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515B1 -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3515B1 KR101833515B1 KR1020180010910A KR20180010910A KR101833515B1 KR 101833515 B1 KR101833515 B1 KR 101833515B1 KR 1020180010910 A KR1020180010910 A KR 1020180010910A KR 20180010910 A KR20180010910 A KR 20180010910A KR 101833515 B1 KR101833515 B1 KR 1018335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oke
- input
- output
- shaft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할 때에 공진 발생을 최소화하고 회전각을 크게 하면서도 동력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농기계의 입력 축과 연결 설치되는 입력요크와, 작업기의 출력 축과 연결 설치되는 출력요크와,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를 연결하는 연결요크와,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를 체결하는 "+"자형베어링으로 구성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 자형 베어링에서 연결요크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의 길이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 긴 연결요크체결 축의 무게와 상기 길이가 짧은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의 무게 비는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 0.97∼1을 유지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 자형 베어링에서 연결요크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의 길이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 긴 연결요크체결 축의 무게와 상기 길이가 짧은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의 무게 비는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 0.97∼1을 유지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기계(트랙터, 경운기, 관리기 등)의 동력을 작업기(베일러, 퇴비살포기, 집초기, 예초기 등)로 전달할 때에 공진 발생을 최소화하고 회전각을 크게 하면서도 동력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계(트랙터, 경운기, 관리기 등)의 동력을 작업기(베일러, 퇴비살포기, 집초기, 예초기 등)로 전달하여 작업기를 구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1(공개실용신안번호 20-2000-0018046 : 농사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기계의 동력이 입력 축(11)을 통하여 작업기에 설치된 출력 축(12)으로 전달되고 상기 출력 축(12)으로 전달된 동력은 작업기를 구동시켜 그 작업기에서 해당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 축(11)과 출력 축(12)의 상호 마주 대하는 각 단부에는 요크(13)가 설치되고 그 각 요크(13)의 사이에는 연결요크(15)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요크(15)와 상기 각 요크(13) 간에는 "+"자형 베어링(14)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 설치됨으로써 입력 축(11)의 동력이 출력 축(12)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입력 축과 출력 축 및 연결요크와 요크 그리고 "+"자형 베어링의 상호 연결 설치관계를 도 2(공개실용신안번호 20-2009-0007111 : 트랙터용 작업기 견인링크장치)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래 -
양편에 각각의 십자베어링(61,61a)을 힌지 결합한 더블요크유니버셜조인트(60)의 양측에 각각의 스플라인조인트(62,62a)를 링크 결합하고, 플랜지형베어링유닛(63,63a)에 동력입출력스플라인축(6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농기계의 동력을 동력입출력스플라인축(64)을 통하여 작업기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십자베어링(61,61a)은 종/횡 방향의 축 길이가 동일하고, 또 더블요크유니버셜조인트(60)의 양측 입구 직경과 상기 각 스플라인조인트(62,62a)의 입구 직경이 동일함으로 인하여 상기 각 십자베어링(61,61a)을 매개로 상기 각 스플라인조인트(62,62a)가 회전될 때에 회전 각이 50° 이상 회전되지 못하기 때문에 협소한 농로를 방향전환 하거나 또는 작업현장의 작업 각이 심한 코너 부분을 작업할 때에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고 여러 번 전/후진하며 방향 전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작업 각이 심한 코너 부분의 작업하지 못하는 면적이 넓어짐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상기 작업하지 못하는 부분은 인력을 이용한 별도의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 낭비의 원인이 되었다.
공개실용신안번호 20-2000-0018046 : 농사용 작업기 연결장치.
공개실용신안번호 20-2009-0007111 : 트랙터용 작업기 견인링크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농기계의 동력발생부 동력을 입력 축에서 출력 축을 통하여 작업기로 전달할 때에
첫째: 입력 축과 출력 축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공진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상기 공진 발생 최소화에 따른 소음을 줄이고,
둘째: 입력 축과 출력 축의 연결부분에서 회전각을 크게 하여 방향전환 각이 심한 협소한 농로에서도 방향전환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각이 심한 작업공간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상기 회전각이 클 때에도 입력 축에서 출력 축으로의 동력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 기본 구성은,
농기계의 입력 축(100)과 연결 설치되는 입력요크(200)와, 작업기의 출력 축(300)과 연결 설치되는 출력요크(400)와,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를 연결하는 연결요크(500)와,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를 체결하는 "+"자형베어링(600)으로 구성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연결요크(5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 긴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무게와 상기 길이가 짧은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무게 비는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0.97∼1을 유지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첫째: 입력 축과 출력 축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공진(진동)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소음발생을 줄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장치의 성능향상과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고,
둘째: 입력 축과 출력 축의 연결부분에서 회전각을 크게 하여 방향전환 각이 심한 협소한 농로에서도 방향전환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각이 심한 작업공간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는 등 작업여건이 취약한 곳에서도 농기계 및 작업기의 진입 및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셋째: 상기 회전각이 클 때에도 입력 축에서 출력 축으로의 동력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 작업기의 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1실시 예의 유니버셜조인트 단면 구성도,
도 2는 종래 제2실시 예의 유니버셜조인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에서 '+'자형 베어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분해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에서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 실시 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회전 각을 설명하는 실시 예도.
도 2는 종래 제2실시 예의 유니버셜조인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에서 '+'자형 베어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분해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에서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 실시 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회전 각을 설명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는, 농기계의 동력을 입력 축을 통하여 작업기 쪽의 출력 축으로 전달할 때에 입력 축과 출력 축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공진(진동)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소음발생을 줄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장치의 성능향상과 내구성을 높이고, 또 입력 축과 출력 축의 연결부분에서 회전각을 크게 하여 방향전환 각이 심한 협소한 농로에서도 방향전환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각이 심한 작업공간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는 등 작업여건이 취약한 곳에서도 농기계 및 작업기의 진입 및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각이 클 때에도 입력 축에서 출력 축으로의 동력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 작업기의 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다음-
본 발명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기본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기계의 입력 축(100)과 연결 설치되는 입력요크(200)와, 작업기의 출력 축(300)과 연결 설치되는 출력요크(400)와,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를 연결하는 연결요크(500)와,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를 체결하는 "+"자형베어링(60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통상의 동력 절달장치 구성임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효과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자형베어링(600)의 구성은 도 4a 내지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요크(5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과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과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과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내부에는 그 각축(610,6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일 로(611,621)가 형성되고, 상기 각 축(610,620)의 단부에는 트러스트베어링(640)을 매개로 회전 캡(630)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 캡(630)의 어느 하나 또는 2개에는 상기 오일 로(611,621)와 연통되는 오일주입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자형베어링(600) 역시 이미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구성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 아래 -
상기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주 특징은,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도 4b 및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요크(5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L)가 긴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무게와 상기 길이(l)가 짧은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무게 비는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0.97∼1을 유지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연결요크(5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를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연결요크(500)와 "+" 자형 베어링(60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될 때에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선단부 일부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요크(500)에 수용되며 회전되게 하여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회전 각을 크게 함으로써 방향전환 각이 심한 협소한 농로의 방향전환 또는 작업 각이 심한 작업공간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는 등 작업여건이 취약한 곳에서도 농기계 및 작업기의 진입 및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길이(L)가 긴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무게와 상기 길이(l)가 짧은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무게 비를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0.97∼1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 자형 베어링(600)의 종/횡 방향 축 길이가 서로 다름으로 인한 무게(질량) 차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가 회전할 때에 공진(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 및 입력 및 출력 축(100,300)의 떨림(진동)이 발생하여 마모의 가속화를 불러오고 그와 동시에 상기의 구성들에서 소음이 발생함으로 이와 같은 상기 마모의 가속화 및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0.97∼1의 무게 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과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무게 비는 1:1로 함이 가장 바람직하나 회전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요크(5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와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길이(l)가 서로 다르게 했기 때문에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과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무게 비를 정확하게 1:1로 하기에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연결요크체결 축(610)과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무게 차이를 최소화하되 그 최소화의 범위를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0.97∼1의 무게 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0.97로하여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 RPM을 1000으로 하고 3시간 동안 공진(진동)과 소음을 측정한 결과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1의 비율로 했을 때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0.96 이하로 했을 때는 공진(진동)과 소음이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0.97로 했을 때보다 확연하게 컸다.
따라서 "+" 자형 베어링(600)에서 연결요크(5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가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어도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과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무게 비는 1:0.97∼1로 함이 바람직하였다.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가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과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무게 비를 1:0.97∼1의 범위로 유지시키기 위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래 -
상기 길이(l)가 짧은 쪽의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외경(T)을 길이(L)가 긴 쪽의 연결요크체결 축(610) 외경(t)보다 크게 하여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과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무게 비를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0.97∼1로 하였다.
상기의 방법 외에도 양축(610,620)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캡(630)의 두께를 달리하여 상기 양축(610,620) 무게 비를 조절할 수 있고, 또 회전 캡(630)의 재질을 달리하여 그 재질의 질량에 따른 양축(610,620) 무게 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외경(T)을 연결요크(5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외경(t)보다 크게 형성시킨 또 다른 이유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입력 및 출력 축(100,3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고 전달받기 위한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회전 그리고 각도 변환이 수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에 부하가 더 걸리게 된다.
따라서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외경(T)이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외경(t)보다 크게 하여 강도를 강하게 함으로써 부하에 견딜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회전 각에 대한 일실시 예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선단부 외경(R)을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시켜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회전될 때에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선단부가 상기 연결요크(5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마찰 없이 용이하게 회전되게 형성시킴으로써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연결요크(500)로부터 회전 각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와 같은 상기 회전각의 최대 크기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요크(500)의 길이방향 중앙선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75°까지 회전되게 하였다.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선단부가 상기 연결요크(500)의 입구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어 회전각을 크게(중앙선의 기준으로 좌우 양쪽 각각 75°이하) 할 수 있었던 것은,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연결요크(5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를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체결되는 각각의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시키고, 또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선단부 외경(R)을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시켰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은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연결요크(500)로부터 최대 75° 까지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전체적인 길이와 무게 및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의 구조를 개선하였으며, 그 일실시 예를 를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래 -
먼저,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선단부 외경(R)을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시켜 도 8a 내지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선단부 외부와 상기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 상단 간의 간격 갭(G)을 확보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회전될 때에 연결요크(500)와의 접촉되는 시점을 최대한 지연시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연결요크(500)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최대 75°까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전체적인 길이(W)를 줄이고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결요크(500)의 구성인 링부(510)의 양단부와 각 체결구(520)에 형성된 축홀(H) 단부 간의 간격(D)을 짧게 줄여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연결요크(500)의 링부(510)에 최대로 근접 설치되게 하였고, 또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선단부 외경(R)을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은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연결요크(500)의 구조를 개선을 통하여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연결요크(500)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최대 75°까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동력전달장치의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하고, 또 부피를 작게 함으로써 무게가 가벼워짐은 물론, 원재료가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연결요크(500) 일실시 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링부(510)가 형성되고, 그 링부의 양측에는 링부(510)와 일체로 한 쌍의 체결구(520)가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링부(510)의 내주면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 입구에서 내측 중앙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가공 형성됨으로써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회전될 때에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 선단부가 연결요크(500)의 링부(510) 내부에서 마찰이 일어나지 않고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링부(510)의 내부구조 외에도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가 회전될 때에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 선단부가 연결요크(500)의 링부(510) 내부에서 마찰이 일어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요크(200) 전방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요크 결합 축(620)을 체결하는 한 쌍의 입력 측 결합구(210)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선단부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입력 축(100)이 결합 되도록 내주 면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입력 축 결합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출력요크(400)의 전방에는 출력요크결합 축(620)을 체결하는 한 쌍의 출력 측 결합구(410)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선단부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출력 축(300)이 결합 되도록 내주 면에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된 출력 축 결합부(420)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입력 및 출력 축(100,300)이 각각의 해당 입력 및 출력 축 결합부(220,420)에 각각 끼워 결합된다.
단 상기 입력 및 출력 축(100,300)과 입력 및 출력 축 결합부(220,420)에 형성된 스플라인 기어 대신에 입력 및 출력 축(100,200)의 전방을 4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시키고 입력 및 출력 축 결합부(220,420)에도 상기 다각형의 각 축과 부합하는 다각형의 결합부를 형성시켜 사용해도 된다.
한편, 상기 입력 축(100)은 입력 축 결합부(220)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출력 축(300)은 출력 축 결합부(220)에 고정부재(P)를 매개로 출력 축 결합부(220)와 출력 축(300)을 관통하며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출력 축(300)을 출력 축 결합부(220)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요크(200)의 일실시 예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요크(200)의 후방에 형성된 입력 축 결합부(220)의 길이(A)를 상기 출력요크(400)의 후방에 형성된 출력 축 결합부(420)의 길이(a)보다 길게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회전에 따라 입력 축(100)이 입력 축 결합부(220) 내에서 약간씩 전·후진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그 이동거리를 확보해주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입력 축(100)은 입력 축 결합부(220)에 끼워 결합 후 고정하지 않고 입력 축(100)이 입력 축 결합부(200)에서 전·후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또 상기 출력 축(300)은 출력 축 결합부(420)에 끼워 결합한 후 고정부재(P)로 고정하여 출력 축(300)이 출력 축 결합부(420)에서 전·후진할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는, 농기계의 동력을 입력 축을 통하여 작업기 쪽의 출력 축으로 전달할 때에 입력 축과 출력 축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공진(진동)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소음발생을 줄여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장치의 성능향상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입력 축과 출력 축의 연결부분에서 회전각을 크게 하여 방향전환 각이 심한 협소한 농로에서도 방향전환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각이 심한 작업공간의 코너부분 깊숙이까지 작업할 수 있는 등 작업여건이 취약한 곳에서도 농기계 및 작업기의 진입 및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회전각이 클 때에도 입력 축에서 출력 축으로의 동력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 작업기의 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입력 축 200 : 입력요크
210 : 입력 측 결합구 220 : 결합부
300 : 출력 축 400 : 출력요크
410 : 출력 측 결합구 420 : 결합부
500 : 연결요크 510 : 링부
520 : 체결구 600 : "+"자형베어링
610 : 연결요크체결 축 620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
611,621 : 오일 로 630 : 회전 캡
A : 입력 축 결합부의 길이 a : 출력 축 결합부의 길이
D : 간격 G : 갭
H : 축홀 P : 고정부재
L : 연결요크체결 축의 길이(L) l :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의 길이
R : 입력 및 출력요크의 선단부 외경 r : 연결요크의 입구 내경
T :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의 외경 t : 연결요크체결 축의 외경
W : 동력전달장치 전체 길이
210 : 입력 측 결합구 220 : 결합부
300 : 출력 축 400 : 출력요크
410 : 출력 측 결합구 420 : 결합부
500 : 연결요크 510 : 링부
520 : 체결구 600 : "+"자형베어링
610 : 연결요크체결 축 620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
611,621 : 오일 로 630 : 회전 캡
A : 입력 축 결합부의 길이 a : 출력 축 결합부의 길이
D : 간격 G : 갭
H : 축홀 P : 고정부재
L : 연결요크체결 축의 길이(L) l :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의 길이
R : 입력 및 출력요크의 선단부 외경 r : 연결요크의 입구 내경
T : 입력 및 출력요크체결 축의 외경 t : 연결요크체결 축의 외경
W : 동력전달장치 전체 길이
Claims (7)
- 농기계의 입력 축(100)과 연결 설치되는 입력요크(200)와, 작업기의 출력 축(300)과 연결 설치되는 출력요크(400)와,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를 연결하는 연결요크(500)와,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와 연결요크를 체결하는 "+"자형베어링(600)으로 구성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연결요크(500)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길이(L)는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 긴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무게와 상기 길이가 짧은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무게 비는 상기 연결요크체결 축(610) 1 :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 0.97∼1을 유지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선단부 외경(R)은 연결요크(500)의 입구 내경(r)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가 회전될 때에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의 선단부가 상기 연결요크의 내측 입구에 수용된 상태로 마찰 없이 회전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크(500)는 중앙에 링부(510)가 형성되고, 그 링부의 양측에는 링부와 일체로 한 쌍의 체결구(520)가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링부의 내주면은 양측 입구에서 내측 중앙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가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요크의 후방에 형성된 축 결합부의 길이(A)는 상기 출력요크의 후방에 형성된 축 결합부의 길이(a)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의 회전 각은 연결요크(50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각각 75° 이하 회전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요크(200)의 측의 축 결합부(220)에 결합된 입력 축(100)은 축 결합부 내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출력요크(400)의 측의 축 결합부(420)에 결합된 출력 축(300)은 전·후진 되지 못하도록 고정부재(P)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자형 베어링(600)에서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와 체결되는 입력 및 출력요크결합 축(620)의 외경(T)은 연결요크와 체결되는 연결요크체결 축(610)의 외경(t)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0910A KR101833515B1 (ko) | 2018-01-29 | 2018-01-29 |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0910A KR101833515B1 (ko) | 2018-01-29 | 2018-01-29 |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3515B1 true KR101833515B1 (ko) | 2018-02-28 |
Family
ID=6140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0910A KR101833515B1 (ko) | 2018-01-29 | 2018-01-29 |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351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1820B1 (ko) | 2022-08-17 | 2023-01-27 | 김승옥 | 유니버셜조인트 |
KR102597614B1 (ko) * | 2023-05-19 | 2023-11-03 |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 |
KR20230167545A (ko) | 2022-06-02 | 2023-12-11 | 주식회사 고려농기 | 농기계 동력전달기구의 제조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024B1 (ko) | 2014-02-26 | 2014-05-29 | 서경진 | 안전커버가 설치된 트랙터와 작업기 연결장치 |
-
2018
- 2018-01-29 KR KR1020180010910A patent/KR1018335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024B1 (ko) | 2014-02-26 | 2014-05-29 | 서경진 | 안전커버가 설치된 트랙터와 작업기 연결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7545A (ko) | 2022-06-02 | 2023-12-11 | 주식회사 고려농기 | 농기계 동력전달기구의 제조장치 |
KR102491820B1 (ko) | 2022-08-17 | 2023-01-27 | 김승옥 | 유니버셜조인트 |
KR102597614B1 (ko) * | 2023-05-19 | 2023-11-03 |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3515B1 (ko) |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 |
KR101828008B1 (ko) |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 |
US7144325B2 (en) | Cam bar centering mechanism | |
WO2005070157A2 (en) | Three way swivel divider gearbox for agricultural drive systems | |
US7314416B2 (en) | Drive shaft coupling | |
US9995345B2 (en) | Cardan drive | |
KR20180128633A (ko) | 관리기용 동력 전달 모듈 및 이를 갖는 관리기 | |
CN101926240A (zh) | 双轴秸秆还田机 | |
KR101612874B1 (ko) | 동력전달장치 | |
US10260567B2 (en) | Coupling shafts in axial alignment | |
CN215648103U (zh) | 一种用于免耕播种机主动旋转清茬装置安装及传动机构 | |
US4634402A (en) | Universal joint capable of accommodating thrust loads | |
US5324234A (en) | Shaft coupling | |
KR102597614B1 (ko) |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 | |
US2864246A (en) | Universal joints | |
CN209738813U (zh) | 农机转向行走装置 | |
KR101695425B1 (ko) | 농기계용 조인트장치 | |
CN211288625U (zh) | 一种微耕机齿轮传动结构 | |
CN107351909B (zh) | 拖拉机倍速转向机构 | |
KR102262737B1 (ko) |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 |
KR200352686Y1 (ko) | 트랙터 엔진의 피티오축 동력 전달 장치 | |
KR20110040612A (ko) | 농기계용 멀티샤프트 | |
RU2442032C1 (ru) | Сдвоенны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шарнир | |
CN219563089U (zh) | 机械臂传动组件、末端关节机械臂和机械臂结构 | |
CN117028494B (zh) | 减速器、致动器、关节模组及机器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