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820B1 - 유니버셜조인트 - Google Patents

유니버셜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820B1
KR102491820B1 KR1020220102766A KR20220102766A KR102491820B1 KR 102491820 B1 KR102491820 B1 KR 102491820B1 KR 1020220102766 A KR1020220102766 A KR 1020220102766A KR 20220102766 A KR20220102766 A KR 20220102766A KR 102491820 B1 KR102491820 B1 KR 102491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input
universal joint
bearing
bal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진
Original Assignee
김승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옥 filed Critical 김승옥
Priority to KR102022010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40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with intermediate member provided with two pairs of outwardly-directed trunnions on intersecting a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382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constructional details of other than the intermediate member
    • F16D3/385Bearing cup; Bearing construction; Bearing seal; Mounting of bearing on the intermediat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농기계의 회전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는 유니버셜조인트의 동력 입력 측 요크구조를 개선하여 입력 축의 견고함과 회전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유니버셜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베어링결합 홀을 갖는 베어링결합부와, 베어링결합부를 지지하는 요크몸체와, 요크몸체의 후단으로부터 수직 평면을 형성하는 베어링지지면이 형성된 입력요크를 형성하고, 상기 베어링지지면의 중앙에는 입력 축이 상기 요크몸체와 연이어지며, 상기 베어링결합부의 길이방향 모서리 내측에는 면취부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니버셜조인트{Universal Joint}
본 발명은 각종 농기계의 회전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는 유니버셜조인트의 요크를 구조 개선하여 연결요크와 입력요크 간의 각도 전환(꺽임) 각은 크고, 농기계와 작업기 간의 회전반경을 작게 하여 협소한 곳에서도 작업기의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유니버셜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기계(트랙터, 경운기, 관리기 등)의 회전동력을 작업기(베일러, 퇴비살포기, 집초기, 예초기 등)로 전달하는 것은 본 실용신안등록출원인이 선 특허출원하여 등록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가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농기계의 회전동력을 받는 스플라인입력 축(100)이 연결 설치된 입력요크(200)와, 작업기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스플라인출력 축(300)이 연결 설치되는 출력요크(400)와,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를 연결하는 연결요크(500)와, 상기 각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와 상기 연결요크(500)를 연결하는 "+"자형베어링(60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에 의한 농기계의 회전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는, 후방에 입력 및 출력축결합부(220,420)가 형성되고, 그 입력축결합부의 선단 양측에는 동일한 형상의 베어링결합부(210,410)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입력 및 출력축결합부(220,420)의 내부에는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그 스플라인이 형성된 입력 및 출력축결합부(220,420)에는 입력 및 출력축(100,300)이 끼워 결합되어 농기계의 회전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는 입력 및 출력축결합부(220,420)에 스플라인입력 및 출력 축(100,300) 결합되어 미량의 슬립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입력 및 출력축결합부(220,420)의 길이가 확보된다.
따라서 농기계와 작업기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입력 및 출력축결합부(220,420)의 길이만큼 멀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기의 회전반경이 커짐으로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종래의 입력 및 출력요크(200,400)는 회동하는 과정에서 회전 각이 일정량 이상 되면 연결요크(500)와 입력 및 출력축결합부(220,420)가 접촉되어 그 접촉되는 이상으로 회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그로 인한 작업기의 회전반경이 커져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의 문제점 외에도 입력 및 출력축결합부(220,420)와 스플라인입력 및 출력 축(100,300) 결합부분이 취약하여 작업 중 상기 입력 및 출력축결합부(220,420) 또는 스플라인입력 및 출력 축(100,300)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33515(공고일: 2018.02.28.)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28008(공고일: 2018.02.09.)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1-0017262(공개일: 2021.02.17.)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88838(공고일: 2019.03.2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연결요크와 입력요크가 회동 될 때 연결요크와 입력요크가 접촉되는 것을 지연시켜 연결요크와 입력요크 간의 방향전환 각이 크게 확보되도록 입력요크의 베어링결합부에 면취부를 형성시키고,
둘째, 입력 축을 입력요크의 후단과 일체를 형성하며 연이어지도록 입력요크에 직접 가공 형성시켜 입력요크의 길이를 축소 시킴으로써 농기계와 작업기 간의 회전반경이 적어지도록 하였으며,
셋째, 입력요크의 구성인 요크몸체와 베어링결합부 및 입력 축을 일체로 형성시켜 입력요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업현장의 방향전환 각이 협소한 곳에서도 작업기의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또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도중 입력요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니버셜조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연결요크(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축이 구비된 입력요크(20)와 출력 축이 구비된 출력요크(30)가 "+"자형 베어링(4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된 유니버셜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입력요크(20)는 후단을 수직으로 가공하고 그 가공 면이 평면을 형성하는 베어링지지면(23)을 갖는 요크몸체(22)가 형성되고, 상기 요크몸체의 전방 양측에는 +"자형 베어링이 결합되는 베어링결합 홀(21a)이 형성된 "⊂"자형의 베어링결합부(21)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요크몸체의 길이(L)는 상기 베어링결합부(21)와 입력 축(24)에 형성된 볼베어링결합부(24a)의 길이(ℓ)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결합 홀(21a)의 외측 주위에는 상기 베어링결합 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덧살부(21b)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지지면의 중앙에는 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 축(24)이 상기 요크몸체와 연이어지도록 가공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결합부의 길이방향 모서리(25) 내측에는 상기 연결요크와의 방향전환 각을 증대시키기 위한 면취부(26)를 형성하되, 그 면취부는 상호 마주보는 양 베어링결합부(21)의 상·하부 내측 각 모서리(25)에 형성되고, 그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면취부는 중앙부 깊이가 제일 깊으면서 폭(W-1)이 넓고, 상기 폭이 넓은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면서 폭(W-2)이 좁아지게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요크와 입력요크가 회동 될 때 연결요크와 입력요크가 접촉되는 것을 지연시켜 연결요크와 입력요크 간의 방향전환 각이 크게 확보되도록 입력요크의 베어링결합부에 면취부를 형성시키고, 또 입력 축을 입력요크의 후단과 일체를 형성하며 연이어지도록 입력요크에 직접 가공 형성시켜 입력요크의 길이를 축소 시킴으로써 농기계와 작업기 간의 회전반경이 적어지도록 하였으며, 입력요크의 구성인 요크몸체와 베어링결합부 및 입력 축을 일체로 형성시켜 입력요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업현장의 방향전환 각이 협소한 곳에서도 작업기의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또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도중 입력요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니버셜조인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에서 입력요크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에서 입력요크를 발췌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에 입력축고정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가 보호케이스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은 각종 농기계(트랙터, 경운기, 관리기 등)의 회전동력을 작업기(베일러, 퇴비살포기, 집초기, 예초기 등)로 전달하는 유니버셜조인트의 요크를 구조 개선하여 연결요크와 입력요크 간의 각도 전환(꺽임) 각은 크고, 농기계와 작업기 간의 회전반경을 작게 하여 협소한 곳에서도 작업기의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유니버셜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요크(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축이 구비된 입력요크(20)와 출력 축이 구비된 출력요크(30)가 "+"자형 베어링(4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된 유니버셜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입력요크(20)는 후단을 수직으로 가공하고 그 가공 면이 평면을 형성하는 베어링지지면(23)을 갖는 요크몸체(22)가 형성되고, 상기 요크몸체의 전방 양측에는 +"자형 베어링이 결합되는 베어링결합 홀(21a)이 형성된 "⊂"자형의 베어링결합부(21)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요크몸체의 길이(L)는 상기 베어링결합부(21)와 입력 축(24)에 형성된 볼베어링결합부(24a)의 길이(ℓ)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결합 홀(21a)의 외측 주위에는 상기 베어링결합 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덧살부(21b)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지지면의 중앙에는 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 축(24)이 상기 요크몸체와 연이어지도록 가공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결합부의 길이방향 모서리(25) 내측에는 상기 연결요크와의 방향전환 각을 증대시키기 위한 면취부(26)를 형성하되, 그 면취부는 상호 마주보는 양 베어링결합부(21)의 상·하부 내측 각 모서리(25)에 형성되고, 그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면취부는 중앙부 깊이가 제일 깊으면서 폭(W-1)이 넓고, 상기 폭이 넓은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면서 폭(W-2)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조인트에서 연결요크(10)와, 베어링결합부(31)와 출력 축(32)이 구비된 출력요크(30)와, "+"자형 베어링(4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구성으로써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 개선된 입력요크(20)와 그 입력요크에 구비된 입력 축(24)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입력요크(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결합부(21)와 일체로 형성된 요크몸체(22)의 후단에 입력 축(24)이 일체가 되도록 연이어지게 가공 형성됨으로써 입력요크(20)의 길이를 짧게 형성시켰고, 그에 따라 농기계(도면 미 도시)와 작업기(도면 미도시) 간의 이격 거리가 근접해짐으로써 방향전환 각이 협소한 곳에서도 작업기의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입력요크는 그 입력요크의 후단에 슬립 가능하게 스플라인 축이 결합 되므로 인하여 상기 스플라인 축이 결합되는 부분이 슬립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일정길이를 유지해야 하고 그에 따라 입력요크의 길이를 본 발명의 입력요크 길이보다 길어지는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어 농기계와 작업기 간의 거리를 좁이는데 한계가 있어 방향전환 각이 협소한 곳에서의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없고 그에 따라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입력요크(20)를 형성하는 구성인 요크몸체(22)에 베어링결합부(21)와 입력 축(24)을 하나의 몸체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시켜 입력요크(20)의 길이를 짧게 형성시켰다.
또 본 발명의 연결요크(10)와 입력요크(20)가 각도 전환될 때 연결요크(10)와 입력요크(20)가 접촉되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켜 각도 전환이 크게 확보되도록 입력요크(20)의 베어링결합부(21)에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취부(26)를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입력 축(24)을 입력요크(20)에 일체화시키고, 베어링결합부(21)에 면취부(26)를 형성시킴으로써 입력요크(20)의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방향전환 각이 협소한 곳에서도 작업기의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기로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상기 입력요크(20) 전방 양측에는 "+"자형 베어링(40)이 결합되는 베어링결합 홀(21a)이 형성된 "⊂"자형의 베어링결합부(21)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베어링결합부(21)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크기와 형상을 달리할 수도 있다.
단 상기 상호 마주보게 형성된 베어링결합부(21)의 크기와 형상을 달리하더라도 베어링결합 홀(21a)은 일직선상을 유지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결합부(21)의 후단에는 베어링결합부를 지지하는 요크몸체(22)가 형성되는데 그 요크몸체(22)는 베어링결합부(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입력요크(20)의 길이를 숙소시켜 유니버셜조인트의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농기계와 작업기 간의 간격이 근접되어 작업기의 회전반경을 최소화시킴과 아울러 방향전환 각이 협소한 곳에서도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요크몸체(22)의 끝단에는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몸체(22)의 후단으로부터 수직으로 가공하고 그 가공 면이 평면을 형성하는 베어링지지면(23)을 형성시키는데, 그 이유는, 볼베어링(B)의 일측 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의 베어링지지면(23)의 중앙에는 농기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입력 축(24)이 상기 요크몸체(22)와 연이어지도록 가공 형성시켜 상기 베어링결합부(21)와 요크몸체(22)와 입력 축(24)이 하나의 몸체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입력요크(20)의 내구성을 향상 향상시킴과 아울러 유니버셜조인트의 분해조립을 간편하게 하였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입력요크(20)에 형성된 베어링결합부(21)의 길이방향 모서리(25) 내측에 상기 연결요크(10)와의 각도 전환 각을 증대시키기 위한 면취부(26)를 형성시키는데 상기 면취부(26)를 형성시킨 이유는, 농기계 및 작업기의 방향전환 각이 클 때 연결요크(10)와 입력요크(20)가 각고 전환되는 과정에서 연결요크(10)와 입력요크(20)의 접촉을 최대한 지연시켜 연결요크(10)와 입력요크(20)가 최대로 각도 전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요크(10)와 입력요크(20)의 회전 (각도 전환)각이 최대로 크게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면취부(26)는, 상호 마주보는 양 베어링결합부(21)의 상·하부 내측 각 모서리(25) 각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연결요크(10)와 입력요크(20)가 각도 전환될 때 베어링결합부(21)의 내측 모서리부분이 제일 먼저 접촉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면취부(26)의 일실시 예는, 도 3a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 깊이가 제일 깊으면서 폭(W-1)이 넓고, 상기 중앙부 깊이가 제일 깊고 폭이 넓은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면서 폭(W-2)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시켰다.
상기와 같은 일실시 예의 상기 면취부(26) 구조로 인하여 연결요크(10)와 입력요크(20)의 접촉을 최대로 지연시킴으로 인하여 연결요크(10)와 입력요크(20)의 방향 전환 각이 상기 면취부(26)의 깊이 및 폭만큼 크게 확보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면취부(26)의 일실시 예는, 도 3a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 깊이가 제일 깊으면서 폭(W-1)이 넓고, 상기 중앙부 깊이가 제일 깊고 폭이 넓은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면서 폭(W-2)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시켰다.
상기 면취부(26) 구조에서 중앙부 깊이가 제일 깊으면서 폭(W-1)이 넓고,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면서 폭(W-2)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시킨 이유는, 연결요크(10)와 입력요크(20)가 각도 전환되는 과정에서 연결요크(10)의 베어링결합부가 상기 입력요크(20)에 형성된 면취부(26)의 중앙부에 제일 먼저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요크(10)의 베어링결합부 접촉이 지연되도록 상기 면취부(26)의 중앙부 깊이를 제일 깊게 함과 동시에 폭(W-1)을 넓게 하고 상기 면취부(26)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면서 폭(W-2)이 좁아지는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베어링결합부(21)에 형성된 양 베어링결합 홀(21a)의 외측 주위에는, 베어링결합 홀(21a)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덧살부(21b)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시켜 "+"자형 베어링(40)이 결합되는 베어링결합 홀(21a)의 주위가 내구성이 향상되게 하였다.
상기 베어링지지면(23)의 외주 면에는, 그 외주 면을 따라 볼베어링(B)의 외륜과 접촉되지 않도록 단턱(27)을 형성시켜 볼베어링(B)의 내륜은 베어링지지면(23)에 지지되고 볼베어링(B)의 외륜은 상기 단턱(27)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입력 축(24)을 포함하는 입력요크(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단턱(27) 상부에 위치하는 볼베어링(B)의 외륜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입력축고정구(29)에 결합 고정되어 입력 축(24)을 포함하는 입력요크(20)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 고정한다.
단 상기 입력축고정구(29)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요크(20)를 보호하는 케이스(C)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입력 축(24)을 포함하는 입력요크(20)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요크몸체(22)의 길이(L)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축(24)에 형성된 볼베어링결합부(24a)의 길이(ℓ)보다 짧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에서 설명한 요크몸체(22)가 베어링결합부(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시킨 이유와 마찬가지로 요크몸체(22)의 길이도 볼베어링결합부(24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시켜 유니버셜조인트의 길이를 축소 시킴으로써 농기계와 작업기간의 간격을 좁혀 회전반경을 작게 함으로써 방향전환 각이 협소한 곳에서도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기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농기계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입력 축(24)은,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베어링(B)이 결합되는 볼베어링결합부(24a)와, 그 볼베어링결합부에 결합된 볼베어링(B)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28)가 고정되는 고정부(24b)와, 농기계의 회전동력을 전단 받는 스플라인부(24c)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플라인부(24c)는, 농기계의 동력전달 축에 형성된 스플라인부(도면 미도기)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설치되고, 상기 고정부(24b)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이탈방지부재(28)가 결합되어 볼베어링(B)의 위치이탈을 제어하며, 볼베어링결합부(24a)에는 유니버셜조인트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입력 축(24)을 보호하는 볼베어링(B)이 설치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4b)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재(28)인 스냅링(28a)이 결합되는 스립링홀(24b-1) 또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재(28)인 핀(28b)이 관통 설치되는 핀홀(24b-2) 또는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탈방지부재(28)인 너트(28c)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4b-3)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다.
또 상기 핀홀에 설치된 핀(28b)과 볼베어링(B) 사이 또는 상기 나사부에 설치된 너트(28c)와 볼베어링(B) 사이에는 와셔(Wa)가 개재되는데, 그 이유는, 볼베어링(B)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스립링홀(24b-1)에 스냅링(28a)이 설치된 경우에는 스냅링(28a)과 볼베어링(B) 사이에 와셔(Wa)가 개재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볼베어링결합부(24a)에는, 스페이서(도면 미도시)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의 볼베어링(B)이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입력 축(24))을 안정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입력요크(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삭제
또 상기 입력 축(24)에 설치된 볼베어링(B)의 외륜은, 입력축고정구(29)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입력축고정구(29)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요크(20)를 보호하는 케이스(C)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입력 축(24)과 압력요크(20)가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어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니버셜조인트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요크와 입력요크가 회동 될 때 연결요크와 입력요크가 접촉되는 것을 지연시켜 연결요크와 입력요크 간의 방향전환 각이 크게 확보되도록 입력요크의 베어링결합부에 면취부를 형성시키고, 또 입력 축을 입력요크의 후단과 일체를 형성하며 연이어지도록 입력요크에 직접 가공 형성시켜 입력요크의 길이를 축소 시킴으로써 농기계와 작업기 간의 회전반경이 적어지도록 하였으며, 입력요크의 구성인 요크몸체와 베어링결합부 및 입력 축을 일체로 형성시켜 입력요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업현장의 방향전환 각이 협소한 곳에서도 작업기의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또 농지의 코너 깊숙한 부분까지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도중 입력요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0 : 연결요크 20 : 입력요크
21 : 베어링결합부 21a : 베어링결합 홀
21b : 덧살부 22 : 요크몸체
23 : 베어링지지면 24 : 입력 축
24a : 볼베어링결합부 24b : 고정부
24b-1 : 스립링홀 24b-2 : 핀홀
24b-3 : 나사부 24c : 스플라인부
25 : 모서리 26 : 면취부
27 : 단턱 28 : 이탈방지부재
28a : 스냅링 28b : 핀
28c : 너트 29 : 입력축고정구
30 : 출력요크 31 : 베어링결합부
32 : 출력 축 40 : "+"자형 베어링
B : 볼베어링 C : 케이스
L : 요크몸체 길이 ℓ : 볼베어링결합부 길이
W-1,W-2 : 면취부 폭 Wa : 와셔

Claims (11)

  1. 연결요크(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농기계의 동력을 작업기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축이 구비된 입력요크(20)와 출력 축이 구비된 출력요크(30)가 "+"자형 베어링(40)을 매개로 연결 설치된 유니버셜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입력요크(20)는 후단을 수직으로 가공하고 그 가공 면이 평면을 형성하는 베어링지지면(23)을 갖는 요크몸체(22)가 형성되고, 상기 요크몸체의 전방 양측에는 +"자형 베어링이 결합되는 베어링결합 홀(21a)이 형성된 "⊂"자형의 베어링결합부(21)가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요크몸체의 길이(L)는 상기 베어링결합부(21)와 입력 축(24)에 형성된 볼베어링결합부(24a)의 길이(ℓ)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결합 홀(21a)의 외측 주위에는 상기 베어링결합 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덧살부(21b)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지지면의 중앙에는 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 축(24)이 상기 요크몸체와 연이어지도록 가공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결합부의 길이방향 모서리(25) 내측에는 상기 연결요크와의 방향전환 각을 증대시키기 위한 면취부(26)를 형성하되, 그 면취부는 상호 마주보는 양 베어링결합부(21)의 상·하부 내측 각 모서리(25)에 형성되고, 그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면취부는 중앙부 깊이가 제일 깊으면서 폭(W-1)이 넓고, 상기 폭이 넓은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얕아지면서 폭(W-2)이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조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지지면(23)의 외주 면에는, 볼베어링(B)의 외륜과 접촉되지 않도록 단턱(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조인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축(24)은, 볼베어링(B)이 결합되는 볼베어링결합부(24a)와, 그 볼베어링결합부에 결합된 볼베어링의 위치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28)가 고정되는 고정부(24b)와, 농기계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스플라인부(24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조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4b)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인 스냅링(28a)이 결합되는 스립링홀(24b-1) 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인 핀(28b)이 관통 설치되는 핀홀(24b-2) 또는 이탈방지부재인 너트(28c)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4b-3)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조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에 설치된 핀(28b)과 볼베어링(B) 사이 또는 상기 나사부에 설치된 너트(28c)와 볼베어링(B) 사이에는 볼베어링을 보호하는 와셔(Wa)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조인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베어링결합부(24a)에는, 스페이서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의 볼베어링(B)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조인트.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축에 설치된 볼베어링(B)은, 입력축고정구(29)와 결합 설치되고, 상기 입력축고정구는 입력요크를 보호하는 케이스(C)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조인트.
KR1020220102766A 2022-08-17 2022-08-17 유니버셜조인트 KR10249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766A KR102491820B1 (ko) 2022-08-17 2022-08-17 유니버셜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2766A KR102491820B1 (ko) 2022-08-17 2022-08-17 유니버셜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820B1 true KR102491820B1 (ko) 2023-01-27

Family

ID=8510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2766A KR102491820B1 (ko) 2022-08-17 2022-08-17 유니버셜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8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4919A (ja) * 2007-05-15 2008-11-27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車輪用軸受装置の組立方法、アセンブリ体、およびアセンブリ体の組立方法
KR20090007111U (ko) * 2009-06-22 2009-07-13 서경진 트랙터용 작업기 견인링크장치
JP2010194547A (ja) * 2009-02-23 2010-09-09 Nsk Ltd 自在継手およびその加工方法
KR20170067914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유제이테크 유니버셜조인트의 무볼팅 동력전달체
KR101828008B1 (ko) 2017-09-21 2018-02-09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KR101833515B1 (ko) 2018-01-29 2018-02-28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KR200488838Y1 (ko) 2015-12-31 2019-03-27 남양넥스모 (주) 유니버셜 조인트용 요크
KR20210017262A (ko) 2019-08-07 2021-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니버셜 조인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4919A (ja) * 2007-05-15 2008-11-27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車輪用軸受装置の組立方法、アセンブリ体、およびアセンブリ体の組立方法
JP2010194547A (ja) * 2009-02-23 2010-09-09 Nsk Ltd 自在継手およびその加工方法
KR20090007111U (ko) * 2009-06-22 2009-07-13 서경진 트랙터용 작업기 견인링크장치
KR20170067914A (ko) * 2015-12-08 2017-06-19 주식회사유제이테크 유니버셜조인트의 무볼팅 동력전달체
KR200488838Y1 (ko) 2015-12-31 2019-03-27 남양넥스모 (주) 유니버셜 조인트용 요크
KR101828008B1 (ko) 2017-09-21 2018-02-09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 작업기의 연결장치
KR101833515B1 (ko) 2018-01-29 2018-02-28 주식회사 해동에이지케이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KR20210017262A (ko) 2019-08-07 2021-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니버셜 조인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7107B2 (en) Push button quick disconnect yoke
US8137023B2 (en) Coupling assembly for molten metal pump
US4116020A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11162540B2 (en) Connection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US4501570A (en) Adjustable friction clutch
KR20030007629A (ko) 툴 커플링
KR102491820B1 (ko) 유니버셜조인트
BRPI0807252B1 (pt) Acoplamento de diafragma
US4275799A (en) Wheel hub and homokinetic joint assembly
US4758109A (en) Shear joint for yoke
KR101833515B1 (ko) 농기계로부터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장치
US2726106A (en) Wheel mounting
US9995345B2 (en) Cardan drive
CN112639318B (zh) 传动轴
JP2001151140A (ja) センターテイクオフ型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タイロッドの取付け構造
KR101428231B1 (ko) 범용 토크컨버터
US3008310A (en) Attachment of coupling members to torque-transmitting tubular shafts, and to the tubular shafts and attached coupling members resulting therefrom
KR200496987Y1 (ko)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US2957715A (en) Threaded drive yoke
KR200299645Y1 (ko) 유니버설조인트
KR102253965B1 (ko) 농기계용 볼 클러치 조인트 어셈블리
JP4630437B2 (ja) 工具ヘッド
JP2549859Y2 (ja) 耕耘爪軸端部の保護装置
KR102597614B1 (ko) 농기계와 작업기의 동력 전달장치
KR102510714B1 (ko) 텐션링을 통해 슬립토크 조절이 가능한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