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615B1 -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615B1
KR101834615B1 KR1020150093429A KR20150093429A KR101834615B1 KR 101834615 B1 KR101834615 B1 KR 101834615B1 KR 1020150093429 A KR1020150093429 A KR 1020150093429A KR 20150093429 A KR20150093429 A KR 20150093429A KR 101834615 B1 KR101834615 B1 KR 10183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antibody
cells
cell
senesc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603A (ko
Inventor
김재룡
조정희
박범찬
박재은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5/00808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21894A1/ko
Publication of KR2016001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D9 특이적 항체는 세포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CD9 항원의 세포외 영역과 특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노화된 세포에서 CD9의 발현을 감소시켜 세포 노화를 억제하고, 노화와 관련된 혈관질환인 죽상경화 병변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CD9은 세포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바이오마커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CD9 특이적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세포 노화를 억제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ging or age­related diseases comprising CD9 antibody}
본 발명은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세포 노화를 억제하는 CD9 특이적 항체를 이용함으로써, 세포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고자 한다.
포유류의 정상 체세포를 분리하여 시험관에서 배양하면, 일정한 횟수 분열 후, 더 이상 분열하지 않고 성장이 멈추는데 이를 복제노화라고 한다. 복제노화는 세포가 분열하면서 염색체의 말단 부분인 텔로미어가 짧아지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 산화스트레스, 암 유전자 및 암 억제 유전자의 활성 증가, 항암제와 같은 세포 독성 물질 투여에 의해서도 세포노화가 유도된다.
노화세포는 세포의 크기가 커지고 평평해지는 형태적 특징뿐만 아니라,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활성의 증가, 암 억제인자로 알려진 p16, p53, 그리고 Rb의 발현 증가와 같은 분자적 특징을 동반한다. 또한 노화세포에서는 염증 반응, DNA 손상, 세포 성장 및 주기 조절과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들의 발현이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관련된 유전자로는 Raf, Ras와 같은 암유전자 및 p53, p16과 같은 암억제 유전자들이 알려져 있으며, 인터루킨-6, 인터루킨-1β, 인터페론, IGFBP5와 같은 염증인자, aurora kinase B, polo-like kinase 1과 같은 세포주기 조절 유전자들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노화 현상은 개체 및 조직 노화에 기여하며, 암을 억제하거나 촉진하기도 하고 조직복구 및 노화관련 질환의 병인에 기여한다. 특히, 세포노화는 암, 죽상경화, 혈관내막증식, 간염, 당뇨병, 추가판 퇴행증, 피부노화, 퇴행성 신결질환, 근감소증, 골다공증 및 전립선 비대증과 같은 다양한 노화관련 질환의 병인에 기여한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세포노화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면 조직, 장기의 노화, 건강 수명, 노화관련 질환의 발생을 조절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CD9 항원은 분자량 24-27kDa의 테트라스파닌(tetraspanin) 세포막 당단백질로 세포 부착 및 이동, 혈소판활성 및 응집, 포유동물의 수정과정에서 난자와 정자의 융합, 암의 발생 및 전이, 체액성 면역 반응 및 알러지 반응, HIV-1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원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CD9 항원의 세포노화 조절이나, 노화조절 연구는 단순히 노화된 사람 혈관내피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었을 뿐, CD9의 세포노화 조절기전 및 혈관노화 관련질환인 죽상경화증에서의 역할을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CD9이 세포노화 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던 중, CD9 항체에 의해 CD9의 작용이 억제되고 이를 통하여 세포노화 및 죽상경화 병변이 저해되는 효과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51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노화된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CD9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세포노화를 억제하고 노화와 관련된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 및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CD9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CD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CD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CD9 발현을 억제하는 후보약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관련 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CD9 특이적 항체는 세포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CD9 항원의 세포외 영역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노화 세포에서 CD9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 노화를 억제하고 노화와 관련된 혈관질환인 죽상경화 병변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CD9은 세포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의 바이오마커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CD9 특이적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세포 노화를 억제 또는 노화 관련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복제노화를 유도한 세포 또는 아드리아마이신 처리에 의해 노화가 유도된 사람 섬유아세포(HDFs) 및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HUVECs)에서 노화에 따른 CD9 발현 증가를 확인한 결과로, 도 1A는 젊은 세포 및 복제노화가 유도된 각각의 세포에서 CD9 단백질 및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한 웨스턴 블롯 분석 및 실시간 PCR 결과이며, 도 1B는 아드리아마이신 처리에 의해 노화가 유도된 각각의 세포에서 CD9 발현 정도를 RT-PCR로 확인한 결과이다(Y=젊은 세포; O=노화 세포; adr=아드리마이신에 의해 노화가 유도된 세포).
도 2는 사람 섬유아세포(HDFs) 및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HUVECs)의 젊은 세포에 재조합 CD9 아데노바이러스(Ad/CD9)와 대조군 아데노바이러스(Ad/Cont)를 각각 0, 5, 10 또는 15 MOI(multiplicity of infection)로 감염시키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CD9 과발현에 의해 유도된 세포노화를 확인한 결과로, 도 2A는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에서 SA-β-gal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며, 도 2B는 사람 섬유아세포에서 SA-β-gal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며, 도 2C는 각각의 세포의 웨스턴 블롯 및 RT-PCR 분석결과이며, 도 2D는 CD9 과발현 후 세포 성장을 확인한 결과이다(Y=젊은 세포; O=노화 세포; PDL(population doubling level)=세포집단배가수) *P<0.05, **P<0.01.
도 3은 노화된 사람 섬유아세포(HDFs) 및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HUVECs)에 대조군 siRNA 또는 CD9 siRNA를 형질전환시켜 CD9의 발현을 감소시킨 후 세포노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로, 도 3A는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이며, 도 3B는 CD9의 발현 감소에 의한 세포 성장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3C는 SA-β-gal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사람 비장 혈관조직에서 CD9의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로, 사람 비장의 혈관조직 표본을 0 내지 89세까지 10세 간격으로 연령별로 20개씩 제작한 후 CD9의 발현을 면역염색하여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연령대별 혈관조직에서 CD9의 양성 발현 정도를 %로 나타내었다(NC=음성대조군).
도 5는 노화된 사람 섬유아세포(HDFs) 및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HUVECs)에 CD9 인간항체(CD9 hAb) 또는 대조군인 사람 IgG를 각각 0, 1, 3 및 10 ㎍/㎖로 투여한 후 CD9 인간항체의 세포막 결합 여부 및 세포노화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도 1A는 CD9 인간항체의 세포막 결합을 면역형광염색으로 관찰한 결과이며, 도 1B는 CD9 인간항체 투여에 의한 세포 증식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1C는 SA-β-gal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P<0.05, **P<0.01.
도 6은 죽상경화 병변 조직에서 CD9 발현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ApoE 결손 생쥐 및 LDLR 결손 생쥐의 대동맥굴(arotic sinus)의 죽상경화 병변과 사람 혈관조직의 죽상경화 병변에서 CD9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로, 도 1A는 ApoE 결손 생쥐의 죽상경화 병변에서 CD9 발현을 확인한 면역염색 결과, SA-β-gal 활성을 확인한 SA-β-gal 염색 결과 및 Oil-red O 염색 결과이며, 도 1B는 LDLR 결손 생쥐의 죽상경화 병변에서 CD9 발현을 확인한 면역염색 결과이며, 도 1C는 사람 혈관 조직 죽상경화 병변에서 CD9 발현을 확인한 면역염색 결과이다(L=루멘(lumen); A=죽상경화병변; ApoE-/-=ApoE 결손 생쥐; LDLR-/-=LDLR 결손 생쥐; WT=야생형 생쥐).
도 7은 ApoE 결손 생쥐의 죽상경화 병변에 미치는 CD9 항체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고지방식이 ApoE 결손 생쥐에 CD9 흰쥐항체(αmCD9) 또는 흰쥐IgG(mIgG)를 각각 100㎍씩 3.5일 간격으로 15주간 복강 투여한 후, 몸무게, 음식섭취량, 대동맥과 대동맥굴의 죽상경화 병변을 확인한 결과로, 도 7A는 ApoE 결손 생쥐에 CD9 흰쥐항체 투여에 따른 몸무게의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며, 도 7B는 ApoE 결손 생쥐에 CD9 흰쥐항체 투여에 따른 음식물섭취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며, 도 7C는 ApoE 결손 생쥐에 CD9 흰쥐항체 투여에 따른 혈청 중성지방(TG), 총 콜레스테롤(T-Chol), 고밀도지단백(HDL) 및 저밀도지단백(LDL)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D는 ApoE 결손 생쥐의 대동맥에서 Oil-red O 염색 및 SA-β-gal 염색을 수행하여 죽상경화 면적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며, 도 7E는 ApoE 결손 생쥐의 대동맥굴 조직 표본에서 헤마톡실린-에오신(H/E) 염색, CD9 면역염색, Oil-red O 염색 및 SA-β-gal 염색을 수행한 결과와 대동맥굴, 죽상경화 병변의 부피 값을 평균 및 표준편차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P<0.05, **P<0.01.
본 발명은 CD9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CD9 단백질은 젊은 세포에서보다 노화된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다. 이러한 CD9 단백질을 노화된 세포에서 발현 감소시켰을 때 노화된 세포의 성장이 향상되었으며, 노화 활성을 나타내는 SA-β-gal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반면, 젊은 세포에서 CD9의 과발현시켰을 때, 세포 성장이 감소하고 노화가 촉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CD9 단백질이 세포노화를 조절하고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바이오마커 조성물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CD9 단백질은 세포막 영역, 세포질 영역, 세포외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CD9의 세포외 영역은 세포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CD9 항체는 CD9의 세포외 영역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CD9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노화된 세포의 세포 성장 및 노화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노화와 관련된 혈관 질환인 죽상경화 병변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CD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CD9 항체는 서열목록 13 또는 서열목록 14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인간(human), 마우스(mouse), 랫트(rat) 및 고우트(goa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CD9 인간 단클론 항체 또는 CD9 흰쥐 단클론 항체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CD9 인간 단클론 항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항체’란 항원성 부위에 대해서 지시되는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다클론 항체, 단클론 항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항체의 제조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D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와 관련된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포노화는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 또는 복제 노화일 수 있으며, 상기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는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노화 관련 질환은 죽상경화, 피부노화, 골다공증, 류마티스 및 퇴행성 골관절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담체, 희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담체로는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리포좀, 다당,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중합체성 아미노산, 아미노산 공중합체 및 불활성 바이러스 입자와 같이 천천히 대사되는 거대분자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포스페이트 및 설페이트와 같은 무기산의 염;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말로네이트 및 벤조에이트와 같은 유기산의 염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물, 염수, 글리세롤 및 에탄올과 같은 액체; 및 수화제, 유화제 또는 pH 완충 물질과 같은 보조적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분야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환자의 신체 내 투여에 적합한 단위투여형의 제제,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의약품의 투여에 유용한 제제 형태로 제형화시켜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투여방법을 이용하여 경구, 또는 정맥 내, 근육 내, 동맥 내, 골수 내, 수막강 내, 심실 내, 폐, 경피, 피하, 복강 내, 비강 내, 소화관 내, 국소, 설 하, 질 내 또는 직장 경로를 포함하는 비경구투여 경로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제형으로는 정제, 환제, 당제 (dragee), 산제, 캡슐제, 시럽제, 용액제, 겔제, 현탁제,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등의 다양한 경구투여용 제제 및 주사용 앰플과 같은 주사제, 주입제, 및 하이포스프레이 (hypospray)와 같은 분무제 등과 같은 비경구투여용 제제가 바람직하다. 주사 또는 주입용 제제의 경우에는,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션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현탁화제, 보존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제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체 분자는 사용 전에 적절한 무균 액체로 재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조된 형태로 제제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약학적 제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항체는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대해 하루에 0.01 내지 50 ㎎/kg 체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kg 체중을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예방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 질환의 중증도, 투여경로, 환자의 체중, 연령 및 성별, 약제 조합, 반응 민감성 및 치료에 대한 내성/반응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CD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CD9 항체는 서열목록 13 또는 서열목록 14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인간(human), 마우스(mouse), 랫트(rat) 및 고우트(goa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CD9 인간 단클론 항체 또는 CD9 흰쥐 단클론 항체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CD9 인간 단클론 항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세포노화는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 또는 복제 노화일 수 있으며, 상기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는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노화 관련 질환은 죽상경화, 피부노화, 골다공증, 류마티스 및 퇴행성 골관절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건강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식품은 유효성분인 본 발명에 따른 CD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CD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D9 발현을 억제하는 후보약물을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관련 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죽상경화, 피부노화, 골다공증, 류마티스 및 퇴행성 골관절염으로 이루어진 노화 관련 질환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험예 1> 세포 배양
사람 제대혈관내피세포 (human umbilical vascular endothelial cells, HUVECs) 및 사람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를 LONZA Inc.(Walkersville, MD)에서 구매하여 HUVECs세포는 EGM-2 배지에, HDFs세포는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배지에 각각 2×105 세포로 100mm 배양 접시에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접시의 80~90% 정도로 세포가 존재하게 되면 트립신(trypsin)을 처리하여 배양 접시로부터 분리하고 세포 성장을 하기식과 같이 세포집단배가수(population doubling; PDs)로 확인하였다.
PD=log2F/log2I (F=마지막으로 모인 세포의 수, I = 처음 분주한 세포의 수)
확인 후, PD<28의 세포를 젊은 세포, PD>50인 세포를 노화 세포로 사용하였다.
< 실험예 2> RNA 추출 및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RT - PCR )
사람 제대혈관내피세포 및 사람 섬유아세포를 각각 100 mm 배양접시에 4×105의 세포로 분주하였다. 각각의 세포에서 트라이졸(Trizol) 시약을 사용하여 RNA 추출하였다. 분리된 RNA 1㎍에 dNTP, RNase inhibitor, AMV RTase 및 oligo-d(T)를 혼합한 후 반응시켜 cDNA를 얻었다. cDNA, 표 1과 같은 각각의 프라이머(primer) 및 Taq 중합효소(Taq polymerase)를 이용하여 유전자증폭기(thermocycler)로 25~30 사이클(cycle)을 수행한 후 PCR 산물을 얻었다. 1% 아가로스 겔(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 GAPDH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하에서 PCR을 진행한 후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다.
유전자 이름 서열목록 염기 서열
CD9
1 정방향 CATGATGCTGGTGGGCTTCC
2 역방향 CCAAACCACAGCAGTTCAAC
p53
3 정방향 GCCTGAGGTTGGCTCTGA
4 역방향 GTGGTGAGGCTCCCCTTT
IL6
5 정방향 TGAGGAGACTTGCCTGGTG
6 역방향 TGCCCAGTGGACAGGTTT
IL1beta
7 정방향 TCTCCACCTCCAGGGACA
8 역방향 CTGCCAGCCCTAGGGATT
GAPDH
9 정방향 CGACCACTTTGTCAAGCTCA
10 역방향 AGGGGTCTACATGGCAACTG
< 실험예 3> 실시간 세포 성장 확인
세포를 96-well에 1×103으로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CD9 아데노바이러스를 처리하거나 혹은 CD9 siRNA를 형질주입(transfection)하고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교체한 후 96시간 동안 2시간 마다 Leica ASMDW 공초점현미경(Leica Microsystems GmbH, Wetzlar, Germany)으로 세포를 촬영하였다. 세포 성장은 6시간마다 촬영된 세포 사진 이미지에서 직접 세포 수를 세어 분석하였다.
< 실험예 4>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real - time quantitative PCR analysis )
SYBR Green (Applied Biosystems, USA)을 사용하여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2×DNA master (SYBR Green) 10 ㎕에 멸균증류수 6 ㎕, cDNA 2 ㎕, 2 μM CD9(서열번호 1) 또는 GAPDH(서열목록 9) 정방향 프라이머(forward primer) 및 2 μM CD9(서열번호 2) 또는 GAPDH(서열목록 10) 역방향 프라이머(reverse primer)를 각각 1 ㎕씩 넣고 전체 반응 용량을 20 ㎕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PCR은 7500 Real 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USA)을 사용하였다. 반응과정은 50℃ 2분, 94℃ 10분 반응시킨 후, 95℃ 15초, 54℃ 2분으로 전체 38회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LightCycler 프로그램 (Applied Biosystems, USA)으로 분석하였다.
< 실험예 5> 단백질 추출 및 웨스턴 블롯 분석
100 mm 배양접시에 4×105 세포를 분주하고 차가운 PBS를 사용하여 세척한 후, 100 ㎕ RIPA 버퍼 [25 mM Tris-HCl, pH 7.4, 150 mM KCl, 5 mM EDTA, 1% NP-40, 0.5% 소듐 디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 0.1% SDS, 1 mM Na3VO4, 5 mM NaF, 1 mM 페닐메틸 설포닐프롤라이드(phenylmethyl sulfonylfluoride)]를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그 후 12,00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단백질의 농도를 bicinchoninic acid (BC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단백질 30 ㎍을 10% SDS-PAGE 후, 니트로셀룰로스(nitrocellulose) 막으로 옮겼다. 막을 5% 탈지유(skim milk)로 30분간 처리하고, 일차 항체로 4시간 이상 반응시켰다. 1×TBS를 사용하여 30분 동안 세척한 후, 호어스래디시 페록시다아제(horseradish peroxidase)가 부착된 이차 항체로 90분 동안 반응시키고 세척한 후, ECL 용액으로 2분간 반응하고 LAS-3000으로 확인하였다. 단백질 량은 GAPDH 항체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 실험예 6> CD9 아데노바이러스 제작 및 과발현
pAdEasy-1 아데노바이러스 벡터(adenoviral vector)를 사용하여 CD9 과발현 아데노바이러스를 제작하였다. CD9 cDNA는 pSM2/CD9으로부터 중합연쇄반응을 수행하여 얻었으며, CD9 cDNA 염기서열은 dideoxy sequencing으로 확인하였다. CD9 cDNA를 pShuttle vector로 삽입하였다. pShuttle/CD9 재조합 벡터는 Pme I 제한효소와 alkaline phosphatase를 처리하고 에탄올로 침전시켰다. DNA와 pAdEasy 벡터를 BJ5183 세포에 형질전환시킨 후, pAd/CD9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pAd/CD9 재조합 벡터를 Pac I으로 처리한 후, AD293 세포에 형질전환시켰다. 바이러스의 역가는 pAdEasy titer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실험예 7> 세포 및 조직에서 senescence - associated β- galactosidase ( SA -β- gal ) 염색 확인
세포 및 냉동조직 절편을 1×PBS로 세척하고, 3.7%(v/v)파라포름알데하이드가 포함된 PBS로 고정하였다. 그 후 1 mg/ml 5-브로모-4-클로로-3-인돌일-β-D-갈락토시드(5-bromo-4-chloro-3-indolyl-β-D-galactoside), 40 mM 시트르산-인산나트륨(citric acid-sodium phosphate; pH 6.0), 5 mM 페리시안화 칼륨(potassium ferricyanide), 150 mM NaCl, 2 mM MgCl2를 37℃에서 17시간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파란색으로 염색된 세포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8> 사람 비장 혈관조직 표본 및 죽상경화 병변 조직 표본
연령별 정상 혈관 조직은 영남대학교병원에서 1995년부터 2012년까지 외과적으로 절제된 비장 및 고환 주위 정상 조직에서 10세 미만 20 시료, 11-20세 20 시료, 21-30세 20 시료, 31-40세 20 시료, 41-50세 20 시료, 51-60세 20 시료, 61-70세 20 시료, 71세 이상 20 시료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죽상경화증 혈관조직은 영남대학교병원에서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목동맥(carotid artery) 절제 후 죽상경화증으로 진단된 6 시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절제된 비장과 목동맥 조직을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하고 파라핀에 포매한 후 헤마톡실린-에오진 (hematoxylin-eosin) 염색을 수행하여 관찰하였다. 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 슬라이드에서 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해서 대표적인 부위를 표시하고 파라핀블록에서 그에 상응하는 부위를 선정하였다. 조직 미세배열 블록 제작 기구를 이용하여 선정된 부위를 5 mm 크기로 펀치한 후 직경 5 mm의 4열 5행의 총 20개의 recipient 블록에 심어, 총 8 개의 블록을 제작하였다.
< 실험예 9> 오일- 레드 O( Oil - red O) 및 헤마톡실린-에오신( Hematoxylin -eosin) 염색
오일-레드 O(Oil-red O)를 3%로 2-프로판올(propanol)에 녹인 후, 0.45 μm 주사기 필터로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3% Oil-red O 용액을 증류수와 6:4 비율로 섞어 조직염색에 사용하였다. 또한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염색은 조직표본을 헤마톡실린(Hematoxylin) 용액에 7분 동안 담근 후, 수돗물로 3분 동안 세척하고 1% HCl에 2회 담근 후, 수돗물로 3분 동안 세척하였다.
그 후 1% 암모니아수에 중화시키고 수돗물로 3분 동안 세척한 후 에오신(eosin) 용액에 2분 동안 염색하고, 알코올로 탈수하였다.
< 실시예 1> 노화 세포에서 CD9 발현 확인
세포노화 정도에 따른 CD9 항원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계대배양을 통해 복제노화를 유도한 HUVEC 및 HDF 세포와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노화가 유도된 HUVEC 및 HDF 세포에서 RT-PCR, 실시간(realtime) PCR, 웨스턴 블롯(Western blot)분석을 통하여 CD9 항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계대배양을 통해 복제노화 유도된 세포는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세포 배양하여 세포노화를 유도한 후 실시간(realtime) PCR 및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분석을 수행하여 CD9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아드리마이신에 의해 유도된 세포 노화는 60 mm 배양 접시에 2×105로 각각의 세포를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을 사용하여 3번 세척한 후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500 nM을 4시간 동안 세포에 처리하였다. 아드리아마이신을 제거한 후에 DMEM으로 3번 세척을 하고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는 10% 태아소혈청(fetal bovine serum), 100 U/ml 페니실린(penicillin),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포함된 EGM-2 배지로, 사람 섬유아세포는 10% 태아소혈청(fetal bovine serum), 100 U/ml 페니실린(penicillin),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 배지로 4일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세포로부터 RNA를 추출하여 RT-PCR로 CD9, p53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계대배양 또는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노화가 유도된 각각의 HUVEC 및 HDF 세포에서 CD9 항원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CD9 발현에 따른 세포변화 확인
실시예 1의 결과와 같이, 젊은 세포에서보다 노화 세포에서 CD9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됨에 따라, CD9이 세포노화 조절에 관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1. CD9 과발현에 의한 세포 노화 증가 확인
젊은 세포에 CD9 아데노바이러스를 처리하여, CD9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세포 노화정도를 확인하였다.
100 mm 배양접시에 HUVEC 및 HDF 젊은 세포를 각각 4×105개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CD9의 과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실험예 6과 같이 제작된 CD9 아데노바이러스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배양액을 교체하고 4 및 6 일간 추가 배양하고 세포를 수확하였다.
CD9이 과발현된 세포에서 세포 노화가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예 7와 같은 방법으로 SA-β-gal 염색을 통하여 세포 노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A ,2B 및 2C와 같이 CD9이 과발현된 UVEC 및 HDF 세포에서 p53, p21, IL-6 및 IL-1β의 발현의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도 2C 및 2D에서 pRb 발현 및 세포성장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반면, 도 2C를 참고하면, DNA 손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TM활성은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젊은 세포에서 CD9의 발현이 증가 되면, 세포노화가 촉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CD9 감소에 의한 세포 노화 억제 확인
노화 세포에서 CD9의 발현을 감소시킨 후 세포 노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노화 세포에서 CD9의 발현을 감소시키기 위해, Life Technologies사의 StealthTM CD9 siRNA [sense, 5’-AAGGUUUCGAGUACGUCCUUCUUGG-3’(서열목록 11);및 antisense, 5’-CCAAGAAGGACGUACUCGAAACCUU-3’(서열목록 12)]를 사용하였다. 노화 세포를 100 mm 배양접시에 4×105개로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리포펙타민(Lipofectamine)2000을 사용하여 CD9 siRNA와 대조군 siRNA를 형질주입(transfection)하고, 4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CD9 발현 정도는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으며, 노화 정도는 SA-β-gal 활성염색 및 세포성장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CD9 발현이 감소 됨에 따라, 도 3A와 같이 p53 및 p21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도 3B와 같이 세포 성장은 촉진되었다. 또한 도 3C와 같이 SA-β-gal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노화 세포에서 CD9 발현이 감소되면, 세포 노화가 억제되고 다시 젊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CD9이 세포노화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3> 사람 혈관조직에서 연령에 따른 CD9 발현 증가 확인
CD9 발현이 세포 노화과정에서 증가 될 뿐만 아니라, 실제 노화된 조직에서도 증가하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혈관내피세포가 존재하는 혈관조직이 있는 사람의 비장 시료를 0세에서 90세까지 연령별로 수집하고 실험예 9의 방법으로 조직 표본을 제작하여 면역조직염색을 수행하였다.
사람 혈관조직의 과산화효소(peroxidase)활성을 제거하기 위해 메탄올에 희석한 3% H2O2로 10분간 반응시킨 후 CD9 항체 (Abcam, ab92726)를 1:50으로 희석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키고 Dako Envision kit를 이용해서 CD9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핵은 Mayer’s 헤마톡실린(hematoxylin)으로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CD9의 염색강도가 증가하였으며, 각 연령별 20개의 조직표본의 혈관조직에서 CD9 양성발현이 0 내지 9세에서는 0%, 10 내지 19세에서는 15%, 20 내지 29세에서는 10%, 30 내지 39세에서는 15%, 40 내지 49세에서는 25%, 50 내지 59세에서는 70%, 60 내지 69세에서는 70%, 70 내지 79세에서는 60% 및 80 내지 89세에서는 40% 발현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CD9 발현은 사람의 혈관조직에서 연령에 따라 증가하며, 이는 혈관의 조직 노화에 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CD9 인간항체에 의한 세포노화 조절 효과 확인
앞선 실험들의 결과로부터 CD9이 세포노화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CD9 인간항체가 세포노화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1. CD9 인간항체 제작
항-CD9 단클론 인간항체 10E4(서열목록 13 또는 서열목록 14)의 제작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27971호에 따라 수행되었다. 10E4의 생산을 위해 현탁세포주인 HEK293F 세포를 FreeStyleTM 293 발현 배지(Life Technology, USA)에 1×105 cells/ml로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하고, PEI:DNA 비율을 4:1로 하여 형질주입(transfection)하였다. 6일간 37℃, 8% CO2 현탁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세포와 잔해(debris)는 원심분리기에서 1,000 × g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시키고, 배양액을 수확하여 0.22 um top filter를 통해 제균하였다. 배양액으로부터 항체를 정제하기 위해 protein A resin (GE Healthcare, USA)을 통해 affinity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였으며, 0.2M 글리신 버퍼(glycine buffer; pH2.5)로 항체를 컬럼(column)으로부터 분획하여 용출하였다. 이때, 항체가 포함된 버퍼의 pH를 높이기 위해 용출액에 PBS (pH 7.4)를 1/4 용량(volume)으로 첨가하였다. 분획된 용출액 중 항체가 고농도로 포함된 분획은 Coomassie (Bradford) Protein Assay kit (Thermo, USA)을 이용하여 선별하였으며, 이들 분획을 모두 합쳐 Centricon (MWCO 10 kDa, Millipore, USA)으로 농축하고 여기에 다시 PBS로 희석하는 과정을 3~4차례 반복하여 항체의 최종 현탁 용액을 PBS로 하였다. 정제된 항체의 독소 수준(endotoxin level)은 LAL assay kit (Lonza, USA)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1 EU/mg 미만인 항체만을 사용하였다.
상기 항-CD9 단클론 인간항체 10E4의 서열은 하기 서열목록 13 및 서열목록 14와 같다.
CD9 10E4 HC: MAQVQLVQSGGGLVQPGRSLRLSCAASGFTFD DFAMH WVRQAPGKGLEWVA GISWNSGDIRYADSVRGRFTISRDNAKNSLFLQMNSLRAEDTAVYYCAR SPVGTTYFDYWGQGALITVSS(서열번호 13), 및 CD9 10E4 LC: DIQMTQSPSSLSASVGDRVTITC RASQGISSYLA WYQQKPGKAPKLLIY AASTLQSEVPSRFSGSGSGTDFTLTISSLQPEDFATYYC QQLNIFPLT FGGTKVDIKR(서열번호 14).
2. 세포노화 조절 효과 확인
사람 제대정맥혈관내피세포(HUVEC) 및 사람 섬유아세포(HDF)를 각각 계대배양하여 노화를 유도한 후, 60 mm 배양 접시에 1×105의 세포를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제작된 CD9 인간항체 및 대조군인 사람 IgG를 1-10 ㎍/ml로 각각 처리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고 CD9 인간항체 처리에 의해 노화된 세포의 노화 극복 여부를 SA-β-gal 활성염색 및 세포성장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CD9 인간항체와 세포의 결합여부를 면역형광염색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5×103의 세포를 슬라이드에 분주하고 24시간 37℃, 5%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하고 3.7%(v/v)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가 포함된 PBS로 15분간 실온에서 고정하였다. 3% 고트 혈청(goat serum)이 포함된 PBS을 이용하여 45분간 처리하였다. 그 후 형광이 결합된 항-인간 IgG(Fluorescein-conjugated anti-human IgG)를 3% 고트 혈청(goat serum)에 150배 희석하여 90분간 37℃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PBS로 3회 세척하고 100 ng/ml DAPI를 10분간 실온에서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5A와 같이 CD9 인간항체와 세포의 결합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5B를 참고하면, 대조군인 인간 IgG가 처리된 세포보다 CD9 인간항체가 처리된 세포의 성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도 5C와 같이 CD9 인간항체가 처리된 세포의 SA-β-gal 활성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CD9의 세포외 영역에 결합하는 CD9 인간항체가 세포노화를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5> ApoE 결손 생쥐와 LDLR 결손 생쥐의 죽상경화 병변에서 CD9 발현 증가 확인
CD9 발현이 노화와 관련된 대표적인 혈관질환인 죽상경화 병변 조직에서도 증가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죽상경화 생쥐 모델인 ApoE 결손 생쥐와 LDLR 결손 생쥐의 죽상경화 병변에서 CD9 발현을 면역염색으로 확인하였다.
각각의 생쥐를 희생시킨 후, 심장을 적출하고, 3.7%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용액에 고정시켰다. 10% 수크로즈(sucrose), 20% 수크로즈(sucrose) 및 30% 수크로즈(sucrose) 용액에 각각 하루씩 반응시킨 후, OCT compound로 포매하고, LEICA CM1850 냉동절편제작기를 이용하여 냉동절편을 제작하였다. 대동맥굴 조직 절편을 제작한 후, 죽상경화 병변에서 CD9 발현을 면역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제작된 생쥐의 죽상경화 병변 파라핀 조직 표본을 이용하여, 조직의 과산화효소(peroxidase)활성을 제거하기 위해 메탄올에 희석한 3% H2O2로 10분간 반응시킨 후 CD9 항체 (Abcam, ab92726)를 1:50으로 희석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키고 Dako Envision kit를 이용해서 CD9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핵은 Mayer’s 헤마톡실린(hematoxylin)으로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예 8과 같이 제작된 사람 죽상경화 병변 조직 표본을 이용하여 죽상경화 병변에서 CD9 발현을 면역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A와 같이 ApoE 결손 생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죽상경화증 병변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병변 조직에서 SA-β-gal 활성이 증가하면서, CD9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6B의 LDLR 결손 생쥐의 죽상경화 병변 조직에서도 CD9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람 죽상경화 병변 조직에서도 도 6C와 같이 CD9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CD9 발현이 동물 및 사람의 혈관노화 질환인 죽상경화 병변에서 증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6> CD9 흰쥐항체에 의한 ApoE 결손 생쥐의 죽상경화 병변 감소 확인
상기 결과들로부터 실제 CD9 항체가 죽상경화 병변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는지 ApoE 결손 생쥐에서 확인하였다.
ApoE 결손 생쥐에게 고지방식이를 하면서, CD9 흰쥐 항체와 대조군으로 IgG를 각각 3.5일 간격으로 15주 동안 복강주사하고 생쥐를 희생시킨 후 혈청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 및 저밀도지단백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청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질, 저밀도 지단백질 농도는 Kyowa medex (Tokyo, Japan)의 총 콜레스테롤 측정 키트 (Cat No. 132614), 중성지방 측정 키트 (Cat No. 132691), 고밀도 지단백질 측정 키트 (Cat No. 136148), 저밀도 지단백질 측정키트 (Cat No. 137520)를 사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대동맥과 대동맥굴에서 죽상경화 병변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동맥의 죽상경화 병변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술용 현미경에 마우스를 놓은 후, 심장과 대동맥, 경동맥, 흉동맥, 복대동맥을 현미경으로 확인하면서 미세수술 기구를 사용하여 대동맥을 조심스럽게 적출하였다. 대동맥 주위의 지방조직을 제거한 후, 노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SA-β-gal 염색을 수행하였으며, 죽상경화증 병변을 확인하기 위하여 Oil-red O 염색을 수행하였다.
대동맥굴 부위의 죽상경화 병변을 측정하기 위해 생쥐의 심장으로부터 대동맥굴 부위를 절제하여, OCT compound에 포매하였다. 냉동조직절편기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이 시작되는 부위부터 대동맥판막이 끝나는 부위까지 20 μm 두께로 연속 냉동 절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조직 절편에 실험예 11의 방법으로 Oil-red O 염색, Hematoxylin-eosin 염색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예 7과 같은 방법으로 SA-β-gal 염색을 수행하고, 죽상경화 병변의 부피는 전체 동맥 면적에서 Oil-red O로 염색된 부위를 Image J 프로그램 (Wayne Rasb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A와 같이 CD9 흰쥐 항체 투여군(αmCD9)에서 IgG가 투여된 대조군(mIgG)과 비교하여 체중이 감소하였으나, 도 7B와 같이 음식물 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도 7C와 같이 IgG가 투여된 대조군(mIgG)보다 CD9 흰쥐 항체 투여군(αmCD9)에서 혈청 총중성지방과 고밀도지단백의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총 콜레스테롤과 저밀도지단백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반면, 대동맥에서 Oil-red O 염색 및 SA-β-gal염색결과, 도 7D와 같이 IgG가 투여된 대조군(mIgG)보다 CD9 흰쥐 항체 투여군(αmCD9)에서 죽상경화 병변 면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대동맥굴 조직표본에서 죽상경화 병변의 Oil-red O 염색 및 SA-β-gal 염색결과에서도 도 7E와 같이 CD9 흰쥐 항체 투여군(αmCD9)에서 대동맥굴에 형성된 죽상경화 병변의 부피가 IgG가 투여된 대조군(mIgG)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CD9 항체가 죽상경화 병변의 발생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Research Cooperation Foundation of Yeungnam University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ging or age related diseases comprising CD9 antibody <130> ADP-2015-0269 <150> 2014/099,872 <151> 2014-08-04 <160> 1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catgatgctg gtgggcttc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ccaaaccaca gcagttcaac 20 <210> 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 gcctgaggtt ggctctga 18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4 gtggtgaggc tccccttt 18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tgaggagact tgcctggtg 19 <210> 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tgcccagtgg acaggttt 18 <210> 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tctccacctc cagggaca 18 <210> 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ctgccagccc tagggatt 18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cgaccacttt gtcaagctca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cgaccacttt gtcaagctca 20 <210> 11 <211> 2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400> 11 aagguuucga guacguccuu cuugg 25 <210> 12 <211> 25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RNA <400> 12 ccaagaagga cguacucgaa accuu 25 <210> 13 <211> 121 <212> PRT <213> CD9 10E4 HC <400> 13 Met Ala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1 5 10 15 Gly Arg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Asp 20 25 30 Asp Phe Ala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35 40 45 Trp Val Ala Gly Ile Ser Trp Asn Ser Gly Asp Ile Arg Tyr Ala Asp 50 55 60 Ser Val Arg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Ser 65 70 75 80 Leu Phe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85 90 95 Tyr Cys Ala Arg Ser Pro Val Gly Thr Thr Tyr Phe Asp Tyr Trp Gly 100 105 110 Gln Gly Ala Leu Ile Thr Val Ser Ser 115 120 <210> 14 <211> 107 <212> PRT <213> CD9 10E4 LC <400> 14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yr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Thr Leu Gln Ser Glu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Leu Asn Ile Phe Pro Leu 85 90 95 Thr Phe Gly Gly Thr Lys Val Asp Ile Lys Arg 100 105

Claims (13)

  1. 삭제
  2. CD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목록 13 또는 서열목록 14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CD9 인간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는 복제 또는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삭제
  7. CD9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서열목록 13 또는 서열목록 14의 아미노산 서열로 표시되는 CD9 인간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는 복제 또는 아드리아마이신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내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93429A 2014-08-04 2015-06-30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83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8087 WO2016021894A1 (ko) 2014-08-04 2015-08-03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872 2014-08-04
KR20140099872 2014-08-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448A Division KR20180005149A (ko) 2014-08-04 2017-12-29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603A KR20160017603A (ko) 2016-02-16
KR101834615B1 true KR101834615B1 (ko) 2018-03-07

Family

ID=554480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429A KR101834615B1 (ko) 2014-08-04 2015-06-30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0170183448A KR20180005149A (ko) 2014-08-04 2017-12-29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448A KR20180005149A (ko) 2014-08-04 2017-12-29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34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166B1 (ko) 2018-12-13 2020-11-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호모해링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71B1 (ko) * 2008-06-25 2013-01-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Cd9―특이적인 인간항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66B1 (ko) 2009-04-17 2012-03-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IMP3의 si-RNA 또는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또는 노화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71B1 (ko) * 2008-06-25 2013-01-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Cd9―특이적인 인간항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0, Vol. 20, pp 1236-1243.*
Experimental Gerontology, 2008, Vol. 43, pp 286-29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603A (ko) 2016-02-16
KR20180005149A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705B2 (en) Anti-IL-20 antibody and its use in treating IL-20 associated inflammatory diseases
JP5845207B2 (ja) 破骨細胞関連蛋白質Siglec−15を標的とした抗体
US20170198027A1 (en) Process of afod and afcc and manufacturing and purification processes of proteins
JP4489012B2 (ja) 老化細胞由来dna合成阻害因子
JP2011256179A (ja) 血管形成及び腫瘍増殖阻害用ポリペプチド化合物及びその応用
US9453050B2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glioma
WO2011145723A1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又は治療方法
JP2006523209A (ja) アペリン組成物によって血管新生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
TW202306987A (zh) 抑制scube2,一新穎vegfr2輔受體,遏止腫瘤血管新生
JP2017507128A (ja) ガレクチン−3阻害剤(gal−3m)は、プロテアソーム阻害剤と組み合わせて使用した場合、相加的な抗骨髄腫及び抗固形腫瘍効果、破骨細胞形成の減少及び器官保護と関係する
KR101834615B1 (ko)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JP2017505763A (ja) 生物学的材料およびその治療用途
US20110312872A1 (en) Norrin in the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tgf-beta activity
KR102186416B1 (ko) 12-lox 발현 촉진제를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286304B2 (en) Anti-galectin-7 antibody, kit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CN115381949A (zh) 靶向抑制色素上皮衍生因子在促进肝脏再生及改善肝损伤中的应用
KR20210049701A (ko) Rspo3 억제제를 포함하는 심장 판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21894A1 (ko) Cd9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14149500B (zh) 抗人emc10的单克隆抗体在制备治疗和/或预防脂肪肝的产品中的应用
KR102137531B1 (ko) Pld2 단백질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인성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7250307B2 (ja) 子宮癌の発症、転移又は再発の予測方法
KR101699567B1 (ko) JunB의 발현 또는 활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현채 The Role of 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1 (CAP1) in Transendothelial Migration of Monocytes to Promote Chronic Inflammation
KR20130134628A (ko)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080096833A1 (en) Polytpeptide Specific To Liver Cancer, Polynucleotide Coding For The Polypeptide, And Rna Molecule Inhibiting Expression Of The Polypept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