862A (zh) 用于机动车的筒式锁
CN110388141B (zh) 用于固定开关的挂锁
EP3251901B1 (en) Steering lock device
JP2016508921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コラムロックシステム
JP5669214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用盗難防止装置
KR101353876B1 (ko) 록킹 장치
EP2842817B1 (en) Steering lock device
US6854307B2 (en) Lock-picking prevention apparatus
JP6613105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2537791B1 (ko) 차량용 트레이
JP4881777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RU2755356C1 (ru) Замок
JP643428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RU2281213C2 (ru) Стопор вала с замковым механизм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