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425A -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 - Google Patents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425A
KR20100102425A KR1020090020795A KR20090020795A KR20100102425A KR 20100102425 A KR20100102425 A KR 20100102425A KR 1020090020795 A KR1020090020795 A KR 1020090020795A KR 20090020795 A KR20090020795 A KR 20090020795A KR 20100102425 A KR20100102425 A KR 2010010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mold
lower mold
cavit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540B1 (ko
Inventor
김종태
정상화
정세웅
Original Assignee
재영웰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영웰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영웰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54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42Mounting of moulds; Moul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6Moulds having annular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열용착기용 금형조립체는 환형의 제1캐비티가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과 형합 및 형분리되어 열용착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제 2캐비티를 구비한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금형에 대해 상부금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로드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용착 성형제품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캐비티로부터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이젝팅 수단과,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이젝팅 수단에 의해 취출된 성형제품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열용착, 성형, 취출, 열용착 성형제품 지지

Description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mold assembly}
본 발명은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취출 시 평형상태를 유지하여 로봇으로부터 제품의 취출이 용이한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세탁기용 밸런스 웨이트는 링형상 케이싱의 외측 단면이 상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케이싱의 외측 상단부에 내측으로 향하는 수평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케이싱 내에 수용된 웨이트(weight)는 유지물로서 중량(重量)의 강구(鋼球)와 유체(오일, 염수)가 사용됨으로써 세탁기의 탈수 시에 진동을 흡수하여 세탁조 상부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대한 민국 등록 특허 10-0207021호에는 세탁기의 밸런스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공개 제 2000-001706호에는 2조식 세탁기의 탈수통용 밸런서가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공기 제 2001-001132호에는 2조식 세탁기의 탈수통 밸런스 유지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 0196575호에는 전자부품의 수지 밀봉성형 방법 및 금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그 구성 및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트랜스퍼 밀봉법에 의해 수지 밀봉 성형하게 된다. 이 방법은 수지 밀봉 성형용 금형 장치를 사용하여 미리 수지 밀봉 성형용 금형 장치에 제공된 고정 상형부(fixed upper mold section) 및 가동 하형부(movable lower mold section)를 가열 수단으로 수지 성형 온도까지 가열하면서 융착하고, 상기 상하형부를 형개(型開)하여 성형 제품인 밸런스 웨이트를 취출하게 된다.
이러한 성형제품의 취출과정에서 밸런스 웨이트는 세탁조의 단면형상과 같이 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폭(높이)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형부와 하형로부터 원활하게 취출되는 않은 문제점 있다. 특히 이젝트 핀을 이용하여 성형제품을 취출한다 하여도 성형제품의 수평상태를 이루지 못하게 되어 성형공간에 열용착 성형제품이 끼게 됨으로써 원활한 취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성형된 제품이 성형된 공간에 끼이는 경우 로봇을 이용한 제품의 취출이 어렵다. 특히 성형품이 성형공간으로부터 완전하게 인출되지 못하고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로봇에 의한 취출 시 추출불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성형 공간으로부터 취출 된 성형제품을 승강시켜 취출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취출 시 발생되는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열용착기용 금형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열용착기용 금형조립체는
환형의 제1캐비티가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과 형합 및 형분리 되어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제 2캐비티를 구비한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금형에 대해 상부금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로드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일측에 설치되어 융착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캐비티로부터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이젝팅수단과,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이젝팅 수단에 의해 취출된 성형제품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성형제품의 인출이 불균일한 부위의 상부금형에 설치되는 불균형 제품 취출부와, 상기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제 1캐비티로부터 취출된 성형제품을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에서 수직한 상태로 지지하는 취출제품 수평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취출제품의 수평지지부는 상기 하부금형의 제 1캐비티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품지지봉과,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품지지봉을 승강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제품지지봉의 단부에 설치되어 성형제품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품 지지봉의 승강 시 하부금형의 제 1캐비티 내주면에 형성된 인입홈에 인입 및 인출되며 인입 시 상기 제 1캐비티의 내주면의 일부를 이루는 받침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용착기용 사출금형은 성형이 완료되어 이젝트 핀에 의해 취출 된 성형제품을 수평상태로 지지하고, 이젝트 핀에 의한 제품의 취출 시 지지수단에 의해 2차로 제품을 취출할 수 있으므로 성형제품의 제 1,2캐비티에 끼어 취출되지 않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로봇에 의한 제품의 취출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용착기용 금형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열용착기의 금형조립체는 두개의 부품을 성형공간 내에서 열용착하고 열용착 된 제품의 취출시 성형공간에 일부가 걸려 취출이 되지 않거나 로봇에 의한 취출 시 파지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열용착기용 금형조립체(10)는 제 1캐비티(21)가 형성된 하부금형(20)와, 상기 하부금형(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 1캐비티(21)와 형합되어 열용착 성형공간(11)을 형성하는 제 2캐비티(31)를 구비한 상부금형(30)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금형(20)에 대해 상부금형(30)은 복수개의 가이드 로드(12)들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20) 또는 상부금형(30)의 적어도 일측 또는 이들의 사이에는 열용착 부품 즉, 세탁기의 밸런스 웨이트를 이루는 열용착 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히터 조립체(미도시)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30)에 각각 형성되는 제 1,2캐비티(21)(31)가 형합되어 이루어진 열용착 성형공간(11)은 도넛형의 형상으로 형성되 며, 제 1,2캐비티(21)(31)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금형(20)에는 제 1캐비티(21)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열용착 성형품을 취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이젝트 핀(13)을 구비하고, 이 이젝트핀(13)의 하단부는 승강판(14)에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판(14)은 별도의 액튜에이터에 의해 승강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30)에는 상기 이젝팅 수단에 의해 열용착 성형품의 취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젝팅 수단인 이젝트 핀(13)에 의해 취출 된 열용착 성형품을 인출이 용이한 상태 즉, 수평상태로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수단(50)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수단(50)은 열용착 성형품(100)의 인출이 불균일한 부위의 상부금형(30)에 설치되는 불균형 제품 취출부(51)와, 상기 하부금형(20)에 설치되어 제 1캐비티(21)로부터 취출된 성형제품을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에서 수직한 상태로 지지하는 취출제품 수평지지부(55)를 구비한다.
상기 불균형 제품 취출부(51)는 상부금형(20)의 제 2캐비티로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취출봉(52)과, 상기 취출봉(52)을 승강시키는 제 1액튜에이터(53)를 구비한다. 상기 불균형 제품 취출부(51)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부금형으로부터 제품을 취출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취출제품의 수평지지부(55)는 상기 하부금형(20)의 제 1캐비티(2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품지지봉(56)과, 상기 하부금형(20)의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 에 설치되어 상기 제품지지봉(56)을 승강시키는 제 2액튜에이터(56a)를 구비한다. 그리 상기 제품 지지봉(56)의 단부에는 받침부재(57)가 설치되는데, 이 받침부재(57)는 제품 지지봉(56)의 승강 시 하부금형(20)의 제 1캐비티(21) 내주면에 형성된 인입홈(58)에 인입 및 인출되며 인입 시 상기 제 1캐비티(21)의 일부를 이룬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는 미세한 요철(57a)이 형성되거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마찰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2액튜에이터는 공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용착기의 금형조립체(10)의 전면에는 제품을 취출 하기 위한 로봇이 설치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상하부 금형은 이들을 형합 및 형분리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용착기의 금형 조립체(10)를 이용하여 세탁기용 밸런스 웨이트를 열용착하기 위해서는 하부금형(20)의 제 1,2캐비티(21)(31)에 열용착될 부재들을 장착하고 상부금형(30)을 하강시켜 열용착 공간을 밀폐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열용착 성형품(100)의 제 1,2부재를 열용착한다. 상기 제 1,2부재를 열용착 하는 과정에서 제 1,2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염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열용착이 완료되면, 이젝트 수단에 의해 제품을 취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취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위에는 상기 지지수단이 작동되어 추출시킬 수 있다. 특히 상부금형(30)으로부터 제품의 취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불균형 제품 취출부(51)의 취출봉(52)이 제 2캐비티(31)의 내주면 으로부터 인출되어 상부금형(30)의 제 2캐비티(31)에 열용착 성형제품의 끼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열용착 제품의 취출이 완료되면 하부금형(30)에 취출제품의 수평지지부(55)가 작동되어 열용착이 완료된 성형제품의 제 1캐비티(21)의 상부에 수평상태 즉, 열용착 성형제품(100)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열용착 성형제품의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지지시키게 된다.
즉, 상기 하부금형(2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 2액튜에이터(56a)가 작동되어 상기 제품 지지봉(56)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 제품 지지봉(56)의 단부에 설치된 받침부재(57)에 의해 열용착 성형제품이 지지되어 제 1캐비티(21)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받침부재(57)에는 요철(57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받침부재(57)로부터 열용착 성형제품(100)이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상기와 같이 열용착 성형제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면 로봇에 의해 열용착이 완료되어 성형된 제품을 취출 한다. 열용착 성형제품의 취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성형제품이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취출불량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용착기용 사출금형은 제품의 취출 불량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열용착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금형조립체의 가동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열용착기용 조립체, 사출금형, 프레스 금형 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용착기용 금형조립체의 하부금형을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3은 받침부재에 의해 제품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Claims (3)

  1. 환형의 제1캐비티가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과 형합 및 형분리되어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제 2캐비티를 가진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금형에 대해 상부금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로드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일측에 설치되어 융착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캐비티로부터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이젝팅 수단과,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이젝팅 수단에 의해 취출된 성형제품을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용착기용 금형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성형제품의 인출이 불균일한 부위의 상부금형에 설치되는 불균형 제품 취출부와, 상기 하부금형에 설치되어 제 1캐비티로부터 취출된 성형제 품을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에서 수직한 상태로 지지하는 취출제품 수평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취출제품의 수평지지부는 상기 하부금형의 제 1캐비티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품지지봉과, 상기 하부금형의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품지지봉을 승강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제품지지봉의 단부에 설치되어 성형제품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품 지지봉의 승강 시 하부금형의 제 1캐비티 내주면에 형성된 인입홈에 인입 및 인출되며 인입 시 상기 제 1캐비티의 내주면의 일부를 이루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용착기용 금형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열용착 성형제품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
KR1020090020795A 2009-03-11 2009-03-11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 KR10102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795A KR101026540B1 (ko) 2009-03-11 2009-03-11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795A KR101026540B1 (ko) 2009-03-11 2009-03-11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425A true KR20100102425A (ko) 2010-09-24
KR101026540B1 KR101026540B1 (ko) 2011-04-01

Family

ID=4300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795A KR101026540B1 (ko) 2009-03-11 2009-03-11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5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5072A (zh) * 2017-12-25 2018-06-29 中山市小榄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快速节能热成型冷定型模具组
CN109502737A (zh) * 2018-11-27 2019-03-22 江阴市弘诺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生物盘片热熔压合装置
US11840002B1 (en) * 2022-10-27 2023-12-12 Cool Things Corp. Donut tooling mold structure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922B1 (ko) 2012-07-05 2014-03-17 동화개발 주식회사 질석보드제조장치용 핫-프레스의 탈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310Y1 (ko) * 1988-11-30 1994-12-12 삼성전기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2단 취출장치
JP2002172652A (ja) 2000-12-07 2002-06-18 Canon Inc 筒状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JP2005212206A (ja) * 2004-01-28 2005-08-11 Kasai Kogyo Co Ltd アンダーカット部を有する樹脂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KR20080004359U (ko) * 2007-03-30 2008-10-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5072A (zh) * 2017-12-25 2018-06-29 中山市小榄企业服务有限公司 一种快速节能热成型冷定型模具组
CN109502737A (zh) * 2018-11-27 2019-03-22 江阴市弘诺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生物盘片热熔压合装置
US11840002B1 (en) * 2022-10-27 2023-12-12 Cool Things Corp. Donut tooling mold structur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540B1 (ko) 201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6946B1 (ja) 永久磁石の樹脂封止方法
KR101026540B1 (ko) 열용착기용 금형 조립체
JP5023124B2 (ja) 搬送トレイを用いた永久磁石の樹脂封止方法
EP2679368B1 (en) Tire vulcanizer
JP5502951B2 (ja) 永久磁石の樹脂封止装置
JP2012147673A5 (ko)
JP6180569B2 (ja) 永久磁石の樹脂封止方法
KR20170032940A (ko) 성형재료의 균일한 가열 및 가압이 가능한 진공성형장치
JP6085815B2 (ja) 射出ブロー成形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金型ユニット
KR101552571B1 (ko) 저상형 사출기장치
KR101935505B1 (ko) 사출 금형의 이젝트 장치
JP2015065810A5 (ko)
JP2015065810A (ja) 永久磁石の樹脂封止方法
CN107738393A (zh) 一种全自动减震胶座硫化成型装置
KR101586934B1 (ko) 핫 스탬핑 장치
KR101215348B1 (ko) 비닐포장기의 승강실링판
KR100928809B1 (ko)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
CN219335938U (zh) 一种铝合金轮毂重力铸造中的轴圈自动供料加热装置
KR102426907B1 (ko) 자동 복귀기능과 클램핑 기능이 적용된 사출프레스기
KR101788475B1 (ko) 언더컷 성형이 가능한 단조용 금형 장치
CN219095755U (zh) 一种快拆式塑料模具
KR101940460B1 (ko) 자동차 머플러 고정용 행거 제조용 사출장치
KR200436584Y1 (ko) 욕조표면 보호구 성형장치
KR20160055582A (ko) 교체식 사출 금형
KR910009457Y1 (ko) 고무성형용 유압프레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