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228B1 -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228B1
KR101835228B1 KR1020160115525A KR20160115525A KR101835228B1 KR 101835228 B1 KR101835228 B1 KR 101835228B1 KR 1020160115525 A KR1020160115525 A KR 1020160115525A KR 20160115525 A KR20160115525 A KR 20160115525A KR 101835228 B1 KR101835228 B1 KR 101835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material
heater
temperatur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헌
Original Assignee
김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헌 filed Critical 김태헌
Priority to KR102016011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2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rectilinear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chanical ejector or drive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6Degassing moulding material or draining off gas during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열기능을 갖는 히터; 상기 히터의 하측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복수개의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면에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대상물 거치대; 상기 복수개의 흡입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진공팬; 상기 히터와 상기 대상물 거치대 사이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합성수지재을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히터를 지지하며, 상기 파지부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을 제공하여, 합성수지재를 가열한 후 진공팬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합성수지재가 밀착하도록 하여, 대상물을 복제할 수 있는 몰드를 성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Sythetic Resin Mold Forming Method}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를 가열한후 진공팬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밀착토록하여 몰드를 성형하는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 프린터(3D Printer)는 밀링 또는 절삭이 아닌, 기존 잉크젯 프린터에서 쓰이는 것과 유사한 적층 방식으로 입체물로 제작하는 장치를 말하는데, 컴퓨터로 제어되기 때문에 만들 수 있는 형태가 다양하고 다른 제조 기술에 비해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3차원 프린터를 사용하여 입체물을 제작하는 경우 제작 속도가 매우 느리고, 제작에 필요한 소재가 고가이므로, 동일한 제품이 여러개 필요한 경우에는 제작시간과 제작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차원 프린터를 사용하여 제작된 입체물을 찍어낼 수 있는 몰드를 제작하여, 이를 활용하여 동일한 형상의 입체물을 다수 제작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이를 위해서는 동일한 입체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몰드를 제작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몰드 제작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를 가열한후 진공팬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밀착토록하여, 대상물과 동일한 형상의 입체물을 여러개 제작할 수 있는 몰드를 성형하는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는, 발열기능을 갖는 히터; 상기 히터의 하측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복수개의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면에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대상물 거치대; 상기 복수개의 흡입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진공팬; 상기 히터와 상기 대상물 거치대 사이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합성수지재를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히터를 지지하며, 상기 파지부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에서, 상기 파지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1,2파지부재를 포함하여, 합성수지재를 상기 제1,2파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합성수지재의 적어도 일부를 압착하여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에서, 상기 제1,2파지부재는 중앙에 관통부가 각각 형성된 폐곡선 또는 다각형의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합성수지재의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는, 상기 히터,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진공팬을 제어하며, 상기 합성수지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파지부의 상하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합성수지재를 파지한 상기 파지부를 히터 측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합성수지재의 온도가 소정 이상이면 상기 파지부를 상기 대상물 거치대에 근접하도록 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지부와 상기 대상물 거치대와의 간격이 소정 이하로 가까워지면, 상기 파지부의 하강을 멈추고, 상기 진공팬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팬 작동 후, 상기 합성수지재의 온도가 소정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진공팬의 작동을 멈출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은, 대상물을 상기 대상물 거치대 상부에 위치시키는 대상물 준비단계; 상기 제1,2파지부재 사이에 합성수지재를 위치시켜, 상기 제1,2파지부재를 밀착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재를 파지하는 합성수지재 파지단계; 상기 합성수지재를 파지한 상기 파지부를 상승시켜 상기 히터에 근접시키는 파지부 상승단계; 상기 히터를 가동하여 상기 합성수지재를 가열하는 가열단계; 가열된 상기 합성수지재를 파지한 상기 파지부를 상기 대상물 거치대에 근접시키는 파지부 하강단계; 상기 진공팬을 작동시켜, 상기 합성수지재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재를 상기 대상물에 밀착시켜 상기 합성수지재가 몰드로 성형되도록 하는 진공팬 작동단계; 및 상기 제1파지부재를 상승시켜, 성형된 상기 몰드를 취출하는 몰드 취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은, 상기 가열단계 이후, 상기 합성수지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 하강단계는,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온도가 소정 이상일 경우에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은, 상기 진공팬 작동단계 이후, 상기 몰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측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 취출단계는,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온도가 소정 이하인 경우에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에 의하면, 합성수지재를 가열한 후 진공팬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합성수지재가 밀착하도록 하여, 대상물을 복제할 수 있는 몰드를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의 개념도.
도 2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100)의 개념도이고, 도 2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100)는 히터(110), 상면에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대상물 거치대(120), 상기 대상물 거치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진공팬(130), 상기 히터(110)와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파지부(140), 상기 파지부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10)는 아래쪽으로 열을 발산하여 후술하는 파지부(140)에 파지된 합성수지재(A)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히터(110)는 발열부재(11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열부재(111)는 전기를 공급하면 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열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재(111)는 전기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면상발열체일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발열부재(111)는 열을 발산하여 합성수지재(A)를 가열할 수 있다면,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재(A)는 아크릴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에 의해 가열되어 소성을 가져 성형할 수 있다면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합성수지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대상물 거치대(120)는 상기 히터(110)와 이격되어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의 상면에는 복사하고자 하는 대상물(M)을 올려놓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는 복수개의 흡입홀(12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후술하는 진공팬(130)에 의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파지부(140)에 파지된 합성수지재(A)와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의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M)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를 상기 대상물(M)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상물(M)의 외면에 대응되는 내면을 갖는 몰드(A')를 성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d) 참조)
진공팬(130)은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개의 흡입홀(121)을 통해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 상측의 공기를 아래쪽으로 빨아들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를 통하여 파지부(140)에 파지된 합성수지재(A)와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의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M) 사이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재(A)를 상기 대상물(M)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d) 참조)
이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재(A)가 상기 대상물(M)의 외면에 대응되는 내면을 갖는 몰드(A')로 성형될 수 있다.
파지부(140)는 상기 히터(110)와 상기 대상물 거치대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 2의 (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0)는 합성수지재(A)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110)에 근접하도록 상승하여 상기 히터(110)에서 발산되는 열을 통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가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0)는 가열된 상기 합성수지재(A)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강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의 하면이 대상물(M)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지부(140)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1,2파지부재(141, 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파지부(140)는 합성수지재(A)를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의 적어도 일부를 압착하여 파지할 수 있다 .
즉,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는 중앙에 각각 관통부(141a. 142a)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는 중앙에 관통부(141a, 142a)가 각각 형성된 사각링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사각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는 원형을 포함하는 폐곡선 또는 다각형의 링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가 각각 관통부(141a, 142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재(A)의 상하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히터(110)에서 발산되는 열을 통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가 쉽게 가열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대상물(M)에 직접 접촉하여 원하는 형상의 몰드(A')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는 별개로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의 파지와, 성형이 완료된 몰드(A')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파지부(140)는 구동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미도시)는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를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시키거나,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 중 어느 하나만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 사이에 상기 합성수지재(A)를 위치시켜 파지하는 동작, 상기 합성수지재(A)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승 하강하는 동작, 및 성형완료된 몰드(A')를 취출하는 동작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가이드부(150)는 상기 파지부(140)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히터(1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히터(110)의 하부에 연결된 복수의 기둥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기둥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히터(110)를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140)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면 그 숫자에는 제한이 없다.
제어부(160)는 상기 히터(110), 상기 진공팬(130) 및 상기 파지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합성수지재(A)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도 2의 (a) 및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 사이에 상기 합성수지재(A)가 위치하면, 상기 제1파지부재(141)를 하강시키거나 상기 제2파지부재(142)를 상승시켜 상기 합성수지재(A)를 상기 파지부(140)가 압착하여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파지부재(141)의 하강과 상기 제2파지부재(142)의 상승을 동시에 하도록 하여, 상기 파지부(140)가 상기 합성수지재(A)를 파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도 2의 (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0)를 상승시켜 상기 히터(110)에 근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히터(110)를 작동시켜 열을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지부(140)에 파지된 상기 합성수지재(A)를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재(A)의 온도가 소정이상이면, 도 2의 (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40)를 하강시켜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의 상면에 위치한 대상물(M)에 외면에 상기 합성수지재(A)가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파지부(140)를 하강시키고, 상기 파지부(140)와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와의 간격이 소정이하로 가까워지면, 상기 파지부(140)의 하강을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진공팬(130)을 작동시켜, 상기 흡입홀(121)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재(A)와 상기 대상물(M)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하여, 상기 대상물(M)의 외면에 상기 합성수지재(A)가 변형되어 밀착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는 대상물을 복사할 수 있는 몰드(A')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몰드(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몰드(A')의 온도가 소정 이하이면, 도 2의 (e)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지부재(14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성형된 상기 몰드(A')의 취출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A')의 온도가 소정 이상일 경우에는 취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몰드(A')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데, 소정 온도 이하일 경우에 상기 제1파지부재(141)를 상승시킴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S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S100)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S100)은 대상물 준비단계(S110), 합성수지재 파지단계(S120), 파지부 상승단계(S130), 합성수지재(A)를 가열하는 가열단계(S140), 합성수지재(A)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단계(S150), 파지부(140)를 대상물 거치대에 근접시키는 파지부 하강단계(S160), 진공팬(130)을 가동시키는 진공팬 작동단계(S170), 성형된 몰드(A')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측정단계(S180), 및 성형된 몰드(A')를 취출하는 몰드 취출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물 준비단계(S110)는, 도 2의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형을 복제하고자 하는 대상물(M)을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에 올려놓는 단계일 수 있다.
합성수지재 파지단계(S120)는, 도 2의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 사이에 합성수지재(A)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1,2파지부재(141, 142)를 밀착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를 파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파지부 상승단계(S130)는, 도 2의 (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재(A)를 파지하고 있는 상기 파지부(A)를 상승시켜 상기 히터(110)에 근접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S140)는 상기 히터(110)를 가동하여, 상기 파지부(140)가 파지하고 있는 합성수지재(A)를 가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S150)는 상기 히터(110)에 의해 가열된 상기 합성수지재(A)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합성수지재(A)의 온도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는 온도까지 가열됐는지 여부를 확인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 하강단계(S160)는, 도 2의 (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된 상기 합성수지재(A)를 파지한 상기 파지부(140)를 상기 대상물 거치대(120)에 근접하도록 하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에, 상기 파지부 하강단계(S160)는,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S150)에서 측정된 상기 합성수지재(A)의 온도가 소정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파지부(140)를 하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가 변형이 용이한 적정한 온도에 이른 이후에만 상기 합성수지재(A)를 상기 대상물(M)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상기 합성수지재(A)가 과열되어 녹아버리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진공팬 작동단계(S170)는 상기 진공팬(130)을 작동시켜, 상기 합성수지재(A)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재(A)를 상기 대상물에 밀착시켜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몰드(A')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S180)는, 상기 몰드(A')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몰드(A')의 온도가 충분히 하강하여, 상기 몰드(A')가 굳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몰드 취출단계(S190)는, 도 2의 (e)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지부재(141)를 상승시킨후, 도 2의 (f)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된 상기 몰드(A')를 취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몰드 취출단계(S190)는,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S180)에서 측정된 온도가 소정 이하인 경우에만 행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몰드(A')의 온도가 충분히 하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몰드(A')를 취출하여 몰드(A')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
110: 히터 111: 발열부재
120: 대상물 거치대 121: 흡입홀
130: 진공팬 140: 파지부
141: 제1파지부재 142: 제2파지부재
141a, 142a: 관통부 150: 가이드부
160: 제어부 A: 합성수지재
A': 몰드 M: 대상물
S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
S110: 대상물 준비단계 S120: 합성수지재 파지단계
S130: 파지부 상승단계 S140: 가열단계
S150: 제1온도측정단계 S160: 파지부 하강단계
S170: 진공팬 작동단계 S180: 제2온도측정단계
S190: 몰드 취출단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발열기능을 갖는 히터;
    상기 히터의 하측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복수개의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면에 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대상물 거치대;
    상기 복수개의 흡입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진공팬;
    상기 히터와 상기 대상물 거치대 사이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합성수지재를 파지하고, 상하로 배치되는 제1,2파지부재를 포함하여, 합성수지재를 상기 제1,2파지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합성수지재의 적어도 일부를 압착하여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히터를 지지하며, 상기 파지부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히터, 상기 파지부 및 상기 진공팬을 제어하며, 상기 합성수지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으로서,
    대상물을 상기 대상물 거치대 상부에 위치시키는 대상물 준비단계;
    상기 제1,2파지부재 사이에 합성수지재를 위치시켜, 상기 제1,2파지부재를 밀착 가압하여 상기 합성수지재를 파지하는 합성수지재 파지단계;
    상기 합성수지재를 파지한 상기 파지부를 상승시켜 상기 히터에 근접시키는 파지부 상승단계;
    상기 히터를 가동하여 상기 합성수지재를 가열하는 가열단계;
    상기 합성수지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측정단계;
    상기 제1온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온도가 소정 이상일 경우, 가열된 상기 합성수지재를 파지한 상기 파지부를 상기 대상물 거치대에 근접시키는 파지부 하강단계;
    상기 진공팬을 작동시켜, 상기 합성수지재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재를 상기 대상물에 밀착시켜 상기 합성수지재가 몰드로 성형되도록 하는 진공팬 작동단계;
    상기 몰드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측정단계; 및
    상기 제2온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온도가 소정 이하인 경우, 상기 제1파지부재를 상승시켜, 성형된 상기 몰드를 취출하는 몰드 취출단계;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15525A 2016-09-08 2016-09-08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 KR101835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525A KR101835228B1 (ko) 2016-09-08 2016-09-08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525A KR101835228B1 (ko) 2016-09-08 2016-09-08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228B1 true KR101835228B1 (ko) 2018-04-19

Family

ID=6208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525A KR101835228B1 (ko) 2016-09-08 2016-09-08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717B1 (ko) 2020-12-01 2021-12-02 주식회사 펀시스 몰드 성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689B2 (ja) * 1997-08-07 2000-10-03 憲司 渡辺 真空包装方法
JP2000301548A (ja) * 1999-04-21 2000-10-3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成形品の熱処理方法及び熱処理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689B2 (ja) * 1997-08-07 2000-10-03 憲司 渡辺 真空包装方法
JP2000301548A (ja) * 1999-04-21 2000-10-31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成形品の熱処理方法及び熱処理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717B1 (ko) 2020-12-01 2021-12-02 주식회사 펀시스 몰드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228B1 (ko) 합성수지재 몰드 성형방법
JP2006167788A (ja) プレス成形装置
EP3254833A1 (en) Data conversion apparatus and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CN213102961U (zh) 晶圆加热装置的顶升组件及具有其的多工位点胶机
CN110712358B (zh) 一种壳状牙齿矫治器生产用压膜设备
CN204123552U (zh) 用于模内五金件注塑的五金件批量供给治具
KR102476579B1 (ko) 3차원 프린터
JP6384342B2 (ja) フィルム被覆部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9192837A5 (ko)
CN205800158U (zh) 一种转盘式曲面成型机
KR101442636B1 (ko) 휴대폰케이스용 융착기
KR20100102425A (ko)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
JP7158928B2 (ja) 成形型の分解組立装置及び成形装置
WO2017038062A1 (en) Shaping apparatus and shaping method
KR102333717B1 (ko) 몰드 성형장치
JP2005230883A (ja) 自動プレス装置
JP2018094806A (ja) 熱成形自動化装置
TWI460065B (zh) Vacuum form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CN220710286U (zh) 用于负压吸附的载盘、负压吸附的承载装置以及剥离平台
JP6900139B1 (ja) 熱成形装置および熱成形方法
CN207775058U (zh) 一种基于高频热弯机的自动上下料机构
JP2014180730A (ja) 工作機械
WO2024101155A1 (ja) 整形装置
KR101000344B1 (ko) 엠보싱 형성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JP7178036B1 (ja) 熱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