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318B1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318B1
KR101834318B1 KR1020160144853A KR20160144853A KR101834318B1 KR 101834318 B1 KR101834318 B1 KR 101834318B1 KR 1020160144853 A KR1020160144853 A KR 1020160144853A KR 20160144853 A KR20160144853 A KR 20160144853A KR 101834318 B1 KR101834318 B1 KR 101834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seatback
pad
fixing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태희
정찬호
김길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2Attachment or adjus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60N2002/684Joining means the back rest being mounted or joined with an easy attachment system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백 패드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시트가 개시된다.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의 골격을 구성하고, 양 측에 서포트 와이어가 마련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백의 외관을 형성하는 시트백 패드 및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시트백 패드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상기 서포트 와이어와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SEA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에어백의 내측 전개를 방지하도록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백 패드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안전벨트와 더불어 대표적인 탑승객 보호장치로서, 최근에는 차량의 시트에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충돌로 인한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이드 에어백이 설치되고 있다.
사이드 에어백은 시트백의 측면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충돌 사고 시 자동으로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을 통해 탑승자를 충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만, 사이드 에어백이 의도된 방향으로 전개되지 않을 경우 오히려 탑승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즉, 사이드 에어백이 차량의 측면을 향해 전개되지 않고, 탑승자를 향해 내측으로 전개되면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의해 탑승자가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백 패드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이드 에어백의 내측 전개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조립공정이 간소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부품 수가 축소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의 골격을 구성하고, 일 측 또는 양 측에 서포트 와이어가 마련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백의 외관을 형성하는 시트백 패드 및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시트백 패드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상기 서포트 와이어와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인서트(insert)되어 상기 시트백 패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외부로 돌출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와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시트백 패드에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제1방향으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마련되는 절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절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와 상기 지지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의 골격을 구성하는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백의 외관을 형성하는 시트백 패드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에어백 및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인서트(insert)되어 상기 시트백 패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마련되는 서포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서포트 와이어와 끼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후크부를 상기 시트팩 패드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시트백 패드 내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면과, 상기 후크부가 상기 시트백 패드 내에서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면은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와이어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백 패드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사이드 에어백의 내측 전개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조립공정이 간소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부품 수가 축소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외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 시트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트백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백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부재와 서포트 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시트백의 단면도로서, 시트백 패드가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시트백의 단면도로서, 시트백 패드가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101)를 포함하는 차량(1)의 외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내장(미도시)과 외장(10)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의 외장(10)은 프론트 패널(11)과, 본네트(12)와, 루프 패널(13)과, 리어 패널(14)과, 측면 패널(15)과, 전후좌우 도어(16)와, 전후좌우 도어에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7) 및 트렁크(21)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의 외장(10)은 프론트 패널(11)과, 본네트(12)와, 루프 패널(13)과, 리어 패널(14)과, 트렁크(21)와, 전후좌우 윈도우 글래스(17)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8)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의 외장(10)은 운전자에게 차량(1)의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미도시)와, 동력 전달 장치(미도시)와, 주행 장치(미도시)와, 조향 장치(미도시)와, 제동 장치(미도시)와, 현가 장치(미도시)와, 변속 장치(미도시)와, 연료 장치(미도시)와, 전후좌우 차륜(2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안전장치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미도시)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미도시, 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안전장치 중 하나로써, 차량(1)이 충돌할 때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1)의 시트(101)에 장착되는 사이드 에어백(130, 도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미도시)와,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미도시)와, 실내 및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와, 전후좌우 휠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미도시)와,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미도시)와, 요 레이트를 감지하는 요 레이트 센서(미도시)와, 차량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동력 발생 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와, 주행 장치와, 조향 장치와, 제동 장치와, 현가 장치와, 변속 장치와, 연료 장치와, 각종 안전장치 및 각종 센서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미도시, 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공조장치(미도시)와, 조명 장치(미도시)와,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와, 시트의 히터(즉, 열선. 미도시)와, 핸즈프리 장치(미도시)와, GPS(미도시)와, 오디오 장치(미도시) 및 블루투스 장치(미도시)와, 후방 카메라(미도시)와, 외부 단말기의 충전 장치(미도시)와, 하이패스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선루프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선루프 개폐 장치(미도시)와, 전후좌우 도어(16)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 개폐 장치(미도시)와, 윈도우 글래스(17)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윈도우 글래스 개폐 장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은 시동 버튼이 온(on) 되면 시동모터를 동작시키고, 시동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내비게이션 장치와, 오디오 장치와, 실내의 조명 장치(미도시)와, 시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미도시)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 시트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트백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트백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부재와 서포트 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100)은 시트백 패드(110)와, 시트백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백 프레임(120)은 시트백(100)의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 시트백 패드(110)는 시트백 프레임(120)과 결합하여 시트백(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시트백 프레임(120)의 일 측 또는 양 측에는 서포트 와이어(12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시트백 프레임(120)은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 와이어(121)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백 프레임(120)의 일 측에 서포트 와이어(121)가 마련되는 경우, 서포트 와이어(121)는 시트백 프레임(120)에서 사이드 에어백(130)이 장착되는 쪽에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130)은 차량 외부의 측면 충돌로부터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사이드 에어백(130)은 차량의 도어 쪽에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 와이어(121)는 사이드 에어백(130)과 마찬가지로 시트백 프레임에서 차량의 도어 쪽에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 와이어(121)는 사이드 볼스터의 높이에 따라 시트백 프레임(120)의 양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서포트 와이어(121)가 시트백 프레임(120)의 양 측에 마련되는 경우,서포트 와이어(121)는 시트백 패드(110)의 양 측에 돌출되어 있는 사이드 볼스터와 결합하여 상기 사이드 볼스터를 지지할 수 있다. 시트백 패드(110)는 강체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시트백 패드(110)만으로는 사이드 볼스터를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포트 와이어(121)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양 측에 마련되어 시트백 패드(110)의 사이드 볼스터 내부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이드 볼스터를 지지할 수 있다.
차량용 시트(101)는 사이드 에어백(1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130)은 차량(1)이 충돌할 때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130)은 차량(1)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130)은 시트백 프레임(120)의 일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130)은 차량의 도어가 마련되는 쪽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측면에서 도어를 향해 충격이 가해졌을 때, 사이드 에어백이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사이드 에어백(130)은 서포트 와이어(12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130)은 시트백 프레임(120)에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백 프레임(120)에는 체결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사이드 에어백(130)에는 상기 체결홀(미도시)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볼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130)은 볼트(미도시)가 상기 체결홀(미도시)을 관통한 후, 상기 볼트에 너트(미도시)가 결합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120)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체결방법을 통해 사이드 에어백(130)이 시트백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130)은 차량 충돌 시 팽창하는 에어백 쿠션(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미도시)은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차량의 측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사이드 에어백(130)의 에어백 쿠션(미도시)이 탑승자를 향해 전개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는 오히려 사이드 에어백(130)으로 인해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이 탑승자를 향해 전개되는 것을 사이드 에어백이 내측 전개되었다고 표현할 수 있다.
기존에는 사이드 에어백의 내측 전개를 방지하기 위해 시트백 프레임의 측면에 내측 전개 방지 가이드를 결합하였다. 하지만, 차량 충돌 시 내측 전개 방지 가이드가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면서, 날카로운 파편이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었다. 또한, 내측 전개 방지 가이드를 시트백 프레임에 스크류 결합하였기 때문에 조립 공정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의 시트백(101)은 사이드 에어백(130)의 내측 전개를 방지하기 위해 시트백 패드(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1)는 시트백 패드(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11)는 시트백 패드(1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인서트(insert)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11)를 금형(미도시)에 인서트(insert)한 후, 발포제(114, 도5 참조)를 발포함으로써 고정부재(111)는 시트백 패드(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시트백 패드(110)의 발포제(114)는 폴리우레탄 폼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부재(111)는 시트백 패드(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후크부(112)는 시트백 패드(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후크부(112)를 제외한 고정부재(111)의 나머지 부분은 시트백 패드(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1)는 시트백 패드(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발포제(114)에 둘러 싸이기 때문에 시트백 패드(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고정부재(111)는 후크부(112)와, 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112)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서포트 와이어(121)와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트백 패드(110)가 시트백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시트백 패드(110)가 시트백 프레임(120)에 결합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130)의 내측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후크부(112)는 서포트 와이어(121)와 끼움 결합할 수 있어야 하므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크부(112)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13)는 후크부(112)가 시트백 패드(1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후크부(11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후크부(112)는 시트백 패드(110)의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후크부(112)를 시트백 패드(110)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13)는 시트백 패드(110)의 내부에 인서트(insert)되어 발포제(114)와 접할 수 있다. 지지부(113)는 시트백 패드(110)를 구성하는 발포제(11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13)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면(113a)과, 상기 제1면(113a)과 다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113c)과, 상기 제1면(113a)과 상기 제2면(113c) 사이에 마련되는 절곡면(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3)는 후크부(112)가 시트백 패드(110) 내에서 제1방향(D1, 도 6참조)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면(113a)과, 후크부(112)가 시트백 패드(110) 내에서 제2방향(D2, 도 6참조)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면(11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113a)으로부터 제1방향(D1)에는 발포제(114)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트백 패드(110) 내에서 제1면(113a)이 제1방향(D1)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힘이 필요하다. 즉, 제1면(113a)이 제1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1면(113a)과 연결된 절곡면(113b)의 일측에 배치되는 후크부(112)도 제1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제2면(113c)으로부터 제2방향(D2)에는 발포제(114)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트백 패드(110) 내에서 제2면(113c)이 제2방향(D2)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힘이 필요하다. 즉, 제2면(113c)이 제2방향(D2)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제2면(113c0)과 연결된 절곡면(113b)의 일측에 배치되는 후크부(112)도 제2방향(D2)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1면(113a)은 사이드 에어백(1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면(113c)은 사이드 에어백(13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사이드 에어백(130)이 의도된 전개 방향(D3) 외에 다른 방향, 예를 들면, D1 또는 D2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크부(112)는 절곡면(113b)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부(112)는 지지부(113)와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후크부(112)는 지지부(113)와 별개의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후크부(112)는 시트백 패드(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후크(112a, 도 5참조)와, 후크(112a)를 지지하는 몸체(112b, 도 5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2b)는 절곡면(113b)에 배치되어 지지부(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후크부(1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지지부(113)는 깨지지 않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113)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후크부(112)와 지지부(11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시트백의 단면도로서, 시트백 패드가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시트백의 단면도로서, 시트백 패드가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시트백 패드(110)와 시트백 프레임(120)의 결합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130)의 내측 전개 방지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패드(110)는 시트백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시트백 패드(110)에 인서트(insert)된 고정부재(111)의 후크부(112a)가 시트백 프레임(120)의 서포트 와이어(12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시트백 패드(110)와 시트백 프레임(12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존에는 시트백 패드(110)와 시트백 프레임(120)을 직접 결합하는 구조가 마련되지 않고, 시트백 패드(110)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미도시)가 시트백 패드(110)를 감싼 후, 시트백 프레임(120)의 후면에 결합되었다. 즉, 커버부재(미도시)가 시트백 프레임(120)과 결합함으로써 시트백 패드(110)가 시트백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시트백 패드(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부재(111)가 시트백 프레임(120)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마련되는 서포트 와이어(121)와 결합함으로써 시트백 패드(110)와 시트백 프레임(120)이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시트백 패드(110)가 시트백 프레임(120)에 견고하게 결합되면, 사이드 에어백(130)의 내측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기존에는 사이드 에어백(130)이 의도된 전개 방향(D3)으로 전개되지 않고, 시트백 패드(110)와 시트백 프레임(120)의 사이로 전개될 수 있었다. 즉, 시트백 패드(110)와 시트백 프레임(120)가 분리되면서, 사이드 에어백(130)이 시트백 패드(110)의 내측 방향(D2) 또는 전방(D1)으로 전개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101)는 시트백 패드(110)와 시트백 프레임(120)이 끼움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130)이 내측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외측 방향(D3)으로 전개된다. 즉, 별도의 가이드 없이도 고정부재(111)와 서포트 와이어(121)의 결합을 통해 사이드 에어백(130)의 내측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가이드 구조는 시트백 프레임(120)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었기 때문에 시트백 프레임(120)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고정부재(111)는 시트백 패드(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시트백 패드(110)는 부드러운 재질로 마련되기 때문에 시트백 패드(110)의 이송 과정 중 고정부재(111)가 파손될 우려가 매우 적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1)는 깨지지 않거나 깨지더라도 그 파편이 날카롭지 않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11)는 시트백 패드(110)의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측면 충돌 시 고정부재(111) 또는 그 파편으로 인해 탑승자가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매우 적다. 즉, 탑승자의 상해 가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내측 전개 방지 가이드 구조에서는, 가이드를 시트백 프레임(120)에 결합하기 위해 다수의 스크류 결합 공정을 거쳐야 했다. 반면, 본 발명의 고정부재(111)는 서포트 와이어(121)와 간편하게 끼움 결합하기 때문에 조립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부품수가 축소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량
101: 시트
100: 시트백
110: 시트백 패드
111: 고정부재
112: 후크부
113: 지지부
120: 시트백 프레임
121: 서포트와이어
130: 사이드 에어백

Claims (15)

  1. 시트백의 골격을 구성하고, 일 측 또는 양 측에 서포트 와이어가 마련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백의 외관을 형성하는 시트백 패드; 및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시트백 패드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상기 서포트 와이어와 결합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외부로 돌출되는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가 상기 시트백 패드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서포트 와이어와 끼움 결합하는 차량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인서트(insert)되어 상기 시트백 패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시트.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마련되는 절곡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절곡면에 마련되는 차량용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와 상기 지지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차량용 시트.
  8. 시트백의 골격을 구성하는 시트백 프레임;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백의 외관을 형성하는 시트백 패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에어백; 및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결합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마련되는 서포트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서포트 와이어와 끼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인서트(insert)되어 상기 시트백 패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시트.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후크부를 상기 시트백 패드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시트백 패드 내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면과, 상기 후크부가 상기 시트백 패드 내에서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측방에 배치되는 차량용 시트.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와이어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시트.
KR1020160144853A 2016-11-02 2016-11-02 차량용 시트 KR101834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53A KR101834318B1 (ko) 2016-11-02 2016-11-02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53A KR101834318B1 (ko) 2016-11-02 2016-11-02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318B1 true KR101834318B1 (ko) 2018-04-13

Family

ID=6197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853A KR101834318B1 (ko) 2016-11-02 2016-11-02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3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0357B2 (ja) * 1997-08-29 2004-04-1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る車輌用シート
JP5349935B2 (ja) 2008-12-09 2013-11-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528676B2 (ja) 2008-03-28 2014-06-2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0357B2 (ja) * 1997-08-29 2004-04-1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る車輌用シート
JP5528676B2 (ja) 2008-03-28 2014-06-2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349935B2 (ja) 2008-12-09 2013-11-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2953B (zh) 包括安全气囊的车辆座椅
US11046279B2 (en) Adaptive backup structure for airbag support
JP3082392B2 (ja) 車両乗員の保護装置
US6302437B1 (en) Vehicle glove box assembly having knee restraint capabilities
US7441799B2 (en) Non-circular steering wheel assembly and airbag module
CN105774741A (zh) 气囊装置及车辆
JP3042494U (ja) エアバッグモデュールドア
CN101665102A (zh) 车辆的外部安全气囊
JP2012515112A5 (ko)
JP2992961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EP3102465B1 (en) Airbag door assembly
JP6515861B2 (ja) 乗員保護装置
US9387821B1 (en) Vehicle restraint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JP6626763B2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101834318B1 (ko) 차량용 시트
KR20050029833A (ko) 자동차의 후석용 에어백
KR102613172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70486B2 (ja) サンバイザ制御装置
JP2915380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WO2018169628A1 (en) Dash panel exterior mounted passenger airbag
CN103332164A (zh) 汽车侧面安全气囊
CN116568587A (zh) 车辆乘员约束系统
US9365178B2 (en) Device for protecting passenger of vehicle
JP6631958B2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3873669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