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442B1 -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442B1
KR101838442B1 KR1020170082514A KR20170082514A KR101838442B1 KR 101838442 B1 KR101838442 B1 KR 101838442B1 KR 1020170082514 A KR1020170082514 A KR 1020170082514A KR 20170082514 A KR20170082514 A KR 20170082514A KR 101838442 B1 KR101838442 B1 KR 10183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mposition
extract
facial flushing
vaccinium bracteatum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웅
김재용
이규옥
신자원
강후원
조아라
최학준
반상오
박성윤
윤효정
임소정
김미리
김영욱
오둘리
최은진
김유진
배동혁
오교녀
정명아
홍지애
이현미
성락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7008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442B1/ko
Priority to PCT/KR2018/001784 priority patent/WO201900455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식품인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안면홍조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hot flushes containing Vaccinium bracteatum Thunb fruit extracts.}
본 발명은 모새나무 (Vaccinium bracteatum Thunb.)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식품인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안면홍조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에게 노화로 진행되는 갱년기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상당수의 여성 및 남성들에게는 갱년기에 동반되는 증상들이 일상생활의 유지를 방해하고 삶의 질을 저하시킬 정도의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심계선, 한약제제의 갱년기 안면홍조 치료에 관한 논문 연구. 2014.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갱년기에는 난소의 기능저하로 인해 특히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수준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안면홍조는 폐경기에 나타나는 증상 중 가장 빈번하고 고질적인 증상으로, 갱년기 이후 여성 중 75% 정도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얼굴, 목, 가슴 부위의 피부가 갑자기 불게 변하면서 전신의 불쾌한 열감과 발한 등을 동반하여 갱년기 이후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안면홍조는 갱년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혈관운동 증상으로 피부 표피 모세혈관의 충혈로 인해 피부가 붉게 변하는 홍반이 나타나고, 피부혈류량이 증가하며, 피부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피부 수분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안면홍조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대표적인 지표로는 피부 표면 온도 측정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시한 '갱년기 여성 건강에 도움을 줄수 있음' 건강 기능성식품 기능성평가 가이드라인을 보면 인체적용시험에서는 skin thermomneter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적외선 감시 센서를 얼굴 미간 정중앙 부위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온도를 측정하고 있고, 동물실험에서는 rat 꼬리의 피부 표면 온도를 적외선 온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다.(건강기능성식품기능성평가 가이드라인 "갱년기 여성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편, 2015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참조). 그러나 안면홍조를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에스트로겐 결핍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기전에 대하여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는 진달래목의 쌍떡잎 속씨식물로 해변의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가 1∼3m로, 작은가지는 회갈색에서 회색이고 거의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두꺼운 가죽같은 질감을 갖는다.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뒷면 밑에 작은 선점(腺點)이 있으며, 꽃은 6월에 피고 홍백색이 돌며 밑으로 처지는 총상꽃차례[總狀花序]에 종처럼 생긴 꽃이 10여 개씩 달리고 포(苞)가 남아 있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흰가루로 덮이며 지름 6mm 정도로 10월에 익으며 먹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식물자원을 활용할 목적으로 천연원료인 모새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 될 수 있는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0108371호에서는 잔토자일룸 피페리툼(흔히 일본 페퍼로서 공지됨) 종자(이의 성숙한 종자를 포함함)는, 안면홍조/열감을 비롯한 폐경기 증후의 개선에 사용하기 위해 효과적인 양의 NMS를 제공하도록 충분한 농도로 존재하고 충분한 효능으로 대사되는 NMS-전구체 N-메틸세로토닌 5-0-B-글루코시드("NMS-글루코시드")를 함유한다. 일본 페퍼 종자 또는 일본 페퍼 종자 추출물은 안면홍조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을 제공하기 위해 NMS 또는 NMS-전구체의 다른 공급원을 강화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폐경기와 관련된 안면홍조의 발생을 치료/경감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N-메틸세로토닌 및 관련된 물질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75554호에서는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돌단풍(Aceriphyllum rossii)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에스트로겐 반응 부위(Estrogen Responsive Element; ERE)를 포함하는 프로모터의 발현을 촉진하고, 인간 유방조직 유래 세포주인 MCF-7의 생장을 촉진하여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는 물질임을 확인하고, 조골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안면홍조증, 골다공증 및 정맥 혈전증 등과 같은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025414호에서는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230644호에서는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고 인간 타이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억제효과를 가져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모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경기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과는 재료 및 함유 성분, 목적에서 차이를 갖는다.
본 발명은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 기능을 갖는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안면홍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며,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에서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된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폐경기 안면홍조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0.01 내지 99.9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1일당 투여량은 체중 kg당 10 내지 2000 mg/kg의 양으로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및 캡슐제, 연질 캡슐제, 과립제, 액제 또는 음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새나무 열매 조성물은 폐경기 동물 모델에서 꼬리 온도 감소에 대한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천연 재료를 이용함으로서 독성 및 부작용 없이 폐경기 안면홍조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꼬리표면온도 변화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물자원을 활용할 목적으로 천연원료인 모새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폐경기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1. 모새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
도 1은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모새나무 열매 2.0kg을 증류수 30L를 가하고, 환류추출기를 이용하여 100℃에서 온도가 올라간 후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감압 필터 후 감압 농축하여 107.2g의 농축액을 얻었다.
2.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의 폐경기 동물의 꼬리표면온도 개선 효과
2-1. 실험동물
10주령의 암컷 Sprague-Dawley Rat(240~260g) 마리를 샘타코에서 공급받았다. 1주일간의 적응기간을 가진 후, 시험 시료 별로 군당 8~10마리씩 난괴법으로 나누어 난소절제술을 실시하였고, 다시 1주일간의 회복기간을 가진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2-2. 실험디자인
난소절제로 폐경을 유도한 rat 모델에서 환경에 변화에 의한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안면홍조를 유발한 후, 적외선카메라로 촬영하여 꼬리표면 온도를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난소절제술 후 1주일간의 회복기를 거친 후 시료를 4주간 투여한 다음 rat 꼬리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케이지당 한 마리씩 수용되어 있던 rat를 동일 케이즈에 8~10마리씩 수용하여 스트레스를 유발시킨 후 적외선카메라(Flir T650c)를 이용하여 쥐를 60분간 촬영하였다. 촬영한 영상분석은 ResearchIR v4프로그램을 이용하여 rat 꼬리털이 끝나는 지점에서 1cm 떨어지 지점에 ROI(Region of interest)를 지정한 후 최고온도를 기록하였다. 실험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2-3.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의 폐경기 동물 모델에서 꼬리표면 온도 개선효과
개별케이즈((W)26X(D)42X(H)18cm)에서 생활하던 rat을 공동케이즈((W)40X(D)80X(H)40)에 수용하게 되면 환경변화, 서열다툼으로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이로 인한 스트레스가 난소절제 rat 모델에서 꼬리표면 온도 상승을 유발한다. 본 실험에서 난소절제군(OVX군)에서 정상군(Nor군)과 달리 꼬리표면 온도가 상승하여 안면홍조가 유도되었다.
난소절제로 폐경이 유도된 rat모델에서 상승된 꼬리표면 온도는 양성대조군(OVX+E2군)인 Estradiol (0.002 mg/kg) 투여로 온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모새나무 열매추출물 투여군(OVX+VBF100, 200 mg/kg)에서도 폐경유도로 상승된 꼬리표면 온도가 저하되었으며,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온도 저하효과를 보였다.
2-4. 혈액 내 estradiol 농도변화
부검 전일 24시간 절식시킨 동물을 에테르 마취하에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응고시킨 다음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얻어 17β-estradiol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은 혈액 내 estradiol의 농도를 나타낸다. 시료를 4주간 투여한 후 측정한 에스트로겐 농도가 모새열매 추출물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은 동물 랫 꼬리표면 온도에 대한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안면홍조 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혈액 내 estradiol의 농도
실험군 17β-estradiol conc.(pg/mL)
Normal 1355
OVX/vehicle 521.1
OVX+E2 668.5
OVX+VBF100 538.5
OVX+VBF200 668.6
우리나라 천연자원인 모새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 기능을 갖는 식품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자연에 서식하는 식물로 대체함으로 제조생산단가 절감과 산업화를 통한 수입대체 및 수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열매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면홍조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0.01 내지 99.9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면홍조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4. 모새나무 열매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면홍조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제 및 캡슐제, 연질 캡슐제, 과립제, 액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홍조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5. 삭제
  6. 삭제
KR1020170082514A 2017-06-29 2017-06-29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83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14A KR101838442B1 (ko) 2017-06-29 2017-06-29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PCT/KR2018/001784 WO2019004552A1 (ko) 2017-06-29 2018-02-12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514A KR101838442B1 (ko) 2017-06-29 2017-06-29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442B1 true KR101838442B1 (ko) 2018-03-15

Family

ID=6165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514A KR101838442B1 (ko) 2017-06-29 2017-06-29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8442B1 (ko)
WO (1) WO201900455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980B1 (ko) 2018-12-28 2020-06-18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들깨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관련 안면홍조 완화용 조성물
KR102388984B1 (ko) 2021-11-16 2022-04-2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388980B1 (ko) 2021-04-08 2022-04-22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모새나무(Vaccinium bacteaum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보습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7521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유비아이코퍼레이션 갱년기 피부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51356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모새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억제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644B1 (ko) * 2012-02-16 2013-02-06 주식회사 더마프로 모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6943B1 (ko) * 2014-08-27 2017-07-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6736B1 (ko) * 2015-04-03 2017-04-17 한국식품연구원 메밀 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또는 폐경기 증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Cancer Cell Proliferation Properties of Natsuhaze(Vaccinium oldhamii Miq.), Shashanbo(Vaccinium bracteatum Thunb.) and Blueberry Cultivars, Plants, 제2권, 57-71쪽, 2013년.
박건의 면역혁명〔안념홍조에 좋은 음식, 블루베리〕, 카카오 스토리(https://story.kakao.com/ch/parkgun100/fUn3v2Pnn30), 2015년11월18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980B1 (ko) 2018-12-28 2020-06-18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들깨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관련 안면홍조 완화용 조성물
KR20220117521A (ko)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유비아이코퍼레이션 갱년기 피부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8980B1 (ko) 2021-04-08 2022-04-22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모새나무(Vaccinium bacteaum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보습 개선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0444A (ko) 2021-04-08 2022-10-18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모새나무(Vaccinium bacteaum Thunb.)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8984B1 (ko) 2021-11-16 2022-04-20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30151356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모새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피지분비 억제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4552A1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442B1 (ko)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ekar et al. Ten commonly available medicinal plants in Malaysia us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a review
KR101661688B1 (ko)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07088B1 (ko) 생약 및 자생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조성물
KR101031140B1 (ko) 암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암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JP6026639B2 (ja) フジバカマ属の抽出物を含有する骨代謝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022150A1 (en) Medicated honey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Sudheerkumar et al. Phyto pharmacognostical and isolation of chemical constituents from bauhinia variegata leaf extract
KR101322450B1 (ko) 흰점박이꽃무지의 사육 방법, 이로부터 사육된 흰점박이꽃무지
KR20150077794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07982510A (zh) 一种帮助戒烟的款冬花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20150037208A (ko)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용 조성물
KR100881369B1 (ko) 감초로부터 분리된 이소리퀴리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1187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040016576A (ko) 자생 식물로부터 얻은 비만 및 당뇨병 치료 추출물
KR20180005984A (ko) 피로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70041078A (ko)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여성의 통증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5136B1 (ko)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04976B1 (ko) 천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여성의 통증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7048155A (ja) Dkk1発現促進剤および美白剤
JPH09255583A (ja) 抗かゆみ剤
JP7402509B2 (ja) Dkk1発現促進剤および美白剤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88212B1 (ko) 혈당을 개선할 수 있는 와송·여주 복합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